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587B1 -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 - Google Patents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587B1
KR102063587B1 KR1020180166196A KR20180166196A KR102063587B1 KR 102063587 B1 KR102063587 B1 KR 102063587B1 KR 1020180166196 A KR1020180166196 A KR 1020180166196A KR 20180166196 A KR20180166196 A KR 20180166196A KR 102063587 B1 KR102063587 B1 KR 102063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detection
tube
leak
heat exchang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영
최성호
정환수
정민환
정광일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16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preventing leak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 교환기의 튜브들이 형성된 튜브 사이드에 부착시킬 수 있고 길이가 무선신호에 의하여 신축되도록 형성되는 리크 탐지 봉과, 상기 리크 탐지 봉의 상단에 튜브의 누출 증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리크 탐지 확증부와, 상기 리크 탐지 봉과 리크 탐지 확증부를 무선 신호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시에 리크 탐지 봉과 리크 탐지 확증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으로 운용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발전소 및 화학플랜트 설비 등의 산업 플랜트 설비에서 각종 기기의 열 교환을 위한 열 교환기를 운용하는 중에 열 교환기의 경년 열화에 의한 튜브의 누설 징후 발견 시 단위 별 기기를 일시 정지시킨 후에 리크가 발생한 튜브를 신속하게 찾아 마감함으로써, 열 교환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The Device for Heat Exchange Tube Leak of Detecting}
본 발명은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발전소 및 화학플랜트 설비 등의 산업 플랜트 설비에서 각종 기기의 열 교환을 위한 열 교환기를 운용하는 중에 열 교환기의 경년 열화에 의한 튜브의 누설 징후가 발생하는데, 이때 단위 기기 별로 일시 정지시킨 상태에서 리크가 발생한 튜브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 것은 물론 리크 부위를 정확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 교환기의 효율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는, 이미 널리 개시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공개특허 제10-2002-0064043호 "복수기 및 열교환기 튜브 누출부위 확인방법”등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한 "복수기 및 열교환기 튜브 누출부위 확인방법”은, PVC 필름 또는 창호지를 사용하는 방법, 비누거품을 사용하는 방법, ECT(Eddy current test)방법, 업력계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들은 작업성이 나쁘고, 미세한 누수 포인트를 찾기 어려우며, 튜브 sheet와 튜브 사이의 확관 부위에 대한 누출 포인트와 복수기 케이스의 누출 포인트를 신속하게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화력 발전소의 터빈 및 보일러 설비 등에 Auxiliary Cooling Water Heat exchanger, Condenser, TBN I.O Cooler, Condenser Vacuum P/P 등의 열 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열 교환기는 운전 중 관수에 염소 유입 및 Scale 또는 오일 슬러지에 의한 부식과 열 교환기의 장기간 사용으로 튜브에서 누출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튜브의 리크 시 이를 찾기 위하여 상기한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지만 육안으로 리크가 발생한 튜브를 신속 정확하게 식별하기가 불편한 점이 있다. 특히, 하 절기에는 튜브 측에 인체에 유해한 가스와 유기물 부패가스, 화학설비 가스가 잔류하였다가 작업자에게 노출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해칠 수도 있는 우려가 있다. 한편, 열 교환기 쉘사이드의 벤트라인에는 헬륨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튜브 사이의 드레인 라인에는 헬륨가스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를 연결하면, 튜브의 리크 여부는 알 수 있으나 리크가 발생한 튜브는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공개특허 제10-2002-0064043호 "복수기 및 열교환기 튜브 누출부위 확인방법" (공고 2002.08.0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발전소 및 화학플랜트 설비 등의 산업 플랜트 설비에서 각종 기기의 열 교환을 위한 열 교환기를 운용하는 중에 열 교환기의 경년 열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튜브의 누설 징후 시 신속하게 찾아 막음 처리 또는 교체하여 열교환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튜브의 리크 징후 발견 시 단위 기기 별로 일시 정지시킨 다음 리크가 발생한 튜브를 열 교환기에서 찾아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조종할 수 있는 센서 가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누설 징후가 있는 튜브를 리크 감지센서로 확인하고 카메라로 촬영하여 리크 부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 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 교환기의 튜브들이 형성된 튜브 사이드에 부착시킬 수 있고 길이가 무선신호에 의하여 신축되도록 형성되는 리크 탐지 봉과, 상기 리크 탐지 봉의 상단에 튜브의 누출 증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리크 탐지 확증부와, 상기 리크 탐지 