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530B1 -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530B1
KR102067530B1 KR1020180021762A KR20180021762A KR102067530B1 KR 102067530 B1 KR102067530 B1 KR 102067530B1 KR 1020180021762 A KR1020180021762 A KR 1020180021762A KR 20180021762 A KR20180021762 A KR 20180021762A KR 102067530 B1 KR102067530 B1 KR 10206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linker
coupling linker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590A (ko
Inventor
허중보
김수홍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코웰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코웰메디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53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2008/0084Provisional implants or abu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임시 임플란트의 상부에 결합링커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결합링커의 상부에 형성된 크라운이 착탈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체형고정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한 결합링커를 형성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결합링커를 쉽게 착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링커의 상부에 크라운의 형태를 인상시킨 후 크라운이 결합된 결합링커를 일체형고정체와 결합시킴으로써 크라운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결합링커가 일체형고정체에 쉽게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시 잇몸에 영향의 거의 주지 않고도 결합링커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치아 시술이 용이하다.

Description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 {omitted}
본 발명은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임시 임플란트의 상부에 결합링커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결합링커의 상부에 형성된 크라운이 착탈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보철치료의 일차적인 목적은 치아를 손상 받거나 상실하여 음식물을 씹고, 발음을 하는 등에 있어 어려움을 갖는 환자들의 기능 회복에 있다.동물에게 있어 이빨은 일차적인 공격수단이겠지만 인간에게 있어 치아의 대표적인 기능이라 하면 저작과 발음이다. 즉, 내부 장기에서 연동운동과 분절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소화하여 영양을 섭취할 수 있도록 구강 내에서 치아가 음식물을 분쇄하여 타액과 섞을 수 있는 적당한 크기로 만들어 주고, 서로 다른 발음에 대해 치아가 공기의 흐름을 조절해 주어 정확한 발음을 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만약, 치아가 없다면 음식물을 제대로 분쇄할 수 없어 항상 유동식 음식만을 섭취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적절한 영양공급이 어려워져 온 몸에 힘이 없는 무기력한 상태가 될 것이고, 면역상태가 나빠지면서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져 때로는 심각한 지경에 처해질지도 모를 일이다. 또 치조제에 적당한 자극이 주어지지 않음에 따라 하방의 치조골이 점점 흡수되어 없어져 버리게 되면 안면의 변형이 오게 되고 좀 더 나쁜 상황들의 악순환이 기다릴 것이다. 발음에 있어서도 치아가 없다면 구강을 통한 공기의 조절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정확한 발음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신체건강 악화, 소극적 대인관계와 그로 인한 우울증 등 사회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실로 커다란 장애로 작용할 것임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그러므로 치과보철은 위의 모든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해준다고 말하기는 어렵겠지만 실로 큰 역할을 할 수 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치과보철제료인 임플란트는 직경에 따라 세경(narrow) 임플란트(3.25 mm 이하), 표준(regular) 임플란트(3.75-4.0 mm), 광경(wide) 임플란트(5.0 mm 이상)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3.0mm 이하의 임플란트를 미니 임플란트로 명명하고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미니 임플란트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으로 mini-drive lock, mini dental implant, modular transitional implant, immediate provisional implant를 들 수 있다. 한편 국내에서도 다수의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Intermezzo, EZI, PROTEM, MS, Simpline 등 대표적인 임플란트 제조업체에서 양질의 미니 임플란트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 보통 1.8-2.0 mm의 미니 임플란트는 주로 과도기적(transitional) 또는 임시적(provisional)이라 표현되는 임시 기능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2.5-3.0 mm의 미니임플란트는 거친 표면을 가지면서 영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임플란트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로 크라운을 접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나, 이의 경우 접착제가 용해되어 클라운이 탈락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62583호 (2006.12.21)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78806호 (2005.08.08)
