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342B1 - Automati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 Google Patents

Automati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342B1
KR102455342B1 KR1020200009333A KR20200009333A KR102455342B1 KR 102455342 B1 KR102455342 B1 KR 102455342B1 KR 1020200009333 A KR1020200009333 A KR 1020200009333A KR 20200009333 A KR20200009333 A KR 20200009333A KR 102455342 B1 KR102455342 B1 KR 102455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ibular
moving member
mandible
spr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3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5440A (en
Inventor
김정훈
조성우
송윤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0000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342B1/en
Publication of KR2021009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4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3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 측 치아에 지지되도록 설치 가능한 상악 지지 부재; 상기 상악 지지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하악 측 치아에 설치되는 하악 이동 부재; 및 상기 하악 이동 부재가 상기 상악 지지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악 이동 부재는 상기 탄성력 제공부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방 이동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support member that can be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teeth; a mandibular moving member installed on the mandibular side teeth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and an elastic force providing part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mandible moving member can move relative to the maxillary supporting member, wherein the mandibular mov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from the elastic force providing part and is movable forward. Provides a mobile device.

Description

자동 하악 전방 이동 장치{Automati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Automati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본 발명은 자동 하악 전방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기적으로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자동 하악 전방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mandibular forward move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mandibular forward movement apparatus capable of periodically moving the mandible forward to minimize user discomfort.

코골이는 수면 중에 인후부가 좁아지면서 호흡하는 공기가 기도로 원활히 통과하지 못하고 주변을 진동시켜 떨리는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Snoring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throat narrows during sleep and the breathing air does not pass smoothly through the airways and vibrates the surroundings, resulting in a trembling sound.

코골이가 심해지면 수면을 하는 동안 신선한 공기가 뇌에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여 숙면을 취하기 어렵게 된다. 수면중에 코골이를 심하게 하면 낮동안 졸음과 피로감을 느끼며, 심한 경우에는 고혈압, 부정맥 및 심근경색 등과 같은 합병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더 나아가 코골이는 주변사람들의 숙면에도 방해를 주기 때문에 단체생활을 힘들게 하고, 주변사람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심리적 압박감으로 인하여 주눅들게 만드는 등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유발하게 된다.When snoring is severe, it is difficult to get a good night's sleep because fresh air is not sufficiently supplied to the brain during sleep. Severe snoring during sleep causes drowsiness and fatigue during the day, and in severe cases, complications such as hypertension, arrhythmias and myocardial infarction can occur. Furthermore, snoring causes various physical and mental damage, such as making it difficult to live in a group because it interferes with the sleep of the people around you, and making you dazed by the psychological pressure that you are harming the people around you.

코골이는 대부분 밤에 잠을 자는 동안에 발생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낮 시간에는 인후부 주변의 근육들이 긴장되거나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밤 시간에는 이들 근육들이 이완되면서 인후부 주변의 살이 늘어지기 때문이다.Most snoring occurs at night while sleeping, because during the daytime, the muscles around the throat maintain a tense or contracted state, but at night these muscles relax and the fat around the throat stretches.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서 하악 전방 이동 장치는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하며 코골이를 완화시키는 장치이다. Various 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are known. Among them, the mandibular forward moving device is a device that moves the mandible forward and relieves snoring.

종래 기술의 하악 전방 이동 장치는 착용 기간 내내 지속적으로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힘을 가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피로감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었다. The prior art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may cause fatigue and pain to the user because the force is applied to continuously move the mandible forward throughout the wearing period.

따라서, 주기적으로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vice that allows the mandible to be moved forward periodically to minimize user discomfort.

