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588A -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588A
KR20230143588A KR1020230125299A KR20230125299A KR20230143588A KR 20230143588 A KR20230143588 A KR 20230143588A KR 1020230125299 A KR1020230125299 A KR 1020230125299A KR 20230125299 A KR20230125299 A KR 20230125299A KR 20230143588 A KR20230143588 A KR 20230143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oduct
avatar image
virtual
wear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진
Original Assignee
강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진 filed Critical 강승진
Priority to KR1020230125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588A/ko
Publication of KR2023014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58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oy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Dimension)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하여 상기 컴퓨터 장치의 메모리 유닛 상에서 실행되고, 상기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체 사이즈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부위 별 비율 및 실루엣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출된 실루엣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촬영을 위한 실루엣 가이드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촬영 시, 상기 사용자가 신체 부위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가이드 라인을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실루엣 가이드 라인, 상기 신체 부위 가이드 라인 및 상기 사용자 촬영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및 상기 신체 부위별 비율이 반영된 3D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시킬 후보 상품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후보 상품 중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상품을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시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비율을 기초로, 상기 선택된 상품의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에 대한 가상 착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Software application for providing virtual wearing status of 3D avatar image}
본 명세서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의류 또는 신발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쇼핑하려는 소비자가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상품을 구입하는 인터넷 쇼핑몰의 사업 규모도 증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면, 소비자는 일반 상점에서 상품을 구입하는 것보다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상점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인터넷만 가능하다면 어디서든지 장소의 구애 없이 쇼핑을 할 수 있으며, 시간에 구애 없이 언제든 쇼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인터넷 쇼핑은 인터넷 상에서 구매 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접 만져 보거나, 착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여 구입할 경우, 소비자는 사이즈가 맞지 않거나, 실제 디자인 등이 맘에 들지 않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교환 또는 반품을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것은 인터넷 쇼핑몰은 상품의 이미지를 포함한 단순한 정보만을 제공하여, 소비자는 상품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전달받지 못하고 구매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터넷 쇼핑몰은 소비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물품을 입어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는 상술한 인터넷 쇼핑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실제 사용자 신체 사이즈를 기반으로 생성된 3D 아바타 이미지에 옷을 가상으로 착용시켜 착용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오프라인 매장에서 옷을 구매한 것과 같은 효과를 달성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Dimension)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하여 상기 컴퓨터 장치의 메모리 유닛 상에서 실행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체 사이즈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부위 별 비율 및 실루엣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출된 실루엣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촬영을 위한 실루엣 가이드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촬영 시, 상기 사용자가 신체 부위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가이드 라인을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실루엣 가이드 라인, 상기 신체 부위 가이드 라인 및 상기 사용자 촬영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및 상기 신체 부위별 비율이 반영된 3D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시킬 후보 상품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후보 상품 중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상품을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시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비율을 기초로, 상기 선택된 상품의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에 대한 가상 착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착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 및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 상에 가상 착용된 상품에, 상기 가상 착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미지 요소로 반영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와 동일한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한 후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실제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구입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가 발생하여 상품의 환불 또는 교환률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각 실시예별 다양한 효과는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옷장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실행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착용 상태를 제공하는 가상 옷장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촬영 이미지 기반의 가상 옷장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예시한다.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옷장 기능을 제공하는 가상 옷장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예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디 매칭 기능을 제공하는 가상 옷장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예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아바타 이미지 생성을 위한 가상 옷장 어플리케이션의 렌더링 동작을 예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옷장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옷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옷장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는 '및' 또는 '또는'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가상 옷장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실시예를 수행/실행 가능하도록 구현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사전에 설치되어 실행 중인 전자 서버/기기/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하지 않더라도,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실시예는 상기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서버/기기/장치를 통해 수행/실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각 서버/기기/장치의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의 동작/기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의 단말인 '사용자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사용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운영/관리/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옷장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실행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특히, 본 도면은 가상 옷장 기능과 함께 상품 판매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옷장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옷장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이하, '옷장 어플리케이션'이라 약칭함)은 상품 검색 기능(110), 후보 상품 리스트 출력 기능(120), 선택 상품 상세 정보 출력 기능(130) 및/또는 가상 옷장 기능(140)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기능에 대응하는 영역을 본 도면과 같이 사용자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품 검색 기능(110)을 통해 원하는 상품을 검색할 수 있으며, 후보 상품 리스트(1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여 가상 옷장 영역(140)을 통해 제공되는 3D 아바타 이미지(140-1)에 가상 착용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후보 상품은, 사용자의 구매 이력에 포함된 상품, 위시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 검색 기능을 통해 검색한 결과에 포함된 상품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후보 상품 리스트(120)에 포함된 후보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옷장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후보 상품에 관한 상세 정보(130)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3D 아바타 이미지(140-1)에 가상 착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3D 아바타 이미지(140-1)는 사용자의 실제 신체 사이즈가 반영된 3D 아바타로서, 다양한 상품을 사용자를 대신하여 착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3D 아바타 이미지(140-1)는 다양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실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반영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후보 상품 리스트(120)는 각 후보 상품별 간략한 정보(예를 들어, 각 후보 상품의 가격, 상품 축소 이미지, 색상, 사이즈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후보 상품 중 적어도 하나(120-1)를 선택하면, 사용자 장치는 선택된 상품(120-1)에 대한 상세 정보(예를 들어, 각 후보 상품의 가격, 상품 확대 이미지, 재고 색상, 재고 사이즈, 소재, 재질, 추천 사이즈, 비침 정도, 세탁 방법, 관리 방법, 제조 국가 및/또는 브랜드 등에 관한 정보)(130-1)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장치는 선택된 상품(120-1)에 대한 추천 사이즈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사전에 입력받은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기초하여 추천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장치는 선택된 상품(120-1)에 대한 상세 정보(130-1)와 함께, 해당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거나 바로 구매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출력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구매 입력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장치는 구매 입력된 상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창을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결제창에 대한 사용자 결제 입력을 수신하여 구매를 완료하고, 구매 완료된 상품에 대한 구매 내역을 구매 이력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가상 옷장 기능(140)을 통해 3D 아바타 이미지(140-1)에 대한 선택 상품(120-1)의 가상 착용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3D 아바타 이미지(140-1)의 배경 선택 기능(140-2)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는 3D 아바타 이미지(140-1)의 배경으로서, 실내, 실외, 백화점 내, 휴양지, 사용자 장치에 저장 중인 이미지, 실시간 촬영 이미지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140-2)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선택에 따라 3D 아바타 이미지(140-1)의 배경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장소별로 실제 어울리는 의상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 장소별로 어울리는지 의상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배경은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배경 설정 페이지에서 배경을 설정할 수 있다. 배경은 해외 혹은 유명 여행지가 될 수도 있다.
