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395A - Mmtp기반 하이브리드 브로드캐스트 브로드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Mmtp기반 하이브리드 브로드캐스트 브로드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395A
KR20190068395A KR1020180008314A KR20180008314A KR20190068395A KR 20190068395 A KR20190068395 A KR 20190068395A KR 1020180008314 A KR1020180008314 A KR 1020180008314A KR 20180008314 A KR20180008314 A KR 20180008314A KR 20190068395 A KR20190068395 A KR 20190068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broadcast signal
broadband
receiving
mmt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235B1 (ko
Inventor
양진홍
전규영
손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쿼렌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쿼렌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쿼렌시스
Publication of KR20190068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MMTP기반 하이브리드 브로드캐스트 브로드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HBB(Hybrid Broadcast Broadband)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특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대상으로,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된 MMTP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캐스트로 제공된 방송 신호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MMTP 패킷을 대상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하여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MMTP기반 하이브리드 브로드캐스트 브로드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YBRID BROADCAST BROADBAND SERVICE BASED ON MMTP}
아래의 설명은 Hybrid Broadcast Broadband(HBB) 네트워크 환경에서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방송 환경이 고도화되고 다변화됨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 소스(contents source)를 사용자 단말은 실시간으로 제공받게 되었다. 스마트 폰, IP TV, 태블릿(tablet) 등의 사용자 단말은 유/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된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영상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게 되었다.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 1인 미디어 방송, 야구 생중계 등의 영상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 받게 되었다. 이러한 방송 콘텐츠 이외에 채팅(chatting) 등의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을 서버를 통해 주고 받으며,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media) 데이터는 MPEG Media Transport(MMT)방식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MMT(MPEG Media Transport)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 MPEG-2 TS 표준의 후속으로 표준화한 차세대 멀티미디어 전송 표준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IP 친화적이고, 디지털 방송뿐만 아니라 인터넷 비디오 전송에도 사용가능하고, 방송 채널과 인터넷을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송(Hybrid Broadband Broadcast)에 적합한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MMT 표준에서는 미디어 처리 단위(Media Processing Unit, MPU)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데이터 전달을 위해 MMTP(MMT Protocol) 패킷 형식을 규정한다. MMTP 패킷은 MMTP 패킷 헤더, MMTP 페이로드(payload) 헤더, MMTP 페이로드(payload)를 순차적으로 이어서 구성될 수 있다.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는 HTTP를 이용하는 웹 서버들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streaming)을 가능하게 하는 적응적 비트레이트 스트리밍 기법이다. MMT 콘텐츠 및 DASH 콘텐츠를 전달 및 수신하기 위한 표준들과 프로토콜들은 분리되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99096호는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를 프로세싱하는 장치,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를 프로세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신호는 시그널링 정보에 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방송 신호의 시그널링 정보를 위한 리퀘스트를 전송하고, 유니캐스트 방식, 멀티캐스트 방식 및 eMBMS(evolved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모바일 브로드밴드 또는 브로드밴드 채널을 통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브로드캐스트 브로드밴드(HBB) 네트워크 환경에서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브로드밴드(broadband)로 방송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HBB(Hybrid Broadcast Broadband)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특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대상으로,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된 MMTP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캐스트로 제공된 방송 신호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MMTP 패킷을 대상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하여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결정된 비디오 전송 단위에 해당하는 스트림(stream)을 웹 소켓(web socket)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MMTP 패킷을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형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손실된 데이터(loss data)인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실시간성 데이터(LIVE data)인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브로드밴드를 통한 전송이 요청된 상기 정보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전송된 방송 신호와 연관된 이어보기, 광고보기, 해당 방송 프로그램관련 요약 정보, 등장인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중 선택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송 신호를 인코딩(encoding)하여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을 