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935B1 -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935B1
KR102063935B1 KR1020150142913A KR20150142913A KR102063935B1 KR 102063935 B1 KR102063935 B1 KR 102063935B1 KR 1020150142913 A KR1020150142913 A KR 1020150142913A KR 20150142913 A KR20150142913 A KR 20150142913A KR 102063935 B1 KR102063935 B1 KR 10206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ead
fastening
cartridge
battery modul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43313A (en
Inventor
최종운
문정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4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935B1/en
Publication of KR20170043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3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9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16
    • H01M2/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이나 충격에도 파손이 방지되면서도 조립성이 우수한 배터리 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고, 전극 리드가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전극 리드에 체결홀이 형성된 다수의 이차 전지; 및 좌우 방향으로 상호 적층 가능하게 구성되고, 양단이 상호 연결된 다수의 단위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이차 전지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전극 리드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프레임에 체결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전극 리드의 체결홀에 삽입된 카트리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battery module excellent in assemblability while preventing damage even in vibration or shock.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onfigured to protrude in at least one of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electrode leads; And a plurality of unit frames interconnected at both ends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unit frames connected at both ends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unit frame in which the electrode lead is located. Thus, the fastening protrusion includes a cartridg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electrode lead.

Description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Battery Module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성이 우수하고 진동이나 충격을 잘 견딜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과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odule that can be excellent in assembly and can withstand vibration or shock, and a battery pack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Commercially available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ide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mong them,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almost no memory effect compared to nickel-based secondary batteries, and thus are free of charge and discharge. The self-discharge rate is very low and the energy density is high.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를 구비한다.Such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lithium-based oxides and carbon materials as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respectively.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suc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dispos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ackaging material for sealingly storing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solution.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종류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In general,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classified into a can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metal can and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according to a kind of packaging material.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 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수의 이차 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는 적층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많이 이용된다.Recently, 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not only in small devices such a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but also in 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automobiles and power storage devices. When used in such medium and large devices, a large number of secondary batteri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increase capacity and output. In particular,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s widely used in such a medium-large size device because of its easy lamination.

이처럼, 다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경우,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등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더욱이, 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 모듈의 경우, 진동에 자주 노출되고, 급제동이나 급출발, 사고 등이 일어날 때 강한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 이처럼, 배터리 모듈이 진동이나 충격을 받을 때, 배터리 모듈 내부의 여러 구성요소가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이 있다. 특히, 배터리 모듈 내에는 다수의 이차 전지가 구비되어 전극 리드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용접되는 경우가 많은데, 진동이나 충격 시 이러한 전극 리드의 용접 부분이 파손될 수 있다. 더욱이, 전극 리드는 상호 접촉 및 용접을 위해 일부분이 벤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벤딩 부위가 파손될 수도 있다.As such, in the case of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it should not be easily damaged even by external shock or vibration. In addition, battery modules used in automobiles are frequently exposed to vibration, and may receive a strong shock when sudden braking, sudden start, or accident occurs. As such, when the battery module is subjected to vibration or shock, there is a risk that various components inside the battery module are damaged or broken.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re provided in the battery module, so that the electrode leads are often weld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However, the welding parts of the electrode leads may be damaged during vibration or impact. Moreover, part of the electrode leads may be bent for mutual contact and welding, and this bending portion may be broke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진동이나 충격에도 파손이 방지되면서도 조립성이 우수한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which are excellent in assemblability while being prevented from damage even in vibration or shock.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고, 전극 리드가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전극 리드에 체결홀이 형성된 다수의 이차 전지; 및 좌우 방향으로 상호 적층 가능하게 구성되고, 양단이 상호 연결된 다수의 단위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이차 전지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전극 리드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프레임에 체결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전극 리드의 체결홀에 삽입된 카트리지를 포함한다.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form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electrode lead is configured to protrude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fastening hole in the electrode lead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formed; And a plurality of unit frames interconnected at both ends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unit frames connected at both ends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unit frame in which the electrode lead is located. Thus, the fastening protrusion includes a cartridg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electrode lead.

여기서, 상기 전극 리드는, 단부가 절곡되며, 절곡되기 이전 부분에 상기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electrode lead, the end is bent, the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portion before the bending.

또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전극 리드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프레임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 리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안착부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tridge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on at least one unit frame in which the electrode lead is position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may be bent to surround the seating portion.

또한, 상기 안착부는,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이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and the front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안착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전극 리드가 상기 안착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접촉되며, 좌측 전극 리드는 우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우측 전극 리드는 좌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2개의 전극 리드의 절곡된 부분이 상호 용접되어 상기 안착부의 정면에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two adjacent electrode leads are in contact with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seat, respectively, the left electrode lead is bent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right electrode lead is bent in the left direction, so that the bent portions of the two electrode leads are It may be welded to each other to contact the front of the seating portion.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좌측면, 상기 우측면 및 상기 정면 중 적어도 한 부분의 상부 및 하부에 단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전극 리드가 상기 단부돌기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may have end protrusions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left side surface, the right side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and the electrode lead may be inserted between the end protrusions.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외측 단부의 바깥길이가 내측 단부의 바깥길이보다 길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rotrusion, the outer length of the outer end may be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outer length of the inner end.

또한, 상기 체결홀은, 하나의 전극 리드에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fastening holes may be formed in one electrode lea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양면에 접착층이 구비된 시트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이차 전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차 전지 사이를 접착 고정시키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member which is configured in a sheet form having an adhesive layer on both surfaces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ary batteries to adhesively fix the secondary batteries.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진동이나 충격에 강한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전극 리드의 움직임이 제한됨으로써, 전극 리드의 용접 부분이나 벤딩 부위가 파손 내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module resistant to vibration or shock may be provid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of the electrode lead is limited, so that the welded portion or the bending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조립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카트리지에 구비된 체결돌기와 전극리드에 형성된 체결홀 사이의 결합에 의해 이차 전지의 조립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assembly may be provided.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guided by coupling between the fastening protrusion provided in the cartridge and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electrode lea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카트리지의 결합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1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안착부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카트리지의 안착부에 전극 리드가 결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돌기를 구비하는 카트리지의 안착부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돌기를 구비하는 카트리지의 안착부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configuration of a rechargeable battery and a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G. 5 separately. FIG.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1 of FIG. 5.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ating portion of a cart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n electrode lead is coupled to a seating portion of the cartridge of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ating portion of a cartridge having a fastening protru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ating portion of a cartridge having a fastening protru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이차 전지(100) 및 카트리지(2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ary battery 100 and a cartridge 200.

