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621B1 -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621B1
KR102065621B1 KR1020180110862A KR20180110862A KR102065621B1 KR 102065621 B1 KR102065621 B1 KR 102065621B1 KR 1020180110862 A KR1020180110862 A KR 1020180110862A KR 20180110862 A KR20180110862 A KR 20180110862A KR 102065621 B1 KR102065621 B1 KR 102065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information
code
server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영
서매자
Original Assignee
이은영
서매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영, 서매자 filed Critical 이은영
Priority to KR102018011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 구매에 사용하는 결제 수단을 가맹점 단말과 연결된 리더기를 통해 인식 가능한 식별 코드로 발급받은 후 상품 구매시 해당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서버로 식별 코드가 자동 전달되도록 중개함으로써 간편하게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가맹점 직원이나 사용자가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버를 특정하여 결제를 진행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서버를 자동 식별한 후 해당 결제 서버와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함으로써 결제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based on code analysis}
본 발명은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 구매에 사용하는 결제 수단을 가맹점 단말과 연결된 리더기를 통해 인식 가능한 식별 코드로 발급받은 후 상품 구매시 해당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서버로 식별 코드가 자동 전달되도록 중개함으로써 간편하게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망과 이를 지원하는 다양한 단말의 발전과 더불어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방문한 상점에서 상품 구매시 편리하게 해당 단말을 통해 결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결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의 활성화와 더불어 결제 금액의 지불에 이용되는 신용카드 이외에도 상품 구매시 적립에 이용된 포인트를 결제 금액의 할인이나 지불에 이용 가능한 멤버쉽 카드, 교환권, 할인권, 쿠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결제 수단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결제 수단을 결제 서비스를 통해 결제 수단 정보로 발급받아 사용자 단말에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구매 상품을 판매하는 상점의 POS 단말로 결제에 사용하기 위한 결제 수단 관련 결제 수단 정보를 전달하여 POS 단말과 결제 수단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결제 서버 사이의 통신을 통해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이때, 사용자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수단을 상품 구매시 결제 금액의 결제에 이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점의 직원은 사용자가 결제에 사용하는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결제 서비스를 복수의 결제 수단마다 일일이 개별 지정한 후 복수의 결제 수단별로 결제 처리를 수행해야 한다.
이로 인해, 상점의 직원은 결제 수단별로 해당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결제 서비스를 숙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복수의 결제 수단을 상품 결제에 이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결제 수단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결제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수동 선택하여 복수의 결제 서비스마다 결제를 처리해야 하므로 결제 처리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결제 서비스의 숙지가 부족한 상태에서 결제 처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결제를 처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 역시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결제 무인화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상태이며, 이러한 결제 무인화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를 위해서 사용자가 직접 결제 서비스를 선택하여 결제를 해야 하는데 직원이 아닌 사용자가 이러한 결제 수단별 결제 서비스를 숙지하도록 권장하는데 무리가 있으며, 이로 인해 결제 무인화 시스템의 사용이 불편하여 결제 무인화 시스템을 도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6996호
본 발명은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수단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결제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가 상품 구매를 위해 선택한 결제 수단에 대응되어 결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결제 서비스가 자동 선택되어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나 가맹점 직원에 의한 별도의 결제 서비스 지정 없이 사용자의 선택 결제 수단을 이용한 자동 결제 처리를 지원하여 결제 편의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별코드 식별시 식별 코드에 대한 인식 오류를 최소화하여 정확하게 식별코드가 인식되도록 지원함으로써 결제 처리 과정의 신뢰성 및 만족도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방법은, 가맹점 단말과 연결된 리더기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코드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가맹점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코드 정보와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내역이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를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식별코드로 상호 간 서로 다른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와 각각 대응되어 상기 코드 정보에 포함된 코드 관련 길이, 패턴, 암호화 방식 및 표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결제 서버를 다른 결제 서버와 구분하여 식별하기 위한 복수의 서로 다른 규칙 정보가 미리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규칙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분석하여 상기 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특정 결제 서버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특정 결제 서버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따른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결제 정보를 수신한 상기 특정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결과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결제 수단 관련 QR코드 또는 바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결제 서버의 식별을 위한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코드, 상기 특정 코드 각각의 길이, 상기 특정 코드 각각의 배치 패턴, 상기 코드 정보의 암호화 방식, 상기 식별 코드의 생성에 사용된 표준 및 상기 코드 정보에 따른 전체 코드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정보, 상기 코드 정보로부터 상기 설정 정보와의 비교 대상인 비교 대상 코드, 암호화 방식 및 표준을 식별하여 상기 설정정보와 비교 분석하기 위한 분석 알고리즘 및 상기 분석 알고리즘을 통한 상기 설정정보와의 일치 확인시 상기 규칙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결제 요청 정보 수신시 복수의 결제 서버와 각각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복수의 규칙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규칙 정보 각각에 대하여 상기 규칙 정보에 포함된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코드 정보에서 상기 비교 대상 코드의 식별, 상기 코드 정보에 대한 복호화를 통한 암호화 방식의 식별 및 상기 코드 정보에 미리 설정된 상기 식별 코드 관련 표준의 식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후 수행 결과를 상기 규칙 정보에 포함된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규칙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결제 서버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특정 결제 서버 식별시 상기 특정 결제 서버의 규칙정보에 포함된 상기 접속 주소로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규칙정보가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결제 서버를 제 1 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규칙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를 제 2 그룹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규칙정보를 기초로 상기 코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의 식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식별 여부에 따라 식별 성공시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특정 결제 서버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따른 결제 정보를 전송하고, 식별 실패시 제 2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를 대상으로 상기 코드 정보를 일괄 전송 후 응답한 결제 서버를 상기 특정 결제 서버로 하여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1 그룹의 상기 특정 결제 서버로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한 이후 상기 특정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결과 정보 미수신시 상기 제 2 그룹을 대상으로 상기 코드 정보를 일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2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상기 코드 정보의 일괄 전송 이후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된 모든 결제 