상기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BB(Hybrid Broadcast Broadband)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의 제공을 요청받는 정보 수신부, 요청된 상기 방송 신호를 대상으로,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된 MMTP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브로드캐스트 전송 제어부, 및 상기 MMTP 패킷을 대상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하여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는,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결정된 비디오 전송 단위에 해당하는 스트림(stream)을 웹 소켓(web socket)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는, 상기 MMTP 패킷을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는,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손실된 데이터(loss data)인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는,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실시간성 데이터(LIVE data)인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송 신호를 인코딩(encoding)하여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을 생성하는 인코딩부, 및 생성된 상기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을 상기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하는 패킷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BB(Hybrid Broadcast Broadband)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대상으로,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된 MMTP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캐스트로 제공된 방송 신호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MMTP 패킷을 대상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이 수행된 스트림(stream)을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결정된 비디오 전송 단위에 해당하는 스트림(stream)을 HTTP기반의 웹 소켓(web socket)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캐스트로 제공된 방송 신호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로 상기 방송 신호와 함께 수신된 해당 방송관련 부가정보 중 브로드밴드로 제공받기 위해 선택된 정보의 제공을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으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로 상기 방송 신호와 함께 해당 방송의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방송 신호를 브로드밴드로 제공받기 위한 URL 정보, 상기 방송 신호와 연관된 부가 정보를 상기 브로드밴드로 제공받기 위한 URL 정보, 및 동기화를 위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밴드로 수신되는 스트림(stream)을 디패킷화(depacketization)하여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스트림을 대상으로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하여 복원된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BB(Hybrid Broadcast Broadband)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특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대상으로,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된 MMTP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수신하는 브로드캐스트 수신 제어부, 상기 브로드캐스트로 제공된 방송 신호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MMTP 패킷을 대상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이 수행된 스트림(stream)을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수신하는 브로드밴드 수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밴드 수신 제어부는,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결정된 비디오 전송 단위에 해당하는 스트림(stream)을 HTTP기반의 웹 소켓(web socket)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브로드캐스트 브로드밴드(HBB) 네트워크 환경에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을 이용하여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방송 신호를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및 시그널(signal) 오버헤드(overhead)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브로드캐스트와 동일한 MPU ID를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제공함에 따라, DASH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없이 framerate 수준의 동기화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별도 서비스 컨트롤을 위한 부가 기능이 제외되어 더욱 정교한 수준(예컨대, frame level 및 MMT Asset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HBB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 브로드밴드로 MMT 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 브로드밴드를 통해MMT 스트림을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웹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브로드밴드를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받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HBB(Hybrid Broadcast Broadband) 네트워크 환경에서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VoD(Video on Demand), 실시간 중계방송 등의 미디어(media)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MTP 패킷을 대상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및 웹 소켓(web socket)을 이용하여 VoD(Video On Demand) 등의 방송 신호를 브로드밴드로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브로드캐스트와 동일한 MMTP 스트림(stream)을 브로드밴드를 통해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서, "브로드캐스트(broadcast)"는 방송망을 나타내고, "브로드밴드(broadband) "는 인터넷 등의 유/무선망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MMT 스트림(stream)"은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 ES)을 MMTP(MMT Protocol)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한 스트림(stream)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은 서버인 배터리 절감 시스템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제공받는 전자 장치로서, 서버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IP