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331B1 - 마취용 구강 패치 - Google Patents

마취용 구강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331B1
KR102067331B1 KR1020180016898A KR20180016898A KR102067331B1 KR 102067331 B1 KR102067331 B1 KR 102067331B1 KR 1020180016898 A KR1020180016898 A KR 1020180016898A KR 20180016898 A KR20180016898 A KR 20180016898A KR 102067331 B1 KR102067331 B1 KR 102067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space
communication
adhesive layer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451A (ko
Inventor
김남균
조성웅
Original Assignee
김남균
조성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균, 조성웅 filed Critical 김남균
Priority to KR102018001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3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84Transdermal patches having a drug layer or reservoir, and one or more separate drug-free skin-adhesive layers, e.g. between drug reservoir and skin, or surrounding the drug reservoir; Liquid-filled reservoir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A61P23/02Local anaesth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점막에 부착되어 마취 효과를 제공하는 패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점막에 부착되어 마취 약물을 방출하는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을 지지하며 패치가 구강 점막에 부착된 후 일정 시간 후에 약물을 상기 점착층에 공급하는 지지공급층을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마취 약물을 방출할 수 있는 마취용 구강 패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취용 구강 패치{Oral patch for sleep anesthesia}
본 발명은 구강 점막에 부착되어 마취 효과를 제공하는 패치에 대한 것이다.
구강을 치료함에 있어 마취가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종래에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마취 약물을 구강 조직에 투여하였다. 위 경우 고통이 따르고 마취 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어, 하기의 특허문헌처럼 구강 점막에 부착되어 마취 약물을 구강 점막에 방출하는 패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 제10-2015-0048301호(2015. 05. 07. 공개) "수면마취용 구강점막 부착형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패치를 이용하여 마취 약물을 구강 점막에 공급하는 경우 주사기를 이용한 마취시 발생하는 고통이 없는 장점이 있으나, 픽의 확산법칙에 의하면 확산되는 양은 약물을 담지한 점(접)착층과 외부 환경 간의 농도 구배에 비례하게 되어, 종래의 패치에서 약물 방출이 지속됨에 따라 농도 구배가 감소하여 방출되는 약물의 양이 급속하게 감소하게 되어 일정량의 약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하지 못해 효과적인 마취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마취 약물을 방출할 수 있는 마취용 구강 패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점막에 부착되어 마취 효과를 제공하는 패치는 구강 점막에 부착되어 마취 약물을 방출하는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을 지지하며 패치가 구강 점막에 부착된 후 일정 시간 후에 지속적으로 약물을 상기 점착층에 공급하는 지지공급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마취용 구강 패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공급층은 제1연통부를 통해 타액이 들어오는 경우 내부에 저장된 약물을 제2연통부를 통해 상기 점착층에 배출하는 약물저장공급부와, 상기 약물저장공급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부와, 상기 약물저장공급부와 점착부를 연통시키는 제2연통부와, 상기 제1연통부를 폐쇄하며 타액에 의해 생분해되어 상기 제1연통부를 개방하여 상기 약물저장공급부에 타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마취용 구강 패치에 있어서 상기 약물저장공급부는 상기 지지공급층의 내부에 형성되며, 격리부에 의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격리되어 상기 제1공간에서 고흡수성수지를 수용하고 상기 제2공간에서 약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형성되어 고흡수성수지가 위치하는 제1공간과 약물이 위치하는 제2공간을 격리하는 격리부와;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하여 제1연통부를 통해 타액이 유입되면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고흡수성수지와; 상기 제2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흡수성수지가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여 