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677B1 - Device for curing snore and sleep apnea syndrome - Google Patents

Device for curing snore and sleep apnea syndro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677B1
KR102066677B1 KR1020190079395A KR20190079395A KR102066677B1 KR 102066677 B1 KR102066677 B1 KR 102066677B1 KR 1020190079395 A KR1020190079395 A KR 1020190079395A KR 20190079395 A KR20190079395 A KR 20190079395A KR 102066677 B1 KR102066677 B1 KR 102066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spring
lower body
sleep apnea
sno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화
Original Assignee
이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화 filed Critical 이창화
Priority to KR1020190079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6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6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uring snoring and a sleep apnea syndro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curing snoring and a sleep apnea syndrome, which allows a law jaw to protrude further forward than an upper jaw to secure a space between a pharynx wall and a surrounding soft tissue so as to prevent and cure snoring and a sleep apnea syndro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body is guided to a front side by using a supporter and a compressive spring with elastic force. Accordingly, when a wearer moves a jaw joint in a nonconscious or semiconscious state during sleep, movement of the lower part is allowed by the elasticity of the compressive spring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force thereof. Accordingly, in comparison with existing technology (the lower body is alway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during sleep),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or minimize inflammation and pain (tingling and the like) of a jaw joint.

Description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DEVICE FOR CURING SNORE AND SLEEP APNEA SYNDROME}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device {DEVICE FOR CURING SNORE AND SLEEP APNEA SYNDROME}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악을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시켜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 간의 공간을 확보하여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을 예방 및 치료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the snoring and sleep apnea to prevent and treat snoring and sleep apnea by securing a space between the pharyngeal wall and the surrounding soft tissue by protruding the lower jaw forward An apnea treatment apparatus.

일반적으로, 수면 중 호흡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산소 공급의 저하로 인해 뇌 손상, 기억력 감퇴, 혈압 이상, 심장 질환 등을 유발시켜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이 있다. In general, when breathing disorders occur during sleep, a decrease in oxygen supply causes brain damage, memory loss, abnormal blood pressure, and heart disease, which are known to cause serious health problems. Representative symptoms include snoring and sleep. There is apnea.

코골이는 호흡시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호흡시 내부를 흐르는 호흡 기류가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와 구개수 등과 같은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하는 현상(호흡 잡음)을 말한다. Snoring is caused by the narrowing of the gap between the pharyngeal wall and the surrounding soft tissue during breathing, and is caused by vibrations in surrounding structures such as soft palate and palate, as the respiratory air flows through the narrowed airway. Refers to a phenomenon (breathing noise).

수면 무호흡증은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이 지나치게 이완되어 연조직이 인두벽과 밀착되어 발생되는 현상으로, 공기의 흐름이 일부 차단되면서 기도가 일시적으로 막혀 공기의 공급이 일시적으로 차단됨으로써 호흡 정지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Sleep apnea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pharyngeal wall and the surrounding soft tissue are so relaxed that the soft tissu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haryngeal wall.A part of the air flow is temporarily blocked and the air supply is temporarily blocked, which temporarily stops the air supply. Say.

이러한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은 장시간 지속될 경우 만성 피로 및 두통은 물론, 심지어는 부정맥,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좌심실부전, 폐 질환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코골이가 당뇨병이나 녹내장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하는 한편, 발기부전 등과 같은 비뇨기과 관련 질환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Snoring and sleep apnea are known to cause chronic fatigue and headache, as well as arrhythmia, hypertension, ischemic heart disease, left ventricular failure, and lung diseases when prolonged. Snoring has also been reported to exacerbate or cause diabetes or glaucoma, and to cause urological related diseases such as erectile dysfunction.

이에 이러한 수면 중의 호흡장애 증상인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완화 및 치료하기 위한 방안으로 호흡장치 등을 이용한 비수술법과 각종 수술법 등이 알려져 있다. 호흡장치는 장치의 설치 및 착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고, 수술법은 고통이 따르고 항구적인 치료 결과를 얻기 어렵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In order to alleviate and treat snoring and sleep apnea, which are symptoms of respiratory failure during sleep, non-surgical methods and various surgical methods using a breathing apparatus are known. The respiratory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and wearing of the device is cumbersome, and the surgical method is pointed out that the pain is difficult,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a permanent treatment result.

