KR102070084B1 -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084B1
KR102070084B1 KR1020190095740A KR20190095740A KR102070084B1 KR 102070084 B1 KR102070084 B1 KR 102070084B1 KR 1020190095740 A KR1020190095740 A KR 1020190095740A KR 20190095740 A KR20190095740 A KR 20190095740A KR 102070084 B1 KR102070084 B1 KR 102070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switchboard
main body
acceleration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인엽
Original Assignee
추인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인엽 filed Critical 추인엽
Priority to KR1020190095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arrangement of the damper unit
    • F16F15/1208Bearing arrangements
    • F16F15/1209Bearing arrangements comprising sliding b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08Earthquake measurement or prediction
    • G01V1/01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은 메인 감지부와 멀티 감지부로 구성되는 2채널 감지방식에 의해 수배전반 본체 및 수배전반 본체가 시공된 건물에 대한 변위량이 각각 검출되고, 검출 값을 토대로 수배전반 본체와 건물 간에 가속, 진동 강도 및 x, y, z축 변위 방향 정보를 대비 연산하여 단순 외부충격으로 인한 진동과 실제 지진상황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비상모듈 실행에 따른 정확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진동저감부재(10), 메인 감지부(20), 멀티 감지부(30),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 {Seismic detection system for switchboard}
본 발명은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감지부와 멀티 감지부로 구성되는 2채널 감지방식에 의해 수배전반 본체 및 수배전반 본체가 시공된 건물에 대한 변위량이 각각 검출되고, 검출 값을 토대로 수배전반 본체와 건물 간에 가속, 진동 강도 및 x, y, z축 변위 방향 정보를 대비 연산하여 단순 외부충격으로 인한 진동과 실제 지진상황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비상모듈 실행에 따른 정확도 향상을 도모하므로 비상모듈 오작동으로 인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방지되는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배전반은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고압용 또는 특별고압용 전기의 수전이나 배전을 위하여 설치된다. 일 예시로, 수배전반은 병원 등 주요 시설에 정전을 대비하여 변전실에서 서로 다른 변전소에서 각각 수전 받아 서로 다른 선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수배전반은 고장 등에 대비하여 2개의 변압기를 통해 수전 받아 전압을 강압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2회로 수전 방식으로 운영되기도 하며, 비상발전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운영하는 시공예가 다수 있어 왔다.
여기서 수배전반이 다수 설치되는 병원, 발전소, 변전소 그 밖의 전력을 사용하는 공장과 같은 설비는 비상시조차 전력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근자에는 지진이 발생할 경우, 지진 진도에 따라 건물의 전력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누전에 의한 2차적 재난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지만, 지진 감지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817243호에서, 도전성 금속제로 되어 하단이 개방된 종 형상의 중심감지체를 유연성절연지지구에 결합하여 아취형지지대 중심부에 현가시키고, 유연성절연지지구 중심에 전선을 배치하여 유연성절연지지구 하단을 종 형상의 중심 감지체내에 배치한 도전성 금속으로 된 원판형중량추에 부착하여 유연성절연지지구의 중심부에 배치된 전선과 원판형중량추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고, 유연성절연지지구의 상단은 지지대의 상단중심구멍에 장치한 지지구 수용부에 결합하여 유연성절연지지구의 중심에 배치된 전선상단을 지지구 수용부의 금속제 볼트와 접속하여 금속제 볼트에 접속한 도선과 도통되게 하고, 종 형상의 중심감지체 외주에 일정간격을 두고 원통형의 도전성 외주고정자를 배치하여 외주고정자의 주벽에서 등분된 위치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종 형상의 중심감지체 표면으로 근접되는 도전성 접촉단자를 나사공에 결합하여 접촉단자 외측단에 도선을 연결하고, 종 형상의 중심감지체 표면에 도선을 연결하여 종 형상의 중심감지체의 도선과 