본 발명의 목적은 일체형고정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한 결합링커를 형성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결합링커를 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결합링커의 상부에 크라운의 형태를 인상시킨 후 크라운이 결합된 결합링커를 일체형고정체와 결합시킴으로써 크라운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결합링커가 일체형고정체에 쉽게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시 잇몸에 영향의 거의 주지 않고도 결합링커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골조직에 삽입되기 위해 형성되는 일체형고정체(100)와, 상기 일체형고정체(100)의 상부측에 끼움결합되는 제1결합링커(200)와, 상기 제1결합링커(200)의 상부측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크라운(40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링커(300)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고정체(1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일측에 칼날부(111)가 형성되는 골식립부(110)와, 상기 골식립부(110)의 상단에 위치하되 제1결합링커(200)가 체결되기 위한 결합헤드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헤드부(120)는 제1결합링커(200)가 체결되어 안착되는 결합링커지지부(121)와, 상기 결합링커지지부(121)의 상부에 위치하되,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링커회전방지부(122)와, 일측에 내부통공(123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개수의 절개홈(123b)이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지고,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결합탄성부(123)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탄성부(123)는
제1결합링커(200)와 체결되어 고정되기 위해 결합탄성부(123)의 상부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부(123c)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링커(200)는 제1결합링커(200)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일체형고정체(100)의 결합헤드부(120)와 결합되기 위해 결합헤드부(120)의 결합탄성부(123)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체결홈부(210)와, 제2결합링커(300)가 안착되도록 제1결합링커(200)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된 단턱이 형성되는 링커안착부(220)와, 제1결합링커(200)의 일측 외주연을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다수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부(230)와, 제1결합링커(200)의 일측 외주면에 위치하되 제1결합링커(200)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부(24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체결홈부(210)는 상기 고정돌기부(123c)가 체결되기 위해 고정돌기부(123c)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홈(211)와, 상기 링커회전방지부(122)가 끼움 결합되도록 링커회전방지부(1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홈(212)과, 상기 결합링커지지부(121)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링커지지부(121)의 상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안착결합홈(2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링커(300)는 제2결합링커(30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제2결합링커(300)가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제2체결홈부(310)와, 상기 제2결합링커(300)의 일측 외주연을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다수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부(320)를 포함하되, 상기 제2체결홈부(310)의 일측에는 끼움결합홈(311)이 형성되며, 끼움결합홈(311)은 제1결합링커(200)의 제1결합돌기부(230)와 끼움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제1결합링커(200)의 제1결합돌기부(23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링커(300)는 제1결합링커(200)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일체형고정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한 결합링커를 형성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결합링커를 쉽게 착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링커의 상부에 크라운의 형태를 인상시킨 후 크라운이 결합된 결합링커를 일체형고정체와 결합시킴으로써 크라운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결합링커가 일체형고정체에 쉽게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시 잇몸에 영향의 거의 주지 않고도 결합링커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치아 시술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고정체(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결합링커(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체형고정체(100)에 제1결합링커(200)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결합링커(300)와 이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상태에서 제2결합링커(300)가 체결된 모습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11은 본 발명의 일체형고정체(100)에 크라운(400)이 제작된된 제1결합링커(200)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도 10, 11과 같이 본 발명은 일체형고정체(100)의 상부에 크라운(400), 제2결합링커(300)가 체결된 제1결합링커(200)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체형고정체(100), 제1결합링커(200), 제2결합링커(300)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고하면, 일체형고정체(100)는 골조직에 삽입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골식립부(110)와 결합헤드부(120)로 구성된다.
골식립부(1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골식립부(110)는 골조직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측에 칼날부(111)가 추가로 형성된다.
결합헤드부(120)는 상기 골식립부(110)의 상단에 위치하되 제1결합링커(200)가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헤드부(120)는 결합링커지지부(121), 링커회전방지부(122), 결합탄성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링커지지부(121)는 제1결합링커(200)가 체결되어 안착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돌출된 돌출부(121a)가 형성되어 있다.
링커회전방지부(122)는 상기 결합링커지지부(121)의 상부에 위치하며,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전체적인 도면에는 상기 링커회전방지부(122)가 육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링커회전방지부(122)는 오각형, 사각형, 칠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합탄성부(123)는 일측에 내부통공(123a)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개수의 절개홈(123b)이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진다.