호흡장치 이외에 비수술법으로 구강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구강내 장치는 유형별로 하악을 전방으로 위치시켜 주는 하악 전방 위치장치(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 혀만을 전방으로 당겨주는 혀 유지장치(tongue retaining device; TRD), 그리고 연구개 거상장치(soft palatal lifter)의 세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 모두 충분한 공기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구조로 된 것이다.Intraoral devices are being used for non-surgical methods in addition to breathing devices. Intraoral devices include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 that positions the mandible forward by type, a tongue retaining device (TRD) that pulls the tongue forward only, and a soft palatal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of lifters, all of which are structured to secure sufficient air passages.

이중 하악 전방 위치장치는 1982년부터 2002년 까지 보고된 40 여편의 관련 논문을 종합하여 보면, 하악 전방 위치장치의 착용 시 코골이는 87.5%,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호흡 장애지수(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는 55.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면에서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에 모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Of the 40 related papers reported from 1982 to 2002, the lower mandibular anterior position device showed 87.5% of snoring when the mandibular anterior position device was worn and the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of patients with sleep apnea. ) Has been shown to decrease by 55.7%, which is known to be effective in both snoring and sleep apnea.

하악 전방 위치장치와 관련한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56672호에서 제안되었다. An example related to the mandible anterior positioning device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85667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56672호에서는 사용자의 윗니가 상부몸체에 안착되고 사용자의 아랫니가 하부몸체에 안착되면 상기 하부몸체가 상기 상부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인두부근의 기도를 개방 상태로 유지시켜 확장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의 교정구가 제안되었다. In Korean Patent No. 10-856672, when the upper teeth of the user are seated o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teeth of the user are seated on the lower body, the lower body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upper body to maintain the airway of the pharyngeal muscle in an open state. A snoring and sleep apnea corrector has been proposed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of a user.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56672호에서 제안된 교정구는 상하 또는 좌우로의 움직임이 극히 제한될 뿐만 아니라 하부몸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수면 시간 동안 하부몸체가 상부몸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위치하게 됨으로 턱관절에 무리한 힘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염증이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orthodontic tool proposed in Korean Patent No. 10-856672 is not only limited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or right and left, but also include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body lower body body than the upper body during the sleeping time Due to the protruding position, excessive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jaw joint, causing inflammation or pain.

이외에도, 상하 또는 좌우로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6416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42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52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3896호 등이 제안되었다.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64166,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54279,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45285,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 1663896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6416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42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3896호에서는 나사(screw)를 사용하여 하악을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56672호와 마찬가지로 턱관절에 무리한 힘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자고 일어나면 통증(얼얼한 느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64166,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54279,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63896 is a technique for protruding the mandible forward by using a screw,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 Like -856672, there was a problem that pain (a feeling of tingling) occurred when sleeping caused by excessive forc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jaw join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64166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5285호에서는 턱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악 전방 유도 와이어 부재를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SMA) 스프링이나 합성섬유밴드를 이용하여 클립(clib) 형태로 제작하여 통증을 완화하고자 하였으나, 구조가 다소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64166 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45285, the mandible anterior guide wire member is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SMA) spring or synthetic fiber so as not to overdo the jaw joint. By using a band to produce a clip (clib) form to relieve the pain, but the structure was somewhat complicated disadvantages.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64166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5285호에서는 와이어 부재가 클립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 탄성력(복원력)이 저하되어 치료 효과가 미흡하였고, 버팀부재(고정부재)가 와이어 부재에 지지되는 과정에서 경사진 와이어 부재의 외면을 따라 미끄러져 안정적인 지지가 어렵고, 단단한 재질과 부드러운 재질의 구성으로 파절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64166 an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45285 In accordance with the wire memb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clip, the elastic force (restoration force) is lowered during long-term use is insufficient treatment effect, Slid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clined wire member in the process of the member (fixing member) is supported by the wire member is difficult to support stabl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racture occurs by the configuration of a hard material and a soft material.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하악 전방 위치장치들은 하악을 전방으로 돌출시키기 위해 나사나 클립(와이어), 자석 등을 이용함에 따라 턱관절에 무리한 힘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염증 뿐만 아니라 자고 일어나면 통증(얼얼한 느낌 등)이 발생하였다. As described above, the mandible anterior positioning devic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tinuously use excessive force on the jaw joint by using screws, clips (wires), magnets, etc. to protrude the mandible forward, and not only inflammation but also pain when sleeping. And the like).

