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211B1 -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211B1
KR102065211B1 KR1020170138989A KR20170138989A KR102065211B1 KR 102065211 B1 KR102065211 B1 KR 102065211B1 KR 1020170138989 A KR1020170138989 A KR 1020170138989A KR 20170138989 A KR20170138989 A KR 20170138989A KR 102065211 B1 KR102065211 B1 KR 102065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converter
pattern
blowing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5979A (ko
Inventor
김종덕
조종오
송병주
신대훈
엄창호
이창오
홍진명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8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2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45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73Measuring and sampl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0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blowing
    • C21C5/32Blowing from ab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로에 취입되는 상취 산소의 취입량을 검출하는 상취 산소 취입 검출부; 전로 취련 중 배가스에서 CO농도를 검출하는 배가스 CO 농도 검출부; 상기 상취 산소의 취입 중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전로 중량을 검출하는 전로 중량 검출부; 및 상기 상취 산소 취입 중 스트레인 게이지의 데이터를 이용한 전로 중량과 전로 취련 중 발생하는 배가스 CO 농도의 비율 정보를 활용하여 슬로핑 발생을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SOPPING OF FURNACE}
본 발명은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로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구조물에 설치된 스트레인 게이지의 데이터와 전로 취련 중 발생하는 배가스 성분 정보를 활용하여 기존보다 정확하게 슬로핑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로는 고로에서 배출된 용선을 제련하는 장치로서, 장입된 용선에 산소 및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산화반응을 통해 상기 용선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용강을 배출한다.
이때 상기 전로의 상부에 위치한 랜스를 통해 산소가 상기 전로로 공급되고, 상기 산소는 전로내 용선과 산화 반응하여 슬래그(slag)를 다량 발생시킨다. 상기 용융된 슬래그(slag)는 전로내에 발생된 가스에 의해 거품처럼 부피가 성장하거나 축소하는데, 상기한 슬래그 폼(slag foam)이 급격하게 성장하여 전로 밖으로 분출되는 것을 슬로핑(slopping) 이라 한다.
상기 슬로핑(slopping)이 발생될 경우에는 전로의 열손실, 실수율 저하 및 슬래그 조성변화와 같은 조업 불안요인이 발생된다. 또한, 비산된 슬래그 및 먼지에 의해 주변 설비가 산화되어 설비 수명이 단축되거나, 비산된 슬래그 및 먼지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심각한 환경 공해를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8136호(2011.02.21. 전로의 슬로핑 방지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로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구조물에 설치된 스트레인 게이지의 데이터와 전로 취련 중 발생하는 배가스 성분 정보를 활용하여 기존보다 정확하게 슬로핑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는, 전로에 취입되는 상취 산소의 취입량을 검출하는 상취 산소 취입 검출부; 전로 취련 중 배가스에서 CO농도를 검출하는 배가스 CO 농도 검출부; 상기 상취 산소의 취입 중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전로 중량을 검출하는 전로 중량 검출부; 및 상기 상취 산소 취입 중 스트레인 게이지의 데이터를 이용한 전로 중량과 전로 취련 중 발생하는 배가스 CO 농도의 비율 정보를 활용하여 슬로핑 발생을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슬로핑 발생이 예측되지 않으면 알람을 출력하지 않고, 제1 취련 패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상 패턴을 적용하여 취련을 계속하며, 슬로핑 발생이 예측되면 알람을 출력하고, 제2 취련 패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슬로핑 패턴을 적용하여 취련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로핑 패턴은, 슬로핑 발생 시 슬로핑 억제를 위해 탈탄 반응 감소를 위해 적용하는 패턴으로서, 상기 정상 패턴 대비 상취 유량 지정된 비율 저감하고, 랜스 높이도 지정된 비율 하향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슬로핑 발생을 예측하기 위하여, 제1 조건으로서 상취 산소 취입이 개시되면, 제2 조건으로서 배가스에서 CO농도의 비율이 기 지정된 비율 이상이고, 제3 조건으로서 전로 중량에 대한 스트레인 게이지 데이터가 기 지정된 기준 수치 이상이면, 슬로핑 발생을 예측하여 알람을 출력하고, 만약 상기 세 가지 조건의 비교 결과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슬로핑 알람을 