상기 이차 전지(100)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 전해액 및 파우치 외장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100 may be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100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an electrolyte solution, and a pouch packaging material.

여기서, 전극 조립체는, 전극과 분리막의 조립체로서,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하나 이상의 음극판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의 각 전극판에는 전극 탭이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전극 탭이 전극 리드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리드는, 파우치 외장재 사이에 개재되어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며, 이와 같이 노출된 부분이 이차 전지(100)의 전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Here, the electrode assembly is an assembly of an electrode and a separator, and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one or more positive electrode plates and one or more negative electrode plates are disposed with the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each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provided with an electrode tab, one or more electrode tabs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 The electrode lead is interposed between the pouch packaging material and one end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xposed portion may function as an electrode terminal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파우치 외장재는, 전극 조립체와 함께 전해액을 내부 공간에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파우치 외장재는 테두리부가 열융착 등의 방식으로 실링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파우치 외장재는 좌측 파우치와 우측 파우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파우치는 외부 절연층, 금속층 및 내부 접착층을 구비하여, 내부 접착층이 상호 융착될 수 있다.The pouch packaging material can accommodate the electrolyte solution in the internal space together with the electrode assembly. In addition, the pouch exterior material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the edge portion is sealed by a method such as heat fusion. The pouch sheath may be composed of a left pouch and a right pouch, and each pouch may include an outer insulating layer, a metal layer, and an inner adhesive layer, such that the inner adhesive layers may be fused together.

이러한 이차 전지(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는, 본원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이차 전지가 채용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econdary batteries known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ployed.

상기 이차 전지(100)는, 배터리 모듈에 다수 포함되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는, 2개의 넓은 면이 좌우 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부와 하부, 전방 및 후방에 실링부가 위치하도록, 대략 지면에 수직하게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세워진 형태의 이차 전지(100)는, 넓은 면이 서로 대면되는 형태로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100 may be included in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nd stacked in at least one direction.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plurality of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100 have two wide surfaces respectively position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nd the sealing portions are positioned at the top, bottom, front, and rear sides thereof. It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100 of the upright shape may b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that wide surfaces thereof face each other.

상기 이차 전지(100)의 전극 리드는,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차 전지(100)는,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전극 리드가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양 방향으로 돌출된 전극 리드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양방향 이차 전지 이외에, 단방향 이차 전지도 존재할 수 있다. 즉, 다른 극성의 전극 리드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이차 전지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는 모두, 이차 전지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lead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in at least one of front and rear direction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secondary battery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electrode leads protrude from the front and the rear, respectively, and the electrode leads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may have different polarities. Can have However, in addition to the bidirectional secondary battery, a unidirectional secondary battery may also exist. That is,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configured such that electrode leads of different polarities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For example, both the positive lead and the negative lead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secondary batter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서, 전극 리드(110)가 파우치 외장재의 융착부 사이, 즉 좌측 파우치와 우측 파우치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 리드(110)는 구리나 니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lead 110 is interposed between a fusion portion of a pouch packaging material, that is, between a left pouch and a right pouch. Can be configured. In this case,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copper, nickel, or aluminum, and may have a plate shap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100)의 전극 리드(110)에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의 구성에서 전극 리드(110)는, 지면에 대략 수직하게 세워지는 형태로 구성되되, H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홀(H1)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 리드(110), 바람직하게는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홀(H1)은, 각 전극 리드(110)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a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electrode lead 110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 the configuration of FIG. 3,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configured to stan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to penetr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indicated by H1. . In addition, the fastening hole H1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electrode lead 110, preferably in both the anode lead and the cathode lead. In addition, one or more fastening holes H1 may be formed in each electrode lead 110.

상기 카트리지(200)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게 구성되어,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의 상호 배열을 가이드하는 한편, 적층된 셀 조립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트리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상호 적층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200)는, 상호 적층되는 표면, 즉 좌측면과 우측면에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요철 구조는, 카트리지(200) 간 체결성 및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트리지(200) 간 조립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00)는, 전기적 절연성을 확보하고 무게를 줄이며, 성형이 용이하도록 폴리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cartridge 200 may be configured to be stacked in at least one direction to guide the mutual arrangement of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100 and prevent the flow of the stacked cell assemblies. For example, the cartridge 200 may be configured to be stacked on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is case, the cartridge 200 may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in a form that corresponds to a surface stacked on each other, that is,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In addition, the uneven structure may improve fastening property and fixability between the cartridges 200 and guide the assembly position between the cartridges 200. The cartridge 200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to secure electrical insulation, reduce weight, and facilitate molding.

또한, 상기 카트리지(200)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의 외측을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200)는 다수의 단위 프레임이 상호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그러한 내부 공간에 이차 전지(100)가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tridge 200 may accommodate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100 in an internal space to protect the outside of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100. In this case, the cartridge 20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frames are interconnected to form an internal space, and the secondary battery 1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tridg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200)는, 4개의 단위 프레임, 즉 전방 단위 프레임(201), 후방 단위 프레임(202), 상부 단위 프레임(203) 및 하부 단위 프레임(204)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4개의 단위 프레임 각각은, 다른 단위 프레임에 의해 양단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트리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사각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는, 대략 사각형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카트리지(200)는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의 테두리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200)는 각 단위 프레임이 각각 별도로 제조된 후 상호 조립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처음부터 서로 일체화된 형태로 성형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artridge 200 may include four unit frames, that is, a front unit frame 201, a rear unit frame 202, an upper unit frame 203, and a lower unit frame 204. have. Each of these four unit frames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by another unit frame. In particular, the cartridge 200, as shown in the figure,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ring with a hollow central portion. In general, since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100 is configur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cartridge 2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ring shape to surround the edge of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100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cartridge 2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each unit frame is separately manufactured and then assembled together, or may be molded into an integrated form from the beginning.

