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561B1 -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561B1
KR102065561B1 KR1020190023453A KR20190023453A KR102065561B1 KR 102065561 B1 KR102065561 B1 KR 102065561B1 KR 1020190023453 A KR1020190023453 A KR 1020190023453A KR 20190023453 A KR20190023453 A KR 20190023453A KR 102065561 B1 KR102065561 B1 KR 102065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information
clothes
body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원희
Original Assignee
심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원희 filed Critical 심원희
Priority to KR1020190023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온라인 상에서 의류 구매 시 구매자의 신체치수에 맞는 의류를 제공하며 구매자가 원하는 사이즈로 변경하여 구매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회원의 신체치수정보를 등록 받아 관리하는 신체치수정보 등록부; 회원의 의류 구매 시 상기 신체치수정보에 따른 회원가상모델이미지와 의류이미지 또는 상기 회원가상모델이미지와 피팅모델이미지 중 적어도 한 쌍의 이미지를 오버랩한 가상피팅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피팅정보 제공부; 회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상피팅이미지에서 상기 의류이미지의 치수를 부분 별로 조정하기 위한 의류수선 인터페이스부; 및 의류 라벨에 부착되고 3차원 패턴 구조를 가지며 의류의 상세치수정보가 저장된 코드 패턴부, 휴대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코드 패턴부를 인식하는 코드 패턴 인식부, 및 코드 패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상세치수정보와 미리 저장된 회원의 신체치수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제공하는 신체치수정보 비교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SB 코드 처리부를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ONLINE SHOPPING MALL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대중화에 힘입어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전자상거래 이용자가 급속히 늘어가고 있다. 특히, 구미 선진국의 의류(패션) 전자상거래는 나름대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룩하고 있는데 비해 국내의 의류 전자상거래는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즉, 의류 전자상거래가 나름대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완전한 실용화 및 대중화하기에는 많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문헌 및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의류 전자상거래 및 통신판매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의류의 '원단'과 '치수(사이즈)'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의류의 치수측면에서 완벽하게 구현되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의류의 치수체계에 있어서, 선진국의 경우 나름대로 하나의 스펙(specification)을 이용해 대부분의 의류업체가 통일되게 사용하고 있는데 비해 국내는 국가에서 제시할 수 있는 객관적인 치수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기성복 의류업체마다 자신만의 치수체계를 적용하고 있어 이용자(소비자) 입장에서 의류 치수(사이즈)만을 가지고 자신의 체형에 맞는 의류를 구입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오프라인에서와 같이 원하는 의류를 직접 착용해 보지 못하고 구입해야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및 통신판매의 경우 문제점은 더욱 두드러져, 실제 온라인 및 통신판매로 판매된 의류의 40-60%가 반품 처리되고 있는 실정에 있어 국가적으로나 생산자 및 이용자(소비자) 모두에게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인터넷에서 운영중인 의류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게재된 의류품목 및 품목별 치수체계는 다종 다양하여 사용자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또한, 의류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들이 의류를 선택할 때, 소비자들 대부분이 인지하고 있는 신체부위치수인 신장, 체중, 허리둘레만을 입력하여 의류를 선택하고 의류 맞음 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 및 의류품목별 사이즈체계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의류를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의류를 전달받아 착용할 때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아 소비자의 불만을 가중시키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07168호(등록일자: 2003년11월14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4332(공개일자: 2001년10월31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라인 상에서 의류 구매 시 구매자의 신체치수에 맞는 의류를 제공하며 구매자가 원하는 사이즈로 변경하여 구매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은, 회원의 신체치수정보를 등록 받아 관리하는 신체치수정보 등록부; 회원의 의류 구매 시 상기 신체치수정보에 따른 회원가상모델이미지와 의류이미지 또는 상기 회원가상모델이미지와 피팅모델이미지 중 적어도 한 쌍의 이미지를 오버랩한 