배경 적용 시, 각 배경별 특징(특히, 각 배경별 채도 및/또는 명도)을 고려하여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할 상품의 채도 및/또는 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도 및/또는 명도가 밝은 실외가 배경으로 선택된 경우 가상 착용 상품의 채도 및/또는 명도 역시 이와 유사하게 밝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반대로 채도 및/또는 명도가 어두운 실내가 배경으로 선택된 경우 가상 착용 상품의 채도 및/또는 명도 역시 이와 유사하게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장치는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 이미지 내의 사용자를 3D 아바타 이미지(140-1)로 인식함으로써 상술한 가상 옷장 기능(140)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착용 상태를 제공하는 가상 옷장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는 단순히 3D 아바타 이미지에 선택 상품을 가상 착용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뿐 아니라,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 시켰을 때의 가상 착용 상태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는 가상 착용 상태로서, 선택된 상품의 착용 가능 여부, 선택된 상품의 착용 부위별 끼임 정도, 선택된 상품의 착용 부위별 비침 정도, 선택된 상품의 착용 부위별 소재 기반의 까칠함 정도, 상기 선택된 상품의 착용 부위별 길이감, 긴 정도, 짧은 정도, 편안함 정도, 소지하고 있는 상품 대비 긴/짧은 정도(예를 들어, X 상품 대비 소매가 5cm 긺/짧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착용 상태의 출력이 가능한 이유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정보를 사전에 입력받아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저장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로써 가상 착용하고자 하는 상품의 부위별 사이즈를 토대로 정확한 표기가 가능하게 된다.
가상 착용 상태의 출력 방식은,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텍스트로 출력(220)하거나,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시각화의 경우, 예를 들어, 선택된 상품이 청바지이고,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 시 가상 착용 상태로서 길이감이 짧은 것으로 인식된 경우, 사용자 장치는 3D 아바타 이미지에 착용된 청바지의 길이를 사용자 다리 길이보다 짧게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혹은, 시각화의 다른 예로서, 선택된 상품이 청바지이고,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 시 가상 착용 상태로서 허벅지 부위가 타이트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는 3D 아바타 이미지에 착용된 청바지의 허벅지 부위를 허벅지에 딱 붙게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가상 착용 상태를 다양하게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착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도면에 예시된 가상 옷장 기능에도, 앞서 상술한 배경 설정 기능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옷장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한 추가 UI(User Interface) 및 기능에 대해 후술한다.
상술한 가상 옷장 기능 영역은, 평소에는 사용자 장치의 좌측 또는 우측에 숨어있다가 사용자의 기설정된 입력(예를 들어, 가상 옷장 영역을 선택 후 끌어당기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가상 옷장 기능 영역이 실행 화면에 나타나는 방식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가상 옷장 기능 영역의 3D 아바타 이미지에는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착용시킨 상품이 가상 착용되어 있는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가상 옷장 기능 영역의 상단 부분(메뉴 아래까지) 부분에는 사용자가 보던 신규 의류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의 가상 옷장 기능 영역을 다시 한 번 우측으로 미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여, 가상 옷장 기능 영역을 도 2와 같이 확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도 1의 가상 옷장 기능 영역의 여백을 두 번 터치하면, 가상 옷장 기능 영역이 도 2와 같이 확대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유사한 방식으로 도 2 화면에서 도 1 화면으로 축소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위의 인터페이스를 설정에서 바꿀 수 있다(예를 들어, 오른손 잡이/왼손잡이 용으로 변경 가능).
좌측의 작은 화면의 경우 마지막에 설정해둔 값(상의 또는 하의 또는 액세서리 등)에서 새롭게 적용하는 값(새로운 상의 또는 하의 또는 액세서리 등)만 기존의 값에 오버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D 아바타 이미지에 흰색 줄무늬 티셔츠와 청바지를 가상 착용시킨 상태에서 면바지를 선택한 경우 바지만 면바지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3D 아바타 이미지를 2D 사진으로 저장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상, 하, 좌, 우, 0도~360도 범위의 회전이 가능하다.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가 현재 소지하고 있는 상품을 후보 상품으로서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현재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상품을 후보 상품으로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지 상품의 브랜드, 상품명, 색상, 사이즈 등과 같은 상세 정보를 사용자 장치에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가 해당 상품을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 가능한 3D 이미지로 생성함으로써 후보 상품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후보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다른 후보 상품과 가상 매칭시켜볼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나아가,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후보 상품과 어울리는 상품을 추천해주는 기능도 추가로 제공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촬영 이미지 기반의 가상 옷장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350)를 3D 아바타 이미지로 인식하여, 실시간 촬영 사용자 이미지(350)에 대하여 상품(340)을 가상 착용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치는 옷장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있는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사용자에 대한 촬영 이미지(350)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촬영 이미지(350)에서 사용자(310-1)를 3D 아바타 이미지로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장치는 앞서 상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가상 착용 상품(340)을 3D 아바타 이미지(310-3)에 가상 착용시켜 출력할 수 있다. 즉, 실시간으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350)에 상품(340)을 실시간으로 가상 착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장치는 3D 아바타 이미지로 인식된 사용자(310-1)의 신체 부위 중 가상 착용 상품(340)이 착용될 부위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한 착용 부위에 선택된 상품(340)을 가상 착용할 수 있다.
만일, 가상 착용 상품(340)이 착용될 부위에 다른 상품(320)이 이미 착용되어 있음에 따라 촬영 이미지(350) 상의 해당 부위의 사이즈가 실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보다 작거나 크게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는 해당 부위를 3D 아바타 이미지로 대체한 후 대체된 부위에 상품을 가상 착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 통이 큰 면바지(320)를 입고 있음에 따라 실시간 촬영 상의 다리 부위의 둘레가 실제 사용자의 다리 사이즈에 비해 넓게 인식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럼에도, 실시간 촬영 이미지 상의 사용자(310-1)를 그대로 3D 아바타 이미지로 인식하게 되면, 사용자의 실제 신체 사이즈와는 전혀 상이한 신체에 선택 상품이 가상 착용될 뿐 아니라, 부정확한 가상 착용 상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는 우선 실시간 촬영 상에서 인식된 사용자(310-1)의 사이즈가 실제 신체 사이즈와 동일한지 여부(혹은 동일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하지 않게 인식되는 부위(320)에 대해서는 3D 아바타 이미지(330)로 대체한 뒤 대체된 부위(330)에 상품(340)을 가상 착용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도 3의 실시예의 경우 실시간 촬영 사용자의 바지(320)를 3D 아바타 이미지의 다리(330)로 대체).