상기 카트리지(200)는, 이차 전지(100)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차 전지(100)는, 카트리지(200)의 4개의 단위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중앙의 빈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200)는, 이차 전지(100)의 실링부 측에서 이차 전지(100)로 가해지는 충격이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이차 전지(100)를 보호할 수 있다. The cartridge 200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That is, the secondary battery 100 may be located in a central empty interior space formed by four unit frames of the cartridge 200. Therefore, the cartridge 200 can protect the secondary battery 100 from impact, foreign matter, etc.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100 at the sealing portion side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00)는, 도 4에서 P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돌기(P1)는, 전극 리드(110)의 체결홀(H1)에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돌기(P1)는, 카트리지(200)에서 전극 리드(110)가 위치할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tridge 200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as indicated by P1 in FIG. In addition, th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H1 of the electrode lead 110. Accordingly, th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cartridge 200 in which the electrode lead 110 is to be located.

예를 들어, 이차 전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측에 전극 리드(110)가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돌기(P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0)의 전방 단위 프레임(201) 및 후방 단위 프레임(202)에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secondary battery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lectrode leads 110 protrude from the front and rear side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be provided in the front unit frame 201 and the rear unit frame 202 of the cartridge 2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와 카트리지(200)의 결합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A1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configuration of a rechargeable battery 100 and a cartridg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G. 5 separately,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1 of FIG. 5.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1개의 카트리지(200)에 2개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이차 전지(100)는 카트리지(200)를 사이에 두고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특히, 각 이차 전지(100)는, 전방 실링부와 후방 실링부에 전극 리드(110)를 구비하며, 각 전극 리드(110)에는 체결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0)는 전방 단위 프레임(201)과 후방 단위 프레임(202)에 체결돌기(P1)를 구비할 수 있다. 5 to 7, two pouch type secondary batteries 100 may be disposed in one cartridge 200. In this case, the two secondary batteries 100 may be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the cartridge 200 interposed therebetween. In particular, each secondary battery 100 may include an electrode lead 110 in the front sealing part and the rear sealing part, and a fastening hole H1 may be formed in each electrode lead 110. In addition, the cartridge 200 may include a fastening protrusion P1 at the front unit frame 201 and the rear unit frame 202.

이때, 카트리지(200)는, 2개의 이차 전지(좌측 이차 전지와 우측 이차 전지)와 모두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돌기(P1)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트리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단위 프레임(201)과 후방 단위 프레임(202) 모두에, 좌측 이차 전지와 우측 이차 전지에 결합되기 위한 체결돌기(P1)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돌기(P1)는, 전방 단위 프레임(201)과 후방 단위 프레임(202)에서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artridge 200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P1 to be coupled to both of the secondary batteries (left secondary battery and right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cartridge 200 includes fastening protrusions P1 for coupling to the left secondary battery and the right secondary battery, both in the front unit frame 201 and the rear unit frame 202. )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 this case, th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unit frame 201 and the rear unit frame 202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right direction, respectively.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2개의 이차 전지(100)가 카트리지(2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적층 결합될 때, 각 전극 리드(110)에 형성된 체결홀(H1)에는 카트리지(200)의 체결돌기(P1)가 삽입될 수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two secondary batteries 100 are laminated and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tridge 200, respectively, the fastening protrusions of the cartridge 200 are formed in the fastening holes H1 formed in the electrode leads 110. (P1) can be inserted.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200)의 체결돌기(P1)와 전극 리드(110)의 체결홀(H1) 사이의 끼움결합에 의해 카트리지(200) 내부에서 이차 전지(10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전극 리드(110)가 카트리지(200)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전극 리드(110)의 움직임이 보다 효과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리드(110) 자체, 또는 전극 리드(110) 간 접촉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극 리드(1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다수의 전극 리드(110)를 상호 용접하는 공정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inside the cartridge 200 by fitting between the fastening protrusion P1 of the cartridge 200 and the fastening hole H1 of the electrode lead 110. Can be prevented. In particular, in this case, since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fixed to the cartridge 200, the movement of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more effectively limi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de lead 110 itself or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electrode leads 110 from being damaged.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 leads 110 are stably fixed, a process of welding the plurality of electrode leads 110 to each other may be performed more smoothly.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차 전지(100)는, 전극 리드(110)의 단부가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구성을 참조하면, 좌측 이차 전지의 전방 전극 리드(110)는 우측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고, 우측 이차 전지의 전방 전극 리드(110)는 좌측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6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이차 전지에서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특히, 2개의 이차 전지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경우, 또는 최외측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의 경우,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ary battery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end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110 is bent.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6, the front electrode lead 110 of the left secondary battery is vertically bent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front electrode lead 110 of the right secondary battery is configured to be vertically bent in the left direction. Can be. 6, the positive lead and the negative lead ar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in one secondary battery, but the positive lead and the negative lead may be bent in the same direction. In particular, when the two secondary batterie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or in the case of the secondary battery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the positive electrode lead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may be bent in the same direction.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차 전지(100)의 전극 리드(110) 간 접속이 용이해질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7의 구성을 참조하면,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110)가 상호 접속되기 위한 다른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110)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절곡된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leads 110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can be facilitated. That is,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S. 5 and 7, the bent ends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by bending the electrode leads 110 of the secondary battery toward the electrode leads 110 of the other secondary batteri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