TV, VR(Virtual Reality) 장치,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데스크탑 PC,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HBB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HBB 네트워크는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 및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인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은 서버에 플랫폼(platform)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으로 방송 신호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웹/모바일 웹 브라우저(browser)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HBB 네트워크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부분(101)과 브로드밴드를 통해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부분(102)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은 브로드캐스트를 위해 MMT Packetization, Modulation, Demodulation을 포함하고, 브로드밴드를 위해 HTTP server, segmentation module, websocket, network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은 브로드캐스트로 전송된 방송 신호의 처리를 위해 MMTP Depacketization, Media Decoder를 포함하고, 브로드밴드로 전송된 방송 신호의 처리를 위해 HTTP Client, MMT Client Player, ~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은 방송 채널 별로 해당 시간대의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방송 신호를 브로드캐스트로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ch 7의 오후 7시에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브로드캐스트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해당 방송 신호를 인코딩(encoding)하여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기본 스트림 및 비디오 기본 스트림이 생성될 수 있다. 그러면, MMT Packetization은 기본 스트림을 대상으로 MMTP(MMT Protocol)에 따라 패킷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패킷화를 통해 구성된 MMTP 패킷은 변조(modulation) 및 복조(demodulation)되어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은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인터넷 등을 통해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은 실시간 스포츠 중계 방송 등의 라이브 콘텐츠(Live Contents)를 DASH 방식에 기초하여 브로드밴드를 통해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라이브 콘텐츠와 같이 저지연 전송이 요구되는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는 브로드캐스트와의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DASH 방식에 따라 디코딩이 가능한 최소 단위인 MPU(Media Processing Unit) 단위로 웹 소켓(web socket)에서 즉시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라이브 콘텐츠 이외의 VoD(Video on Demand) 등의 콘텐츠의 경우,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은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하여 일정 크기(즉, 비디오 전송 단위)의 청크 형태(chunk) 형태로 한 번에 MMT 스트림을 브로드밴드를 통해 방송 수신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MMTP 패킷을 대상으로 상기 일정 크기(즉, 비디오 전송 단위)로 분할하는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크기는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를 나타낼 수 있다. MTU 크기는 패킷 당 최대 전송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컨대, 비디오 스트림이 MTU로 나누어지는(즉, 분할되는 시점)은 10 내지 20ms 수준에 해당할 수 있다
이처럼,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인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에서 요청한 방송 신호의 속성을 확인하고, 속성이 라이브(LIVE)인지, 아닌지(예컨대, VoD 등) 여부에 따라 MMTP 패킷에 해당하는 스트림(즉, MMT 스트림)을 그대로 브로드밴드를 통해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브로드캐스트와 동일한 형태(form)의 MMT 스트림(stream)을 청크(chunk) 형태로 한 번에 브로드밴드를 통해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은 수신된 MMT 스트림을 디패킷화(depacketization)하여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 ES)을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복원된 기본 스트림(ES)을 일정 크기(즉, 비디오 전송 단위)로 디코더 리드 버퍼(decoder read buffer)에 임시 저장해두었다가 한 번에 디코딩을 수행하여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에서 전송한 방송 신호를 복원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처럼,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은 브로드캐스트로 전송된 방송 신호 및 브로드밴드를 통해 수신된 비실시간성의 방송 신호는 웹 소켓(websocket)을 이용하여 한 번에 디코딩을 수행하고, 실시간성의 방송 신호(즉, LIVE 콘텐츠)는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에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이 수행되지 않음에 따라, 수신하면 바로 디코딩을 수행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은 브로드밴드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가 실시간성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방송 신호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방송 신호 수신 시 함께 수신되는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방송이 LIVE이면 DASH 방식으로 수신되는 스트림을 바로 디코딩하여 재생하고, 비실시간성의 콘텐츠(예컨대, VoD콘텐츠)이면, 브로드밴드로 수신되는 MMT 스트림을 버퍼에 임시 저장해두었다가 한 번에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 브로드밴드로 MMT 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300)은 인코딩부(310), 패킷화부(320), 방송 정보 수신부(330), 브로드캐스트 전송 제어부(340) 및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각 단계들(210 내지 250 단계)은 도 3의 구성 요소인 인코딩부(310), 패킷화부(320), 브로드캐스트 전송 제어부(330), 정보 수신부(340) 및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210 단계에서, 인코딩부(310)는 특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인코딩(encoding)하여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 ES)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스트림(ES)은 하나의 일반적인 방송 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나타낼 수 있다.