봉과 리크 탐지 확증부를 무선 신호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시에 리크 탐지 봉과 리크 탐지 확증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으로 운용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크 탐지 봉은, 튜브의 튜브 사이드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자성체 판과, 상기 자성체 판에 틸팅 손잡이로 좌우 틸팅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유니버설 조인트구조로 형성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일 측 단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 상에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면서 상단에 리크 탐지 확증부가 설치되는 신축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크 탐지 확증부는, 상기 신축대의 상단에 튜브의 누출을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누출 감지센서와, 상기 누출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튜브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및 튜브를 비출 수 있도록 설치되는 LED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리크 탐지 봉의 액츄에이터 및 제어부와 무선통신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작 몸체와, 상기 조작 몸체 상부에 신축대를 신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조정 스틱과, 상기 조정 스틱의 일 측에 누출 감지센서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센서 스위치와, 카메라의 촬영을 온/오프시키는 카메라 스위치와, LED램프의 점등을 온/오프시키는 램프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리크 탐지 봉을 통해 리크 탐지 확증부와 케이블로 연결되면서 전원이 인가되는 제어 박스와, 상기 제어 박스의 전면에 누출 감지센서에 의한 검출 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튜브 리크 검출 표시창과, 상기 튜브 리크 검출 표시창의 일 측에 누출 감지센서의 위치를 표시할 있도록 한 센서 위치 표시창과, 상기 센서 위치 표시창의 일 측에 누출 감지센서가 감지하는 튜브를 촬영한 카메라 영상을 보여주도록 한 영상 표시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에는, 신축대의 신장과 수축에 따라 이동한 누출 감지센서의 해당 위치에 있는 튜브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자가 표시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엑츄에이터에는, 누출 감지센서의 위치 선정에 따라 신축대의 신축 시 케이블의 견인과 이완이 용이하도록 라운드형태로 안내공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에 의하면, 발전소 및 화학플랜트 설비 등의 산업 플랜트 설비에서 각종 기기의 열 교환을 위한 열 교환기를 운용하는 중에 열 교환기의 경년 열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튜브의 누설 징후 시 신속하게 찾아 막음 처리 또는 교체하여 열교환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의 리크 징후 발견 시 단위 기기 별로 일시 정지시킨 다음 리크가 발생한 튜브를 열 교환기에서 찾아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에서 조종할 수 있는 센서 가이드의 길이를 조절해 가면서 누설 징후가 있는 튜브를 리크 감지센서로 확인하고 카메라로 촬영하여 리크 부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 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리크 탐지 확인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센서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가 튜브 사이드에 설치됨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D)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4)의 튜브(6)들이 형성된 튜브 사이드(10)에 부착시킬 수 있고 길이가 무선신호에 의하여 신축되도록 형성되는 리크 탐지 봉(20)과, 상기 리크 탐지 봉(20)의 상단에 튜브(6)의 누출 증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리크 탐지 확증부(40)와, 상기 리크 탐지 봉(20)과 리크 탐지 확증부(40)를 무선 신호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60)와, 상기 조작부(60)의 조작 시에 리크 탐지 봉(20)과 리크 탐지 확증부(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으로 운용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리크 탐지 봉(2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6)의 튜브 사이드(10)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자성체 판(20a)과, 상기 자성체 판(20a)에 틸팅 손잡이(22)로 좌우 틸팅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유니버설 조인트구조(20b)로 형성되는 연결체(20c)와, 상기 연결체(20c)의 일 측 단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20d)와, 상기 액츄에이터(20d) 상에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면서 상단에 리크 탐지 확증부(40)가 설치되는 신축대(20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리크 탐지 봉(20)은 튜브(6)의 튜브 사이드(10)에 자성체 판(20a)으로 부착된다. 