동일한지 여부는, 신체 부위별 비율을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서 다리 길이 대비 허벅지 너비의 비율이 8:1이나, 실시간 촬영 이미지 상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다리 길이 대비 허벅지 너비의 비율이 8:3로 인식되는 경우, 허벅지가 실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보다 큰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3D 아바타 이미지로 대체 시, 사용자 장치는 대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실제 신체 사이즈 간의 비율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실제 사이즈를 고려한 결과 상체 및 하체 길이 비율이 2:3인 경우, 사용자 장치는 실시간 촬영 상에서 인식되는 사용자 상체 대비 하체의 비율을 고려하여, 3D 아바타 이미지의 다리 길이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는 실시간 촬영 이미지의 전체 채도 및 명도를 확인하여, 이와 동일/유사한 범위의 채도 및/또는 명도를 상품에 적용하여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착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기 위함이다.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옷장 기능을 제공하는 가상 옷장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는 앞서 상술한 가상 옷장 기능을 통해 후보 상품 탐색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치는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시킬 후보 상품군을 사용자가 카테고리별로 쉽고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폴더(또는 '탭')별로 후보 상품군을 분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기능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카테고리별로 폴더(410)를 생성한 뒤 각 폴더(410)별로 후보 상품군을 사전 분류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는 사전 분류된 후보 상품군을,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더(410)별로 제공할 수 있다.
폴더(410)의 예시로는, 사용자가 구매했던 상품 폴더, 위시 리스트 상품 폴더, 장바구니 상품 폴더, 검색 결과 상품 폴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상품 폴더, 상품 종류(예를 들어, 상의, 하의, 원피스, 액세서리, 신발, 가방 등)별 폴더, 계절별 상품 폴더, 즐겨 입는 상품 폴더 등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폴더(410)별 후보 상품군 정렬 기능을 통해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시킬 후보 상품을 쉽게 탐색할 수 있으며, 탐색한 후보 상품 중 특정 상품을 선택함으로써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해볼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제공된 폴더(410) 중 어느 하나(410-1)에 대한 선택 입력(420)을 수행하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폴더(410-1)에 포함/분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상품(510)이 2D 또는 3D 이미지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중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할 상품을 탐색 및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후보 상품은 사용자의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각 부위별 가상 꾸미기 기능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아바타 이미지의 얼굴에 대한 선택 입력(520)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얼굴 부위를 확대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얼굴 부위에 대한 가상 꾸미기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얼굴 역시 3D 렌더링 작업을 통해 사용자와 동일한 얼굴로 구현/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얼굴 부위에 대한 가상 꾸미기 기능으로서, 헤어 스타일 변경 기능(620), 헤어 색상 변경 기능(610), 메이크업 기능, 시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시술 기능은, 사용자 얼굴에 대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조정함으로써 Face Lifting, Volume, Skin Balance, Soft Surgery, Skin Care, Skin Rejuvenation 등의 시술 효과를 가상으로 적용하여, 사용자가 시술 결과를 가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각 기능별로 사용자가 적용하고자 하는 스타일을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메뉴가 제공될 수 있으며, 메뉴에는 최근 매칭한 머리 스타일/자주 매칭한 머리 스타일/이전 머리스타일 등의 메뉴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각 기능별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기능을 3D 아바타 이미지의 얼굴에 가상 적용하여 가상 꾸미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손, 발(530), 다리, 팔 등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는 선택된 각 부위를 확대함과 동시에 해당 부위에 대한 가상 꾸미기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통해, 네일아트, 패디큐어, 문신 등과 같은 다양한 가상 꾸미기 기능을 적용해볼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장치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부분 확대 기능, 전체 확대 기능, 회전 기능, 움직임 기능, 포즈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3D 아바타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장치는 상품의 착용 상태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착용 상태의 내부도를 가상 착용 상태로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아바타 이미지의 발 부위에 신발이 가상 착용된 모습을 출력할 수도 있으나,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이 착용된 발 부위의 내부 모습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직접적으로/직관적으로 상품의 착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 사이즈와 맞는 상품을 구매하는 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발과 발목이 보여지는 부분 우측 상단에는 신발 내부 보기 버튼이 존재하며, 이 버튼을 누를 경우 상품 착용 상태의 내부도 확인이 가능하다. 나아가, 움직이기 버튼이 추가로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 버튼을 누르면 3D 아바타 이미지는 걷는 행동 또는 뛰는 행동을 할 수 있다. 이때 만일 내부 보기 버튼이 눌려진 상태인 경우, 움직이는 상태에서의 내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접히는 부분도 확인 가능하며, 발등과 신발의 윗 부분이 또는 양 볼 옆 부분이 조여지는 부분 까지 확인 가능하다. 내부 확인에서도 360도 전환이 가능하며, 여백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발뿐만 아니라 다른 상품(예를 들어, 장갑, 양말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확인 가능하다.