원판형중량추에 도통하는 도선과 외주고정자의 주벽에 장치된 접촉단자의 도선을 지진감지기의 ON 신호입력부에 접속하여 ON 신호입력부에 지진신호가 입력되면 작동하는 지진감지기를 작동시키고, 지진감지기의 작동에 따라 제어부가 작동하여 수배전반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 선 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지진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지진감지기의 신호입력부에 접속하여 지진을 감지하고, 지진감지기의 작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어기가 수배전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기술이나, 감지체를 수배전반 또는 주변 구조물에 설치한 상태로 관리자가 부주의로 수배전반 또는 주변 구조물 측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지진으로 감지하여 수배전반 전원이 차단되는 오작동을 일으키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메인 감지부와 멀티 감지부로 구성되는 2채널 감지방식에 의해 수배전반 본체 및 수배전반 본체가 시공된 건물에 대한 변위량이 각각 검출되고, 검출 값을 토대로 수배전반 본체와 건물 간에 가속, 진동 강도 및 x, y, z축 변위 방향 정보를 대비 연산하여 단순 외부충격으로 인한 진동과 실제 지진상황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비상모듈 실행에 따른 정확도 향상을 도모하므로 비상모듈 오작동으로 인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방지되는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건물(1) 바닥에 설치되어 수배전반 본체(2)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진동저감부재(10); 상기 수배전반 본체(2)에 설치되어, 가속, 진동,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메인 감지부(20); 상기 건물(1) 벽체 또는 바닥에 설치되어, 가속 및 진동을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멀티 감지부(30); 및 상기 메인, 멀티 감지부(20)(30)로부터 가속 및 진동 검출 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지진상황으로 판단하여 비상모듈이 실행되고, 비상모듈에 의해 수배전반 메인전원 차단 및 지진 경보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메인 감지부(20)로부터 검출된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면 지진검증모듈이 실행되고, 지진검증모듈은 메인 감지부(20) 가속 및 진동 측정값과 멀티 감지부(30)로부터 검출된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을 연산하여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의 x, y, z축 변위 방향이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일치하는지 대비하여, 일치할 경우 비상모듈이 실행되고, 불일치할 경우 정상모드로 복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감지부(20)로부터 검출된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이 멀티 감지부(30)로부터 검출된 가속 및 진동 측정값 대비 작을 경우 비상모듈이 실행되고, 메인 감지부(20) 측정값 대비 멀티 감지부(30) 측정값이 큰 경우 수배전반 본체(2)에 직접적인 외부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기로 점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메인 감지부(20)를 통한 온도 검출 값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증가되면 수배전반 본체(2) 내부 과열로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기로 점검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배전반 본체(2) 내부 과열 상황에서 가속, 진동 측정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화재로 인한 폭발로 감지하여 비상모듈이 실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저감부재(10)는, 건물(1) 바닥에 설치되고, 상면 중심에서 90°등각으로 4 분할되는 가상선의 0°위치에 제 1편심축(15)이 구비되는 고정판부(12)와, 고정판부(12) 상부에 대향하게 설치되고, 저면 중심에서 90°등각으로 4분할되는 가상선의 0°위치에 제 1편심축(15)이 연결되고, 180°가상선 위치에 제 1가이드롤러(14a)가 설치되어, 제 1편심축(15)을 중심으로 선회작동되며, 상면 중심에서 90°등각으로 4 분할되는 가상선의 90°위치에 제 2편심축(17)이 구비되는 제 1편심판부(14)와, 제 1편심판부(14) 상부에 대향하게 위치되어 상부에 수배전반 본체(2)가 탑재되고, 저면 중심에서 90°등각으로 4분할되는 가상선의 90°위치에 제 2편심축(17)이 연결되며, 270°가상선 위치에 제 2가이드롤러(16a)가 설치되어, 제 2편심축(17)을 중심으로 선회작동되도록 구비되는 제 2편심판부(16)와, 제 1, 2편심판부(14)(16)가 선회작동 후 원위치 