다만, 클립과 같은 와이어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턱관절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탄성을 통해 일부 완화시킬 수도 있으나 와이어가 외부로 돌출되어 착용시 이질감을 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사용이 불편하였고, 와이어 부재의 구조적인 특성상 지지력이 저하되었으며, 장시간 사용시 단단한 재질과 부드러운 재질의 구성으로 인해 가압력이 가해지는 부위에 파절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wire member such as a clip, the pressure applied to the jaw joint may be partially relieved through elasticity, but the wire protrudes to the outside to give a sense of heterogeneity when worn and the installation is inconvenient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ire member, the bearing capacity was lowered,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fracture occurred at the place where the pressing force was applied due to the hard material and the soft material composition.

KR 10-0856672 B1, 2008. 08. 29.KR 10-0856672 B1, 2008. 08. 29. KR 10-2010-0064166 A, 2010. 06. 14.KR 10-2010-0064166 A, June 14, 2010 KR 10-2013-0045285 A, 2013. 05. 03.KR 10-2013-0045285 A, 2013. 05. 03. KR 10-1663896 B1, 2016. 09. 30.KR 10-1663896 B1, 2016. 09. 30. KR 10-1654279 B1, 2016. 08. 30.KR 10-1654279 B1, 2016. 08. 3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착용 중 턱관절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을 완화하여 턱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여 염증이나 통증 발생을 억제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가 용이하면서 구강 내 착용시 착용감이 우수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reduc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jaw joint continuously while wearing so as not to overdo the jaw joint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inflammation or pain, the installation is simp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device that is easy to wear and has excellent comfort when worn in the mouth.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악에 장착되는 상부몸체; 하악에 장착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하부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몸체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몸체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돌출시키는 하악 전방 유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악 전방 유도부재는 상기 상부몸체의 측부 또는 교합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압축 스프링; 상기 압축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ounted to the upper body; A lower body mounted on the lower jaw; And a mandible front guide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body or the lower body to move the lower body forwar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distance relative to the upper body, and the mandible front guide member is side or occlusal of the upper body. A fixed part fixed to the part; A compression spring received inside the fixing part; A support coupled to the compression spring and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compression spring; And the support is coupled, and provides a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moving unit for moving the lower body forward by the support.

바람직하게, 상기 하악 전방 유도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해 통해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부를 가압 및 해제하여 상기 하부몸체가 돌출되는 거리를 조정하는 한편,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 저하를 보상하는 조정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andible front guide member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through a screw hole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the distance in which the lower body protrudes by pressing and releasing one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screw for compensa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상부몸체에 교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악 전방 유도부재의 압축 스프링,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이동부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로부터 3mm~5mm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lower body is maintained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upper body by 3mm ~ 5mm forward by the compression spring, the support and the moving portion of the lower front guide member in the state of mating to the upper body. can do.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수용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수용홈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 스프링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mpression spring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is received therein, one end of the support is coupled to the compression spring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ixing portion can d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본 발명은 지지대와 탄성력을 갖는 압축 스프링을 이용하여 하부몸체를 전방으로 유도함으로써 수면 중 착용자가 무의식 또는 반의식 상태에서 턱관절을 움직이는 경우, 그 힘의 크기에 대응하여 압축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하부몸체의 움직임이 가능함에 따라 종래기술(하부몸체가 수면 중에 항상 고정된 상태로 유지)과 대비하여 턱관절의 염증 및 통증(얼얼한 느낌 등)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the lower body by using a compression spring having a support and elastic force to the front when the wearer moves the jaw joint in the unconscious or semi-conscious state during sleep,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As the lower body can be mo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minimize inflammation and pain of the jaw joint in comparison with the prior art (the lower body is always kept fixed during sleep).

또한, 본 발명은 수면 중 착용자가 무의식 또는 반의식 상태에서 턱관절에서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압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몸체가 원위치(3mm~5mm 돌출된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 증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arer is unconscious or semi-conscious during sleep, the force applied to the jaw joint is removed, the snoring or sleep apnea symptoms by returning the lower body to the original position (protruded state of 3mm ~ 5mm)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둘째, 본 발명은 압축 스프링이 고정부(또는 이동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체가 수용되어 밀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아 착용시 이질감으로 인한 거부감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파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compression spring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xed part (or moving part) to be housed and sealed so that the compression spring is not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feeling of rejection due to heterogeneity does not occur when worn and is used for a long time. Even if the problem does not occur, such as fracture can improve the life of the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device.

