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557B1 -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검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검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557B1
KR102068557B1 KR1020160033219A KR20160033219A KR102068557B1 KR 102068557 B1 KR102068557 B1 KR 102068557B1 KR 1020160033219 A KR1020160033219 A KR 1020160033219A KR 20160033219 A KR20160033219 A KR 20160033219A KR 102068557 B1 KR102068557 B1 KR 102068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broadcast
signaling information
inform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296A (ko
Inventor
오혜주
김순철
배병준
임현정
임형수
허남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33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55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04H20/4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for FM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0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or from Quicktime to Real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측에 따르면,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수신상태를 검증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서비스 검증 장치는: RF, ASI, 이더넷, 로컬 미디어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한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시그널링 정보를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송 프로토콜 계층에 따라 분석하는 처리부, 및 상기 분석된 계층별 시그널링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검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E VALIDATING IN ATSC 3.0 BASED BROADCASTING SYSTEM}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수신상태를 검증하는 기술에 연관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프로토콜 계층별로 수신된 방송 데이터에 대해 각 수신 단계마다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는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된다.
차세대 방송 서비스는 IP 기반의 전송 방식을 기반으로 방송망과 통신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위해, 방송 컨텐츠는 기존의 MPEG-2 시스템의 스트림 형태와 다른, IP 전송 기반의 세그먼트 형태의 서비스 전송 구조를 갖는다. 이에 대응하여, 방송망 또한 IP 망으로 진화하면서 방송 통신 융합형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으며, 기존의 MPEG2-TS 기반 방송 시스템을 세그먼트 기반의 시스템으로 재구성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의 융합형 서비스를 시도할 수 있다.
다만, 기존 MPEG-2 시스템 기반의 방송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한 차세대 방송 시스템의 새로운 기술 규격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 도입 과정에서 새로운 장비 도입을 위한 검증 및 하이브리드 망을 통해 수신된 방송 스트림에 대한 검증 또한 요구된다.
일측에 따르면,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수신상태를 검증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서비스 검증 장치는: RF, ASI, 이더넷, 로컬 미디어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한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시그널링 정보를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송 프로토콜 계층에 따라 분석하는 처리부, 및 상기 분석된 계층별 시그널링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부는: RF 및 ASI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IP 데이터그램 및 데이터링크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이더넷 입력 또는 데이터링크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방송미디어 세그먼트 및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부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방송 시그널링 정보 및 미디어 세그먼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기초하여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서비스의 스케줄 정보 및 채널 정보를 관리하는 채널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링크 계층 이하 시그널링 정보 분석을 통해 전송 프레임 정보 및 스케줄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데이터링크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 분석을 통해 부트스트랩 정보 및 서비스 획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는: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스트림에 대한 미디어 표현 정보 및 재생 정보를 분석하여 프리젠테이션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방송망, 통신망 및 로컬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된 미디어 세그먼트를 메타데이터에 따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수신상태를 검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RF, ASI, 이더넷, 로컬 미디어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한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시그널링 정보를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송 프로토콜 계층에 따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계층별 시그널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RF 및 ASI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IP 데이터그램 및 데이터링크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이더넷 입력 또는 데이터링크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방송미디어 세그먼트 및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방송 시그널링 정보 및 미디어 세그먼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기초하여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서비스의 스케줄 정보 및 채널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링크 계층 이하 시그널링 정보 분석을 통해 전송 프레임 정보 및 스케줄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데이터링크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 분석을 통해 부트스트랩 정보 및 서비스 획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스트림에 대한 미디어 표현 정보 및 재생 정보를 분석하여 프리젠테이션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가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수신 과정에서 활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검증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3.0에서는 IP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의 전송(Delivery) 영역에서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전송/표현 계층(Delivery/Presentation Layer) 및 서비스 관리 계층(Service Management Layer)의 세 가지 기능 계층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전달한다.
