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081B1 -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및 그 통화발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및 그 통화발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081B1
KR102065081B1 KR1020130121097A KR20130121097A KR102065081B1 KR 102065081 B1 KR102065081 B1 KR 102065081B1 KR 1020130121097 A KR1020130121097 A KR 1020130121097A KR 20130121097 A KR20130121097 A KR 20130121097A KR 102065081 B1 KR102065081 B1 KR 102065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lection menu
application
key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454A (ko
Inventor
김용태
권판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121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081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및 그 통화발신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는,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선택메뉴표시부; 및 선택메뉴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메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유지하면서 선택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통화발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및 그 통화발신방법{Ca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및 그 통화발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화를 발신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하거나 방해하지 않으면서 통화를 발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및 그 통화발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전자기술 및 네트워크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 중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미지,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직접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독창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런데,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특정의 기능을 이용하는 도중에 타인에게 전화를 발신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시키고 전화발신 기능을 실행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은 경우,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중지시킨 후 통화발신 기능을 실행시키기까지의 과정은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통화를 하는 도중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전혀 이용할 수 없고, 통화가 종료된 뒤에 다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 어플리케이션을 처음부터 다시 실행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7184호 (공개일자: 2013.05.3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화를 발신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하거나 방해하지 않으면서 통화를 발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및 그 통화발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는,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선택메뉴표시부; 및 선택메뉴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메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유지하면서 선택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통화발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통화발신키를 표시하는 발신키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메뉴표시부는 발신키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가 선택된 경우에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한다.
발신키표시부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설정된 키(key)를 선택하는 경우, 설정된 방향으로 화면을 플리킹(flicking)하는 경우, 설정된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통화발신키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여백을 검색하는 여백검색부; 및 발신키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메뉴를 여백검색부에 의해 검색되는 여백에 표시하는 여백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는, 발신키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메뉴를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하는 상태변환부; 및 상태변환부에 의해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되는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중첩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는, 통화발신부에 의해 발신되는 호에 대응하여 상대방이 착신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상대방과 통화를 연결하는 통화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상대방의 이름, 별명, 전화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대방정보를 반투명상태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상대정보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스피커 모드의 온/오프, 통화볼륨 조절, 미디어볼륨 조절, 통화종료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메뉴를 반투명상태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어메뉴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는, 통화연결부에 의해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대하여 통화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에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메뉴표시부는, 숫자 및 문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는 키패드, 주소록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에 대한 연락처리스트, 현재시점으로부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최근의 통화기록 리스트, 사용자에 의해 자주 연락하는 전화번호로 등록된 즐겨찾기 리스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 내의 연락처리스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메뉴로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통화발신방법에 있어서,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선택메뉴 표시단계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메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유지하면서 선택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통화발신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통화발신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메뉴 표시단계는 통화발신키 표시단계에 의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가 선택된 경우에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한다.
여기서, 발신키 표시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설정된 키를 선택하는 경우, 설정된 방향으로 화면을 플리킹하는 경우, 설정된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통화발신키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통화발신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여백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화발신키 표시단계 또는 선택메뉴 표시단계는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를 여백 검색단계에 의해 검색되는 여백에 표시한다.
여기서, 통화발신키 표시단계 또는 선택메뉴 표시단계는 각각에 대응하는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를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하며,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된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통화발신방법은, 호 발신단계에 의해 발신되는 호에 대응하여 상대방이 착신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상대방과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통화발신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상대방의 이름, 별명, 전화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대방정보를 반투명상태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통화발신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스피커 모드의 온/오프, 통화볼륨 조절, 미디어볼륨 조절, 통화종료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메뉴를 반투명상태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통화발신방법은, 통화 연결단계에 의해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대하여 통화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선택메뉴 표시단계는, 숫자 및 문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는 키패드, 주소록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에 대한 연락처리스트, 현재시점으로부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최근의 통화기록 리스트, 사용자에 의해 자주 연락하는 전화번호로 등록된 즐겨찾기 리스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 내의 연락처리스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메뉴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화를 발신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하거나 방해하지 않으면서 통화를 발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계속적으로 실행시키면서 통화를 발신 및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통화중인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얻어지는 정보를 즉각적으로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화면을 플리킹(flicking)하여 통화발신키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여백에 통화발신키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통화발신키 및 선택메뉴를 반투명 상태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선택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함께 중첩하여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통화를 연결한 경우의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제어메뉴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및 그 통화발신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100)는 발신키표시부(102), 선택메뉴표시부(104), 통화발신부(106), 여백검색부(108), 여백표시부(110), 상태변환부(112), 중첩표시부(114), 통화연결부(116), 상대정보표시부(118) 및 제어메뉴표시부(120)를 포함한다.
