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553B1 - 빌트인 오디오장치 - Google Patents

빌트인 오디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553B1
KR102066553B1 KR1020130052913A KR20130052913A KR102066553B1 KR 102066553 B1 KR102066553 B1 KR 102066553B1 KR 1020130052913 A KR1020130052913 A KR 1020130052913A KR 20130052913 A KR20130052913 A KR 20130052913A KR 102066553 B1 KR102066553 B1 KR 102066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ilt
mode setting
speaker
audio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181A (ko
Inventor
이승찬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553B1/ko
Priority to EP14153128.5A priority patent/EP2802154B1/en
Priority to US14/200,334 priority patent/US9491529B2/en
Publication of KR20140133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1Transducers or their casings adapted for mounting in or to a wall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빌트인 오디오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빌트인 오디오장치는 스피커부; 상기 스피커부를 선택적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부; 및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의 설정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빌트인 오디오장치{BUILT-IN AUDIO APPARATUS}
본 발명은 오디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와 같은 구조물에 빌트인(built-in) 되는 오디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나 차량, 건물의 벽체 등 다양한 곳에 빌트인 상태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건물 내부의 벽체 또는 천정에 설치되는 스피커는 통상 층별 방송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스피커는 통상 벽체나 천정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배선을 통해 연결된 별도의 방송장치를 통해 음향이 출력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빌트인 타입의 스피커는 별도의 방송설비(예를 들면,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장치)에서 전송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방송설비에 종속된 부품으로 자체적으로 오디오를 재생하거나 하는 등의 조작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스피커와 함께 구조물에 매립되며 단순한 동작을 통해 조작할 수 있는 빌트인 오디오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피커부; 상기 스피커부를 선택적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부; 및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의 설정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설정부는 구조물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상기 모드설정부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스피커부를 내장하며,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선회함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를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제어부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제어부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구조물 내부로 은폐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구조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피커부는 평판 스피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드설정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량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량조절부는 상기 모드설정부의 내측면을 따라 위치하는 터치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드설정부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스위치에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기 모드설정부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의 일부에 결합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기 윈도우로 안내하도록 상기 모드설정부 내측에 상기 광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을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서 구동하여 빛을 발산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는 음원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원 제공부는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통신부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무선 신호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모드설정부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조물의 일면에 설치되어 내측에 배치된 스피커부를 선택적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스피커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상기 모드설정부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모드설정부; 상기 제1 위치에서 전원이 차단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스피커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통신부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음원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제1 위치에서 상기 구조물 내부로 은폐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구조물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부로 출력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내 설치되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드설정부의 제1 및 제2 위치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와 함께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빌트인 오디오장치와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별도의 스피커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별도의 스피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드설정부의 제1 및 제2 위치에 따라 사운드 출력 또는 사운드 오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가 오프(OFF)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표시된 Ⅲ-Ⅲ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가 온(ON)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Ⅴ-Ⅴ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표시된 Ⅴ-Ⅴ선을 따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의 제1 및 제2 조명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의 모드설정부 및 음량조절부를 단일 터치센서로 구현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100)는 구조물 예를 들면, 건물의 벽체(10)에 빌트인 오디오장치(100)의 일부분이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빌트인 오디오장치(100)는 통상 조명을 온(ON), 오프(OFF)하기 위한 시소(seesaw)형 스위치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장치(100)는 모드설정부(110), 스피커부(130), 음량조절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모드설정부(110)는 후방이 벽체(10)에 형성되는 수용홈(11)에 매립되며, 양측에 돌출된 힌지돌기(111)가 지지프레임(113)에 힌지 연결된다.
