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272B1 - Battery module and protecting structure applie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and protecting structure applied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7272B1 KR102077272B1 KR1020150129905A KR20150129905A KR102077272B1 KR 102077272 B1 KR102077272 B1 KR 102077272B1 KR 1020150129905 A KR1020150129905 A KR 1020150129905A KR 20150129905 A KR20150129905 A KR 20150129905A KR 102077272 B1 KR102077272 B1 KR 1020772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bar
- electrode lead
- battery module
- electrode
- secondary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1M2/1016—
-
- H01M2/1094—
-
- H01M2/20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2—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와 버스바간 용접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적용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전극 리드를 구비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가 적층된 형태로 구성된 이차 전지 적층체; 및 상기 이차 전지의 전압을 센싱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 리드와 용접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와 연결된 PCB를 포함하는 전압 센싱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의 용접부 위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를 결합시키는 보호구조물을 더 포함한다.Provided is a battery module to which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breakage of a weld between an electrode lead and a bus bar of a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ary battery stack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including electrode leads stacked thereon; And a voltage sensing structure including a bus bar welded to the electrode lead and a PCB connected to the bus bar to sense the voltage of the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are welded onto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It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structure for coupling the bar.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 적층체에 구비된 복수의 이차 전지에 대한 전압 검출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 그 제조 방법,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모듈에 적용될 수 있는 구성 부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a battery module to which a voltage detection structure for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provided in a secondary battery stack is applie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 battery pack including such a battery module, and such a battery. It relates to a component that can be applied to the module.
근래에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laptops, video cameras, mobile phones, etc. is rapidly increasing, and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energy storage batteries, robots, satellites, and the like is in full swing. There is an active research on.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Commercially available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ide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mong them,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almost no memory effect compared to nickel-based secondary batteries, and thus are free of charge and discharge. It has been spotlighted for its very low self discharge rate and high energy density.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Such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lithium-based oxides and carbon materials as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respectively.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suc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dispos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ackaging material for sealing and storing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that is, a battery case.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In general,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classified into a can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metal can and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according to a shape of an exterior member.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 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 부품은 차량 모터로 구동력을 부여하는 배터리 팩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을 통해 차량의 구동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엔진만을 이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연비가 뛰어나고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팩에는 다수의 이차 전지가 포함되며, 이러한 다수의 이차 전지들은 서로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됨으로써 용량 및 출력을 향상시킨다.Recently, 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not only in small devices such a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but also in 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automobiles and power storage devices. In particular, as carbon energy is gradually depleted and environmental interest is increasing, demand for hybrid and electric vehicles is increasing worldwide, including the United States, Europe, Japan, and Korea. The most essential component of such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 battery pack that provides driving power to a vehicle motor. Since hybrid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can obtain driving power of the vehicle through charging and discharging of battery packs, users are increasing in terms of fuel efficiency and emission or reduction of pollutants compared to cars using only engines. In addition, the battery pack of the hybrid vehicle or 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and in parallel to improve capacity and output.
한편, 배터리 팩에는 이차 전지 이외에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와 같은 다양한 배터리 팩 보호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 장치들은, 배터리 팩의 충방전을 관리하고 안전성을 확보하는 등 여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장치들은, 여러 인자를 고려하여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그러한 인자 중 대표적인 것이 각 이차 전지의 전압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보호 장치는 각 이차 전지의 양단 전압값을 통해 해당 이차 전지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고, 이차 전지간 충전 상태 편차를 줄이는 밸런싱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battery pack includes various battery pack protection devices such as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in addition to the secondary battery. Such protection devices may play various roles such as managing 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pack and ensuring safety. Such protection devices may perform their function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and representative of such factors may be the voltage of each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the specific protection device may prevent overcharging or over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through voltage values at both ends of each secondary battery, and may perform a balancing function to reduce the variation in state of charge between the secondary batteries.
이처럼, 배터리 팩에 포함된 보호 장치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배터리 팩에 포함된 각 이차 전지의 전압을 센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필수적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배터리 팩에는 이러한 이차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 대부분 적용되어 있다. 대표적인 전압 센싱 구조는 와이어 타입(wire type)과 PCB 타입(PCB type)이다. As such, in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of the protection device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sensing the voltage of each secondary battery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may be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and thus, such a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in a conventional battery pack. Most of the configuration for detecting the voltage of is applied. Typical voltage sensing structures are wire type and PCB type.
