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752B1 - 커피 머신 - Google Patents

커피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752B1
KR102066752B1 KR1020130083082A KR20130083082A KR102066752B1 KR 102066752 B1 KR102066752 B1 KR 102066752B1 KR 1020130083082 A KR1020130083082 A KR 1020130083082A KR 20130083082 A KR20130083082 A KR 20130083082A KR 102066752 B1 KR102066752 B1 KR 102066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lder
holder
coffee machine
filter
machin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4803A (ko
Inventor
안드리스 샤트레벤
Original Assignee
멜리타 유로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멜리타 유로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멜리타 유로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24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47J31/0573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with flow through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8Clips, rings, hooks, or like devices to support filter parts while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파우더로 채워지는 필터가 삽입될 수 있는 필터 홀더(6) 및 상기 필터 홀더(6)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상기 필터 홀더(6)용 홀더(7)를 포함하는 커피 머신에 관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필터 홀더(6)의 고정된 위치에서 커피로 채워질 수 있는 용기(10)가 상기 필터 홀더(6)의 배출구(14) 아래에 배치되는 커피 머신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6)는 상기 홀더(7)에서 래칭 매커니즘(20)에 의해 래칭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머신{COFFEE MACHINE}
본 발명은 커피 파우더로 채워지는 필터가 삽입될 수 있는 필터 홀더 및 필터 홀더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필터 홀더용 홀더를 포함하고, 필터 홀더의 고정된 위치에서 커피로 채워질 수 있는 용기가 필터 홀더의 배출구 아래에 배치되는 커피 머신에 관한 것이다.
커피 파우더를 포함하는 필터 페이퍼가 배치된 필터 홀더 내로 추출 유닛이 뜨거운 물을 유입시키는 커피 머신들이 공지되어 있다. 필터 홀더 아래에 배치된 용기를 추출된 커피로 채울 수 있도록 필터 홀더의 베이스에 배출구가 제공된다. 필터 홀더는 대개 필터 홀더의 상부 가장자리에 배치된 가이드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필터 교체를 위해 먼저 필터 홀더는 뜨거운 물을 위한 충전 영역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하고, 사용된 필터 페이퍼의 폐기를 위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필터 홀더를 제거하기 위해 여러 단계가 실시되어야 하는데, 이는 번거롭게 느껴진다. 또한, 필터 홀더는 용기가 배출구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보장되도록 하기 위해, 용기 상부의 명확한 위치에 위치설정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배출구에 폐쇄 가능한 밸브가 제공되는 경우에, 용기는 필터 홀더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어야 한다. 다수의 커피 머신들은 필터 홀더의 위치 설정 오류에 대해 안전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필터 홀더의 간단한 제거와 삽입이 가능하고 필터 홀더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보장되는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커피 머신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필터 홀더는 커피 머신의 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 경우 필터 홀더는 래칭(latching) 매커니즘에 의해 홀더에 래칭될 수 있다. 래칭 매커니즘에 의해 홀더에서 필터 홀더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보장될 수 있고, 이 경우 래칭 매커니즘의 래칭 해제 시 필터 홀더를 간단히 분리함으로써 분해와 장착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필터 홀더는 래칭된 위치에서 홀더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는 오작동을 방지하고 추출 과정 동안 필터 홀더의 의도치 않은 이동을 저지한다. 필터 홀더를 래칭 해제하기 위해, 작동 부재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작동 부재는 분리 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된다.
래칭 매커니즘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래치(latch)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홀더에 래칭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래치는 스프링에 의해 래칭 위치로 예비 응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홀더에 필터 홀더의 장착시 래치의 간단한 록킹이 이루어진다. 2개의 래치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래치들은 스프링에 의해 마주하는 방향으로 예비 응력을 받으므로, 홀더에서 필터 홀더의 안정적인 래칭이 유지된다.
간단한 작동을 위해 필터 홀더는 그립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에 작동 부재가 배치된다. 이로 인해, 한 손 작동이 가능하고, 이 경우 필터 홀더는 손으로 그리핑되는 동시에 작동 부재가 작동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한 손으로 커피 머신에서 필터 홀더를 제거할 수 있고, 예컨대 수평 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다시 장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필터 홀더용 홀더는 필터 홀더의 하부 영역에서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로써 특히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홀더는 배출구에 인접하게 필터 홀더의 위치 설정을 제공하고, 이는 특히 배출구에 밸브의 배치 시 높은 작동 안전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필터 홀더용 홀더를 필터 홀더의 상부 가장자리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필터 홀더의 하단부에 배치는 특히 콤팩트한 구성을 제공한다. 홀더는 홀딩 바로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딩 바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커피 머신의 바디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한다. 홀딩 바는 필터 바에 있는 돌출부를 위한 V 형상의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필터 바는 래칭 매커니즘의 록킹 하에 V 형상의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다.