상기 격리부를 밀어내는 경우 제2연통부를 통해 점착층에 배출되는 약물을 ㅍ포함하며, 상기 제1공간은 제1연통부와 연통되며 상기 제2공간은 제2연통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마취용 구강 패치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는 상기 수용부 내 일측에서 돌출되어 타측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져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한 고흡수성 수지가 팽창하는 경우 제2공간에 위치하는 약물을 밀어내며, 상기 개폐부는 개폐부마다 크기를 다르거나 분해되는 속도가 달라, 패치의 부착시 상기 약물저장공급부 마다 타액이 공급되는 시기가 다르도록 하여 상기 약물저장공급부별로 순차적으로 점착층에 약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마취 약물을 방출하여 마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취용 구강 패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취용 구강 패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취용 구강 패치의 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취용 구강 패치의 약물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취용 구강 패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마취용 구강 패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취용 구강 패치를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마취용 구강 패치는 구강 점막에 부착되어 마취 약물을 방출하는 점착층(1)과, 상기 점착층(1)을 지지하며 패치가 구강 점막에 부착된 후 일정 시간 후에 지속적으로 약물을 상기 점착층(1)에 공급하는 지지공급층(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층(1)은 구강 점막에 부착되어 미세채널을 통해 마취 약물을 방출하는 구성으로, 구강에 발생한 질환을 치료하거나 마취를 위해 약물을 방출하는 종래의 패치의 점(접)착층과 동일한 성분 및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포함하는 종래의 패치에서 상기 점(접)착층은 크게 약물과, 수화될 때 접착력이 생기는 폴리머를 포함하여 제조되어, 패치를 구강 점막에 부착하면 상기 점(첩)착층의 폴리머는 수분과 접촉하여 접착성을 상기 패치에 부여하며 상기 폴리머들 사이에 위치하는 약물은 용해되어 점막에 배출되게 되어 상기 약물이 위치하는 미세 채널을 비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점(접)착층을 형성할 때 붕해제 등이 추가로 포함되어 상기 패치가 구강 점막에 부착되어 상기 점(접)착층이 수분과 반응시, 상기 붕해제가 용해 방출되어 점착층 내에 미세채널을 추가로 형성하여 약물을 방출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약물은 마취 효과를 제공하는 종래의 약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리도카인, 크실로카인, 옥토카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폴리머는 수화될 접착력을 제공하는 종래의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붕해제는 타액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용해되는 종래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글리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공급층(2)은 상기 점착층(1)을 지지하며 패치가 구강 점막에 부착된 후 일정 시간 후에 지속적으로 약물을 상기 점착층(1)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약물저장공급부(21), 제1연통부(22), 제2연통부(23), 개폐부(2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공급층(2)은 생체적합성 폴리머(예컨대,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등)로 제조될 수 있으며, 약물, 고흡수성 수지, 타액의 이동은 불가능하나 공기의 이동이 가능한 수 나노미터의 미세기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약물저장공급부(21)는 제1연통부(22)를 통해 타액이 들어오는 경우 내부에 저장된 약물을 제2연통부(23)를 통해 상기 점착층(1)에 배출하는 구성으로, 수용부(211), 격리부(212), 고흡수성수지(213), 약물(21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211)는 상기 지지공급층(2)의 내부에 형성되며 일측이 제1연통부(22)와 연통되며 타측이 제2연통부(23)와 연통되게 되며, 격리부(212)에 의해 제1공간(211a)과 제2공간(211b)으로 격리되어 상기 제1공간(212a)에서 고흡수성 수지(213)를 수용하고 상기 제2공간(212b)에서 약물(214)을 수용하며, 상기 제1공간(211a)은 제1연통부(22)와 연통되며 상기 제2공간(211b)은 제2연통부(23)와 연통되게 된다.
상기 격리부(212)는 상기 수용부(211) 내에 형성되어 고흡수성 수지(213)가 위치하는 제1공간(211a)과 약물(214)이 위치하는 제2공간(211b)을 격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용부(211) 내 일측에서 돌출되어 타측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211)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져 상기 제1공간(211a)에 위치한 고흡수성 수지(213)가 팽창하는 경우 제2공간(211b)에 위치하는 약물(214)을 밀어내게 된다.