서버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오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가맹점 단말이 상기 식별 코드가 결제 처리시 결제 금액이 불필요한 결제 수단 관련 식별코드인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결제 내역에 포함되는 결제 금액이 미리 설정된 특정 숫자 또는 특정 문자로 입력된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결제 금액의 확인을 통해 식별 가능하며 결제 처리시 결제 금액이 불필요한 결제 수단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를 별도의 제 3 그룹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 금액을 확인하여 상기 특정 숫자 또는 특정 문자 확인시 상기 제 3 그룹을 대상으로 상기 제 3 그룹의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와 각각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규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식별 코드와 매칭되는 결제 서버를 식별하거나 상기 코드 정보를 일괄 전송하여 상기 식별 코드와 매칭되는 결제 서버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 체크 카드, 멤버쉽 카드, 교환권, 할인권, 쿠폰, 기프티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리더기와, 상기 리더기와 연결되어 상기 코드 정보 수신시 상기 코드 정보와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내역이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를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가맹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식별코드로 상호 간 서로 다른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와 각각 대응되어 상기 코드 정보에 포함된 코드 관련 길이, 패턴, 암호화 방식 및 표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결제 서버를 다른 결제 서버와 구분하여 식별하기 위한 복수의 서로 다른 규칙 정보가 미리 저장되고,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규칙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분석하여 상기 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특정 결제 서버를 식별하며,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특정 결제 서버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따른 결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특정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결과 정보 수신시 해당 결제 결과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비스 서버에서 가맹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 관련 식별 코드에 대한 리더기의 인식을 통해 수신한 상기 결제 수단 관련 코드 정보를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 각각에서 제공한 규칙에 따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의 발급처인 특정 결제 서버를 용이하게 자동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식별된 특정 결제 서버와의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어, 기존과 같이 가맹점 직원이나 사용자가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버를 특정하여 결제를 진행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서버를 자동 식별한 후 해당 식별된 결제 서버와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함으로써 결제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서비스 서버의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 관련 결제 서버의 자동 식별 및 결제 처리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비스를 사용자가 숙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결제 처리 과정에서 사용자의 결제 수단 관련 결제 서비스나 결제 서버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필요가 없도록 지원하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가맹점 단말과 연결된 리더기에 인식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무인 결제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어 기존과 같이 사용자가 구매 상품의 결제에 사용하고자 하는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비스나 결제 서버를 사용자가 숙지한 후 직접 수동으로 선택해야 하는 기존 무인 결제 시스템의 불편함을 개선하면서 무인 결제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고유의 리더기 구성을 통해 식별코드 인식시 상기 식별 코드에 대한 인식 오류를 최소화하여 정확하게 식별코드가 인식되도록 지원함으로써 결제 처리 과정의 신뢰성 및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더기의 구성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인식(또는 스캔(scan))하여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리더기(reader)(20)와, 상기 리더기(2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가맹점 단말(30)과, 상기 가맹점 단말(30) 및 사용자 단말(10)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서버(100)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통신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복수의 서로 다른 가맹점 단말(30)과 통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통신망은 널리 알려진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무선 통신 방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과 같은 무선통신 방식과,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위한 제 1 통신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 1 입력부, 각종 정보가 저장된 제 1 저장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 및 사용자 단말(1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10)의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30)은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위한 제 2 통신부,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제 2 입력부, 각종 정보가 저장된 제 2 저장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 및 가맹점 단말(3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제어부는 가맹점 단말(30)의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3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리더기(20)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단말(30)의 제 2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리더기(2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부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제어부에 포함된 CPU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제 1 또는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 1 또는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컨텐츠(contents),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30) 및 리더기(20)는 사용자 단말(10)을 소지한 사용자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가맹점에 위치하며, 상기 가맹점 단말(30)은 POS(Point Of Sale)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200)는 상품의 결제 대금의 지불, 할인 및 적립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결제 수단인 신용카드, 체크카드, 멤버쉽 카드, 교환권, 할인권, 쿠폰, 기프티콘 등과 같은 다양한 결제 수단을 사용자 단말(10)에 저장되는 결제 수단 정보로 발급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200) 상호간 서로 다른 결제 수단을 발급하며, 상기 결제 서버(200)는 상기 결제 수단을 이용한 상품 구매시 상기 결제 수단 관련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200)는 상호 간 서로 다른 결제 수단을 발급하므로, 각자 고유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상품 구매시 구매 상품의 결제를 위해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과 관련된 특정 결제 서비스 관련 선택 정보를 가맹점 직원 또는 사용자가 직접 가맹점 단말(30)에 입력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30)과 상기 특정 결제 서비스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200)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일례로, 상기 특정 결제 서비스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200)와의 연결을 위해 결제 수단이 상품의 구매 대금 지불을 위한 지불 수단, 상품의 구매 대금 할인을 위한 할인 수단 및 상품의 구매와 관련하여 혜택 적립을 위한 적립 수단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와 같은 결제 수단의 종류를 가맹점 직원이나 사용자가 직접 선택 입력해야 하고, 결제 수단의 종류에 따라 필요시 해당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자를 추가적으로 가맹점 직원이나 사용자가 가맹점 단말(30)에 직접 선택 입력해야 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결제 처리 과정은 번거로운 결제 절차 뿐만 아니라 결제 서비스 제공자가 너무 많기 때문에, 가맹점 직원도 모든 결제 서비스의 숙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결제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하여 결제 편의성 및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를 개선하여, 최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과 가맹점 단말(30) 사이의 통신을 통해 결제 수단 관련 정보를 가맹점 단말(30)에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가맹점 단말(30)에서 결제 수단 관련 정보를 대응되는 결제 서버(200)로 전송하는 방식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NFC 기반의 결제 방식 역시 가맹점 단말(30)에 사용자 단말(10)에서 전달하는 결제 수단의 종류에 따라 결제 수단의 종류 및 결제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절차가 여전히 존재한다.