복귀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복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편심축(15)(17)은, 하부 고정축(15a)(17a)과, 하부 고정축(15a)(17a)에 삽입되어 회전운동되는 상부 회전축(15b)(17b)과, 하부 고정축(15a)(17a)과 동심원상에 구비되는 사인파형 캠레일(15c)(17c)과, 사인파형 캠레일(15c)(17c)을 타고 경사운동되도록 상부 회전축에 설치되는 유동캠부(15d)(17d)로 구성되어, 지진발생 시, 제 1, 2편심판부(14)(16)가 제 1, 2편심축(15)(17)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수배전반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저감되고, 제 1, 2편심판부(14)(16)가 제 1, 2편심축(15)(17)을 중심으로 선회시 유동캠부(15d)(17d)가 사인파형 캠레일(15c)(17c)을 타고 경사 운동되면서 수배전반 본체(2)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이후 수배전반 본체(2) 하중에 의해 유동캠부(15d)(17d)가 사인파형 캠레일(15c)(17c)을 타고 경사 운동되면서 원위치로 선회 복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2가이드롤러(14a)(16a) 선회반경과 대응하는 고정판부(12) 및 제 1편심판부(14) 상면에는 사인파형 가이드레일(14b)(16b)이 구비되고, 지진발생시 제, 1, 2편심판부(14)(16)가 제 1, 2편심축(15)(17)을 중심으로 선회되면 제 1, 2가이드롤러(14a)(14b)가 사인파형 가이드레일(14b)(16b)을 타고 경사 운동되면서 수배전반 본체(2)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이후 수배전반 본체(2) 하중에 의해 제 1, 2가이드롤러(14a)(16a)가 사인파형 가이드레일(14b)(16b)을 타고 경사운동되면서 원위치로 선회 복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축(15a)(17a)과 상부 회전축(15b)(17b) 사이에는 제 1탄성체(18)가 설치되고, 제 1탄성체(18)에 의해 상부 회전축(15b)(17b)이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제 1, 2가이드롤러(14a)(16a)는 제 2탄성체(19)에 의해 제 1, 2편심판부(14)(16)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탄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 2탄성체(18)(19) 의해 지진발생시, 제 1, 2편심판부(14)(16)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어 수배전반 본체(2) 측으로 가해지는 종방향 충격이 흡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메인 감지부와 멀티 감지부로 구성되는 2채널 감지방식에 의해 수배전반 본체 및 수배전반 본체가 시공된 건물에 대한 변위량이 각각 검출되고, 검출 값을 토대로 수배전반 본체와 건물 간에 가속, 진동 강도 및 x, y, z축 변위 방향 정보를 대비 연산하여 단순 외부충격으로 인한 진동과 실제 지진상황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비상모듈 실행에 따른 정확도 향상을 도모하므로 비상모듈 오작동으로 인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의 작동순서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의 진동저감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의 진동저감부재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의 진동저감부재의 제 1, 2탄성체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은 메인 감지부와 멀티 감지부로 구성되는 2채널 감지방식에 의해 수배전반 본체 및 수배전반 본체가 시공된 건물에 대한 변위량이 각각 검출되고, 검출 값을 토대로 수배전반 본체와 건물 간에 가속, 진동 강도 및 x, y, z축 변위 방향 정보를 대비 연산하여 단순 외부충격으로 인한 진동과 실제 지진상황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비상모듈 실행에 따른 정확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진동저감부재(10), 메인 감지부(20), 멀티 감지부(30),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저감부재(10)는 건물(1) 바닥에 설치되어 수배전반 본체(2)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도 1에서 진동저감부재(10)는 건물(1) 바닥에 설치되어 수배전반 본체(2)를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수배전반 본체(2)를 보호하도록 구비되는바,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감지부(20)는 수배전반 본체(2)에 설치되어, 가속, 진동,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된다. 