한국특허 제2011625호 공보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625

본 발명의 목적은 주기적으로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자동 하악 전방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that can periodically move the mandible forward to minimize user discomfor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는, 상악 측 치아에 지지되도록 설치 가능한 상악 지지 부재; 상기 상악 지지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하악 측 치아에 설치되는 하악 이동 부재; 및 상기 하악 이동 부재가 상기 상악 지지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악 이동 부재는 상기 탄성력 제공부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andibular forward 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upport member that can be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teeth; a mandibular moving member installed on the mandibular side teeth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and an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mandible moving member can move relative to the maxillary supporting member, wherein the mandibular mov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from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to move forwar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하악 이동 부재는 상기 탄성력 제공부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기 결정된 시간 마다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dible mov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from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and is movable forward at predetermined times.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력 제공부는, 전원 공급에 의해 인장 변형되어 상기 하악 이동부재를 전방 이동시키고, 전원 공급 차단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가압 스프링; 및 상기 가압 스프링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악 이동 부재를 전방 이동 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a compression spring that is tensilely deformed by power supply to move the mandible moving member forward,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and a pressing part installed at an end of the pressing spring and pressing the mandible moving member to move forward.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력 제공부는, 상기 가압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 스프링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때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하악 이동 부재 사이에서 기 결정된 장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turn spring installed in the pressing unit to provide a predetermined tension between the pressing unit and the mandible moving member when the pressing spring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

또한, 상기 하악 이동 부재에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하악 이동 부재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dible mov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so as to be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to move the mandible moving member forward.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악 지지 부재 및 상기 하악 이동 부재는 각각 상악 측 및 하악 측 치아에 정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and the mandibular moving member may be matched to the maxillary side and the mandibular side teeth, respectively.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는, 상기 가압 스프링에 기 결정된 시간 마다 주기적으로 동작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의 동작에 의해 상기 기 결정된 시간 마다 상기 가압 스프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mer that periodically operates on the pressure spring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pressure spring at the predetermined time by the operation of the timer.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 장치는 레진으로 출력된 환자 맞춤형 하악 전방이동 장치에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통해 일정시간마다 하악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The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mandible to be moved every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n the patient-customized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outputted with resin.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 장치는 주기적으로 하악이 전방 이동됨으로써 코골이의 감소 나아가 수면 무호흡증이 완화될 수 있다.The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snoring and alleviate sleep apnea by periodically moving the mandible forward.

도 1은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악 이동 부재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의 동작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의 동작 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the mandible mov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operation of the mandibular front 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itself.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100)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100)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악 이동 부재(20)의 저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ndibular forward mov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mandibular forward mov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of the mandibular forward mov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서술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100)는, 코골이 환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는데, 코골이 환자가 수면 중에 주기적으로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하게 하여 코골이를 줄여주게 하는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The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argeted to a snoring patient, and may be understood as a device for reducing snoring by periodically moving the mandible forward during sleep.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100)는, 상악 지지 부재(10), 하악 이동 부재(20) 및 탄성력 제공부(30)를 포함한다. The mandibular forward mov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 10 , a mandibular moving member 20 , and an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30 .

상악 지지 부재(10)는, 상악 측 치아에 지지되도록 설치 가능하다. 상악 지지 부재(10)는 상악 측의 치아를 수용 가능한 상악 수용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악 수용부(12)는 환자의 상악 측의 치아에 정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10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maxillary side teeth.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10 may include an maxillary receiving part 12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teeth of the maxillary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xillary receiving part 12 is matched to the teeth of the maxillary side of the patient.

이를 위해, 상악 수용부(12)가 환자의 상악 측의 치아에 정합되도록 상악 지지 부재(10)는 3D 프린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악 지지 부재(10)는 일례로,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10 may be manufactured by a 3D printer so that the maxillary receiving part 12 is matched to the teeth of the patient's maxilla. 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member 1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resin.

하악 이동 부재(20)는 상악 지지 부재(1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하악 측 치아에 설치된다. 하악 이동 부재(20)는 하악 측의 치아를 수용 가능한 하악 수용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하악 수용부(22)는 환자의 하악 측의 치아에 정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ndibular moving member 20 is installed on the mandibular side teeth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10 .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may include a mandibular receiving portion 22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mandibular side teeth. The mandibular receiving portion 22 is preferably matched to the teeth of the patient's mandible.