더군다나, NFC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에 NFC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하드웨어가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NFC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10)은 대부분 고가이므로 NFC 통신 지원 하드웨어가 구비되지 않은 저가의 사용자 단말(10)은 이러한 NFC 기반 결제 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하여 NFC 기반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불편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NFC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버전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버전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 사이에 성능차가 존재하여 성능이 떨어지는 버전의 사용자 단말(10)에서 NFC 기반 결제 처리시 사용상 불편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맹점 단말(30)에 사용자의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의 종류 및 결제 서비스를 별도 입력할 필요 없이 QR(Quick Response) 코드나 바코드(barcode)와 같은 모든 종류의 사용자 단말(10)에서 이용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친숙한 식별 코드로 결제 수단을 사용자에게 발급한 결제 서버(200)를 통한 사용자의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시 상기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을 발급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서버(200)를 자동 식별하고, 해당 결제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결제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세 동작 실시예를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200)는 사용자가 발급받은 결제 수단 관련 식별 코드(A)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가맹점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구매 상품의 결제에 사용하기 위한 식별코드(A)를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제 1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구성되는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부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제 1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200a, 200b, 200c, 200d)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결제 수단과 각각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200a, 200b, 200c, 200d) 각각으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과 각각 관련된 하나 이상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결제 수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제 1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 정보 관련 목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제 1 표시부를 통해 제공(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제 1 표시부를 통해 제공된 목록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 상품의 결제에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제 1 입력부를 통해 선택한 결제 수단 정보에 포함된 식별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제 1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가맹점 단말(30)과 연결되어 가맹점 단말(30)과 통신하는 리더기(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코드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 코드는 상기 결제 수단 관련 QR 코드 또는 바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 단말(30)은 상기 리더기(20)와 연결되어 상기 코드 정보 수신시 상기 코드 정보와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내역이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를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100)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상기 식별코드로 상호 간 서로 다른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200a, 200b, 200c, 200d)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200a, 200b, 200c, 200d) 각각은 결제 수단을 상기 식별 코드로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에 대응되어 발급하며, 해당 식별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200a, 200b, 200c, 200d)는 상호 간 사용자에 대하여 서로 다른 식별 코드를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200a, 200b, 200c, 200d) 중 상기 식별 코드와 관련하여 상기 결제 서버(200)의 식별을 위한 규칙정보가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200a, 200b)를 제 1 그룹으로 설정하고 나머지에 해당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200c, 200d)를 제 2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 1 그룹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규칙정보를 기초로 상기 코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코드 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규칙 정보 중 어느 하나를 만족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규칙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코드 정보에서 추출된 비교 대상 코드와 상기 규칙 정보에 기설정된 설정 코드가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호 일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200)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규칙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그룹를 대상으로 하는 결제 서버(200)의 식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200a, 200b, 200c, 200d) 중 코드 정보의 분석을 통해 결제 서버(200)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당 코드 정보의 분석을 위한 상호 서로 다른 규칙 정보를 전송하는 결제 서버(200a, 200b)를 제 1 그룹으로 분류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규칙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포함된 별도의 규칙 DB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결제 서버(200)의 식별을 위한 미리 설정된 코드별 배치 패턴, 하나 이상의 서버 식별 코드 및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정보, 상기 코드 정보에서 상기 설정 정보와의 비교 대상인 비교 대상 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설정정보와 비교 분석하기 위한 분석 알고리즘 및 상기 분석 알고리즘을 통한 설정정보와의 일치 확인시 상기 규칙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200)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가맹점 단말(30)로부터 코드 정보 수신시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200a, 200b)와 각각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규칙 정보를 상기 규칙 DB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규칙 정보 각각에 대하여 상기 규칙 정보에 포함된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코드 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별 상기 비교 대상 코드를 추출한 후 상기 규칙 정보에 포함된 설정정보에 따른 상기 코드별 배치 패턴, 상기 하나 이상의 서버 식별 코드 및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규칙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결제 서버(200)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코드 정보가 특정 규칙 정보를 기초로 하는 상기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설정정보와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비교 대상 코드를 가진 경우 해당 코드 정보가 상기 특정 규칙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결제 서버(200)에서 발급하는 결제 수단인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를 해당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200)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 1 그룹에서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 식별시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의 규칙정보에 포함된 상기 접속 주소로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제 1 결제 서버(200a)에서 제공된 제 1 규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에서 상기 규칙 정보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서로 다른 설정 코드와 일치하는 복수의 비교 대상 코드를 식별하고, 상기 코드 정보에서 식별된 상기 복수의 비교 대상 코드의 배치 패턴과 상기 제 1 규칙 정보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설정 코드의 배치 패턴을 상호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코드 정보에 따른 결제 수단이 상기 제 1 결제 서버(200a)에서 발급되는 결제 수단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가 상기 제 1 결제 서버(200a)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코드 정보에서 상기 링크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제 2 결제 서버(200b)에서 제공된 제 2 규칙 정보에 따른 링크정보와 상기 코드 정보에서 식별된 링크 정보가 상호 일치하는 경우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결제 서버(200)가 상기 제 2 결제 서버(200b)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상기 식별코드로 상호 간 서로 다른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200)와 각각 대응되어 상기 코드 정보에 포함된 코드 관련 길이(또는 자릿수), 패턴, 암호화 방식 및 표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결제 서버를 다른 결제 서버와 구분하여 식별하기 위한 복수의 서로 다른 규칙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규칙 정보는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포함되는 