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40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402B1
KR102065402B1 KR1020120114788A KR20120114788A KR102065402B1 KR 102065402 B1 KR102065402 B1 KR 102065402B1 KR 1020120114788 A KR1020120114788 A KR 1020120114788A KR 20120114788 A KR20120114788 A KR 20120114788A KR 102065402 B1 KR102065402 B1 KR 102065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door
main drawer
piec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8619A (ko
Inventor
이대성
김선규
서운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4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4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기 수용 공간이 제공되는 본체; 상기 냉기 수용 공간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 서랍; 상기 보조 서랍의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주 서랍; 상기 주 서랍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냉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 서랍을 선택적으로 결합시켜서, 상기 도어 인출시에 상기 주 서랍이 인출되거나 또는 상기 주 서랍과 상기 보조 서랍이 동시에 인출되도록 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도어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 서랍만 인입 또는 인출되거나, 보조 서랍과 주 서랍이 동시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이 저온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여 장시간 신선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상세히, 냉장고에는 섭씨 1~4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채소와 같은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는 냉장실과, 섭씨 -18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육류나 생선과 같은 음식물이 냉동 보관되도록 하는 냉동실이 제공된다.
또한, 냉장고는 방식에 따라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측에 위치되는 타입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측에 위치되는 타입 및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인접하여 제공되는 타입이 있다. 또한, 도어가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양문형 냉장고와, 도어가 상하로 각각 설치되는 편문형 냉장고로 분류될 수도 있다.
한편, 냉동실이 하측에 제공되는 타입을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freezer type)이라고도 하며, 이러한 타입의 냉동실 내부에는 식품 저장 용기가 서랍 방식으로 제공된다. 상세히, 냉동실 내부 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크기의 주 서랍과, 상기 주 서랍의 상측에 제공되며, 냉동실의 천장 부근에 제공되는 보조 서랍이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음식물 저장 용기가 서랍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냉장고, 특히 도어가 주 서랍에 연결되고 주 서랍의 상측에 보조 서랍이 제공되는 방식의 냉장고(선행기술: 공개특허공보 10-2011-0010405)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소비자가 보조 서랍에 저장된 음식물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주 서랍을 완전히 개방하기 위하여 냉동실 도어를 잡아당기는 동작과, 보조 서랍을 개방하기 위하여 보조 서랍 손잡이 부분을 잡아당기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음식물을 꺼내기 위하여 두 번의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두 번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냉동실 내부가 상온의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냉기의 손실을 가져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냉기 손실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냉동실 부하가 증가되고, 이로 인하여 소비 전력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냉동실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보조 서랍을 먼저 닫은 다음 주 서랍을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주 서랍만 인입 또는 인출하거나 보조 서랍과 주 서랍을 동시에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서랍과 주 서랍이 동시에 인출된 상태에서 보조 서랍 만을 개별적으로 인입해서 주 서랍에 수용된 식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서랍만이 인출된 상태에서 추후에는 보조 서랍과 주 서랍을 동시에 인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기 수용 공간이 제공되는 본체; 상기 냉기 수용 공간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 서랍; 상기 보조 서랍의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주 서랍; 상기 주 서랍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냉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 서랍을 선택적으로 결합시켜서, 상기 도어 인출시에 상기 주 서랍이 인출되거나 또는 상기 주 서랍과 상기 보조 서랍이 동시에 인출되도록 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도어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는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서랍은 상기 레버에 걸릴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레버에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회동편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회동편의 회동 운동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회동편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회동편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고, 상기 댐퍼는 상기 회동편의 양측에 마련된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회동편은 하나의 회전축에 대해 두 개의 방향으로 회동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는 상기 도어의 상부에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회동편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는 상기 회동편이 간섭없이 회전가능하도록 공간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돌기는 곡면을 이루는 완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편에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완곡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회동편이 회전가능하게 안내하는 제1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편에는 상기 제1안내면의 반대편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완곡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회동편이 회전가능하게 안내하는 제2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 부재의 일측에는 보조 서랍의 인출 여부를 도시하는 표시부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 부재가 어느 일 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표시부의 해당 부분 일부가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서 가려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주 서랍만 인입 또는 인출하거나 보조 서랍과 주 서랍을 동시에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서랍과 주 서랍이 동시에 인출된 상태에서 보조 서랍 만을 개별적으로 인입해서 주 서랍에 수용된 식품을 꺼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조 서랍과 주 서랍으로부터 