그리고/또는,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상품을 추천하는 추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장치는 머신 러닝, 딥 러닝 등의 기계 학습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을 기설정된 카테고리별로 학습하여 사용자의 상품 선호 패턴을 도출하고, 도출한 상품 선호 패턴을 기초로 사용자가 선호할만한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카테고리는, 상품 종류, 상품 색상, 상품 사이즈, 상품 브랜드, 상품 재질, 상품 디자인 및 상품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분석하여 어떠한 상품 종류, 어떤 색상, 어떤 사이즈, 어떤 브랜드, 어떤 재질/소재, 어떤 디자인을 주로 구매했는지 여부를 학습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각 기설정된 카테고리별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 패턴/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패턴/특징 추출 시 사용자 장치가 사용 가능한 머신 러닝 기술의 예로는, kNN(k-Nearest Neighborhood), 결정 트리(Decision Tree),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Naive Bayes, SVM(Support vector Machine), RNNs(Recurrent Neural Networks), DNNs(Deep Neural Networks), CNNs(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도출된 사용자의 상품 선호 패턴을 기초로,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상품과 매칭 가능한 상품 추천 기능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상품과 어울리는 상품을 사용자의 상품 선호 패턴 및 의류 색상 조합표를 기초로 추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우선 자신이 소지하거나 구매하려는 제1 비교 대상 상품을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제1 비교 대상 상품과 매칭하여 착용하려는 신체 부위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3D 아바타 이미지에 흰색 티셔츠(제1 비교 대상 상품)(840)를 가상 착용 시킨 상태에서, 자신이 추천받고자 하는 상품의 착용 부위인 다리에 대한 영역(810) 설정 입력(예를 들어, 영역 설정을 위한 드래그 입력 등)(820)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상품 선호 패턴 및 의류 색상 조합표를 기초로, 설정된 영역(810)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에 착용 가능한 제2 비교 대상 상품(도 8의 실시예의 경우 바지, 속옷 등)(830)을 사용자에게 추천해줄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상품 선호 패턴을 기초로 검색 상품 정렬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품 검색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품 검색 입력에 기초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상품 선호 패턴과 매칭 정도가 높은 상품일수록 상단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흰색 상품의 선호 패턴을 갖는 경우, 사용자 장치는 흰색 상품을 상단에 정렬할 수 있으며 이외의 다른 색상은 하단에 정렬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상품 선호 패턴과 다른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예를 들어, 다른 사람에게 선물하거나 새로운 스타일을 시도해보고 싶은 경우 등). 이 경우, 사용자 장치는 검색된 상품들 중 사용자가 상품 정보를 상세히 보기 위해 선택 입력된 상품들의 패턴/특징을 기설정된 카테고리별로 실시간으로 학습하여, 사용자의 검색 선호 패턴을 실시간으로 도출할 수 있다. 이렇게 도출된 검색 선호 패턴은, 미리 도출된 상품 선호 패턴보다 높은 우선 순위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치는 검색 선호 패턴을 상품 선호 패턴보다 높은 우선 순위로 고려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실시간으로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색상 카테고리에 대한 상품 선호 패턴은 흰색이나, 검색 선호 패턴은 검정색인 경우, 사용자 장치는 검정색 상품을 1순위로, 흰색 상품을 2순위로, 나머지 색상의 상품을 3순위로 순차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디 매칭 기능을 제공하는 가상 옷장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예시한다.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전문 코디 매칭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장치는 전문 코디들로부터 코디 경력 관련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코디별 경력 정보를 참고하여 자신의 옷 코디를 의뢰할 코디와의 매칭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와 코디간의 매칭이 성사되면, 코디는 사용자의 가상 옷장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생기며, 가상 옷장에 포함되어 있는 후보 상품을 이용하여 코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코디 횟수 및/또는 코디 기간에 따라 일정 요금이 사용자에게 과금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아바타 이미지 생성을 위한 가상 옷장 어플리케이션의 렌더링 동작을 예시한다.
가상 옷장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효율적인 상품 구매를 위해서는, 사용자(1020)의 신체 사이즈가 3D 아바타 이미지에 정확히 반영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1020)의 신체 사이즈를 기반으로 3D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1020)로부터 각 신체 부위별 사이즈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3D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다양한 각도의 사용자의 2D 이미지(예를 들어, 정면, 좌측면, 우측면, 후면의 사용자 사진)를 렌더링하여 3D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위 두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3D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렌더링하여 3D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는 렌더링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촬영 이미지 미리보기를 통해 사용자 촬영 가이드라인(1010, 1030, 1040)을 제공할 수 있다.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3D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1020)로부터 사용자의 각 부위별 구체적인 신체 사이즈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이렇게 입력받은 신체 사이즈를 기초로, 각 부위별 상대적인 비율 및 실루엣을 도출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 촬영에 사용할 가이드라인(1010)을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라인(1010)은 렌더링을 위한 사용자 사진 촬영 시, 사용자(1020)가 위치해야 할 곳을 가이드하기 위해 촬영 미리보기 화면에 오버랩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정면 촬영용, 우측면 촬영용, 좌측면 촬영용, 후면 촬영용으로 각각 생성될 수 있다. 본 도면은 사용자(1020)의 신체 사이즈를 기초로 정면 촬영용 가이드라인(1010)을 생성하여 촬영 미리보기 화면에 오버랩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예시한다. 따라서, 사용자(1020)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가이드라인(1010) 내에 위치한 뒤 사진 촬영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는 3D 아바타 이미지 생성을 위한 사용자 2D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실루엣형 가이드라인(1010)에 추가로, 어깨라인, 허리라인과 같이 사용자가 위치시켜야 하는 특정 신체 부위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1030, 1040)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1010, 1030, 1040)을 통한 사용자 사진 촬영을 통해, 사용자 장치는 보다 높은 정확도로 사용자(1020)의 신체 사이즈와 매우 흡사한 3D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옷장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순서도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다양한 실시예/설명이 모두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가 반영된 3D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1101). 3D 아바타 이미지 생성에는 도 10에서 제안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 탐색 입력에 기초하여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시킬 후보 상품을 탐색할 수 있다(S1102).
다음으로, 사용자 장치는 후보 상품 중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S1103), 선택된 상품을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S1104).
마지막으로, 사용자 장치는 가상 착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1105).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는 가상 착용 상태로서, 선택된 상품의 착용 가능 여부(사이즈가 사용자 사이즈보다 매우 작은 경우에는 착용 불가능 상태로 출력), 선택된 상품의 착용 부위별 끼임 정도, 선택된 상품의 착용 부위별 비침 정도, 선택된 상품의 착용 부위별 소재 기반의 까칠함 정도 및 선택된 상품의 착용 부위별 길이감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옷장 서비스 제공 방법/장치/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각 기능을 간략히 설명/제안한다.
상품 선물, 양도, 폐기 기능
*사용자는 다른 친구와 친구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게 친구 신청을 할 수 있으며, 반대로 받을 수 있다. 두 사용자간의 수락 이후, 두 사용자는 친구가 될 수 있다. 두 사용자간에 친구가 성립되면 서로에게 상품을 선물 또는 조를 수 있다(다만, 선물은 친구가 아닌 경우에도 가능). 친구가 된 상태에서는 언제든 관계를 재 설정할 수 있다(인연 끊기 등).
사용자는 친구 외 다양한 관계를 설정해서 만들 수 있다. 가족, 부모님, 선생님, 지인, 친구 등. 이 설정은 설정 탭(또는 폴더)에서 사용자가 직접 설정 할 수 있으며, 명칭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간의 관계가 성립이 되면, 구입 또는 소장한 상품 (의류, 액세서리등) 을 교환 또는 선물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1이 ㄱ 이라는 옷을 소지하고 있는데, 사용자 2가 사용자 1의 옷을 빌려 입기를 희망하는 경우 빌려 입기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1의 소지한 의류에서 사용자 2의 옷장으로 옷이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 1 의 옷장에는 의류가 보여지며, 사용자 1이 설정한 명칭이 나오며 빌려줌으로 표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친구라고 설정된 경우, "친구에게 빌려준 상태" 등의 안내 문구가 보여짐).
