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121B1 -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121B1
KR102065121B1 KR1020180033245A KR20180033245A KR102065121B1 KR 102065121 B1 KR102065121 B1 KR 102065121B1 KR 1020180033245 A KR1020180033245 A KR 1020180033245A KR 20180033245 A KR20180033245 A KR 20180033245A KR 102065121 B1 KR102065121 B1 KR 102065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step
arc
fastening member
rebar couple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295A (ko
Inventor
박찬석
장재현
Original Assignee
(주)대정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정금속 filed Critical (주)대정금속
Priority to KR1020180033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12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면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세레이션돌기가 마련되고, 외주면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호형의 철근 커플러 체결부재를 제조하는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으로, 복수의 다이와 펀치를 가지는 프레스기계를 통해 연속 프레스 작업으로 제조하되, 상하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소재를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켜지는 사다리꼴 원기둥으로 성형하는 사다리꼴 원기둥 성형단계; 사다리꼴 원기둥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품을 부채골 평판으로 성형하는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품을 체결부재의 형태인 호형 경사판으로 성형하는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품의 내주면에 세레이션돌기를 성형하는 세레이션돌기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철근 커플러에서 철근을 가압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프레스 성형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체결부재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 { MANUFACURING METHOD FOR CLAMP ELEMENT OF REBAR COUPLER }
본 발명은 한 쌍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커플러의 구성부품중에서 철근에 가압 밀착되는 체결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작은 크기의 환봉을 연속 프레스하여 내주면에 다수의 세레이션돌기가 마련되고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호형의 체결부재를 간편하게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등에서 한 쌍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때에 철근 커플러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관계하는 철근 커플러의 종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이 관계하는 철근 커플러(100)는 한 쌍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바디(110), 하부바디(120), 연결부재(130), 체결부재(140), 받침부재(150), 탄성부재(160)를 포함한다.
도 2는 동 철근 커플러의 상부바디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동 철근 커플러의 하부바디의 종단면도이다.
상부바디(110)는 중앙에 철근이 투입되는 삽입구멍(111)이 마련된 형태이다.
상부바디(110)의 삽입구멍(111)의 내부 상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밀착부(111a)가 마련되고, 상부바디(110)의 삽입구멍(111)의 내부 하부에는 연결부재(130)의 체결을 위한 암나사부(111b)가 마련된다.
하부바디(120)는 상부바디(110)와 동일한 형태로, 상부바디(110)를 상하로 뒤집은 형태이다.
하부바디(120)의 삽입구멍(121)의 내부 하부에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밀착부(121a)가 마련되고, 하부바디(120)의 삽입구멍(121)의 내부 상부에는 연결부재(130)의 체결을 위한 암나사부(121b)가 마련된다.
도 4a는 동 철근 커플러의 연결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동 동 철근 커플러의 연결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4c는 동 철근 커플러의 연결부재의 종단면도이다.
연결부재(130)는 상부바디(110)와 하부바디(120)를 연결한다.
연결부재(130)의 외주 상부와 외주 하부에는 수나사부(131)가 마련되고, 연결부재(130)의 내부 상부와 내부 하부에는 탄성부재 수용공간(132)이 마련되고, 연결부재(130)의 내부 중앙에는 철근의 하강 또는 상승을 제지하는 멈춤판(133)이 마련된다.
멈춤판(133)의 중앙에는 체결공구 삽입구멍(134)가 형성된다.
연결부재(130)의 외주 중앙 상부와 외주 중앙 하부에는 각 탄성부재 수용공간(132)과 연결되는 철근체결 확인구멍(135)이 마련된다
도 5a는 동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동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의 설치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c는 동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의 설치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체결부재(140)는 상부바디(110)의 내부 또는 하부바디(120)의 내부로 투입된 철근에 가압 밀착되어 철근과 상부바디(110) 또는 철근과 하부바디(120)를 체결하는 것으로, 상부바디(110)의 내부 또는 하부바디(120)의 내부에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삽입 설치된다.
