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549B1 - 천연산을 이용한 과일박 유래 펙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산을 이용한 과일박 유래 펙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549B1
KR102063549B1 KR1020180052386A KR20180052386A KR102063549B1 KR 102063549 B1 KR102063549 B1 KR 102063549B1 KR 1020180052386 A KR1020180052386 A KR 1020180052386A KR 20180052386 A KR20180052386 A KR 20180052386A KR 102063549 B1 KR102063549 B1 KR 102063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ctin
fruit
extraction
acid
le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3473A (ko
Inventor
김현수
조경숙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헵시바 에프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헵시바 에프엔비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헵시바 에프엔비
Publication of KR2019011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45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alpha-D-Galacturonans, e.g. methyl ester of (alpha-1,4)-linked D-galacturonic acid units, i.e. pectin, or hydrolysis product of methyl ester of alpha-1,4-linked D-galacturonic acid units, i.e. pecti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45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alpha-D-Galacturonans, e.g. methyl ester of (alpha-1,4)-linked D-galacturonic acid units, i.e. pectin, or hydrolysis product of methyl ester of alpha-1,4-linked D-galacturonic acid units, i.e. pecti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48Processes of extraction from 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산을 이용한 산분해 추출법에 의하여 과일박으로부터 고수율의 펙틴을 최적의 방법으로 추출 가능한 과일박 유래 펙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량의 유독성 물질을 사용함에 따라 별도의 설비가 요구되는 종래 제조 공정의 한계에서 벗어나, 고효율 저비용의 환경 친화적인 펙틴 추출이 가능하다. 이로써 펙틴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펙틴의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안정성이 높은 펙틴의 제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천연산을 이용한 과일박 유래 펙틴 및 그 제조방법{Pectin extracted from fruit foil using natural acids and their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천연산을 이용한 과일박 유래 펙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산을 이용한 산분해 추출법에 의하여 과일박으로부터 고수율의 펙틴을 최적의 방법으로 추출 가능한 과일박 유래 펙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업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과일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과일의 이용성 증대가 산업적으로 확장되었고, 과일 쥬스, 과일 술 등의 가공품의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부산물 또는 폐기물로 생성되는 과피와 찌꺼기 등이 발생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과피에는 플라보노이드와 펙틴 등의 유효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펙틴이란 식물체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성분으로 알코올과 아세트산에는 녹지 않으며, 적당한 양의 산과 당의 존재 하에서 젤을 형성하는 능력이 있는 물질로, 분자 속 유기산기의 일부가 메틸에스터로 되어 있는 폴리갈락토유론산이다. 따라서 펙틴은 펙티니산(pectinic acid) 또는 펙티닉산의 중성염, 산성염 또는 혼합물들에 대한 일반명이라고 할 수 있다.
펙틴의 이용은 현재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등의 젤화제, 안정제, 점증제 등으로 사용되며 첨가제의 기능 외의도 인체에 미치는 특수한 기능은 구조적 입체적인 특성에 의해 혈당치 감소, 콜레스테롤치의 저하, 만복감으로 인한 과식 방지, 체내 독성물질 및 중금속 제거 및 면역기능 강화 등의 효과가 밝혀져 있다.