자성체 판(20a)은 열 교환기(4)의 튜브 사이드(10)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틸팅 손잡이(22)로 회전시켜도 유니버설조인트구조(20b)만 움직이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틸팅손잡이(22)를 회전시키면 유니버설조인구조(20b)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유니버설조인트구조(20b)의 조작은, 자성체 판(20a)과 액츄에이터(20d) 사이의 중간 연결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십자형 형태의 연결체(20C)에 의하여 틸팅손잡이(22)의 조작에 의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틸팅 손잡이(22)를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유니버설조인트구조(20b)의 일측에 설치된 액츄에이터20)의 상부에 설치된 신축대(20e)의 길이 조절과 원주방향으로 회전조절을 통해 기울기 조절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20d)의 제어를 통해 리크 탐지 확증부(40)의 위치 선정에 따른 신축대(20e)의 신축 길이 조정을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리크 탐지 확증부(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대(20e)의 상단에 튜브(6)의 누출을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누출 감지센서(40a)와, 상기 누출 감지센서(40a)에 의하여 감지된 튜브(6)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카메라(40b)와, 상기 카메라(40b)의 촬영 및 튜브(6)를 비출 수 있도록 설치되는 LED램프(4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리크 탐지 확증부(40)로는, 리크 튜브(6)를 찾을 LED램프(40c)를 켠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도 있고 틸팅 손잡이(22)를 잡고 좌우로 움직일 수도 있어서 탐지가 쉬우며, 리크 튜브(6)를 찾은 다음에는 카메라(40b)로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60)는, 리크 탐지 봉(20)의 액츄에이터(20d) 및 제어부(80)와 무선통신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작 몸체(60a)와, 상기 조작 몸체(60a) 상부에 신축대(20e)를 신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조정 스틱(60b)과, 상기 조정 스틱(60b)의 일 측에 누출 감지센서(40a)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센서 스위치(60c)와, 카메라(40b)의 촬영을 온/오프시키는 카메라 스위치(60d)와, LED램프(40c)의 점등을 온/오프시키는 램프 스위치(60e)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크 탐지 봉(20)을 통해 리크 탐지 확증부(40)와 케이블(80a)로 연결되면서 전원이 인가되는 제어 박스(80b)와, 상기 제어 박스(80b)의 전면에 누출 감지센서(40a)에 의한 검출 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튜브 리크 검출 표시창(80c)과, 상기 튜브 리크 검출 표시창(80c)의 일 측에 누출 감지센서(40a)의 위치를 표시할 있도록 한 센서 위치 표시창(80d)과, 상기 센서 위치 표시창(80d)의 일 측에 누출 감지센서(40a)가 감지하는 튜브(6)를 촬영한 카메라(40b) 영상을 보여주도록 한 영상 표시창(80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블(80a)에는, 신축대(20e)의 신장과 수축에 따라 이동한 누출 감지센서(40a)의 해당 위치에 있는 튜브(6)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자(90)가 표시되어 있다. 즉, 신축대(20e)의 높낮이에 따라 길이가 변경되는 케이블(80a)의 눈금자(90)는 리크 튜브(6)의 위치를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20d)에는, 누출 감지센서(40a)의 위치 선정에 따라 신축대(20e)의 신축 시 케이블(80a)의 견인과 이완이 용이하도록 라운드형태로 안내공(9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안내공(92)은 케이블(80a)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신축대(20e)의 신축 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사용 예를 도 과 도 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발전소, 오일 취급계통, 화학설비 등의 열 교환기(4)에서 튜브(6)의 리크 징후가 발생하면, 열 교환기(4)에 연결되어 있는 물 공급 관로(P)상의 물+에어 공급밸브(V1)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물+에어가 공급되고 있는 물 공급 관로(P)의 압력은 물 공급 관로(P) 상에 설치된 압력 게이지(G)를 보고 체크한다. 이후 물 공급 관로(P)상의 통기 밸브(V2)와 차단 밸브(V3)도 개방시켜 열 교환기(4)에 물+에어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열 교환기(4)에서 드레인 밸브(V4)는 모두 차단시킨 상태로 둔다.
그리고 나서 리크 탐지 확증부(40)를 상단에 형성하고 있는 리크 탐지 봉(20)을 튜브 사이드(10)에 자성체 판(20a)을 이용하여 부착시켜 설치한다. 이때 유니버설 조인트구조(20b)에서 연결체(20c)로 연결된 연결체(20c)를 이용하여 꺽은 다음 튜브 사이드(10)와 나란히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그리고 십자형태의 연결체(20c)에 연결되는 연결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틸팅 손잡이(22)를 잡고 좌우로 회전시키면 신축대(20e)의 기울기 자세를 조정하여 재설정할 수 도 있다. 그리고 나서 리크 탐지 확증부(40)에 연결되고 신축대(20e) 내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80a)은 제어부(80)의 제어박스(80b)에 연결한다. 그리고 리크 탐지 봉(20)의 길이 제어와 리크 탐지 확증부(40)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60)를 준비한다. 조작부(60)의 준비로 작업자는 열 교환기(4)의 튜브 사이드(10)에 위치하지 않고 원거리에서도 튜브 누툴 탐지 작업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D)를 튜브(6) 사이에 설치하여 튜브(6)의 누출을 탐지할 수 있는 준비가 되면, 조작부(60)의 조정 스틱(60b)을 전진 또는 후퇴시켜 가면서 튜브(6) 중에 누출 징후가 있는 튜브(6)를 누출 감지센서(40a)가 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램프 스위치(60e)를 눌러 LED램프(40c)를 점등시켜 제어 박스(80b)의 영상 표시창(80e)을 통해 어두운 곳까지 보면서 점검하고 또한, 제어 박스(80b)의 튜브 리크 검출 표시창(80c)까지 동시에 보면서 작업을 한다.