220 단계에서, 패킷화부(320)는 인코딩을 통해 생성된 기본 스트림(ES)을 MMTP(즉, MMT 규격)에 맞춰 패킷화(Packetization)함으로써 MMTP 패킷을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MMTP 패킷을 사용자 단말인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에서 디코딩 가능한 최소 단위가 MPU(media processing unit)이며, 멀티플렉서(multiplexer)에서 개별 MPU 마다 ID가 부여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특정 채널과 관련하여 구성된 MMTP 패킷에 속하는 MPU는 MPU ID에 기초하여 어셋(Asset)에 매칭될 수 있다. 즉, MPU ID와 어셋(Asset) ID가 매칭하여 저장 및 유지됨으로써, 방송 채널 하나가 어셋(Asset)으로 매칭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채널이 Asset(어셋)에 매칭되어 할당될 수도 있다. 예컨대, 채널 7번, 9번은 KBS1로서, 2개의 채널 별로 MPU가 생성되고, 생성된 2개의 MPU는 KBS1을 나타내는 하나의 Asset에 할당될 수도 있다. 이외에, 채널 7에 해당하는 MPU와 채널 9에 해당하는 MPU는 서로 다른 각각의 Asset에 할당될 수도 있다.
230 단계에서, 브로드캐스트 전송 제어부(330)는 MMTP 패킷에 해당하는 스트림(stream)을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인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브로드캐스트 전송 제어부(330)는 TCP/UDP 규격에 맞게 MMTP 패킷에 해당하는 스트림(stream)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전송 제어부(330)는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에 기초하여 해당 방송 시간에 지정된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방송신호 관련 MMTP 패킷에 해당하는 스트림(즉, MMT 스트림)을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면서, 해당 방송 신호관련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를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시그널링 정보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관련 부가 정보, 해당 방송 신호를 브로드밴드로 제공받기 위한 URL 정보, 부가 정보에 속하는 정보를 브로드밴드로 제공받기 위한 URL 정보, 동기화를 위한 시간 정보, 속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240 단계에서, 정보 수신부(340)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전송한 방송 신호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을 수 있다.
예컨대, 부가 정보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관련 이어 보기, 광고 보기, 방송 프로그램관련 요약 정보(즉, 줄거리, 지난 내용 등), 등장인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어 보기에 해당하는 정보는 브로드캐스트로 전송된 방송 신호를 단말에서 수신한 MMT 스트림에 해당하는 MPU 다음 MPU부터 브로드밴드를 통해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어 보기를 위한 부가 정보가 단말에서 선택됨에 따라, 정보 수신부(340)는 사용자 단말인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부터 브로드밴드를 통해 선택된 URL 정보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의 제공을 요청받을 수 있다. 즉, 브로드밴드를 통해 단말에서 수신한 MMT 스트림에 해당하는 MPU 다음 MPU부터 제공해줄 것을 요청받을 수 있다. 이외에, 부가 정보는 광고 보기에 해당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광고 보기에 해당하는 정보는 브로드캐스트로 전송된 방송 신호와 관련하여 주인공이 착용한 가방, 신발, 의류 등의 구매를 제공하는 판매자의 웹사이트로의 접속을 위한 URL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250 단계에서,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브로드캐스트 전송 제어부(330)에서 전송한 방송 신호관련 MMTP 패킷을 대상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하여 브로드밴드(broadband)를 통해 사용자 단말인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MMT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는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에서 요청한 방송 신호의 속성을 확인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의 속성이 VoD 등의 비실시간성 데이터에 해당하면,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전송된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MMTP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전송 제어부(33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는 MMTP 패킷을 미리 지정된 일정 크기(예컨대, 비디오 전송 단위)로 구분하는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하여 다시 한번 moduliz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은 MMT 스트림을 상기 일정 크기(예컨대, 비디오 전송 단위)로 잘라서(즉, 분할하여) 한 번에 전송 가능한 