상기 규칙 DB(101)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규칙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200)는 상기 제 1 그룹에 속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상이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결제 서버(200)의 식별을 위한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코드, 상기 특정 코드 각각의 길이(또는 자릿수), 상기 특정 코드 각각의 배치 패턴, 상기 코드 정보의 암호화 방식, 상기 식별 코드의 생성에 사용된 표준 및 상기 코드 정보에 따른 전체 코드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정보와, 상기 코드 정보로부터 상기 설정 정보와의 비교 대상인 비교 대상 코드, 암호화 방식 및 표준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여 상기 설정정보와 비교 분석하기 위한 분석 알고리즘 및 상기 분석 알고리즘을 통한 상기 설정정보와의 일치 확인시 상기 규칙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200)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코드, 상기 특정 코드 각각의 길이(또는 자릿수), 상기 특정 코드 각각의 배치 패턴, 상기 코드 정보의 암호화 방식, 상기 식별 코드의 생성에 사용된 표준 및 상기 코드 정보에 따른 전체 코드의 길이 각각은 속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속성별 파라미터가 상기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코드는 하나 이상의 숫자 또는 하나 이상의 문자로 구성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숫자 및 문자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문자는 일반 문자 이외에도 특수문자,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 패턴은 상기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특정 코드가 상기 코드 정보에 따른 전체 코드에서 위치하는 자리일 수 있으며, 상기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특정 코드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서로 다른 상기 특정 코드와 각각 대응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자리가 상기 배치 패턴으로 상기 설정정보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은 상기 식별 코드의 생성에 사용된 표준을 의미하며, 일례로, EAN(European Article Number),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리더기(20)를 통한 식별 코드의 인식을 통해 생성된 코드 정보가 암호화된 상태일 때 특정 규칙 정보의 상기 분석 알고리즘에 포함된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코드 정보가 복호화되는 경우 상기 코드 정보의 암호화에 사용된 암호화 방식이 상기 특정 규칙 정보에 설정된 설정정보에 따른 암호화 방식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특정 규칙 정보를 제공한 결제 서버(200)를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매칭되는) 특정 결제 서버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규칙 정보에 포함된 설정 정보에 상기 암호화 방식과 상기 전체 코드의 길이를 포함하는 복수의 속성별 파라미터가 설정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특정 규칙 정보에 따른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코드 정보의 복호화에 성공하고, 상기 복호화된 코드 정보에 포함되는 전체 코드와 관련하여 식별된 전체 코드의 길이가 상기 특정 규칙 정보의 설정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특정 규칙 정보를 제공한 결제 서버(200)를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매칭되는) 특정 결제 서버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규칙 정보가 존재하는 상기 제 1 그룹에 속한 복수의 결제 서버(200)와 각각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복수의 규칙 정보를 상기 규칙 DB(101)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규칙 정보 각각에 대하여 상기 규칙 정보에 포함된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정보에서 상기 비교 대상 코드의 식별, 상기 코드 정보에 대한 복호화를 통한 암호화 방식의 식별 및 상기 코드 정보에 미리 설정된 상기 식별 코드 관련 표준의 식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후 수행 결과를 상기 규칙 정보에 포함된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규칙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200)를 상기 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결제 서버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특정 결제 서버 식별시 상기 특정 결제 서버의 규칙정보에 포함된 상기 접속 주소로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대한 일례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결제 서버(200e)가 제공하는 제 3 규칙 정보에 포함된 설정정보가 전체 코드의 길이로서 설정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 3 규칙 정보에 따른 상기 분석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정보에 따른 전체 코드의 길이를 식별한 후 상기 제 3 규칙 정보에 포함된 설정 정보에 따른 전체 코드의 길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3 규칙 정보를 제공하는 제 3 결제 서버(200e)를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매칭되는) 상기 특정 결제 서버로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결제 서버(200f)가 제공하는 제 4 규칙정보에 포함된 설정정보에 전체 코드의 길이와, 복수의 특정 코드 및 특정 코드별 배치 패턴이 설정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 4 규칙 정보에 따른 분석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코드 정보에서 상기 복수의 특정 코드와 각각 일치하는 코드가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코드 정보에서 상기 제 4 규칙 정보에 따른 상기 분석 알고리즘을 기초로 상기 제 4 규칙 정보의 설정정보에 따른 복수의 특정 코드 각각과 일치하는 코드가 식별될 때 상기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복수의 특정 코드별 배치 패턴을 상기 코드 정보로부터 식별한 후 상기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시 상기 코드 정보에 따른 전체 코드의 길이를 식별한 후 상기 제 4 규칙정보의 설정정보에 설정된 전체 코드의 길이와 상호 비교하여 최종 일치시 상기 코드 정보가 상기 제 4 결제 서버(200f)와 매칭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규칙 정보에 '4619548'과 '5223'이 상기 특정 코드로 설정되고, 상기 '4619548'이 전체 코드의 가장 앞에서 순서대로 위치하고, '5223'이 전체 코드의 가장 뒤에서 순서대로 위치하는 특정 코드별 배치 패턴이 설정되며, 전체 코드의 길이가 20자리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정보에 따른 전체 코드에 '4619548'과 '5223'이 포함되고, 상기 '4619548'이 상기 코드 정보에 따른 전체 코드의 가장 앞에서 순서대로 위치하고, '5223'이 상기 코드 정보에 따른 전체 코드의 가장 뒤에서 순서대로 위치하여 상기 설정정보에 설정된 특정 코드별 배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며, 상기 코드 정보에 따른 전체 코드의 길이가 20자리로 설정되어 상기 설정정보에 설정된 전체 코드의 길이(자릿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코드 정보가 상기 제 4 결제 서버(200f)에 의해 제공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 4 결제 서버(200f)를 상기 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결제 서버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00)의 코드 정보 분석에 따른 이후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가맹점 단말(30)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결제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
이때, 상기 결제 정보에는 상기 코드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구매 상품과 관련하여 구매 상품별 상품 식별 정보, 구매 상품별 개수, 구매 상품별 금액, 최종 결제 금액 등과 같은 결제 내역 정보,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한 가맹점 단말(30)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드 정보를 규칙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제 1 그룹에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200)의 식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식별 여부에 따라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a)의 식별 성공시(S3) 상기 코드 정보를 기초로 식별된 제 1 그룹의 특정 결제 서버(200a)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따른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S4).
이때, 상기 결제 정보에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정보를 수신한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a)는 상기 결제 정보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고,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a)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 수단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구매 상품 관련 결제 금액에 대하여 결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a)는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처리 완료시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 결제 결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a)로부터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어 결제 결과 정보 수신시(S5)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한 가맹점 단말(30)로 상기 결제 결과 정보를 전송하여 결제 결과가 상기 가맹점 단말(30)을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6).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식별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그룹에서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200)가 존재하지 않아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의 식별에 실패한 경우(S3) 상기 코드 정보가 소정의 규칙 없이 랜덤하게 생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규칙 정보를 전송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200c, 200d)를 그룹핑하여 미리 설정한 제 2 그룹의 모든 결제 서버(200c, 200d)를 대상으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일괄 전송할 수 있다(S7).