와이어 타입은 이차 전지의 전극부와 클립(clip) 등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와이어 타입은 조립성이 우수하나, 와이어 부품이 추가되어 부품 단가가 올라간다. 또한 이차 전지 적층체의 상단 및 하단부와 체결되는 센싱부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어 이차 전지 적층체가 길이 방향으로 길어지며, 이로 인해 단가가 상승한다.The wire type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rt of the secondary battery by a clip or the like. This type of wire is excellent in assembly, but the cost of parts increases due to the addition of wire parts.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ary battery stack is connected by a wire, thereby increasing the secondary battery stack in the length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unit cost.
PCB 타입은 이차 전지의 전극부와 버스바의 용접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PCB 타입은 와이어 부품의 삭제로 제품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그런데, 용접부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연결이 떨어질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듈의 조립 과정이나 외력(충격 상황 등) 작용시 용접부가 파손될 수 있고, 진동이 많은 장치, 이를테면 자동차 등의 배터리 팩에 적용되는 경우,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용접부 양쪽 끝단에서부터 파손이 빈번이 일어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PCB type is connected by welding the electrode part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busbar. This type of PCB leads to product cost savings by eliminating wire components. However, the weld has a risk that the connection may be dropped by vibration or shock. Accordingly, the welding part may be damaged during assembly of the module or when an external force (impact situation, etc.) is applied, and when applied to a device having a lot of vibration, such as a battery pack of an automobile, a failure occurs frequently. In particular, since breakage occurs frequently from both ends of the welded part,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와 버스바간 용접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적용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is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that can prevent the breakage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of the secondary battery.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러한 배터리 모듈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와 버스바간 용접부를 보호하는 보호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ve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welding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of the secondary battery to be applied to such a battery modul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전극 리드를 구비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가 적층된 형태로 구성된 이차 전지 적층체; 및 상기 이차 전지의 전압을 센싱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 리드와 용접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와 연결된 PCB를 포함하는 전압 센싱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의 용접부 위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를 결합시키는 보호구조물을 더 포함한다.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secondary battery stack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having an electrode lead laminated; And a voltage sensing structure including a bus bar welded to the electrode lead and a PCB connected to the bus bar to sense the voltage of the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are welded onto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It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structure for coupling the bar.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전극 리드와 레이저 용접 방식으로 용접될 수 있다.The bus bar may be welded to the electrode lead by laser welding.
상기 전극 리드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되어 있고, 상기 버스바는 절곡부가 서로 겹쳐진 2개의 전극 리드와 용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겹쳐진 2개의 전극 리드의 절곡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된 것일 수 있다.The electrode lead may have a bent portion, and the bus bar may be welded to two electrode leads having the bent portions overlapping each other. In this case, the bent portions of the two overlapping electrode leads may be bent in different directions.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구조물은 상기 용접부의 상부면을 감싸는 상면덮개부와, 상기 상면덮개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양 측면 및 바닥면을 감싸는 측면덮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면덮개부와 측면덮개부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리드는 상기 버스바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버스바 위로 겹쳐져 상기 용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덮개부는 상기 용접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측면덮개부는 상기 용접부 주변의 상기 전극 리드와 버스바를 감싸면서 체결하는 것일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otective structure includes a top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elding portion, and a side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top cover portion to surround both sid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lead and bus bar. The top cover portion and the side cover portion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The electrode lead is bent from both sides of the bus bar and overlaps the bus bar to form the welding part, the upper cover part is formed along the welding part, and the side cover part is fastened by wrapping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around the welding part. It may be.
여기서, 상기 각 측면덮개부 중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는 벤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 리드와 버스바는 상기 각 벤딩부 상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는 상기 버스바를 면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덮개부와 평행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각 측면덮개부는 원 또는 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구조물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용접부의 상부면과 상기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바닥면 양면에서 탄성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a bent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facing each other of the side cover portio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may be installed in a state seated on each bent portion. The bending part may be parallel to the upper cover part so as to support the bus bar by surface contact. Each side cover portion may have the form of a circle or arc. The protective structure is elastically deformed and preferably elastical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elded par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상기 보호구조물은 절연성 재질일 수 있으며, 스냅핏(snap fit) 방식으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를 결합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The protective structure may be an insulating material, or may be to couple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in a snap fit manner.
