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765B1 -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 Google Patents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765B1
KR102068765B1 KR1020160135240A KR20160135240A KR102068765B1 KR 102068765 B1 KR102068765 B1 KR 102068765B1 KR 1020160135240 A KR1020160135240 A KR 1020160135240A KR 20160135240 A KR20160135240 A KR 20160135240A KR 102068765 B1 KR102068765 B1 KR 102068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voltage
lithium ion
ion battery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723A (ko
Inventor
손세희
박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35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7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손상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추정할 수 있는,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은, a) 양극재인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정상 상태의 리튬 이온 전지들을 다양한 충전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준비된 각 전지 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X선 회절(X-ray diffraction) 측정한 후, 리트벨트법(rietveld refinement) 해석에 의해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는 단계; c) 상기 a축 및 c축을 각각 X축 및 Y축으로 하여, 전압에 따른 a축 및 c축의 변화 관계를 보여주는 2차원의 그래프를 작성하는 단계; d) 양극재로서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며, 손상에 의해 전압 측정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를 준비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준비된 전지 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X선 회절 측정한 후, 리트벨트법 해석에 의해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얻어진 a축 및 c축의 길이 값을 상기 c) 단계의 그래프에 플롯(plot)하여, 상기 전압 측정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Voltage estimation method of lithium-ion battery using a X-ray diffraction}
본 발명은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상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추정할 수 있는,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형전지, 구체적으로는 리튬 이온 전지의 양극재로 주로 사용되는 리튬 코발트 산화물(Lithium cobalt oxide)은, 삼방정계 대칭(trigonal symmetry, R-3m)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충/방전에 따른 리튬의 탈리 및 삽입에 따라 단위 셀의 크기에 변화가 생긴다. 이와 같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양극재로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는, 사용 중 발화 또는 스웰링(swelling) 등의 문제(issue)가 종종 발생하는데, 그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제가 발생했을 때의 전압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위한 전압 측정방법이 몇몇 존재하고, 또한, 보다 원활한 전지 손상 시의 전압 측정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45951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양극재로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는, 사용 중 발화 또는 스웰링(swelling)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문제가 발생했을 시의 전압을 확인하기 위한 전압 측정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지의 손상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전압을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전압을 확인하기 위한 전압 추정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상으로 인하여 확인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추정할 수 있는,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양극재인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정상 상태의 리튬 이온 전지들을 다양한 충전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준비된 각 전지 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X선 회절(X-ray diffraction) 측정한 후, 리트벨트법(rietveld refinement) 해석에 의해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는 단계; c) 상기 a축 및 c축을 각각 X축 및 Y축으로 하여, 전압에 따른 a축 및 c축의 변화 관계를 보여주는 2차원의 그래프를 작성하는 단계; d) 양극재로서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며, 손상에 의해 전압 측정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를 준비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준비된 전지 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X선 회절 측정한 후, 리트벨트법 해석에 의해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얻어진 a축 및 c축의 길이 값을 상기 c) 단계의 그래프에 플롯(plot)하여, 상기 전압 측정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에 의하면, 손상으로 인하여 확인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에 있어서, 정상적인 리튬 이온 전지들의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A)와, 상기 그래프에 손상된 리튬 이온 전지의 