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355B1 -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355B1
KR102068355B1 KR1020180055777A KR20180055777A KR102068355B1 KR 102068355 B1 KR102068355 B1 KR 102068355B1 KR 1020180055777 A KR1020180055777 A KR 1020180055777A KR 20180055777 A KR20180055777 A KR 20180055777A KR 102068355 B1 KR102068355 B1 KR 102068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hood
bracket
r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202A (ko
Inventor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주)오토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링크 filed Critical (주)오토링크
Priority to KR102018005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35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는, 집진기 본체(10)에 부착된 베이스판(110)과, 베이스판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 플랜지(120)와, 폴 삽입부(132)를 중심으로 브라켓 윙(134)이 일체로서 구비되며, 회전 플랜지(12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폴 브라켓 지지대(13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00);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210a)가 마찰부재(220)와 관통공(132a)을 경유하여 트러스트 볼 베어링(230)과 너트(210b)를 통해 결합되는 제 1폴(210)을 포함하는 제 1폴(pole)부(200); 일단부에서 체결볼트(320)가 프로텍트 링(330)과, 링부재(340), 마찰부재(350), 트러스트 볼 베어링(360)을 각각 관통하여 풀림방지용 너트(370)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 1폴(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2폴(310)을 포함하는 제 2폴부(300); 일단부에서 체결볼트(420)가 소마찰부재(430), 한 쌍의 링부재(440), 대마찰부재(450), 연결용 폴(480), 트러스트 볼 베어링(460)을 각각 관통하여 풀림방지용 너트(470)를 통해 연결된 제 3폴(410)을 포함하는 제 3폴부(400); 후드(510)와, 후드의 외주면 양측에서 연결된 보조 후드(514)와, 후드(5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좌우 회동되는 개폐용 댐퍼(570)와, 일단부가 체결볼트(530)와 마찰부재(534), 너트(532)를 통해 제 3폴(4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후드 브라켓(512)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520)을 포함하는 후드(hood)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Arm assembly of mist collector with moving type}
본 발명은 아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식 집진기(集塵機)의 아암 (arm)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각종 공정에서 발생되어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 입자가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filtering)에 의해 미세 입자를 포집함으로써, 미세 입자가 제거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작업자의 건강을 위해서 산업 현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장치이다.
한편, 이동식 집진기는 믹서, 분체투입, 성형연마, 분쇄, 절단, 석재가공, 금속가공, 포대, 드릴, 재단, 샌딩, 파쇄, 아크릴 가공의 작업등 비교적 입자가 큰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집진기는 작업공간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유용하게 사용되며, 건식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캐스터(caster)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며 사용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 이동식 집진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집진기 본체(10)의 상면 일측에 중공의 베이스판(12)이 고정 설치되고, 이 베이스판(12)의 외주면에 원통형 연결부재(14)가 결합되며, 이 연결부재의 중앙부에 아암 조립체(20)가 구비되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아암 조립체(20)는 연결부재(14)의 중앙부에 원형의 받침부재(22)가 입설되고, 이 받침부재에 사각 형태의 수직부재(24)가 복수의 브라켓(26)을 통해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되며, 수직부재(24)의 선단에는 후드(28)가 상하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주름식 자바라(30)가 아암 조립체(20)를 감싸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동식 집진기는 전술한 캐스터를 통해 건식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로 옮긴 후, 후드(28)에 부착된 손잡이(28a)를 잡고 당김에 따라 수직부재(24)가 브라켓(26)을 관통하는 힌지축을 통해 상하 회동되며, 후드(28)가 원하는 위치로 회동되면, 미세 입자가 제거된 깨끗한 공기가 팬(fan)을 통해 후드(28)를 경유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한 종래의 이동식 집진기는 수직부재(24)의 회동각도가 일방향으로만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수직부재(24)의 회동각도가 제한(약 90°)되고, 집진기 측면에 아암 조립체(20)를 고정하기 어려우므로, 필요에 따라 집진기 측면에 아암 조립체(2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보조 바디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28) 내에 구비된 개폐용 댐퍼(29)가 한가지 종류만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필요에 의해서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후드(28)의 반복 사용시, 수직부재(24)와 후드(28)를 연결하는 풀림방지용 너트(40)가 풀려서 후드(28)의 처짐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08571호(2014년 