메인 감지부(20)는 3축 가속센서, 3축 진동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감지부(20)는 박스형태로 모듈화되어, 후면이 수배전반 본체(2) 내부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므로, 수배전반 본체(2) 측으로 가해지는 지진을 포함하는 외부 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가속 및 진동 검출 값을 제어부로 송출함과 더불어 수배전반 본체 내부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송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감지부(30)는 건물(1) 벽체 또는 바닥에 설치되어, 가속 및 진동을 측정하도록 구비된다. 멀티 감지부(30)는 3축 가속센서, 3축 진동센서로 구성되고, 유, 무선 통신에 의해 메인 감지부(20)와 연결된다. 이에 멀티 감지부(30)는 건물(1) 벽체 또는 바닥에 설치되어 측정된 가속, 진동 검출 값을 멀티 감지부(30)와 공유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상기 메인, 멀티 감지부(20)(30)로부터 가속 및 진동 검출 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지진상황으로 판단하여 비상모듈이 실행되고, 비상모듈에 의해 수배전반 메인전원 차단 및 지진 경보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제어부(40)는 상기 메인 감지부(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면에 가속, 진동, 온도, 습도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메인, 멀티 감지부(20)(30) 측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측정값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서, 상기 제어부(40)는 비상모듈 실행에 따른 설정값은 가속도 3g, 진동수 3Hz로 설정되고, 운전 중에 메인 감지부(20)에서 가속도 3.2g 및 진동수 3.2Hz로 측정되면 지진예비단계로 판단하여 멀티 감지부(20) 검출 값을 불러오기 하여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면 지진상황으로 판단하여 비상모듈이 실행되고, 멀티 감지부(20) 검출값이 설정 값 이하로 검출되면 정상모드로 복귀된다.
도 3에서, 상기 제어부(40)는, 메인 감지부(20)로부터 검출된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면 지진검증모듈이 실행되고, 지진검증모듈은 메인 감지부(20) 가속 및 진동 측정값과 멀티 감지부(30)로부터 검출된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을 연산하여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의 x, y, z축 변위 방향이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일치하는지 대비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감지부(20) 가속 및 진동 측정값과 멀티 감지부(30)로부터 검출된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의 검출 시간 차를 오차범위로 설정하거나, 측정값의 강도를 오차범위로 설정하게 된다.
일예로서, 상기 제어부(40)에서 경고 설정 값이 가속도 3g, 진동수 3Hz로 설정되고, 메인 감지부(20)와 멀티 감지부(30)로부터 검출된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의 검출 시간 차에 대한 오차범위는 2초로 설정되며, 측정값의 강도 오차범위는 메인 감지부(20) 측정값 대비 멀티 감지부(30) 측정값이 큰 경우로 설정된다.
이에 상기 메인 감지부(20)에서 가속도 3.2g 및 진동수 3.2Hz로 측정값으로 검출되면 지진 검증모듈이 실행되고, 이후 지진 검증모듈은 메인 감지부(20)과 멀티 감지부(30)로 부터 검출된 측정값을 연산하여, 지진 검증모듈이 활성화 된 직후부터 2초 이내에 멀티 감지부(30)에서 가속도 및 진동수가 감지, 즉 오차범위내에 일치할 경우 비상모듈이 실행되고, 불일치할 경우 정상모드로 복귀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지진 검증모듈은 메인 감지부(20)과 멀티 감지부(30) 검출값을 대비함에 있어, x, y, z축 변위 방향이 동일한 조건에서 오차범위 내에 일치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4에서, 상기 메인 감지부(20)로부터 검출된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이 멀티 감지부(30)로부터 검출된 가속 및 진동 측정값 대비 작을 경우 비상모듈이 실행되고, 메인 감지부(20) 측정값 대비 멀티 감지부(30) 측정값이 큰 경우 수배전반 본체(2)에 직접적인 외부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기로 점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즉, 배전실 내에서 작업자 실수로 수배전반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메인 감지부(20)를 통한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은 증가되나, 멀티 감지부(30)에서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이 미검출되므로 작업자 부주의로 인한 비상모듈 실행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 메인 감지부(20) 측정값 대비 멀티 감지부(30) 측정값이 큰 경우, 약진에 수배전반 본체(2)가 과도하게 롤링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점검 메시지를 송출하게 된다.
