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740B1 -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및 약액 배출 방법 - Google Patents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및 약액 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740B1
KR102068740B1 KR1020180066255A KR20180066255A KR102068740B1 KR 102068740 B1 KR102068740 B1 KR 102068740B1 KR 1020180066255 A KR1020180066255 A KR 1020180066255A KR 20180066255 A KR20180066255 A KR 20180066255A KR 102068740 B1 KR102068740 B1 KR 102068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iston assembly
chemical liquid
push plat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596A (ko
Inventor
신홍수
전국일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템
Priority to KR1020180066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74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2Devices for applying air or other gas pressure for forcing liquid to delivery p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38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liquids in storage cont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정량의 약액을 배출하면서 잔류 약액을 최소화 하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는, 제약용 약액을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개구로 투입되어 상기 약액에 접하여 상기 탱크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상기 탱크에 상기 피스톤 조립체를 투입한 후 상기 탱크의 개구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탱크의 바닥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오목한 내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조립체는 상기 바닥의 내표면과 면접촉되는 대향면을 가진다.

Description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및 약액 배출 방법 {MEDICINAL FLUID TANK FOR MEDICINE MANUFACTURE AND METHOD DISCHARGING MEDICINE}
본 발명은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및 약액 배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량의 약액을 배출하면서 잔류 약액을 최소화 하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및 약액 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는 제조된 약액을 용기, 약병 또는 튜브에 주입하는 데 사용된다. 일례를 들면,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는 탱크에 내장된 피스톤의 승강 작동으로 내장된 약액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탱크의 바닥과 피스톤의 대향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피스톤의 하강 압력으로 내장된 약액을 배출한다. 탱크 및 피스톤의 직경이 대형인 경우, 바닥과 피스톤의 대향면 사이에서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하는 약액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바닥은 압력을 안전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방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과 피스톤 대향면의 형상이 불일치 하는 경우, 역시 바닥과 피스톤의 대향면 사이에서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하는 약액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량의 약액을 배출하면서 잔류 약액을 최소화 하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를 사용하여 약액을 정량 배출하는 약액 배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는, 제약용 약액을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개구로 투입되어 상기 약액에 접하여 상기 탱크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상기 탱크에 상기 피스톤 조립체를 투입한 후 상기 탱크의 개구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탱크의 바닥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오목한 내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조립체는 상기 바닥의 내표면과 면접촉되는 대향면을 가진다.
상기 탱크의 바닥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내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조립체의 대향면은 상기 내표면에 면접촉으로 결합되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자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외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탱크 또는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과 상기 피스톤 조립체 사이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외부의 에어 공급구에 연결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에어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조립체는, 상기 탱크의 내주면에 기밀 결합되어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받아 하강하는 탑 푸시 플레이트(top push plate), 및 상기 탑 푸시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대향면을 형성하는 바텀 푸시 플레이트(bottom push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푸시 플레이트는, 외주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 내주면의 약액을 아래로 긁어 내리는 제1오링, 및 상기 제1오링보다 상측에서 외주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압축 공기를 실링하는 제2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의 바닥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내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바텀 푸시 플레이트는 상기 내표면에 면접촉으로 결합되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외표면으로 대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텀 푸시 플레이트는 상기 대향면의 일부에 벤트/진공홀을 구비하여, 약액과 상기 바텀 푸시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의 바닥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바텀 푸시 플레이트는 상기 바닥의 오목한 내표면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벤트/진공홀은 상기 바텀 푸시 플레이트의 볼록한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의 오목한 내표면의 중심을 향할 수 있다.