06월 17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미세 입자가 제거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식 집진기의 상면은 물론, 좌우 측면에도 아암 조립체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공기의 배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2폴과 연결된 제 1폴이 트러스트 볼 베어링을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이 자재하게 이루어지는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폴과 제 2폴의 연결 상태를 루즈(loose)하게 또는 타이트(tight)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트러스트 볼 베어링 사용으로 반복 사용시에도 풀림방지용 너트가 풀리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다양한 형상의 개폐용 댐퍼를 적용시키는 것에 의해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집진기 본체(10)의 상면 일측에 부착된 중공의 베이스판(110)과, 이 베이스판(110)의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회전 플랜지(120)와, 중앙부의 폴 삽입부(132)를 중심으로 'ㄱ'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브라켓 윙(wing)(134)이 일체로서 대향 구비되며, 상기 회전 플랜지(12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폴 브라켓(poll bracket) 지지대(13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00);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210a)가 마찰부재(22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폴 삽입부(132)의 관통공(132a)을 경유하여 트러스트 볼 베어링(thrust ball bearing)(230)과 너트(210b)를 통해 결합되는 제 1폴(210)을 포함하는 제 1폴(pole)부(200);
일단부에서 체결볼트(320)가 프로텍트 링(protect ring)(330)과, 한 쌍의 링부재(340), 마찰부재(350), 트러스트 볼 베어링(360)를 각각 관통하여 풀림방지용 너트(370)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1폴부(200)의 제 1폴(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2폴(310)을 포함하는 제 2폴부(300);
일단부에서 체결볼트(420)가 소(小) 마찰부재(430), 한 쌍의 링부재(440), 대(大)마찰부재(450), 연결용 폴(480), 트러스트 볼 베어링(460)를 각각 관통하여 풀림방지용 너트(470)를 통해 연결된 제 3폴(41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용 폴(480)을 매개로 상기 제 2폴부(300)의 제 2폴(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3폴부(400);
후드(510)와, 이 후드의 외주면 양측에서 연결된 보조 후드(514)와, 상기 후드(5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좌우 회동되는 개폐용 댐퍼(570)와, 일단부가 체결볼트(530)와 마찰부재(534), 그리고 너트(532)를 통해 상기 제 3폴부(400)의 제 3폴(4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후드(510)에 구비된 후드 브라켓(512)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520)을 포함하는 후드(hood)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폴부(300)의 제 2폴(310)과 상기 프로텍트 링(330) 사이에 코일스프링(380)이 연결되어지되, 상기 코일스프링(380)의 일단부는 상기 제 2폴(31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390)와 복수의 너트(392) 사이에 체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380)의 타단부는 상기 프로텍트 링(330)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폴부(200)의 제 1폴(210)과 상기 제 2폴부(300)의 제 2폴(31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폴(210)과 제 2폴(310)의 연결 상태를 루즈(loose)하게 또는 타이트(tight)하게 조절하기 위한 좌우 1쌍의 장력조절부(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력조절부(600)는,
타원형 몸체(622)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622)의 양측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622a)과, 일단부에 링형 고리(624a)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622a)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끼움부재(624)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조립체(620)와;
일단부가 상기 장력조절조립체(620)의 타단부 고리(624b)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폴부(300)의 제 2폴(31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629)와 너트(629a) 사이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628)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 3폴부(400)가 제 2폴부(300)의 프로텍트 링(330)을 힌지축으로 하여 후방향으로 180°범위내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므로 건식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필요에 따라 제 3폴부(40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미세 입자가 제거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이동식 집진기의 상면은 물론, 좌우 측면에도 아암 조립체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필요에 따라 1쌍의 보조 후드(514)의 간격을 서로 조절하거나 개폐용 댐퍼(570)의 회동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공기의 배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제 2폴부(300)의 제 2폴(31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 2폴(310)과 연결된 제 1폴(210)이 트러스트 볼 베어링(230)을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이 자재하게 이루어진다.