이 경우, 전극 리드(110)의 체결홀(H1)은 절곡되기 이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구성을 참조하면, 전극 리드(110)는 수직 절곡됨으로써, 절곡되기 이전 부분은 표면이 좌우 방향으로 향하고, 절곡된 이후 부분은 표면이 전후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이때, 체결홀(H1)은, 전극 리드(110)에서 절곡되기 이전 부분, 즉 표면이 좌우 방향으로 향하는 부분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홀(H1)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돌기(P1)는 이러한 체결홀(H1)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astening hole H1 of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formed in a portion before bending.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3,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vertically bent, so that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this case, the fastening hole H1 may be present in a portion before the bending of the electrode lead 110, that is, the surface thereof fac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refore, the fastening hole H1 may be configured to penetr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th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astening hole H1.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 리드(110)의 접촉 면적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즉, 체결홀(H1)은 서로 다른 전극 리드(110)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전극 리드(110) 간 접촉 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 리드(110)의 접촉성이 좋아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전극 리드(110) 사이는 상호 접촉 후 용접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구성의 경우, 용접 부분에 체결돌기(P1) 및 체결홀(H1)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돌기(P1)나 체결홀(H1)로 인해 용접 공정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of this invention, the contact area of the electrode lead 110 can be ensured stably. That is, since the fastening holes H1 are not formed at the portions where the different electrode leads 1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electrode leads 110 may be reduc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ability of the electrode lead 110 can be improved. In particular, the electrode leads 110 may be fixed by welding after mutual contact.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astening protrusion P1 and the fastening hole H1 may not be positioned in the welded par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lding process from being interrupted due to the fastening protrusion P1 or the fastening hole H1.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경우, 전극 리드(110)가 체결돌기-체결홀 결합 구조에 의해 카트리지(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전극 리드(110)에 벤딩 부위가 존재하더라도, 전극 리드(110)의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전극 리드(110)의 벤딩 부위가 파손 내지 손상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stably coupled to the cartridge 200 by the fastening protrusion-fastening hole coupling structure. Therefore, as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even if a bending portion exists in the electrode lead 110, since the movement of the electrode lead 110 is limited, the bending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트리지(200)는, 전극 리드(110)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프레임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성을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200)는, 전극 리드(110)가 위치할 전방 단위 프레임(201) 및 후방 단위 프레임(202)의 중앙 부분에,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cartridge 200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at least one unit frame in which the electrode lead 110 is located.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FIGS. 4 to 7, the cartridge 200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unit frame 201 and the rear unit frame 202 on which the electrode leads 110 are to be placed. It may have a sea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forward and backward, respectively.

이 경우, 전극 리드(110)는,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다. 특히, 전극 리드(110)의 적어도 일부는, 안착부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성을 참조하면, 이차 전지(100)에서 전방에 위치한 전극 리드(110)는, 카트리지(200)의 전방 단위 프레임(201)에 구비된 안착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이차 전지(100)에서 후방에 위치한 전극 리드(110)는, 이차 전지 간 직렬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카트리지(200)의 후방 단위 프레임(202)에 구비된 안착부는 감싸지 않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차 전지 간 병렬 연결을 구현하거나 최외측에 위치한 이차 전지의 경우, 후방에 위치한 전극 리드 역시 후방 단위 프레임에 구비된 안착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In particular,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bent to surround the seating portion.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FIGS. 5 to 7, the electrode lead 110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surrounds the se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ront unit frame 201 of the cartridge 200.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de lead 110 located in the rear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in order to implement a series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ary batteries, the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rear unit frame 202 of the cartridge 200 is to be configured not to wrap Can be. However, in the case of a secondary battery that implements a parallel connection between secondary batteries or i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the electrode leads located at the rear may also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se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rear unit frame.

보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200)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이차 전지, 즉 좌측 이차 전지는 전방의 전극 리드(110)가 우측으로 대략 90도 절곡되어 카트리지(200)의 전방 단위 프레임(201)에 위치한 안착부를 접촉하면서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0)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이차 전지, 즉 우측 이차 전지는 전방의 전극 리드(110)가 좌측으로 대략 90도 절곡되어 카트리지(200)의 전방 단위 프레임(201)에 위치한 안착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ary battery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artridge 200, that is, the left secondary battery, is positioned at the front unit frame 201 of the cartridge 200 because the front electrode lead 110 is bent approximately 90 degrees to the right. It can be configured to wrap while touching the seat. 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rtridge 200, that is, the right secondary battery has a seating part located on the front unit frame 201 of the cartridge 200 because the front electrode lead 110 is bent approximately 90 degrees to the left. It can be configured to wrap.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 리드(110)가 카트리지(2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됨으로써, 전극 리드(110)의 유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즉, 전극 리드(110)는 카트리지(200)에 더욱 밀착될 수 있으며, 절곡 부분으로 인해 카트리지(200)에서의 전극 리드(110)의 움직임이 더욱 제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ode lead 110 is stably seated on the cartridge 200, the flow of the electrode lead 110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That is,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rtridge 200, and the movement of the electrode lead 110 in the cartridge 200 may be further limited due to the bent portion.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부는,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이 평평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착부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의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은 각각 평평한 표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면이란 안착부를 외측에서 바라볼 때 마주보는 표면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 단위 프레임(202)에 위치한 안착부의 경우, 안착부의 후면을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eating portion,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and the front may be configured in a flat form. For example, the seating portion, as shown in Figures 4 to 7, may be configur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 Thus, the left side, right side and fron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may each be configured to have a flat surface. Here, the front may mean the surface facing when the seating part is view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seating unit located in the rear unit frame 202, it may be said to represent the rear surface of the seating unit.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 리드(110)와 카트리지(200) 사이의 접촉성이 좋아지고, 공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구성을 참조하면, 우측 전극 리드(110)는, 안착부의 평평한 우측면 및 정면에 밀착하여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전극 리드(110)는, 안착부의 평평한 좌측면 및 정면에 밀착하여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전극 리드(110)는 판상으로 구성되어 1회만 절곡되면, 카트리지(200)에 밀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between the electrode lead 110 and the cartridge 200 can be improved, the processability can be improved.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7, the right electrode lead 1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t right side and the front of the seating portion. In addition, the left electrode lead 110 may be se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t left side and the front of the seating portion. In this case, each electrode lead 110 may be in a plate shape and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rtridge 200 if it is bent only once.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P1)는, 안착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구성에서, 안착부는 카트리지(200)의 전방 단위 프레임(201) 및 후방 단위 프레임(202)에 각각 구비될 수 있는데, 체결돌기(P1)는 전방 단위 프레임(201)의 안착부 및 후방 단위 프레임(202)의 안착부 모두에서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respectively. For example,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 4, the se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front unit frame 201 and the rear unit frame 202 of the cartridge 200, respectively, the fastening protrusion (P1) is the front unit frame 201 In both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of the rear unit frame 202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respectively.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전극 리드(110)는 안착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같이, 좌측에 위치한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110)는 안착부의 좌측면에 접촉되고, 우측에 위치한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110)는 안착부의 우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two adjacent electrode leads 110 may b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respectively. For example,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S. 5 to 7, the electrode lead 110 of the secondary battery positioned on the left side contacts the lef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the electrode lead 110 of the secondary battery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has the right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Can be contacted.