이를 위해, 하악 수용부(22)가 환자의 하악 측의 치아와 정합되도록 하악 이동 부재(20)는 3D 프린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하악 이동 부재(20)는 일례로,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may be manufactured by a 3D printer so that the mandibular receiving part 22 is matched with the teeth of the patient's mandible. In addition,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resin.

탄성력 제공부(30)는 하악 이동 부재(20)가 상악 지지 부재(1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력 제공부(30)에 의해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하악 이동 부재(20)는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30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is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10 .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is movable forward by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30 .

탄성력 제공부(30)는 또한, 하악 이동 부재(20)가 전방으로 이동된 다음, 기 결정된 시간 이후에 하악 이동 부재(2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30 may also return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is moved forward.

탄성력 제공부(30)는 상악 지지 부재(10)의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악 어금니가 배치될 수 있는 상악 지지 부재(10)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력 제공부(30)의 예가 도시된다.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30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10 . Referring to FIG. 1 , an example of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3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10 on which the maxillary molars can be disposed is illustrated.

하악 이동 부재(20)는 탄성력 제공부(30)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기 결정된 시간 마다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초 마다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from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30 to be able to move forward every predetermined time. Preferably, it can be moved forward every 5 seconds.

탄성력 제공부(30)는, 가압 스프링(31) 및 가압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30 may include a pressing spring 31 and a pressing unit 33 .

가압 스프링(31)은 전원 공급에 의해 인장 변형되어 상기 하악 이동 부재(20)를 전방 이동시키고, 전원 공급 차단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The pressing spring 31 may be tensilely deformed by power supply to move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forward, and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예를 들면, 가압 스프링(31)은, 형상 기억 합금(SMA, Shape Memory Alloy)으로 제조된 스프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sure spring 31 may be a spring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SMA).

가압부(33)는 가압 스프링(31)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악 이동 부재(20)를 전방 이동 시키도록 가압할 수 있다. The pressing part 33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ressing spring 31 and may press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to move forward.

가압부(33)는 가압 스프링(31)의 인장 변형됨에 따라, 상악 지지 부재(10)의 측면을 따라서 상대 이동하여, 돌출부(23)를 가압하게 된다. As the pressure spring 31 is tensilely deformed, the pressure portion 33 relatively moves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10 to press the protrusion portion 23 .

탄성력 제공부(30)는 복귀 스프링(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return spring 35 .

복귀 스프링(35)은, 가압부(33)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 스프링(31)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때 상기 가압부(33) 및 상기 하악 이동 부재(20) 사이에서 기 결정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return spring 35 is installed in the pressing part 33 to provide a predetermined tension between the pressing part 33 and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when the pressing spring 3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can do.

또한, 하악 이동 부재(20)에는 돌출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23)는, 가압부(33)에 의해 전방을 향해 가압될 수 있는데, 돌출부(23)가 전방으로 가압됨에 의해, 하악 이동 부재(20)는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23 . The protrusion 23 may be pressed forward by the pressing part 33 , and as the protrusion 23 is pressed forward,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is moved forward.

탄성력 제공부(30)는 상악 지지 부재(1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것에 대응하여, 가압부(33)에 의해 가압되도록 돌출부(23)는 하악 이동 부재(20)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30 corresponds to being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10 , and the protrusions 23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ndibular moving member 20 so as to be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33 . desirable.

탄성력 제공부(30)는 가압 스프링(31) 및 복귀 스프링(35)을 상악 지지 부재(10)에 지지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스프링 설치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설치부(37)는, 도 1을 참조하면, 상악 지지 부재(10)의 양 측면에 설치되고, 가압 스프링(31) 및 복귀 스프링(35)을 고정 설치하게 한다.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installation unit 37 for fixing the pressing spring 31 and the return spring 35 to the maxilla support member 10 to be supportable. The spring installation part 37, referring to FIG. 1,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10, and allows the pressing spring 31 and the return spring 35 to be fixedly installed.