사용자 1은 대여 기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그 기간이 다가오면 알람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 2는 사용자 1이 회수를 누르게 되면, 사용자 2의 옷장에서 빌려 입은 의류를 확인할 수 없다. 단, 사용자 2가 새롭게 구입 또는 사용자 1로부터 옷을 선물 또는 인수받게 되면, 표기가 완료된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탭(또는 폴더)(예를 들어, 가족, 부모님, 친구 등의 탭)의 사용자에게 특정 상품을 양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지하고 있는 상품을 설정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양도할 수 있다. 양도가 완료된 의류는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는다.
사용자는 실제로 폐기 한 의류를 옷장에서도 마찬가지로 폐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해당 상품을 클릭하여, 폐기 처리 하게 된다. 폐기가 된 의류는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게 된다.
사용자는 위에 명시한 구분 외에도 대여해준 옷, 폐기한 옷, 자주 입는 옷 등의 탭(또는 폴더)을 설정할 수 있다.
빌려준 상품, 폐기한 상품의 경우 간단한 이미지로 보여지며, 상품에 안내가 나오게 된다. 사용자는 빌려준 상품, 폐기한 상품의 간단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지만, 다시 입어 볼 수는 없다.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게 물품을 선물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사용자(선물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기본 정보는 알 수 없다. 여기서 말하는 기본 정보란, 신체 사이즈를 말한다. 하지만, 선물을 주고자 하는 사용자의 추천 사이즈는 전달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선물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선물 받는 사용자" 의 의류 추천 버튼을 클릭하여, 선불 받을 사용자의 취향 (추천 색상, 희망하는 의류, 관심 물품 등)을 추천 받을 수 있다.
추천 버튼을 클릭하기 전, 안내 창이 나오며, "선물 받는 사용자(예: ㅇㅇㅇ) 님의 관심 목록 확인하기 와 그냥 구입하기 등의 안내 문구가 나오게 되며, 목록 확인하기를 누르게 되면 선물 받는 사용자의 관심 물품이 보여지게 된다. 그냥 보기를 누를 경우, 선물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바로 선물하고자 하는 물품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이 기능은 깜짝 선물을 위한 약간의 정보 공유에 해당한다. 회원 가입 시, 기본 정보 공유에 동의 한 경우에 한하여 이 기능이 활성화된다.
선물을 받은 사용자는 선물을 한 사용자에게 답장을 할 수 있다.
또한, 받는 사용자는 상품을 거절 할 수 있으며, 감사의 말을 전할 수도 있다. 선물 받은 사용자는 선물 받은 상품을 착용하여, 선물한 사용자에게 3D로 착용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답장 시, 함께 보여줄 수 있다.
이때 보여지는 이미지는 3D 또는 2D 사진으로도 보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선물 받은 상품을 반품, 교환 할 수 있으며, 선물을 보내준 친구에게 선물을 다시 할 수 있다.
물품 업데이트 기능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데이터화되는 의류와 다양한 악세서리들은 특수 제작된 가상 마네킹을 이용하여,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가상 마네킹은 어깨, 팔뚝, 팔꿈치, 어깨 넓이, 다리 길이, 허리 둘레에 따라 모양이 변화된 의류와 액세서리를 스캔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특수 제작된 마네킹은 버튼 또는 바람을 주입하여, 특정 부위를 부풀리게 할 수 있으며, 마네킹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그 모양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특정 부위라 함은 어깨 또는 팔의 근육 등의 모든 부분을 말한다.
온라인 피팅룸 (OPR) 시스템
사용자는 옷장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기능/메뉴를 통해 온라인 피팅룸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단의 온라인 옷장과 동일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다만, 이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물품 외에도, 본 어플리케이션과 파트너 관계를 갖은 모든 파트너 쇼핑몰의 의상을 입어보고 구입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온라인 옷장(가제)" 에 저장된 의류를 바탕으로 서비스가 제공 되지만, 다른 온라인 쇼핑몰 또는 브랜드와 협업으로도 공유가 가능하다. 공유는 사용자의 동의를 얻은 경우, 협업 업체의 신규 의류 외 위에 언급된 모든 내용을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 베이스 기반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소비 패턴과 소비 특성을 기반으로(사용/구매 기록을 가져옴 - 핸드폰에서 쿠키를 끌어와 동의 하에 사용자의 패턴 또는 관심 물품을 확인 또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매칭/검색 또는 구입한 의류와 비슷한 물품), 지금까지 구입한 의류, 액세서리와 비슷한 패턴을 추천할 수 있다.
만일, 계절이 바뀌면, 계절에 맞게, 소비자의 선호 색상, 디자인을 반영하여, 소비자에게 추천이 가능하다. 하지만, 특가 또는 세일이 진행되는 상품은 계절과 상관없이 보여질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가 구입한 패턴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패턴으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브랜드, 디자인, 색상이 있으며, 그 색상과 디자인 패턴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어울리는 상품이 추천되게 된다.
사용자 장치는, 1차로 사용자가 흰색의 티셔츠를 많이 구입할 경우, 흰색의 티셔츠를 주로 보여주게 되나, 각 상품에도 여러가지 색상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해당 상품에 대한 다른 색상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흰색 의류를 많이 구입하여, 흰색의 패턴의 의류를 더 많이 보여지게 하였으나, 그 곳에서 다른 색상(예들 들어, 검정색)을 많이 눌러보는 경우, 사용자 장치는 다음에는 흰색의 비중을 줄이고 검정색 의류를 중심으로 추천할 수 있다.
2차로 사용자의 의상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의상 패턴이라 함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고가 들어가지 않는 의류를 선호하는 경우, 이러한 종류의 의류를 추천하며, 큰 로고를 선호하는 경우, 이러한 종류의 의류를 추천할 수 있다.
3차로 소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를 확인 하고 상품을 추천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업데이트 된, 사용자가 업로드한 의류/액세서리를 사용자의 클릭으로 가져와서 바로 보여질 수 있다.
각각에 위치한 메뉴들에서는 사용자가 자주 확인하는 의류/액세서리가 데이터를 통해 설정되며, 설정된 값(예를 들어, 착용 또는 확인 5회 이상)에 충족되면 해당 메뉴에 보여질 수 있다.
계절에 따라 보여지는 메뉴는 미리 설정한 월별 기록을 바탕으로 보여질 수있다(예를 들어, 봄을 3~6월로 설정한 경우 3월이 되는 순간 봄 의류가 보여지며, 7월이 되면 자동으로 여름의 계절 옷들로 보여짐).