청크(chunk)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브로드캐스트로 전송되는 MMTP 패킷을 웹 소켓을 이용하여HTTP 기반으로 전송하기 위해 다시 한번 modulization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의 MPU가 하나의 청크 형태로 구성되도록 MMTP 패킷이 세그멘테이션된 경우,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는 브로드캐스트 전송 제어부(330)로부터 전달받은 MMTP 패킷 및 단말인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부터 요청 시 제공받은 MPU ID에 기초하여 이어 보기로서 제공될 MPU ID에 해당하는 MPU 부터 일정 크기(예컨대, 10개의 MPU)에 해당하는 MPU를 웹 소켓(websocket)을 이용하여 청크(chunk)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는 청크 형태의 MMT 스트림을 브로드밴드를 통해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는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하여 미리 비디오 전송 단위인 일정 크기(예컨대, MTU 크기)로 분할된 MMTP 패킷을 웹 소켓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이외에, 웹 소켓 직전에 위치하는 전송 소켓 버퍼에 MMTP 패킷을 저장해두었다가 웹 소켓을 통해 전송 시 MMTP 패킷을 상기 일정 크기(예컨대, MTU 크기)로 분할하여 청크 형태로 브로드밴드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에서 요청한 방송 신호의 속성이 실시간성 데이터(즉, LIVE 콘텐츠)로 확인되면,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는 MMTP 패킷을 대상으로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하지 않고 브로드밴드를 통해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는 MMTP 패킷을 대상으로 HTTP 기반의 웹 소켓(websocket)을 이용하여 일정 크기의 청크(chunk) 형태로 구성하지 않고, 웹 소켓(websocket)에서 바로 MPU 단위로 브로드밴드를 통해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는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MMTP 패킷을 일정 크기로 구분하고, HTTP 기반의 웹 소켓을 이용하여 일정 크기에 해당하는 청크(chunk) 형태로 MMT 스트림을 전송함으로써, SFN(Single Frequency Network) 등의 RF기반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TV로 전송되는 MMTP 패킷을 HTTP 기반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통해 단말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라이브(LIVE) 콘텐츠 이외에 손실된 데이터의 재전송이 요청된 경우에도,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는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하지 않고, 손실된 데이터가 속하는 MPU를 브로드밴드를 통해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수신부(340)는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부터 손실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받을 때 손실된 데이터가 속하는 MPU에 해당하는 MPU ID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는 MPU ID에 해당하는 MMT 스트림을 브로드밴드를 통해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요청된 데이터의 속성이 실시간성(LIVE)인지 비실시간성인지 이외에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손실된 데이터(loss data)인지 여부에 따라,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350)는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선택적으로(즉, 적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 브로드밴드를 통해MMT 스트림을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500)은 브로드캐스트 수신 제어부(510), 정보 요청부(520), 브로드밴드 수신 제어부(530), 디패킷화부(540), 디코딩부(5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의 각 단계들(410 내지 440 단계)은 브로드캐스트 수신 제어부(510), 정보 요청부(520), 브로드밴드 수신 제어부(530), 디패킷화부(540), 디코딩부(5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410 단계에서, 브로드캐스트 수신 제어부(510)는 특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대상으로, MMTP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된 MMTP 패킷을 브로드캐스트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브로드캐스트 수신 제어부(510)는 TCP/UDP를 기반으로 MMTP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수신 제어부(510)는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에 특정 채널(예컨대, ch 7)에 지정된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방송 신호는 MMPT 패킷에 해당하는 MMT 스트림으로서 MMPT 패킷에 속하는 MPU 마다 MPU ID에 기초하여 구분될 수 있다.