상기 탱크의 바닥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오목한 내표면의 중심에 위치하는 배출구에 구비되어 약액을 정량으로 계량하는 플로우 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과 상기 피스톤 조립체 사이에 압축 공기에 의한 압력을 설정하는 압력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 및 상기 피스톤 조립체의 바텀 푸시 플레이트는 약액과 반응성을 가지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조립체의 탑 푸시 플레이트는 파티클을 발생시키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 SUS316L, 수지계열,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는 플라즈마 표면 처리되어 내주면이 소수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탱크는 외면을 둘러싸서 배치되는 온도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용 배출 방법은, 뚜껑을 열고 탱크에 약액을 투입하는 제1단계, 상기 탱크에 상기 뚜껑을 닫고 약액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제2단계,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뚜껑을 열고 상기 탱크의 개구로 피스톤 조립체를 투입하는 제3단계, 상기 피스톤 조립체를 하강하면서 상기 피스톤 조립체의 벤트/진공홀을 통하여 약액과 상기 피스톤 조립체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는 제4단계, 및 상기 탱크에 상기 뚜껑을 닫고 압축 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탱크의 플로우 미터를 조작하여 약액을 배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뚜껑에 구비되는 에어 공급구에 진공라인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전에 상기 벤트/진공홀을 마개로 막은 후 상기 탱크에 상기 뚜껑을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단계는 약액 배출 후,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뚜껑을 열고, 상기 벤트/진공홀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 조립체를 부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용 배출 방법은 제6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단계는,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피스톤 조립체를 분리하고, 상기 탱크의 내주면을 크리닝 및 멸균하여 재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탱크의 바닥을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오목한 내표면으로 형성하고, 피스톤 조립체의 대향면을 바닥의 내표면과 면접촉되므로 정량의 약액을 배출하면서 탱크 내의 잔류 약액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탱크 내에서 피스톤 조립체(예, 탑 푸시 플레이트와 바텀 푸시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피스톤 조립체를 통하여 약액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피스톤 조립체를 하강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강 작동 중에 피스톤 조립체의 벤트/진공홀을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결합 상태에서, 피스톤 조립체를 하강하여 약액을 전량 공급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배출 방법에 따른 제약용 탱크 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는 제약용 약액(M)을 저장하는 탱크(10), 탱크(1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피스톤 조립체(20), 및 탱크(10)의 개구(11)를 덮는 뚜껑(30)을 포함한다.
피스톤 조립체(20)는 탱크(10)의 개구(11)로 투입되어 약액(M)에 접하며, 뚜껑(30)은 탱크(10)의 내부에 피스톤 조립체(20)를 투입한 후 개구(11)를 덮게 된다. 뚜껑(30)은 탱크(10)의 내부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피스톤 조립체(20)의 승강을 가능하게 한다.
약액(M) 배출시, 피스톤 조립체(20)는 하측으로 약액(M)에 접하고, 상측으로 압축 공기의 압력을 받아 하강하게 된다. 압축 공기에는 질소, 청정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가 사용될 수 있고, 누설시 대기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피스톤 조립체를 하강시키는 압축 공기는 기계적인 푸셔로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적 푸셔는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모터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탱크 내에서 피스톤 조립체(예, 탑 푸시 플레이트와 바텀 푸시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탱크(10)의 바닥(12)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오목한 내표면(121)을 형성하고, 피스톤 조립체(20)는 바닥(12)의 내표면(121)과 면접촉되는 대향면(23)을 가진다.
즉 하강시, 피스톤 조립체(20)의 대향면(23)이 탱크(10) 바닥(12)의 내표면(121)과 면접촉된다. 따라서 제약용 탱크 장치는 정량의 약액을 배출하면서 탱크(10) 바닥(12)에 남는 잔류 약액(M)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탱크(10)의 바닥(12)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내표면(121)을 형성하고, 피스톤 조립체(20)의 대향면(23)은 내표면(121)에 면접촉으로 결합되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외표면으로 형성된다.
피스톤 조립체(20)가 하강하여, 외표면인 대향면(23)이 바닥(12)의 내표면(121)에 완전히 결합될 때, 탱크(10)에 내장된 약액은 최대로 배출되고, 약액(M)의 잔여량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보면, 탱크(10)에서 바닥(12)의 내표면(121)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피스톤 조립체(20)에서 외표면인 대향면(23)은 깔때기 형상에 끼워지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피스톤 조립체(20)가 하강하여, 원추가 깔때기에 끼워져 서로 면접촉함으로써, 바닥(12)의 내표면(121)과 대향면(23) 사이에서 약액(M)의 잔여량이 최소화 된다.