계절은 보다 세세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봄, 봄, 늦봄, 초여름, 여름 등과 같이 세세하게 나뉘며,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내용은 설정된 값에 합집합으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모든 항목이 보여질 수 있다(예를 들어, 초봄을 2~3월로 잡고, 봄을 3~4월로 잡고, 늦봄을 4~6월로 나뉘어 져있다고 가정하면, 3월에는 초봄, 늦봄의 의류 역시 보여짐).
계절에 따라 보여지는 옷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경우, 봄/여름/가을/겨울을 설정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직접 입력하는 경우 세세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모습
사용자는 사용자의 모습이 직접적으로 표시되는 모습에 불쾌감을 느낄 수 있기에, 사용자는 환경 설정을 통해, 사용자 3D 모습에 마스크를 입힐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덴탈 마스크 또는 KN 마스크가 될 수도 있으며, 가면일 수도 있다. 가면은 서버의 업데이트를 통해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면을 직접 꾸밀 수 있으며, 자신이 꾸민 마스크를 공유 또는 자랑할 수 있다. 자랑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에 있는 게시판 형식의 글에 자신의 마스크 디자인을 타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만든 가면은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들이 직접 만든 마스크 또는 가면은 프로그램 상에서 설정한 추천 값에 따라 타 사용자와 자동으로 공유될 수 있다.
가면과 마스크 만들기는 어플리케이션의 한 기능으로서 제공되며, 전체 얼굴인 가면, 일반적인 마스크의 색상부터 디자인까지 상세하게 꾸밀 수 있다.
이 꾸미기에서는 마스크와 가면의 끈 역시 설정이 가능하며, 디자인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업로드한 마스크와 가면은 사용자의 소유가 되며, 모방과 저작권이 있는 디자인은 사용이 금지될 수 있다.
사용자의 가면/마스크를 제외한 다른 방식으로도 본인의 모습을 바꾸게 보이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캐리커쳐(가제)라는 특정 버튼을 통해, 이 버튼을 활성화 하면 본인의 모습이 캐릭터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캐릭터로 보이는 사용자의 모습은 전체적인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며, 사용자가 선택하는 의류/액세서리 등의 모든 착용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캐릭터로 변경이 되는 경우 의류, 액세서리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값에 의해, 자동 축소되어 매칭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여지는 3D 자신의 모습(캐릭터)를 정지되어 있는 모습과 움직이는 모습으로 확인해볼 수 있다.
움직이는 모습은 옷장 또는 입어보기를 할 때, 좌측 하단에 준비된 버튼을 통해 선택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모습으로 보여지게 된다.
움직임 버튼은 버튼을 누르면 옆으로 5개 또는 그 이상의 추가 버튼이 옆으로 나열되며, 그 곳에서 선택하여 누를 수 있다. 버튼은 "걷기/살짝 흔들기/뒤 돌기/모델 포즈/정지 등의 3~4개의 내용"을 선택해서 보여줄 수 있다.
모델 포즈는 사용자가 업데이트되는 포즈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요청을 하여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여지는 사용자의 3D 모습을 좌, 우로 돌려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손가락을 이용하여, 좌우로 돌려볼 수도 있으며, << 또는 >> 버튼을 통해 돌려볼 수 있다.
피드백 기능
사용자는 구입 또는 매칭된 의류에 대해 피드백을 남길 수 있다.
이 피드백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오차 범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며, 그 값을 적용하여, 최소한의 오차 값으로 줄여나가,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3D 모습 매칭을 할 수 있게 된다. 피드백에는 의류의 평가 및 어플리케이션의 정확도도 포함될 수 있다.
피드백 부분은 마스크/가면과 동일하게 이용자의 커뮤니티 게시판과 같은 개념으로 사용자들이 대화를 할 수 있게 만드는 공간을 의미한다.
전문 코디 매칭 기능
본 명세서에서 전문 코디는 연예인과 유명인들의 코디를 했던 전문직의 전문가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전문 코디 매칭 기능을 통해 개인의 의상을 코디해줄 수 있는 전문가와 매칭될 수 있다. 본 기능은 실질적인 전문가 코디가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류를 추천 해주는 기능이다.
사용자는 코디 탭(또는 폴더)에 들어가서 복수의 코디들을 확인할 수 있다.
코디들은 본인의 경력, 샘플 코디 등의 모습을 화면에 표기하게 되며, 사용자는 코디의 추천 의상을 보고 1:1 대화를 걸 수 있다.
1:1 대화를 요청해서 오늘의 의상 추천을 받을 수 있다.
코디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방식(예를 들어, 결혼식, 중요한 만남의 자리 등등)으로 의뢰를 받을 수 있으며, 코디는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코디는 사용자에게 신규 의류/액세서리 등을 추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가상 옷장에 대한 접근을 허용받아,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의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코디 추천을 해줄 수 있다.
사용자는 정해진 월 정액 요금제를 통해,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쿠폰을 구입하여 쿠폰을 지불하고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코디에게 코멘트와 하트 또는 좋아요 등의 방식으로 추천을 누를 수 있으며, 추천을 많이 받는 사용자는 BEST 코디로 표시될 수 있다.
파트너/브랜드 기능
파트너/브랜드, 온라인 쇼핑몰은 물품 판매를 위해 자신만의 가상 매장을 만들 수 있다. 사용자는 일반 오프라인의 백화점 또는 동대문처럼, 본인들의 스타일로 매장을 꾸밀 수 있다. 가상 매장의 크기, 매장의 물품 위치, 조명 색상, 마네킹의 숫자 등의 모든 매장 UI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파트너/브랜드/온라인 쇼핑몰(통칭 파트너로 칭함)의 판매자들은 희망하는 위치에 의류 또는 물품을 가상 매장에 진열/전시할 수 있다. 파트너는 마네킹을 선택해서 마네킹을 매장에 둘 수 있으며, 숫자에 제약이 없다.
마네킹에는 이미 3D화 된 물품이 언제든지 가상 착용될 수 있으며, 모델과 계약이 된 경우 모델을 파트너 매장에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마네킹 대신 모델 또는 파트너가 계약한 모델이 보여질 수 있다.
파트너는 모델, 마네킹에 언제든지 쉽게 본인들이 판매하고자 하는 모습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렇게 꾸며지고 설정이 완료된 파트너 매장은 사용자 (소비자)가 바로 온라인 방문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메뉴의 브랜드별 찾기에서 희망하는 브랜드를 찾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단 부분(이 특허 신청 문의 첫번째 이미지 우측에서 남자가 서있는 부분의 2/3 크기)에 꾸며진 매장이 출력될 수 있다.