예를 들어, 상기 보호구조물은 상기 용접부의 상부면을 감싸는 상면덮개부와 그 양단에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측면 및 바닥면을 끼워넣는 측면덮개부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tective structure may have a top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elding portion and a side cover portion formed in a hook shape at both ends thereof to sandwich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와 버스바간 용접부 위로 체결되어 상기 용접부를 보호하고 상기 용접부 주위의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를 결합시켜 사이 들뜸을 방지하는 보호구조물을 제안한다.In order to solve the other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rotective structure that is fastened over the welding portion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of the secondary battery to protect the welding portion and to prevent the lifting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around the welding portion. .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하나 이상 조합되어 배터리 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자동차 등에 적용될 수 있다. One or more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as a battery pack. Such a battery pack may be applied to an automobile or the like.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배터리 모듈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이 방법에서는 이웃하는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를 절곡하고 겹쳐 버스바에 면접촉시키고, 상기 겹쳐진 전극 리드 및 버스바를 레이저 용접시켜 용접부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용접부 위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조물을 체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In this method, the electrode leads of neighboring secondary batteries are bent and overlapped with the bus bars, and the overlapped electrode leads and the bus bars are laser-welded to form a welded portion. Then, fasten the protecti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ver the weld.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 리드와 버스바간 용접부 위로 버스바와 전극 리드 사이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보호구조물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tective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bus bar and the electrode lead over the weld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이러한 보호구조물은 버스바와 전극 리드간의 들뜸을 방지한다. 들뜬 부위에 외력이 작용하면 인접한 용접부의 파손이 일어나는데, 본 발명에서는 용접부 주위의 전극 리드와 버스바를 결합시켜 사이 들뜸을 방지하므로 이러한 파손 전파 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is protective structure prevents lifting between the busbar and the electrode leads.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excited part, breakage of adjacent welds occur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akage propagation mechanism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by combining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bar around the weld to prevent lifting.
이에 따라 버스바와 전극 리드간의 용접부가 잘 유지되고 모듈 조립이나 이후 사용시 진동 환경에서도 용접부가 파손되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운용이 될 수 있어, 전압 센싱 등 필요한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welding part between the busbar and the electrode lead is well maintained and can be stably operated without damaging the welding part even in a vibration environment when the module is assembled or used afterwards, thereby effectively performing necessary tasks such as voltage sensing.
특히, 본 발명의 보호구조물은 간단한 구조 및 체결 방법에 의하여 용접부 위로 추가할 수 있으므로 이차 전지의 전압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구조나 모듈, 팩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며, 이차 전지에 연결시키는 조립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otecti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over the weld by a simple structure and fastening method, so the sensing structure, module, pack structure for sensing the voltage of the secondary battery is not complicated, simple, assembly process for connecting to the secondary battery This can be done more easily.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조에서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레이저 용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터리 모듈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조물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보호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측면에서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체결 전의 보호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o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ter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aser welding configuration of an electrode lead and a bus bar in the structure of FIG. 1.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protectiv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battery module of FIG. 1.
FIG.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in detail to describe the protective structure of FIG. 3.