지지프레임(113)은 모드설정부(110)의 둘레를 따라 루프형상을 이루며 벽체(10)에 고정된다. 이 경우 모드설정부(110)가 힌지돌기(111)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으로 선회 시 지지프레임(113)에 의해 모드설정부(110)의 선회 동작이 간섭받지 않도록, 지지프레임(113)의 외곽과 모드설정부(110)의 내곽은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드설정부(110)는 내측에 스피커부(130)가 배치되며, 일측 및 타측으로 선회하는 동작(시소(seesaw) 동작)에 의해 상기 스피커부(130)를 제1 위치(도 3 참조) 및 제2 위치(도 5 참조)로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위치에서는 2가지 동작이 함께 진행된다. 즉, 제1 위치에서는 전원스위치부(120)가 단락되고 되고, 모드설정부(110)의 저변에 형성된 개구(115)가 벽체(10) 속으로 은폐된다. 제2 위치에서는 전원스위치부(120)가 접속되어 전원이 제어부(170)로 인가되고, 모드설정부(110)의 개구(115)가 벽체(10)로 부터 인출되어 벽체(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모드설정부(110)는 그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이 서로 소정 각도(예를 들면, 둔각)를 유지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위치에서는, 모드설정부(110)의 상측 부분이 벽체(10)로부터 돌출되고, 모드설정부(110)의 하측 부분이 벽체(10)의 수용홈(11)으로 인입되어 벽체(10)와 대략 수평을 이룬다(도 2 및 도 3 참조). 반대로, 제2 위치에서는, 모드설정부(110)의 상측 부분이 벽체(10)의 수용홈(11)으로 인입되어 벽체(10)와 대략 수평을 이루고, 모드설정부(110)의 하측 부분이 벽체(10)로부터 돌출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개구(115)는 상기 제2 위치에서 벽체(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스피커부(13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모드설정부(110)의 개구(115)를 통해 방출할 수 있다. 개구(115)는 모드설정부(110)의 저변을 따라 소정 길이의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115)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드설정부(110) 내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소형 구멍이 형성된 소정의 그릴을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모드설정부(110)는 전면에는 제1 내지 제3 마크(M1-M3)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1 마크(M1)는 모드설정부(110)의 전면 하단부에 위치하며 빌트인 오디오장치(100)의 오프 모드(구체적으로는, 전원스위치부(120)가 단락된 상태) 를 의미하는 문자 "OFF"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마크(M2)는 모드설정부(110)의 전면 상단부에 위치하며 빌트인 오디오장치(100)의 온 모드(구체적으로는, 전원스위치부(120)가 접속되며, 스피커부(130)로부터 사운드가 출력되는 상태)를 의미하는 도형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마크(M3)는 제1 및 제2 마크(M1,M2) 사이에 위치하며 스피커부(130)의 음량 조절을 나타내는 기호 및 도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마크(M3)는 좌측에 음량을 줄이는 것을 의미하는 "-" 기호와, 우측에 음량을 늘리는 것을 의미하는 "+" 기호와, "-" 기호와 "+" 기호 사이에 직선 도형을 포함한다. 상기 제3 마크(M3)는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터치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스피커부(13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직관적인 표시를 위한 기호, 도형 또는 기호 및 도형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드설정부(110)는 본 실시예에서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모드설정부(110)는 상측 부분의 내측에 전원스위치부(120)의 일부가 배치된다. 상기 전원스위치부(120)는 제1 단자(121)와, PCB(175)에 실장되는 제2 단자(123)와, 소정의 스위칭 회로를 포함한다. 이 경우 PCB(175)는 모드설정부(110)의 내측면을 마주하는 수용홈(11)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제1 및 제2 단자(121,123)는 스위칭 회로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서로 이격되어 제어부(17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서로 접촉되어 제어부(170)로 전원을 인가시킨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는 모드설정부(110)를 사각형상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고 다각형상,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모드설정부(110)는 어떠한 형상이든 시소 동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커부(13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70)에 의해 구동 및 구동 해제된다.
이와 같은 스피커부(130)는 상기 모드설정부(110)의 하측 부분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탄력성 있는 댐퍼(미도시) 및 트랜스듀서(미도시)를 구비한 프레임(131)을 구비한다. 몸체(131)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133)와, 몸체(131)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진동판(1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랜스듀서는 진동판(135) 위에 또는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벤딩파를 진동판 내부로 진행시킴으로써 진동판을 공진시켜 음향을 방사한다. 이 경우, 상기 진동판(135)은 모드설정부(110)의 개구(115)를 통해 음향이 방출될 수 있도록 모드설정부(110)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부(130)는 상기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이스 코일을 평판상으로 형성한 얇은 두께를 가지는 다이나믹형 스피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스피커부(130)는 공지된 다양한 평판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의 타입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음량조절부(150)는 모드설정부(11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센서(151)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센서(151)의 위치는 제3 마크(117c)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음량조절부(150)는 터치-드래그 방식으로 음량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을 제3 마크(117c)에 접촉한 상태로 직선 도형을 따라 "+"측 또는 "-"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터치센서(151)로 음량조절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된 음량조절신호는 터치센서(151)로부터 제어부(170)로 전송된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음량조절신호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해당 음량 값에 대응하는 음량으로 스피커부(130)를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소정의 프로그램(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디코딩하기 위한 코덱(codec) 등)이 저장된 ROM(171)(또는 EEPRO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RAM(17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70)는 코덱을 통해 상기 RAM(173)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며,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소정의 회로(전원 회로, 스위칭 회로, 오디오 음량 조절회로 등)가 형성되는 PCB(175)를 포함한다. 상기 PCB(175)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케이블(177)과 접속된다. 이 경우 PCB(175)는 전원스위치부(120)가 온(ON) 되는 경우(제2 위치) 전원케이블(177)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와 같이 PCB(175)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RAM(173)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액세스하여(오디오 데이터가 압축이 되어 있는 경우 디코딩 처리함)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부(130)로 출력한다.