도 5에서, 상기 제어부(40)는, 메인 감지부(20)를 통한 온도 검출 값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증가되면 수배전반 본체(2) 내부 과열로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기로 점검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배전반 본체(2) 내부 과열 상황에서 가속, 진동 측정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화재로 인한 폭발로 감지하여 비상모듈이 실행되도록 구비된다. 일예로서 제어부(40) 온도 설정값은 50℃로 설정되고, 검출 시간 간격은 10초로 설정된다.
이에 상기 제어부(40)에서 수배전반 본체(2) 내부 온도가 50℃를 초과하면 이상상황으로 판단하고, 그 시점부터 10초 단위로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상승 편차가 이전 시간대 온도 대비 높게 측정될 경우 수배전반 본체(2) 내부 과열로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기로 점검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때 제어부(40)에서 메인 감지부(20)를 통한 가속, 진동 측정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화재로 인한 폭발로 감지하여 비상모듈이 실행된다.
이처럼 상기 메인 감지부(20)와 멀티 감지부(30)로 구성되는 2채널 감지방식에 의해 수배전반 본체(2) 및 수배전반 본체(2)가 시공된 건물(1)에 대한 변위량이 각각 검출되고, 그 검출 값을 토대로 수배전반 본체(2)와 건물(1) 간에 가속, 진동 강도 및 x, y, z축 변위 방향 정보를 대비 연산하여 단순 외부충격으로 인한 진동과 실제 지진상황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비상모듈 실행에 따른 정확도 향상을 도모하므로 비상모듈 오작동으로 인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의 진동저감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의 진동저감부재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의 진동저감부재의 제 1, 2탄성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에서, 상기 진동저감부재(10)는, 건물(1) 바닥에 설치되고, 상면 중심에서 90°등각으로 4 분할되는 가상선의 0°위치에 제 1편심축(15)이 구비되는 고정판부(12)와, 고정판부(12) 상부에 대향하게 설치되고, 저면 중심에서 90°등각으로 4분할되는 가상선의 0°위치에 제 1편심축(15)이 연결되고, 180°가상선 위치에 제 1가이드롤러(14a)가 설치되어, 제 1편심축(15)을 중심으로 선회작동되며, 상면 중심에서 90°등각으로 4 분할되는 가상선의 90°위치에 제 2편심축(17)이 구비되는 제 1편심판부(14)와, 제 1편심판부(14) 상부에 대향하게 위치되어 상부에 수배전반 본체(2)가 탑재되고, 저면 중심에서 90°등각으로 4분할되는 가상선의 90°위치에 제 2편심축(17)이 연결되며, 270°가상선 위치에 제 2가이드롤러(16a)가 설치되어, 제 2편심축(17)을 중심으로 선회작동되도록 구비되는 제 2편심판부(16)와, 제 1, 2편심판부(14)(16)가 선회작동 후 원위치 복귀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복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2편심축(15)(17)은, 하부 고정축(15a)(17a)과, 하부 고정축(15a)(17a)에 삽입되어 회전운동되는 상부 회전축(15b)(17b)과, 하부 고정축(15a)(17a)과 동심원상에 구비되는 사인파형 캠레일(15c)(17c)과, 사인파형 캠레일(15c)(17c)을 타고 경사운동되도록 상부 회전축에 설치되는 유동캠부(15d)(17d)로 구성된다.