가상피팅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피팅정보 제공부; 회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상피팅이미지에서 상기 의류이미지의 치수를 부분 별로 조정하기 위한 의류수선 인터페이스부; 및 의류 라벨에 부착되고 3차원 패턴 구조를 가지며 의류의 상세치수정보가 저장된 코드 패턴부, 휴대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코드 패턴부를 인식하는 코드 패턴 인식부, 및 코드 패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상세치수정보와 미리 저장된 회원의 신체치수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제공하는 신체치수정보 비교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SB 코드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상에서 의류 구매 시 구매자의 신체치수에 맞는 의류를 제공하며 구매자가 원하는 사이즈로 변경하여 구매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치수정보 등록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피팅정보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선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치수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체치수정보 등록부의 구성 화면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체치수정보 등록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부의 구성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피팅정보 제공부의 구성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선 인터페이스부의 구성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연동 실행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상의 SB 코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의 SB 코드에 대한 복사 및 붙어넣기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치수정보 처리부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 다중 인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치수정보 등록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피팅정보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선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치수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체치수정보 등록부의 구성 화면을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체치수정보 등록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부의 구성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피팅정보 제공부의 구성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수선 인터페이스부의 구성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1000)은 신체치수정보 등록부(100), 상품 검색부(200), 상품정보 제공부(300), 가상피팅정보 제공부(400) 및 의류수선 인터페이스부(5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치수정보 등록부(100)는 본 온라인 쇼핑몰의 회원가입절차를 마친 회원으로부터 각 신체치수정보를 등록 받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치수정보 등록부(100)는 제1 신체치수정보 등록부(110)와 제2 신체치수정보 등록부(1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체치수정보 등록부(110)는 회원으로부터 신체치수항목 별로 신체치수정보를 각각 직접 입력 받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의 가슴단면, 어깨, 암홀, 소매, 상의 총기장, 허리사이즈, 허리둘레, 허벅지둘레, 하의 총기장, 밑단, 체중 등의 구체적인 신체치수정보를 입력 받아 등록할 수 있으며, 각 항목에 대한 치수를 재는 요령과 가이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네킹 이미지를 함께 제공하면서 해당 마네킹 이미지에 각 치수의 부호를 병기하여 각각의 신체치수가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원의 신장과 체중 정보를 입력하면, 이와 유사한 회원의 신체치수정보를 제공하여 필요한 항목을 복사하여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제2 신체치수정보 등록부(120)는 회원의 촬영이미지를 입력 받고, 입력된 촬영이미지에 기초하여 회원의 신체치수정보를 산출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신체치수정보 등록부(120)는 촬영이미지 등록부(121), 아웃라인이미지 생성부(122), 신장정보 등록부(123), 스퀘어드 패턴 생성부(124), 신장비율 계산부(125), 신체치수 산출부(126) 및 신체치수정보 저장부(12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이미지 등록부(121)는 촬영수단을 통해 촬영된 전방 및 측방, 또는 후방 또는 측방 조합의 회원촬영이미지를 각각 등록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촬영수단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또는 기타 디지털카메라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원촬영이미지는 디지털영상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회원촬영이미지는 미리 정해진 규격화된 사이즈로 변환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원의 실제 신장과 회원촬영이미지 상에서의 이미지신장 간의 정확한 비율이 산출되도록 회원촬영이미지의 크기를 기준 크기로 맞추어 놓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촬영이미지는 가로x세로가 3x4cm의 규격으로 변환되어 등록될 수 있다.