먼저, 데이터 링크 계층은 입력 패킷에 대해 유연하고 확장성을 갖도록 모든 입력 패킷 유형들을 물리계층에서 처리하는 포맷으로 캡슐화 한다. ATSC에서는 3.0기반의 링크계층 프로토콜로 ALP(ATSC 3.0 Link-layer Protocol)을 정의하고, 링크 계층 시그널링 정보 제공 기능, IP 및 MPEG-2 TS 패킷의 효율적인 캡슐화 기능 및 패킷 압축 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계층의 IP, MPEG2-TS 등과 같은 입력 패킷들을 처리하고 특정 물리 계층으로 매핑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다양한 헤더 압축과 제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전송 효율을 높여준다.
ATSC 3.0에서는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송 프로토콜로서, 방송망 전송을 위해서는 UDP/IP 기반의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와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두 가지 방법에 대해 정의하고 있고, 통신망 전송을 위해서는 TCP/IP 기반의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방송 미디어의 표현을 위해 ROUTE에서는 ISOBMFF(ISO Base Media File Format) 형식의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세그먼트를 이용하고, MMTP에서는 MPU(Media Processing Unit)를 이용한다. ROUTE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와 같이 DASH로 표현된 미디어 스트리밍의 컨텐츠를 방송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설계 되었으며 다양한 타입의 미디어 오브젝트를 LCT 세션으로 구성하여 Source Flow로 전송할 수 있다. MMTP는 미디어의 처리 단위로 MPU 인캡슐레이션 형식을 정의하고, 시그널링 메시지 및 패킷 전달을 위한 형식 등을 규정한다. MPU 인캡슐레이션은 타임 미디어(Timed media) 또는 비-타임 미디어(non-timed media)를 포장하는 형식으로 'mpuf'라는 브랜드 이름을 갖는 ISOBMFF이다. 시그널링 메시지는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정보나 미디어 컨텐츠 전달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비스 관리 계층에서는 선형 TV나 앱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타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수신기에서의 방송 서비스 획득 및 기술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한다. 방송 서비스는 여러 컨텐츠 컴포넌트의 집합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컨텐츠 컴포넌트는 지상파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기로 전달된다. 서비스 관리 계층은 각 컨텐츠 컴포넌트 구성 정보를 포함하여 하이브리드 서비스 구성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각 컨텐츠 별로 전달되는 방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 할 수 있다. ATSC 3.0에서는 채널 스캔 및 부트스트랩 시그널링 정보를 위한 SLT(Service List Table)와 방송 서비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SLS(Service Layer Signaling)로 구분하여 정의한다.
이와 같은 기능 계층을 포함하는 차세대 방송 시스템을 도입함에 따라, 시스템을 구성하는 헤드엔드 장치 및 수신 장치의 개발과 함께 이러한 장치들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방송 서비스의 개발도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 규격에서는 실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구성에 대한 정의가 없으며, 수신 신호 검증 및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서도 그 구체적 방안으로 제시된 것이 없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100)는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수신상태를 검증하는 구성으로, 추출부(110), 처리부(120), 출력부(130), 채널 관리부(미도시) 및 미디어 재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채널 관리부(미도시) 및 미디어 재생부(미도시)는 선택적인(optional) 구성으로서,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채널 관리부 및 상기 미디어 재생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먼저, 추출부(110)는 RF, ASI, 이더넷, 로컬 미디어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한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부(110)는 RF 및 ASI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IP 데이터그램 및 데이터링크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추출부(110)는 이더넷 입력 또는 데이터링크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방송미디어 세그먼트 및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방송 시그널링 정보 및 미디어 세그먼트를 추출할 수도 있다.
처리부(120)는 상기 추출된 시그널링 정보를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송 프로토콜 계층에 따라 분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부(120)는 상기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링크 계층 이하 시그널링 정보 분석을 통해 전송 프레임 정보 및 스케줄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데이터링크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한다. 또한, 처리부(120)는 상기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 분석을 통해 부트스트랩 정보 및 서비스 획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처리부(120)는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스트림에 대한 미디어 표현 정보 및 재생 정보를 분석하여 프리젠테이션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기도 한다.