필터 홀더는 바람직하게 베이스측에 돌출한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장자리는 평평한 표면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장자리는 설치가 가능해지도록 필터 홀더의 하측면에서 돌출하고, 이는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가장자리 내에 래칭 매커니즘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래칭 매커니즘의 기계 장치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소수의 부품들만으로 래칭 매커니즘의 구성을 위해 작동 부재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래치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래치는 필터 홀더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작동 부재는 하나 이상의 밴딩 가능한 웨브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래치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작동 부재의 이동 시 래치는 적절하게 래칭 위치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머신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필터 홀더의 래칭 매커니즘의 사시도.
도 4는 장착된 위치에서 필터 홀더를 밑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장착 시 래칭 매커니즘을 포함하지 않는 필터 홀더의 저면도.
도 6 및 도 7은 상이한 위치에서 필터 홀더의 래칭 매커니즘의 2개의 도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필터 홀더의 래칭 매커니즘의 세부도.
커피 머신(1)은 물 탱크(2)를 포함하고, 상기 물 탱크는 제어 장치와 물의 가열을 위한 가열 장치, 펌프 및 해당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유닛(3) 위에 설치된다. 유닛(3)은 베이스 플레이트(4) 위에 배치된다.
커피 머신(1)의 상부면에 수평으로 돌출하는 관(5)이 배치되고, 상기 관에 의해 뜨거운 물이 필터 홀더(6) 내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 홀더(6)에 필터, 예를 들어 커피 파우더가 담긴 필터 페이퍼가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필터 홀더(6)는 홀더(7)를 통해 커피 머신(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필터 홀더(6)는 작동 부재(9)를 가진 보우(bow) 형태의 그립(8)을 포함한다. 필터 홀더(6)의 하부에 용기(10), 특히 그립 섹션(11)을 가진 유리 포트가 제공되고, 상기 포트는 베이스 플레이트(4)의 가열 플레이트(12) 위에 배치된다.
도 2에는 필터 홀더(6)가 상세히 도시된다. 작동 부재(9)를 그립(8)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그립(8)에 홈 또는 리브 형태의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재(3)가 배치된다.
필터 홀더(6)는 하단부를 향해 쐐기 형태로 또는 원뿔대 형태로 테이퍼링 되고, 하단부를 향한 배출구(14)를 갖고, 상기 배출구는 밸브(15)에 의해 폐쇄 가능하다. 밸브(15)는 레버(16)에 의해 개방될 수 있고, 상기 레버는 용기(10)가 필터 홀더(6) 아래로 끼워 넣어지는 경우에 선회된다.
필터 홀더(6)에 실질적으로 수평인 외부 필터 디스크(17)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디스크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오버 플로우 시 커피를 포트 내로 안내하는데 이용된다. 이를 위해 필터 홀더(6)의 외부면에 적절한 안내 장치와 오버 플로우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홀더(6)의 하부면(18)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평평한 표면 위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필터 홀더(6)의 하부 영역에 래칭 매커니즘(20)이 배치되고, 상기 매커니즘은 배출구(1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래칭 매커니즘(20)은 2개의 래치(21)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홀더(7)에서 래칭될 수 있다.
도 3에는 래칭 매커니즘(20)이 작동 부재(9)와 함께 도시된다. 작동 부재(9)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2개의 래치(21)에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래치(21)는 레버(22)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레버는 필터 홀더(6)의 축을 맞추어 넣기 위한 개구(23)를 포함한다. 또한, 레버(22)는 밴딩될 수 있는 웨브(24)를 통해 작동 부재(9)의 플레이트 형태의 섹션(25)에 연결된다. 작동 부재(9)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재(2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그립(8)의 가이드 부재와 함께 작용하므로, 작동 부재(9)는 그립(8)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2개의 래치(21)는 스프링(28)에 의해 외부로 예비 응력을 받고, 이 경우 홀더(7) 내로 삽입 시 래치(21)를 압축하기 위해 래치(21)의 외부면에 런 업 챔퍼(27)가 형성된다.