가압 스프링(31) 및 복귀 스프링(35)의 각각의 일 단이 스프링 설치부(37)에 고정되며, 가압 스프링(31)의 타 단에는 가압부(33)가 설치된다. One end of each of the pressing spring 31 and the return spring 35 is fixed to the spring installation part 37 , and the pressing part 33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spring 31 .

도 1을 참조하면, 가압 스프링(31) 및 복귀 스프링(35)이 서로 나란하도록 스프링 설치부(37)에 고정되는 예가 도시된다. 한편, 가압 스프링(31) 및 복귀 스프링(35)의 타 단에 가압부(33)가 설치되는 예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1 , an example in which the pressure spring 31 and the return spring 35 are fixed to the spring installation part 37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is shown. On the other hand, an example in which the pressing part 33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spring 31 and the return spring 35 is shown.

이로 인해, 가압 스프링(31)에 전원이 공급되면 인장 변형되어 타 단의 가압부(33)는 전방으로 이동되게 되어 돌출부(23)를 가압함으로써 하악 이동 부재(20)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가압 스프링(31)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가압 스프링(31)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타 단의 가압부(33)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돌출부(23)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하악 이동 부재(20)는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For this reason,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pressing spring 31 , the pressing part 33 of the other end is tensilely deformed and the pressing part 33 of the other end is moved forward, and by pressing the protrusion 23 ,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is moved forward. In addition, when the supply of power to the pressing spring 31 is cut off, the pressing spring 3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pressing portion 33 of the other e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releases the pressure of the protrusion 23 .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is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100)는 타이머(40) 및 전원공급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imer 40 and a power supply unit 50 .

타이머(40)는 가압 스프링(31)에 기 결정된 시간 마다 주기적으로 동작신호를 제공하게 한다. 일례로, 타이머(40)는 가압 스프링(31)에 5초 마다 주기적으로 동작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The timer 40 periodically provides an operation signal to the pressure spring 31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the timer 40 may provide an operation signal to the pressure spring 31 periodically every 5 seconds.

전원공급부(50)는 타이머(40) 및 가압 스프링(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이머(40) 및 가압 스프링(3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imer 40 and the pressure spring 31 , and may supply power to the timer 40 and the pressure spring 31 .

전원공급부(50)는,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공급부(50)는, 박막형 리튬폴리머 배터리일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50 may be a battery.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50 may be a thin film type lithium polymer battery.

도 5는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100)의 동작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100)의 동작 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the mandibular forward mov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operation of the mandibular forward mov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서술한다. 5 and 6, the operation of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를 참조하면, 하악 전방 이동장치(100)의 동작 전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악 지지 부재(10) 및 하악 이동 부재(20)는 각각 상악 측 치아 및 하악 측 치아에 착용된 상태에 있다. Referring to FIG. 5 , in the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mandibular forward moving device 10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10 and the mandibular moving member 20 are worn on the upper and lower teeth, respectively. is in a state of being

이 상태에서, 가압 스프링(31)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인장되지 않으며, 복귀 스프링(35)은 기 결정된 길이만큼 압축되어 있다. In this state, no power is supplied to the pressure spring 31, so it is not tensioned, and the return spring 35 is compres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또한, 도 5에는 가압부(33) 및 돌출부(23)가 서로 접촉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가압 스프링(31)이 아직 인장되지 않기에, 하악 이동 부재(20)가 하악 측 치아에 착용되며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아닌 후방 위치에 있다. 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essing part 33 and the protruding part 2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since the pressing spring 31 is not yet tensioned, the mandibular moving member 20 is worn on the mandibular side teeth and the front It is in the rear position, not in the moved state.