5 is a side view of the protective structure before fastening;
6 is a side view of a protectiv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protectiv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차 전지 적층체에 전압 센싱 구조가 결합된 배터리 모듈의 일부분만 나타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레이저 용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의 배터리 모듈에서 이차 전지 적층 방향을 따라 바닥면에 평행한 단면을 취한 것이다. 도시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구조들은 생략하고 기본적인 구성요소만 도시하였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only a part of the battery module in which the voltage sensing structure is coupled to the secondary battery stack is show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aser welding configuration of an electrode lead and a bus ba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attery module of FIG. 1, a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is taken along a secondary battery stacking direction. For the convenience of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structures that support each component are omitted and only basic components are illustra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00)은 전극 리드(30, 40)를 구비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5)가 적층된 형태로 구성된 이차 전지 적층체(15)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차 전지 적층체(15) 위에는 PCB(미도시)를 가진 센싱 블록(10)이 놓여지고, 그 PCB와 연결된 버스바(20) 위에 서로 이웃하는 이차 전지(5)의 음극 리드(30) 및 양극 리드(40)를 겹쳐 놓는다. 이후,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는 레이저로 용접되어 용접부(50)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전극 리드(30, 40)와 PCB가 전기적 연결이 될 수 있다. 1 and 2, the
PCB, 센싱 블록(10) 및 버스바(20) 등은 전압 센싱 구조를 이루며, 잘 알려진 기존의 전압 센싱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PCB는 신호 전달을 위한 회로가 인쇄된 기판으로서 인쇄된 회로의 일측에 버스바(20)의 타단이 결합되어 버스바(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바(20)의 타단이란 버스바(20)에 있어서 전극 리드(30, 40)와 접촉하는 측 단부의 반대측 단부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버스바(20)의 타단이 결합되기 위해, PCB에는 홀(hole)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PCB의 홀에 버스바(20)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서 PCB와 버스바(2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CB, the
또한, PCB는 버스바(20)에 의해 센싱된 전압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PCB는 인쇄회로의 일측에 버스바(20)의 타단이 연결되고, 그러한 인쇄회로의 타측에 출력핀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PCB는 버스바(20)에 의해 센싱된 전압을 인쇄회로 및 출력핀을 경유하여 외부의 다른 구성요소, 이를테면 BMS와 같은 보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CB may output the voltage sensed by the
센싱 블록(10)은 PCB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센싱 블록(10)에는 PCB에 구비된 출력핀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전압 센싱 구조는, 이차 전지 적층체(15)에 연결되어 이차 전지 적층체(15)에 구비된 이차 전지(5)의 전압을 센싱하도록 구성할 수 있기만 하면 되고, 반드시 도 1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PCB에는 커넥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커넥터는 버스바(20)에 의해 센싱된 전압 정보를 이차 전지 적층체(15) 외부의 다른 구성요소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배터리 팩에 구비된 BMS로 센싱된 전압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는, 버스바(20)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버스바(20)에 의해 센싱된 전압을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그러한 전압 전달 경로의 단부에 외부의 다른 구성요소와 접속되기 위한 접속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The voltage sensing structure only needs to be connected to the
이차 전지 적층체(15)는, 다수의 이차 전지(5)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5)의 집합체이며, 잘 알려진 기존의 이차 전지 적층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차 전지 적층체(15)는, 전압 센싱 구조에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00)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기만 하면 되고, 반드시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이차 전지 적층체(15)에는 이차 전지(5)로서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복수 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일 방향, 이를테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 전지(5)의 넓은 면을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 가로 방향을 따라 적층될 수 있다. The
각각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전극 리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극 리드에는 도시한 바와 같은 음극 리드(30) 및 양극 리드(40)가 포함된다. 여기서 이차 전지(5)들은 서로 다른 극성 전극 리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와 있는 양방향 전지이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차 전지(5)들을 나란히 적층하였을 때에 음극 리드(30)와 양극 리드(40)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도록 이차 전지 적층체(15)를 구성한 예를 들었다. 여기서, 각각의 전극 리드(30, 40)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어 파우치 외장재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후 버스바(20)와의 용접을 위해 도면과 같이 절곡되어 절곡부를 갖는다. Each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may include an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lead includes a