체결부재(140)는 상부바디(110)의 삽입구멍(111) 또는 하부바디(120)의 삽입구멍(121)과 대응되는 호형으로, 내부면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세레이션돌기(141)가 마련되고, 상부바디(110)의 설치되는 체결부재(140)는 외주면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142)으로 형성되고, 하부바디(110)에 설치되는 체결부재(140)는 외주면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142)으로 형성된다.
받침부재(150)는 체결부재(1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바디(110)의 내부 또는 하부바디(120)의 내부의 체결부재(140)의 하부 또는 상부에 설치된다.
탄성부재(150)는 받침부재(150)를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상부바디(110)의 내부 또는 하부바디(120)의 내부의 받침부재(150)와 멈춤판(135)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철근 커플러(100)는 상부바디(110)의 내부와 하부바디(120)의 내부로 투입된 철근을 세레이션돌기(141)가 마련된 다수의 체결부재(140)의 내주면으로 가압, 밀착하여 고정함으로써 한 쌍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전술한 철근 커플러와 마찬가지로 철근과 철근을 원터치 방식으로 서로 연결하여 가용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연장되는 부분에서 철근의 인장응력 한계치보다 큰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용 커플러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6538호 (2017년 11월 06일 등록)
한편, 종래에 있어서 본 발명이 관계하는 철근 커플러(100)의 체결부재(140)는 공작기계를 통해 환봉을 테이퍼 관의 형태로 절삭하고,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한 후에 다수개로 절단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기 때문에 제작이 매우 번거롭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작은 크기의 환봉을 연속 프레스하여 내부면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세레이션돌기가 마련되고, 외주면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호형의 체결부재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은 내부면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세레이션돌기가 마련되고, 외주면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호형의 철근 커플러 체결부재를 제조하는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으로, 복수의 다이와 펀치를 가지는 프레스기계를 통해 연속 프레스 작업으로 제조하되, 상하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소재를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켜지는 사다리꼴 원기둥으로 성형하는 사다리꼴 원기둥 성형단계; 사다리꼴 원기둥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품을 부채골 평판으로 성형하는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품을 체결부재의 형태인 호형 경사판으로 성형하는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품의 내주면에 세레이션돌기를 성형하는 세레이션돌기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은 사다리꼴 원기둥 성형단계가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요입부가 마련된 형태의 사다리꼴 원기둥을 형성하며, 상하직경이 동일한 원기둥을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켜지는 사다리꼴 원기둥으로 예비 성형하는 제1성형단계; 제1성형단계의 성형품의 경사각을 확대하면서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제2성형단계; 제2성형단계의 성형품의 경사각을 확대하면서 하단면과 상단면에 요입부를 형성하는 제3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은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에서 상단부가 수평면으로 성형되고, 하단부가 호형으로 성형되고, 양단부가 둥글게 성형되고, 전면의 세레이션 형성부위에 돌출부가 마련된 형태의 부채꼴 평판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은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에서 외주면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성형되고, 상단면 및 하단면이 수평면으로 성형되는 형태의 호형 경사판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은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 이후 또는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 이후에 경화된 성형품을 부드럽게 함으로써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소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철근 커플러에서 철근을 가압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프레스 성형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체결부재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성형 단계별로 최적의 성형 형태로 성형품을 성형함으로써 성형공정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성형 장비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관계하는 철근 커플러의 종단면도,
도 2는 동 철근 커플러의 상부바디의 종단면도,
도 3은 동 철근 커플러의 하부바디의 종단면도,
도 4a는 동 철근 커플러의 연결부재의 정면도,
도 4b는 동 동 철근 커플러의 연결부재의 평면도,
도 4c는 동 철근 커플러의 연결부재의 종단면도,
도 5a는 동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의 정면도,
도 5b는 동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의 설치상태의 평면도,
도 5c는 동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의 설치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의 성형단계별 성형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의 성형단계별 성형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은 복수의 다이와 펀치를 가지는 프레스기계를 통해 연속 프레스 작업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사다리꼴 원기둥 성형단계,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 세레이션돌기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사다리꼴 원기둥 성형단계는 상하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소재를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켜지는 사다리꼴 원기둥으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사다리꼴 원기둥 성형단계는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요입부가 마련된 형태의 사다리꼴 원기둥을 형성하며, 한차례의 성형공정으로 원하는 형태로 성형할 수 없기 때문에 3차례의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한다.