발신키표시부(102)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통화발신키를 표시한다. 여기서, 통화발신키는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발신할 수 있도록 전화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키(key)를 의미한다. 이때, 발신키표시부(102)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을 설정된 방향으로 플리킹(flicking)하는 경우, 해당 화면에 통화발신키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발신키표시부(102)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설정된 위치에 통화발신키를 자동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도중에 전화를 발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현재의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화면을 설정된 방향으로 플리킹하면, 발신키표시부(102)는 통화발신키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발신키표시부(102)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정된 특정 키(key)를 선택하는 경우에 그에 대응하는 통화발신키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정된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에 해당 음성을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여 통화발신키를 표시할 수도 있다.
선택메뉴표시부(104)는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한다. 이때, 선택메뉴표시부(104)는 발신키표시부(102)에 의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그에 대응하여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메뉴는 어떠한 방법으로 통화를 발신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메뉴로서, 통화발신의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숫자 및 문자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선택하는 메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에 대한 연락처리스트를 선택하는 메뉴, 현재시점으로부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최근의 통화기록 리스트를 선택하는 메뉴, 사용자에 의해 자주 연락하는 전화번호로 등록된 즐겨찾기 리스트를 선택하는 메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연락처리스트를 선택하는 메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화발신부(106)는 선택메뉴표시부(104)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메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선택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한다. 이때, 통화연결부(106)에 의해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되면, 통화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에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백검색부(108)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상태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여백을 검색한다. 즉, 여백검색부(108)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픽셀(pixel) 단위로 설정된 가로 x 세로의 여백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여백검색부(108)는 설정된 가로 x 세로의 크기 내의 색온도 값이 설정된 범위 이내의 값으로 유사하면 여백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여백검색부(108)가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내에서 여백을 판단하는 방법은 기재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여백표시부(110)는 발신키표시부(102)에 의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표시부(104)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메뉴를 여백검색부(108)에 의해 검색되는 여백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백표시부(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여백검색부(108)에 의해 검색된 여백에 통화발신키를 표시할 수 있다.
상태변환부(112)는 발신키표시부(102)에 의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표시부(104)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메뉴를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한다. 즉, 상태변환부(112)는 발신키표시부(102)에 의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표시부(104)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메뉴를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시킴으로써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상태변환부(112)는 발신키표시부(102)에 의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표시부(104)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메뉴의 색상을 설정된 색상으로 변환하거나,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기초하여 대비되는 색상을 선택하여 반투명으로 변환할 수 있다.