도 4에는 홀더(7)에 장착된 위치에서 필터 홀더(6)가 도시된다. 개구(23)는 회전 가능하게 필터 홀더(6)에 지지되고, 래치(21)는 스프링(28)에 의해 외부로 가압되고, 필터 홀더(6)의 하부면에 있는 가장자리(60)와 맞물린다. 가장자리(60)는 쐐기 형태로 테이퍼링 되고, 피크(61)를 포함하고, 이 경우 가장자리(60)와 피크(61)는 바 형태의 홀더(7)에 있는 실질적으로 V 형상의 수용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밸브(15)가 도시되고, 상기 밸브는 레버(16)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래칭된 위치에서 래치(21)는 홀더(7)의 수용부에 결합하므로, 필터 홀더(6)가 홀더(7)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저지된다.
도 5에는 래치 매커니을 포함하지 않는 필터 홀더(6)의 장착을 도시한다. 홀더(7)는 홀딩 바로서 형성되고, 상기 홀딩 바는 실질적으로 V 형상의 수용부(73)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2개의 레그(70)로 둘러싸인다. 각각의 레그(70)의 내측면에 래치(21)를 위한 수용부(71)가 형성된다. V 형상의 수용부(73)는 내벽(72)을 갖고, 상기 내벽은 필터 홀더(6)의 하부면에 있는 가장자리(60) 및 피크(61)를 둘러싼다. 필터 홀더(6)는 추가로 하부 영역에 링형 외부 가장자리(62)를 포함하고, 상기 가장자리는 2개의 웨브(63)까지 연장되고, 상기 웨브들은 그립(8)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가장자리(60), 피크(61), 가장자리(62) 및 웨브(63)는, 필터 홀더(6)를 위한 평평한 하부 지지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는 필터 홀더(6)의 래칭 매커니즘(20)이 상세히 도시된다. 도 6에는 래칭 위치에서 래칭 매커니즘(20)이 도시되고, 상기 위치에서 스프링(28)은 래치(21)를 외부로 가압한다. 작동 부재(9)가 그립(8)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에, 도 7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한다. 작동 부재(9)가 도 7의 우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웨브(24)도 상응하게 이동되고, 이로써 레버(22)는 개구(23) 내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레버(22)의 선회에 의해 래치(21)는 스프링(28)의 힘에 대항해서 내측으로 가압되어 홀더(7)의 수용부(71)와 결합 해제된다. 필터 홀더(6)는 이제 저항 없이 홀더(7)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커피 파우더용 필터가 교체될 수 있다. 후속해서 필터 홀더(6)는 다시 홀더(7)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이 경우 래치(21)를 가압하기 위해 작동 부재(9)가 선택적으로 당겨질 수 있거나 또는 필터 홀더(6)의 삽입 시 래치의 런 업 챔퍼(27)는 홀더(7)의 래그(70)와 결합하고 이로써 가압된다. 필터 홀더(6)의 삽입 시 수용부(71)에서 래치(21)의 록킹이 이루어진다.