도 6을 참조하면, 하악 전방 이동장치(100)의 동작 후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악 지지 부재(10) 및 하악 이동 부재(20)는 각각 상악 측 치아 및 하악 측 치아에 착용된 상태에 있다. Referring to FIG. 6 , in a state after the operation of the mandibular forward moving device 10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10 and the mandibular moving member 20 are respectively worn on the upper and lower teeth. is in a state of being

이 상태에서, 가압 스프링(31)에는 전원이 공급되어, 인장되어 길이가 길어지고, 가압부(33)가 돌출부(23)를 가압하여 하악 이동 부재(20)는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In this state, power is supplied to the pressing spring 31 , and the length is increased by tension, and the pressing part 33 presses the protrusion 23 to move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forward.

기 결정된 시간동안, 하악 이동 부재(20)는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으며, 가압 스프링(31)에는 전원 공급이 해제되고, 복귀 스프링(35)에 의해 가압부(33)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되고, 하악 이동 부재(20) 또한, 이동되기 전의 후방 위치에 있게 된다.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is in the forwardly moved state, the power supply to the pressing spring 31 is released, and the pressing part 33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turn spring 35 . and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is also in the rear position before being moved.

타이머(40)가 가압 스프링(31)에 기 결정된 시간 마다 주기적으로 동작신호를 제공하여, 기 결정된 시간 마다 가압 스프링(31)이 인장됨으로써, 하악 이동 부재(20)는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The timer 40 periodically provides an operation signal to the pressing spring 31 at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pressing spring 31 is tensioned at each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mandible moving member 20 is moved forward.

본 발명의 하악 전방 이동장치(100)는 주기적으로 하악을 자동으로 전방 이동 시킴으로서 코골이 환자의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다.The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the discomfort of the snoring patient by periodically automatically moving the mandible forward.

이상에서 설명한 하악 전방 이동장치(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100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hav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하악 전방 이동장치
10:상악 지지 부재 12:상악 수용부
20:하악 이동 부재 22:하악 수용부 23:돌출부
30:탄성력 제공부 31:가압 스프링
33:가압부 35:복귀 스프링 37:스프링 설치부
40:타이머
50:전원공급부
100: mandibular anterior movement device
10: maxillary support member 12: maxillary receiving part
20: mandibular moving member 22: mandibular receiving part 23: protrusion
30: elastic force providing part 31: pressure spring
33: press part 35: return spring 37: spring installation part
40: timer
50: power supply

Claims (7)

상악 측 치아에 지지되도록 설치 가능한 상악 지지 부재;
상기 상악 지지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하악 측 치아에 설치되는 하악 이동 부재; 및
상기 하악 이동 부재가 상기 상악 지지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악 이동 부재는 상기 탄성력 제공부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기 결 정된 시간 마다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고,
상기 탄성력 제공부는,
전원 공급에 의해 인장 변형되어 상기 하악 이동부재를 전방 이동시키고, 전원 공급 차단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가압 스프링 - 상기 가압 스프링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인장되지 않음;
상기 가압 스프링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악 이동 부재를 전방 이동 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 스프링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때 상기 가압부 및 상기 하악 이동 부재 사이에서 기 결정된 장력을 제공하여 가압부 및 하악 이동 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하고, 가압 스프링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기 결정된 길이만큼 압축되어 있는 복귀 스프링; 및
상기 가압 스프링 및 복귀 스프링이 고정되는 스프링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스프링 및 복귀 스프링은 스프링 설치부에 서로 나란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방 이동장치.
an upper support member that can be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teeth;
a mandibular moving member installed on the mandibular side teeth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and
and an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mandible moving member can move relative to the upper supporting member,
The mandible moving member is capable of moving forward every predetermined time by receiving an elastic force from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A pressure spring that is tensilely deformed by power supply to move the mandible moving member forward,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shutting off power supply - the pressure spring is not tensioned when power is not supplied;
a pressing unit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ressing spring and pressing the mandible to move the mandible moving member forward;
It is installed in the pressing unit to provide a predetermined tension between the pressing unit and the mandible moving member when the pressing spring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o return the pressing unit and the mandibular moving member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nd the pressing spring a return spring compres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when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and
Including; a spring installation part to which the pressure spring and the return spring are fixed;
The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spring and the return spring are fix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spring installation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 이동 부재에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하악 이동 부재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방 이동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andible forward 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dible mov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so as to be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to enable the mandibular moving member to move for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지지 부재 및 상기 하악 이동 부재는 각각 상악 측 및 하악 측 치아에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방 이동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andibular forward 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and the mandibular moving member are matched to the maxillary side and the mandibular side teeth,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프링에 기 결정된 시간 마다 주기적으로 동작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의 동작에 의해 상기 기 결정된 시간 마다 상기 가압 스프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방 이동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timer periodically operating at each predetermined time in the pressure spring; and
The mandibular forward mov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pressure spring at each predetermined time by the operation of the timer.
KR1020200009333A 2020-01-23 2020-01-23 Automati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1024553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333A KR102455342B1 (en) 2020-01-23 2020-01-23 Automati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333A KR102455342B1 (en) 2020-01-23 2020-01-23 Automati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440A KR20210095440A (en) 2021-08-02
KR102455342B1 true KR102455342B1 (en) 2022-10-18