또한, 상기 제 2 그룹에 속한 결제 서버(200c, 200d)는 상기 코드 정보 수신시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의 발급처가 자신인 경우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응답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발급처가 자신이 아닌 경우 상기 응답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 2 그룹에 속한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200c, 200d) 각각에 상기 코드 정보를 일괄 전송한 후 응답정보가 수신되는 결제 서버(200d)로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8, S9).
즉,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응답 정보를 전송하여 코드 정보에 응답한 상기 제 2 그룹의 결제 서버(200d)를 상기 특정 결제 서버로서 식별하여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결제 정보를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d)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정보를 수신한 제 2 그룹의 결제 서버(200d)는 상기 제 1 그룹의 특정 결제 서버(200a)와 마찬가지로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를 처리한 후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 결제 결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 2 그룹의 결제 서버(200d)로부터 수신한 결제 결과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한 가맹점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S5, S6).
이때, 상기 가맹점 단말(30)은 상기 결제 결과 정보를 가맹점 단말(30)에 구성된 제 2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 결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 1 그룹의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a)로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한 이후(S4)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a)로부터 상기 결제 결과 정보 미수신시(S5, S5-1) 상기 제 2 그룹을 대상으로 상기 코드 정보를 일괄 전송할 수 있다(S7).
즉,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코드 정보에 따른 결제 수단이 상기 코드 정보의 분석을 기초로 식별된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a)에서 발급하는 결제 수단이 아니어서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a)로부터 결제 결과 정보가 미수신되는 경우 해당 코드 정보에 따른 결제 수단이 제 2 그룹에 속한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200c, 200d)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발급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2 그룹에 속한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200c, 200d)로 상기 코드 정보를 일괄 전송하여 해당 코드 정보의 발급처에 해당하는 결제 서버(200)의 확인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서비스 서버(100)가 상기 코드 정보의 분석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해당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특정 결제 서버(200a)로부터 결제 결과 정보가 미수신되는 경우 제 2 그룹을 대상으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의 발급처 관련 결제 서버(200)를 검색하기 위해 상기 코드 정보를 상기 제 2 그룹에 속한 모든 결제 서버(200c, 200d)를 대상으로 일괄 전송하고, 상기 제 2 그룹에 속한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200c, 200d) 중 어느 하나로부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응답 정보 수신시 응답 정보를 전송한 결제 서버(200d)를 상기 결제 수단과 연관된 발급처의 결제 서버(200)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상기 결제 정보를 수신한 제 1 그룹 또는 제 2 그룹에 속한 결제 서버(200)는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코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제 정보를 수신한 상기 결제 서버(200)에 포함되는 회원 DB에 저장되고 상기 코드 정보와 대응되는(매칭되는) 사용자의 결제 수단 관련 결제 수단 정보를 상기 회원 DB로부터 식별 및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회원 DB로부터 추출된 사용자의 결제 수단 관련 결제 수단 정보를 통해 처리되는 결제 종류와 결제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으로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구매 상품의 금액에 대한 지불 및 할인과 사용자의 회원 정보에 대응되어 포인트 적립(또는 혜택 적립) 등을 포함하는 결제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 처리에 따른 결제 처리 결과에 대한 결제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 1 그룹에서 상기 코드 정보의 분석을 통해 식별된 특정 결제 서버(200a)에 대한 결제 정보 전송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결제 결과 정보가 미수신된 경우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의 발급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2 그룹에 속한 모든 결제 서버(200c, 200d)를 대상으로 상기 코드 정보를 일괄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a)는 상기 결제 정보 수신시 상기 코드 정보를 통한 결제 수단의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 결제 실패로 판단하고,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한 서비스 서버(100)로 상기 결제 실패 관련 결제 결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 1 그룹의 특정 결제 서버(200a)로부터 상기 결제 실패 관련 결제 결과 정보 수신시 상기 제 2 그룹에 속한 모든 결제 서버(200c, 200d)를 대상으로 상기 코드 정보를 일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 2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상기 코드 정보의 일괄 전송 이후(S7)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된 모든 결제 서버(200c, 200d)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S8) 오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S10).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 2 그룹의 어느 하나의 결제 서버(200d)로 결제 정보를 전송한 이후(S9) 결제 정보를 수신한 제 2 그룹의 결제 서버(200d)로부터 결제 결과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S5, S5-1) 상술한 바와 같이 오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S10).