상기 고흡수성수지(213)는 상기 제1공간(211a)에 위치하여 상기 제1연통부(22)를 통해 타액이 유입되면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구성으로, 종래의 고흡수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분계의 고흡수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자기 무게의 1000배 정도의 물을 흡수하는 능력을 가지므로, 상기 제1연통부(21)를 통해 타액이 유입되면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게 되어 격리부(212)를 밀어내어 상기 제2공간(211b)에 위치한 약물(214)은 상기 제2연통부(23)를 통해 점착층(1)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 약물(214)은 상기 제2공간(211b)에 위치하여 상기 격리부(212)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연통부(23)를 통해 배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점착층(1)에 사용된 마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동일한 약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부(22)는 상기 약물저장공급부(21)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패치가 구강 점막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1연통부(21)를 통해 제1공간(211a)에 위치하는 고흡수성 수지(213)에 타액이 공급되게 된다.
상기 제2연통부(23)는 상기 약물저장공급부(21)와 점착부(1)를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제1공간(211a)에 위치한 고흡수성 수지(213)가 팽창하여 상기 격리부(212)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2공간(211b)에 위치하는 약물(214)을 제2연통부(23)를 통해 상기 점착층(1)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 개폐부(24)는 제1연통부(22)를 폐쇄하는 구성으로, 타액에 의해 생분해되어 상기 제1연통부(22)를 개방하여 상기 제1공간(211a)에 타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24)는 예컨대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효소(예컨대, 리소자임 등)에 생분해되는 생분해성 고분자(N-AcAc chitosan) 등이 사용될 수 있다(N-AcAc chitosan은 chitosan의 아민기가 일정 비율 acetylation(Ac) 및 acrylation(Ac)되어 있는 고분자를 의미함). 패치의 부착시 상기 약물저장공급부(21) 마다 타액이 공급되는 시기가 다르도록 상기 개폐부(24)가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저장공급부(21) 별로 개폐부(24) 각각의 크기를 달리하여 상기 제1연통홀(23) 마다 폐쇄하는 정도(부피)를 달리하여 각각의 제1연통홀(22)이 개방되는 시기가 다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개폐부(24) 각각이 분해되는 속도가 다르도록 하여 각각의 제1연통부(22)가 개방되는 시기가 다르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고분자(N-AcAc chitosan)의 N-acetylation 또는 N-acrylation 정보를 변화시키거나, 개폐부(22)를 형성하기 위해 고분자(N-AcAc chitosan)를 포함하는 용액에 자외선 조사시 각각의 제1연통홀(22) 마다 자외선 flux를 조절하여, 계폐부(24) 각각의 분해되는 속도가 다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개폐부(24)가 상기 제2연통부(23)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연통부(23)에 형성된 개폐부는 점착층(1)을 통과한 타액에 의해 생분해될 수 있으며, 제2연통부(23)에 형성된 개폐부는 제1연통부(22)에 형성된 개폐부(24)보다 먼저 분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상처 치료용 패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공급층(2)의 하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점착층(1)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연통부(24)와 연통되는 중공(251)을 포함하는 돌출연통부(25)와, 상기 돌출연통부(25)의 중공(251)의 말단을 폐쇄하는 제2개폐부(2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연통부(25)의 말단은 상기 점착층(1)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상기 점착층(1)에서 돌출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개폐부(26)는 상기 개폐부(25)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돌출연통부(25)의 말단이 상기 점착층(1)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점착층(1)을 통해 유입된 타액에 의해 상기 제2개폐부(26)가 녹아 상기 약물저장공급부(21)의 약물이 점착층(1)에 공급되게 되고, 상기 돌출연통부(25)의 말단이 상기 점착층(1)에서 돌출되는 경우 타액이 바로 제2개폐부(26)를 녹여 상기 약물저장공급부(21)의 약물이 바로 구강 점막에 공급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마취용 구강 패치의 약물방출과정을 도 2, 4 및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강 점막(바람직하게는 혀 밑의 부분)에 도 2에 도시된 상기 패치를 갖다대면, 점착층(1)에 의해 구강 점막에 부착되며 상기 점착층(1)에 담지된 약물은 타액에 의해 용해되어 미세 채널을 통해 배출되게 되며, 동시에 타액은 개페부(24)를 분해시키며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상기 개폐부(24)가 완전히 녹아 상기 제1연통부(22)는 개방되어 타액이 제1공간(211a)으로 공급되게 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211a)에 위치하는 고흡수성수지(213)는 타액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여 격리부(212)를 밀어내 제2공간(211a)에 위치하는 약물을 제2연통부(23)을 통해 점착층(1)에 배출하게 된다. 