셋째, 본 발명은 조정나사를 통해 하부몸체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각 착용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하악 전방 유도부재를 제조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 저하를 보상해줌으로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의 수명을 종래기술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Thir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manufacture the lower mandible front guide member according to the oral structure of each wearer by finely adjusting the distance that the lower body protrudes forward through the adjustment screw, and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the compression spring By compensating for the decrease in elastic force, the lifespan of the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prior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와 압축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하악 전방 유도부재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and the compression spring shown in FIG.
4 and 5 show the mandible anterior guid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the terms used (discus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In addition, compon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includes (or includes)'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upper portion of the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ody and the lower body is engag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기구는 착용자의 상악에 장착되는 상부몸체(10)와, 착용자의 하악에 장착되어 상부몸체(10)와 교합되는 하부몸체(20)와, 상부몸체(10) 또는 하부몸체(20)에 설치되어 하부몸체(20)를 전방으로 밀어 돌출시키는 하악 전방 유도부재(3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pper body 10 mounted on the wearer's upper jaw, and the lower body of the wearer occlusion with the upper body 10. The lower body 20 and the lower body 20 is installed on the lower body 20 or lower body 20 includes a lower front induction member 30 for pushing the lower body 20 forward.

상부몸체(10)는 착용자의 윗니와 윗 잇몸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윗니 삽입홈부(10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그 재질은 경성 또는 반경성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명, 유색 또는 반투명 등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body 10 is provided with an upper teeth insertion groove 10a whose upper part is opened so that a part of the upper teeth of the wearer and the upper gum is inserted. The material may be made of a hard or semi-rigid resin, and may be made of various colors such as transparent, colored, or translucent.

하부몸체(20)는 착용자의 아랫니와 아래 잇몸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아랫니 삽입홈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고, 그 재질은 경성 또는 반경성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명, 유색 또는 반투명 등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ower body 20 is provided with a lower teeth insertion groove (not shown),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open so that a part of the lower teeth of the wearer and the lower gum is inserted, and the material may be made of a rigid or semi-rigid resin, and is transparent, colored or translucent. It can be made in various colors.

이러한 하부몸체(20)는 하악 전방 유도부재(30)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양측부 또는 상부몸체(10)와 교합되는 교합부에 하악 전방 유도부재(30)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을 하부몸체(20)로 전달하는 지지부재(21)가 형성된다. The lower body 20 applies a pressing force applied from the lower front induction member 30 to an occlusal portion engaged with both sides or the upper body 10 so as to move forward by the pressing force applied from the lower front induction member 30. The support member 21 is transmitted to the lower body 20.

지지부재(21)는 도 1과 같이, 하악 전방 유도부재(30)에 걸림되도록 하부몸체(20)의 양측부에서 상부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일부가 하부몸체(20)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혹은 별도의 체결부재(나사 등)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member 21 is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2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wer front induction member 3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body 20. It may be fixed or may be fixed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member (screw, etc.).

이러한 지지부재(21)는 하부몸체(20)의 양측부에 서로 대칭하도록 각각 설치되고, 그 구조 및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전달부재(21)는 하악 전방 유도부재(3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구조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블럭(삼각형 블럭, 사각형 블럭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se support members 21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20, the structure and shape is not limited.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21 can be applied to any structure that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mandible front induction member 30. For example, it may consist of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blocks (triangle blocks, square blocks, etc.).

하악 전방 유도부재(30)는 도 2와 같이, 하부몸체(20)에 형성된 지지부재(21)에 대응하여 상부몸체(10)의 양측부에 각각 하나씩 총 2개가 한 쌍으로 설치되고, 지지부재(21)를 전방으로 밀어 하부몸체(20)가 상부몸체(10)에 교합된 상태에서 상부몸체(10)에 비해 설정된 길이(L), 예를 들면, 3mm~5mm 전방으로 돌출시킨다. As shown in FIG. 2, the lower mandible front guide member 30 is installed in pairs, one at each side of the upper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member 21 formed on the lower body 20, and a pair of support members. The front body 20 is pushed forward by the lower body 2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10 is engaged with the set length L, for example, 3 mm to 5 mm in front of the upper body 10.

하악 전방 유도부재(30)는 각각 상부몸체(10)의 측부에 고정되는 고정부(31)와, 고정부(31)의 내부에 수용되는 압축 스프링(32)과, 압축 스프링(32)의 전방측에 결합되는 지지대(33)와, 지지대(33)에 전단부에 고정되는 이동부(34)를 포함한다. The mandible front induction member 30 is fixed part 31 fixed to the side of the upper body 10, the compression spring 32 accommodated inside the fixing part 31, and the front of the compression spring 32, respectively. It includes a support 33 coupled to the side, and a moving portion 34 fixed to the front end portion to the support 33.