이러한 튜브(6) 리크를 검사하다가 튜브 리크 검출 표시창(80c)에 누출이 표시되면, 조정 스틱(60b)을 멈추고 센서 위치 표시창(80d)에서 센서 위치를 확인한다. 이어서 조작부(60)상의 카메라 스위치(60d)를 누르면 따로 램프 스위치(60e)를 누르지 않아도 LED램프(40c)가 점등되고 튜브(6)를 비추게 됨에 따라 카메라(40d)는 누출이 확인된 튜브(6)를 선명한 화질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D)를 이용하여 누출 징후가 있는 튜브(6)를 탐지하게 되면, 튜브 리크 검출 표시창(80c), 센서 위치 표시창(80d), 영상 표시창(80e)에 표시된 정보를 이용하면 열 교환기(4)에서 해당 튜브(6)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그리고 누출 징후가 있는 튜브(6)에서 누출 부위도 간단히 확인할 수 있어서 해당 튜브(6)를 교체하거나 보수작업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4: 열 교환기 6: 튜브
10: 튜브 사이드 20: 리크 탐지 봉
20a: 자성체 판 22: 틸팅 손잡이
20b: 유니버설 조인트구조 20c: 연결체
20d: 액츄에이터 20e: 신축대
40: 리크 탐지 확증부 40a: 누출 감지센서
40b: 카메라 40c: LED램프
60: 조작부 60a: 조작 몸체
60b: 조정 스틱 60c: 센서 스위치
60d: 카메라 스위치 60e: 램프 스위치
80: 제어부 80a: 케이블
80b: 제어 박스 80c: 튜브 리크 검출 표시창
80d: 센서 위치 표시창 80e: 영상 표시창
90:눈금자 92:안내공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열 교환기(4)의 튜브(6)들이 형성된 튜브 사이드(10)에 부착시킬 수 있고 길이가 무선신호에 의하여 신축되도록 형성되되, 튜브(6)의 튜브 사이드(10)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자성체 판(20a)과, 열 교환기(4)의 튜브 사이드(10)에 부착되는 자성체 판(20a)에 틸팅 손잡이(22)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연결되고 신축대(20e)를 상부에 설치한 액츄에이터(20)의 하부에 일정 길이로 연결되며 상기 틸팅 손잡이(22)를 회전시킬 때 신축대(20e)로 하여금 기울기와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 조절이 가능하도록 자성체 판(20a)과 액츄에이터(20d)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유니버설조인트구조(20b)내에서 서로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십자형태의 연결체(20c)와, 상기 연결체(20c)에 일정 길이로 연결되는 부분의 상부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20d)와, 상기 액츄에이터(20d) 상에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면서 상단에 리크 탐지 확증부(40)가 설치되는 신축대(20e)를 포함한 리크 탐지 봉(20)과;
    상기 리크 탐지 봉(20)의 상단에 튜브(6)의 누출 증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신축대(20e)의 상단에 튜브(6)의 누출을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누출 감지센서(40a)와, 상기 누출 감지센서(40a)에 의하여 감지된 튜브(6)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카메라(40b)와, 상기 카메라(40b)의 촬영 및 튜브(6)를 비출 수 있도록 설치되는 LED램프(40c)를 포함한 리크 탐지 확증부(40)와;
    상기 리크 탐지 봉(20)과 리크 탐지 확증부(40)를 무선 신호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리크 탐지 봉(20)의 액츄에이터(20d) 및 제어부(80)와 무선통신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작 몸체(60a)와, 상기 조작 몸체(60a) 상부에 신축대(20e)를 신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조정 스틱(60b)과, 상기 조정 스틱(60b)의 일 측에 누출 감지센서(40a)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센서 스위치(60c)와, 카메라(40b)의 촬영을 온/오프시키는 카메라 스위치(60d)와, LED램프(40c)의 점등을 온/오프시키는 램프 스위치(60e)를 포함한 조작부(60)와;
    상기 조작부(60)의 조작 시에 리크 탐지 봉(20)과 리크 탐지 확증부(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으로 운용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는,
    리크 탐지 봉(20)을 통해 리크 탐지 확증부(40)와 케이블(80a)로 연결되면서 전원이 인가되는 제어 박스(80b)와,
    상기 제어 박스(80b)의 전면에 누출 감지센서(40a)에 의한 검출 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튜브 리크 검출 표시창(80c)과,
    상기 튜브 리크 검출 표시창(80c)의 일 측에 누출 감지센서(40a)의 위치를 표시할 있도록 한 센서 위치 표시창(80d)과,
    상기 센서 위치 표시창(80d)의 일 측에 누출 감지센서(40a)가 감지하는 튜브(6)를 촬영한 카메라(40b) 영상을 보여주도록 한 영상 표시창(80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80a)에는,