상기 아웃라인이미지 생성부(122)는 규격화된 회원촬영이미지에서 특정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에 대한 아웃라인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또는 이미지 내 특정 객체를 추출하고 이를 인식할 수 있는 공지된 객체인식기술 또는 객체인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회원촬영이미지 내에서 회원이미지를 추출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회원이미지에 대한 아웃라인을 추출하여 아웃라인이미지(실루엣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신장정보 등록부(123)는 회원으로부터 신장정보를 등록 받을 수 있다. 이때, 신장정보는 회원이 실제 측정한 신장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스퀘어드 패턴 생성부(124)는 기본단위길이를 갖는 다수의 스퀘어드 패턴(squared pattern)을 아웃라인이미지 상에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퀘어드 패턴은 가로(a)와 세로(a)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의 패턴으로 mm단위의 기본 사이즈를 가진 정사각형의 블록일 수 있다. 또한, 스퀘어드 패턴은 가로와 세로 길이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대각선의 길이(b)를 활용하여 상황에 따라 아웃라인이미지 상의 각 신체부위에 대한 길이계산 시 활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신장비율 계산부(125)는 다수의 스퀘어드 패턴을 이용하여 아웃라인이미지에 대한 이미지신장을 계산한 후, 신장정보와 이미지신장에 대한 신장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웃라인이미지에서 신장을 산출해야 하는 경우, 본 시스템은 아웃라인이미지 상에서 가장 높은 지점과 낮은 지점을 인식하고, 해당 두 지점 간이 N 개의 스퀘어드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계산되면, 스퀘어드 패턴의 가로 또는 세로길이 a1과 N을 곱하여 아웃라인이미지 상에서의 이미지신장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전에 입력된 회원의 실제신장과 이미지신장 간의 비율계산과정을 통해 실제신장과 이미지신장 간의 비율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의 실제 키가 180cm이고, 이미지신장이 3cm로 계산되는 경우, 현재 아웃라인이미지는 실제에 비하여 1/90배로 축소된 비율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신체치수 산출부(126)는 스퀘어드 패턴을 이용하여 아웃라인이미지에 대한 이미지신체치수를 각각 계산하고, 신장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신체치수를 회원의 실제신체치수로 각각 환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리길이를 산출해야 하는 경우, 본 시스템은 아웃라인이미지 상에서 다리를 인식(특정객체 인식알고리즘 이용)하고, 해당 다리가 길이방향으로 n1 개의 스퀘어드 패턴으로 이루어진 경우, 스퀘어드 패턴의 가로 또는 세로길이 a1과 n1을 곱한 후, 아웃라인이미지에 대한 다리길이가 계산되고, 이를 다시 신장비율인 90배로 곱하여 환산하면 회원의 실제 다리길이가 추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팔, 어깨, 허리 등의 길이와 둘레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신체치수정보 저장부(127)는 신체치수 산출부(126)를 통해 산출된 실제신체치수를 회원의 신체치수정보로서 저장하고, 필요 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부(200)는 회원으로부터 상의, 하의, 신발 및 액세서리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카테고리에 대한 검색키워드를 각각 입력 받아 검색할 수 있으며, 상품정보 제공부(300)는 상품 검색부(200)의 각 검색결과를 하나의 페이지 내에 각각 표시하되, 회원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상품카테고리에 대한 검색결과 별로 검색된 다른 상품이미지로 교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 하의, 신발 등 서로 다른 상품카테고리를 검색할 수 있는 다수의 검색창을 제공하고, 해당 검색창에 원하는 상품키워드를 각각 입력하여 검색하면,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여러 상품들을 한번에 검색하여 하나의 페이지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품카테고리 별 검색결과들을 화면상에서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을 통해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면 검색된 다른 상품이미지정보를 교체하여 표시하며, 반대로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면 이전 상품이미지정보를 교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렬된 상품이미지정보들을 세로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각각의 상품이미지정보를 연속해서 각각 터치하면, 선택된 상품들이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바로 구매할 수도 있다. 구매 시, 배송 여부, 수량, 사이즈, 옵션 등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입력하고, 후속의 구매 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며, 사이즈 선택 시 후술하는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의류 사이즈 확인, 수정 등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모델이 해당 의류를 착용한 사진, 해당 의류의 치수 상세정보, 구매절차를 위한 선택정보 등이 하나의 화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상피팅정보 제공부(400)는, 회원의 의류 구매 시 회원의 신체치수정보에 따른 회원가상모델이미지와 의류이미지 또는 상기 회원가상모델이미지와 피팅모델이미지 중 적어도 한 쌍의 이미지를 오버랩한 가상피팅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상피팅정보 제공부(400)는 회원가상모델이미지 생성부(410), 제1 가상피팅이미지 표시부(420) 및 제2 가상피팅이미지 표시부(4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가상모델이미지 생성부(410)는 회원의 신체치수정보에 기초하여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가상모델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회원가상모델이미지는 회원의 촬영이미지에서 아웃라인을 추출한 실루엣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피팅이미지 표시부(42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모델 또는 마네킹 모델 이미지 상에 의류의 아웃라인을 실선으로 표시하고, 회원의 신체치수정보에 따른 이미지가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류와 회원을 실선과 점선 아웃라인으로 오버랩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비교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피팅이미지 표시부(420)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가상모델이미지 상에 의류이미지가 오버랩된 제1 가상피팅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가상피팅이미지는 회원가상모델이미지 상에 의류이미지가 반투명한 실루엣 형태 또는 아웃라인 점선 형태로 표시됨에 따라 회원이 자신의 체형에 해당 상품(의류)이 어느 정도 잘 피팅이 되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그 차이를 보다 쉽게 가늠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상피팅이미지 표시부(430)는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가상모델이미지 상에 피팅모델이미지가 오버랩된 제2 가상피팅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가상피팅이미지는 회원가상모델이미지 상에 피팅모델이미지가 반투명한 실루엣 형태 또는 아웃라인 점선 형태로 표시됨에 따라 회원과 피팅모델 간의 체형이나 신체치수 등의 차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그 차이를 보다 쉽게 가늠할 수 있다.