420 단계에서, 정보 요청부(520)는 브로드캐스트로 제공된 방송 신호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서버인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 300)으로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요청부(520)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방송 신호 수신 시 함께 수신된 시그널링(signaling) 정보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기반으로 URL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시그널링 정보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관련 부가 정보, 해당 방송 신호를 브로드밴드로 제공받기 위한 URL 정보, 부가 정보에 속하는 정보를 브로드밴드로 제공받기 위한 URL 정보, 동기화를 위한 시간 정보, 속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부가 정보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관련 이어 보기, 광고 보기, 방송 프로그램관련 요약 정보(즉, 줄거리, 지난 내용 등), 등장인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부가 정보 보기 기능이 선택됨에 따라, 해당 방송 신호와 관련된 이어 보기, 광고 보기, 상기 요약 정보, 등장인물 정보 등의 선택을 위한 화면이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50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특정 부가 정보가 선택되면(예컨대, 이어 보기에 해당하는 URL 정보가 선택되면), 정보 요청부(420)는 선택된 URL 정보에 해당하는 주소로의 접속을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 3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이어 보기에 해당하는 MPU ID를 제공할 수도 있고, 이어 보기 요청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면,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 300)은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400)으로 전송된 마지막 MPU ID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다음 ID에 해당하는 MPU를 포함하여 일정 크기의 MMT 스트림을 브로드밴드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고, 수신한 MPU ID를 포함하여 일정 크기의 MMT 스트림을 브로드밴드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이어 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430 단계에서, 브로드밴드 수신 제어부(530)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요청한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MMTP 패킷을 대상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이 수행된 MMT 스트림을 브로드밴드(broadband)를 통해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20, 3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브로드밴드 수신 제어부(530)는 요청한 방송 신호가 실시간성 데이터인지 비실시간성 데이터인지 여부에 따라 세그멘테이션이 수행되거나, 세그멘테이션이 수행되지 않은 MMT 스트림을 브로드밴드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431 단계에서, 요청한 방송 신호(예컨대, 이어 보기를 요청한 현재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가 VoD 등의 비실시간성 데이터인 경우, 일정 크기(즉, 비디오 전송 단위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이 수행되어 청크(chunk) 형태로 웹 소켓(websocket)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20, 300)에서 브로드밴드를 통해 한 번에 전송된 MMT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432 단계에서, 상기 요청한 방송 신호가 실시간성 데이터이거나, 손실된 데이터(loss data)인 경우,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이 미수행된 MMT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패킷화 및 멀티플렉서(multiplexer)에서 구성된 MPU 단위의 MMT 스트림을 브로드밴드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즉, MTU 크기가 아닌 디코딩이 가능한 최소 단위이 MPU에 해당하는 MMT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433 단계에서, 세그멘테이션이 수행된 MMT 스트림을 수신하는 경우, 브로드밴드 수신 제어부(530)는 HTTP 기반의 웹 소켓(websocket)을 이용하여 청크(chunk) 형태의 일정 크기(즉, 비디오 전송 단위)에 해당하는 MMT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440 단계에서, 디패킷화부(depacketization)는 수신된 MMT 스트림을 대상으로 디패킷화(depacketization)를 수행하여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 ES)을 복원할 수 있다.
450 단계에서, 디코딩부(decoder)는 복원된 기본 스트림(ES)을 대상으로 디코딩을 수행하여 원하는 신호(즉,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에서 전송한 이어 보기에 해당하는 부분의 방송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그러면, 복원된 방송 신호가 재생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처럼, 실시간성 데이터나 손실 데이터는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없이 브로드밴드를 통해 수신하고, VoD 등의 비실시간성 데이터는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프레임 레벨(frame level), 즉 MMT 어셋(asset) 수준으로 캡션 정보 조절, 재생 배속 조절 등을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비디오에 다중 자막, 언어 등의 기능 지원 시 브로드캐스트로 수신된 방송 신호가 UTC 기준으로 재생 시점보다 느린 경우, 재생 배속 조절을 통해 정교하게 동기화가 맞춰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웹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브로드밴드를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받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6은 도 1의 MMT Client Player에서 동작하는 웹 브라우저의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js 기반의 웹 브라우저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에서, TV set(610)은 IP TV 등의 사용자 단말에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고, 웹 브라우저(web browser, 620)는 TV set(610)에 연결된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IP TV 등의 사용자 단말(즉,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을 나타낼 있다. 예를 들어, TV set(610)은 RF 기반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포함된 모듈로서, PLP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시그널링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방송 채널에 대한 브로드밴드 서비스 접속 정보(즉, URL 정보)를 USBD/USD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MMT streaming server(601)는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110, 300)에 해당할 수 있다.