뚜껑(30)(또는 탱크)은 뚜껑(30)과 피스톤 조립체(20) 사이에 압축 공기(예, 0.5~5bar)를 공급하도록 외부에 에어 공급구(31)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에어 공급구(31)에 연결되는 에어 노즐(32)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에서 에어 공급구(31) 및 에어 노즐(32)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는, 약액(M) 배출시, 탱크(10) 내에서 피스톤 조립체(20)의 상부 면적에 균일한 압력으로 작용하여, 피스톤 조립체(20)를 직경 방향에 대하여 균형 잡힌 상태로 하강시킨다. 즉 피스톤 조립체(20)의 뒤틀림이 방지된다.
이를 위한 일례로써, 에어 노즐(32)은 탱크(10) 직경 방향의 중심에 배치되어, 원주 방향에 대하여 등각 및 피스톤 조립체(20)을 향하여 등각으로 향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에어 노즐은 뚜껑의 다양한 위치 또는 피스톤 조립체의 승강을 방해하지 않는 탱크의 상부에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뚜껑(30)은 압축 공기에 의한 내부 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뚜껑(30)은 탱크(10)의 개구(11) 외측에 구비되는 록킹부재(35)에 의하여 고정된다. 록킹부재(35)는 복수로 구비되어 뚜껑(30)의 원주 방향에서 등각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록킹부재(35)는 탱크(10)의 외측에 힌지(36)로 상하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록킹부재(35)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누름부재(37), 및 노름부재(37)의 외측에서 록킹부재(35)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너트(38)를 포함한다. 뚜껑(30)에는 누름부재(37)에 대응하는 지지부(39)가 구비된다.
따라서 뚜껑(30)을 닫을 때, 뚜껑(30)을 탱크(10)의 개구(11)에 설치하고, 록킹부재(35)를 힌지(36)에서 선회하며, 누름부재(37)를 지지부(39) 상에 배치하고, 조임너트(38)를 록킹부재(35)에 나사 결합으로 조인다. 따라서 뚜껑(30)이 탱크(10)의 개구(11)에 고정된다.
뚜껑(30)을 열 때에는 닫을 때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누름부재(37)가 지지부(39)를 눌러주거나 누름을 해제하게 되므로 뚜껑(30)은 탱크(10)의 개구(11)를 밀폐 및 밀폐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밀폐 해제 및 밀폐 해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일례를 들면, 피스톤 조립체(20)는 승강 방향으로 상호 결합되어 뚜껑(30) 측에 배치되는 탑 푸시 플레이트(top push plate)(21), 및 바닥(12) 측에 배치되는 바텀 푸시 플레이트(bottom push plate)(22)를 포함한다.
탑 푸시 플레이트(top push plate)(21)는 탱크(10)의 내주면에 기밀 결합되어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받아 하강(약액(M) 배출시)한다. 바텀 푸시 플레이트(bottom push plate)(22)는 탑 푸시 플레이트(21)에 결합되고 외표면으로 대향면(23)을 형성한다.
일례로써, 탑 푸시 플레이트(21)를 관통하는 볼트(24)가 바텀 푸시 플레이트 (22)에 형성된 나사부(221)에 나사 결합되므로 바텀 푸시 플레이트(22)와 탑 푸시 플레이트(21)는 피스톤 조립체(20)를 형성한다.