미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데이터는, 최근 지정된 시간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활용하여 전로 내 불안정도를 예측하는데 활용되는 값으로서, RMSE(Root Mean Squared Error)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로의 슬로핑 예측 방법은, 전로의 취련 중 슬로핑 발생을 예측하기 위하여, 제어부가 제1 조건으로서 상취 산소 취입이 개시되는지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2 조건으로서 전로 취련 중 발생하는 배가스에서 CO농도의 비율이 기 지정된 비율 이상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3 조건으로서 전로 중량에 대한 스트레인 게이지 데이터가 기 지정된 기준 수치 이상인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슬로핑 발생을 예측하여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 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슬로핑 발생 알람을 출력하지 않고, 제1 취련 패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상 패턴을 적용하여 취련을 실시하며, 상기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여 슬로핑 알람을 출력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2 취련 패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슬로핑 패턴을 적용하여 취련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로핑 패턴은, 슬로핑 발생 시 슬로핑 억제를 위해 탈탄 반응 감소를 위해 적용하는 패턴으로서, 상기 정상 패턴 대비 상취 유량 지정된 비율 저감하고, 랜스 높이도 지정된 비율 하향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로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구조물에 설치된 스트레인 게이지의 데이터와 전로 취련 중 발생하는 배가스 성분 정보를 활용하여 기존보다 정확하게 슬로핑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슬로핑 발생이 예측되는지 여부에 따른 취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전로의 슬리핑 발생을 예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련 중 슬로핑 알람 발생 구역과 실제 슬로핑 발생 구간에서의 상취 산소 유량, 배가스 유량, 및 전로 중량의 상태를 상관 관계를 그래프 형태로 보인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1 취련 패턴과 제2 취련 패턴의 형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슬로핑 발생이 예측될 경우 제2 취련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슬로핑 발생률을 감소 결과를 보인 시험 데이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슬로핑 현상은 전로 내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가스의 생성속도가 가스 배출속도보다 빠른 경우 발생할 수 있고, 가스 생성속도보다 가스 배출속도가 더 빠르더라도 슬래그의 물성(예 : 슬래그 점도, 표면장력, 고체 입자 여부, 계면활성 원소 함량 등)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슬로핑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전로 내 산소 투입량(예 : 기체 산소, FeO 함유 부원료)을 줄이고, 슬래그 물성 제어 및 진정제를 투입하는 방법이 있지만, 슬로핑이 발생하기 전 사전 예측을 통해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 된다.
이에 따라 기존에도 전로 공정의 슬로핑 현상을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전로 중량계(예 : 로드셀 방식)를 활용한 무게 변화로 예측하는 방법, 전로 노구 화염 패턴 기반 예측 방법, 상취 랜스 진동을 측정하여 예측하는 방법, 및 산소 취입 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여 예측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슬로핑 예측 정확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전로 내부 중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서 로드셀을 이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지만, 이 방법은 대형 전로의 경우 전로 자체 무게가 많기 때문에 적용하지 못하고, 최근에는 전로 주변 구조물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설치하여 전로 중량을 측정하는 방식이 개발되어 있으나, 단순히 전로 중량을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슬로핑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취 산소 취입 과정 중 스트레인 게이지의 데이터를 이용한 전로 중량과 전로 취련 중 발생하는 배가스 성분 정보를 활용하여 슬로핑을 예측하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는, 상취 산소 취입 검출부(110), 배가스 CO 농도 검출부(120), 전로 중량 검출부(130), 제어부(140), 제1 취련 패턴(정상 패턴) 저장부(150), 및 제2 취련 패턴(슬로핑 패턴)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상취 산소 취입 검출부(110)는 전로에 상취 산소(전로의 상부에서 불어넣는 산소) 취입이 개시되면 상기 상취 산소의 취입량을 검출(또는 측정)한다.