상기 의류수선 인터페이스부(500)는 회원의 요청에 따라 가상피팅이미지에서 의류이미지의 치수를 부분 별로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의류수선 인터페이스부(500)는 가상피팅이미지 표시부(510), 치수정보 제공부(520), 제1 치수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부(530), 제2 치수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부(540), 제3 치수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부(550) 및 디자인 변경 인터페이스부(5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피팅이미지 표시부(5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가상모델이미지 상에 의류이미지를 오버랩한 가상피팅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의류이미지는 실선 아웃라인 이미지로, 회원가상모델이미지는 점선 아웃라인 이미지로 각각 구분할 수 있도록 오버랩하여 각각 표시되거나,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이미지는 반투명한 형태 또는 아웃라인 점선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회원가상모델이미지와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치수정보 제공부(52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의 신체치수정보 및 의류이미지의 치수정보의 각 항목을 상호 대응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치수정보 제공부(52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이미지에 대한 선호치수정보의 각 항목을 신체치수정보 및 의류이미지의 치수정보의 각 항목을 상호 대응되도록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선호치수정보는 회원이 등록한 신체치수정보 중 대략 80% 내지 90% 유사한 신체조건을 가진 다른 회원이 구매한 의류의 치수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선호치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의류구매선택을 위해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치수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부(530)는 의류이미지의 치수정보에 대한 각 항목을 수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치수표에서 의류의 치수 항목을 각각 수정 가능하게 제공함으로써, 수정된 반영되도록 치수수선명령을 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준치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어린이, 여자, 남자 등을 기본단위로 하여 구분하고, 어린이는, 나이대 별, 여자와 남자는 소, 중, 대로 각각 세분화하여 각각의 표준치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치수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부(540)는 가상피팅이미지 표시부(510)를 통해 표시되는 의류이미지의 각 부위를 대상으로 드래그 조작 등을 통해 의류이미지의 치수정보에 대한 각 항목을 수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치수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부(540)는 수정 활성화 버튼부(541), 수정영역 및 치수항목 선택부(542) 및 치수조작 인터페이스부(5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정 활성화 버튼부(541)는 회원으로부터 제2 치수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부(540)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 받아 활성화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몰 페이지 하단의 가상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제2 치수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부(54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수정영역 및 치수항목 선택부(542)는 의류이미지를 각 부위 별로 수정영역이 정의되어 회원으로부터 수정영역을 선택 받고, 선택된 수정영역에 대하여 수정할 치수항목을 선택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이미지 중 바지 밑단 부분을 일정시간 동안 선택 또는 터치하면, 해당 부분이 특정되어 해당 부분에 대한 수정 준비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치수조작 인터페이스부(543)는 수정영역 및 치수항목 선택부(542)를 통해 선택된 치수항목에 대한 드래그 조작을 통해 의류이미지의 치수수정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치수수정정보를 의류이미지에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이 해당 부분을 벌리는 드래그 동작 또는 오므리는 드래그 동작 등을 취하면 일정 단위만큼 해당 부분의 길이 또는 폭 등의 치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3 치수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부(55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텍스트 입력'과 같이 의류이미지에 대한 치수정보를 수정하기 위해 내용을 텍스트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현재 인터페이스로 수정 내용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어렵거나 좀 더 디테일한 수선을 원할 경우 '텍스트 입력' 메뉴을 통해 상세한 