또한 상기 결합탄성부(123)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결합탄성부(123)가 제1결합링커(200)의 제1체결홈부(210)에 수용될 때 절개홈(123b)의 틈이 좁아지면서 수용되어 체결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탄성부(123)는 고정돌기부(123c)가 추가로 형성되며, 고정돌기부(123c)는 제1결합링커(200)와 체결되어 고정되기 위해 상기 결합탄성부(123)의 상부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결합탄성부(123)는 제1결합링커(200)가 체결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내부통공(123a)이 형성되며, 결합탄성부(123)의 외주연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4개의 절개홈(123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의 갯수는 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탄성부(123)가 소정 개수의 절개홈(123b)을 가지고 형성됨으로써 결합탄성부(123)가 탄성을 가지게 되며, 제1결합링커(200)에 체결될때 내부통공(123a)을 향하여 결합탄성부(123)의 외주연이 오무러지면서 들어간 후, 완전히 체결될 때 팽창하여 제 모습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이의 과정은 하기에서 도 5~7을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여 제1결합링커(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제1결합링커(20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제1결합링커(200)의 내부 모습이 보이도록 뒤집은 모습은 나타낸 도면이다.
제1결합링커(200)는 상기 일체형고정체(10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제1체결홈부(210), 링커안착부(220), 제1결합돌기부(230), 회전방지부(2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제1결합링커(200)는 정밀도가 좋아지도록 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를 참고하면 제1체결홈부(210)는 제1결합링커(200)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일체형고정체(100)의 결합헤드부(120)와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체결홈부(210)는 결합헤드부(12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헤드부(120)의 결합탄성부(123)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드는 구간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제1체결홈부(210)는 제1고정홈(211), 회전방지홈(212), 제1안착결합홈(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체결홈부(210)의 내부구조는 도 5의 단면도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1고정홈(211)은 상기 고정돌기부(123c)가 체결되기 위해 고정돌기부(123c)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회전방지홈(212)은 상기 링커회전방지부(122)가 끼움 결합되도록 링커회전방지부(1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결합링커(200)의 회전을 방지한다.
즉, 상기 회전방지홈(212)은 상기 링커회전방지부(122)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링커회전방지부(122)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제1결합링커(200)가 일체형고정체(100)의 상부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일체형고정체(100)에 끼움결합된 제1결합링커(2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안착결합홈(213)은 상기 결합링커지지부(121)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링커지지부(121)의 상부, 즉 돌출부(121a)에서 상부방향으로 위치한 부분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링커안착부(220)는 제2결합링커(300)가 결합되도록 제1결합링커(200)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된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링커안착부(220)는 돌출된 단턱의 상부면에 제2결합링커(300)가 안착되도록 결합된다.
제1결합돌기부(230)는 상기 제1결합링커(200)의 일측 외주연을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다수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부(230)는 제1결합링커(200)의 일측 외주연을 두르는 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도 1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가 위치하며, 이를 통하여 제1결합링커(200)에 제2결합링커(300)가 고정될 수 있다.
회전방지부(240)는 상기 제1결합링커(20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결합링커(20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240)는 제1결합링커(20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등간격 또는 불등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결합링커(300)가 제1결합링커(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체형고정체(100)에 제1결합링커(200)가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이를 참고하여 일체형고정체(100)에 제1결합링커(200)가 체결되는 모습을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일체형고정체(100)와 제1결합링커(2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결합링커(200)를 일체형고정체(100)를 향하는 방향(s1)으로 끼움결합시키면 도 7의 상태가 된다.
도 6은 일체형고정체(100)에 제1결합링커(200)가 끼움결합되기 위한 중간과정을 나타낸 도면인데, 도면과 같이 제1결합링커(200)의 제1체결홈부(210)에 일체형고정체(100)의 결합헤드부(120)가 수용되면 결합탄성부(123)의 절개홈(123b)이 위치한 부분의 직경이 줄어들면서 제1결합링커(200)의 내부로 수용되며(도 6의 S1 참고), 도 7과 같이 완전히 체결될때 결합탄성부(123)가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기위해 s3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결합탄성부(123)의 고정돌기(123c)가 제1체결홈부(210)의 제1고정홈(211)에 체결된다.