이를 통해, 가맹점 단말(30)은 상기 오류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30)에 구성된 제 2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가 구매 상품의 결제에 이용하기 위한 결제 수단과 관련하여 결제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 단말(30)은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결제 결과 정보가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의 가격 할인에 대한 결제 결과 정보인 경우 상기 결제 결과 정보에 따라 기존 결제 요청 정보의 최종 결제 금액을 갱신한 갱신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 정보를 자동 생성하거나 기존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갱신 결제 금액으로 갱신하고, 상기 리더기(2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갱신 결제 금액의 지불을 위한 지불 수단(또는 결제 수단) 관련 코드 정보를 상기 갱신 결제 금액이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결제 수단을 결제 처리시 결제 금액이 필요한 신용카드, 체크 카드 등과 같은 제 1 수단과 결제 처리시 결제 금액이 불필요한 쿠폰, 멤버쉽 카드 등과 같은 제 2 수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과 별도로 상기 제 2 수단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200b, 200c)를 제 3 그룹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3 그룹에 속한 결제 서버(200b, 200c)는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서버와 중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 3 그룹을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과 구분하여 식별하기 위해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결제 금액이 미리 설정된 특정 숫자 또는 특정 문자인 경우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정보 관련 식별 코드를 발급한 결제 수단이 상기 제 3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가맹점 단말(30)은 사용자 단말(10)에 표시된 식별 코드와 관련된 결제 수단이 결제 금액의 기입이 필요치 않는 상기 제 2 수단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 또는 관리자 입력에 따라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결제 내역에 포함되는 결제 금액(또는 최종 결제 금액)이 상기 제 3 그룹을 구분하기 위한 상기 특정 숫자 또는 특정 문자로 입력된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맹점 단말(30)은 결제 금액이 불필요한 제 2 수단 관련 결제 요청 정보 생성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 금액이 '1'로 입력된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결제 금액의 확인을 통해 식별 가능하며 결제 처리시 결제 금액이 불필요한 결제 수단 관련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200b, 200c)를 별도의 상기 제 3 그룹으로 미리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결제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결제 금액에서 상기 특정 숫자 또는 특정 문자 확인시 상기 결제 요청 정보 관련 결제 수단이 상기 제 3 그룹에 속한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200b, 200c) 중 어느 하나에서 발급한 결제 수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 금액이 상기 제 3 그룹의 구분을 위한 상기 특정 숫자인 상기 '1'인 경우 상기 결제 요청 정보 관련 결제 수단이 상기 제 3 그룹에 속한 결제 서버(200b, 200c) 중 어느 하나에서 발급한 결제 수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제 3 그룹을 대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그룹에 속한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200b, 200c)와 각각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규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식별 코드와 매칭되는 특정 결제 서버를 식별하거나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일괄 전송하여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응답한 결제 서버를 상기 식별 코드와 매칭되는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b)로 식별할 수 있으며,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특정 결제 서버(200b)와 결제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는 결제 금액이 불필요한 쿠폰이나 멤버쉽 카드 등의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를 별도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후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 금액으로부터 특정 숫자나 특정 문자를 확인하는 것을 통해 결제 금액이 불필요한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를 식별하고, 상기 결제 금액이 불필요한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만을 대상으로 결제 요청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관련 발급처의 식별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여 결제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의 발급처에 대한 식별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결제 금액이 필요치 않은 결제 수단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비스 서버에서 가맹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 관련 식별 코드에 대한 리더기의 인식을 통해 수신한 상기 결제 수단 관련 코드 정보를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 각각에서 제공한 규칙에 따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의 발급처인 특정 결제 서버를 용이하게 자동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식별된 특정 결제 서버와의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어, 기존과 같이 가맹점 직원이나 사용자가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버를 특정하여 결제를 진행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서버를 자동 식별한 후 해당 식별된 결제 서버와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함으로써 결제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결제 수단 관련 식별 코드를 발급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고, 가맹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 관련 식별 코드에 대한 리더기의 인식을 통해 수신한 코드 정보를 상기 규칙에 따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의 발급처인 특정 결제 서버를 용이하게 자동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규칙을 기반으로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관련 결제 서버를 식별할 수 없는 경우라도 일정 규칙 없이 랜덤하게 사용자의 결제 수단과 관련되어 상기 식별 코드를 발급하는 모든 결제 서버를 대상으로 코드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코드 정보와 관련된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결제 서버를 용이하게 자동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서비스 서버의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 관련 결제 서버의 자동 식별 및 결제 처리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비스를 사용자가 숙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결제 처리 과정에서 사용자의 결제 수단 관련 결제 서비스나 결제 서버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필요가 없도록 지원하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가맹점 단말과 연결된 리더기에 인식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무인 결제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어 기존과 같이 사용자가 구매 상품의 결제에 사용하고자 하는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비스나 결제 서버를 사용자가 숙지한 후 직접 수동으로 선택해야 하는 기존 무인 결제 시스템의 불편함을 개선하면서 무인 결제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최근 결제가 지불, 할인, 적립 등과 같이 결제 종류가 세분화되고 결제 종류별로 다양한 결제 수단 및 결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구매 상품에 사용하기 위한 결제 수단과 관련되어 결제 종류, 결제 서버, 결제 서비스 등을 지정할 필요 없이 결제 수단 관련 식별 코드의 인식만으로 용이하게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버의 자동 식별 및 상기 자동 식별된 결제 서버로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 관련 코드 정보를 전송하여 가맹점 단말에서 인식된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로 상기 결제 수단 관련 코드 정보가 자동 전달되도록 중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에서 결제 수단이 제공하는 결제 종류와 결제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으로 구매 상품에 대한 지불, 할인, 혜택 적립 등과 같은 결제 종류 중 적어도 하나가 자동 처리되도록 지원할 수 있어 신규 결제 서비스가 추가 및 지속적으로 증가하더라도 용이하게 모든 결제 서비스를 즉각 가맹점의 상품 구매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어 범용성 및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맹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 NFC와 같은 고가의 하드웨어 장비를 구성할 필요가 없도록 지원하여 가맹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부하 및 비용을 낮추는 동시에 QR코드 및 바코드와 같은 사용자에게 친숙하며 코드 인식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가 요구되지 않는 식별 코드를 결제 서버로부터 발급받아 구매 상품의 결제에 이용하도록 지원하여 저가의 사용자 단말 역시 다양한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수단을 가맹점에서 구매한 상품의 결제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수단 각각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결제 처리에 대한 중개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구매 상품의 결제에 사용하고자 하는 개별 결제 수단마다 대응되는 결제 서비스 관련 결제 서버를 자동 식별하여 결제 처리를 중개함으로써 결제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사용하는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비스 또는 결제 서버를 수동으로 지정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결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규칙을 제공하는 결제 서버를 우선 대상으로 하여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를 우선 검색하여 해당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규칙을 제공하지 않는 결제 서버를 대상으로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일괄 전송하여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를 검색하는 과정을 제공함으로써, 규칙을 제공하는 결제 서버를 우선 검색하는 과정을 통해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버를 식별하는데 필요한 검색 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결제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QR코드 또는 바코드와 같은 식별 코드의 인식시 외부 광의 영향과 더불어 리더기(20)에 대한 식별 코드의 배치 상태에 따라 인식률이 저하될 수 있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더기(20) 구성을 도 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더기(20)는 본체부(21)와, 상기 본체부(21)의 일부면에 렌즈가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부(21)에 구성되어 상기 식별 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22)와, 상기 본체부(21)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가맹점 단말(30)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통신하는 제 3 통신부 및 상기 본체부(21)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부(22)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기초로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한 후 상기 식별 코드로부터 코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 3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맹점 단말(30)로 전송하는 제 3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리더기(20)의 제 