수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변경 인터페이스부(560)는 회원으로부터 의류이미지에 대한 로고 추가, 패턴 추가 및 색상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의 '펜 도구', '도형', '색상/원단 선택' 등의 메뉴를 통해 회원이 추가적으로 해당 의류에 넣거나 변경하고자 하는 로고, 무늬나 패턴, 색상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 및 수정된 사항은 해당 의류 디자인 관리자에게 전달되어 원하는 수선이 이루어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연동 실행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상의 SB 코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의 SB 코드에 대한 복사 및 붙어넣기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치수정보 처리부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 다중 인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1000)은 메신저 연동 실행부(600), SB(Super Bridge) 코드 처리부(700) 및 의류 치수정보 처리부(8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신저 연동 실행부(600)는 구매자의 휴대단말에 설치된 메신저 프로그램과 연동되는 기능으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창의 상단에 다양한 쇼핑몰 온라인 사이트를 검색하기 위한 포털 사이트, 특정 쇼핑몰 온라인 사이트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쇼핑몰 사이트, 또는 특정 쇼핑몰 앱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아이콘이 배열될 수 있고, 해당 아이콘을 선택한 후 해당 포털 사이트, 쇼핑몰 사이트 또는 쇼핑몰 앱이 채팅창 내에서 바로 실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거나 즐겨 찾는 특정 앱을 실행할 수 있는 아이콘을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는 기능도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채팅창을 통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를 위한 사전 절차인 의류검색, 치수확인 및 비교 등을 위한 정보가 표시되며, 해당 창을 통하여 구매절차도 진행될 수 있다.
상기 SB(Super Bridge) 코드 처리부(700)는 오프라인 구성과 온라인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구성으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 또는 바코드가 3차원 형태로 제작되어, 오프라인 매장의 각 의류의 라벨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의 SB 코드는 베이스 상에 상부로 코드 패턴이 수직하게 돌출된 3차원 구조를 가지며, 스캐너가 정면뿐만 아니라 경사진 측면 방향에서도 해당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SB 코드에는 해당 의류의 상세치수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어, 구매자의 휴대단말을 통해 인식되면, SB 코드 처리부(700)에서 이를 인식하고, 미리 저장된 구매자의 신체치수정보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의류의 결제를 원하는 경우, 매장을 통해서가 아닌 현장에서 온라인 결제가 가능하며, 해당 결제 처리는 오프라인 매장과 연동될 수 있다.
또한, SB 코드 처리부(700)는 온라인 상에서 의류 이미지와 함께 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코드를 클릭 또는 선택(터치)할 경우 상술한 메신저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구매자 자신의 메신저 채팅창을 통해 구매를 위한 의류치수와 구매자의 신체치수정보의 비교, 치수수정, 결제 진행 등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또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클릭하거나 선택할 때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예를 들어 2-3초) 터치하고 있으면, 해당 메신저 프로그램과의 연동이 개시될 수 있다. 또는, 쇼핑몰 사이트에서 원하는 의류 이미지와 함께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해당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드래그 & 드랍하면 해당 의류에 대한 치수정보, 구매자의 신체치수정보의 비교, 치수수정, 구매절차 등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때, 다수의 의류이미지와 관련된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드래그하면 동시에 여러 업체 또는 여러 의류의 상품구매가 가능하다. 또는, 쇼핑몰 사이트의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복사(Ctrl+C)와 붙여넣기(Ctrl+V) 방식으로 메신저 프로그램의 채팅창에 입력하여 상기와 같은 사항을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SB 코드 처리부(700)는 다수의 식별코드(QR 코드, 바코드, SB 코드 등)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4개의 QR 코드가 하나의 화면 안에 들어오면 다중 코드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화면 내에 촬영되는 각각의 QR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각각의 QR 코드의 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다중 코드 인식 알고리즘은 기존의 다중 얼굴 인식 알고리즘에서 인식 대상을 얼굴에서 코드로 설계 변경하여 적용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의류 치수정보 처리부(800)는 오프라인 상에서 구매자가 의류를 선택하여 휴대단말 등을 통해 촬영하면, 촬영된 의류사진이미지에 대한 상세치수정보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퀘어드 패턴 방식에 의해 각각 산출되고, 산출된 의류치수정보 및 해당 의류사진이미지의 특징점(컬러, 길이, 굴곡, 패턴 등)을 추출한 후 이들을 바탕으로 이와 유사한 치수 또는 디자인의 의류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제공되는 의류검색정보에는 각각 QR 코드 또는 바코드가 제공되며 이를 바탕으로 코드 구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
