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465B1 - Surface tempering apparatus for glass for a foldable dispaly apparatus - Google Patents

Surface tempering apparatus for glass for a foldable dispal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465B1
KR102067465B1 KR1020190074705A KR20190074705A KR102067465B1 KR 102067465 B1 KR102067465 B1 KR 102067465B1 KR 1020190074705 A KR1020190074705 A KR 1020190074705A KR 20190074705 A KR20190074705 A KR 20190074705A KR 102067465 B1 KR102067465 B1 KR 102067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oldable
display device
accommodating
accommod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7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우전
이강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오텍
Priority to KR1020190074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4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4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C03C21/001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7/00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 C03B27/02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C03B35/20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by supporting frames
    • C03B35/207Construction or design of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A glass surface hardening devic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rdening furnace (100) which contains chemical liquid for hardening glass; and a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which is immersed in the hardening furnace (100), accommodates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nd is made of glass fib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dvantages of: preventing problems of generating a fine scratch (chip), which is a process defect due to the fixation of an existing cassette frame on the edge of hardened glass; and easily hardening the surface of glass for a display unit of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which is an ultra-thin film of 30-50 μm.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n advantage of efficiently hardening the surface of foldable glass of a large area at an extremely low defect rate by cutting glass fi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lass fiber even when the area of glass for the display unit of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is large and producing a glass accommodating member.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 {SURFACE TEMPERING APPARATUS FOR GLASS FOR A FOLDABLE DISPALY APPARATUS}Glass surface strengthening device for foldable display device {SURFACE TEMPERING APPARATUS FOR GLASS FOR A FOLDABLE DISPALY APPARATUS}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초박막화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face strengthening apparatus for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face strengthening of a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developed so as to efficiently perform surface strengthening of a glass for an ultra-thin foldable display device. Relates to a device.

종래에는 휴대용 폴더블폰 (foldable phone) 등과 같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에 투명 폴리이미드 (CPI, Clear PolyImide) 필름을 사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쉽게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로 인하여 이를 유리 (glass)로 대체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Conventionally, a transparent polyimide (CPI) film is used for a display unit provided in a foldable display device such as a portable foldable phone. However, when such a transparent polyimide film is used, scratches easily occur. Due to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replace this with glass (glass).

이와 같이 폴더블폰 등과 같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유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리의 두께를 30 내지 50㎛ 정도로 형성하여야만 디스플레이부를 자연스럽게 접었다 펴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such, in order to use the glass in the display unit of a device such as a foldable phone, the thickness of the glass should be formed to about 30 to 50 μm,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naturally fold and unfold the display unit.

한편, 종래에 통상적인 (non-foldable) 휴대폰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유리는 딱딱하고 (rigid) 두께가 약 400 내지 500㎛ 정도로 두꺼워서 표면강화시 프레임으로 구성된 카세트를 이용하여 각각의 유리를 장착하고 유리가 장착된 카세트를 유리강화용 약액이 담긴 강화로에 넣고 고온으로 가열하는 과정을 통하여 유리강화를 수행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glass used in the display portion of the conventional (non-foldable) mobile phone, such as rigid (rigid) thickness is about 400 to 500㎛ thick to mount each glass using a cassette consisting of a frame when strengthening the surface The glass was put into a reinforcing furnace containing a glass-reinforcing chemical solution and the glass was strengthened by heating to a high temperature.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은 휴대 단말기의 박판 강화유리 적재용 카세트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박판 강화유리를 탄성 지지함은 물론 박판 강화유리와의 접촉하는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박판 강화유리의 열처리 공정이나 초음파 세정공정 중 박판 강화유리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or example,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heet for stacking thin tempered glass of a mobile terminal, which not only elastically supports the thin tempered glass but also reduces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thin tempered glass by heat treating the thin tempered glass.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efects occurring in the thin tempered glass during the ultrasonic cleaning process.

그러나, 이와 같이 가로 및 세로로 연결된 프레임을 이용하고 그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유리를 끼워서 적재하는 경우 유리가 끼워지는 부분에서 철재 등과 재료로 만들어진 단단한 프레임과의 접촉에 의하여 유리의 테두리부에 미세한 흠집인 칩 (chip)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칩 발생부분은 후에 유리의 크랙이 진행되는 시작점으로 작용하여 결국 유리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However, when the glass used for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is loaded by using a frame connect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frame, the glass is used in contact with a rigid frame made of steel or material at the portion where the glass is fitted. As a result, chips having fine scratches are generated at the edges of the glass, and these chip generating parts act as starting points at which the cracks of the glass later progress, resulting in a decrease in durability of the glass.

또한, 하기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카세트 방식의 유리강화장치는 통상적인 (non-foldable) 휴대폰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유리에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나, 최근 급격히 개발 및 상용화되고 있는 폴더블 (foldable)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기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용 유리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assette-type glass-reinforcing device such as Patent Document 1 can be applied to the glass used in the display portion of a conventional (non-foldable) mobile phone, but the foldable (which is rapidly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recently) Foldable)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glass for the display unit mounted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즉, 종래의 통상적인 (non-foldable) 휴대폰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유리는 두께가 약 400 내지 500㎛ 정도로 두꺼워서 물리적으로 형태를 쉽게 변형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모양을 유지하는 딱딱한 (rigid) 특성을 지니므로 유리 지지용 카세트 프레임의 홈에 대상 유리의 테두리 부분을 끼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폴더블 (foldable)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기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용 유리는 그 두께가 30 내지 50㎛ 정도로 매우 얇고 하나의 폴더블 휴대용 단말기 사이즈의 유리를 그 한 쪽 끝을 잡고 흔들 경우 마치 얇은 종이처럼 흐느적거리고 그 형상을 단단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특성을 갖는바, 이를 종래의 유리강화용 카세트의 프레임 홈에 끼워 고정할 경우 유리강화로 내부에 담기는 유리강화용 약액의 흐름에 의하여 유리가 카세트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빠져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That is, the glass used in the display portion of a conventional non-foldable mobile phone is thick, about 400 to 500 μm, so that it has a rigid characteristic that continuously maintains its shape without physically changing its shape easily. Since it was possible to hold the edge of the target glass in the groove of the glass support cassette frame, the glass for the display unit mounted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has a thickness of about 30 to 50 μm. When thin and foldable portable terminal size glass is held at one end, it shakes like a thin paper and does not maintain its shape firmly. It is inserted into the frame groove of the glass reinforcement cassette of the related art. In case of fixing, the glass can be removed by the flow of chemical solution for glass strengthening. The problem that is easy to escape from the cassette frame occurs.