이때, 우측 이차 전지의 전방 전극 리드(110)는, 좌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단부가 안착부의 정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이차 전지의 전방 전극 리드(110)는, 우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단부가 안착부의 정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전방 단위 프레임에 구비된 안착부의 정면에는 우측 전극 리드(110)와 좌측 전극 리드(110)가 모두 안착되며, 안착된 2개의 전극 리드(110)는 상호 용접될 수 있다. 즉, 2개의 전극 리드(110)의 절곡된 부분은 상호 용접되어 안착부의 정면에 안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ront electrode lead 110 of the right secondary battery may be bent in the left direction and bent at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portion. In addition, the front electrode lead 110 of the left secondary battery may be bent in the right direction and bent at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portion. At this time, both the right electrode lead 110 and the left electrode lead 110 are seated on the front of the se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ront unit frame, and the two electrode leads 110 seated may be welded to each other. That is, the bent portions of the two electrode leads 110 may be welded to each other and seated on the front of the seating portion.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 리드(110) 사이의 접촉성이 개선될 수 있다. 즉, 안착부의 정면은 평평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판상으로 구성된 2개의 전극 리드(110) 사이의 상호 대면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겹쳐진 2개의 전극 리드(110)는 초음파나 레이저 등이 조사되어 상호 용접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의 정면은 평평하게 구성됨으로써 2개의 전극 리드(110) 사이의 용접 공정은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용접성 또한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between the electrode leads 110 can be improved. That is, since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a flat shape,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mutually facing contact state between the two electrode leads 110 formed in a plate shape. In particular, the two overlapping electrode leads 110 may be welded to each other by irradiation of ultrasonic waves, lasers,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may be flat so that a welding process between the two electrode leads 110 may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weldability may be stably ensured.

한편, 도 7에 도시된 안착부의 구성은 일례에 불과할 뿐, 카트리지(200)에서 안착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ure 7 is only an example, the mounting portion in the cartridge 2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200)의 안착부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카트리지(200)의 안착부에 전극 리드(110)가 결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ating portion of a cartridg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 110 is coupled to a seating portion of the cartridge 200 of FIG. 8.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안착부는, P2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좌측면과 우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 수평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단부돌기(P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착부의 좌측면 상단 및 하단에는,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단부돌기(P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의 우측면 상단 및 하단에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단부돌기(P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및 하부의 단부돌기(P2) 사이에는 오목한 형태의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부돌기(P2)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는 전극 리드(110)가 삽입될 수 있다. 8 and 9, the seating portion may have an end protrusion P2 formed to protrude in the horizontally outward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urfaces, as indicated by the portion P2. That is, end projections P2 protruding in the left direction may b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left surfaces of the seating portions. In addition, end protrusions P2 protruding in a right direction may be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In this case, an inner space of a concave shape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 protrusions P2. In addition,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between the end protrusions P2.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0)의 좌측에 위치한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110)는, 안착부의 좌측면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단부돌기(P2)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200)의 우측에 위치한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110)는, 안착부의 우측면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단부돌기(P2)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electrode lead 110 of the secondary battery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artridge 200 is inserted into a concave portion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lef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the end protrusion P2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Can be. In addition, the electrode lead 110 of the secondary battery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rtridge 200 may be inserted into a concave portion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the end protrusion P2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 리드(110)의 고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전극 리드(110)는, 안착부의 단부돌기(P2)에 의해 상하 방향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극 리드(110)에서 체결홀(H1)이나 벤딩 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ability of the electrode lead 110 can be further improved. In particular,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limited in the vertical movement by the end protrusion (P2) of the mounting por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fastening hole H1 or the bending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110 from being damaged.

한편, 단부돌기(P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 다른 다양한 형태로 안착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부돌기(P2)는, 안착부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안착부의 정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단부돌기(P2)는, 좌측면, 우측면 및/또는 정면의 상부나 하부 중 어느 한 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nd protrusion (P2),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s 8 and 9 may be provided in the seating portion in other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end protrusion P2 may be formed only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or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In addition, the end protrusions P2 may be formed only at any one of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and / or the front side.