탑 푸시 플레이트(21)는 외주에 제1오링(211)과 제2오링(212)을 구비한다. 제1오링(211)은 탑 푸시 플레이트(21) 외주의 하측에 구비되어, 탑 푸시 플레이트(21) 하강시, 탱크(10) 내주면의 약액(M)을 아래로 긁어 내린다. 즉 제1오링(211)은 약액(M)이 탑 푸시 플레이트(21) 위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오링(212)은 제1오링(211)보다 상측에서 탑 푸시 플레이트(21)의 외주에 구비되어, 탑 푸시 플레이트(21) 하강시, 탱크(10)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압축 공기를 실링한다. 또한, 제2오링(212)은 탑 푸시 플레이트(21)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탑 푸시 플레이트(21)는 피스톤 조립체(20)의 뒤틀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압축 공기에 의하여 탑 푸시 플레이트(21)가 탱크(10) 내에서 수평 상태로 하강할 때, 제2오링(212)은 압축 공기의 실링을 형성하여 탑 푸시 플레이트(21)의 하강을 가능하게 하고, 제1오링(211)은 탑 푸시 플레이트(21)가 하강하는 상측에 약액(M)이 잔류하지 않게 하며, 약액(M) 내의 기체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일례로써, 제1, 제2오링(211, 212)은 실리콘(silicon) 또는 약액과 반응이 없는 재질로 형성된다. 피스톤 조립체(20)가 하강할 때, 제1, 제2오링(211, 212)은 압축 공기의 누출 및 약액의 누출을 방지하여, 약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탱크(10)의 바닥(12)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내표면(121)을 형성한다. 바텀 푸시 플레이트(22)의 하강시, 바닥(12)의 내표면(121)에 바텀 푸시 플레이트(22)의 대향면(23)이 면접촉으로 결합된다. 바텀 푸시 플레이트(22)의 대향면(23)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외표면으로 형성된다.
도 3은 도 2의 피스톤 조립체를 통하여 약액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피스톤 조립체를 하강하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하강 작동 중에 피스톤 조립체의 벤트/진공홀을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바텀 푸시 플레이트(22)는 대향면(23)의 일부에 벤트/진공홀(222)을 구비하고, 벤트/진공홀(222)의 개폐를 단속하는 마개(223)를 더 구비한다. 마개(223)는 벤트/진공홀(222)을 폐쇄 또는 개방하여, 약액(M) 표면과 바텀 푸시 플레이트(22)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의 배출을 단속한다.
탱크(10)에 약액(M)을 주입하고, 피스톤 조립체(20)를 탱크(10)에 투입한 후, 마개(223)로 벤트/진공홀(222)을 개방하므로 약액(M)과 바텀 푸시 플레이트(22)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는 벤트/진공홀(222)로 배출된다. 탱크(10) 및 벤트/진공홀(222)에 진공을 작용시킬 경우, 약액(M)에 포함된 공기가 벤트/진공홀(222)로 더욱 배출될 수 있다.
일례로써, 벤트/진공홀(222)은 탱크(10)의 바닥(12)에서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오목한 내표면(121)의 중심을 향하도록 바텀 푸시 플레이트(22)에 구비된다. 즉 벤트/진공홀(222)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외표면으로 형성되는 대향면(23)의 최하단에 구비된다. 따라서 약액(M) 내의 공기 배출이 용이해진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벤트/진공홀은 바텀 푸시 플레이트의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약액과 바텀 푸시 플레이트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면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탱크(10)의 바닥(12)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오목한 내표면(121)의 중심에 위치하는 배출구(122)에 플로우 미터(123)를 구비한다. 따라서 약액(M)의 균일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플로우 미터(123)는 탱크(10)의 바닥(12)에서 배출되는 약액(M)을 설정된 정량으로 계량한다.
도 5는 도 2의 결합 상태에서, 피스톤 조립체를 하강하여 약액을 전량(全量) 공급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피스톤 조립체(20)가 최대로 하강하여, 탱크(10)의 바닥(12) 내표면(121)과 바텀 푸시 플레이트(22)의 대향면(23)이 면접촉된다. 따라서 내표면(121)과 대향면(23) 사이에 잔류하는 약액(M)의 잔류량이 최소화 된다.
일례를 들면, 탱크(10)에 바닥(12)을 형성하는 내표면(121)의 각도(θ)와 이에 대응하는 바텀 푸시 플레이트(22)에서 대향면(23)의 각도(θ)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92~102ㅀ 범위를 포함한다. 이때, 약액(M)의 잔류량이 감소된다. 또한 각도(θ)는 97ㅀ로 형성되며, 이 경우, 약액(M)의 잔류량이 최소화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뚜껑(30)은 압력 제어기(33)를 구비하며, 압력 제어기(33)는 뚜껑(30)과 피스톤 조립체(20) 사이에 압축 공기에 의한 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공급구(31)를 통하여 탱크(10) 내부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는 내부 압력을 압력 제어기(33)에 의하여 설정된 압력까지만 상승시키고 더 이상 상승되지 않게 한다.