더욱이 제어부(170)는 음량조절부(150)의 터치센서(151)를 통해 음량조절신호를 입력받고 이 음량조절신호를 미리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해당 음량 값으로 스피커부(130)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모드변환부(110)의 하측 부분이 눌려 모드변환부(110)의 상측 부분이 벽체(10)로부터 돌출되는 제1 위치에서는, 전원스위치부(120)의 제1 및 제2 단자(121,123)가 서로 단락됨에 따라 제어부(170)의 전원이 차단되어 스피커부(130)가 구동되지 않는다. 아울러, 사운드가 출력되는 모드변환부(110)의 개구(115)는 벽체(10) 내부로 은폐된다.
반대로, 모드변환부(110)의 상측 부분이 눌려 모드변환부(110)의 하측 부분이 벽체(10)로부터 돌출되는 제2 위치에서는, 전원스위치부(120)의 제1 및 제2 단자(121,123)가 상호 접속되며 제어부(170)로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모드변환부(110)의 개구(115)는 스피커부(13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방출할 수 있도록 벽체(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RAM(173)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뒤 스피커부(130)로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 경우, RAM(173)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가 다수인 경우, 미리 설정된 재생 순서(랜덤 재생 또는 순차 재생 등)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100)는 오디오의 재생 여부를 알려주는 조명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200)는 모드설정부(110) 내측에 배치되는 광원(210), 윈도우(211) 및 도광판(213)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210)은 예를 들면, LED 또는 LED를 포함하는 LED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원(210)은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70)에 의해 스피커부(130)의 출력과 동기화된다. 즉, 광원(210)은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 온(ON) 되고,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되면 오프(OFF) 된다. 더욱이 제어부(170)는 단순한 온/오프 제어 외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중에 광원을 미리 설정된 소정 간격으로 점멸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윈도우(211)는 광원(210)에서 발광되는 빛을 모드설정부(110) 외부로 발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윈도우(211)는 모드설정부(110)의 제2 마크(M2)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관통구멍(110a)에 결합된다. 이때 윈도우(211)에는 제2 마크(M2)의 재생 표시를 나타내는 도형을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판(213)은 모드설정부(110) 내측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광원(210)과 윈도우(211)에 동시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도광판(213)을 통해 광원(210)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윈도우(211)를 통해 효과적으로 발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마크(M1)에 대응하는 영역에도 상기 조명부(200)와 동일한 구성을 적용하여, 제1 위치 즉, 빌트인 오디오장치(100) 오프 시 제3 마크(M3) 영역에 빛을 발산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장치가 "OFF" 상태임을 알리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량조절부(150)의 터치센서(151)가 제3 마크(M3)의 영역에 대응하는 넓이로 형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8과 같이 제1 마크(M1) 및 제3 마크(M3)을 포함하는 정도의 폭과 넓이로 터치센서(251)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터치센서(251)는 제1 마크(M1) 및 제3 마크(M3)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영역(251a,251b)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영역(251a)은 제3 마크(M3)의 기능 예를 들면, 상술한 터치-드래그 방식에 의해 스피커부(13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 조절을 위한 영역으로 정의되고, 제2 영역(251b)은 터치 방식에 의해 제1 마크(M1)의 기능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251b)은 프로그래밍에 따라 재생 모드에서 추가 터치에 의해 일시 멈춤 기능이나, 터치-드래그 방식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터치-드래그 시 다음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 및 재생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100')가 개시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100')는 오디오 데이터를 별도의 음원제공부(33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빌트인 오디오장치(100')의 제1 통신부(310)와 음원제공부(330)의 제2 통신부(331)는 근거리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로써,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통신부(310,331)는 와이파이(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호 통신을 수행한다. 이 밖에 제1 및 제2 통신부(310,331)는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i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원거리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100')는 제1 및 제2 통신부(310,331) 간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real time streaming protocol)에 의해 음원제공부(33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부(1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통신부(31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모드설정부(110)의 내측 일부분에 설치되거나 벽체(10)의 수용홈(11)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통신부(310)로부터 전송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RAM(173)에 저장하거나 버퍼링을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음원제공부(330)는 모바일기기(예를 들면, 스마트 폰, 태블릿, 노트북 등)나 데스크 탑 PC,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데이터 서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120은 