식품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서랍만이 인출된 상태에서 추후에는 보조 서랍과 주 서랍을 동시에 인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어서, 보조 서랍과 주 서랍 중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서랍으로부터 식품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서랍과 주 서랍의 인출 형태를 사용자가 인직하기 쉬워서, 냉장고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주 서랍이 인출된 상태에서 보조 서랍과 주 서랍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주 서랍과 보조 서랍이 인출된 상태에서 보조 서랍이 인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에는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 냉기 수용 공간 즉, 냉동실(18) 및 냉장실(13)이 제공되는 본체(11)와, 상기 냉장실(13)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2)와, 상기 냉동실(18)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13)은 냉동실(18)의 상측에 제공되며, 한 쌍의 냉장실 도어(12)에 의하여 전면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여기서, 상기 냉장실 도어(12)는 하나만 제공되어, 상기 본체(1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13) 내부에는 음식물이 얹혀지는 복수 개의 선반(14)과 복수 개의 서랍(16)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3) 후면에는 증발기를 통과한 냉기가 냉장실(13)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냉기 덕트(19)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냉기 덕트(19)를 통해서 증발기를 통과한 냉기의 일부가 상기 냉장실(13)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18)은 상기 냉장실(13)의 하측에 제공되며, 냉동실 도어(4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40)는 상기 냉기 수용 공간 즉 상기 냉동실(18)을 개폐해서 상기 냉동실(18) 내부에 냉기가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40)는 상기 냉동실(18)의 전면부 전체를 덮는 크기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8) 내부에는 상대적으로 음식물 수용 공간이 큰 주 서랍(60)과, 상기 주 서랍(60)의 상측에 제공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음식물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보조 서랍(20)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주 서랍(60)의 전면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40)가 고정된 형태로 결합된다. 즉 상기 냉동실 도어(40)는 상기 주 서랍(60)에 대해서 상대적인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냉동실 도어(40)에 가하는 힘이 상기 주 서랍(60)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상기 냉동실 도어(40)를 도어(40)라고 지칭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주 서랍(60)과 상기 보조 서랍(20)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 레일이 각각 제공되어, 상기 주 서랍(60)과 보조 서랍(20)이 본체(1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인출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주 서랍(60)과 보조 서랍(20)은 개별적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냉동실(18)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서랍(20)과 상기 주 서랍(60)은 인출된 정도를 달리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보조 서랍(20)과 상기 주 서랍(60)은 각각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서 인입 또는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도어(40)의 상측에는 상기 도어(40)와 상기 보조 서랍(20)을 선택적으로 결합시켜서, 상기 도어(40) 인출시에 상기 주 서랍(60)이 인출되거나 또는 상기 주 서랍(60)과 상기 보조 서랍(20)이 동시에 인출되도록 하는 체결 부재(50)가 마련된다.
즉 상기 체결 부재(50)가 상기 도어(40)와 상기 보조 서랍(20)을 결합시키면 상기 주 서랍(60)과 상기 보조 서랍(20)이 함께 인출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체결 부재(50)가 상기 도어(40)와 상기 보조 서랍(20)을 결합시키지 않으면 상기 주 서랍(60)만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서랍(20)은 상기 냉동실(18)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체결 부재(50)는 상기 도어(40)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40)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40)를 개방하면, 상기 도어(40)의 상면이 사용자에게 쉽게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체결 부재(5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8)은 상기 본체(11)의 하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냉동실(18)에 접근하려면 허리를 숙이는 등의 불편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 부재(50)를 상기 냉동실(18)의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도어(40)의 상측에 설치해서 사용자의 접근성과 조작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서랍(20)의 상측에는 돌기(2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 부재(5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체결 부재(5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체결 부재(50)의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체결 부재(50)는 상기 도어(40)에 대해서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레버(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버(50)의 양측에는 상기 보조 서랍(20)의 인출 여부를 도시하는 표시부(4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레버(50)를 기준으로 우측에 "UPPER DRAWER"라는 문자가 적혀있고, 좌측에 "LOWER DRAWER"라는 문자가 적혀있다. 또한 문자의 일 측에는 삼각형을 띄는 기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42)에 마련되는 문자나 기호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보조 서랍(20)에 무관하게 상기 주 서랍(60)만을 인출하고자 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5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LOWER DRAWER의 문자에 인접하게 표시된 도형이 가려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보조 서랍(20)과 상기 주 서랍(60)을 동시에 인출하고자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50)를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UPPER DRAWER의 문자에 인접하게 표시된 도형이 가려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레버(50)는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레버(50)가 일 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표시부(42)의 해당 부분 일부가 상기 레버(50)에 의해서 가려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레버(50)는 상기 표시부(42)의 문자 부분은 가리지 않고, 도형 부분만을 가리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해당 위치로 상기 체결 부재(50)가 이동하면 해당되는 서랍이 함께 도시된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서랍(20)은 상기 레버(50)에 걸릴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22)는 상기 레버(5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레버(50)와 접촉하거나 상기 레버(50)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돌기(22)의 위치는 상기 보조 서랍(20)에 고정된 반면에, 상기 레버(50)의 위치는 상기 