사다리꼴 원기둥 성형단계는 도 7의 (b)와 같이 상하직경이 동일한 원기둥을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켜지는 사다리꼴 원기둥으로 예비 성형하는 제1성형단계; 도 7의 (c)와 같이 제1성형단계의 성형품의 경사각을 확대하면서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제2성형단계; 도 7의 (d)와 같이 제2성형단계의 성형품의 경사각을 확대하면서 하단면과 상단면에 요입부(14a)(14b)를 형성하는 제3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사다리꼴 원기둥 성형단계에서 사다리꼴 원기둥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요입부(14a)(14b)를 형성하지 않게 되면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를 거쳐 호형 경사판으로 성형할 때에 버(Burr)의 발생이 많게 된다.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는 도 7의 (e)와 같이 전술한 사다리꼴 원기둥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품을 부채골 평판으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되는 부채꼴 평판은 상단부가 수평면으로 성형되고, 하단부가 호형으로 성형되고, 양단부가 둥글게 성형되고, 전면의 세레이션 형성부위에 돌출부(14c)가 마련된 형태를 가진다.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는 도 7의 (f)와 같이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품을 체결부재의 형태인 호형 경사판으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호형 경사판은 세레이션돌기를 형성되지 않은 형태로, 전술한 체결부재(140)의 외부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성형된다.
즉,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되는 호형 경사판은 상부바디(110)의 삽입구멍(111) 또는 하부바디(120)의 삽입구멍(121)과 대응되는 호형의 형태로 성형되고, 외주면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142)으로 성형되고, 상단면 및 하단면은 수평면으로 성형된다.
세레이션돌기 성형단계는 도 7의 (g)와 같이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품의 내주면에 세레이션돌기(141)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은 프레스 성형과정에서 경화된 성형품을 부드럽게 함으로써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소둔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둔단계는 가열로에서 성형품을 560~850℃로 가열한 뒤 일정시간 유지함으로써 재결정 현상에 의해 경도를 저하시키고 가공성을 개선한다.
상기 소둔단계는 세레이션돌기 성형단계 이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 이후에 실시하거나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 이후에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은 상하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형태의 소재를 사다리꼴 원기둥 형태로 성형하고, 다시 부채꼴 평판 형태로 성형하고, 호형 경사판의 형태로 성형하는 등 각 성형 단계별로 최적의 성형 형태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공정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프레스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은 상하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형태의 소재를 통해 채결부재(140)를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함에 있어서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 설비 비용 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은 최적의 성형 단계를 제시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철근 커플러
110 : 상부바디
120 : 하부바디
130 : 연결부재
140 : 체결부재
141 : 세레이션돌기
142 : 경사면
150 : 받침부재
160 : 탄성부재

Claims (5)

  1. 내부면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세레이션돌기(141)가 마련되고, 외주면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142)으로 형성된 호형의 철근 커플러 체결부재(140)를 제조하는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으로,
    복수의 다이와 펀치를 가지는 프레스기계를 통해 연속 프레스 작업으로 제조하되;
    상하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소재를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사다리꼴 원기둥으로 성형하는 사다리꼴 원기둥 성형단계;
    사다리꼴 원기둥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품을 부채골 평판으로 성형하는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품을 체결부재의 형태인 호형 경사판으로 성형하는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품의 내주면에 세레이션돌기(141)를 성형하는 세레이션돌기 성형단계를 포함하되;
    사다리꼴 원기둥 성형단계는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요입부가 마련된 형태의 사다리꼴 원기둥을 형성하며,
    상하직경이 동일한 원기둥을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사다리꼴 원기둥으로 예비 성형하는 제1성형단계;
    제1성형단계의 성형품의 경사각을 확대하면서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제2성형단계;