한편, 펙틴의 추출에 대하여 여러가지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알코올로 플라보노이드 등의 오일 물질을 제거한 후 산, 염기 물질에 의하여 펙틴을 추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는 많은 양의 산, 염기 물질과 유기용매가 다량 사용되어지므로, 산업 폐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환경적 처리 기반이 동반되어야만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생물학적으로 효소를 이용한 펙틴의 추출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산, 염기, 유기 용매 등의 독성물질의 사용을 배제한 펙틴의 추출이 가능하지만, 효소의 활성도가 낮아 산업적 이용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화학적 추출 용매가 아닌 천연 유래의 강산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과일박으로부터 고수율의 펙틴을 추출 가능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환경적, 수율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추출용매로서, 산, 염기 및 유기 용매 등 독성물질의 사용을 배제하여 친환경적이고, 고수율로 추출 가능한 펙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펙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과일박으로부터 추출된 펙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산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산분해 추출된 과일박 유래 펙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따른 과일박 유래 펙틴에 있어서, 상기 천연산 추출 용매는 레몬산 및 구연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몬산 및 구연산은 천연산으로서, 이를 이용한 산분해 추출 시, 화학적 추출 용매를 사용한 추출보다 우수한 추출 수율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레몬산은 레몬으로부터 추출한 농축액을 증류수와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과일박 유래 펙틴에 있어서, 상기 레몬산은 레몬농축액과 증류수를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몬농축액은 증류수와 혼합하여 그 농도를 희석함으로써, 산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과일박 유래 펙틴에 있어서, 상기 천연산 추출 용매는 pH 값이 2 내지 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따른 과일박 유래 펙틴에 있어서, 상기 산분해 추출은 과일박을 상기 천연산 추출 용매에 침지하여, 50 내지 110 ℃에서 30 내지 120분 동안 추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10 ℃에서 60 내지 120분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 ℃에서 80 내지 100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건조과일박을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건조과일박에 천연산 추출 용매를 20: 1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산분해 추출하여 펙틴 추출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펙틴 추출물이 50 내지 60 ℃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d) 상기 냉각된 펙틴 추출물을 여과시킨 뒤, 6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는 단계;
e) 상기 상등액에 95% 에탄올을 1:2의 부피비로 첨가하여 침전분리하고, 침전물을 얻는 단계;
f) 상기 침전물을 6000 rpm에서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여과 잔사에 주정 알코올을 1:2의 부피비로 첨가하여 상기 여과 잔사를 복수회 세척하는 단계; 및
g) 상기 세척된 여과 잔사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일박 유래 펙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박 유래 펙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건조과일박은 0.5 mm 이하로 분쇄된 사과박, 레몬박, 감귤박, 오렌지박, 무화박 및 배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박 유래 펙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천연산 추출 용매는 레몬산 및 구연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박 유래 펙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몬산은 레몬농축액과 증류수를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박 유래 펙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연산 추출 용매는 pH 값이 2 내지 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박 유래 펙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산분해 추출은 상기 과일박을 천연산 추출 용매에 침지하여, 50 내지 110 ℃에서 30 내지 12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온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과일박으로부터 펙틴의 추출 수율이 낮으며, 상기의 온도 범위보다 높은 경우, 에너지 사용 대비 추출 수율이 낮아, 일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시간 범위보다 짧은 경우 역시, 펙틴의 추출 수율이 낮으며, 상기의 시간 범위보다 긴 경우, 추출된 펙틴의 명도, 색도 등의 차이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산분해 추출은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10 ℃에서 60 내지 120분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 ℃에서 80 내지 100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산을 이용한 산분해 추출법에 의하여 펙틴을 제조함으로써, 다량의 유독성 물질을 사용함에 따라 별도의 설비가 요구되는 종래 제조 공정의 한계에서 벗어나, 고효율 저비용의 환경 친화적인 펙틴 추출이 가능하다. 이로써 펙틴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펙틴의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펙틴은 중금속, 방사성 금속의 양이온 독성 예방치료, 장질환, 간장질환 등의 예방치료 물질로서 사용 가능하며, 종래 화학적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펙틴에 비하여 체내 안정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과일박 유래 펙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과일박 유래 펙틴으로, a)는 실시예 11(레몬농축액과 증류수의 5 : 5 혼합)의 추출 용매를, b)는 실시예 7(레몬농축액과 증류수의 6 : 4 혼합)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펙틴의 실물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과일박 유래 펙틴으로, a)는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산분해 추출되는 과정의 실물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과일박 유래 펙틴의 추출 수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사과박 유래, b)는 레몬박 유래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험예 1. 추출 용매별 펙틴의 추출 수율 분석
과일박(사과박, 레몬박) 종류별로 산업용 펙틴의 적합한 추출조건을 선발하기 위해 수소이온농도가 다른 3가지의 용매(알칼리성 용매인 0.05N NaOH 추출, 중성용매인 95% Alcohol 추출, 산성용매인 0.05N HCL)를 이용하여 사과박, 레몬박 각각에 대하여 펙틴을 추출하고, 추출수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처리조건 과일박 추출량 펙틴생산량 추출
수율
(%/100g)
수분량
(%, D.B.)