고정부(31)는 상부몸체(10)와 마찬가지로 경성 또는 반경성 레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몸체(10)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독립적으로 제작한 후 인체에 무해한 식물성 접착제 또는 체결부재 등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The fixing part 31 may be made of a hard or semi-rigid resin like the upper body 10,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body 10, or may be made independently of a vegetable adhesiv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It may be fixed through a fastening member or the like.

이러한 고정부(31)는 일례로 사각블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압축 스프링(32)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용홈(31a)은 설치할 압축 스프링(32)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31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square block, and at least one receiving groove 31a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compression spring 32 is accommodated therein. For example, the receiving groove 31a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mpression springs 32 to be install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와 압축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들로서, (a)는 지지대와 압축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and the compression spring shown in Figure 1,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and the compression spring coupled, (b) is a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도 3을 참조하면, 압축 스프링(32)은 고정부(31)의 수용홈(31a)에 수용되고, 후방측 일단부는 고정부(31)의 수용홈(31a) 내측에 지지되고, 전방측 일단부는 지지대(33)에 결합된다. 이때, 압축 스프링(32)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compression spring 32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31a) of the fixing portion 31, one end of the rear side is support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31a) of the fixing portion 31, one front side The part is coupled to the support 33. At this time, the compression spring 32 may be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지지대(33)는 일단부가 압축 스프링(32)의 전방측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이동부(34)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지지대(33)는 일단부가 고정부(31)의 수용홈(31a) 내부로 삽입되고, 타단부는 이동부(34)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upport 33 is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compression spring 32,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moving part 34. For example, the support 33 may be fixed with one e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1a of the fixing part 31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moving part 34.

이러한 지지대(33)는 일단부가 압축 스프링(32)의 선단부(타단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지지대(33)의 일단부에는 일례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압축 스프링(32)에 걸림되는 돌기(33a)가 형성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upport 33 is preferably elastically supported by being s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the other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32. To this end, one end of the support 33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33a that protrudes vertically, for example, and engages the compression spring 32.

돌기(33a) 대신에 지지대(33)와 압축 스프링(32) 사이에 결합판(미도시)을 설치하여 지지대(33)의 일단부와 압축 스프링(32)의 선단부를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판은 지지대(33)의 일단부와 수직으로 대면하는 수직판일 수 있다. Instead of the protrusion 33a, a coupling plate (not shown)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33 and the compression spring 32 to interconnect one end of the support 33 with the tip of the compression spring 32. In this case, the coupling plate may be a vertical plate facing vertically with one end of the support (33).

또한, 돌기(33a) 대신에 지지대(33)의 일단부에 지지대(33)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홈에 압축 스프링(32)의 선단부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지지대(33)와 압축 스프링(32)을 결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stead of the protrusion 33a, one end of the support 33 may have a coupling groove recessed in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33. In this case, the support 33 and the compression spring 32 may be coupled in such a manner as to couple the front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32 to the coupling groove.

도 3에는 지지대(33)가 원형 봉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축 스프링(32)의 탄성력을 이동부(34)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각봉과 같이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Figure 3, the support 33 has a circular rod struc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tructure capable of transmit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32 to the moving part 34 may be applicable. For example, it may have a polygonal structure such as a square rod.

또한 지지대(33)는 압축 스프링(32)과 마찬가지로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33 may be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similar to the compression spring (32).

도 2에는 지지대(33)와 압축 스프링(32)이 한 쌍으로 총 3쌍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하 또는 그 이상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단순한 구조와 안정적인 지지력을 고려하여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FIG. 2, the support 33 and the compression spring 32 are installed as a pair, and a total of three pairs are provi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or more are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simple structure and stable supporting force.