채널 관리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기초하여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서비스의 스케줄 정보 및 채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부(미도시)는 방송망, 통신망 및 로컬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된 미디어 세그먼트를 메타데이터에 따라 디코딩하여 재생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상기 분석된 계층별 시그널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100)는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 IP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통신망 또는 방송망으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방송 서비스를 분석하고 검증한다. 또한, 상기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100)는 프로토콜 계층 별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므로, 방송 수신단 뿐만 아니라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헤드엔드 장비 검증에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외 IP 기반의 다양한 방송 서비스 및 시스템 개발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는 방송 수신용 안테나를 통한 RF, ASI(Asynchronous Serial Interface), 이더넷, 또는 로컬 미디어 파일 형태의 입력 수단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수단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의 입력 신호 분석을 위한 포맷은 ATSC 3.0의 링크계층 분석을 위한 ALP 패킷, DVB-T2를 위한 T2-MI, 통신망 및 방송망 전송 신호 분석을 위한 IP 패킷, 로컬 미디어 파일 입력 분석을 위한 MP4 등의 신호가 이용될 수 있다.
채널 관리부(210)는 수신된 모든 방송 서비스 스케줄 정보 및 채널 정보를 관리하며, 사용자의 서비스 채널 선택에 따라 방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 프레임 분석부(220)는 RF를 통해 디모듈레이팅 된 데이터나 ASI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DVB 또는 ATSC 방송 프레임으로부터 IP 데이터그램 및 링크계층 시그널링 정보 추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시그널링 처리부(250) 및 방송망 수신 처리부(230)로 전달한다.
방송망 수신 처리부(230)는 이더넷 입력 또는 데이터 링크 계층 프레임 분석부(220)로부터 IP 데이터그램을 입력 받는데, 그 포맷은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송 프로토콜로서 MMT 또는 ROUTE 패킷의 형태일 수 있다. 방송망 수신 처리부(230)는 상기 입력받은 ROUTE 패킷 또는 MMT 패킷에 포함된 방송 미디어 세그먼트 및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를 분석할 수 있으며, 그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전송 세션 구분 및 전송 패킷 처리(depacketizing)한 후, 상기 미디어 세그먼트는 미디어 재생부(260)로 전달하고 필요한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는 수신 분석부(270)를 전달한다.
통신망 송수신 처리부(240)는 통신망을 통해 필요한 방송 시그널링 정보 및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데, 요청한 방송 서비스는 통신망 서비스 처리부에서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를 포함한 DASH 세그먼트 형태로 미디어 스트림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 받은 미디어 세그먼트 및 시그널링 정보는 미디어 재생부(260)로 전달되어, 수신 스트림 검증에 이용된다.
시그널링 처리부(250)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계층적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한다. 시그널링 처리부(250)가 데이터 링크 계층 IP 레벨 이하의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는 경우, 서비스 세션 성립 전에 수신하는 시그널링으로 전송 프레임 구성 정보 및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에서는 수신기가 서비스와 컴포넌트를 발견하고 획득할 수 있도록, 시그널링 처리부(250)가 부트스트랩 정보와 서비스 획득 정보를 처리하며, 그 결과는 수신 분석부(270)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프리젠테이션 계층 시그널링에서는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미디어 표현 정보 및 재생 정보를 해석하여 수신 분석부(270)를 통해 보여준다.
미디어 재생부(260)는 방송망, 통신망 또는 로컬 파일을 통해 입력된 미디어 세그먼트를 MPD를 포함한 메타데이터에 따라 디코딩하고,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미디어 세그먼트에 대한 재생 상태 및 메타데이터 정보는 수신 분석부(270)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로컬 파일 입력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뿐만 아니라 로컬 파일 재생 검증도 가능하다.