전원스위치부, 150은 음량조절부, 171은 ROM, 200은 조명부를 각각 나타내며,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100)의 각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빌트인 오디오장치(100,100')가 별도의 장치와 별개로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댁내에 설치되는 각종 조명장치(미도시) 또는 별도의 오디오장치(미도시)와 연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빌트인 오디오장치(100,100')는 제어부(120)가 소정의 전기 배선을 통해 댁내 조명장치의 전원부(미도시) 또는 안정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설정부(110)가 제1 위치로 설정되는 경우 빌트인 오디오장치의 스피커부(130)가 오프되면서 상기 댁내 조명장치가 함께 오프되고, 반대로 모드설정부(110)가 제2 위치로 설정되는 경우 빌트인 오디오장치의 스피커부(130)가 온 되면서 상기 댁내 조명장치가 함께 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빌트인 오디오장치는 온/오프 모드에 따라 댁내 조명장치를 함께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빌트인 오디오장치(100)는 제어부(170)가 별도의 오디오장치(미도시) 또는 별도의 오디오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미도시)와 소정의 전기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빌트인 오디오장치를 댁내 조명장치와 연결된 예와 유사하게, 빌트인 오디오장치의 모드설정부(110)를 제1 또는 제2 위치로 설정함에 따라 상기 별도의 오디오장치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를 오프하거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빌트인 오디오장치는 자체적으로 구비된 스피커부(130)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통신부(310)를 구비한 본 발명의 빌트인 오디오장치(100')는 제1 통신부(31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3 통신부(미도시)를 별도의 오디오장치에 설치하여, 제어부(170)를 통해 별도의 오디오장치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빌트인 오디오장치는 상기 댁내 조명장치와 상기 별도의 오디오장치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 경우, 빌트인 오디오장치의 모드설정부(110)를 제1 또는 제2 위치로 설정함에 따라 상기 댁내 조명장치 및 별도의 오디오장치를 통해 조명과 사운드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모드설정부 120: 전원스위치부
130: 스피커부 150: 음량조절부
170: 제어부 200: 조명부
310: 제1 통신부 330: 음원제공부
331: 제2 통신부

Claims (18)

  1. 스피커부;
    상기 스피커부를 선택적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부; 및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의 설정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설정부는 구조물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상기 모드설정부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어부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형성된 전원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스피커부를 내장하며,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선회함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를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구조물 내부로 은폐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구조물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평판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조절부는 상기 모드설정부의 내측면을 따라 위치하는 터치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부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모드설정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기 모드설정부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상기 모드설정부의 일부에 결합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기 윈도우로 안내하도록 상기 모드설정부 내측에 상기 광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을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서 구동하여 빛을 발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는 음원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원 제공부는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통신부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무선 신호를 상호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부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14. 구조물의 일면에 설치되어 내측에 배치된 스피커부를 선택적으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스피커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모드설정부;
    상기 제1 위치에서 전원이 차단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스피커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통신부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음원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제1 위치에서 상기 구조물 내부로 은폐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구조물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부로 출력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평판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량조절용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건물 내 설치되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드설정부의 제1 및 제2 위치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와 함께 온 또는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18. 제1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빌트인 오디오장치와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별도의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별도의 스피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드설정부의 제1 및 제2 위치에 따라 사운드 출력 또는 사운드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오디오장치.