이동부(34)는 지지대(33)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로서, 상부몸체(11)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이동부(34)는 상부몸체(11)와 마찬가지로 경성 또는 반경성 레진 등이나, 혹은 인체에 무해한 금속 또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oving part 34 is a moving member moving forward by the support 33 and is separated from the upper body 11. Like the upper body 11, the moving part 34 may be made of a hard or semi-hard resin, or a metal or shape memory alloy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도 2와 같이, 이동부(34)는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가 상호 교합된 상태에서 하부몸체(12)에 고정되고 이동부(34)의 전방측에 배치된 지지부재(21)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이때, 이동부(34)의 가압력은 압축 스프링(32)의 탄성력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설정된 길이만큼 하부몸체(12)를 전방측으로 밀어 돌출시킨다. As shown in FIG. 2, the moving part 34 is fixed to the lower body 12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11 and the lower body 12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a support member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ving part 34 ( 21) press forward. At this time, the pressing force of the moving part 34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32, and pushes the lower body 12 forward by the set length.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압축 스프링(32)이 고정부(31)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이동부(34)에 압축 스프링(32)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압축 스프링(32)이 이동부(34)의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1 and 2, but the compression spring 32 i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fixing portion 31, which is an example, the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compression spring 32 in the moving part 34 is And a compression spring 32 may be received inside the moving part 34.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는 도 2와 같이, 하부몸체(20)가 상부몸체(10)에 교합된 상태에서 상부몸체(10)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3mm~5mm 돌출되도록 지지대(33)와 압축 스프링(32)을 설계한다.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body 20 is engaged with the upper body 10, as shown in FIG. Design the support 33 and the compression spring 32 to protrude 3mm ~ 5mm.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은 지지대(33)와 탄성력을 갖는 압축 스프링(32)을 이용하여 하부몸체(20)를 전방으로 유도한다. 이에 따라, 수면 상태에서 착용자가 무의식적으로 턱관절을 움직이는 경우 그 힘의 크기와 방향에 대응하여 하부몸체(20)는 움직인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the lower body 20 to the front using the support 33 and the compression spring 32 having an elastic force. Accordingly, when the wearer unconsciously moves the jaw joint in the sleep state, the lower body 20 moves in response to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force.

예를 들어, 턱관절을 통해 하부몸체(20)에 가해지는 힘이 압축 스프링(32)의 탄성력보다 크고, 후방측(기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부몸체(20)는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턱관절에서 하부몸체(20)로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압축 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몸체(20)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돌출된다. For example, the force applied to the lower body 20 through the jaw joint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32, and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rear side (airway direction), the lower body 20 moves to the rear side. do. Then,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lower body 20 from the jaw joint is removed, the lower body 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32 to protrude.

즉, 본 발명에서는 수면 중 착용자가 무의식 또는 반의식 상태에서 턱관절을 움직이는 경우, 그 힘의 크기에 대응하여 하부몸체(20)의 움직임이 가능함에 따라 종래기술(하부몸체가 수면 중에 항상 고정된 상태로 유지)과 대비하여 턱관절의 염증 및 통증(얼얼한 느낌 등)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턱관절에서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압축 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몸체(20)가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본연의 목적인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 증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arer moves the jaw joint in unconscious or semi-conscious state during sleep, the lower body 20 can be moved in response to the magnitude of the for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lower body is always fixed while sleeping. To prevent or minimize inflammation and pain (such as tingling) in the jaw joint, an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jaw joint is removed, the lower body 20 is mov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32. By returning to your home position, you can effectively prevent your snoring or sleep apnea symptoms.

또한, 본 발명은 압축 스프링(32)이 고정부(31)(또는 이동부(34))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체가 수용되어 밀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착용시 이질감으로 인한 거부감이 발생하지 않고,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파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compression spring 32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xing part 31 (or the moving part 34) to be housed and sealed in its entirety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rejected due to heterogeneity when worn. This does not occur, and problems such as fracture do not occur even if used for a long time can improve the life of the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devic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하악 전방 유도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lower mandible front guid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separated, Figure 5 is the upper body and It is a side view seen from the side while the lower body is coupl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하악 전방 유도부재(132)는 전술한 하악 전방 유도부재(32)와 마찬가지로 고정부(131)와, 압축 스프링(132), 지지대(133) 및 이동부(1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압축 스프링(132)을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하부몸체(20)가 돌출되는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나사(135)를 더 포함한다. 4 and 5, the mandible anterior guide member 132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mandible front guide member 32 described above with the fixing part 131, the compression spring 132, and the support ( 133 and the moving unit 134. The compression spring 132 is further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 further include an adjustment screw 135 for adjusting the distance that the lower body 20 protrudes.

고정부(131)의 후방측 일측부는 조정나사(135)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조정나사(135)는 고정부(131)의 나사공을 통해 나사 결합된다. The rear side of the fixing part 131 is formed with a screw hole so that the adjustment screw 135 is screwed, the adjustment screw 135 is screwed through the screw hole of the fixing part 131.

조정나사(135)는 하부몸체(20)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의 구강 구조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증상을 고려하여 하부몸체(20)가 돌출되는 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Adjustment screw 135 is for finely adjusting the distance that the lower body 20 protrudes forward, the lower body 20 protrudes in consideration of different snoring and sleep apnea symptoms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oral structure. Allows you to fine tune the distance.

이러한 조정나사(135)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미세하게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데, 다양한 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헤드부는 육각이나 사각 볼트, 십자형이나 일자형 나사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djustment screw 135 can be finely adjusted by rotating in the tightening or loosening direction by using a separate tool, the head portion is made of hexagonal or square bolt, cross or straight screw groove structure to use a variety of tools Can be.