이에 지진발생 시, 도 7처럼 건물(1) 바닥과 함께 고정판부(12)가 유동되면, 고정판부(12) 상에서 제 1, 2편심판부(14)(16)가 제 1, 2편심축(15)(17)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수배전반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저감된다. 이때 상기 제 1, 2편심판부(14)(16)가 제 1, 2편심축(15)(17)을 중심으로 선회시 유동캠부(15d)(17d)가 사인파형 캠레일(15c)(17c)을 타고 경사 운동되면서 수배전반 본체(2)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이후 수배전반 본체(2) 하중에 의해 유동캠부(15d)(17d)가 사인파형 캠레일(15c)(17c)을 타고 경사 운동되면서 원위치로 선회 복귀되도록 구비된다.
또, 상기 제 1, 2가이드롤러(14a)(16a) 선회반경과 대응하는 고정판부(12) 및 제 1편심판부(14) 상면에는 사인파형 가이드레일(14b)(16b)이 구비되고, 지진발생시 제 1, 2편심판부(14)(16)가 제 1, 2편심축(15)(17)을 중심으로 선회되면 제 1, 2가이드롤러(14a)(14b)가 사인파형 가이드레일(14b)(16b)을 타고 경사 운동되면서 수배전반 본체(2)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이후 수배전반 본체(2) 하중에 의해 제 1, 2가이드롤러(14a)(16a)가 사인파형 가이드레일(14b)(16b)을 타고 경사운동되면서 원위치로 선회 복귀되도록 구비된다.
도 8 (a)는 제 1편심판부(14)가 고정판부(12) 상에서 제 1편심축(15)을 중심으로 선회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8 (b)는 제 2편심판부(16)가 제 1편심판부(14) 상에서 제 2편심축(17)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이처럼 제 1, 2편심축(15)(17)이 동축상에 불일치되도록 배치되어 사방향에서 작용하는 지진 하중을 유연하게 흡수하여 지진 충격이 저감된다.
도 9에서, 상기 하부 고정축(15a)(17a)과 상부 회전축(15b)(17b) 사이에는 제 1탄성체(18)가 설치되고, 제 1탄성체(18)에 의해 상부 회전축(15b)(17b)이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2가이드롤러(14a)(16a)는 제 2탄성체(19)에 의해 제 1, 2편심판부(14)(16)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탄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제 1, 2탄성체(18)(19) 의해 지진발생시, 제 1, 2편심판부(14)(16)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어 수배전반 본체(2) 측으로 가해지는 종방향 충격이 흡수되는 이점이 있다.
10: 진동저감부재 20: 메인 감지부
30: 멀티 감지부 40: 제어부

Claims (7)

  1. 건물(1) 바닥에 설치되어 수배전반 본체(2)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진동저감부재(10);
    상기 수배전반 본체(2)에 설치되어, 가속, 진동,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메인 감지부(20);
    상기 건물(1) 벽체 또는 바닥에 설치되어, 가속 및 진동을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멀티 감지부(30); 및
    상기 메인, 멀티 감지부(20)(30)로부터 가속 및 진동 검출 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지진상황으로 판단하여 비상모듈이 실행되고, 비상모듈에 의해 수배전반 메인전원 차단 및 지진 경보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저감부재(10)는, 건물(1) 바닥에 설치되고, 상면 중심에서 90°등각으로 4 분할되는 가상선의 0°위치에 제 1편심축(15)이 구비되는 고정판부(12)와, 고정판부(12) 상부에 대향하게 설치되고, 저면 중심에서 90°등각으로 4분할되는 가상선의 0°위치에 제 1편심축(15)이 연결되고, 180°가상선 위치에 제 1가이드롤러(14a)가 설치되어, 제 1편심축(15)을 중심으로 선회작동되며, 상면 중심에서 90°등각으로 4 분할되는 가상선의 90°위치에 제 2편심축(17)이 구비되는 제 1편심판부(14)와, 제 1편심판부(14) 상부에 대향하게 위치되어 상부에 수배전반 본체(2)가 탑재되고, 저면 중심에서 90°등각으로 4분할되는 가상선의 90°위치에 제 2편심축(17)이 연결되며, 270°가상선 위치에 제 2가이드롤러(16a)가 설치되어, 제 2편심축(17)을 중심으로 선회작동되도록 구비되는 제 2편심판부(16)와, 제 1, 2편심판부(14)(16)가 선회작동 후 원위치 복귀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복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2편심축(15)(17)은, 하부 고정축(15a)(17a)과, 하부 고정축(15a)(17a)에 삽입되어 회전운동되는 상부 회전축(15b)(17b)과, 하부 고정축(15a)(17a)과 동심원상에 구비되는 사인파형 캠레일(15c)(17c)과, 사인파형 캠레일(15c)(17c)을 타고 경사운동되도록 상부 회전축에 설치되는 유동캠부(15d)(17d)로 구성되어, 지진발생 시, 제 1, 2편심판부(14)(16)가 제 1, 