도 8에는 래치(21)의 래칭 위치가 상세히 도시된다. 래치(21)는 스프링(28)에 의해 수용부(71) 내로 가압되므로, 필터 홀더(6)의 분리가 저지된다. 2개의 래치(21)가 배치됨으로써, 불가피하게 존재하는 공차가 보상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래치(21)는 홀더(7)에서 필터 홀더(6)를 래칭하기 위해 제공된다. 물론, 하나의 래치(21) 또는 2개 이상의 래치(21)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작동 부재(9)는 삽입 이동 대신 다른 기계 장치에 의해 래칭 해제 또는 래칭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래칭 매커니즘을 위해 다수의 부품들 및 다른 래칭 매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1 커피 머신
2 물 탱크
3 유닛
4 베이스 플레이트
5 관
6 필터 홀더
7 홀더
8 그립
9 작동 부재
10 용기
11 그립 섹션
12 가열 플레이트
13 가이드 부재
14 배출구
15 밸브
16 레버
17 필터 디스크
18 하부면
20 래칭 매커니즘
21 래치
22 레버
23 개구
24 웨브
25 섹션
26 가이드 부재
27 런 업 챔퍼
28 스프링
60 가장자리
61 피크
62 가장자리
63 웨브
70 레그
71 수용부
72 내벽
73 수용부

Claims (15)

  1. 커피 파우더로 채워지는 필터가 삽입될 수 있는 필터 홀더(6) 및 상기 필터 홀더(6)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상기 필터 홀더(6)용 홀더(7)를 포함하는 커피 머신으로서, 이 경우 상기 필터 홀더(6)의 고정된 위치에서 커피로 채워질 수 있는 용기(10)가 상기 필터 홀더(6)의 배출구(14) 아래에 배치되는 커피 머신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6)는 상기 홀더(7)에서 래칭 매커니즘(20)에 의해 래칭될 수 있고,
    상기 래칭 매커니즘(20)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래치(21)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홀더(7)에 래칭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치(21)는 스프링(28)에 의해 래칭 위치로 예비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6)가 래칭된 위치에서 상기 홀더(7)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6)를 래칭 해제하기 위해 작동 부재(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6)는 그립(8)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에는 작동 부재(9)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6)용 홀더(7)는 상기 필터 홀더(6)의 하부 영역에서 배출구(14)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7)는 홀딩 바로서 형성되고, 상기 홀딩 바에서 필터 홀더(6)가 래칭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바는 상기 필터 홀더(6)에 있는 돌출부(60, 61)를 위한 실질적으로 V형상의 수용부(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6)에 있는 돌출부(60, 61)는 래칭 매커니즘(20)의 록킹 하에 상기 V형상의 수용부(73)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6)는 베이스측에 돌출한 가장자리(60, 61, 62, 63)를 포함하고, 상기 가장자리는 평평한 표면에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9)는 상기 래칭 매커니즘(20)의 적어도 하나의 래치(2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치(21)는 상기 필터 홀더(6)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9)는 적어도 하나의 밴딩 가능한 웨브(24)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래치(2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6)의 배출구(14)에 폐쇄 가능한 밸브(1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
KR1020130083082A 2012-08-21 2013-07-15 커피 머신 KR102066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2103158U DE202012103158U1 (de) 2012-08-21 2012-08-21 Kaffeemaschine
DE202012103158.2 2012-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803A KR20140024803A (ko) 2014-03-03
KR102066752B1 true KR102066752B1 (ko) 2020-01-15

Family

ID=4890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082A KR102066752B1 (ko) 2012-08-21 2013-07-15 커피 머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75113B2 (ko)
EP (1) EP2700337B1 (ko)
KR (1) KR102066752B1 (ko)
DE (1) DE202012103158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06B1 (ko) * 2014-04-15 2014-12-05 최선호 자동 커피 드립장치
USD783209S1 (en) * 2016-03-08 2017-04-04 Kerry Morris Telescopic pet food funnel with handle
BR112019019267A2 (pt) * 2017-04-18 2020-04-14 Novadelta Comercio Ind Cafes Sa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bebidas com retenção optimizada de recipientes de bebidas
DE202017102438U1 (de) 2017-04-25 2018-07-26 Melitta Europa Gmbh & Co. Kg Glaskanne
WO2019000012A1 (en) * 2017-06-30 2019-01-03 Breville Pty Limited DRIP FILTER COFFEE MACHINE
KR102232318B1 (ko) * 2019-06-18 2021-03-25 마노코리아 주식회사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USD961977S1 (en) * 2019-07-02 2022-08-30 EnE Holdings Limited Coffee maker with rotating panel
DE202019103927U1 (de) 2019-07-16 2019-07-25 Melitta Europa Gmbh & Co. Kg Vorrichtung zur Zubereitung von Kaffee
DE102020101086A1 (de) 2020-01-17 2021-07-22 Melitta Single Portions Gmbh & Co. Kg Maschine und Verfahren zur Zubereitung eines Heißgetränkes
DE102020124966A1 (de) 2020-09-24 2022-03-24 10X Innovation GmbH & Co. KG Filterhalter und Kaffeemaschine