상기 체결홀(H1)은 체결돌기(P1)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 및 위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체결홀(H1) 및 체결돌기(P1)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P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체결홀(H1)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hole H1 may have a shape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protrusion P1. In addition, the fastening hole H1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have various shapes and various position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astening hole H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돌기(P1)를 구비하는 카트리지(200)의 안착부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ating portion of a cartridge 200 having a fastening protrusion P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돌기(P1)는, 외측 단부의 바깥길이가 내측 단부의 바깥길이보다 길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구성에서 안착부의 우측면에 구비된 2개의 체결돌기(P1)는 각각, 우측 단부가 좌측 단부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의 좌측면에 구비된 2개의 체결돌기(P1)는 각각, 좌측 단부가 우측 단부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0, the fastening protrusion (P1), the outer length of the outer end may be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outer length of the inner end. For exampl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0, each of the two fastening protrusions P1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may have a right end portion thicker than the left end portion. In addition, each of the two fastening protrusions P1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may have a left end thicker than the right end.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 리드(110)가 카트리지(200) 측에 보다 가깝게 밀착될 수 있고, 전극 리드(110)가 카트리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구성에서 안착부의 우측에 구비된 체결돌기(P1)는, 안착부의 우측에 안착되는 전극 리드(110)의 체결홀(H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체결돌기(P1)의 우측 말단이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전극 리드(11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구성에서 안착부의 좌측에 구비된 체결돌기(P1) 역시 좌측 말단이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안착부의 좌측에 안착된 전극 리드(11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 전극 리드(110)의 고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lead 110 can be brought into closer contact with the cartridge 200 side, and the electrode lead 1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rtridge 200. For exampl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0, the fastening protrusion P1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H1 of the electrode lead 110 se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part. At this time, the right en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P1 is formed to be thick, there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electrode lead 110 in the 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fastening protrusion P1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0 also has a thick left end, there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electrode lead 110 se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in the left direction. Therefore, in this case, the fixability of the electrode lead 110 can be further improved.

더욱이, 체결돌기(P1)의 외측 단부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극 리드(110)의 체결홀(H1)에 체결돌기(P1)가 삽입된 후, 전극 리드(110)는 중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체결돌기(P1)의 외측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부분으로 인해, 전극 리드(110)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outer en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After the fastening protrusion P1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H1 of the electrode lead 110,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by gravity. Therefore, in this case, due to the portion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er en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P1), the electrode lead 110 can be more surely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outward direc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돌기(P1)를 구비하는 카트리지(200)의 안착부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ating portion of a cartridge 200 having a fastening protrusion P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체결돌기(P1)는 안착부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각각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체결돌기(P1)는, P11 및 P12로 표시되는 2개의 단위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단위돌기(P11, P1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체결돌기(P1)를 구성하는 2개의 단위돌기(P11, P12)는, 일단이 안착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wo fastening protrusions P1 may be provided on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respectively. In this case, each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P1 may be composed of two unit protrusions represented by P11 and P12. In this case, the two unit protrusions P11 and P12 may be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ure 11, the two unit protrusions (P11, P12) constituting one fastening protrusion (P1),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whole in a state where one end is fixed to the seating portion It can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이 경우, 하나의 체결돌기(P1)를 구성하는 2개의 단위돌기(P11, P12)는 하나의 체결홀(H1)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구성에서, 안착부의 우측면 상부에 위치한 체결돌기(P1)를 구성하는 2개의 단위돌기(P11, P12)는, 안착부의 우측면에 안착되는 전극 리드(110)의 1개의 체결홀(H1)에 함께 삽입될 수 있다.In this case, two unit protrusions P11 and P12 constituting on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be inserted into one fastening hole H1. For exampl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1, the two unit protrusions P11 and P12 constituting the fastening protrusion P1 locat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re fastened to one electrode lead 110 se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It can be inserted together in the hole H1.

더욱이, 이러한 구성의 경우, 상기 도 10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체결돌기(P1)의 외측 단부는 내측 단부보다 바깥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체결돌기(P1)를 구성하는 2개의 단위돌기 중, 상부에 위치하는 단위돌기(P11)는 외측단부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하는 단위돌기(P12)는 외측단부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체결돌기(P1)는, 외측단부가 내측단부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configur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0, the outer en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have a longer outer length than the inner end. For example,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1, of the two unit protrusions constituting each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P1, the unit protrusions P11 locat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re formed so that their outer ends protrude upward. The unit protrusion P12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uter end portion protrudes in the lower direction. Therefore, each fastening protrusion (P1), the outer end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inner end.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체결돌기(P1)와 체결홀(H1) 사이의 결합이 용이해지고 결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전극 리드(110)의 체결홀(H1)은 체결돌기(P1)의 외측 단부의 바깥길이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체결돌기(P1)가 체결홀(H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체결돌기(P1)를 구성하는 단위돌기의 거리가 가까워짐으로써 외측 단부의 바깥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체결돌기(P1)가 체결홀(H1)에 삽입된 이후에는, 복원성에 의해 단위돌기의 거리가 다시 늘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체결돌기(P1)는 체결홀(H1)을 쉽게 빠져나갈 수 없다. 그러므로, 이 경우, 전극 리드(110)가 카트리지(200)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fastening protrusion (P1) and the fastening hole (H1) can be facilitated and the bondability can be improved. In particular, the fastening hole H1 of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length of the outer en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P1. However,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P1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H1, the outer length of the outer end may be reduc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unit protrusions constituting the fastening protrusion P1. Then, after the fastening protrusion P1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H1, the distance of the unit protrusion may be increased again by the restorability, and thus th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easily escape the fastening hole H1. none. Therefore, in this case, the electrode lead 110 can be more securely fixed to the cartridge 200.

특히, 상기 구성에 있어서, 단위돌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화살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체결돌기(P1)는 외측 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되, 돌출 부분은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바깥지름이 작아지는 경사진 형태, 다시 말해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돌기(P1)의 경사면에 의해 체결돌기(P1)를 체결홀(H1)에 삽입시키는 공정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nit projection, as shown in Figure 11, may be configured in an approximately arrow shape. That is, the fastening protrusion (P1) is configured so that the outer end is proj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in an inclined form, that is, tapered form that the outer diameter becomes smaller toward the outer direction. In this case, a process of inserting the fastening protrusion P1 into the fastening hole H1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be performed more smoothly.