도어(40)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도 3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상기 돌기(22)와 상기 보조 서랍(20)이 서로 간섭되지 않아서, 상기 주 서랍(60)이 상기 보조 서랍(20)에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반면에 도 4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상기 돌기(22)와 상기 보조 서랍(20)의 사이에서 접촉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주 서랍(60)과 상기 보조 서랍(20)이 함께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레버(50)는 상기 도어(40)의 상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51)와, 상기 가이드부(51)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돌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1)는 상기 도어(40)의 횡방향을 따라 상기 레버(5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레버(50)와 상기 도어(4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51)의 내측면과 상기 도어(40)의 접촉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갑자기 큰 힘으로 상기 레버(50)를 조작하더라도 상기 레버(50)가 상기 도어(40)로부터 탈거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상기 레버(50)의 내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회동편(5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동편(53)은 상기 돌출부(52)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공간(52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2)는 상기 가이드부(51)에 대해서 수직하게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회동편(53)이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52)의 내측에는 상기 회동편(53)이 상기 돌출부(52)에 간섭받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공간(52a)이 제공된다. 상기 회동편(53)은 상기 공간(52a) 내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회동편(53)의 회전이 사용자에게 그대로 노출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 회동편(53)은 상기 회전축(54)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즉 두 가지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4)은 상기 회동편(53)을 중심으로 양 측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회동편(53)에는 사용자의 작동 방식에 따라 상기 돌기(22)에 접촉할 수 있는 제1안내면(55)과 제2안내면(56)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안내면(55)과 상기 제2안내면(56)은 서로 인접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되지만, 전체적으로 상기 제1안내면(55)과 상기 제2안내면(56)은 상기 회전축(54)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상기 제1안내면(55)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안내면(56)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안내면(55)은 외측으로 돌출된 호를 가지고, 상기 제2안내면(56)은 내측으로 함몰된 호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동편(53)의 상기 제1안내면(55)와 상기 제2안내면(56)이 형성된 부분은 전체적으로 초승달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동편(53)의 양측에는 상기 회동편(53)의 회동 운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댐퍼(5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퍼(58)는 상기 회동편(53)의 양 측면에 모두 배치되어서, 상기 회동편(53)의 어느 일측이 과도한 힘을 받아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댐퍼(58)는 상기 회동편(53)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동편(53)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댐퍼(58)의 형상도 함께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회동편(53)이 회전되면 상기 댐퍼(58)도 상기 회동편(53)의 회전에 따라 비틀릴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퍼(58)는 고무 등의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회동편(53)의 회동에 따라 변형되었다가, 상기 회동편(53)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회동편(53)을 힘이 가해지기 전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22)는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는 완곡면(2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곡면(24)은 상기 회동편(53)과 접촉되면서, 상기 회동편(53)의 회동을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완곡면(24)의 곡선을 따라 상기 회동편(53)이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회동편(53)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
상기 제1안내면(55)이 상기 완곡면(24)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1안내면(55)은 볼록하기 때문에 상기 제1안내면(55)이 상기 완곡면(24)을 따라서 부드럽게 회전되어 상기 회동편(53)이 상대적으로 쉽게 회전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안내면(56)이 상기 완곡면(24)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2안내면(56)은 오목하기 때문에 상기 제1안내면(55)과 비교해서, 상기 회동편(53)이 순간적으로 크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회동편(53)의 회전을 방해하는 상기 댐퍼(58)로 인해서 상기 회동편(53)의 회전이 상대적으로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안내면(56)과 상기 완곡면(24)이 접촉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동편(53)의 회전이 순간적으로 정지되어서, 상기 주 서랍(60)과 상기 보조 서랍(20)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주 서랍이 인출된 상태에서 보조 서랍과 주 서랍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의 형태는 사용자가 상기 보조 서랍(20)은 상기 냉동실(18)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주 서랍(60)만 인출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번 경우에는 상기 주 서랍(60)만 인출했지만, 다음에 상기 도어(40)를 인출하면서 상기 주 서랍(60)과 상기 보조 서랍(20)을 함께 인출하기를 원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상기 레버(50)를 상기 보조 서랍(20)이 함께 인출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주 서랍(60)을 상기 보조 서랍(20)측으로 슬라이딩시켜서 인입한다. 이때 도 6(a)에 도시된 위치까지 상기 주 서랍(60)과 상기 보조 서랍(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 (b)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편(53)의 상기 제1안내면(55)과 상기 돌기(22)의 상기 완곡면(24)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1안내면(55)과 상기 완곡면(24)이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1안내면(55)은 상기 완곡면(24)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회동편(53)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안내면(55)은 볼록한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완곡면(24)을 따라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댐퍼(58)는 상대적으로 상기 회동편(53)의 회전을 방해하지는 않지만, 상기 회동편(53)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댐퍼(58)의 상기 회동편(53)에 접촉하는 면은 상기 회동편(53)에 접촉하지 않는 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게 변형이 이루어진다.