CN112656220B (zh) * 2021-01-19 2022-07-19 六安索伊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带电流检测功能的咖啡冲泡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5031A (ja) 1995-12-28 2000-11-14 クレアホーリック エス.アー. コーヒーマシン
US20020083844A1 (en) 2000-12-20 2002-07-04 Peter Dam Apparatus for preparing beverages
WO2009006379A2 (en) 2007-07-02 2009-01-08 Appliance Development Corporation Hot beverage brewing appratu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3478A (en) * 1966-06-23 1967-09-26 Charter Design And Mfg Corp Automatic coffee maker
US3793935A (en) * 1972-05-11 1974-02-26 Bunn O Matic Corp Coffee making machine convertible between funnel-filter operation and pouch pack operation
CH616064A5 (en) * 1977-03-11 1980-03-14 Widmann Gottlob Wigo & Soehne Electric coffee-maker with a coffee filter
DE8702616U1 (ko) * 1987-02-20 1987-04-16 Robert Krups Stiftung & Co Kg, 5650 Solingen, De
US4872402A (en) * 1988-07-06 1989-10-10 Black & Decker Corporation Carafe-operated coffee brewing system
DE8815832U1 (ko) * 1988-12-21 1990-01-25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De
US5133247A (en) * 1991-01-11 1992-07-28 Mr. Coffee, Inc. Coffee maker
US5240722A (en) * 1992-05-06 1993-08-31 Panagiotis Louridas Prepared package for making a hot beverage
US5335589A (en) * 1993-08-02 1994-08-09 Yerves Jr Kenneth A Multiple beverage dispenser
NL9302082A (nl) * 1993-11-30 1995-06-16 Smitdesign Bv Koffiezetapparaat met wegneembaar anti-lekkage filter.
US5555791A (en) * 1995-05-09 1996-09-17 Grindmaster Corporatio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rticulating basket holding arms for baskets having varying dimensions
US6047630A (en) * 1998-02-16 2000-04-11 Be Aerospace, Inc. Beverage brewing device having an integral beverage server locking apparatus
WO2004089174A1 (en) * 2003-04-04 2004-10-21 Bunn-O-Matic Corporation Funnel block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DE10335824B4 (de) * 2003-08-05 2013-05-2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rühgetränkemaschine
DE102008023462B4 (de) * 2008-05-14 2018-08-02 BSH Hausgeräte GmbH Schublade einer Kaffeemaschine
DE202008015035U1 (de) * 2008-11-13 2009-01-29 SEVERIN ELEKTROGERÄTE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Brühgetränk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5031A (ja) 1995-12-28 2000-11-14 クレアホーリック エス.アー. コーヒーマシン
US20020083844A1 (en) 2000-12-20 2002-07-04 Peter Dam Apparatus for preparing beverages
JP2004516055A (ja) 2000-12-20 2004-06-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飲料調製装置
WO2009006379A2 (en) 2007-07-02 2009-01-08 Appliance Development Corporation Hot beverage brewing app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0337A1 (de) 2014-02-26
EP2700337B1 (de) 2016-06-29
KR20140024803A (ko) 2014-03-03
US20140165848A1 (en) 2014-06-19
US9375113B2 (en) 2016-06-28
DE202012103158U1 (de)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752B1 (ko) 커피 머신
RU2723128C2 (ru) Подъемный механизм крышки дозатора для жидкостей
EP1721553A1 (en) Infusion assembly for beverage preparing machine
EP2550902B1 (en) Water drawer and appliance comprising water tank
KR101610237B1 (ko) 압력밥솥 뚜껑 개폐장치
JP6817304B2 (ja) ピペットチップ収容容器及びそれを提供する方法
AU2009214397A1 (en) Device for unlocking foldable side walls of boxes and containers
AU2018366936B2 (en)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liquid tank
CN109072536A (zh) 具有用于钙化沉积物的收集舱的蒸汽熨斗
US11103099B2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US20210015293A1 (en) Device for preparing coffee
US11485524B2 (en) Filling device for filling an aerosol container with a liquid
KR20150130918A (ko) 물티슈 가열 장치
KR101062046B1 (ko)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한 조리용기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탈,부착되는 손잡이
CN103313637B (zh) 烹饪器具的可拆卸握持装置
EP1944167A2 (en) Outer cover for ink cartridges
JP7177430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05522255A (ja) 飲料調製装置
JP2018015570A (ja) 飲料調製装置用の貯蔵タンクシステム
US10130214B2 (en) Thermos flask
CN213786646U (zh) 饮用容器的盖组件、饮用容器和盖组件的内部机构
DK3122218T3 (en) thermos
KR101379755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102495584B1 (ko) 웨트 티슈 워머
CN218528484U (zh) 容器盖及液体加热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