2편심축(15)(17)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수배전반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저감되고, 제 1, 2편심판부(14)(16)가 제 1, 2편심축(15)(17)을 중심으로 선회시 유동캠부(15d)(17d)가 사인파형 캠레일(15c)(17c)을 타고 경사 운동되면서 수배전반 본체(2)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이후 수배전반 본체(2) 하중에 의해 유동캠부(15d)(17d)가 사인파형 캠레일(15c)(17c)을 타고 경사 운동되면서 원위치로 선회 복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2가이드롤러(14a)(16a) 선회반경과 대응하는 고정판부(12) 및 제 1편심판부(14) 상면에는 사인파형 가이드레일(14b)(16b)이 구비되고, 지진발생시 제, 1, 2편심판부(14)(16)가 제 1, 2편심축(15)(17)을 중심으로 선회되면 제 1, 2가이드롤러(14a)(14b)가 사인파형 가이드레일(14b)(16b)을 타고 경사 운동되면서 수배전반 본체(2)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이후 수배전반 본체(2) 하중에 의해 제 1, 2가이드롤러(14a)(16a)가 사인파형 가이드레일(14b)(16b)을 타고 경사운동되면서 원위치로 선회 복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부 고정축(15a)(17a)과 상부 회전축(15b)(17b) 사이에는 제 1탄성체(18)가 설치되고, 제 1탄성체(18)에 의해 상부 회전축(15b)(17b)이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제 1, 2가이드롤러(14a)(16a)는 제 2탄성체(19)에 의해 제 1, 2편심판부(14)(16)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탄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 2탄성체(18)(19) 의해 지진발생시, 제 1, 2편심판부(14)(16)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어 수배전반 본체(2) 측으로 가해지는 종방향 충격이 흡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메인 감지부(20)로부터 검출된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면 지진검증모듈이 실행되고, 지진검증모듈은 메인 감지부(20) 가속 및 진동 측정값과 멀티 감지부(30)로부터 검출된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을 연산하여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의 x, y, z축 변위 방향이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일치하는지 대비하여, 일치할 경우 비상모듈이 실행되고, 불일치할 경우 정상모드로 복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감지부(20)로부터 검출된 가속 및 진동 측정값이 멀티 감지부(30)로부터 검출된 가속 및 진동 측정값 대비 작을 경우 비상모듈이 실행되고, 메인 감지부(20) 측정값 대비 멀티 감지부(30) 측정값이 큰 경우 수배전반 본체(2)에 직접적인 외부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기로 점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메인 감지부(20)를 통한 온도 검출 값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증가되면 수배전반 본체(2) 내부 과열로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기로 점검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배전반 본체(2) 내부 과열 상황에서 가속, 진동 측정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화재로 인한 폭발로 감지하여 비상모듈이 실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95740A 2019-08-06 2019-08-06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 KR102070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740A KR102070084B1 (ko) 2019-08-06 2019-08-06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740A KR102070084B1 (ko) 2019-08-06 2019-08-06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084B1 true KR102070084B1 (ko) 2020-01-28

Family

ID=6937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740A KR102070084B1 (ko) 2019-08-06 2019-08-06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0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6655A (zh) * 2021-09-26 2021-12-10 智城六新数字科技研究院(南京)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体预制传感监测结构及监控系统