도 6 (c)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편(53)이 크게 회전되면 상기 댐퍼(58)의 변형된 정도는 커지게 되어, 상기 회동편(53)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복원력의 크기도 커진다.
도 6 (d)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편(53)이 상기 완곡면(24)과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댐퍼(58)의 변형된 형상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회동편(53)이 원래 위치로 돌아간다.
이때 상기 회동편(53)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원래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댐퍼(58)의 변형도 회복되어 원래 형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
또한 도 6 (d)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40)를 개방하는 경우에 상기 주 서랍(60)과 상기 보조 서랍(20)을 함께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서랍(60)과 상기 보조 서랍(20)이 결합된다.
한편 사용자가 도 6 (d)의 상태에서 상기 도어(40)를 개방하면 상기 주 서랍(60)과 상기 보조 서랍(20)이 함께 인출된다.
이때 상기 제2안내면(56)과 상기 완곡면(24)이 접촉하게 되는데, 상기 제2안내면(56)의 오목한 형상으로 인해서 상기 회동편(53)은 상기 완곡면(24)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돌기(22)를 벗어날 정도까지 회전되지 못한다. 특히 사용자가 상기 주 서랍(60)을 인출하는 힘은 초기에 상기 도어(40)를 개방할 때에만 순간적으로 큰 힘이 작용하게 되고, 그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상기 회동편(53)이 상기 완곡면(24)을 따라 충분히 회전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편(53)이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지만, 상기 제2안내면(56)과 상기 완곡면(24)이 접촉한다는 이유로 사용자가 상기 주 서랍(60)과 상기 보조 서랍(20)을 함께 인출할 수 있다.
도 7은 주 서랍과 보조 서랍이 인출된 상태에서 보조 서랍이 인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사용자가 상기 주 서랍(60)과 상기 보조 서랍(20)을 함께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주 서랍(60)에 수용된 식품을 꺼내려고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주 서랍(60)과 상기 보조 서랍(20)이 함께 인출되면, 상기 보조 서랍(20)은 상기 주 서랍(60)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주 서랍(60)으로부터 식품을 꺼낼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주 서랍(60)으로부터 식품을 꺼내려고 하면 상기 보조 서랍(20)을 상기 냉동실(18)로 인입시켜서, 상기 주 서랍(60)의 상측이 개방되어 사용자가 접근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서랍(60)과 상기 보조 서랍(20)이 함께 인출되면 상기 주 서랍(60)에 수용된 식품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7 (a)의 상태에서 상기 보조 서랍(20)만을 상기 냉동실(18)로 인입시킬 수 있다.
도 7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보조 서랍(20)에 접근해서 상기 보조 서랍(20)만을 인입시키면, 상기 제2안내면(56)과 상기 완곡면(24)이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안내면(56)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완곡면(24)과 접촉하더라도 상기 제1안내면(55)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그러나 사용자가 계속해서 상기 보조 서랍(20)을 인입시키면서 힘을 가하면 상기 제2안내면(56)은 상기 완곡면(24)에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사용자가 소정의 크기보다 큰 힘을 가하면 도 7 (c)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편(53)이 반 시계 방향으로 충분히 회전될 수 있다.