추정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B, C)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은, a) 양극재인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정상 상태의 리튬 이온 전지들을 다양한 충전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준비된 각 전지 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측정한 후, 리트벨트법(rietveld refinement) 해석에 의해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는 단계, c) 상기 a축 및 c축을 각각 X축 및 Y축으로 하여, 전압에 따른 a축 및 c축의 변화 관계를 보여주는 2차원의 그래프를 작성하는 단계, d) 양극재로서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며, 손상에 의해 전압 측정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를 준비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준비된 전지 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X선 회절 측정한 후, 리트벨트법 해석에 의해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얻어진 a축 및 c축의 길이 값을 상기 c) 단계의 그래프에 플롯(plot)하여, 상기 전압 측정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양극재로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는, 사용 중 발화 또는 스웰링(swelling)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문제가 발생했을 시의 전압을 확인하기 위한 전압 측정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지의 손상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전압을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은, 손상으로 인하여 확인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이슈셀, issue cell)의 전압을 추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양극재인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정상 상태의 리튬 이온 전지들을 다양한 충전 상태로 준비하는 a)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리튬 코발트 산화물(Lithium cobalt oxide)을 양극재(또는, 양극 활물질)로 한 리튬 이온 전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리튬 코발트 산화물이 삼방정계 대칭(trigonal symmetry, R-3m)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충/방전에 따른 리튬의 탈리 및 삽입에 따라 단위 셀의 크기에 변화가 생기는데, 이와 같은 단위 셀의 크기 변화가 본 발명에 활용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다양한 충전 상태의 리튬 이온 전지들이란, 서로 다른 전압을 가지는 정상 상태의 전지들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후술할 손상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추정하는데 기준이 되며, 구체적으로는 정상 전지들의 각 전압을 나타내는 포인트(point) 집단의 어느 지점에, 손상된 전지의 전압이 대략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a) 단계의 정상 리튬 이온 전지들의 전압은, 후술할 d) 단계의 손상된 리튬 이온 전지의 최대 전압값보다는 낮고, 제로 볼트보다는 높은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지도록 각각 충전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손상된 전지의 전압 최대치가 약 10 볼트(v)라 할 경우, 전지가 손상되는 시점의 전압은 최소 무전압(0 볼트 또는 제로 볼트)을 초과하는 것이 자명하므로, 정상 상태의 전지들은 제로 볼트 초과 10 볼트 미만의 서로 다른 전압을 가지도록 다양하게 충전시켜 준비해야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리튬 이온 전지들을 다양한 충전 상태(또는, 전압 상태)로 준비하는 것은, 후술할 손상된 별도의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추정하는데 기준되는 전압들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또한 해당 항목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a) 단계에서 준비된 각 전지 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측정한 후, 리트벨트법(rietveld refinement) 해석에 의해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는다(단계 b). 이와 같은 b)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전압 상태가 상이한 각 전지를 분해하여 전지 내의 양극(정확하게는,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수거해야 하며, 수거된 각 양극을 X선 회절(XRD) 측정하여, 각각의 전지에 대한 단위 셀의 크기를 반영하는 피크(peak)들로 나타낸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충/방전에 따른 리튬의 탈리 및 삽입에 따라 단위 셀의 크기가 변화하는데, 상기 각 전지의 충전 상태(전압 상태)는 서로 상이하므로, 각 전지에 대한 단위 셀의 크기가 서로 다른 피크(peak)들의 위치에 반영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같이, X선 회절에 의해 각 전지에 대한 단위 셀의 크기를 반영하는 피크들로 나타낸 후에는, 리트벨트법 해석에 의해 각 피크 값을 이용하여 정밀한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을 수 있다. 즉, 리튬의 탈리에 따라 처음에는 a축은 작아지고 c축이 증가하지만, 탈리된 리튬의 양이 절반 이상으로 많아지면, 반대로 a축은 증가하고 c축은 작아지는데, 상기 리트벨트법 해석을 이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현상을 a축 및 c축의 길이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a축 및 c축을 각각 X축 및 Y축으로 하여, 전압에 따른 a축 및 c축의 변화 관계를 보여주는 2차원의 그래프를 작성한다(단계 c). 상기 b 단계로부터 리트벨트법 해석에 의해 피크 값을 이용하여, 충전 상태가 다른 각 전지 리튬 코발트 산화물의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은 후에는, a축의 값과 c축의 값을 각각 x축과 y축으로 하여, 전압에 따른 a축 및 c축의 변화 관계를 나타내는 2차원 그래프(graph)를 작성해야 한다. 