    신축대(20e)의 신장과 수축에 따라 이동한 누출 감지센서(40a)의 해당 위치에 있는 튜브(6)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자(90)가 표시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20d)에는,
    누출 감지센서(40a)의 위치 선정에 따라 신축대(20e)의 신축 시 케이블(80a)의 견인과 이완이 용이하도록 라운드형태로 안내공(92)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
KR1020180166196A 2018-12-20 2018-12-20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 KR102063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196A KR102063587B1 (ko) 2018-12-20 2018-12-20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196A KR102063587B1 (ko) 2018-12-20 2018-12-20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587B1 true KR102063587B1 (ko) 2020-01-09

Family

ID=6915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196A KR102063587B1 (ko) 2018-12-20 2018-12-20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5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3938A (zh) * 2021-04-21 2022-06-28 天圜工程有限公司 一种管道维护用管道内部信息探测装置
KR20230047707A (ko) 2021-10-01 2023-04-10 주식회사 무하기술 튜브 가스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99815A (ko) 2021-12-28 2023-07-0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복수기의 세관용 미세 누설 검출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미세 누설 검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508B1 (ko) * 1996-10-31 2000-09-15 벨 주니어 로버트 에스. 로봇작업셀의온라인조정
JP2014055844A (ja) * 2012-09-12 2014-03-27 Mitsubishi Heavy Ind Ltd 漏洩箇所検知装置
KR101490773B1 (ko) * 2013-12-16 2015-02-06 주식회사 포스코 고소 철 구조물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508B1 (ko) * 1996-10-31 2000-09-15 벨 주니어 로버트 에스. 로봇작업셀의온라인조정
JP2014055844A (ja) * 2012-09-12 2014-03-27 Mitsubishi Heavy Ind Ltd 漏洩箇所検知装置
KR101490773B1 (ko) * 2013-12-16 2015-02-06 주식회사 포스코 고소 철 구조물 검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3938A (zh) * 2021-04-21 2022-06-28 天圜工程有限公司 一种管道维护用管道内部信息探测装置
KR20230047707A (ko) 2021-10-01 2023-04-10 주식회사 무하기술 튜브 가스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99815A (ko) 2021-12-28 2023-07-0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복수기의 세관용 미세 누설 검출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미세 누설 검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587B1 (ko) 열 교환기 튜브의 누출 탐지장치
JP2019217625A (ja) 軸類パーツの加工装置
US5305356A (en) Inspection device
CN102262348A (zh) 光学检测装置
CN101201245A (zh) 金属材料在高温力学试验中的变形测量方法及观测仪器
CN109227352B (zh) 一种基板缺陷修复方法及系统
CN217739490U (zh) 基因测序仪及其运动台模组的定位精度检测设备
CN207923625U (zh) 一种用于疲劳测试样品的质量检测系统
WO2005085812A1 (ja) 被写体の検査部位の撮影方法および撮影装置
CN116168085A (zh) 调试方法、调试装置、调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50017724A (ko) 원자로 내부 검사장치
JP3124895U (ja) 管路点検カメラ
CN108362729A (zh) 一种用于膨胀土现场判别的装置
CA24764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ment equipment in a steel mill
CN111458336B (zh) 全自动内面内视检查系统
CN108645869B (zh) 凹印版辊表面缺陷智能检测的非缺陷排除方法及其装置
CN205506720U (zh) 检测工字型焊件缺陷的x射线实时成像检测系统
TW201816926A (zh) 通用校準配接器
JPH03128443A (ja) 管内検査装置
JP6512583B2 (ja) 管材内面自動検査装置
JP3749337B2 (ja) レーザ加工機における製品検査方法および加工プログラム修正方法並びにレーザ加工機
CN218974191U (zh) 进油座锥面划伤检测设备
CN115541612B (zh) 一种数据采集终端
KR20150029114A (ko) 내시경 카메라를 갖는 라인업 클램프 장치
CN217587012U (zh) 一种罐体缝隙热成像检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