3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22)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식별 코드를 상기 카메라부(22)를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통해 인식 및 추출하고, 상기 영상 신호로부터 추출된 상기 식별 코드를 스캔하여 식별 코드에 포함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코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20)의 제 3 제어부는 상기 리더기(20)의 제 3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맹점 단말(30)로 상기 코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에 표시된 식별 코드를 상기 리더기(20)의 카메라부(22)에 포함된 렌즈와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상기 리더기(20)의 카메라부(22)가 상기 식별 코드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외부 광의 간섭에 의해 상기 식별 코드의 일부가 영상에서 소실되거나 가려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상기 리더기(20)의 인식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10)의 리더기(20)에 대한 배치 상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의 제 1 표시부와 리더기(20)의 카메라부(22)에 포함된 렌즈 사이의 거리가 렌즈의 초점 거리와 대비하여 크게 벗어난 경우 영상에서 식별코드가 흐리게 나타나 역시 식별 코드에 대한 인식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리더기(20)의 인식률 및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더기(20)는 상기 카메라부(22)의 렌즈가 노출된 상기 본체부(21)의 일부면과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렌즈 주위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측벽부(23)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제 1 표시부와 접촉시 상기 측벽부에 의해 상기 렌즈로 입사하는 외부광을 차단하는 단말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 지지체를 구성하는 상기 측벽부(23)의 상면 일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10)과 접촉시 스위칭되어 상기 리더기(20)의 제 3 제어부로 스위칭 신호를 전송하는 스위치부(24)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24)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신호 수신시 상기 카메라부(22)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표시된 상기 식별 코드를 자동 촬영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신호 수신시에만 상기 카메라부(22)를 작동시켜 상기 카메라부(22)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이 리더기(20)의 단말 지지체에 접촉된 경우에만 카메라부(22)를 동작시킴으로써 카메라부(22)의 수명을 연장하는 동시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단말 지지체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리더기(20)에 인식시키기 위해 접근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제 1 표시부를 상기 단말 지지체의 측벽부(23) 상부에 의해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단말 지지체의 상부 개구가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에 의한 광만이 상기 카메라부(22)의 렌즈로 입사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 1 표시부에 의한 광을 제외한 외부광을 차단하여 상기 카메라부(22)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 신호에 외부광의 간섭을 완벽히 차단함으로써 상기 리더기(20)에 구성된 제 3 제어부의 상기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한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지지체의 상기 측벽부(23)는 상기 식별 코드의 인식을 위한 상기 카메라부(22)에 구성된 렌즈의 최적 초점거리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상기 단말 지지체의 측벽부(23) 상면에 안착시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10)의 제 1 표시부와 상기 카메라부(22)의 렌즈 사이의 거리가 최적 초점 거리로 조정되어 상기 영상 신호에 식별 코드가 명확히 나타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리더기(20)에 구성된 제 3 제어부의 상기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한 상기 식별 코드에 대한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리더기(20)에 구성되는 단말 지지체를 통해, 본 발명은 식별 코드 인식시 상기 식별 코드에 대한 인식 오류를 최소화하여 정확하게 식별코드가 인식되도록 지원함으로써 결제 처리 과정의 신뢰성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맹점 단말(30)과 연결된 리더기(20)는 사용자 단말(10)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S11) 코드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가맹점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S12).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30)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코드 정보와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내역이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를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13).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상기 식별코드로 상호 간 서로 다른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와 각각 대응되어 상기 코드 정보에 포함된 코드 관련 길이, 패턴, 암호화 방식 및 표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결제 서버를 다른 결제 서버와 구분하여 식별하기 위한 복수의 서로 다른 규칙 정보가 미리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규칙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분석하여 상기 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를 식별할 수 있다(S14).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특정 결제 서버(200)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따른 결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5).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결제 정보를 수신한 상기 특정 결제 서버(200)로부터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결과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가맹점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S16, S17).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 20: 리더기
30: 가맹점 단말 100: 서비스 서버
200: 결제 서버

Claims (10)

  1. 가맹점 단말과 연결된 리더기가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들 중 지정된 하나로부터 결제를 위해 특정 사용자에게 발급 및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며, 결제 서버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코드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코드 정보와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내역이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를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식별코드로 상호 간 서로 다른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와 각각 대응되어 상기 코드 정보에 포함된 코드 관련 길이, 패턴, 암호화 방식 및 적용된 표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 정보를 발급한 특정 결제 서버를 다른 결제 서버와 구분하여 식별하도록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규칙 정보가 미리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분석하여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결제 서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특정 결제 서버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따른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결제 정보를 수신한 상기 특정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결과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별코드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들이 각각 자신의 규칙 정보에 따라 발급하여 그 구성이 서로 다른 QR코드 또는 바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결제 서버의 식별을 위한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코드, 상기 특정 코드 각각의 길이, 상기 특정 코드 각각의 배치 패턴, 상기 코드 정보의 암호화 방식, 상기 식별 코드의 생성에 사용된 표준 및 상기 코드 정보에 따른 전체 코드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정보, 상기 코드 정보로부터 상기 설정 정보와의 비교 대상인 비교 대상 코드, 암호화 방식 및 표준을 식별하여 상기 설정정보와 비교 분석하기 위한 분석 알고리즘 및 상기 분석 알고리즘을 통한 상기 설정정보와의 일치 확인시 상기 규칙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결제 요청 정보 수신시 복수의 결제 서버와 각각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복수의 규칙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규칙 정보 각각에 대하여 상기 규칙 정보에 포함된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코드 정보에서 상기 비교 대상 코드의 식별, 상기 코드 정보에 대한 복호화를 통한 암호화 방식의 식별 및 상기 코드 정보에 미리 설정된 상기 식별 코드 관련 표준의 식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후 수행 결과를 상기 규칙 정보에 포함된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 규칙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결제 서버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특정 결제 서버 식별시 상기 특정 결제 서버의 규칙정보에 포함된 상기 접속 주소로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규칙정보가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결제 서버를 제 1 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규칙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를 제 2 그룹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규칙정보를 기초로 상기 코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서버의 식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식별 여부에 따라 식별 성공시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특정 결제 서버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따른 결제 정보를 전송하고, 식별 실패시 제 2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를 대상으로 상기 코드 정보를 일괄 전송 후 응답한 결제 서버를 상기 특정 결제 서버로 하여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1 그룹의 상기 특정 결제 서버로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한 이후 상기 특정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결과 정보 미수신시 상기 제 2 그룹을 대상으로 상기 코드 정보를 일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2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상기 코드 정보의 일괄 전송 이후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된 모든 결제 서버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오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단말이 상기 식별 코드가 결제 처리시 결제 금액이 불필요한 결제 수단 관련 식별코드인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결제 내역에 포함되는 결제 금액이 미리 설정된 특정 숫자 또는 특정 문자로 입력된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결제 금액의 확인을 통해 식별 가능하며 결제 처리시 결제 금액이 불필요한 결제 수단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를 별도의 제 3 그룹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 금액을 확인하여 상기 특정 숫자 또는 특정 문자 확인시 상기 제 3 그룹을 대상으로 상기 제 3 그룹의 하나 이상의 결제 서버와 각각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규칙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식별 코드와 매칭되는 결제 서버를 식별하거나 상기 코드 정보를 일괄 전송하여 상기 식별 코드와 매칭되는 결제 서버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 체크 카드, 멤버쉽 카드, 교환권, 할인권, 쿠폰, 기프티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방법.