100: 신체치수정보 등록부
110: 제1 신체치수정보 등록부
120: 제2 신체치수정보 등록부
121: 촬영이미지 등록부
122: 아웃라인이미지 생성부
123: 신장정보 등록부
124: 스퀘어드 패턴 생성부
125: 신장비율 계산부
126: 신체치수 산출부
127: 신체치수정보 저장부
200: 상품 검색부
300: 상품정보 제공부
400: 가상피팅정보 제공부
410: 회원가상모델이미지 생성부
420: 제1 가상피팅이미지 표시부
430: 제2 가상피팅이미지 표시부
500: 의류수선 인터페이스부
510: 가상피팅이미지 표시부
520: 치수정보 제공부
530: 제1 치수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부
540: 제2 치수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부
541: 수정 활성화 버튼부
542: 수정영역 및 치수항목 선택부
543: 치수조작 인터페이스부
550: 제3 치수정보 수정 인터페이스부
560: 디자인 변경 인터페이스부

Claims (1)

  1. 회원의 신체치수정보를 등록 받아 관리하는 신체치수정보 등록부;
    회원으로부터 상의, 하의, 신발 및 액세서리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카테고리에 대한 검색키워드를 각각 입력 받아 검색하기 위한 상품 검색부;
    회원의 의류 구매 시 상기 신체치수정보에 따른 회원가상모델이미지와 의류이미지 또는 상기 회원가상모델이미지와 피팅모델이미지 중 적어도 한 쌍의 이미지를 오버랩한 가상피팅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피팅정보 제공부;
    회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상피팅이미지에서 상기 의류이미지의 치수를 부분 별로 조정하기 위한 의류수선 인터페이스부;
    의류 라벨에 부착되고 3차원 패턴 구조를 가지며 의류의 상세치수정보가 저장된 코드 패턴부, 휴대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코드 패턴부를 인식하는 코드 패턴 인식부, 및 상기 코드 패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상세치수정보와 미리 저장된 회원의 신체치수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제공하는 신체치수정보 비교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SB 코드 처리부; 및
    구매자의 휴대단말에 설치된 메신저 프로그램과 연동되고,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의 채팅창의 상단에 쇼핑몰 온라인 사이트를 검색하기 위한 포털 사이트 아이콘, 특정 쇼핑몰 온라인 사이트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쇼핑몰 사이트 아이콘, 및 특정 쇼핑몰 앱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아이콘이 각각 배열되고, 상기 포털 사이트 아이콘, 상기 쇼핑몰 사이트 아이콘 및 상기 실행 아이콘 중 어느 한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해당 아이콘에 대한 포털 사이트, 쇼핑몰 사이트 또는 쇼핑몰 앱이 상기 채팅창 내에서 실행되고, 상기 채팅창을 통해 의류 구매를 위한 사전 절차인 의류검색, 치수확인 및 비교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메신저 연동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 패턴 인식부는, 휴대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코드 패턴부 다수 개가 하나의 화면 안에 들어오도록 촬영되면, 다중 코드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촬영된 상기 코드 패턴 각각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
KR1020190023453A 2019-02-27 2019-02-27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 KR102065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453A KR102065561B1 (ko) 2019-02-27 2019-02-27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453A KR102065561B1 (ko) 2019-02-27 2019-02-27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089A Division KR101974573B1 (ko) 2018-07-26 2018-07-26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561B1 true KR102065561B1 (ko) 2020-01-13

Family

ID=6915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453A KR102065561B1 (ko) 2019-02-27 2019-02-27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5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182B1 (ko) * 2022-10-25 2023-10-19 김영 2d 가상 코디룸과 연계된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15503A (ko) * 2022-07-27 2024-02-05 김현영 옷 수선 의뢰 서비스 제공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332A (ko) 2000-04-06 2001-10-31 김진용 인터넷을 통한 의류 치수 매칭 서비스 방법