TV set(610)은 특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부가 정보(예컨대, 이어 보기, 광고 보기, 방송프로그램 관련 정보 보기 등)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부가 정보 중 이어 보기, 광고 보기 등 특정 정보가 선택되면, 웹 브라우저(620)는 선택된 부가 정보에 해당하는 스트림의 제공을 MMT streaming server(601)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620)는 선택된 부가 정보(예컨대, 이어 보기)에 해당하는 URL 정보를 기반으로 이어 보기에 해당하는 MPU ID와 함께 MPU ID에 해당하는 MMT 스트림의 제공을 브로드밴드를 통해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웹 브라우저(620)는 브로드밴드를 통해 상기 이어 보기와 관련된 MMT 스트림을 MMT streaming server(601)로 부터 제공받기 위해, MMT streaming server(601)와 웹 브라우저(620) 간의 스트림 셋업(stream setup)에 필요한 정보를 MMT streaming server(601)로 제공할 수 있다.
브로드밴드를 통해 이어 보기 등의 선택된 부가 정보에 해당하는 MMT 스트림의 전송이 요청되면, MMT streaming server(601)는 웹 소켓(websocket)을 생성하고,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분할된 일정 크기(즉, 비디오 전송 단위)에 해당하는 MMT 스트림을 웹 소켓(websocket)을 제어하여 일정 크기(즉, 비디오 전송 단위)로 맞추어 한 번에 브로드밴드를 통해 방송 신호 수신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 측의 웹 소켓(websocket)은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을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620)의 웹 소켓(websocket)으로 일정 크기(즉, 비디오 전송 단위)의 MMT 스트림을 한 번에 푸시(push)할 수 있다.
그러면, MMT 코어(즉, 도 5의 디패킷화부, 540)는 웹 브라우저(620)의 웹 소켓(websocket)을 통해 수신된 스트림을 대상으로 디패킷화(depacketization)를 수행하여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을 복원할 수 있다. 그러면, 복원된 기본 스트림은 디코딩(decoding)되어 재생될 수 있다. 이때, Player Framework는 디코딩을 통해 영상을 재생하기 전에 사용자(즉, 플레이어)를 위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선택을 기반으로, 해당 영상의 재생 배속 조절, 캡션 정보 조절(즉, 자막 선택), 다중 자막 지원 등의 사용자(즉, 플레이어)를 위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선택된 부가 기능과 디코딩된 영상 간의 동기를 맞춘 후 해당 영상이 화면을 통해 재생될 수 있다. 예컨대, 2배속 재생이 선택된 겨우, 디코딩된 영상을 기반으로 2배속 조절된 영상과 자막 간의 동기가 맞춰진 후 화면을 통해 해당 영상 및 자막이 재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HBB(Hybrid Broadcast Broadband)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특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대상으로,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된 MMTP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캐스트로 제공된 방송 신호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MMTP 패킷을 대상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하여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결정된 비디오 전송 단위에 해당하는 스트림(stream)을 웹 소켓(web socket)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MMTP 패킷을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형태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손실된 데이터(loss data)인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실시간성 데이터(LIVE data)인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브로드밴드를 통한 전송이 요청된 상기 정보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전송된 방송 신호와 연관된 이어보기, 광고보기, 해당 방송 프로그램관련 요약 정보, 등장인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중 선택된 정보를 나타내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인코딩(encoding)하여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을 상기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방법.