따라서, 유리강화시 개별 유리의 테두리 부분에서 프레임과의 고정마찰에 의하여 미세 흠집인 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폴더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용 유리에도 적용이 가능한 유리표면 강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when glass is strengthened,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a glass surface reinforcement technology that prevents chips from being scratched by the fixed friction with the frame at the edges of the individual glass and is applicable to the glass for the display of the foldable portable terminal. It is true.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302191호 (2013.09.02)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302191 (2013.09.02)

이에 본 발명에서는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유리수용부재를 이용하여 그 내부에 강화대상 유리를 넣고 이를 유리강화용 강화로에 넣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유리강화용 카세트를 이용하는 종래 방식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a glass-reinforced cassette by using a method of putting the glass to be strengthened inside the glass receiving member made of glass fiber and put it into the glass-reinforced reinforcing furnac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ased thereon.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유리의 테두리 부분에 고정마찰에 의한 흠집인 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플렉시블한 폴더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되는 초박막 유리를 쉽게 표면 강화하는 것이 가능한 표면강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rface reinforcement that prevents chips from being scratched by fixed friction on the edge portion of the glass and easily surface-strengthens the ultra-thin glass applied to the display portion of the flexible foldable portable terminal.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는 유리강화용 약액이 담기는 강화로(100); 및 상기 강화로(100)에 침지되며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가 수용되는 유리수용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수용부재(200)는 유리섬유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Surface strengthening apparatus for a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ing furnace (100) containing the chemical liquid for glass strengthening; And a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mmersed in the reinforcing furnace 100 and accommodating the glass for the foldable display device.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s made of glass fiber.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수용부재(200)가 고정되며 상기 유리수용부재(200)가 고정된 채로 상기 강화로(100)에 침지되는 고정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the surface of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s fixed and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s immersed in the reinforcing furnace 100. Being fixed member 30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0)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제1지지부(310);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부재(3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320); 및 상기 연결부(320)에 구비되며 상기 유리수용부재(200)가 고정되는 제1고정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rface strengthening apparatus of the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3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support portion 310 to face each other spaced apart; A connection part 320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310; And a first fixing part 330 provided at the connection part 320 and to which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s fix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330)는 상기 유리수용부재(20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막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the surface of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xing part 3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 shape that can be fitted to the glass receiving member 200 and coupled. .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수용부재(200)는 유리섬유로 둘러싸여 상기 유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유리수용부(210); 및 상기 유리수용부(210)의 둘레에 연결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는 제2고정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the surface of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may include a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that is surrounded by glass fiber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glass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fixing part 220 which is connect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and which can be fixed to the fixing member 300.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수용부(210)는 강화시킬 유리가 담길 수 있는 주머니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the surface of a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may be formed in a bag shape in which glass to be strengthened is contain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수용부(210)는 상기 주머니 모양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211); 및 상기 바닥부(211)의 테두리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주머니 모양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the surface of a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may include a bottom part 211 forming a bag-shaped bottom; And a sidewall portion 212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211 to form the bag-shaped sidewall.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수용부(210)는 강화될 유리와 접촉가능한 내피부(213)와 강화될 유리와 접촉되지 않는 외피부(214)의 두 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the surface of a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may have an inner skin 213 in contact with the glass to be strengthened and an outer skin not in contact with the glass to be strengthened ( 214) two layers.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피부(213)와 외피부(214) 사이에는 상기 유리수용부(210)가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형상유지부재(400)가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rface strengthening apparatus of the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inner skin 213 and the outer skin 214, the shape holding to support the glass holding portion 210 to maintain the sha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er 400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재(400)는 그물망 구조의 단단한 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rface strengthening apparatus of the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holding member 400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olid glass of the mesh structur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피부(213) 및 외피부(214)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피부(213)에는 유리섬유 접합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외피부(214)의 측면 또는 하면에 유리섬유 접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the glass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kin 213 and the outer skin 214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glass fiber joint is not formed in the inner skin 213. Instead, the glass fiber joint is formed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outer skin portion 214.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2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형 기둥 모양이며, 상기 막대형상의 제1고정부(330)가 상기 제2고정부(220)의 내부 공간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the surface of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ixing part 220 has a hollow pillar shape having a space therein, and the first fixing part having a rod shape ( 330 is fitted 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fixing part 220 is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는 강화되는 유리의 테두리에 종래의 카세트 프레임의 고정에 따른 공정하자인 미세흠집(칩)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30 내지 50㎛ 정도로 초박막인 폴더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용 유리를 매우 용이하게 표면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나아가 폴더블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부용 유리가 대면적일 때에도 유리섬유를 그 크기에 따라 재단하여 유리수용부재를 제작함으로써 대면적의 폴더블 유리의 표면강화를 극히 낮은 불량률로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surface strengthening apparatus of the glass for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ause a problem that a fine scratch (chip) that is a process defect according to the fixing of the conventional cassette frame to the edge of the glass to be strengthened, in particular 30 to 50 It has an advantage that the glass for the display portion of the foldable portable terminal, which is ultra-thin, can be easily strengthened, and furthermore, even when the glass for the display portion of the foldable portable terminal is large, the glass fiber is cut according to its size to provide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By fabricating, the surface reinforcement of the large-area foldable glass can be performed very efficiently at an extremely low defect rate.