보여지는 화면의 우측에는 보여지는 방식이 있으며, 간편하게 보기와 3D 매장 방문하기 등으로 전환될 수 있다. 간편하게 보기의 경우, 일반적인 쇼핑몰처럼 물품만 보여질 수 있다.
3D 매장 방문으로 전환한 경우 파트너가 설정한 매장의 모습이 출력될 수 있으며, 그 바로 밑에는 상품들이 출력될 수 있다.
파트너는 실제 백화점, 오프라인 매장처럼, 옷걸이와 접혀 있는 옷들을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클릭 또는 터치를 통해 옷걸이, 세일 상품 또는 접혀 있는 물품 등 직접 매장에 있는 것과 같이 화면이 움직이며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옷걸이에 걸려 있는 옷을 터치로 눌러볼 수 있다. 터치로 누르게 되면, 옷의 모습이 상세하게 보여질 수 있다. 이때, 손가락을 양 옆으로 밀 경우 다음 옷이 보여지게 되며, << 또는 >> 버튼을 눌러서 한 개씩 상품을 확인하며 넘길 수 있다. 이 때에도 3D 아바타 이미지에 대한 바로 착용 기능 사용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옷걸이를 손가락을 양 옆으로 또는 << 또는 >> 버튼으로 넘겨 볼 때, 옷결이가 쇠에 긁히는 것과 같은 다양한 효과음(보통 오프라인 매장에서 의류를 넘길 때 옷걸이의 쇠와 지지대의 쇠가 긁히는 소리)이 출력될 수 있다.
카메라 기능
사용자는 외부 기기 (핸드폰의 카메라 또는 앱, 매장에 준비된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본인의 모습을 3D로 구현하거나 이미 구현된 3D의 본인 모습을 가질 수 있다.
본 특허에서 제공하는 3D 구현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인의 모습 또는 소지하고 있는 의류 또는 신규 의류를 3D로 업로드할 수 있다.
3D화 된 본인의 모습은 휴대 기기 또는 컴퓨터를 통해 나타나게 된다.
사용자는 본인의 모습에 희망하는 의류를 직접 착용해 볼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의 3D 모습과 이미 구입 또는 새로 구입할 3D로 구현된 의류를 매칭해서 온라인 상에서 입어볼 수 있다.
가상 옷장을 통해 이미 3D화 된 구입한 의류를 신규 구매와 상관 없이 매칭해서 입어볼 수 있다.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진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상 착용해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미 구입된 의류를 3D 본인의 모습이 아닌, 사진을 통해 미리 입어볼 수 있다. 사용자는 희망하는 의류를 선택하게 되며, 선택한 의류는 카메라에 보여지게 된다. 보여지는 카메라에는 선택한 의류가 나오게 되며, 사용자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통해, 서버로 전송된 자신의 모습과 이미 어플리케이션에 표기된 선택한 의류를 입어보게 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케릭터나 자신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여지게는 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이 경우 이미 서버에 랜더링된 의류를 선택하게 되며, 의류를 선택할 경우 본인의 모습 위에 의류가 보여지며, 사용자는 의류를 입어보지 않고,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본 특허의 3D 프로그램을 통해 서버에 본인의 모습과 의류 정보를 3D 로 업로드가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가 업로드한 자신의 모습과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의류 정보는 언제든 가상 옷장에서 수정 또는 매칭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본인이 소지한 카메라, 휴대기기 (휴대폰, 태블릿 등)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다. 촬영 방식은 사용자 또는 카메라, 휴대기기 (휴대폰, 태블릿 등 - 외부 기기라 칭함) 중 하나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여, 다른 하나가 회전하는 방식으로 촬영된다.
예시 1) 사용자가 가만히 있는 경우 - 카메라가 사용자 주변을 360도 돌면서 촬영
예시 2) 카메라가 가만히 있는 경우 - 사용자가 본인을 360도 돌려서 촬영
사용자를 3D 스캔하여, 애플리케이션 또는 홈페이지에 3D 로 본인이 만들어 지게 되는데, 촬영 시, 최대한 머리를 짧게 또는 묶은 상태에서 진행하게 된다.
이후, 머리 선택이 가능하며, 본인의 머리의 색상과 길이와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 의류의 경우 마네킹 또는 본인이 착용하여 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촬영하여 업로드 하게 된다. 촬영이 완료된 영상 또는 파일을 업로드 하게 되면, 메인 서버에 업로드 되며, 관리자는 의류를 제외한 부분을 삭제하여 서버에 저장한다. 촬영이 완료된 의류 영상 또는 파일을 업로드 하게 되면, 메인 서버에 업로드가 되며, 관리자는 모습을 제외한 의류 부분을 업로드 하게 된다. 이렇게 서버에 저장된 3D 의류는 소비자가 언제든 착용할 수 있도록 본 아이디어의 프로그램을 통해 만들어진 프로그램 플랫폼에서 적용되게 변환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가상 옷장 기능을 실행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가 보여지게 된다. 선택 가능한 의류는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자/운영자/개발자가 3D로 랜더링하여 업로드 하게 되며, 랜더링이 완료된 의류만 선택 가능하다.
사용자는 "실시간 착용 (가제)" 를 통해, 사진을 찍어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된 파일은 변환이 완료되면 정면, 옆모습, 뒷모습 등으로 확인이 바로 가능하다.
사용자의 성별은 회원 가입 시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표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의 키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이 업로드 하기를 희망하는 의류의 색상과 브랜드 명, 품번을 작성하게 된다. 사용자는 뒷면이 단색인 벽을 이용하여,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단색의 벽을 이용하는 이유는 배경을 지우기 위함이다.
촬영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의 지시에 따라 본인의 신체를 나눌 수 있다(사용자 마다 목 길이, 어깨 넓이, 허리 등, 정해진 부분을 구분한다).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본 프로그램의 서버에 정확한 내용이 기록되며, 이 기록을 통해 신체가 비슷한 회원들의 정보에도 매칭이 될 수 있도록 적용이 가능 하다.
사용자 장치 외의 외부 카메라의 연속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을 통해 직접적인 방법으로 촬영을 한 후, 파일의 업로드도 가능하다.
장갑, 신발과 같이 내부를 확인해야 하는 의류(액세서리)의 경우에는 표면을 절단하여, 단면도를 스캔/랜더링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업로드될 수 있다.