  10.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들 중 지정된 하나로부터 결제를 위해 특정 사용자에게 발급 및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며, 결제 서버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리더기;
    상기 리더기와 연결되어 상기 코드 정보 수신시 상기 코드 정보와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내역이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를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가맹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식별코드로 상호 간 서로 다른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와 각각 대응되어 상기 코드 정보에 포함된 코드 관련 길이, 패턴, 암호화 방식 및 적용된 표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 정보를 발급한 특정 결제 서버를 다른 결제 서버와 구분하여 식별하도록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규칙 정보가 미리 저장되고,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분석하여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결제 서버를 식별하며,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특정 결제 서버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따른 결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특정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결과 정보 수신시 해당 결제 결과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식별코드는 복수의 서로 다른 결제 서버들이 각각 자신의 규칙 정보에 따라 발급하여 그 구성이 서로 다른 QR코드 또는 바코드인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KR1020180110862A 2018-09-17 2018-09-17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65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862A KR102065621B1 (ko) 2018-09-17 2018-09-17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862A KR102065621B1 (ko) 2018-09-17 2018-09-17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621B1 true KR102065621B1 (ko) 2020-01-13

Family

ID=6915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862A KR102065621B1 (ko) 2018-09-17 2018-09-17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318B1 (ko) * 2020-06-10 2021-10-28 박대용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964A (ko) * 2010-08-27 2012-03-07 주식회사 모빌리언스 바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휴대폰 결제 시스템 및 휴대폰 결제 방법
KR20130057065A (ko) * 2011-11-23 2013-05-31 주식회사 다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결제하기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서버의 제어방법
KR20140050168A (ko) * 2012-10-18 2014-04-2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다중 결제 방법과 이를 위한 결제단말
JP2016514312A (ja) * 2013-03-06 2016-05-19 ホン,パ−ウル バーコードを利用した支払決済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46996B1 (ko) 2015-02-12 2016-08-09 김동혁 Nfc 태깅을 이용한 선불구매 방식의 쿠폰 결제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964A (ko) * 2010-08-27 2012-03-07 주식회사 모빌리언스 바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휴대폰 결제 시스템 및 휴대폰 결제 방법
KR20130057065A (ko) * 2011-11-23 2013-05-31 주식회사 다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결제하기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서버의 제어방법
KR20140050168A (ko) * 2012-10-18 2014-04-2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다중 결제 방법과 이를 위한 결제단말
JP2016514312A (ja) * 2013-03-06 2016-05-19 ホン,パ−ウル バーコードを利用した支払決済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46996B1 (ko) 2015-02-12 2016-08-09 김동혁 Nfc 태깅을 이용한 선불구매 방식의 쿠폰 결제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318B1 (ko) * 2020-06-10 2021-10-28 박대용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05132A1 (en) Pairing A Payment Object Reader With A Point-Of-Sale Terminal
US11334862B2 (en) Terminal transaction method, and terminal
CN103778533B (zh) 用于在移动终端上执行支付的系统
US10922675B2 (en) Remote transaction system, method and point of sale terminal
KR101954642B1 (ko) 식별 코드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8955747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int-of-sale
KR101161778B1 (ko) Nfc를 이용한 pos 결제 시스템
US2022005122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for selecting a virtual card in a digital wallet
KR20110027009A (ko) 전자 영수증 시스템
AU2023200221A1 (en) Remote transaction system, method and point of sale terminal
US20130332356A1 (en) Mobile card management method
CN104657854B (zh) 允许支付交易的无线电源
KR102065621B1 (ko) 코드 분석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47417B1 (ko) 상점 인증기를 포함하는 안전한 모바일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24720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749939B1 (ko) 전화번호와 매칭된 결제 이미지 기반 전자 결제 인증 서버, 전자 결제 시스템, 전자 결제 방법 및 전자 결제 어플리케이션
KR20170019761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19760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온라인 쇼핑몰 서버,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10133211A (ko) 대리인 무선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
KR101863692B1 (ko) 코드 인식 및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한 단말 간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스마트 쇼핑 방법
KR20080043048A (ko) 태그 정보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
KR102220234B1 (ko) 카드 리더기에 대한 인증 방법 및 카드 리더기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KR20170012052A (ko) 간편 결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035251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312352B1 (ko) 단말과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