이와 같이, a축 및 c축을 X축 및 Y축으로 하는 2차원 그래프로 나타내게 되면, 각 방향의 관계 곡선이 겹치지 않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정상 전지들의 전압 분포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2차원의 그래프 작성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정상 상태의 다양한 리튬 이온 전지에 포함되어 있는 각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이용하여, 기준이 되는 각 정상 전지들의 전압 분포 그래프를 작성한 후에는, 양극재로서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며, 손상에 의해 전압 측정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를 준비한다(단계 d). 이는, 전압의 추정을 위하여 상기 정상 상태의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과 비교 대조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d) 단계에서 준비된 전지 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X선 회절 측정한 후, 리트벨트법 해석에 의해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는다(단계 e). 이와 같은 e)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손상된 전지를 분해하여 전지 내의 양극(정확하게는,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가능한 한 최대치로 수거해야 하며, 수거된 양극을 X선 회절(XRD) 측정하여, 전지에 대한 단위 셀의 크기를 피크(peak)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X선 회절에 의해 손상된 전지에 대한 단위 셀의 크기를 반영하는 피크들로 나타낸 후에는, 리트벨트법 해석에 의해 피크 값을 이용하여 정밀한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e) 단계에서 얻어진 a축 및 c축의 길이 값을 상기 c) 단계의 그래프에 플롯(plot)하여, 상기 전압 측정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추정한다(단계 f). 이는, 상기 c) 단계에서 작성된 2차원 그래프, 다시 말해, 정상 상태의 전압이 다양한 리튬 이온 전지에 포함되어 있는 리튬 코발트 산화물들로부터 작성된 2차원 그래프에, 상기 e) 단계에서 얻어진 a축의 길이 값과 c축의 길이 값을 대입하여, 상기 전압 측정이 불가능한 손상된 리튬 이온 전지(issue cell)의 전압을 추정하는 단계이며, 상기 e) 단계에서 얻어진 손상된 전지의 a축 및 c축의 길이 값에 의해 얻어진 2차원 그래프 상의 지점(point)으로부터, 상기 손상된 전지의 전압을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요약하면, 기준이 되는 각 정상 전지들의 전압 분포 그래프를 이용함으로써, 손상으로 인하여 확인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이슈셀, issue cell)의 전압을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양극재로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에 발화 또는 스웰링(swelling)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전지가 손상된 경우에도 전압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리튬 이온 전지의 손상에 대한 원인의 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본 발명이 주는 의미는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
먼저, 양극재인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정상 상태의 리튬 이온 전지들을 3.69 볼트(V), 3.78 볼트, 3.88 볼트, 4.16 볼트, 4.43 볼트 및 4.54 볼트의 다양한 충전 상태(전압 상태)로 준비하였다. 이어서, 상기 각 전지 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수거하여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측정하여 피크(peak) 값을 구한 후, 이를 이용하여 리트벨트법(rietveld refinement) 해석에 의해,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압에 따른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었으며, 상기 a축 및 c축을 각각 X축 및 Y축으로 하여, 전압에 따른 a축 및 c축의 변화 관계를 보여주는 2차원의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계속해서, 양극재로서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며, 손상에 의해 전압 측정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를 준비한 후, 양극재인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전지로부터 수거하여 X선 회절 측정한 후, 리트벨트법 해석에 의해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었으며, 이를 상기 2차원 그래프에 플롯(plot)하여, 상기 손상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추정하였다.
전압(v) a축 길이(Å) c축 길이(Å)
3.69 2.8152 ± 0.0006 14.117 ± 0.006
3.78 2.8126 ± 0.0003 14.193 ± 0.002
3.88 2.8103 ± 0.0005 14.316 ± 0.002
4.16 2.8091 ± 0.0001 14.453 ± 0.003
4.43 2.8112 ± 0.0008 14.434 ± 0.008
4.54 2.816 ± 0.0012 14.301 ± 0.002
[실시예 2]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
양극재인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정상 상태의 리튬 이온 전지들을 3.69 볼트, 3.78 볼트, 3.88 볼트, 4.16 볼트, 4.43 볼트 및 4.54 볼트의 다양한 충전 상태로 준비하였다. 이어서, 상기 각 전지 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수거하여 X선 회절 측정하여 피크 값을 구한 후, 이를 이용하여 리트벨트법 해석에 의해,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압에 따른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었으며, 상기 a축 및 c축을 각각 X축 및 Y축으로 하여, 전압에 따른 a축 및 c축의 변화 관계를 보여주는 2차원의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계속해서, 양극재로서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며, 손상에 의해 전압 측정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를 준비한 후, 양극재인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전지로부터 수거하여 X선 회절 측정한 후, 리트벨트법 해석에 의해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었으며, 이를 상기 2차원 그래프에 플롯(plot)하여, 상기 손상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추정하였다.