  8. HBB(Hybrid Broadcast Broadband)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의 제공을 요청받는 정보 수신부;
    요청된 상기 방송 신호를 대상으로,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된 MMTP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브로드캐스트 전송 제어부; 및
    상기 MMTP 패킷을 대상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하여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
    를 포함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는,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결정된 비디오 전송 단위에 해당하는 스트림(stream)을 웹 소켓(web socket)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는,
    상기 MMTP 패킷을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형태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는,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손실된 데이터(loss data)인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밴드 전송 제어부는,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실시간성 데이터(LIVE data)인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인코딩(encoding)하여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을 생성하는 인코딩부; 및
    생성된 상기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을 상기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하는 패킷화부
    를 더 포함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
  14. HBB(Hybrid Broadcast Broadband)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대상으로,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된 MMTP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캐스트로 제공된 방송 신호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MMTP 패킷을 대상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이 수행된 스트림(stream)을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수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결정된 비디오 전송 단위에 해당하는 스트림(stream)을 HTTP기반의 웹 소켓(web socket)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수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로 제공된 방송 신호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로 상기 방송 신호와 함께 수신된 해당 방송관련 부가정보 중 브로드밴드로 제공받기 위해 선택된 정보의 제공을 방송 신호 제공 시스템으로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수신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로 상기 방송 신호와 함께 해당 방송의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방송 신호를 브로드밴드로 제공받기 위한 URL 정보, 상기 방송 신호와 연관된 부가 정보를 상기 브로드밴드로 제공받기 위한 URL 정보, 및 동기화를 위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수신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밴드로 수신되는 스트림(stream)을 디패킷화(depacketization)하여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스트림을 대상으로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하여 복원된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수신 방법.
  19. HBB(Hybrid Broadcast Broadband)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특정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대상으로,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기반으로 패킷화(packetization)된 MMTP 패킷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수신하는 브로드캐스트 수신 제어부;
    상기 브로드캐스트로 제공된 방송 신호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MMTP 패킷을 대상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이 수행된 스트림(stream)을 브로드밴드(broadband)로 수신하는 브로드밴드 수신 제어부
    를 포함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밴드 수신 제어부는,
    상기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결정된 비디오 전송 단위에 해당하는 스트림(stream)을 HTTP기반의 웹 소켓(web socket)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것
    를 포함하는 HBB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1020180008314A 2017-12-08 2018-01-23 Mmtp기반 하이브리드 브로드캐스트 브로드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999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471 2017-12-08
KR20170168471 2017-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395A true KR20190068395A (ko) 2019-06-18
KR101999235B1 KR101999235B1 (ko) 2019-07-11

Family

ID=6710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314A KR101999235B1 (ko) 2017-12-08 2018-01-23 Mmtp기반 하이브리드 브로드캐스트 브로드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2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560A (ko) * 2013-11-13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로 연결된 방송 수신 장치와 다른 디바이스 간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106647A (ko) * 2015-01-29 201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560A (ko) * 2013-11-13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로 연결된 방송 수신 장치와 다른 디바이스 간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106647A (ko) * 2015-01-29 201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235B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5289B2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CN106507186B (zh) 一种媒体信息的切换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US20200221161A1 (en) Reception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0499094B2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KR101838084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RU2646391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ставки контента, способ поставки контента, программа,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поставки контента
JPWO2018016295A1 (ja) 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KR20220165693A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08494792A (zh) 一种flash播放器播放hls视频流的转换系统及其工作方法
KR20150048735A (ko) 렌더링 시간 제어
WO2016181901A1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WO2015146647A1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66246B1 (ko) 메타데이터 우선제공 증강방송 장치 및 방법
KR101999235B1 (ko) Mmtp기반 하이브리드 브로드캐스트 브로드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50172734A1 (en) Multi-angle view processing apparatus
KR102533674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391586B1 (ko) 시청각 콘텐츠 스트림을 mpeg2 사설 섹션내에 캡슐화하는 방법, mpeg2 전송 스트림 내에 멀티플렉스되어질 mpeg2 사설 섹션내에 시청각 콘텐츠를 캡슐화하는 장치, 디지털 tv용의 양방향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장치, 시청각 콘텐츠 또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방법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JP7288251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エンジン、これを実装した情報通信端末装置、及び字幕表示制御方法並びに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10883B1 (ko)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의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Park et al. A Study on Video Stream Synchronization from Multi-Source to Multi-Screen
KR20160129631A (ko) 방송 시스템에서 이벤트 정보 전송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