한편, 탱크(10) 및 바텀 푸시 플레이트(22)는 약액(M)과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은 약액과 반응성을 가지지 않고 산화 반응되지 않는다.
탑 푸시 플레이트(21)는 승강 작동되는 부분이므로 스테인레스 스틸, SUS316L, 수지계열,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 SUS316L, 수지계열,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탱크(10)의 내주면과 마찰되면서도 파티클을 발생시키지 않아 약액(M)을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탱크(10)는 플라즈마 표면 처리되어 내주면이 소수성을 가진다. 소수성의 내주면은 약액(M)의 부착을 최소화 시킨다. 즉 약액(M)의 잔류량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탱크(10)는 외면을 둘러싸서 배치되는 온도제어부(13)를 더 포함한다. 온도제어부(13)는 탱크(10)의 외면을 가열 및 냉각 또는 설정된 온도로 제어하여, 탱크(10) 내의 약액(M)의 온도를 제어하여 약액(M)의 원활한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온도제어부(13)는 칠러 또는 자켓 타입으로 형성되어, 약액(M)의 온도에 설정된 온도 범위(예, 2~80℃)로 제어될 수 있고, 저온 밀폐의 경우 15~60℃로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배출 방법에 따른 제약용 탱크 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약액 배출 방법은 제1단계(ST1), 제2단계(ST2), 제3단계(ST3), 제4단계(ST4) 및 제5단계(ST5)를 포함한다.
제1단계(ST1)는 뚜껑(30)을 열고, 탱크(10)에 약액(M)을 투입한다. 제2단계(ST2)는 탱크(10)에 뚜껑(30)을 닫고, 탱크(10)에 투입된 약액(M) 내의 공기를 배출한다(1차 탈포 공정). 제2단계(ST2)는 록킹부재(35)를 조작하여 뚜껑(30)을 고정시키며, 뚜껑(30)에 구비되는 에어 공급구(31)에 진공라인(미도시)을 연결하여 진공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제3단계(ST3)는 탱크(10)로부터 뚜껑(30)을 열고, 탱크(10)의 개구(11)로 피스톤 조립체(20)를 투입한다. 이때, 벤트/진공홀(222)에 진공을 걸어줌으로써 피스톤 조립체(20)를 용이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피스톤 조립체(20)는 하측으로 투입된 약액(M)에 접하게 된다. 이때, 약액(M)의 일부가 벤트/진공홀(222)로 나오는 것이 확인되므로 피스톤 조립체(20)가 약액(M)을 배출할 수 있는 상태에 위치하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조립체(20)는 수동으로 탱크(10)에 투입되어 하강될 수 있다. 이때, 벤트/진공홀(222)로부터 마개(223)를 개방하므로 진공이 걸린 벤트/진공홀(222)을 통하여 약액(M) 표면과 피스톤 조립체(20)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제4단계(ST4)는 피스톤 조립체(20)를 더 하강하면서 피스톤 조립체(20)의 벤트/진공홀(222)을 통하여 약액(M) 표면과 피스톤 조립체(20) 사이의 공기를 배출한다(2차 탈포 공정). 이때, 피스톤 조립체(20)는 수동으로 하강된다.
제5단계(ST5)는 탱크(10)에 뚜껑(30)을 닫고, 압축 공기를 공급하면서 탱크(10)의 플로우 미터(123)를 조작하여 약액(M)을 설정된 정량으로 배출한다. 제5단계(ST5)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전에 뚜껑(30)이 열린 상태에서 벤트/진공홀(222)을 마개(223)로 막은 후, 탱크(10)에 뚜껑(30)을 닫는다.
플로우 미터(123) 조작시, 압력 제어기(33)의 압력도 설정한다. 즉 플로우 미터(123)의 배출량과 압력 제어기(33)의 설정 압력은 상호 연동되어, 약액(M)의 배출을 정량으로 설정하게 된다. 약액(M)의 배출량은 약액(M)의 점도에 따라 플로우 미터(123)와 압력 제어기(33)로 조작 및 설정된다.