수신 분석부(270)는 앞서 채널 관리부(210)로부터 전달받은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 가이드 정보, 시그널링 처리부(250)로부터 전달받은 각 계층별 시그널링 분석 정보, 미디어 재생부(260)로부터 디코딩된 미디어를 입력받아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수신 분석부(270)는 방송 서비스의 수신 검증을 위해, 기본 GUI 외에 다중화된 채널 선택 및 서비스 선택이 가능한 UI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 분석 내용은 현재 프로세스 및 시스템 전체 CPU, RAM 사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계 정보로는 베이스밴드 프레임, 타임스탬프, 비디오 프레임 카운트, 큐 사용량, 에러카운트, 비트율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시그널링 정보로는 프로그램 정보, 물리 계층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 전송 계층의 시그널링 정보,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시그널링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가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수신 과정에서 활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300)는 방송 시스템 내에서 DASH 인코더, ROUTE/MMT 서버, 시그널링 서버 또는 게이트웨이 출력부에 위치하여 방송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고 있는지를 검증하거나, 또는 수신 말단에 배치되어 최종 수신 상태를 검증할 수 있다.
시그널링 정보 생성부(310)는 방송 프로그램 스케줄 정보 생성 및 하이브리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송 컨텐츠 컴포넌트 정보, 방송 서비스와 관련된 시그널링 데이터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한다.
통신망 서비스 처리부(320)는 하이브리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로서, 시그널링 정보 생성부(310)의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부호화부(340)로부터 인코딩된 데이터를 입력 받고, 수신기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를 통신망을 통해 제공한다.
방송 컨텐츠 서버(330)는 방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시그널링 정보 생성부(310)의 시그널링 정보에 따라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어야 하는 방송 컨텐츠를 미디어 부호화부(340)로 전달한다.
미디어 부호화부(340)는 방송 컨텐츠 서버(330)로부터 전달받은 방송 컨텐츠를 서비스에 적합한 형태로 부호화하고, 상기 부호화된 컨텐츠를 DASH 세그먼트 또는 MPU와 같은 방송 스트리밍에 적합한 파일 포맷으로 재구성하여 전송 처리부(350) 및 통신망 서비스 처리부(320)로 전달한다.
방송 서비스 전송 처리부(350)는 미디어 부호화부(340)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스트림의 전송 세션을 구성하고, 오브젝트 전송에 필요한 패킷 타이징을 수행한다.
방송 다중화부(360)는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 및 미디어 스트림을 이동방송 및 고정 방송 신호 규격에 따른 포맷으로 재구성하고, 다중화 구조에 대한 정보 및 송수신 시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여 방송 송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한다.
방송 송신부(370)는 다중화된 방송 스트림을 방송망을 통해 송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300)는 수신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분석 및 검증을 위해, RF, ASI, 이더넷, 로컬 파일 입력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300)는 미디어 부호화부(340), 방송 서비스 전송 처리부(350) 및 통신망으로부터 이더넷 입력을 통해 수신된 IP 기반 방송 스트림을 분석 및 검증할 수 있으며, 방송 다중화부(360)로부터 ASI 입력을 통해 수신한 링크계층 데이터의 분석과 RF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망 서비스에 대한 분석 및 검증 또한 제공 가능하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검증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는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수신상태를 검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410에서는, 상기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의 추출부가 RF, ASI, 이더넷, 로컬 미디어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한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410에서, 상기 추출부는 RF 및 ASI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IP 데이터그램 및 데이터링크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이더넷 입력 또는 데이터링크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방송미디어 세그먼트 및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방송 시그널링 정보 및 미디어 세그먼트를 추출할 수도 있다.
단계 420에서는, 상기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의 처리부가 단계 410에서 추출된 시그널링 정보를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송 프로토콜 계층에 따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링크 계층 이하 시그널링 정보 분석을 통해 전송 프레임 정보 및 스케줄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데이터링크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한다. 또한, 단계 420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 분석을 통해 부트스트랩 정보 및 서비스 획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처리부는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스트림에 대한 미디어 표현 정보 및 재생 정보를 분석하여, 프리젠테이션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기도 한다.