조정나사(135)는 타단부는 압축 스프링(132)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조정나사(135)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정나사(135)는 고정부(131)의 나사공을 통해 전방측으로 전진하여 압축 스프링(132)을 전방측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조정나사(135)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정나사(135)는 고정부(131)의 나사공을 통해 후방측으로 후진하여 압축 스프링(132)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이 제거된다. The adjusting screw 135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132. Accordingly, when the adjustment screw 135 is rotat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the adjustment screw 135 is advanced to the front side through the screw hole of the fixing portion 131 to press the compression spring 132 to the front side. When the adjusting screw 135 is rotated in the disengaging direction, the adjusting screw 135 is moved backward through the screw hole of the fixing part 131 to remov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compression spring 132.

조정나사(135)는 압축 스프링(132)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기능 이외에, 압축 스프링(132)에 가해지는 압착력을 조정하여 압축 스프링(132)의 탄성력(복원력)을 조정한다. 즉, 장기간 사용시 압축 스프링(132)의 탄성력이 저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압축 스프링(132)의 탄성력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 조정나사(135)를 사용한다. The adjustment screw 135 adjusts the elastic force (restoration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32 by adjusting the compression force applied to the compression spring 132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moving the compression spring 132 forward and backward. That is,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32 may be lowered in the long term use, the adjustment screw 135 is used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32.

압축 스프링(132)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경우 하부몸체(20)의 지지력이 저하되어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증상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 스프링(132)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경우 조정나사(135)를 통해 압축 스프링(132)의 일단부를 전방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저하된 압축 스프링(132)의 탄성력을 보상할 수 있다. When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32 is lowered, the supporting force of the lower body 20 may be lowered, thereby reducing the effects of snoring and sleep apnea symptoms. As such, when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32 is lowered, the elastic force of the reduced compression spring 132 may be compensated by pressing one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132 forward through the adjustment screw 135.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는 조정나사(135)를 통해 하부몸체(20)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각 착용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하악 전방 유도부재(130)를 제조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압축 스프링(132)의 탄성력 저하를 보상해줌으로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의 수명을 종래기술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distance that the lower body 20 protrudes forward through the adjustment screw 135 to the mandible anterior according to the oral structure of each wearer There is no need to manufacture the induction member 130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compensating for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32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life of the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device compared to the prior art hav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상부몸체
20 : 하부몸체
21 : 지지부재
30, 130 : 하악 전방 유도부재
31, 131 : 고정부
32, 132 : 압축 스프링
33, 133 : 지지대
34, 134 : 이동부
135 : 조정나사
10: upper body
20: lower body
21: support member
30, 130: mandible anterior guide member
31, 131: fixed part
32, 132: compression spring
33, 133: support
34, 134: moving part
135: Adjustment screw

Claims (4)

상악에 장착되는 상부몸체;
하악에 장착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 또는 상기 하부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몸체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몸체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돌출시키는 하악 전방 유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하악 전방 유도부재는,
상기 상부몸체의 측부 또는 교합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압축 스프링;
상기 압축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An upper body mounted to the maxilla;
A lower body mounted on the lower jaw; And
A lower mandible front guide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body or the lower body to move the lower body forwar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distance relative to the upper body; Including,
The mandible anterior guide member,
A fixing part fixed to the side or occlusal part of the upper body;
A compression spring received inside the fixing part;
A support coupled to the compression spring and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compression spring; And
A moving part coupled to the support and moving the lower body forward by the support;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 전방 유도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해 통해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부를 가압 및 해제하여 상기 하부몸체가 돌출되는 거리를 조정하는 한편,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 저하를 보상하는 조정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ndible anterior guide member,
I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through a screw hole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and adjusts the distance the lower body protrudes by pressing and releasing one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screw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elastic fo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상부몸체에 교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악 전방 유도부재의 압축 스프링,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이동부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로부터 3mm~5mm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body is sno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intained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upper body 3mm ~ 5mm forward by the compression spring, the support and the moving portion of the mandible front induction member in the state of mating to the upper body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수용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수용홈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 스프링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pression spring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is received therein, one end of the support is coupled to the compression spring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ixing portion And sleep apnea treatment apparatus.
KR1020190079395A 2019-07-02 2019-07-02 Device for curing snore and sleep apnea syndrome KR1020666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395A KR102066677B1 (en) 2019-07-02 2019-07-02 Device for curing snore and sleep apnea syndro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395A KR102066677B1 (en) 2019-07-02 2019-07-02 Device for curing snore and sleep apnea syndro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677B1 true KR102066677B1 (en) 2020-01-15