Family

ID=7731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333A KR102455342B1 (en) 2020-01-23 2020-01-23 Automati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34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552Y1 (en) 2005-11-16 2006-03-14 김용석 Device for Preventing from Snoring
US20160324681A1 (en) * 2015-05-08 2016-11-10 Craig Flanagan Automated, snore activated electro-mechanic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102011625B1 (en) 2019-04-16 2019-08-16 고영석 Snoring prevention mouthpiece
KR102066677B1 (en) * 2019-07-02 2020-01-15 이창화 Device for curing snore and sleep apnea syndro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521B1 (en) * 2013-01-16 2013-08-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Treating Appliance for Snoring and Sleep Apne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552Y1 (en) 2005-11-16 2006-03-14 김용석 Device for Preventing from Snoring
US20160324681A1 (en) * 2015-05-08 2016-11-10 Craig Flanagan Automated, snore activated electro-mechanic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102011625B1 (en) 2019-04-16 2019-08-16 고영석 Snoring prevention mouthpiece
KR102066677B1 (en) * 2019-07-02 2020-01-15 이창화 Device for curing snore and sleep apnea syndro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440A (en)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2304B1 (en) Facial pressure massager
CN109172236B (en) Operation table for face cosmetic surgery
WO2007147088A3 (en) Chin pivot patient interface device
WO2011078150A1 (en) Airway widening tool and airway widening unit having same
AU2011254095B1 (en) Oral Sleep Apnoea Device
KR102455342B1 (en) Automati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20110308528A1 (en) Sleep disorder relief device and method
WO2021128833A1 (en) Neck-mounted massager
CN205698177U (en) The knee joint fixed support of unitary adjustable joint
US20160287829A1 (en) Cushioned Sleep Apnea Mask
CN210784906U (en) Rehabilitation fixing bracket after tracheotomy
KR101648189B1 (en) To ease pain heating joint guard having a joint structure.
CN213031606U (en) Head-wearing music sleeping instrument
JP5418796B2 (en) Sleep apnea syndrome treatment device
KR200323370Y1 (en) good line chair
CN112386452A (en) Traditional chinese medical science gastroenterology treatment device
JPH0530599A (en) Bone-conduction type vibrator terminal loading device
CN201154011Y (en) Face appliance
JP5540397B2 (en) Knee supporter
KR20150007629A (en) Functional Hypnosis Pillow
CN211298025U (en) Multifunctional pet mat
CN211327792U (en) Neck massage appearance of portable regulation
CN213666018U (en) Treatment device after dislocation and reduction of mandible
US20220088380A1 (en) Female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KR200314478Y1 (en) Up form device the 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