제5단계(ST5)는 약액(M) 배출 후, 탱크(10)로부터 뚜껑(30)을 열고, 벤트/진공홀(222)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즉 내표면(121)과 대향면(23)에 압축 공기의 압력이 작용하여, 피스톤 조립체(20)를 탱크(10) 내에서 부상시킨다. 즉 약액(M) 공급 후, 탱크(10)로부터 피스톤 조립체(20)의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예의 약액 배출 방법은 제6단계(ST6)를 더 포함한다. 제6단계(ST6)는 탱크(10)로부터 피스톤 조립체(20)를 인출하여 분리하고, 탱크(10)의 내주면을 크리닝 및 멸균하여 재사용 가능하게 한다. 탱크(10) 내주면의 크리닝은 물 또는 액체로 진행되며, 멸균은 고온 스팀 멸균기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탱크 11: 개구
12: 바닥 13: 온도제어부
20: 피스톤 조립체 21: 탑 푸시 플레이트(top push plate)
23: 대향면 22: 바텀 푸시 플레이트(bottom push plate)
24: 볼트 30: 뚜껑
31: 에어 공급구 32: 에어 노즐
33: 압력 제어기 35: 록킹부재
36: 힌지 37: 누름부재
38: 조임너트 39: 지지부
121: 내표면 122: 배출구
123: 플로우 미터 211: 제1오링
212: 제2오링 221: 나사부
222: 벤트/진공홀 223: 마개
M: 약액

Claims (19)

  1. 제약용 약액을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개구로 투입되어 상기 약액에 접하여 상기 탱크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상기 탱크에 상기 피스톤 조립체를 투입한 후 상기 탱크의 개구를 덮는 뚜껑
    을 포함하며,
    상기 탱크의 바닥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오목한 내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조립체는 상기 바닥의 내표면과 면접촉되는 대향면을 가지며,
    상기 피스톤 조립체는
    상기 탱크의 내주면에 기밀 결합되어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받아 하강하는 탑 푸시 플레이트(top push plate), 및
    상기 탑 푸시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대향면을 형성하는 바텀 푸시 플레이트(bottom push plate)
    를 포함하는
    상기 바텀 푸시 플레이트는
    상기 대향면의 일부에 벤트/진공홀을 구비하여, 약액 표면과 상기 바텀 푸시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마개
    를 포함하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바닥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내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조립체의 대향면은
    상기 내표면에 면접촉으로 결합되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외표면을 형성하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또는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과 상기 피스톤 조립체 사이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외부의 에어 공급구에 연결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에어 노즐
    을 더 포함하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푸시 플레이트는
    외주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 내주면의 약액을 아래로 긁어 내리는 제1오링, 및
    상기 제1오링보다 상측에서 외주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압축 공기를 실링하는 제2오링
    을 포함하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바닥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내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바텀 푸시 플레이트는
    상기 내표면에 면접촉으로 결합되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외표면으로 대향면을 형성하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바닥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바텀 푸시 플레이트는 상기 바닥의 오목한 내표면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벤트/진공홀은
    상기 바텀 푸시 플레이트의 볼록한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의 오목한 내표면의 중심을 향하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바닥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오목한 내표면의 중심에 위치하는 배출구에 구비되어 약액을 정량으로 계량하는 플로우 미터
    를 더 포함하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과 상기 피스톤 조립체 사이에 압축 공기에 의한 압력을 설정하는 압력 제어기
    를 더 포함하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및 상기 피스톤 조립체의 바텀 푸시 플레이트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조립체의 탑 푸시 플레이트는
    스테인레스 스틸, SUS316L, 수지계열,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으로 형성되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플라즈마 표면 처리되어 내주면이 소수성을 가지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외면을 둘러싸서 배치되는 온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15. 뚜껑을 열고 탱크에 약액을 투입하는 제1단계;
    상기 탱크에 상기 뚜껑을 닫고 약액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제2단계;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뚜껑을 열고 상기 탱크의 개구로 피스톤 조립체를 투입하는 제3단계;
    상기 피스톤 조립체를 하강하면서 상기 피스톤 조립체의 벤트/진공홀을 통하여 약액 표면과 상기 피스톤 조립체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는 제4단계; 및
    상기 탱크에 상기 뚜껑을 닫고 압축 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탱크의 플로우 미터를 조작하여 약액을 배출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약액 배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뚜껑에 구비되는 에어 공급구에 진공라인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약액 배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전에 상기 벤트/진공홀을 마개로 막은 후 상기 탱크에 상기 뚜껑을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약액 배출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약액 배출 후,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뚜껑을 열고, 상기 벤트/진공홀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 조립체를 부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약액 배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피스톤 조립체를 분리하고,
    상기 탱크의 내주면을 크리닝 및 멸균하여 재사용 가능하게 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약액 배출 방법.