상기 점착층(1)에 공급된 약물은 점착층(1)에 형성된 미세 채널을 통해 구강 점막에 배출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공간(211b)에 위치하는 약물이 다 배출된 경우 상기 패치를 구강에서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점착층(1)에만 약물을 담지하여 방출하는 종래의 패치와 달리 일정 시간(개폐부(24)가 완전히 분해된 시간)이 지난 후부터 일정 기간 동안 계속적으로 약물을 점착층(1)에 공급하는 지지공급층(2)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24)는 약물저장공급부(21) 마다 완전히 분해되는 시간이 달라 각각의 약물저장공급부(21) 마다 상기 점착층(1)에 약물을 공급하는 시간이 다르므로, 일정량의 약물이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취용 구강 패치의 제조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제조방법은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101)와, 상기 함입부(101)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22)이 형성된 하단층(100)을 형성하는 하단층형성단계와; 상기 하단층(100)의 제1연통홀(22)에 개폐부(24)를 형성하고 상기 함입부(101)에 고흡수성수지(213)를 로딩하는 개폐 및 수지 로딩단계와, 상기 하단층(100)의 상단을 덮는 중간층(200)을 형성한 후 상기 함입부(101)에 위치하는 중간층(200)이 하측을 향하도록 하단층(100)과 중간층(200)을 결합시키는 제1결합단계와; 제2연통홀(23)이 형성된 상단층(300)을 형성한 후 상기 중간층(200)과 상단층(300)을 결합시키는 제2결합단계와; 상기 제2연통홀(23)을 통해 상기 중간층(200) 상측의 함입부(101)에 약물(214)을 로딩하는 약물로딩단계와; 상기 상단층(300)의 상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층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층(100) 등은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형성하는데, 예컨대 단량체(예컨대,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등)와 가교제(예컨대, EGDMA(ethylenegylcol) 등)가 혼합된 용액이 이용되며, 프린팅(printing/stamping) 기법이나 포토-리소그래피 기법을 통해 함입부(101), 제1연통홀(22) 등이 형성된 하단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4)는 상기 제1연통홀(22)의 입구를 통해 개폐부(24)를 형성하는 생분해성 고분자(N-AcAcchitosan), 광개시제(PI)가 포함된 용액을 주입하고, 상기 용액에 자외선(UV)을 조사하여 광중합시킴으로써 개폐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단층(100), 중간층(200) 및 상단층(300)의 결합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약물, 수화될 때 접착성을 띠는 폴리머, 붕해제 등을 포함하는 용액을 이용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은 종래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점착층 2: 지지공급층 21: 약물저장공급부
22: 제1연통부 23: 제2연통부 24: 개폐부
25: 돌출연통부 26: 제2개폐부 211: 수용부
212: 격리부 213: 고흡수성수지 214: 약물
251: 중공 211a: 제1공간 211b: 제2공간

Claims (4)

  1. 구강 점막에 부착되어 마취 약물을 방출하는 점착층을 가지는 마취용 구강 패치에 있어서,
    상기 마취용 구강 패치는 상기 점착층을 지지하며 상기 마취용 구강 패치가 구강 점막에 부착된 후 일정 시간 후에 지속적으로 약물을 상기 점착층에 공급하는 지지공급층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지공급층은 제1연통부를 통해 타액이 들어오는 경우 내부에 저장된 약물을 제2연통부를 통해 상기 점착층에 배출하는 약물저장공급부와, 상기 약물저장공급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부와, 상기 약물저장공급부와 점착부를 연통시키는 제2연통부와, 상기 제1연통부를 폐쇄하며 타액에 의해 생분해되어 상기 제1연통부를 개방하여 상기 약물저장공급부에 타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저장공급부는 상기 지지공급층의 내부에 형성되며, 격리부에 의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격리되어 상기 제1공간에서 고흡수성수지를 수용하고 상기 제2공간에서 약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형성되어 고흡수성수지가 위치하는 제1공간과 약물이 위치하는 제2공간을 격리하는 격리부와;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하여 제1연통부를 통해 타액이 유입되면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고흡수성수지와; 상기 제2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흡수성수지가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여 