단계 430에서는, 상기 방송 서비스 검증 장치의 출력부가 단계 420에서 분석된 계층별 시그널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한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링크 계층, 서비스 관리 계층 및 전송/표현 계층을 포함하는 전송 프로토콜 계층 별로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전송 프로토콜 계층 별로 추출된 시그널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방송 스트림에 대응하는 방송 서비스의 수신 상태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처리부; 및
    상기 방송 서비스의 수신 상태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전송 프로토콜 계층 별로 획득된 검증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검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RF 및 ASI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IP 데이터그램 및 데이터링크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검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이더넷 입력 또는 데이터링크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방송미디어 세그먼트 및 서비스 관리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검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전송/표현 계층 시그널링 정보 및 미디어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서비스 검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기초하여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서비스의 스케줄 정보 및 채널 정보를 관리하는 채널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검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링크 계층 이하 시그널링 정보 분석을 통해 전송 프레임 정보 및 스케줄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데이터링크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는 서비스 검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서비스 관리 계층 시그널링 정보 분석을 통해 부트스트랩 정보 및 서비스 획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서비스 관리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는 서비스 검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방송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스트림에 대한 미디어 표현 정보 및 재생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표현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는 서비스 검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방송망, 통신망 및 로컬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된 미디어 세그먼트를 메타데이터에 따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검증 장치
  10.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한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전송 프로토콜 계층 별로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전송 프로토콜 계층 별로 추출된 시그널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방송 스트림에 대응하는 방송 서비스의 수신 상태를 검증하기 위한 검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서비스의 수신 상태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전송 프로토콜 계층 별로 획득된 검증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검증 방법.
KR1020160033219A 2016-03-21 2016-03-21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검증 장치 및 방법 KR102068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219A KR102068557B1 (ko) 2016-03-21 2016-03-21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검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219A KR102068557B1 (ko) 2016-03-21 2016-03-21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검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96A KR20170109296A (ko) 2017-09-29
KR102068557B1 true KR102068557B1 (ko) 2020-01-21

Family

ID=6003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219A KR102068557B1 (ko) 2016-03-21 2016-03-21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검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891A (ko) 2019-01-29 2020-08-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동주택 cctv 방송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589795B1 (ko) 2019-05-31 2023-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전송 처리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2822532B (zh) * 2021-01-15 2023-04-14 海信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广播协议码流文件的编辑、生成方法及显示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962B1 (ko) * 2006-01-10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Xht 프로토콜 분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259B1 (ko) * 2012-04-25 2019-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148180B1 (ko) * 2014-02-28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114854A (ko) * 2014-04-02 2015-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이브리드 방송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962B1 (ko) * 2006-01-10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Xht 프로토콜 분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96A (ko) 2017-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20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utilizing segment and packaging information
US93697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ing data by using MMT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2598237B1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11252478B2 (en) Distribution device, distribution method,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program,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KR102068557B1 (ko)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검증 장치 및 방법
KR102049039B1 (ko) Mmt 전송 패킷의 설정 방법 및 전송 방법
US88505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ransport stream splicing for programming information security
US10878076B2 (en)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Begen et al. Road to salvation: streaming client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working together
EP3311583B1 (en) Reception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02642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dia data in multimedia system
US10616618B2 (en)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device,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KR101976628B1 (ko) 스펙트럼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한 채널 스위칭 방법 및 채널 수신 방법과 상기 방법을 이용한 채널 스위칭 장치 및 채널 수신 장치
JP2015065670A (ja) 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方法
JP6679500B2 (ja) 視聴覚コンテンツストリームをmpeg−2プライベートセクションでカプセル化する方法、mpeg−2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で多重送信されるように視聴覚コンテンツをmpeg−2プライベートセクションでカプセル化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視聴覚コンテンツおよび/またはデータを配信する方法
KR100778311B1 (ko) 방송ㆍ통신 융합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수신 장치및 그 방법
Diniz et al. Development of MMT Analyzer for ATSC 3.0
KR102600762B1 (ko) Atsc 3.0 기반의 방송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과, 방송 콘텐츠 수신 장치 및 방법
CN110557662B (zh) 一种音视频数据的处理方法和装置
KR20180109316A (ko) 재전송 시스템의 입출력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49144A (ko) 미디어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mmt 장치 및 방법
KR20190068395A (ko) Mmtp기반 하이브리드 브로드캐스트 브로드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3301944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delivering over-the-top content in a constant bit rate television network
KR20220068636A (ko) 초저지연 o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JP2009111478A (ja) 変換装置、tsパケット変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