KR20030086364A (ko) * 2002-05-04 2003-11-10 김우태 사이버 피팅 방법
KR100407168B1 (ko) 2000-10-12 2003-11-28 학교법인 통진학원 신체치수 체계를 적용한 의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를위한 신체치수 추정 방법
KR20140125507A (ko) * 2013-04-19 2014-10-29 정상학 디지털 서로게이트를 이용한 가상 피팅 장치 및 방법
KR20170068741A (ko) * 2015-12-10 2017-06-20 주식회사 매니아마인드 가상현실에서의 의류 피팅방법 및 피팅프로그램
KR20170133455A (ko) * 2015-03-31 2017-12-05 이베이 인크. 제스처를 사용한 3차원 의복 수정 기법
JP2018018372A (ja) * 2016-07-29 2018-02-0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バーコード読取装置、バーコード読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26616B1 (ko) * 2017-06-16 2018-02-07 강민주 오프라인 검증 기반으로 제공된 의류 제품, 그리고 이를 위한 오프라인 검증 기반 의류 제품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332A (ko) 2000-04-06 2001-10-31 김진용 인터넷을 통한 의류 치수 매칭 서비스 방법
KR100407168B1 (ko) 2000-10-12 2003-11-28 학교법인 통진학원 신체치수 체계를 적용한 의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를위한 신체치수 추정 방법
KR20030086364A (ko) * 2002-05-04 2003-11-10 김우태 사이버 피팅 방법
KR20140125507A (ko) * 2013-04-19 2014-10-29 정상학 디지털 서로게이트를 이용한 가상 피팅 장치 및 방법
KR20170133455A (ko) * 2015-03-31 2017-12-05 이베이 인크. 제스처를 사용한 3차원 의복 수정 기법
KR20170068741A (ko) * 2015-12-10 2017-06-20 주식회사 매니아마인드 가상현실에서의 의류 피팅방법 및 피팅프로그램
JP2018018372A (ja) * 2016-07-29 2018-02-0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バーコード読取装置、バーコード読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26616B1 (ko) * 2017-06-16 2018-02-07 강민주 오프라인 검증 기반으로 제공된 의류 제품, 그리고 이를 위한 오프라인 검증 기반 의류 제품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5503A (ko) * 2022-07-27 2024-02-05 김현영 옷 수선 의뢰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659337B1 (ko) * 2022-07-27 2024-04-18 김현영 옷 수선 의뢰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591182B1 (ko) * 2022-10-25 2023-10-19 김영 2d 가상 코디룸과 연계된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25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bining an avatar image with a portion of a user's image
US1130191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rtual fitting rooms or hybrid stores
US20180137515A1 (en) Virtual dressing room
JP5605885B1 (ja) 仮想試着システムおよび仮想試着プログラム
US9990663B2 (en) Measuring shirt
US20140180864A1 (en) Personalized clothing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US11461819B2 (en) Custom digital files for garment production
KR20190000397A (ko) 패션 선호도 분석 기법
CN103514350A (zh) 具有虚拟试衣功能的电子装置及虚拟试衣方法
CN103377193A (zh) 信息提供方法、网页服务器以及网页浏览器
KR101704639B1 (ko) 의류 맞춤형 피팅 장치 및 그 방법
KR101623946B1 (ko) 가상 피팅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74573B1 (ko)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
KR102065561B1 (ko)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스템
US20200402136A1 (en) Avatar Matching in On-Line Shopping
JP2017054283A (ja) アイテム販売システム、アイテム選択装置及びアイテム販売方法
KR20190036731A (ko) 사이즈 제안을 지원하는 쇼핑몰 서비스 제공 장치
CN110766490A (zh) 基于c2m模式的服装定制运营平台系统
KR20230143588A (ko)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KR20170109159A (ko) 온라인 상품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011678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fitting index of a garment based on anthropometric data of a user, and device and system thereof
CN111666963B (zh) 一种服饰风格的识别方法、装置及设备
US10339598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isplaying a wearable article interface on an electronic device
CN109816492B (zh) 虚拟试衣间的实现方法、终端及介质
CN114902267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