중첩표시부(114)는 상태변환부(112)에 의해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되는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를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방향으로 화면을 플리킹하여 통화발신키를 선택한 경우, 상태변환부(11200는 해당 통화발신키 및 그에 대응하는 선택메뉴를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하며, 중첩표시부(11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발신키 및 선택메뉴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메뉴 중의 특정 메뉴를 선택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반투명의 상태로 함께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중첩된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의 화면을 선택하면, 통화발신부(106)는 그에 대응하여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의 기능을 실행하여 호를 발신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의 화면이 중첩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의 화면을 설정된 방향으로 플리킹하여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통화연결부(116)는 통화발신부(106)에 의해 발신되는 호에 대응하여 상대방이 착신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상대방과의 통화를 연결한다. 즉, 통화연결부(116)는 통화발신부(106)에 의해 발신된 호에 대응하여 상대방이 발신된 호를 받으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대방과의 통화를 연결한다. 이때, 통화연결부(116)는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되면,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대하여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통화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정보표시부(118)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상대방의 이름, 별명, 전화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대방정보를 반투명상태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연결부(116)에 의해 상대방과의 통화가 연결되면, 상대정보표시부(118)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내의 설정된 위치에 상대방정보를 반투명상태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메뉴표시부(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스피커 모드의 온/오프, 통화볼륨 조절, 미디어볼륨 조절, 통화종료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메뉴를 반투명상태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메뉴표시부(120)는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중첩하여 스피커 모드의 온/오프, 통화볼륨 조절, 통화종료를 제어하는 제어메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통화 중에 통화에 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통화발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100)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대하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여백이 있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S102),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대하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여백이 검색되면, 통화발신장치(100)는 해당 검색된 여백에 통화발신키를 표시할 수 있다(S104). 이때, 통화발신장치(100)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대하여 여백을 검색하는 대신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설정된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경우에 통화발신키를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화발신장치(100)는 해당 통화발신키를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하며,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된 통화발신키를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통화발신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정된 특정 키를 선택하는 경우에 그에 대응하는 통화발신키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정된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에 해당 음성을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여 통화발신키를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통화발신키가 선택되면, 통화발신장치(100)는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S108). 또한, 통화발신장치(100)는 통화발신키의 선택에 따라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대신에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정된 특정 키를 선택함으로써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직접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통화발신장치(100)는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여백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통화발신장치(100)는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하며,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된 선택메뉴를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선택메뉴는 통화발신의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숫자 및 문자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선택하는 메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에 대한 연락처리스트를 선택하는 메뉴, 현재시점으로부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최근의 통화기록 리스트를 선택하는 메뉴, 사용자에 의해 자주 연락하는 전화번호로 등록된 즐겨찾기 리스트를 선택하는 메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연락처리스트를 선택하는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선택메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면, 통화발신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을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하여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통화발신장치(100)는 표시되는 선택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따라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호를 발신한다(S110).
통화상대방이 호를 착신하면(S112), 통화발신장치(100)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유지하면서 상대방과 통화를 연결한다(S114). 통화발신장치(100)는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되면,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대하여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통화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통화발신장치(100)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상대방의 이름, 별명, 전화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대방정보를 반투명상태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S116).
또한, 통화발신장치(100)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스피커 모드의 온/오프, 통화볼륨 조절, 미디어볼륨 조절, 통화종료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메뉴를 반투명상태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S118).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중첩되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 선택메뉴, 상대방정보, 제어메뉴 등의 화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현재 실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중단할 필요없이 통화를 발신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실행하면서 통화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과 중첩되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 선택메뉴,은 상대방정보, 제어정보 등의 화면을 사용자가 설정된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만이 남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통화발신 중 또는 통화연결상태에서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102: 발신키표시부 104: 선택메뉴표시부
106: 통화발신부 108: 여백검색부
110: 여백표시부 112: 상태변환부
114: 중첩표시부 116: 통화연결부
118: 상대정보표시부 120: 제어메뉴표시부

Claims (20)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동작되는 통화발신장치에 있어서,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선택메뉴표시부;