[실시예 1, 2]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에 대한 평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에 있어서, 정상적인 리튬 이온 전지들의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A)와, 상기 그래프에 손상된 리튬 이온 전지의 추정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B, C)로서, 이는 다시 말해, 도 1의 A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작성된 2차원 그래프이고, 도 1의 B는 실시예 1에서 도 1-A 그래프에 적용하여 추정한 손상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1의 C는 실시예 2에서 도 1-A 그래프에 적용하여 추정한 손상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보여주는 그래프를 의미한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양극재인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정상 상태의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하여, 전압 측정의 기준이 되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양극재로서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며 손상에 의해 전압 측정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를 이용하여, 상기 그래프에 적용한 결과, 손상된 전지(issue cell 양극)가 손상될 시의 전압이, a축 길이가 2.8097 Å이고, c축 길이가 14.347 Å로 나타난 실시예 1에서는 3.88 내지 4.16 볼트(V)로, a축 길이가 2.8098 Å이고, c축 길이가 14.447 Å로 나타난 실시예 2에서는 4.16 내지 4.43 볼트로 각각 추정되었으며, 이로 인해, 리튬 이온 전지의 손상에 대한 원인의 분석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을 이용하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양극재로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에 발화 또는 스웰링(swelling)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전지가 손상된 경우에도, 기존과 달리 전압을 추정하여 전지의 손상에 대한 원인 파악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a) 양극재인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정상 상태의 리튬 이온 전지들을 다양한 충전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준비된 각 전지 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X선 회절(X-ray diffraction) 측정한 후, 리트벨트법(rietveld refinement) 해석에 의해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는 단계;
    c) 상기 a축 및 c축을 각각 X축 및 Y축으로 하여, 전압에 따른 a축 및 c축의 변화 관계를 보여주는 2차원의 그래프를 작성하는 단계;
    d) 양극재로서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며, 손상에 의해 전압 측정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를 준비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준비된 전지 내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X선 회절 측정한 후, 리트벨트법 해석에 의해 a축 및 c축의 길이를 얻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얻어진 a축 및 c축의 길이 값을 상기 c) 단계의 그래프에 플롯(plot)하여, 상기 전압 측정이 불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리튬 이온 전지들을 다양한 충전 상태로 준비하는 것은, 상기 d) 단계의 손상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을 추정하는데 기준되는 전압들을 설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정상 리튬 이온 전지들의 전압은, 상기 d) 단계의 손상된 리튬 이온 전지의 최대 전압값보다는 낮고 제로 볼트보다는 높은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지도록 각각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리튬 이온 전지들을 다양한 충전 상태로 하여, 충/방전에 따른 리튬의 탈리 및 삽입에 의해 단위 셀의 크기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X선 회절 측정에 의해, 충전 상태가 서로 다른 각 전지에 대한 단위 셀의 크기를 반영하는 피크(peak)들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리트벨트법 해석에 의한 a축 및 c축의 길이는, 리튬의 탈리에 따라 처음에는 a축은 작아지고 c축이 증가하며, 탈리된 리튬의 양이 절반 이상이면 a축은 증가하고 c축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2차원 그래프는 각 방향의 관계 곡선이 겹치지 않아, 정상 전지들의 전압 분포가 명확히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작성된 2차원 그래프에, 상기 e) 단계에서 얻어진 a축의 길이 값과 c축의 길이 값을 대입하여, 상기 손상된 리튬 이온 전지(issue cell)의 전압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KR1020160135240A 2016-10-18 2016-10-18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KR102068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40A KR102068765B1 (ko) 2016-10-18 2016-10-18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40A KR102068765B1 (ko) 2016-10-18 2016-10-18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723A KR20180042723A (ko) 2018-04-26
KR102068765B1 true KR102068765B1 (ko) 2020-01-21

Family