도 1은 유리강화용 약액 (C)이 담긴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포함되는 강화로(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고정부재(300)의 예시적인 측면 구조(a)과 고정부재 4개가 적층된 측면 구조(b)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고정부재(300) 4개를 적층하여 강화로(100)에 넣은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고정부재(300)의 예시적인 구조를 더욱 자세히 구성별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a)와 평면도(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고정부재(300)에 구비된 연결부(320) 하나의 구조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는 그림이며, 도 5의 (a)는 연결부(320)의 평면도이고, 도 5의 (b)는 연결부(320)의 측면도이고, 도 5의 (c)는 연결부(320)에 제1고정부(330)가 끼워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 6은 유리수용부재(2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며, 도 6의 (a)는 유리수용부재(2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유리수용부재(2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유리수용부재(2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의 (a)는 유리수용부재(200)에서 제2고정부(220)를 생략하고 유리수용부(210)의 세부구성을 설명하는 그림이며, 도 7의 (b)는 예시적으로 제2고정부(220)가 사각의 중공형 기둥모양으로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며, 도 7의 (c)는 예시적으로 제2고정부(220)가 원통 중공형 기둥모양으로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고정부재(300)의 제1고정부(330)가 유리수용부재(200)의 제2고정부(220)에 끼워져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유리수용부재(200)가 내피부(213) 및 외피부(214)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며, 내피부(213) 및 외피부(214)의 사이 공간에 형상유지부재(400)가 삽입되어 있는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유리수용부재(200)를 절단한 측단면도이며, 내피부(213)와 외피부(214)가 하나의 유리섬유로 일체로 형성된 것을 설명한다. 도 10의 (a)는 내피부(213) 및 외피부(214)의 사이 공간에 형상유지부재(400)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10의 (b)는 내피부(213) 및 외피부(214)의 사이 공간에 형상유지부재(40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 내지 14는 강화대상 유리의 크기에 따라 유리수용부재(200)를 다양한 예시적 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inforcing furnace 100 included in the surface reinforcing device of the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a glass-reinforcing chemical (C).
2 is a view showing an exemplary side structure (a) of the holding member 300 and the side structure (b) in which four holding members are stacked.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our fixing members 300 are stacked and placed in the reinforcement furnace 100.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view (a) and a plan view (b) for explaining the exemplary structure of the fixing member 300 in more detail by configura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structure of one connecting portion 320 provided in the fixing member 300, Figure 5 (a)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320, Figure 5 (b) is a connecting portion ( 320 is a side view, and FIG.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fitting the first fixing part 330 to the connection part 320.
6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Figure 6 (a)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Figure 6 (b) is a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A schematic top view of the.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and FIG. 7 (a) illustrates a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by omitting the second fixing part 220 from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7 (b)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fixing part 2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hollow column, and FIG. 7 (c)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FIG. 2 fixing part 220 shows the structure formed in the cylindrical hollow pillar shape.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fixing part 330 of the fixing member 300 is fit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220 of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9 shows that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has a double structure of the inner skin 213 and the outer skin 214, and the shape maintaining member 400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kin 213 and the outer skin 214.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schematic structure.
FIG.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llustrated in FIG. 9, and the inner skin 213 and the outer skin 214 are integrally formed of one glass fiber. FIG. 10A illustrates that the shape retaining member 400 is not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kin 213 and the outer skin 214, and FIG. 10B shows the inner skin 213 and the outer skin. The shape maintaining member 400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kin 214.
11 to 14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that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exemplary siz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lass to be tempered.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Before describing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concept of terms is appropriately described to best explain the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s only one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본 발명은 휴대용 폴더블폰 (foldable phone) 등과 같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로 사용되는 유리의 표면을 강화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trengthening the surface of glass used as a display unit provided in a foldable display device such as a portable foldable phone.

특히, 본 발명은 30 내지 50㎛ 정도의 두께로 초박막화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를 표면강화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카세트 프레임의 고정에 따른 공정하자인 미세흠집(칩)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초박막 유리의 강화공정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urface of tempered glass for ultra-thin foldable display devic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0 to 50 μm, fine scratches (chips) are generated due to fixing of a conventional cassette fr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face strengthening apparatus for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which is developed so as to perform an ultra-thin glass tempered process very efficiently.

폴더블 (foldable) 디스플레이기기는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접고 펼 수 있는 전자기기를 의미한다.A foldable display device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fold and unfold a display unit's screen.

이와 같이 폴더블 디스플레이기기를 접고 펴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투명 디스플레이부 자체를 접고 펴는 것이 가능하여야 하며, 종래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부로 투명 폴리이미드 (CPI, Clear PolyImide) 필름을 사용하였다.In order to fold and unfold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fold and unfold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itself, and in the related art, a transparent polyimide (CPI) film was used as the foldable display unit.

그러나, 이와 같은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쉽게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로 인하여 이를 유리 (glass)로 대체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However, the use of such a transparent polyimide film has been studied to replace it with glass due to the problem that the scratch easily occurs.