한편, 이차 전지 적층체(15)는, 다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적층하기 위해 적층용 프레임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적층용 프레임은 이차 전지를 적층하는 데 이용되는 구성요소로서, 이차 전지를 홀딩하여 그 유동을 방지하고, 상호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차 전지의 조립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용 프레임은, 카트리지 등 다른 다양한 용어로 대체될 수 있으며,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사각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층용 프레임의 네 모서리는 이차 전지의 외주부에 위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2를 더 상세히 참조하면, 전극 리드(30, 40)는 이차 전지(5)에서 돌출되되, 단부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꺾어진 형태로 절곡되어 평평한 수직 접촉면을 제공한다. 이웃하는 이차 전지(5)끼리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리드(30, 40) 절곡부가 겹쳐질 수 있도록 전극 리드(30, 4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서, 음극 리드(30)는 우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양극 리드(40)는 좌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각 절곡부가 서로 겹쳐지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극 리드(30, 40)의 절곡부가 겹쳐진 수직 접촉면에 버스바(20)를 접촉시킨다. Referring to FIG. 2 in more detail, the electrode leads 30 and 40 protrude from the secondary battery 5, and are bent in an end bent to the left or the right to provide a flat vertical contact surface. The electrode leads 30 and 40 may be bent in different directions such that the bent portions of the electrode leads 30 and 40 having different polarities overlap with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2,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에 있어서, 버스바(20)와 전극 리드(30, 40)의 결합은 좌우 방향으로 포개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20)와 전극 리드(30, 40)의 이러한 결합 부분에 대하여, 도 2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가 외측에 조사되는 경우, 버스바(20)와 전극 리드(30, 40)의 접촉 부분은 서로 용접되고 용접부(50)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버스바(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버스바(20)의 위치는 전압 센싱 구조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버스바(20)가 가장 안쪽에 있고 그 위로 좌측 이차 전지(5)의 음극 리드(30) 절곡부가 위치하고 그 위에 우측 이차 전지(5)의 양극 리드(40) 절곡부가 위치함으로써, 절곡부가 서로 겹쳐진 2개의 전극 리드(30, 40)가 버스바(20)와 용접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즉, 전극 리드(30, 40)는 버스바(20)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버스바(20) 위로 겹쳐지고 용접부(50)가 형성된다. The position of the
특히, 이차 전지 적층체(15)에는 복수의 이차 전지(5)가 적층되어 있으므로, 버스바(20)와 전극 리드(30, 40)의 결합 구조 역시, 앞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버스바(20)는, 이차 전지(5)의 전극 리드(30, 40)와 직접 접촉하여 이차 전지(5)의 전압을 센싱하기 위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알루미늄이나 구리와 같은 금속 재질의 전기 전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5 are stacked in th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은 도 1에 도시한 구조 위로, 다시 말해,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의 용접부(50) 위로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를 결합시키는 보호구조물(200)을 더 포함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The
도 3은 도 1의 배터리 모듈(10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조물(200)이 적용되는 경우를 하나의 용접부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보호구조물(200)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의 측면에서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체결 전의 보호구조물(200)의 측면도이다. 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모듈의 조립 및 외력(충격상황 등)이 작용시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의 용접부(50)에서부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구조물(200)을 배터리 모듈(100)에 추가한다. 용접부(50)의 파손은 대개 용접부(50) 주변에서 버스바(20)와 전극 리드(30, 40)간의 들뜸이 일어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했을 때 용접부(50)에 인접한 모재에서부터 시작된다.3 to 5,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amage from the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파손 전파 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버스바(20)와 전극 리드(30, 40)간의 밀착력을 유지시키는 데에 주안점을 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버스바(20)와 전극 리드(30, 40) 용접부(50) 위로 버스바(20)와 전극 리드(30, 40) 사이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보호구조물(200)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maintaining the adhesion between the
보호구조물(200)은 용접되어 있는 겹쳐져 있는 적층 상태의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 외주면을 단순히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보호구조물(200)은 부도체, 즉 절연성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보호구조물(200)은 기계적 강성 및 내구성을 가져 쉽게 훼손되지 않는 것이면서도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하도록 한다. The