일체형고정체(100)와 제1결합링커(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제1결합링커(200)를 빼내려고 하는 경우, 손으로 약간의 압력을 가지고 제1결합링커(200)를 일체형고정체(100)를 향하는 방향(s1)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결합링커(200)와 일체형고정체(10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8은 제2결합링커(300)에 관한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여 제2결합링커(300)를 설명한다.
제2결합링커(300)는 상기 제1결합링커(200)와 결합고정되며, 주로 크라운(400)의 인상채득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플라스틱재질이 바람직하다.
즉 제2결합링커(300)를 통해 크라운(400)의 인상을 채득한 후 제1결합링커(200)의 외부에 크라운(400)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도 10, 11의 도면 참고)
제2결합링커(300)는 상기 제1결합링커(200)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제2체결홈부(310), 제2결합돌기부(3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8(b)는 제2결합링커(300)의 단면도로써 이를 참고하면, 제2체결홈부(310)는 제2결합링커(30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제2결합링커(300)가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홈부(310)의 일측에는 끼움결합홈(311)이 형성되며, 끼움결합홈(311)은 제1결합링커(200)의 제1결합돌기부(230)와 끼움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제1결합링커(200)의 제1결합돌기부(23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결합돌기부(320)는 상기 제2결합링커(300)의 일측 외주연을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다수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부(330)는 제2결합링커(300)의 일측 외주연을 두르는 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도 8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링커(300)는 제1결합링커(200)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제2결합링커(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는 제1결합링커(200)가 체결된 일체형고정체(100)에 제2결합링커(300)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면과 같이 제2결합링커(30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치아의 상태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1결합링커(200)에 제2결합링커(300)를 체결한 후 제2결합링커(300)의 표면에 왁스업(wax-up) 작업을 하고 캐스팅(주조)작업을 통해 크라운(400)이 제작된 모습이 도면의 상부 면에 도시되어있으며, 일체형고정체(100)의결합헤드부(120)를 향하는 방향인 크라운끼움방향(s4)으로 크라운(400)이 제작된 제1결합링커(200)를 이동시킴으로 도 11과 같이 일체형고정체(100)와 제1결합링커(200), 제2결합링커(300), 크라운(400)이 한몸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을 통한 임시 임플란트는 제1결합링커(200)를 통하여 크라운(40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제1결합링커(200)의 상부에 제2결합링커(300)가 체결되고 그 외주면에 크라운(400)을 제작한 후, 일체형고정체(100)의 상부에 크라운(400)이 제작된 제1결합링커(200)가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치과 시술 시간의 단축과 환자 치아에 부담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 일체형고정체
110 골식립부
120 결합헤드부
121 결합링커지지부
121a 돌출부
122 링커회전방지부
123 결합탄성부
123a 내부통공
123b 절개홈
123c 고정돌기부
200 제1결합링커
210 제1체결홈부
211 제1고정홈
212 회전방지홈
213 제1안착결합홈
220 링커안착부
230 제1결합돌기부
240 회전방지부
300 제2결합링커
310 제2체결홈부
311 끼움결합홈
320 제2결합돌기부
400 크라운

Claims (3)

  1. 골조직에 삽입되기 위해 형성되는 일체형고정체(100)와,
    상기 일체형고정체(100)의 상부측에 끼움결합되는 제1결합링커(200)와,
    상기 제1결합링커(200)의 상부측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크라운(40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링커(300)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고정체(1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일측에 칼날부(111)가 형성되는 골식립부(110)와,
    상기 골식립부(110)의 상단에 위치하되 제1결합링커(200)가 체결되기 위한 결합헤드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헤드부(120)는
    제1결합링커(200)가 체결되어 안착되는 결합링커지지부(121)와,
    상기 결합링커지지부(121)의 상부에 위치하되,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링커회전방지부(122)와,
    일측에 내부통공(123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개수의 절개홈(123b)이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지고,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결합탄성부(123)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탄성부(123)는
    제1결합링커(200)와 체결되어 고정되기 위해 결합탄성부(123)의 상부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부(123c)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링커(200)는
    제1결합링커(200)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일체형고정체(100)의 결합헤드부(120)와 결합되기 위해 결합헤드부(120)의 결합탄성부(123)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체결홈부(210)와,
    제2결합링커(300)가 안착되도록 제1결합링커(200)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된 단턱이 형성되는 링커안착부(220)와,