다섯째, 장력조절부(600)의 끼움부재(624)가 브라켓(622a)에 나사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제 1폴(210)과 제 2폴(310)의 연결 상태를 루즈(loose)하게 또는 타이트(tight)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섯째, 다수의 트러스트 볼 베어링(280)(360)(460) 사용으로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의 반복 사용시에도 풀림방지용 너트(290)(370)(470)가 풀리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곱째, 후드(510) 내에 여러 다양한 형상의 개폐용 댐퍼(570)를 적용시키는 것에 의해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 이동식 집진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에 있어서의 베이스부와 제 1폴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 1폴부와 장력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 2폴부와 제 3폴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에 있어서의 후드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후드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에 있어서의 베이스부와 제 1폴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 1폴부와 장력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 2폴부와 제 3폴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에 있어서의 후드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후드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는 크게 베이스부(100), 제 1폴(pole)부(200), 제 2폴부(300), 제 3폴부(400), 그리고 후드(hood)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00)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집진기 본체(미도시, 도 1의 10 참조)의 상면 일측에 중공의 캡 형태를 갖는 베이스판(110)이 다수의 체결볼트(도면부호 미부여)를 통해 부착되고, 베이스판(110)의 내부에 회전 플랜지(120)가 일정 깊이로 삽입되며, 회전 플랜지(120)의 내주면에 폴 브라켓(poll bracket) 지지대(130)가 고정 부착된다.
즉, 폴 브라켓 지지대(130)는 중앙부의 폴 삽입부(132)를 중심으로 대략 'ㄱ'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브라켓 윙(wing)(134)이 일체로서 대향 구비되어 있어서 이러한 폴 브라켓 지지대(130)는 브라켓 윙(134)을 통해서 회전 플랜지(120)의 내주면에 가령, 용접등을 통해서 고정 부착되고, 폴 삽입부(132)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제 1폴(210)이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부(132a)가 형성되며, 도 8 중 미설명 부호 122는 플랜지 가이더(flange guider)이다.
제 1폴(pole)부(200)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각 파이프 형태를 갖는 제 1폴(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210a)가 마찰부재(220)와 폴 삽입부(132)의 파이프 형태를 갖는 관통공(132a)을 경유하여 트러스트 볼 베어링(thrust ball bearing)(230)과 너트(210b)를 통해 결합되며, 이때, 마찰부재(220)는 폴 삽입부(132)의 입구에 고정 부착되어 있어서 제 1폴(210)은 폴 삽입부(132)를 중심축으로 하여 트러스트 볼 베어링(230)을 통해 좌우 회동이 자재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 1폴(210)의 상단부는 후술하는 제 2폴(310)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체결볼트(240)가 소(小) 마찰부재(250), 제 1폴(210), 한 쌍의 링부재(260), 대(大)마찰부재(270), 제 2폴(310), 트러스트 볼 베어링(280)을 각각 관통하여 풀림방지용 너트(29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제 2폴(pole)부(300)는 도 7,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제 1폴(210)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제 2폴(310)의 타단부에서 체결볼트(320)가 프로텍트 링(protect ring)(330)과 후술하는 연결용 폴(480)의 일단부를 경유하여, 한 쌍의 링부재(340), 마찰부재(350), 제 2폴(310), 트러스트 볼 베어링(360)를 각각 관통한 후 풀림방지용 너트(37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때, 프로텍트 링(330)은 전술한 주름식 자바라(30)를 가이드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일정 직경을 갖는 프로텍트 링(330)이 주름식 자바라(30)의 대략 중간 정도 위치에서 주름식 자바라(30)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시키고, 주름식 자바라(30)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을 감소시킨다.