이와 같이 폴더블폰 등과 같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유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리의 두께를 30 내지 50㎛ 정도로 형성하여야만 디스플레이부를 자연스럽게 접었다 펴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such, in order to use the glass in the display unit of a device such as a foldable phone, the thickness of the glass should be formed to about 30 to 50 μm,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naturally fold and unfold the display unit.

한편, 유리강화공정은 화학적 강화방법을 통하여 수행되며, 질산칼륨 (KNO3)과 같은 강산성 약액을 강화로에 넣고 강화로를 사방에서 400 내지 500℃로 지속적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유리를 상기 강화로에 침지시킴으로써 유리에 함유된 알칼리 성분의 비율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이온치환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glass strengthening process is carried out through a chemical strengthening method, and put the strong acid chemicals such as potassium nitrate (KNO 3 ) in the strengthening furnace, the glass is heated to the tempered furnace in the state of continuously heating the furnace to 400 to 500 ℃ everywhere The immersion in the glass allows a continuous ion substitution reaction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alkali component in the glass.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유리가 강화되며,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부용 유리는 강화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Through such a process, the glass is reinforced, and the glass for the display unit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required to be tempered.

강화된 유리는 충격이 가해지면 한 방향으로 크랙이 길게 진행되지 않으며, 마치 방탄유리가 깨지는 것과 같이 파쇄되는 현상을 보인다.Tempered glass does not have long cracks in one direc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and shows fracture as if bulletproof glass is broken.

한편, 종래에 통상적인 (non-foldable) 휴대폰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유리는 딱딱하고 (rigid) 두께가 약 400 내지 500㎛ 정도로 두꺼워서 표면강화시 프레임으로 구성된 카세트를 이용하여 각각의 유리를 장착하고 유리가 장착된 카세트를 유리강화용 약액이 담긴 강화로에 넣고 고온으로 가열하는 과정을 통하여 유리강화를 수행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glass used in the display portion of the conventional (non-foldable) mobile phone, such as rigid (rigid) thickness is about 400 to 500㎛ thick to mount each glass using a cassette consisting of a frame when strengthening the surface The glass was put into a reinforcing furnace containing a glass-reinforcing chemical solution and the glass was strengthened by heating to a high temperature.

그러나, 이와 같이 가로 및 세로로 연결된 프레임을 이용하고 그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유리를 끼워서 적재하는 경우 유리가 끼워지는 부분에서 철재 등과 재료로 만들어진 단단한 프레임과의 접촉에 의하여 유리의 테두리부에 미세한 흠집인 칩 (chip)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칩 발생부분은 후에 유리의 크랙이 발생하게 되는 시작점으로 작용하여 결국 유리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However, when the glass used for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is loaded by using a frame connect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frame, the glass is used in contact with a rigid frame made of steel or material at the portion where the glass is fitted. As a result, chips having fine scratches are generated at the edges of the glass, and these chip generating parts act as starting points for the generation of cracks in the glass, thereby degrading durability of the glass.

또한, 종래의 통상적인 (non-foldable) 휴대폰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되는 유리는 두께가 약 400 내지 500㎛ 정도로 두꺼워서 물리적으로 형태를 쉽게 변형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모양을 유지하는 딱딱한 (rigid) 특성을 지니므로 유리 지지용 카세트 프레임의 홈에 이를 끼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폴더블 (foldable)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기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용 유리는 그 두께가 30 내지 50㎛ 정도로 매우 얇고 하나의 폴더블 휴대용 단말기 사이즈의 유리를 그 한 쪽 끝을 잡고 흔들 경우 마치 얇은 종이처럼 흐느적거리게 되며 그 형상을 단단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특성을 갖는바, 이를 종래의 유리강화용 카세트의 프레임 홈에 끼워 고정할 경우 유리강화로 내부에 담기는 유리강화용 약액의 흐름에 의하여 유리가 카세트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빠져버리는 문제가 존재하였다.In addition, the glass used in the display portion of a conventional non-foldable mobile phone, such as a thick thickness of about 400 to 500㎛ has a rigid characteristic that maintains the shape continuously without being easily physically deformed form Since it was possible to fit it in the groove of the glass support cassette frame, the glass for the display unit mounted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is very thin and has a thickness of about 30 to 50 μm. If you shake the size of the glass of the portable terminal holding one end of the glass, it is like a thin paper, and the shape is not maintained firmly, when it is fixed in the frame groove of the glass reinforcing cassette of the conventional glass The glass is transferred to the cassette by the flow of the glass-reinforced chemical liquid contained inside the furnace. From an easy problem that was out there.

본 발명자는 최근에 개발이 가속화되고 상용화되고 있는 폴더블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부용 유리를 지극히 낮은 불량률로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강화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reinforcing process very quickly and easily with a very low defect rate for a display glass used in a foldable portable terminal, which has recently been accelerated and commercializ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는 유리강화용 약액이 담기는 강화로(100); 및 상기 강화로(100)에 침지되며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가 수용되는 유리수용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수용부재(200)는 유리섬유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Surface strengthening apparatus for a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ing furnace (100) containing the chemical liquid for glass strengthening; And a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mmersed in the reinforcing furnace 100 and accommodating the glass for the foldable display device.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s made of glass fiber.

즉, 본 발명자는 종래 유리강화시 사용되던 카세트 프레임을 대체하여 유리를 강화로에 넣기 위하여 유리섬유 (glass fiber)를 이용하였다.That is, the present inventors used glass fiber to replace the cassette frame used in glass reinforcement and put the glass in the reinforcing furnace.