상기 격리부를 밀어내는 경우 제2연통부를 통해 점착층에 배출되는 약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간은 제1연통부와 연통되며 상기 제2공간은 제2연통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취용 구강 패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16898A 2018-02-12 2018-02-12 마취용 구강 패치 KR102067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898A KR102067331B1 (ko) 2018-02-12 2018-02-12 마취용 구강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898A KR102067331B1 (ko) 2018-02-12 2018-02-12 마취용 구강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451A KR20190097451A (ko) 2019-08-21
KR102067331B1 true KR102067331B1 (ko) 2020-01-16

Family

ID=6780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898A KR102067331B1 (ko) 2018-02-12 2018-02-12 마취용 구강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3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676A (ko) * 1992-10-06 1994-05-16 서정욱 구강용 국소 마취제-함유 패취(patch)제
KR19980023363A (ko) * 1996-09-30 1998-07-06 김상응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겔을 이용한 약물방충 제어 제제
DE10252726B4 (de) * 2002-11-13 2008-05-08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Mehrschichtiges transmucosales therapeutisches System
KR101540318B1 (ko) * 2013-10-25 2015-07-30 한국원자력연구원 수면마취용 구강점막 부착형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EP3381448A4 (en) * 2015-11-25 2019-07-24 TBM Company HEMOSTATIC AND WOUND PROTECTION MOUSING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451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790B2 (en) Adhesive applicators with improved applicator tips
US20080140002A1 (en) System for delivery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with actuating three dimensional surface
JP2004537353A5 (ko)
KR102067330B1 (ko) 구강 상처 치료용 패치
EP1562669A4 (en) DEVICE WITH AN EXPANDABLE PART FOR MEDICINAL RELEASE
EP2289572A3 (en) Therapeutic agent delivery device with controlled therapeutic agent release rates
JP7384894B2 (ja) 超音波式膀胱治療用薬剤送達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8003334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or blocking blood flow to a selected blood vessel or part thereof
WO2018201257A1 (en) Absorbent biophotonic devices and systems for wound healing
WO2004010975A3 (en) Controlled drug delivery
KR20110102922A (ko) 감압을 이용하여 조직 부위와 연관된 액체 흐름을 관리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TE513567T1 (de) Medikament enthaltender klebstoff
CZ2004681A3 (cs) Náhrada meziobratlové ploténky neboli protéza pro náhradu jádra
MX2007008923A (es) Microserpentin implantable con superficie de porosidad microscopica.
CA2160406A1 (en) Stent which can be implanted into a vessel body
KR101791954B1 (ko) 골식립형 투약 임플란트
WO2001066036A3 (en) Intraluminar perforated radially expandable drug delivery prosthesis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A2492703A1 (en) Autologous wound sealing apparatus
KR102067331B1 (ko) 마취용 구강 패치
US10046150B2 (en) Lysine delivery systems for blood coagulation
KR102067329B1 (ko) 구내염 치료용 패치
JP2020110624A (ja) 組織照射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方法およびキット
US20230346694A1 (en) Devices for treatment of bleeding in body lumens or spaces, including epistaxi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5498073A (zh) 携带药物粒子的可降解植入导管
MY135881A (en) Disposable di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