또한, 제 2폴(310)과 프로텍트 링(330) 사이에 코일스프링(380)이 연결되어지되, 코일스프링(380)의 일단부는 제 2폴(31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390)와 복수의 너트(392)사이에 체결되고, 코일스프링(380)의 타단부는 전술한 프로텍트 링(33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 3폴(pole)부(400)는 전술한 연결용 폴(480)을 매개로 하여 제 2폴부(300)의 제 2폴(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 7,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제 2폴(310)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제 3폴(410)의 일단부가 연결용 폴(480)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체결볼트(420)가 소(小) 마찰부재(430), 제 3폴(410), 한 쌍의 링부재(440), 대(大)마찰부재(450), 연결용 폴(480), 트러스트 볼 베어링(460)를 각각 관통하여 풀림방지용 너트(47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후드(hood)부(500)는 도 7, 도 11을 참조하면, 제 3폴(410)의 타단부에 연결 브라켓(520)의 일단부가 체결볼트(530)와 마찰부재(534), 그리고 너트(532)를 통해 연결되고, 연결 브라켓(520)의 타단부는 후드(510)의 내부 하단에 고정 설치된 후드 브라켓(512)에 연결된다. 즉, 체결볼트(530)가 한 쌍의 링부재(540), 마찰부재(550), 연결 브라켓(520), 후드 브라켓(512)을 각각 관통하여 마찰부재(534), 그리고 너트(53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드(510)의 외주면 양측에는 일정 곡률로서 만곡진 형태를 가진 좌우 1쌍의 보조 후드(514)가 연결된다. 즉, 체결볼트(530)가 후드(510)의 외측에서 마찰부재(550), 보조 후드(514), 후드(510)를 각각 관통한 후 너트(560)결합된다. 또한, 후드(510)의 내부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개폐용 댐퍼(570)가 수납되어 좌우 회동된다.
이때, 후드(510)의 외주면에 좌우 1쌍의 보조 후드(514)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개폐용 댐퍼(570)는 원형 형상외에 여러 다양한 형상으로 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가령, 개폐용 댐퍼(570)는 가령, 마름모 형상이나 기타 다각형 형상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보조 후드(514)의 좌우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공기의 배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는 제 1폴(210)과 제 2폴(310) 사이에 연결되어 코일스프링의 장력 조절을 통해 제 1폴(210)과 제 2폴(310)의 연결 상태를 루즈(loose)하게 또는 타이트(tight)하게 조절하기 위한 좌우 1쌍의 장력조절부(600)를 더 포함한다.
즉,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체결볼트(610)가 장력조절조립체(620)의 일단부 고리(624a)와 제 1폴(210)의 상단부, 그리고 다른 장력조절조립체(620)의 일단부 고리(624a)를 관통하여 너트(612)연결된다.
이때, 장력조절조립체(620)는 중앙부의 타원형 몸체(622)의 양측에 끼움부재(624)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몸체(622)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브라켓(622a)이 고정 설치되고, 이 브라켓에 끼움부재(624)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끼움부재(624)는 일단부에 링형 고리(624a)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브라켓(622a)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장력조절조립체(620)의 타단부 고리(624b)에는 코일스프링(628)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코일스프링(628)의 타단부는 제 2폴(31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629)와 너트(629a) 사이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미도시)를 통해 건식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로 옮긴 후, 후드부(50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후드(510)를 잡고 당김에 따라 제 3폴부(400)는 연결용 폴(480)과 함께 제 2폴부(300)의 프로텍트 링(330)을 힌지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0°~180°)내에서 회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 3폴(410)은 트러스트 볼 베어링(460)을 통해 연결용 폴(48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동이 자재하게 이루어지며, 연결용 폴(480)은 트러스트 볼 베어링(360)을 통해 제 2폴(31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동이 자재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후드(510)가 원하는 위치로 회동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미세 입자가 제거된 깨끗한 공기가 팬(fan)을 통해 후드(510)를 경유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되며, 이때, 필요에 따라 1쌍의 보조 후드(514)의 간격을 서로 좁히거나 넓히는 것에 의해 공기의 배출 정도를 조절하거나, 개폐용 댐퍼(570)의 회동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공기의 배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 3폴부(400)가 제 2폴부(30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완전히 젖혀졌을 때 코일스프링(380)은 최대한 신장되고, 제 3폴부(400)가 제 2폴부(300)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코일스프링(380)은 최대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후드부(500)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제 