부분적으로 나누어 설명하면, 먼저 보호구조물(200)은 용접부(50)의 상부면을 감싸는 상면덮개부(210)가 있고, 상면덮개부(210) 양단부에는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의 양 측면 및 바닥면을 감싸는 측면덮개부(220)가 연장되어 있다. 상면덮개부(210)와 측면덮개부(2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Partially divided description, first, the
본 실시예에서 버스바(20) 위로 절곡된 전극 리드(30, 40)가 겹쳐져 용접부(50)가 형성되므로 버스바(20) 길이 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된 용접부(50) 양측으로는 전극 리드(30, 40)가 위치한다. 상면덮개부(210)는 용접부(50) 모양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측면덮개부(220)는 절곡된 전극 리드(30, 40)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 즉 용접부(50) 위 아래쪽으로 형성되어 용접부(50) 주변에서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 측면 및 바닥면을 감싸면서 체결되도록 하는 구조이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electrode leads 30 and 40 that are bent over the
이렇게 하나의 보호구조물(200)이 용접부(50)뿐 아니라 그 주변의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마치 보호구조물(200)에 의해 묶인 상태가 되어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간 사이 들뜸이 없이 서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간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어 용접부(50) 보호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In this way, as one
상면덮개부(210)는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 중 가장 긴 것, 본 실시예에서는 버스바(20)의 길이를 다 덮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각 측면덮개부(220)는 상면덮개부(210) 양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원 또는 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이러한 보호구조물(200)은 용접부(50) 위에서 양쪽 측면덮개부(220) 부분을 잡아 늘리거나 벌려 겹쳐진 상태의 버스바(20)와 전극 리드(30, 40)의 양 측면 및 바닥면을 둘러싼 후 측면덮개부(220) 부분을 놓아주는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 원이나 호 형상은 이러한 측면덮개부(220)의 변형에 따른 응력 완화에 도움이 되며 원래의 모양을 복원하도록 하는 데에도 유리하다. The
도 5에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덮개부(220) 단부와 상면덮개부(210) 사이의 간격(d)은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 두께를 합친 것보다 작다. 이는 보호구조물(200) 체결시 측면덮개부(220) 단부와 상면덮개부(210) 사이가 벌어지면서 도 4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측면덮개부(220) 단부는 버스바(20) 바닥면에서, 상면덮개부(210)는 전극 리드(30, 40) 상면에서, 즉 용접되어 있는 적층 상태의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의 위, 아래 양면에서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를 탄성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호구조물(200)이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에 체결이 되면 체결 전에 비하여 간격이 멀어진 측면덮개부(220) 단부와 상면덮개부(210)가 원래대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 적층 구조의 양면을 눌러 탄성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측면덮개부(220) 단부와 상면덮개부(210)가 원래대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아오려는 힘은 용접되어 있는 적층 상태의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간을 누르는 힘이다. 이에 따라,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 사이의 들뜸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용접부(50)뿐 아니라 그 주변부까지 밀착시킬 수 있는 보호구조물(200)을 통하여, 부재간 사이 들뜸으로 인해 용접부(50) 끝단 주변에서부터 파손이 일어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As shown in detail in FIG. 5, the distance d between the end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조물의 도면이다.6 is a view of a protectiv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도 보호구조물(200')은 용접부(50)의 상부면을 감싸는 상면덮개부(210)와, 상면덮개부(210)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의 양 측면 및 바닥면을 감싸는 측면덮개부(220)를 포함한다. Here, the
특히, 각 측면덮개부(220) 중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는 벤딩부(230)가 형성되고,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는 각 벤딩부(23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벤딩부(230)를 구비시키는 이유는 측면덮개부(220)만으로 버스바(20) 바닥면을 감싸는 구조에서는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 자체중량에 의해 각 측면덮개부(220) 사이가 벌어져 결합이 자칫 느슨해지고 심한 경우에는 용접부(50) 주변으로 버스바(20)가 휘어지는 문제가 생길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각 측면덮개부(220)의 단부에 벤딩부(230)를 구비시킴에 따라 무게하중을 1차적으로 벤딩부(230)가 지지하므로 하중의 분산으로 인해 각 측면덮개부(220)가 벌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Particularly, bending
도 6에서는 벤딩부(230)가 안쪽으로 구부러진 것을 예로 들었는데 적절한 하중분산 효과를 위해 벤딩부(230)는 안쪽뿐 아니라 바깥쪽을 향한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벤딩부(230)가 버스바(20)를 면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벤딩부(230)가 상면덮개부(210)와 평행하도록 형성하면 강도 보강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게 된다. 벤딩부(230)는 필요에 따라 여러 번 구부려 이중 또는 삼중으로 겹쳐 형성할 수도 있다. In FIG. 6, the bending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조물은 스냅핏 체결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The protecti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have a snap fit fastening structure.