본 발명자는 유리섬유를 요구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재단하여 파우치 즉, 주머니 형상으로 만든 후, 이와 같이 주머니 형상으로 제작된 유리수용부재(200)에 강화를 수행할 대상인 유리를 넣고 이를 강화로에 넣음으로써 종래 카세트 방식에 의하여 프레임이 매우 휨성이 강한 폴더블 유리를 견고하게 잡아주지 못하였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프레임에 의한 접촉 마찰로 유리의 테두리에 미세흠집 (chip)이 발생하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었다.The present inventors cut the glass fiber to various sizes as required, and then make a pouch, that is, a bag shape, and put the glass to be reinforced in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produced in this way, and put it in the reinforcement furnace. This solves the problem that the frame could not hold the foldable glass which is very flexible by the conventional cassette method, and at the same time, the problem of micro chips on the edge of the glass due to the contact friction caused by the frame. I could solve it.

유리섬유는 각각 실과 같이 가느다란 유리사를 이용하여 대면적으로 직조된 유리 직조물을 의미한다.Glass fiber refers to a glass woven fabric woven in a large area using thin glass yarns, respectively, like yarn.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리수용부재(200)는 시중에 유통되는 대면적의 유리섬유를 가위 등으로 재단하고, 재단된 유리섬유를 내열 내화학성 철사 등을 이용하여 꿰매어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cut a large-area glass fiber on the market with scissors or the like, and sew the cut glass fiber using a heat-resistant chemical-resistant wire or the like.

이와 같은 유리섬유는 그 표면이 각각의 유리사의 매끄러운 굴곡으로 이루어진 표면을 갖는 특성이 있다.Such glass fibers have a property that the surface has a surface made of smooth bending of each glass yarn.

따라서,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리수용부재(200)를 제작할 경우 강화대상인 유리가 유리섬유와 접촉하여도 스크래치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when manufacturing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glass fibe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cratches do not occur even when the glass to be in contact with the glass fibers.

한편, 유리섬유는 메쉬 형태의 섬유로 직조되어 있으므로, 이를 강화로에 넣어도 섬유특성상 여전히 플렉시블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어 강화공정에 매우 여러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glass fiber is woven into a fiber in the form of a mesh, even if it is put in a reinforcing furnace, the fiber can still maintain a flexible stat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ber can be used very many times in the reinforcing process.

또한, 유리섬유는 가위 및 철사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 및 크기로 다양한 형태의 구조체로 쉽게 제작할 수 있어, 강화대상이 되는 유리의 크기 및 모양에 맞추어 이를 용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glass fiber can be easily produced in a variety of structures in the desired shape and size using scissors and wire, etc.,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produc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glass to be reinforced.

본 발명의 유리수용부재(200)의 제작에 사용되는 유리섬유는 그 유리사의 직경 및 메쉬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강화대상 유리와 강화용 약액의 접촉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The glass fiber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glass to be strengthened and the chemical liquid for strengthening by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glass yarn and the size of the mesh.

즉,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 유리수용부재(200)는 메쉬로 이루어져 각각의 메쉬를 관통하여 강화용 약액이 자유롭게 이동함으로써 유리의 강화가 매우 고르고 신속하게 수행되는 장점을 갖는다.That is,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manufactured by using the glass fiber has the advantage that the reinforcement of the glass is very evenly and quickly performed by moving the reinforcing chemical liquid freely through each mesh made of a mesh.

도 1은 유리강화용 약액 (C)이 담긴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포함되는 강화로(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림이며, 도 2는 고정부재(300)의 예시적인 측면 구조(a)과 고정부재 4개가 적층된 측면 구조(b)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3은 고정부재(300) 4개를 적층하여 강화로(100)에 넣은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inforcing furnace 100 included in the surface reinforcing device for the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a glass-reinforcing chemical liquid (C), Figure 2 is a fixing member 300 Exemplary side structure (a) of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ide structure (b) is laminated four stacked members,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four fastening members 300 stacked in the reinforcement furnace 100 Side cross section view.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강화용 강화로(100)에는 질산칼륨과 같은 유리강화용 약액(C)이 담겨있으며, 강화로(100)를 사방에서 지속적으로 가열하여 약 400 내지 500℃ 정도의 고온을 유지한다.As shown in FIG. 1, the glass strengthening furnace 100 contains a glass-reinforcing chemical solution C such as potassium nitrate, and the heating furnace 100 is continuously heated in all directions to about 400 to 500 ° C. Keep the high temperatur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수용부재(200)가 고정되며 상기 유리수용부재(200)가 고정된 채로 상기 강화로(100)에 침지되는 고정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the surface of glass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s fixed and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s immersed in the reinforcing furnace 100. Being fixed member 300; may further include.

도 2 및 도 4는 고정부재(300)의 예시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2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the fixing member 300.

도 4의 (a) 및 (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철재 등으로 제작된 고정부재(300)는 측면에 약액이 관통하여 흐를 수 있는 다수의 관통창(341)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the fixing member 300 made of steel or the like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windows 341 through which chemical liquids can flow.

한편,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의 테두리 하단에는 여러 개의 고정부재(300)를 적층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핀(350)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a) of Figure 4 is a fixing pin 35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dge of the fixing member 300 to be fixed when stacking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300.

한편,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의 테두리 상단에는 상기 고정핀(35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360)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b)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36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350 on the upper edge of the fixing member 300.

다수의 고정부재(300)를 적층할 경우 고정핀(350)이 삽입홀(360)에 연속적으로 삽입 고정됨으로써 다수의 고정부재(300)가 안정적으로 적층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300 are stacked, the fixing pins 350 are continuous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ertion hole 360, whereby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300 may be stably stacked.