KR1020130052913A 2013-05-10 2013-05-10 빌트인 오디오장치 KR102066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913A KR102066553B1 (ko) 2013-05-10 2013-05-10 빌트인 오디오장치
EP14153128.5A EP2802154B1 (en) 2013-05-10 2014-01-29 Built-in audio apparatus
US14/200,334 US9491529B2 (en) 2013-05-10 2014-03-07 Built-in audio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913A KR102066553B1 (ko) 2013-05-10 2013-05-10 빌트인 오디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181A KR20140133181A (ko) 2014-11-19
KR102066553B1 true KR102066553B1 (ko) 2020-01-15

Family

ID=5000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913A KR102066553B1 (ko) 2013-05-10 2013-05-10 빌트인 오디오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91529B2 (ko)
EP (1) EP2802154B1 (ko)
KR (1) KR1020665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7299A (zh) * 2014-08-21 2014-12-10 浙江生辉照明有限公司 照明装置及基于该装置的语音播报系统及方法
US10616684B2 (en) * 2018-05-15 2020-04-07 Sony Corporation Environmental sensing for a unique portable speaker listening experience
US10567871B1 (en) 2018-09-06 2020-02-18 Sony Corporation Automatically movable speaker to track listener or optimize sound performance
US11599329B2 (en) 2018-10-30 2023-03-07 Sony Corporation Capacitive environmental sensing for a unique portable speaker listening experie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2888A1 (en) * 2010-11-12 2012-05-18 Arcelik Anonim Sirketi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speak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922U (ja) 1993-01-28 1994-08-23 淳三 渡辺 Cdやmd等、音・音声出力プレイヤーを内蔵し、自 然界の音、音楽、学習内容等を、照明用スイッチや照 明用リモコンと連動して聞けるようにした照明器具
KR19990043450A (ko) * 1997-11-29 1999-06-15 전주범 자동차용 스피커 출몰장치
JP2001052558A (ja) 1999-08-03 2001-02-23 Shu Plans Work:Kk スイッチ装置
US6741720B1 (en) * 2000-04-19 2004-05-25 Russound/Fmp, Inc. In-wall loudspeaker system
US20030013503A1 (en) * 2001-07-16 2003-01-16 Royal Thoughts, L.L.C. Intercom module for a wireless system
KR100600890B1 (ko) 2004-05-29 2006-07-14 오태근 음향출력 기능을 갖는 뚜껑
JP2006140669A (ja) 2004-11-11 2006-06-01 Inax Corp 振動発生器付き壁
JP4445882B2 (ja) 2005-02-24 2010-04-07 オースミ電機株式会社 灯具付スピー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音響システム
DE102006015803A1 (de) * 2006-04-03 2007-10-18 WHD Wilhelm Huber und Söhne GmbH + Co. KG Einbaulautsprecher
US7684584B2 (en) * 2006-04-28 2010-03-23 Jazz Hipster Corp. Electrically angle-adjustable speaker
CN101098565A (zh) * 2006-06-28 2008-01-02 陈周万 嵌入式可旋转音箱
KR100919096B1 (ko) * 2008-01-18 2009-09-28 클리오주식회사 오디오,비디오 통합제어시스템
DE202008017374U1 (de) * 2008-02-05 2009-10-22 Abb Ag Lautsprecher in Form eines Unterputz-Elektro-Installationsgeräts eines Gebäudeinstallationssystems
JP2011030170A (ja) 2009-07-27 2011-02-10 Integral:Kk 埋め込みスピーカーの取り付け・装飾方法
KR20110057891A (ko) * 2009-11-25 2011-06-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스피커
US20140094936A1 (en) * 2012-09-28 2014-04-03 Brent E Saunders Multi-function touch screen wall switch with video sensor system, wifi connectivity, and other integrated sensor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2888A1 (en) * 2010-11-12 2012-05-18 Arcelik Anonim Sirketi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sp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91529B2 (en) 2016-11-08
EP2802154B1 (en) 2017-08-09
KR20140133181A (ko) 2014-11-19
EP2802154A1 (en) 2014-11-12
US20140334628A1 (en)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3575B2 (en) Multifunctional LED device and multifunctional LED wireless conference system
KR102066553B1 (ko) 빌트인 오디오장치
WO2014030540A1 (ja) 遠隔操作装置
US11622182B2 (en) Wireless sound-emitting device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sound-emitting device
US20160050493A1 (en) Wireless speaker system and wireless data transmission method
US20130114826A1 (en) Light bulb holder module with built-in speaker
US98075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o broadcast using lighting devices
US20190234608A1 (en) Lighting apparatus
KR101698757B1 (ko) 무선 조명 및 스피커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US11606852B2 (en) Voice communication between lamp and remote device plus lighting control via remote device
KR101196249B1 (ko)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CN204693160U (zh) 智能儿童台灯
CN103281839A (zh) 一种无线智能家居照明系统
JP632137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照明器具
CN204946226U (zh) 移动门铃
KR20150134447A (ko)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복합 조명 시스템
KR20160121260A (ko) 블루투스 및 무선통화 기능을 가진 멀티 무드등
WO2014128635A1 (en) Lighting system for internal rooms
CN204026557U (zh) 无线控制的灯转接头
KR101594456B1 (ko) 스마트 폰 액세서리
JP659159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照明器具
JP6319783B2 (ja) 照明ユニット
JP3110019U (ja) 無線通信装置用マイクロフォン
KR20190088311A (ko) 포터블 스피커
KR20050000216A (ko) 가전제품 제조시 삽입된 쌍방향 리모콘 콘트롤러 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