절단된 표면을 통해, 착용 상태 내부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여유 공간 확보여부에 따라 편안함 정도를 측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로 촬영한 3D 본인의 모습을 여러 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사진처럼 확인이 가능하다.
여러 개의 본인 모습을 통해, 체중 변화에 따른 살이 찌는 부분을 데이터화 하여, 체중이 증감에 따라 변화되는 모습을 예상하게 되며, 서버에 등록된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는 체중 변화에 따른 온라인 옷장에 준비된 의류에 적용해볼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언제든 본인의 모습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모습 업데이트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근육이 붙는 부분(모습), 몸무게가 늘어날 때 지방이 붙는 부분(모습) 등을 데이터화 하여 보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의 모습을 업데이트 할 때 체중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느 부분에 어느 정도의 변화가 있는지 데이터로 분석하여 이전에 저장된 3D 아바타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소비자는 항시 자신의 모습을 업데이트 할 필요는 없다.
사용자는 자신의 3D 모습을 360도 돌려가며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체중 변화, 근육량 변화에 따른 의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가상 옷장에서는 업데이트된 모습의 수치를 통해 구입한 의류에 적용시켜, 사용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옷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가상 옷장 서비스 제공 시스템(1200)은, 사용자 장치(1210)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2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구현된 옷장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서버(1220)는 옷장 어플리케이션을 운영/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1200)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1220)는 상호 작용, 즉 통신을 활발히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동작 주체를 사용자 장치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작 주체는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서버(1220)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옷장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프로세서, 메모리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유닛(1320) 및 통신 유닛(133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프로세서(1310)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프로세서(13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131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10)는 메모리 유닛(1320)에 저장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1320)은, 비디오, 오디오, 사진,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1320)은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나타낸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메모리 유닛(1320)은, 다양한 2D/3D 이미지 데이터(예를 들어, 각 사용자별 3D 아바타 이미지, 상품 3D 이미지, 사용자 촬영 2D 이미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유닛(1330)은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통신 유닛(1330)은 사용자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사용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나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200: 가상 옷장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10: 사용자 장치
1220: 어플리케이션 서버

Claims (11)

  1. 컴퓨터 장치와 결합하여 상기 컴퓨터 장치의 메모리 유닛 상에서 실행되는 3D(Dimension)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체 사이즈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부위 별 비율 및 실루엣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실루엣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촬영을 위한 실루엣 가이드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촬영 시, 상기 사용자가 신체 부위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 가이드 라인을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실루엣 가이드 라인, 상기 신체 부위 가이드 라인 및 상기 사용자 촬영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및 상기 신체 부위별 비율이 반영된 3D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시킬 후보 상품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후보 상품 중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상품을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시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비율을 기초로, 상기 선택된 상품의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에 대한 가상 착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되되,
    상기 가상 착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 및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 상에 가상 착용된 상품에, 상기 가상 착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미지 요소로 반영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구매 입력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입력된 상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창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창에 대한 사용자 결제 입력을 수신하여 구매를 완료하고, 상기 구매 완료된 상품에 대한 구매 내역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품 구매 이력으로서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구매 이력을 학습하여 기설정된 카테고리별로 상기 사용자의 상품 선호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카테고리는,
    상품 종류, 상품 색상, 상품 사이즈, 상품 브랜드, 상품 재질 및 상품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품 검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검색 입력에 기초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품 선호 패턴과 매칭 정도가 높은 상품일수록 상단에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 중 특정 상품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상품을 실시간으로 학습하여 상기 기설정된 카테고리별로 상기 사용자의 검색 선호 패턴을 실시간으로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선호 패턴을 상기 상품 선호 패턴보다 높은 우선 순위로 고려하여,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실시간으로 정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비교 대상 상품을 입력 또는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상품 선호 패턴 및 기설정된 의류 색상 조합표를 기초로 상기 제1 비교 대상 상품과 어울리는 제2 비교 대상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영역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비교 대상 상품은, 상기 영역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에 착용 가능한 상품 중에서 추천되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옷장 서비스와 연동되어 있는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이미지에서 상기 사용자를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로서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상품을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에 가상 착용시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3D 아바타 이미지로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상기 선택된 상품이 착용될 부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상품이 착용될 부위에 상기 선택된 상품을 가상 착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상품이 신발인 경우, 상기 가상 착용 상태는,
    상기 신발을 착용한 3D 아바타 이미지의 신발 내부도를 포함하는,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KR1020230125299A 2021-01-20 2023-09-20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KR20230143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299A KR20230143588A (ko) 2021-01-20 2023-09-20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848A KR102582441B1 (ko) 2021-01-20 2021-01-20 가상 옷장 기반의 의류 판매 어플리케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230125299A KR20230143588A (ko) 2021-01-20 2023-09-20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848A Division KR102582441B1 (ko) 2021-01-20 2021-01-20 가상 옷장 기반의 의류 판매 어플리케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588A true KR20230143588A (ko) 2023-10-12

Family

ID=827013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848A KR102582441B1 (ko) 2021-01-20 2021-01-20 가상 옷장 기반의 의류 판매 어플리케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230125299A KR20230143588A (ko) 2021-01-20 2023-09-20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848A KR102582441B1 (ko) 2021-01-20 2021-01-20 가상 옷장 기반의 의류 판매 어플리케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824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91B1 (ko) * 2022-09-14 2023-01-10 주식회사 로원홀딩스 Ar을 이용한 명품 커머스의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87090B1 (ko) * 2022-09-14 2023-01-10 주식회사 로원홀딩스 Vr을 이용한 명품 쇼핑 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734A (ko) * 2008-10-31 2010-05-1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정보 교환이 가능한 전자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쇼핑 방법
KR101731718B1 (ko) * 2015-08-28 2017-04-28 이형철 쇼핑을 위해 가상 피팅 솔루션을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28785B1 (ko) * 2017-03-20 2018-02-13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3d 족부 스캐닝을 이용한 맞춤형 신발 제조 방법 및 시스템
KR102202843B1 (ko) * 2020-04-14 2021-01-14 이상철 3차원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의류 시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306A (ko) 2022-07-27
KR102582441B1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7008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of virtual dressing utilizing image processing, machine learning, and computer vision
US1130191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rtual fitting rooms or hybrid stores
US11273378B2 (en) Generating and utilizing digital avatar data for online marketplaces
US11494833B2 (en) Digital avatars in online marketplaces
US10013713B2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virtual body models for garment fit visualisation
US20160042402A1 (en) Evaluating digital inventories
KR20230143588A (ko) 3d 아바타 이미지의 가상 착용 상태 제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CN106462979A (zh) 时尚偏好分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