다음으로, 고정부재(300)의 평면구조를 설명한다.Next, the planar structure of the fixing member 300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고정부재(300)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제1지지부(310);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부재(3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320); 및 상기 연결부(320)에 구비되며 상기 유리수용부재(200)가 고정되는 제1고정부(330);를 포함한다.The fixing memb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support portion 310 to face each oth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onnection part 320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310; And a first fixing part 330 provided at the connection part 320 and to which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s fixed.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제1지지부(310)를 갖는다.As shown in (b) of Figure 4, the fixing member 300 has a first support portion 310 provided in pairs to face each other spaced apart.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부(310) 사이는 다수의 연결부(320)에 의하여 연결되며, 다수의 연결부(320)의 양측에는 제1지지부(310) 사이에 연결된 측판(34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측판에는 관통창(341)이 형성된다.The pair of first support parts 310 may b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320, and side plates 340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s 310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320. . The through plate 341 is formed in the side plate.

고정부재(300)는 내열성 철재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며, 고정부재(300)의 각각의 구성은 나사결합 등으로 체결되어 조립 및 분해를 반복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xing member 300 may be made of heat-resistant steel, and the like, and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fixing member 300 may be fastened by screwing and the like, and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may be repeated.

도 5는 고정부재(300)에 구비된 연결부(320) 하나의 구조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는 그림이며, 도 5의 (a)는 연결부(320)의 평면도이고, 도 5의 (b)는 연결부(320)의 측면도이고, 도 5의 (c)는 연결부(320)에 제1고정부(330)가 끼워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그림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structure of one connecting portion 320 provided in the fixing member 300, Figure 5 (a)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320, Figure 5 (b) is a connecting portion ( 320 is a side view, and FIG.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fitting the first fixing part 330 to the connection part 320.

도 5의 (a)를 참고하면, 연결부(320)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멍에 각각 제1고정부(330)가 삽입고정된다.Referring to FIG. 5A,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320, and the first fixing part 330 is inserted and fixed in each of the holes.

이러한 각각의 제1고정부(330)는 상기 구멍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삽탈가능하다.Each of the first fixing part 330 is coupled to the hole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nd can be easily inserted and detached as necessary.

한편, 하나의 연결부(320)에는 다수의 유리수용부재(200)가 다수 열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one connection portion 32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in a plurality of glass receiving member 200 a plurality of rows.

한편, 하나의 연결부(320)에 도 5의 (a)와 같이 2열로 다수 개의 유리수용부재(200)가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는 측면으로 이웃하는 유리수용부재(200)가 서로 엇갈려 배치될 수 있도록 구멍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glass receiving member 20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in two rows as shown in Fig. 5 (a) to one connecting portion 320, the glass receiving member 200 adjacent to the side alternately Holes are provided for placement.

이와 같이 엇갈린 구조로 구멍이 배치될 경우 약액의 순환이 더욱 원활해짐과 동시에 유리수용부재(200)를 제1고정부(330)에 끼우고 빼는 과정이 더욱 수월해지는 장점을 갖는다.When the holes are arranged in a staggere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circulation of the chemical liquid is smoother, and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removing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nto the first fixing part 330 becomes easier.

한편, 상기 구멍에는 유리수용부재(200)의 사이즈가 달라질 경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제1고정부(330)를 끼움결합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ize of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s changed, the hole may be fitted with the first fixing part 330 in various combinations as necessary.

이러한 다양한 조합은 가로 방향으로 다양하게 제1고정부(330)를 끼우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5를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유리수용부재(200)가 끼워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Such various combinations may be made in a manner of fitting the first fixing part 33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fit the glass receiving member 200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5.

상기 제1고정부(330)는 예를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수용부재(20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기타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first fixing part 33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which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as shown, but may be variously configured in other shapes.

도 5의 h2는 도 4의 h1보다 작게 형성한다.H2 of FIG. 5 is formed smaller than h1 of FIG.

다음으로, 도 6 및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에 사용되는 유리수용부재(200)의 세부구성을 설명한다.Next,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used in the surface strengthening apparatus of the glass for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수용부재(200)는 유리섬유를 재단하여 제작된다.As described above,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s manufactured by cutting the glass fibers.

유리섬유를 재단하여 원하는 구조체를 제작하는 과정은 마치 합성섬유 직조물을 재단하여 옷을 만드는 과정과 비슷하고 용이하다.The process of making the desired structure by cutting glass fibers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making clothes by cutting synthetic fiber woven fabrics.

도 6은 유리수용부재(2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며, 도 6의 (a)는 유리수용부재(2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유리수용부재(2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6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Figure 6 (a)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Figure 6 (b) is a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A schematic top view of the.

도 6을 참고하면, 유리수용부재(200)는 유리섬유로 둘러싸여 상기 유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유리수용부(210); 및 상기 유리수용부(210)의 둘레에 연결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는 제2고정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ncludes a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which is surrounded by glass fiber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glass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fixing part 220 which is connect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and which can be fixed to the fixing member 300.

예를 들어, 상기 유리수용부(210)는 강화시킬 유리가 담길 수 있는 주머니(파우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may be formed in a bag (pouch) shape in which glass to be strengthened is contained.

도 6에는 유리수용부(210)의 단면이 사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각 이외에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6, the cross section of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is illustrated as being rectangular, bu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in addition to the rectangular.

또한, 도 6에는 제2고정부(220)가 중공형 사각 기둥모양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가기둥 모양 이외에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second fixing part 220 is illustrated as having a hollow rectangular pillar shape in FIG. 6, the second fixing part 2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in addition to the sag pillar shape.