도 7 (d)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편(53)이 상기 돌기(22)를 넘어가도록 회전이 되면, 상기 댐퍼(58)의 변형된 형상에 따른 힘에 의해서 상기 회동편(53)이 원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상기 댐퍼(58)의 변형되는 형태는 도 6에서와 설명된 것과 방향이 반대될 뿐, 전체적인 기술적 사상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8에서는 댐퍼만이 상술한 형태와 다를 뿐, 상기 회동편(53)과 상기 레버(50)도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관련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서 도시된 댐퍼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동편(53)의 일측에는 두 개의 탄성 부재, 제1탄성 부재(90)와 상기 제2탄성 부재(92)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회동편(53)의 반대편 일측에도 상기 제1탄성 부재(90)와 상기 제2탄성 부재(92)가 동일하게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동편(53)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회동편(53)이 상기 회전축(54)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탄성 부재(90)는 압축되고, 상기 제2탄성 부재(92)는 인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편(53)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1탄성 부재(90)와 상기 제2탄성 부재(92)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서 상기 회동편(53)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회동편(53)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회동편(53)이 상기 회전축(54)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탄성 부재(90)는 인장되고, 상기 제2탄성 부재(92)는 압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편(53)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1탄성 부재(90)와 상기 제2탄성 부재(92)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서 상기 회동편(53)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탄성 부재(90)와 상기 제2탄성 부재(92)의 탄성 변형에 따른 특성에 의해서 상기 회동편(53)의 회전 속도가 감쇠되는 것도 상술한 상기 댐퍼(58)의 형태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 본체 13: 냉장실
18: 냉동실 20: 보조 서랍
22: 돌기 40: 도어
42: 표시부 50: 레버
53: 회동편 58: 댐퍼
60: 주 서랍

Claims (14)

  1. 냉기 수용 공간이 제공되는 본체;
    상기 냉기 수용 공간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 서랍;
    상기 보조 서랍의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주 서랍;
    상기 주 서랍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냉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 서랍을 선택적으로 결합시켜서, 상기 도어 인출시에 상기 주 서랍이 인출되거나 또는 상기 주 서랍과 상기 보조 서랍이 동시에 인출되도록 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체결 부재의 좌우측에 마련되고, 일측에는 상기 보조 서랍과 상기 주 서랍이 함께 인출되고, 타측에는 주 서랍만 인출된다고 도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도어의 상부에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서랍은 상기 레버에 걸릴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도어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회동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회동편의 회동 운동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댐퍼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회동편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회동편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회동편의 양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은 하나의 회전축에 대해 두 개의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회동편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는 상기 회동편이 간섭없이 회전가능하도록 공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곡면을 이루는 완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에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완곡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회동편이 회전가능하게 안내하는 제1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에는 상기 제1안내면의 반대편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완곡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회동편이 회전가능하게 안내하는 제2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가 어느 일 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표시부의 해당 부분 일부가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서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20114788A 2012-10-16 2012-10-16 냉장고 KR102065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788A KR102065402B1 (ko) 2012-10-16 2012-10-16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788A KR102065402B1 (ko) 2012-10-16 2012-10-1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619A KR20140048619A (ko) 2014-04-24
KR102065402B1 true KR102065402B1 (ko) 2020-01-13

Family

ID=5065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788A KR102065402B1 (ko) 2012-10-16 2012-10-16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993A (ko) 2016-12-29 201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8204718A1 (de) * 2018-03-28 2019-10-02 BSH Hausgeräte GmbH Auszugsvorrichtung für ein Haushaltskältegerät, mit in unterschiedlichen Ebenen angeordneten Lebensmittel-Lagereinheiten, die mittels eines Griffelements definiert entkoppelbar sind, sowie Haushaltskältegerä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5970B2 (ja) 1990-06-12 1998-09-10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782A (ko) * 2008-07-03 200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서랍 개폐 장치
KR101787095B1 (ko) * 2009-07-07 201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10405A (ko) * 2009-07-24 201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5970B2 (ja) 1990-06-12 1998-09-10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619A (ko)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1688B1 (en) Refrigerator
KR102245371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20080284301A1 (en) Refrigerator
US10976100B2 (en) Refrigerator
US11391505B2 (en) Refrigerator
KR102567513B1 (ko) 냉장고
JP2002522738A (ja) 冷蔵庫の扉開閉装置
US20050145704A1 (en) Refrigerator
JP2009186141A (ja) 冷蔵庫
US20100101266A1 (en) Refrigerator and drawe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the same
KR102065402B1 (ko) 냉장고
KR101129342B1 (ko) 냉장고용 선반
KR101098732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선반 조립체
KR20200009356A (ko) 도어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022900B1 (ko) 냉장고
KR20130016997A (ko) 홈바가 설치된 냉장고
EP3649414A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french-style doors
KR20150142221A (ko) 냉장고 및 이에 적용되는 선반 어셈블리
JP2015169342A (ja) 冷蔵庫
JP4693862B2 (ja) 冷蔵庫
KR101713324B1 (ko) 냉장고
KR100598391B1 (ko) 냉장고
CN218821166U (zh) 冰箱
JP2001133132A (ja) 冷蔵庫
KR20130061472A (ko) 냉장고 홈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