조립 수단들 가운데서 스냅핏 체결구조는 특히 플라스틱 부품의 조립에 가장 적합한 체결방법이다. 이 방법은 플라스틱 부품 자체에 결합될 수 있는(interlocking) 형상을 성형하므로 다른 부품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스냅핏 체결구조는 외팔보형 스냅핏 구조(cantilever snap fit), 고리형 스냅핏 구조(annular snap fit), 비틀림형 스냅핏 구조(torsional snap fit) 등으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외팔보형 스냅핏 구조가 많이 사용된다. 외팔보형 스냅핏 구조는 부품의 기본벽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 끝단에 갈고리 모양(hook) 또는 구슬모양(bead) 등을 구비하여 그와 결합되는 부품이 체결되도록 하는 구조이다.Among the assembly means, the snap fit fastening structure is the most suitable fastening method especially for the assembly of plastic parts. This method forms a shape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plastic part itself so that other parts can be attached. Such snap fit fastening structures are classified into cantilever snap fit structures, annular snap fit structures, and torsional snap fit structures, and generally cantilever snap fit structures. The structure is used a lot. The cantilever snap-fit structure has a hook or a bead at the end of the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base wall of the part to allow the part to be coupled thereto.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구조물의 도면이다. 7 is a view of a protectiv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보호구조물(200”)은 스냅핏 방식으로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를 결합시키는 것이며, 특히 외팔보형 스냅핏 구조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구조물(200”)은 상면덮개부(210”)와 그 양단에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측면덮개부(220”)를 가진다.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의 적층 구조 위로 상면덮개부(210”)를 적용하고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의 적층 구조 측면에서 측면덮개부(220”)를 끼워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 사이를 긴밀하게 결합시킨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보호구조물은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간 용접부(50) 위로 체결되어 용접부(50)를 보호하고 용접부(50) 주위의 전극 리드(30, 40)와 버스바(20)를 결합시켜 사이 들뜸을 방지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on the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조물은 버스바와 전극 리드간의 용접부와 그 주변부까지 밀착시키므로 용접부가 잘 유지되고, 모듈 조립이나 이후 사용시 진동 환경에서도 용접부가 파손되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운용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고장없이 전압 센싱 등 필요한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protecti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osely adheres to the welded portion between the bus bar and the electrode lead and its periphery, the welded portion is well maintained, and thus the welded structure can be stably operated without damaging the welded portion even in a vibration environment during module assembly or use.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smoothly perform necessary tasks such as voltage sensing without failur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술한 배터리 모듈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이 때, 배터리 팩에는 배터리 모듈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배터리 모듈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battery module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battery pack may further include a cas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module, various devices for controlling 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module, such as a BMS, a current sensor, a fuse,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battery modul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은,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The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automobil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vehicle.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schematically.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제조 방법은, 먼저 전극 리드(30, 40)를 절곡하여 절곡부를 형성한다(S110). Referring to FIG. 8, in the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electrode leads 30 and 40 are bent to form a bent portion (S110).
다음으로, 전극 리드(30, 40)를 서로 절곡부가 겹쳐지도록 하고 이러한 절곡부의 겹쳐진 부분에 버스바(20)를 면접촉시킨다(S120). Next, the bent portions of the electrode leads 30 and 40 overlap each other, and the
그리고 나서, 겹쳐진 2개의 전극 리드(30, 40) 및 버스바(20)를 레이저 용접시킨다(S130). Then, the two overlapping electrode leads 30 and 40 and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S130 단계는, 레이저 용접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tep S130 may be performed by laser welding.
이후, 용접부(50) 위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조물(200, 200' 또는 200”)을 체결시킨다(S140). Thereafter, the
보호구조물(200, 200' 또는 200”)은 간단한 구조 및 체결 방법에 의하여 용접부(50) 위로 추가할 수 있으므로 이차 전지의 전압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구조나 모듈, 팩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며, 이차 전지에 연결시키는 조립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Sinc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Meanwhile, terms used to indicate directions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are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these terms are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object or the location of the observer.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5 : 이차 전지 10 : 센싱 블록
15 : 이차 전지 적층체 20 : 버스바
30, 40 : 전극 리드 50 : 용접부
100 : 배터리 모듈 200, 200', 200” : 보호구조물
210, 210” : 상면덮개부 220, 220” : 측면덮개부
230 : 벤딩부5: secondary battery 10: sensing block
15
30, 40: electrode lead 50: weld
100:
210, 210 ”: Top cover
230: bending part
Claims (20)
상기 이차 전지의 전압을 센싱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 리드와 용접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와 연결된 PCB를 포함하는 전압 센싱 구조; 및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의 용접부 위로 체결되어 상기 용접부를 보호하고 상기 용접부 주위의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를 결합시켜 사이 들뜸을 방지하는 보호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리드는 상기 버스바 양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스바 위로 상기 절곡부가 서로 겹쳐져 상기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용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구조물은 상기 용접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용접부의 상부면을 감싸는 상면덮개부와, 상기 상면덮개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접부 위 아래쪽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용접부 주변에서 겹쳐져 있는 상기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양 측면 및 바닥면을 감싸는 측면덮개부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상기 보호구조물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용접부의 상부면과 상기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바닥면 양면에서 탄성지지하는 것이거나, 스냅핏 방식으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A secondary battery laminate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including an electrode lead laminated;
A voltage sensing structure including a bus bar welded to the electrode lead and a PCB connected to the bus bar to sense a voltage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And a protective structure fastened over the welding part of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to protect the welding part and to prevent the lifting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around the welding part.