한편, 상기 도 11의 구성에서는, 1개의 체결돌기(P1)를 구성하는 2개의 단위돌기가 전체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일부분만 분리된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도 11의 구성과 달리, 1개의 체결돌기(P1)는 3개 이상의 단위돌기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1, although two unit protrusions constituting one fastening protrusion P1 are illustrated as a separate form, only a portion of the unit protrusions may be separated. In addition, unlike the configuration of FIG. 11, on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be configured by three or more unit protrusion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홀(H1)은 하나의 전극 리드(110)에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극 리드(110)에는 2개의 체결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체결홀(H1)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돌기(P1) 역시 이러한 체결홀(H1)의 구성에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를 가질 수 있다. Also preferably, two or more fastening holes H1 may be formed in one electrode lead 110.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5, two fastening holes H1 may be formed in one electrode lead 110. The two fastening holes H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th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also have a number an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hole H1.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 리드(110)와 카트리지(200) 사이의 결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의 경우, 체결홀-체결돌기 결합 구성이 하나의 전극 리드(110)에 대하여 여러 부분에 넓게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전극 리드(110)의 전체 부분이 보다 안정적으로 카트리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차 전지(100)나 카트리지(200)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진 경우, 다수의 체결홀-체결돌기 결합 구성에 힘이 분산될 수 있으므로, 체결홀(H1)이나 체결돌기(P1)가 파손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ding between the electrode lead 110 and the cartridge 200 can be further improved. That is,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fastening hole-fastening protrusion coupling configuration may exist in various parts with respect to one electrode lead 110, the entire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110 is more stably coupled to the cartridge 200. Can be. In addition, when a shock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100 or the cartridge 200, since the force may be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fastening protrusion coupling configurations, the fastening hole H1 or th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be damaged.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한편, 배터리 모듈에 포함된 다수의 이차 전지(100)는, 서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이차 전지(100)가 서로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될 때에는, 3개 이상의 전극 리드(110)가 상호 겹쳐지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카트리지(200)의 안착부에는 3개의 전극 리드(11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의 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는 복수의 전극 리드(110)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체결돌기(P1)는 복수의 전극 리드(110)에 형성된 체결홀(H1)을 모두 관통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100 included in the battery module may be connected in series and / o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when the secondary batteries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ree or more electrode leads 110 may be configured to overlap each other. For example, three electrode leads 110 may be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cartridge 200 illustrated in FIG. 7.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electrode leads 110 may be seated on the left side and / or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In addition, one fastening protrusion P1 may pass through all of the fastening holes H1 form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de leads 110.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이차 전지(100) 사이에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member between the secondary batteries 100.

상기 접착 부재는, 시트 형태로 구성되어, 양면에 접착층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접착 부재는, 이차 전지(100) 사이에 개재되어 이차 전지(100) 사이를 접착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이차 전지(100)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 접착 부재 역시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이차 전지(100) 사이에 위치하여, 이차 전지(100)의 넓은 표면에 양면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차 전지(100)의 유동이 제한되어 전극 리드(110)와 같은 이차 전지(100)의 구성요소나 배터리 모듈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의 손상이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The adhesive member may be configured in a sheet form, and adhesive layers may be provided on both surfaces. In addition, such an adhesive memb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ary batteries 100 to adhesively fix the gaps between the secondary batteries 100. That is, when the secondary battery 100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orm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adhesive member is also located between the secondary battery 100 in the form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both surfaces on a wide surface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Can be attach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is limited to prevent damage or breakage of components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such as the electrode lead 110 or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battery module. have.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체결홀-체결돌기 결합 구성에 의해, 각 이차 전지(100) 간 조립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부재의 양면에 이차 전지(100)를 부착시키는 공정이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astening hole-fastening protrusion coupling configuration, the assembly position between each secondary battery 100 can be guided. Therefore,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secondary battery 100 to both surfaces of the adhesive member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nd quickly.

한편, 상기 여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양방향 이차 전지를 기준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단방향 이차 전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때, 카트리지 역시 이러한 이차 전지의 구성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nidirectional secondary battery. In this case, the cartridge may also have a form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예를 들어, 상기 이차 전지(100)는,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가 모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트리지(200)는, 전방 단위 프레임(201)에만 안착부(210)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안착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체결돌기(P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는 전방 단위 프레임에 2개 형성되어, 하나의 이차 전지에 대하여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가 각각 다른 안착부에 안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착부는 전방 단위 프레임에 1개 형성되어, 하나의 이차 전지에 대하여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가 동일한 안착부에 안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ary battery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both the positive lead and the negative lead protrude forward. In this case, the cartridge 200 may include a seating unit 210 only in the front unit frame 201, and fastening protrusions P1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ing unit. In this case, two seating parts may be formed in the front unit frame so that the positive electrode lead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may be seated on different seating parts with respect to one secondary battery. Alternatively, one sea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ront unit frame so that the positive lead and the negative lead may be seated on the same seating portion with respect to on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상술한 구성요소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이차 전지(100) 적층체의 외측에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판상으로 구성된 엔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이차 전지(100)의 전압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어셈블리나 버스바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For example,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nd plate formed of a plate shap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on the outside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stack. 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assembly or a bus bar for sensing the voltage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기 위한 팩 케이스, 배터리 모듈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전류 센서, 퓨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such a battery module, a pack case for accommodating such a battery module, various devices for controlling the 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module, such as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current sensor, fuse, etc. I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 많은 진동 및 심한 충격에 노출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경우, 전극 리드(110)의 고정성이 향상되어 전극 리드(11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automobil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vehicle. That is,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 car may be exposed to a lot of vibration and severe impact. In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xing of the electrode lead 110 may be improved to prevent breakage of the electrode lead 110.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up, down, left, right, before and after are used, but these terms are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an object or an observer's loca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0: 이차 전지
110: 전극 리드
H1: 체결홀
200: 카트리지
210: 안착부
P1: 체결돌기, P2: 단부돌기
100: secondary battery
110: electrode lead
H1: Fastening Hole
200: cartridge
210: seating part
P1: fastening protrusion, P2: end protrusion