도 7은 유리수용부재(2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의 (a)는 유리수용부재(200)에서 제2고정부(220)를 생략하고 유리수용부(210)의 세부구성을 설명하는 그림이며, 도 7의 (b)는 예시적으로 제2고정부(220)가 사각의 중공형 기둥모양으로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며, 도 7의 (c)는 예시적으로 제2고정부(220)가 원통 중공형 기둥모양으로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and FIG. 7 (a) omits the second fixing part 220 from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and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7 (b)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fixing part 2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hollow pillar shape, and FIG. 7 (c) shows an example of the detailed structure of FIG. 2 fixing part 220 shows the structure formed in the cylindrical hollow pillar shape.

각각의 유리수용부(210)에는 강화대상 유리가 한 장씩 들어간다.Each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contains one glass to be tempered.

유리수용부(210)는 상기 주머니 모양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211); 및 상기 바닥부(211)의 테두리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주머니 모양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212);를 포함한다.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may include a bottom part 211 forming the bag-shaped bottom; And a sidewall portion 212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211 to form the bag-shaped sidewall.

즉,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수용부재(200)는 강화대상 유리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제작된 유리수용부(210)를 포함하며, 유리수용부(210)는 대략적으로 바닥부(211) 및 측벽부(212)로 구성된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7,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ncludes a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glass to be tempered, and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is approximately bottomed. It consists of a part 211 and the side wall part 212.

바닥부(211)와 측벽부(212)의 경계를 이루는 부위는 각각의 유리섬유를 재단하여 철사 등으로 꿰매어 이어 붙이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철사 등으로 꿰맬 때 자투리 유리섬유가 유리수용부(210)의 외부로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강화대상 유리가 자투리 유리섬유에 걸려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part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bottom part 211 and the side wall part 212 may be manufactured by cutting and connecting each glass fiber with a wire or the like, and when the cut glass fiber is sewn with a wire or the like,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 By disposing to the outside of the 210 to the glass to be tempered to prevent the scratches are caught by the glass fibers.

한편, 상기 바닥부(211)와 측벽부(2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새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bottom part 211 and the side wall part 2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a seam as shown in FIG. 10.

도 8은 고정부재(300)의 제1고정부(330)가 유리수용부재(200)의 제2고정부(220)에 끼워져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를 나타낸다.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fixing part 330 of the fixing member 300 is fit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220 of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상기 유리수용부(210)는 강화될 유리와 접촉가능한 내피부(213)와 강화될 유리와 접촉되지 않는 외피부(214)의 두 겹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may be composed of two layers of an inner skin 213 that is in contact with the glass to be strengthened and an outer skin 214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glass to be strengthened.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수용부(210)는 서로 이격되어 대응되게 배치된 내피부(213)와 외피부(214)를 가질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may have an inner skin part 213 and an outer skin part 21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와 같이 이중구조로 유리수용부(210)를 구성하는 경우는 유리수용부(210)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내피부(213)와 외피부(214) 사이의 공간에 유리수용부(210)가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형상유지부재(40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case, when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is configured in a dual structure,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may be made more robust, and at the same time,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kin part 213 and the outer skin part 214. It is possible to include a shape holding member 400 that supports 210 to maintain its shape.

이러한 형상유지부재(400)는 그물망 구조의 단단한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ape maintaining member 400 may be made of a solid glass of the mesh structure.

즉, 형상유지부재(400)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유리섬유 재단을 통하여 바닥부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강화대상 유리가 꽂히지 않고 위치할 수 있는 완만한 바닥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at is, by providing the shape maintaining member 400, even if the bottom portion is not formed through a separate glass fiber cutting, it is possible to form a gentle bottom space portion in which the glass to be strengthened can be positioned without being inserted.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피부(213) 및 외피부(21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피부(213)에는 유리섬유 접합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외피부(214)의 측면 또는 하면에 유리섬유접합부(S)가 형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0, the inner skin 213 and the outer skin 214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inner skin 213 is not formed with a glass fiber joint, and the outer skin 214 Glass fiber joints (S) is formed on the side or bottom.

즉, 내피부(213)의 모든 면과 외피부의 상면에 유리섬유접합부(S)를 형성하지 않고 외피부(214)의 측면 또는 하면에만 유리섬유접합부(S)를 형성하도록 주머니를 재단하고 꿰매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강화대상 유리가 유리수용부재(200)에 접촉하더라도 유리사의 매끄러운 굴곡하고만 접촉하게 되어 강화과정에서 스크래치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That is, without cutting the glass fiber bonded portion (S) on all surfaces of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kin 213, cutting and sewing the pocket to form the glass fiber bonded portion (S) only on the sid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skin (214) By performing this, even if the glass to be in contact with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only the smooth bending of the glass yarn is in contact with the scratch does not occur at all during the strengthening process.

100: 강화로 200: 유리수용부재
210: 유리수용부 211: 바닥부
212: 측벽부 213: 내피부
214: 외피부 S: 유리섬유접합부
220: 제2고정부 300: 고정부재
310: 제1지지부 320: 연결부
330: 제1고정부 340: 측판
341: 관통창 350: 고정핀
360: 삽입홀 400: 형상유지부재
100: reinforcement furnace 200: glass receiving member
210: glass accommodating part 211: bottom part
212: side wall portion 213: inner skin
214: outer skin S: glass fiber joint
220: second fixing part 300: fixing member
310: first support portion 320: connection portion
330: First Government 340: Side Plate
341 through-hole 350: fixed pin
360: insertion hole 400: shape holding member

Claims (12)