2폴부(300)의 제 2폴(310)을 잡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 2폴(310)과 연결된 제 1폴(210)이 폴 삽입부(132)를 중심축으로 하여 트러스트 볼 베어링(230)을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이 자재하게 이루어지며, 제 2폴(310)은 트러스트 볼 베어링(280)을 통해 제 1폴(2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자재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제 1폴(210)과 제 2폴(310)의 연결 상태를 루즈(loose)하게 또는 타이트(tight)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일 예를 들어 몸체(622)의 양측에서 끼움부재(624)의 나사산이 브라켓(622a)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정도를 길게 할 경우, 끼움부재(624)에 연결된 코일스프링(628)이 신장되어 제 1폴(210)과 제 2폴(310)의 연결 상태가 서로 타이트해지고, 끼움부재(624)의 나사산이 브라켓(622a)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정도를 짧게 할 경우, 끼움부재(624)에 연결된 코일스프링(628)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제 1폴(210)과 제 2폴(310)의 연결 상태가 서로 루즈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3폴부(400)가 제 2폴부(300)의 프로텍트 링(330)을 힌지축으로 하여 후방향으로 180°범위내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므로 건식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필요에 따라 제 3폴부(40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미세 입자가 제거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동식 집진기의 상면은 물론, 좌우 측면에도 아암 조립체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1쌍의 보조 후드(514)의 간격을 서로 조절하거나 개폐용 댐퍼(570)의 회동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공기의 배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폴부(300)의 제 2폴(31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 2폴(310)과 연결된 제 1폴(210)이 트러스트 볼 베어링(230)을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이 자재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장력조절부(600)의 끼움부재(624)가 브라켓(622a)에 나사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제 1폴(210)과 제 2폴(310)의 연결 상태를 루즈(loose)하게 또는 타이트(tight)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트러스트 볼 베어링(280)(360)(460) 사용으로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의 반복 사용시에도 풀림방지용 너트(290)(370)(470)가 풀리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후드(510) 내에 여러 다양한 형상의 개폐용 댐퍼(570)를 적용시키는 것에 의해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베이스부 110 : 베이스판
130 : 폴 브라켓 지지대 134 : 브라켓 윙
200 : 제 1폴부 210 : 제 1폴
230,280,360,460 : 트러스트 볼 베어링
300 : 제 2폴부 310 : 제 2폴
380,628 : 코일스프링 400 : 제 3폴부
410 : 제 3폴 480 : 연결용 폴
500 : 후드부 510 : 후드
514 : 보조후드 570 : 개폐용 댐퍼
600 : 장력조절부 620 : 장력조절조립체
622 : 몸체 624 : 끼움부재
624a,624b : 고리

Claims (3)

  1. 집진기 본체(10)의 상면 일측에 부착된 중공의 베이스판(110)과, 이 베이스판(110)의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회전 플랜지(120)와, 중앙부의 폴 삽입부(132)를 중심으로 'ㄱ'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브라켓 윙(wing)(134)이 일체로서 대향 구비되며, 상기 회전 플랜지(12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폴 브라켓(poll bracket) 지지대(13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00)와;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210a)가 마찰부재(22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폴 삽입부(132)의 관통공(132a)을 경유하여 트러스트 볼 베어링(thrust ball bearing)(230)과 너트(210b)를 통해 결합되는 제 1폴(210)을 포함하는 제 1폴(pole)부(200)와; 일단부에서 체결볼트(320)가 프로텍트 링(protect ring)(330)과, 한 쌍의 링부재(340), 마찰부재(350), 트러스트 볼 베어링(360)를 각각 관통하여 풀림방지용 너트(370)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1폴부(200)의 제 1폴(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2폴(310)을 포함하는 제 2폴부(300)와; 일단부에서 체결볼트(420)가 소(小) 마찰부재(430), 한 쌍의 링부재(440), 대(大)마찰부재(450), 연결용 폴(480), 트러스트 볼 베어링(460)를 각각 관통하여 풀림방지용 너트(470)를 통해 연결된 제 3폴(41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용 폴(480)을 매개로 상기 제 2폴부(300)의 제 2폴(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3폴부(400)와; 후드(510)와, 이 후드의 외주면 양측에서 연결된 보조 후드(514)와, 상기 후드(5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좌우 회동되는 개폐용 댐퍼(570)와, 일단부가 체결볼트(530)와 마찰부재(534), 그리고 너트(532)를 통해 상기 제 3폴부(400)의 제 