KR1020180066255A 2018-06-08 2018-06-08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및 약액 배출 방법 KR102068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255A KR102068740B1 (ko) 2018-06-08 2018-06-08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및 약액 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255A KR102068740B1 (ko) 2018-06-08 2018-06-08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및 약액 배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596A KR20190139596A (ko) 2019-12-18
KR102068740B1 true KR102068740B1 (ko) 2020-01-21

Family

ID=6905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255A KR102068740B1 (ko) 2018-06-08 2018-06-08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및 약액 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7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345B1 (ko) * 2021-06-29 2022-11-28 비오비시스템(주) 화학물질 공급용 디스펜서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학물질 디스펜싱 시스템
KR102489499B1 (ko) * 2022-04-12 2023-01-18 주식회사 코어템 배출 배관 내 잔여 약액을 배출하는 약액 가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3601A (ja) * 1997-05-26 1998-12-08 Ayumi Kogyo Kk 液体の定量吐出方法とその装置
KR980008251A (ko) * 1998-02-17 1998-04-30 송인금 약물 정량 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345B1 (ko) * 2021-06-29 2022-11-28 비오비시스템(주) 화학물질 공급용 디스펜서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학물질 디스펜싱 시스템
KR102489499B1 (ko) * 2022-04-12 2023-01-18 주식회사 코어템 배출 배관 내 잔여 약액을 배출하는 약액 가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596A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740B1 (ko) 제약용 약액 탱크 장치 및 약액 배출 방법
US5264185A (en) High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digestion vessel
US5204065A (en) High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digestion vessel
US4452030A (en) Contamination-free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spouted bags with a fluid
JP6830755B2 (ja) 炭酸入り充填物を容器に充填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100534891C (zh) 用于在装瓶设备中对容器进行无菌处理的机械
US4904450A (en)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digestion vessel assembly
KR101998161B1 (ko) 나비밸브, 다수 개의 나비밸브로 구성된 무균 파우더 수송장치 및 그 사용 방법
EP2006883A2 (de) Vorrichtung zur Dotierung, Beschichtung oder Oxidation von Halbleitermaterial bei niedrigem Druck
JP3949379B2 (ja) ディップチューブ弁アセンブリ
WO2018145711A2 (en) Tank cleaning nozzle, tank comprising it and method for cleaning a tank
KR20130140177A (ko) 코팅 조성물의 자동 전달을 위한 압력 캐니스터
US20030218014A1 (en) Closure mechanism for chemical reaction kettle
KR20200029895A (ko) 웨이퍼 공정용 리액터
US5882605A (en) Reactor for the productions of flowable viscous products
CN204434248U (zh) 用于将灌装产品计量注入待灌注容器的装置
JP2017087189A (ja) グラスライニング製開閉蓋及びそれを備えるグラスライニング製容器
JPH0380066A (ja) 高圧殺菌装置
GB2140396A (en) Back pressure nozzle cleaning apparatus
JPH09232266A (ja) 半導体ウェハの洗浄装置
KR20200079388A (ko) 흡입 기능을 갖는 유량 제어 밸브
CN211384946U (zh) 一种真空反应加料罐
US6267153B1 (en) Process for filling containers simultaneously with their sterilization
CN215022973U (zh) 一种新型检验科覆盖式杀菌装置
CN214598915U (zh) 一种助剂计量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