상기 배가스 CO 농도 검출부(120)는 상기 전로 취련 중 발생하는 배가스에서 특정 성분(예 : CO) 정보(예 : 농도)를 검출(또는 측정)한다.
상기 전로 중량 검출부(130)는 전로에 상취 산소 취입 과정 중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전로 중량을 검출(또는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취 산소 취입 과정 중 스트레인 게이지의 데이터를 이용한 전로 중량과 전로 취련 중 발생하는 배가스 성분 정보를 활용하여 슬로핑 발생을 예측하는 알람을 출력한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슬로핑 발생의 예측 여부에 따라, 만약 슬로핑 발생이 예측되지 않을 경우(즉, 알람이 미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제1 취련 패턴(즉, 정상 패턴)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취련 패턴을 적용(즉, 현재 적용하고 있는 동일 취련 패턴을 계속 적용)하여 취련을 계속하고, 슬로핑 발생이 예측될 경우(즉, 알람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제2 취련 패턴(즉, 취련 중 슬로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슬로핑 패턴)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취련 패턴을 적용한다.
이때 상기 제2 취련 패턴(즉, 슬로핑 패턴)은 슬로핑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취련 패턴으로서,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 높이 대비 상취 유량(상취 산소 유량)을 일정하게 조정한 패턴이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제2 취련 패턴(즉, 슬로핑 패턴)은 발명의 이해를 위해 예시적으로 개시된 것이므로, 이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1 취련 패턴과 제2 취련 패턴의 형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제2 취련 패턴(즉, 슬로핑 패턴)은 슬로핑 발생 시 탈탄 반응 감소를 위해 적용하는 패턴으로서, 상취 유량 38% 저감 및 랜스 높이 6% 하향된 패턴이다.
상기 제2 취련 패턴(즉, 슬로핑 패턴) 적용 후 슬로핑 발생이 억제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제2 취련 패턴(즉, 슬로핑 패턴) 적용을 종료하고, 다시 제1 취련 패턴(즉, 정상 패턴)으로 전로 조업을 실시한다.
이하 상기 제어부(140)의 동작을 아래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슬로핑 발생이 예측되는지 여부에 따른 취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전로의 슬리핑 발생을 예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로에 스크랩과 용선을 장입한 후(S101, S102), 취련을 위해 상취 산소 취입이 개시되면(S103), 제어부(140)는 슬로핑 알람이 발생하는지 체크한다(S104).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취련을 위한 상취 산소 취입이 개시되면, 슬로핑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여 슬로핑 발생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는 슬로핑 알람을 출력하고, 슬로핑 발생 가능성이 없을 경우에는 슬로핑 알람을 미 발생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제1 조건으로서 상취 산소 취입이 개시되면(즉, 상취 산소 취입량이 0Nm3/hr 보다 크면)(S104a의 예), 제2 조건으로서 배가스에서 특정 성분(예 : CO) 정보(예 : 농도, 즉, %CO 농도)를 검출(또는 측정)하여 이 성분(%CO 농도, 즉, CO 농도의 비율)이 기 지정된 비율(예 : 40%) 이상이고(S104b의 예), 제3 조건으로서 전로 중량에 대한 스트레인 게이지 데이터(최근의 지정된 시간(예 : 60초) 동안의 RMSE(Root Mean Squared Error), 일종의 표준편차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기 지정된 기준 수치(예 : 0.0007) 이상이면(S104c 예), 슬로핑 알람을 출력한다(S104d).
만약 상기 세 가지 조건의 비교 결과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을 경우(S104a의 아니오, S104b의 아니오, S104c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40)는 알람을 미 발생한다(S104e).
참고로 상기 RMSE는 초단위 발생 데이터의 최근 지정된 시간(예 : 60초)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활용하여 전로 내 불안정도를 예측하는데 활용되는 값이다.
상기 슬로핑 알람이 발생하는지 체크(S104)한 결과, 슬로핑 알람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S104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취련 패턴(즉, 정상 패턴)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취련 패턴을 적용(즉, 현재 적용하고 있는 동일 취련 패턴을 계속 적용)하고(S106) 이후 상취 산소 취입을 종료한다(S107).