    상기 선택메뉴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메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유지하면서 선택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통화발신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통화발신키를 표시하는 발신키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키표시부는 설정된 방향으로 화면을 플리킹(flicking)하는 경우 또는 설정된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상태에서 통화발신키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메뉴표시부는 상기 발신키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가 선택된 경우에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여백을 검색하는 여백검색부; 및
    상기 발신키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 또는 상기 선택메뉴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메뉴를 상기 여백검색부에 의해 검색되는 여백에 표시하는 여백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키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 또는 상기 선택메뉴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메뉴를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하는 상태변환부; 및
    상기 상태변환부에 의해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되는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중첩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발신부에 의해 발신되는 호에 대응하여 상대방이 착신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상대방과 통화를 연결하는 통화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상대방의 이름, 별명, 전화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대방정보를 반투명상태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상대정보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스피커 모드의 온/오프, 통화볼륨 조절, 미디어볼륨 조절, 통화종료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메뉴를 반투명상태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어메뉴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메뉴표시부는,
    숫자 및 문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는 키패드, 주소록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에 대한 연락처리스트, 현재시점으로부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최근의 통화기록 리스트, 사용자에 의해 자주 연락하는 전화번호로 등록된 즐겨찾기 리스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 내의 연락처리스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메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1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통화발신장치에 의해 동작되는 통화발신방법에 있어서,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메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유지하면서 선택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통화발신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발신키를 표시하는 단계는 설정된 방향으로 화면을 플리킹하는 경우 또는 설정된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통화발신키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발신키를 표시하는 단계에 의해 표시되는 통화발신키가 선택된 경우에 통화발신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여백을 검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화발신키를 표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를 상기 여백을 검색하는 단계에 의해 검색되는 여백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발신키를 표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각각에 대응하는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를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하며, 반투명의 상태로 변환된 통화발신키 또는 선택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호를 발신하는 단계에 의해 발신되는 호에 대응하여 상대방이 착신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상대방과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상대방의 이름, 별명, 전화번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대방정보를 반투명상태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태에서 스피커 모드의 온/오프, 통화볼륨 조절, 미디어볼륨 조절, 통화종료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메뉴를 반투명상태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방법.
  19. 삭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숫자 및 문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는 키패드, 주소록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에 대한 연락처리스트, 현재시점으로부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최근의 통화기록 리스트, 사용자에 의해 자주 연락하는 전화번호로 등록된 즐겨찾기 리스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 내의 연락처리스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메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방법.
KR1020130121097A 2013-10-11 2013-10-11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및 그 통화발신방법 KR102065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97A KR102065081B1 (ko) 2013-10-11 2013-10-11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및 그 통화발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97A KR102065081B1 (ko) 2013-10-11 2013-10-11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및 그 통화발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54A KR20150042454A (ko) 2015-04-21
KR102065081B1 true KR102065081B1 (ko) 2020-01-10

Family

ID=5303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097A KR102065081B1 (ko) 2013-10-11 2013-10-11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및 그 통화발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0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854B1 (ko) 2015-07-02 2017-11-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발신호 발신 전에 착신자 현지시각을 안내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단말기의 구동 방법
WO2017022965A1 (ko) * 2015-08-06 2017-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보 전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106445270A (zh) 2015-08-06 2017-02-22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54A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67585B (zh) 一种多方呼叫显示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2724577B (zh) 基于手持设备对电视控制操作的方法及系统
RU2628237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вызова
TWI477108B (zh) 視訊會議建立方法
CN108259277B (zh) 基于智能家居设备的移动终端通讯信息的共享方法及系统
US201500226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video calls to a target queue based upon dynamically selected or statically defined parameters
CN101917532A (zh) 电话呼入智能提醒方法、电视终端及系统
KR20100071042A (ko) 화상 발신자 식별 특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6508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발신장치 및 그 통화발신방법
KR100564984B1 (ko) 통신장치
CN105119984B (zh) 发送文件的方法及装置
CN102724214A (zh) 一种呼叫装置、基于im客户端建立通话的方法及装置
US87379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grating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computing devices
CN103051797A (zh) 基于多屏互动终端共享手机拨打电话的处理方法及系统
KR20110138094A (ko) 화상 회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2835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N104539781B (zh) 一种具有未接来电提示功能的显示器及未接来电提示方法
JP2016092620A (ja) 通話支援装置
JP2008141491A (ja) 電話交換システム
JP2009224962A (ja) キーテレホンシステム
KR101130560B1 (ko) 핸디 장치를 이용한 SoIP 단말 원격제어 시스템 및 원격제어 방법
KR1006130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 컨텐츠 서비스 방법
KR101750557B1 (ko) 화상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화상 통화 장치
KR101495254B1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신호 송신/수신 방법
KR20140069476A (ko) 착신 표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