CN114152326A (zh) * 2021-11-25 2022-03-08 国网重庆市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配电房开关柜振动测量方法及贴片式数字化传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579B1 (ko) * 2014-07-21 2016-07-25 서규선 수전반 및 배전반의 설치 구조
KR20170061020A (ko) * 2015-11-25 2017-06-02 (주)효성파워택 지반 연동판이 장착된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101864292B1 (ko) * 2017-11-21 2018-06-04 (주)원테크 내진용 수배전반 시스템
KR101889834B1 (ko) * 2018-01-05 2018-08-20 (주)서전기전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579B1 (ko) * 2014-07-21 2016-07-25 서규선 수전반 및 배전반의 설치 구조
KR20170061020A (ko) * 2015-11-25 2017-06-02 (주)효성파워택 지반 연동판이 장착된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101864292B1 (ko) * 2017-11-21 2018-06-04 (주)원테크 내진용 수배전반 시스템
KR101889834B1 (ko) * 2018-01-05 2018-08-20 (주)서전기전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6655A (zh) * 2021-09-26 2021-12-10 智城六新数字科技研究院(南京)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体预制传感监测结构及监控系统
CN113776655B (zh) * 2021-09-26 2022-07-05 智城六新数字科技研究院(南京)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体预制传感监测结构及监控系统
CN114152326A (zh) * 2021-11-25 2022-03-08 国网重庆市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配电房开关柜振动测量方法及贴片式数字化传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834B1 (ko)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KR101095598B1 (ko) 적외선 온도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접속부 열화진단시스템
CN108886269B (zh) 故障监测系统和用于检测连接性故障的方法
KR102070084B1 (ko)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
RU27293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землетряс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акселерометра
CA2694597C (en) Universal remote machinery controller and monitor
KR101262907B1 (ko) 지진강도 단계별 차단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컨트롤 시스템이 설치된 재해 방지형 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CN113607071B (zh) 发电机转子吊装气隙监测与防护装置
KR101778772B1 (ko) 주파수 측정에 의한 마이크로그리드 이상 검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99688B1 (ko) 화재예방과 구조물 안전예방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ES2878773T3 (es) Sistema de monitorización de panel eléctrico
KR101847864B1 (ko) Mems 가속도센서 기반 부분방전/결함 위치 검출 방법 및 검출시스템
KR101859925B1 (ko) 원격 데이터 수집 및 제어기능을 구비한 지능형 전원차단 시스템
KR101034644B1 (ko) 비접촉식 안전용 검전기
KR102150475B1 (ko) 내진장치에 내진변위감지센서가 구비된 내진형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CN107144757A (zh) 一种瓦斯继电器油流流速在线监测装置及方法
KR101620363B1 (ko) 내진 장치가 적용된 고압반, 저압반, 모터콘트롤반, 분전반을 포함하는 내진 대응 배전반 및 내진 대응 배전반 시스템
KR101277282B1 (ko)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CN102914371A (zh) 一种开关柜红外实时监测装置
KR101685101B1 (ko) 내진 기능을 구비한 전력 제어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224694B1 (ko) 수배전반용 내진 건전성 판단장치
JP2013223359A (ja) 架空電線の異常監視システム
CN113064033B (zh) 一种气体绝缘组合电器及其故障监测装置
CN103123378B (zh) 电气故障火花实时监测方法及装置
KR20200080033A (ko) 지능형 진동 감지 전원 공급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