    제2성형단계의 성형품의 경사각을 확대하면서 하단면과 상단면에 요입부(14a)(14b)를 형성하는 제3성형단계를 포함하고,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는
    상단부가 수평면으로 성형되고, 하단부가 호형으로 성형되고, 양단부가 둥글게 성형되고, 전면의 세레이션 형성부위에 돌출부(14c)가 마련된 형태의 부채꼴 평판을 성형하며,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는
    외주면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성형되고, 상단면 및 하단면이 수평면으로 성형되는 형태의 호형 경사판을 성형하며,
    부채꼴 평판 성형단계 이후 또는 호형 경사판 성형단계 이후에 경화된 성형품을 부드럽게 함으로써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소둔단계를 더 포함하되;
    소둔단계는 가열로에서 성형품을 560~850℃로 가열한 뒤 일정시간 유지함으로써 재결정 현상에 의해 경도를 저하시키고 가공성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33245A 2018-03-22 2018-03-22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 KR102065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245A KR102065121B1 (ko) 2018-03-22 2018-03-22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245A KR102065121B1 (ko) 2018-03-22 2018-03-22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295A KR20190111295A (ko) 2019-10-02
KR102065121B1 true KR102065121B1 (ko) 2020-01-10

Family

ID=6842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245A KR102065121B1 (ko) 2018-03-22 2018-03-22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1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783B1 (ko) * 2010-04-29 2010-10-25 성광콜드포징(주) 건설공사의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제조방법
KR200474815Y1 (ko) 2013-11-26 2014-10-15 (주) 호창엠에프 커플러용 체결랙 제조장치
KR101627166B1 (ko) 2015-05-18 2016-06-03 이시욱 철근 고정용 콜렛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콜렛이 구비되는 철근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538B1 (ko) 2017-06-21 2017-11-10 주식회사 엔씨 철근용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783B1 (ko) * 2010-04-29 2010-10-25 성광콜드포징(주) 건설공사의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제조방법
KR200474815Y1 (ko) 2013-11-26 2014-10-15 (주) 호창엠에프 커플러용 체결랙 제조장치
KR101627166B1 (ko) 2015-05-18 2016-06-03 이시욱 철근 고정용 콜렛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콜렛이 구비되는 철근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295A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378B1 (ko)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
KR101143331B1 (ko) 다이아몬드 격자 구조형 인서트 너트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7490B1 (ko) 슬립방지 원터치 철근커플러
KR20150070149A (ko) 중공형 랙바 및 중공형 랙바의 제조방법
JP2011161941A (ja) 骨格部材および骨格部材の製造方法
KR102065121B1 (ko) 철근 커플러의 체결부재 제조방법
KR100653421B1 (ko)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 방법 및 그 제작 방법에 의해성형된 분배관
KR101089554B1 (ko) 유니버셜조인트의 크로스-스파이더 폐쇄 단조장치 및 그 방법
JP4076102B2 (ja) 板金の厚肉化プレス工法
KR102031876B1 (ko)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 제조방법
KR20090020960A (ko) 서포트용 소켓 및 그 제조방법
KR101364916B1 (ko) 차량패널용 철판의 버어링 공정 및 그 장치
KR20050112967A (ko) 철근고정용 조각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장치
JPH07185720A (ja) 成形型の製造方法
KR102220916B1 (ko)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
CN110038963B (zh) 日字管的成型方法及成型模具
KR20120037645A (ko) 와셔 제조방법
KR200459966Y1 (ko) 건물 인테리어용 바닥판 지지대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프레스 성형장치
KR20040078790A (ko) 맨드릴 단조용 지그
JP2004314169A (ja) パイプ材の溝部成形方法
JP2008178885A (ja) 円筒形状部品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穿孔用ダイス
EP3081320B1 (en) Apparatus to produce self-piercing and clinch nut and method for producing self-piercing and clinch nut
KR100610623B1 (ko) 절단칼의 부분교체가 가능한 절단금형 및 그 제조방법
US766534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ne piece turnbuckle
KR101708475B1 (ko) 철근정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