유리강화용 약액이 담기는 강화로(100); 및
상기 강화로(100)에 침지되며 두께가 30 내지 50㎛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가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주머니 모양의 유리수용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수용부재(200)는 유리사를 이용하여 대면적으로 직조되어 그 표면이 각각의 유리사의 매끄러운 굴곡으로 이루어진 유리섬유로 만들어진 것이고,
상기 유리수용부재(200)는 유리섬유로 둘러싸여 상기 유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유리수용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수용부(210)는 강화될 유리와 접촉가능한 내피부(213)와 강화될 유리와 접촉되지 않는 외피부(214)의 두 겹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피부(213)와 외피부(214) 사이에는 상기 유리수용부(210)가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그물망 구조를 갖는 형상유지부재(400)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내피부(213) 및 외피부(214)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피부(213)에는 유리섬유접합부(S)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외피부(214)의 측면 또는 하면에 유리섬유접합부(S)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
Reinforcing furnace 100 containing the chemical liquid for glass strengthening; And
And a bag-shaped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mmersed in the reinforcing furnace 100 and having a thickness of 30 to 50 μm for the foldable display device glass to be accommodated therein.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s woven in a large area using glass yarn, the surface of which is made of glass fiber made of smooth bend of each glass yarn,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ncludes a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which is surrounded by glass fiber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glass is accommodated.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is composed of two layers of an inner skin 21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lass to be strengthened and an outer skin 214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glass to be strengthened,
Between the inner skin 213 and the outer skin 214 to support the glass receiving portion 210 to maintain the shape, a shape maintaining member 400 having a net structure is further provided,
The inner skin part 213 and the outer skin part 214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glass fiber joint part S is not formed in the inner skin part 213, and the glass fiber joint part S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skin part 214. The surface strengthening apparatus of the glass for fold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수용부재(200)가 고정되며 상기 유리수용부재(200)가 고정된 채로 상기 강화로(100)에 침지되는 고정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s fixed and the glass receiving member 200 is fixed to the glass member 200 is immersed in the reinforcing furnace 100 is fixed; The surface strengthening device for glass for foldable display device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0)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제1지지부(310);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부재(3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320); 및
상기 연결부(320)에 구비되며 상기 유리수용부재(200)가 고정되는 제1고정부(330);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xing member 300 is
A first support part 310 provided as a pair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A connection part 320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310; And
And a first fixing part (330) provided at the connection part (320) to which the glass accommodating member (200) is fix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330)는 상기 유리수용부재(20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막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fixing part (330) is a glass surface strengthening devic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d-shaped that can be coupled to the glass receiving member (2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수용부(210)는
상기 주머니 모양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211); 및
상기 바닥부(211)의 테두리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주머니 모양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212);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용 유리의 표면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lass accommodating part 210
A bottom portion 211 forming the bag-shaped bottom; And
And a sidewall portion 212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211 to form the bag-shaped sidewall. 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74705A 2019-06-24 2019-06-24 Surface tempering apparatus for glass for a foldable dispaly apparatus KR1020674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705A KR102067465B1 (en) 2019-06-24 2019-06-24 Surface tempering apparatus for glass for a foldable dispal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705A KR102067465B1 (en) 2019-06-24 2019-06-24 Surface tempering apparatus for glass for a foldable dispal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465B1 true KR102067465B1 (en) 2020-01-17

Family

ID=6937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705A KR102067465B1 (en) 2019-06-24 2019-06-24 Surface tempering apparatus for glass for a foldable dispal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46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847A (en) * 2000-09-12 2002-03-27 Fdk Corp Vertical type ion exchange treating device
KR101302191B1 (en) 2013-03-14 2013-09-02 박미예 Cassette for thin plate tempered glass giving a summary
JP5579153B2 (en) * 2011-11-08 2014-08-27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Glass strengthening equipment
JP6279617B2 (en) * 2013-02-14 2018-02-14 アレヴァ・エンセ Glass fiber container and waste inciner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847A (en) * 2000-09-12 2002-03-27 Fdk Corp Vertical type ion exchange treating device
JP5579153B2 (en) * 2011-11-08 2014-08-27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Glass strengthening equipment
JP6279617B2 (en) * 2013-02-14 2018-02-14 アレヴァ・エンセ Glass fiber container and waste incineration method
KR101302191B1 (en) 2013-03-14 2013-09-02 박미예 Cassette for thin plate tempered glass giving a summa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191B1 (en) Cassette for thin plate tempered glass giving a summary
EP3330235A1 (en) Flexible glass article having a low bending curva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067465B1 (en) Surface tempering apparatus for glass for a foldable dispaly apparatus
KR102360009B1 (en) Glass substrate,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060098185A1 (en) Mask holder for irradiating UV-rays
CN106458694B (en) Glass plate storage ji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plate
KR20130061172A (en) Enhanced strengthening of glass by ion exchange in sodium bath followed by ion exchange in potassium bath
CN111299233B (en) Cleaning method of chalcogenide glass lens
CN110687700A (en) Insert structure and substrate loading cassette provided with same
KR101198269B1 (en) Zig for large sized thin glass using chemical reinforcement
KR20210143356A (en) Large area ultra thin glass cleaning cassette and ultra thin glass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1913465B (en) Substrate storing box
JP2000305475A (en) Display device
CN114951113A (en) Cleaning equipment for optical fiber section
JP4529698B2 (en) Lens holding jig
JP4885107B2 (en) Vapor deposition equipment
JP4260756B2 (en) Board transfer container
KR20220168636A (en) 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ver window
KR20130130157A (en) Cassette for glass
KR101197226B1 (en) Glass fixing apparatus
US2022001741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ndow
JP4677555B2 (en) Specimen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695427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plate and glass plate accommodating body for chemical tempering
KR102595968B1 (en) Support device for coating that improves rigidity of thin glass
KR102067462B1 (en) Surface healing apparatus for glass for a foldable dispal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