3폴(4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후드(510)에 구비된 후드 브라켓(512)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520)을 포함하는 후드(hood)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 2폴부(300)의 제 2폴(310)과 상기 프로텍트 링(330) 사이에 코일스프링(380)이 연결되어지되, 상기 코일스프링(380)의 일단부는 상기 제 2폴(31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390)와 복수의 너트(392) 사이에 체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380)의 타단부는 상기 프로텍트 링(330)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 1폴부(200)의 제 1폴(210)과, 상기 제 2폴부(300)의 제 2폴(31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폴(210)과 제 2폴(310)의 연결 상태를 루즈(loose)하게 또는 타이트(tight)하게 조절하기 위한 좌우 1쌍의 장력조절부(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력조절부(600)는,
    타원형 몸체(622)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622)의 양측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622a)과, 일단부에 링형 고리(624a)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622a)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끼움부재(624)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조립체(620)와;
    일단부가 상기 장력조절조립체(620)의 타단부 고리(624b)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폴부(300)의 제 2폴(31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629)와 너트(629a) 사이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6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
  2. 삭제
  3. 삭제
KR1020180055777A 2018-05-16 2018-05-16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 KR102068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77A KR102068355B1 (ko) 2018-05-16 2018-05-16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77A KR102068355B1 (ko) 2018-05-16 2018-05-16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02A KR20190131202A (ko) 2019-11-26
KR102068355B1 true KR102068355B1 (ko) 2020-01-20

Family

ID=6873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777A KR102068355B1 (ko) 2018-05-16 2018-05-16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728B1 (ko) 2022-03-08 2022-12-01 (주)오토링크 집진기용 다기능 직결식 송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8930B2 (ja) * 1996-02-22 2002-12-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溶接ヒューム吸引回収装置
KR100764192B1 (ko) * 2003-08-04 2007-10-05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의 틸트칼럼 샤프트의 잠금장치
KR100566858B1 (ko) * 2004-02-18 2006-04-04 지규배 분진제거용 암타입 덕트
KR100731265B1 (ko) * 2005-09-27 2007-06-21 서현석 집진기용 흡입아암부 구조
KR101408571B1 (ko) 2012-10-11 2014-06-17 정연규 카트리지 타입 이동식 집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728B1 (ko) 2022-03-08 2022-12-01 (주)오토링크 집진기용 다기능 직결식 송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02A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355B1 (ko) 이동식 집진기의 아암 조립체
CA1045884A (en) Ventilating air filtering and distributing device
DE902109C (de) Mahlvorrichtung
EP3238824B1 (en) Vertical roller mill
CN105642947B (zh) 一种电钻除尘装置
US20130196585A1 (en) Joint construction, ventilation arm and ventilation system
US5899506A (en) Confining ring set suiting wider range of diameter of pipes
EP3751145A1 (de) Ventilatoreinrichtung
KR101885271B1 (ko) 배관 보호용 커버장치
US20160144479A1 (en) Containment Housing for Airblasting Pipes and Similar Objects
CN103062101A (zh) 轴帽
DE19513748A1 (de)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Bohrrückständen für Bohrmaschinen
KR200492734Y1 (ko) 회전공구를 이용한 다기능 송풍기
CN214559544U (zh) 一种轴承零件出料用竖向吹气装置
CN212360333U (zh) 一种具备降噪功能的鼓风机
JP2008121712A (ja) クランプ装置
CN209586724U (zh) 一种废气处理塔的废气输送装置
JPH02284665A (ja) 噴霧装置
CN106695560B (zh) 钛合金管打磨机用降温结构
US11278933B2 (en) Spherical elastomeric mounts
CN206955274U (zh) 钢卷开卷机
CN206230390U (zh) 钛合金管打磨机用降温结构
CN219444758U (zh) 一种飞屑收集盒及角磨机
DE19802345A1 (de) Elektrostaubsauger
DE102014200511A1 (de) Handwerkzeugmaschine mit einer Absaugha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