그러나 슬로핑 알람이 발생하는지 체크(S104)한 결과, 슬로핑 발생이 예측될 경우(즉, 알람이 발생할 경우)(S104의 예)에는 상기 제2 취련 패턴(즉, 취련 중 슬로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슬로핑 패턴)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취련 패턴을 적용하고(S105) 이후 상취 산소 취입을 종료한다(S107)(도 4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련 중 슬로핑 알람 발생 구역과 실제 슬로핑 발생 구간(즉, 슬로핑 패턴을 적용하는 구간)에서의 상취 산소 유량, 배가스 유량, 및 전로 중량의 상태를 상관 관계를 그래프 형태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슬로핑 발생 구간을 정확히 예측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배가스 %CO 농도가 지정된 비율(예 : 40%) 이상 시 전로 탈탄 반응 구간에서 슬로핑이 다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전로중량 RMSE 값이 지정된 값(예 : 0.0007) 이상 시 슬로핑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후에는 일반적인 취련 과정으로서, 목표 온도 및 산소 적중 여부를 체크하여(S108) 목표 온도 및 산소 적중 여부를 만족하면(S108의 예) 출강을 실시하고(S110), 상기 목표 온도 및 산소 적중 여부를 체크하여(S108) 목표 온도 및 산소 적중 여부를 만족하지 않으면(S108의 아니오) 재취련(즉, 추가 산소 취입)을 실시한다(S109).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슬로핑 발생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여 슬로핑 발생이 예측될 경우, 상기 제2 취련 패턴(즉, 슬로핑 패턴) 적용함으로써 슬로핑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도 6 참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슬로핑 발생이 예측될 경우 제2 취련 패턴(즉, 슬로핑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슬로핑 발생률을 감소 결과를 보인 시험 데이터로서, 시험 결과 전로 조업 형태(일반탈탄 조업, D/S조업, 탈린-탈탄 조업) 중 슬로핑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는 일반탈탄 조업의 슬로핑 발생률 감소 효과가 있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탈탄 조업 슬로핑 발생률이 9.6% 감소(12.8% → 3.2%)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로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구조물에 설치된 스트레인 게이지의 데이터와 전로 취련 중 발생하는 배가스 성분 정보를 활용하여 슬로핑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상취 산소 취입 검출부
120 : 배가스 CO 농도 검출부
130 : 전로 중량 검출부
140 : 제어부
150 : 제1 취련 패턴 저장부
160 : 제2 취련 패턴 저장부

Claims (8)

  1. 전로에 취입되는 상취 산소의 취입량을 검출하는 상취 산소 취입 검출부;
    전로 취련 중 배가스에서 CO농도를 검출하는 배가스 CO 농도 검출부;
    상기 상취 산소의 취입 중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전로 중량을 검출하는 전로 중량 검출부; 및
    상기 상취 산소 취입 중 스트레인 게이지의 데이터를 이용한 전로 중량과 전로 취련 중 발생하는 배가스 CO 농도의 비율 정보를 활용하여 슬로핑 발생을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슬로핑 발생을 예측하기 위하여, 제1 조건으로서 상취 산소 취입이 개시되면, 제2 조건으로서 배가스에서 CO농도의 비율이 기 지정된 비율 이상이고, 제3 조건으로서 전로 중량에 대한 스트레인 게이지 데이터가 기 지정된 기준 수치 이상이면, 슬로핑 발생을 예측하여 알람을 출력하고,
    만약 상기 세 가지 조건의 비교 결과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슬로핑 알람을 미 발생시키며,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데이터는,
    지정된 시간 동안의 RMSE(Root Mean Squared Error)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슬로핑 발생이 예측되지 않으면 알람을 출력하지 않고, 제1 취련 패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상 패턴을 적용하여 취련을 계속하며,
    슬로핑 발생이 예측되면 알람을 출력하고, 제2 취련 패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슬로핑 패턴을 적용하여 취련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핑 패턴은,
    슬로핑 발생 시 슬로핑 억제를 위해 탈탄 반응 감소를 위해 적용하는 패턴으로서, 상기 정상 패턴 대비 상취 유량 지정된 비율 저감하고, 랜스 높이도 지정된 비율 하향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전로의 취련 중 슬로핑 발생을 예측하기 위하여, 제어부가 제1 조건으로서 상취 산소 취입이 개시되는지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2 조건으로서 전로 취련 중 발생하는 배가스에서 CO농도의 비율이 기 지정된 비율 이상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3 조건으로서 전로 중량에 대한 스트레인 게이지 데이터가 기 지정된 기준 수치 이상인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슬로핑 발생을 예측하여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세 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슬로핑 발생 알람을 출력하지 않고, 제1 취련 패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상 패턴을 적용하여 취련을 실시하며,