The electrode lead is bent from both sides of the bus bar to form a bent portion, wherein the bent portions overlap each other over the bus bar, and the welding portion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s bar.
The protective structure is formed along the welding part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welding part, and the electrode lid and the bus bar overlapping around the welding part by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part and being formed above the welding part. The structure includes a side cover portion surrounding both sides and the bottom surface,
The protective structure is elastically deformed and elastical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eld and the bottom of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or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upling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in a snap-fit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905A KR102077272B1 (en) | 2015-09-14 | 2015-09-14 | Battery module and protecting structure applied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905A KR102077272B1 (en) | 2015-09-14 | 2015-09-14 | Battery module and protecting structure applied for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2098A KR20170032098A (en) | 2017-03-22 |
KR102077272B1 true KR102077272B1 (en) | 2020-02-13 |
Family
ID=5849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9905A KR102077272B1 (en) | 2015-09-14 | 2015-09-14 | Battery module and protecting structure applied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727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5342B1 (en) * | 2017-04-26 | 2020-03-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n electrode lead for a secondary battery,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
KR102157377B1 (en) | 2017-05-25 | 2020-09-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battery module |
KR102364410B1 (en) | 2017-09-04 | 2022-02-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Battery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
KR102172519B1 (en) * | 2017-10-11 | 2020-10-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us bar assembly for connecting electrode lead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KR102354401B1 (en) * | 2018-04-25 | 2022-01-2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US11217847B2 (en) * | 2018-04-27 | 2022-01-04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Polymer-based enclosure assemblies for electrified vehicle battery packs |
KR102705298B1 (en) * | 2018-10-16 | 2024-09-0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Pcb module with bimetal, battery pack containing pcb module with bimetal, icb board containing pcb module with bimeta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10219A (en) * | 2012-12-04 | 2014-06-12 | Nissan Motor Co Ltd |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PL386823A1 (en) * | 2008-12-16 | 2010-06-21 | Impact Automotive Technologies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 Method of connection of the electric cells poles and the connector of electric cells poles |
RU2592786C2 (en) * | 2009-11-09 | 2016-07-27 | Энердел, Инк. | Scalable battery module |
KR101301348B1 (en) * | 2011-12-28 | 2013-08-29 |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 Busbar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
2015
- 2015-09-14 KR KR1020150129905A patent/KR10207727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10219A (en) * | 2012-12-04 | 2014-06-12 | Nissan Motor Co Ltd |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2098A (en) | 2017-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7272B1 (en) | Battery module and protecting structure applied for the same | |
KR102017237B1 (en) | Battery module | |
EP3076456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US9023498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1182283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EP2357685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US8734974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US7981540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1509474B1 (en) | Battery Assembly Having Single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Part | |
US10553836B2 (en) |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 |
KR102034206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KR20150062777A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EP1928044B1 (en) | Connection cap for a rechargeable battery | |
CN101490871A (en) |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 |
JP6793841B2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it and automobile | |
EP3154108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 |
KR102063935B1 (en) | Battery Module | |
US9240618B2 (en) |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 |
KR20120028078A (en) | Rechargeable battery | |
JP6685329B2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JP5396422B2 (en) | Secondary battery | |
KR102468028B1 (en) | Battery module | |
KR20210095388A (en) | Battery Cell Assembly With Increased Shock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797694B1 (en) | Battery Pack Having Small PCM | |
KR101658587B1 (en) |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