Claims (13)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고, 전극 리드가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전극 리드에 체결홀이 형성된 다수의 이차 전지; 및
좌우 방향으로 상호 적층 가능하게 구성되고, 양단이 상호 연결된 다수의 단위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이차 전지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전극 리드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프레임에 체결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전극 리드의 체결홀에 삽입된 카트리지
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서로 접촉하여 상호 적층되고, 상호 적층되는 좌측면과 우측면에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요철 구조가 서로 결합되며, 적층된 내부 공간에 상기 이차 전지를 수용하여 상기 이차 전지의 외측을 보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체결돌기는 상기 전극 리드의 체결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극 리드가 상기 카트리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극 리드는 상기 카트리지의 적어도 하나의 단위 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절곡되고, 절곡된 이후 부분인 단부에서 서로 다른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가 서로 겹쳐져 상호 접촉 연결되게 구성되며, 절곡되기 이전 부분에 상기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onfigured to protrude in at least one of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electrode leads; And
Comprised of mutually stack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unit frames interconnected at both ends,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on at least one unit frame in which the electrode lead is located A cartridge in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electrode lead.
Including;
The cartridges are form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stacked on each other, and to form a concave-convex structure in a form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to be mutually stacked so that the concave-convex structure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ary battery is accommodated in the stacked inner space.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outside of the battery,
The fastening protrusion of the cartridge is fitt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electrode lead is configured so that the electrode lead is fixed to the cartridge,
The electrode leads are bent to surround at least one unit frame of the cartridge, and the electrode leads of different secondary batteries overlap each other by being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an end portion that is bent after the bending, and the fastening portion is connected to a portion before the bending.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 hole is formed and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전극 리드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프레임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 리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안착부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tridge has a sea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at least one unit frame in which the electrode lead is positioned.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in a form surrounding the seat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이 평평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seating portion,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side, right side and the front is formed in a flat sha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안착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astening protrus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전극 리드가 상기 안착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접촉되며, 좌측 전극 리드는 우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우측 전극 리드는 좌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2개의 전극 리드의 절곡된 부분이 상호 용접되어 상기 안착부의 정면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wo adjacent electrode leads ar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the left electrode lead is bent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right electrode lead is bent in the left direction, so that the bent portions of the two electrode leads are mutually welded.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seat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좌측면, 상기 우측면 및 상기 정면 중 적어도 한 부분의 상부 및 하부에 단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전극 리드가 상기 단부돌기 사이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ating part has an end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and the front surface, and the electrode lead is inserted between the end protrus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외측 단부의 바깥길이가 내측 단부의 바깥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protrusion is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length of the outer end is longer than the outer length of the inner en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된 둘 이상의 단위돌기를 구비하여 둘 이상의 단위돌기가 하나의 체결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8,
The fastening protrusion may include at least two unit protrusions at least part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wo or more unit protrusions inserted into one fastening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하나의 전극 리드에 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hole is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least two in one electrode lead.
제1항에 있어서,
양면에 접착층이 구비된 시트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이차 전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차 전지 사이를 접착 고정시키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member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sheet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ary batteries to adhesively fix the secondary batteries.
제1항,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제1항,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12. An automobile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KR1020150142913A 2015-10-13 2015-10-13 Battery Module KR1020639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913A KR102063935B1 (en) 2015-10-13 2015-10-13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913A KR102063935B1 (en) 2015-10-13 2015-10-13 Battery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313A KR20170043313A (en) 2017-04-21
KR102063935B1 true KR102063935B1 (en) 2020-01-08

Family

ID=5870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913A KR102063935B1 (en) 2015-10-13 2015-10-13 Battery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9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8107B (en) * 2017-08-31 2024-04-1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Battery unit and battery module
CN109546013B (en) * 2017-10-19 2021-08-20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Battery pack and vehicle with same
KR102059614B1 (en) * 2017-11-14 2019-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having fixing parts
KR102452328B1 (en) * 2019-01-10 2022-10-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112481A (en)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Align Jig For Battery Cell and Cartridge, and Method Of Assembling Battery Module
KR20210115177A (en)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Easy assembling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30167611A (en) * 2022-06-02 2023-12-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0582A (en) 2010-03-30 2011-10-20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391B1 (en) * 2004-12-24 2009-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Terminal-linking Member of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1288121B1 (en) * 2011-08-24 2013-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1560563B1 (en) * 2012-09-19 2015-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Cooling Efficiency
KR102018693B1 (en) * 2013-02-06 2019-09-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pack
KR101821378B1 (en) * 2014-03-31 2018-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coupling force and processibility between electrode lead and bus ba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0582A (en) 2010-03-30 2011-10-20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313A (en) 201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237B1 (en) Battery module
KR102063935B1 (en) Battery Module
KR102065104B1 (en) Battery Module
KR101792675B1 (en) Battery module
KR102382382B1 (en) Battery Module Having Heat-Shrinkable Tube
KR101736377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057620B1 (en) Battery module
KR102077272B1 (en) Battery module and protecting structure applied for the same
JP7285946B2 (en) Battery modules and battery packs
KR102080903B1 (en) Electrode lead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6685329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074779A (en) Cell module to prevent gas movement to nearby modules
US20220367993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KR20170037157A (en) Pouch-type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modified leads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210093637A (en) Battery Module
KR101852235B1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Cell assembly comprising it
KR20210095388A (en) Battery Cell Assembly With Increased Shock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112468A (en) Battery cartridge
KR102443098B1 (en) Battery Module Having Module Housing
KR20160054268A (en) Secondary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US20240106068A1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KR20230098020A (en) Battery module with reinforced safety
KR20230075888A (en) Battery modul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cell frame
KR20210095398A (en) Battery Pack With Improved Vibration Resistance
KR20210011690A (en) Battery Module Having Current Breaking Function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