ID=6208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240A KR102068765B1 (ko) 2016-10-18 2016-10-18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6852B2 (en) 2020-04-08 2023-10-1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predicting physical properties of amorphous porous materi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9829A1 (en) 2020-01-29 2021-08-04 Lg Chem, Ltd.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swelling behavior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0419A (ja) 1999-10-13 2001-04-20 Nichia Chem Ind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過充電安全性の評価方法
US20130271089A1 (en) 2005-08-03 2013-10-17 Rachid Yazami Battery state of health assess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951B1 (ko) * 2009-12-01 2012-05-15 주식회사 엘앤에프신소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0419A (ja) 1999-10-13 2001-04-20 Nichia Chem Ind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過充電安全性の評価方法
US20130271089A1 (en) 2005-08-03 2013-10-17 Rachid Yazami Battery state of health assessment system
US8901892B2 (en) 2005-08-03 2014-12-0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s and systems for thermodynamic evaluation of battery state of heal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6852B2 (en) 2020-04-08 2023-10-1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predicting physical properties of amorphous porous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723A (ko)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ju et al. Influence of Li-Ion kinetics in the cathodic performance of layered Li (Ni1/3Co1/3Mn1/3) O 2
KR101750739B1 (ko) 2차 전지의 충전 상태 측정 장치 및 2차 전지의 충전 상태 측정 방법
CN113272667A (zh) 锂离子电池的电极诊断
DE10201220041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einer Bestimmung eines Ladezustands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DE112013005746T5 (de) Nach-Verschlechterung-Performanz-Schätzvorrichtung und Nach-Verschlechterung-Performanz-Schätzverfahren für eine Energiespeichereinrichtung sowie Energiespeichersystem
DE112014004166T5 (de) Gerät und Verfahren für die Abschätzung der Lebensdauer einer Energiespeichervorrichtung und eines Energiespeichersystems
WO201013230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extent and type of capacity fade
CN105572155A (zh) 用于确定锂离子电池电极的锂化的方法
DE112017003927T5 (de) Energiespeichervorrichtungs-Zustandsschätzvorrichtung und Energiespeichervorrichtungs-Zustandsschätzverfahren
CN112067999B (zh) 一种锂离子电池正极开路电势曲线非破坏获取系统及方法
KR102068765B1 (ko) X선 회절을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압 추정방법
Pang et al. Parameter identification and state-of-charge estimation approach for enhanced lithium–ion battery equivalent circuit model considering influence of ambient temperatures
Leonardi et al. Investigation on the ageing mechanism for a lithium-ion cell under accelerated tests: The case of primary frequency regulation service
DE112014003396T5 (de) Alterungszustands-Erfassungsvorrichtung und Alterungszustands-Erfassungsverfahren für Energiespeichereinrichtung, und Energiespeichersystem
US11024898B2 (en) Lithium-ion battery high temperature aging process
Lewerenz et al. Evaluation of shallow cycling on two types of uncompressed automotive Li (Ni1/3Mn1/3Co1/3) O2-Graphite pouch cells
EP4119962A1 (en) Secondary battery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DE102020206272A1 (de) Batterieverwaltungssystem mit gemischter elektrode
JP6529972B2 (ja) 電気化学システムに組み込まれた比較電極をその場で再較正する方法
JP2014082121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方法
WO2015109592A1 (en) Method for estimating li-ion battery capacity degradation
CN113125974B (zh) 一种电池析锂检测方法及装置
JP6760213B2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
Gasper et al. Lithium loss, resistance growth, electrode expansion, gas evolution, and Li plating: Analyzing performance and failure of commercial large-format NMC-Gr lithium-ion pouch cells
DE102014202616A1 (de) Verfahren zum Ermitteln der Lagerfähigkeit einer Batter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