Family

ID=6915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395A KR102066677B1 (en) 2019-07-02 2019-07-02 Device for curing snore and sleep apnea syndro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67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4815A (en) * 2021-01-10 2021-06-08 邝板豪 Smooth ware branch guide part of exhaling
KR20210095440A (en) * 2020-01-23 2021-08-02 서울대학교병원 Automati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20220099077A (en) * 2021-01-05 2022-07-12 김정경 Block type stopper and snoring preven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672B1 (en) 2007-03-16 2008-09-04 홍이표 Apparatus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KR20100064166A (en) 2008-12-04 2010-06-14 정진우 Oral appliance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KR20130045285A (en) 2013-01-16 2013-05-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Treating appliance for snoring and sleep apnea
KR101654279B1 (en) 2015-06-12 2016-09-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eventing of snoring and sleep apnea
KR101663896B1 (en) 2015-04-17 2016-10-07 김운환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ing and Bruxism
KR101706648B1 (en) * 2016-08-26 2017-02-14 조용문 Orthodontic device
JP2017508567A (en) * 2014-03-28 2017-03-30 ホフマン, コンラッドHOFMANN, Konrad Occlusal splint device
WO2017154641A1 (en) * 2016-03-08 2017-09-14 三井化学株式会社 Mouthpiece, sheet for producing piece part of mouthpiece, and method for producing mouthpie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672B1 (en) 2007-03-16 2008-09-04 홍이표 Apparatus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KR20100064166A (en) 2008-12-04 2010-06-14 정진우 Oral appliance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KR20130045285A (en) 2013-01-16 2013-05-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Treating appliance for snoring and sleep apnea
JP2017508567A (en) * 2014-03-28 2017-03-30 ホフマン, コンラッドHOFMANN, Konrad Occlusal splint device
KR101663896B1 (en) 2015-04-17 2016-10-07 김운환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ing and Bruxism
KR101654279B1 (en) 2015-06-12 2016-09-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eventing of snoring and sleep apnea
WO2017154641A1 (en) * 2016-03-08 2017-09-14 三井化学株式会社 Mouthpiece, sheet for producing piece part of mouthpiece, and method for producing mouthpiece
KR101706648B1 (en) * 2016-08-26 2017-02-14 조용문 Orthodontic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440A (en) * 2020-01-23 2021-08-02 서울대학교병원 Automati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102455342B1 (en) * 2020-01-23 2022-10-18 서울대학교병원 Automati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20220099077A (en) * 2021-01-05 2022-07-12 김정경 Block type stopper and snoring preven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82975B1 (en) 2021-01-05 2023-09-26 김정경 Block type stopper and snoring preven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2914815A (en) * 2021-01-10 2021-06-08 邝板豪 Smooth ware branch guide part of exha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3505C2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nd method and kit for producing said device
KR100856672B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KR102066677B1 (en) Device for curing snore and sleep apnea syndrome
US20070224567A1 (en) Dental orthotic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4936061B2 (en) Intraor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90183670A1 (en) Mouthpiece
KR101782093B1 (en) Prevention instrument for snore and bruxism
US20050016547A1 (en) Intraoral orthosis for preventing snoring
JP2006528495A (en) Improved occlusal sprint
KR101218036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snoring with an snoring relative seriousness of subject
KR20100064166A (en) Oral appliance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JP2015523185A (en) Snoring prevention device
KR102015801B1 (en) Mitigation mechanisms for snoring and sleep bruxism of using anti-departure and jaw joint movement and formed to stick out the tongue
KR20170030015A (en) Mouthpiece for preventing snoring
KR101832858B1 (en) Separated type intraoral device for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US20170151086A1 (en) Custom made oral appliance for airway management of those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KR100596129B1 (en) Snore and sleep apnear preventing device
KR102058104B1 (en) Oral appliance improved for flexibility of lower jaw and adhesiveness to tooth
KR101481801B1 (en) Orthopedic appliances for temporomandibular jiont and the wing spacer
KR101990318B1 (en) Mitigation mechanisms for snoring and sleep bruxism of using anti-departure and jaw joint movement
KR101074536B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101480608B1 (en) Dental splint with hard palate contacting plate
KR101934849B1 (en) A snoring and anti-irritation device that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US6581603B1 (en) Oral appliance
KR102285057B1 (en) Mousepiece for correcting TMJ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