    제1결합링커(200)의 일측 외주연을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다수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부(230)와,
    제1결합링커(200)의 일측 외주면에 위치하되 제1결합링커(200)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부(24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체결홈부(210)는
    상기 고정돌기부(123c)가 체결되기 위해 고정돌기부(123c)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홈(211)와,
    상기 링커회전방지부(122)가 끼움 결합되도록 링커회전방지부(1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홈(212)과,
    상기 결합링커지지부(121)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링커지지부(121)의 상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안착결합홈(2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링커(300)는
    제2결합링커(30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제2결합링커(300)가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제2체결홈부(310)와,
    상기 제2결합링커(300)의 일측 외주연을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다수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부(320)를 포함하되,

    상기 제2체결홈부(310)의 일측에는 끼움결합홈(311)이 형성되며, 끼움결합홈(311)은 제1결합링커(200)의 제1결합돌기부(230)와 끼움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제1결합링커(200)의 제1결합돌기부(23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링커(300)는 제1결합링커(200)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
  2. 삭제
  3. 삭제
KR1020180021762A 2018-02-23 2018-02-23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 KR102067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762A KR102067530B1 (ko) 2018-02-23 2018-02-23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762A KR102067530B1 (ko) 2018-02-23 2018-02-23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590A KR20190101590A (ko) 2019-09-02
KR102067530B1 true KR102067530B1 (ko) 2020-01-17

Family

ID=6795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762A KR102067530B1 (ko) 2018-02-23 2018-02-23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291B1 (ko) 2021-07-21 2023-11-09 주식회사 쿠보텍 인공치아 시술용 임플란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933B1 (ko) * 2009-05-08 2012-03-06 최경만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806A (ko) 2004-02-03 2005-08-08 주식회사 덴티움 임시 임플란트
KR100597389B1 (ko) * 2004-08-17 2006-07-10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및 랩 아날로그
KR100662583B1 (ko) 2006-01-25 2006-12-28 장경삼 크라운 임시고정용 임플란트 유니트
KR20130097036A (ko) * 2012-02-23 2013-09-02 김형우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KR102212709B1 (ko) * 2013-05-02 2021-02-0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933B1 (ko) * 2009-05-08 2012-03-06 최경만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590A (ko)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8632B2 (en) Dental implant
US200602230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xing removable dentures
KR101172838B1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EP3569184B1 (en) Dental implants
AU2018286880B2 (en) Assembly for dental restoration
US20200315749A1 (en) Dental implants
KR101495480B1 (ko) 링크 어버트먼트 커넥터
KR20150010118A (ko) 캐드캠을 이용한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방법
KR102067530B1 (ko) 결합링커를 구비한 임시 임플란트
EP3185812B1 (en) Restoration dental implant fixture
KR20160095260A (ko)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KR102660106B1 (ko) 치아수복물 세트
KR102080084B1 (ko)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
US11779438B2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20230172695A1 (en) Dental attachment assemblies, angled implant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US20230038772A1 (en) Dental attachment assemblies, angled implant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US11596504B2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JP2018519886A (ja) 第1歯科用コンポーネントを第2歯科用コンポーネントに取り付けるための保持エレメント、及び保持エレメントを備える歯科用アセンブリ
EP3034032B1 (en) Dental prosthesis securing device
KR20120014187A (ko) 안락 헤드 미니 치아 임플란트
KR20170103514A (ko) 캐드캠을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