    상기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여 슬로핑 알람을 출력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2 취련 패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슬로핑 패턴을 적용하여 취련을 실시하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데이터는,
    지정된 시간 동안의 RMSE(Root Mean Squared Error)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의 슬로핑 예측 방법.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핑 패턴은,
    슬로핑 발생 시 슬로핑 억제를 위해 탈탄 반응 감소를 위해 적용하는 패턴으로서, 상기 정상 패턴 대비 상취 유량 지정된 비율 저감하고, 랜스 높이도 지정된 비율 하향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의 슬로핑 예측 방법.
KR1020170138989A 2017-10-25 2017-10-25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065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989A KR102065211B1 (ko) 2017-10-25 2017-10-25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989A KR102065211B1 (ko) 2017-10-25 2017-10-25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979A KR20190045979A (ko) 2019-05-07
KR102065211B1 true KR102065211B1 (ko) 2020-01-10

Family

ID=6665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989A KR102065211B1 (ko) 2017-10-25 2017-10-25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2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979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455B1 (ko) 용강 중 인 농도 추정 방법 및 전로 취련 제어 장치
KR102065211B1 (ko) 전로의 슬로핑 예측 장치 및 방법
JP2017025379A (ja) 溶銑予備処理方法及び溶銑予備処理制御装置
JP2018178200A (ja) 溶鋼中りん濃度推定方法、転炉吹錬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50330708A1 (en) Furnace control for manufacturing steel using slag height measurement and off-gas analysis systems
JP2018178199A (ja) 溶鋼中りん濃度推定方法、転炉吹錬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8215703A (ja) 金属含有ダスト排出装置及び集塵機
JP6725078B2 (ja) 溶鋼中りん濃度推定方法、転炉吹錬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258767B1 (ko) 전기로 내화물 마모 감지장치
Wei et al. Study on mathematical modeling of combined top and bottom blowing VOD refining process of stainless steel
KR101400052B1 (ko) 전로 정련 방법
JP6547901B2 (ja) 溶銑予備処理方法及び溶銑予備処理制御装置
EP4328328A1 (en) Supplied heat quantity estimation method, supplied heat quantity estimation apparatus, supplied heat quantity estimation program, and method for operating blast furnace
KR101312526B1 (ko) 전기로 아크 안정도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조업 방법
KR20200065998A (ko) 고질소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JP7115664B1 (ja) 供給熱量推定方法、供給熱量推定装置、供給熱量推定プログラム、及び高炉の操業方法
JP2008223121A (ja) 高炉シャフト上部炉壁面の補修方法
JPH0770623A (ja) 高炉炉芯部の活性度検出方法
KR100470066B1 (ko) 슬로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전로조업방법
KR20020052750A (ko) 슬래그 레벨 추정모델을 이용한 슬로핑 예지방법
WO2023276352A1 (ja) 供給熱量推定方法、供給熱量推定装置、供給熱量推定プログラム、及び高炉の操業方法
KR20120000790A (ko) 극저탄소강의 슬래그 조성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3276356A1 (ja) 供給熱量推定方法、供給熱量推定装置、供給熱量推定プログラム、及び高炉の操業方法
JP2004115910A (ja) 溶銑の精錬方法
KR102032613B1 (ko) 전기로 조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