실무게
(g_)
수분량
(%, D.B.)
실무게
(g_)
사과박 95% Alcohol 13.87 83.13 0.00 0.00 0.00
0.05N HCl 5.97 2.09 2.43
0.05N NaOH 0.00 0.00 0.00
레몬박 95% Alcohol 12.80 87.20 0.00 0.00 0.00
0.05N HCl 15.00 17.00 19.50
0.05N NaOH 0.00 0.00 0.00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칼리성 용매인 0.05N NaOH와 중성용매인 95% Alcohol 를 이용한 추출에서는 펙틴이 거의 추출되지 않는 반면, 산성 용매인 0.05N HCl 을 이용한 추출에서는 사과박 2.43%, 레몬박 19.5%의 추출 수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펙틴의 추출 용매로는 산성 용매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추출 수율이 가장 우수한 0.05N HCl 로 추출된 펙틴의 산도, 당도 및 색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펙틴산도
(pH)
펙틴당도
(Brix。)
펙틴색도(Hunter color value)
명도
(L)
적색도
(a)
황색도
(b)
사과박 3.57 14.27 82.25 3.34 26.63
레몬박 3.91 18.47 94.05 0.62 6.91
실험예 2. 추출 용매별(천연산 종류별) 펙틴의 추출 수율 분석
2-1. 천연산의 준비
과일박으로부터 펙틴을 친환경적으로 산처리 추출하기 위하여, 추출 용매로서 천연산을 준비하였다. 상기 천연산은 레몬농축액으로, 수증기증류추출기에서 레몬 생과 10㎏과 정제수 25L를 넣어 증류 추출하였다. 연속 증류추출조건하에서 하이드로졸 20L를 생산하고 남은 증류된 농축액이 5L가 생산되도록 하여 천연산의 레몬농축액의 농도가 동일하게 하였다.
상기 증류 추출한 레몬농축액은 pH 3이고, 당도는 0.03(°Brix)로서 당이 거의 없어 산분해용 용매로서 매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2-2. 천연산을 이용한 펙틴의 추출
레몬 농축액과 구연산을 하기 표 3의 실시예 1 내지 7과 같이, 산도를 조절하여 펙틴 추출 용매로서 준비하였다. 아울러, 비교예로서 종래 산분해 추출 용매인 HCl을 비교예 1 내지 4와 같이, 산도별로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사과박으로부터 펙틴의 추출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추출 방법은 다음의 공정을 따른다.
1)건조사과박을 준비하고, 이를 0.5 mm 이하로 분쇄시켰다.
2)상기 분쇄된 건조사과박과 추출 용매를 20: 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110℃에서 90분 동안 추출한 후, 펙틴 추출물을 얻었다.
3)상기 펙틴 추출물이 50 내지 60℃의 온도가 될 때까지 냉각시켰다.
4)상기 냉각된 펙틴 추출물을 여과시킨 뒤, 6000rpm에서 상등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었다.
5)상기 상등액에 95% 에탄올을 1:2의 부피비로 첨가하여 침전시켰다.
6)상기 침전물을 6000rpm에서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여과 잔사에 주정 알코올을 1:2의 부피비로 첨가하여, 상기 여과 잔사를 4회 연속 세척하였다.
7)상기 세척된 여과 잔사를 건조하여, 펙틴을 얻었다.
2-3. 펙틴의 추출 수율 분석
상기와 같은 펙틴의 추출 공정을 거쳐, 추출 용매별 산도별 펙틴의 추출 수율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추출
용매
구분 처리조건 사과박추출량 펙틴생산량(g) 추출
수율
(%/100g)
희석배수
(농축액 : 증류수)
용매
산도
(pH)
수분량 (%, D.B.) 실무게
(g)
수분량
(%, D.B.)
실무게
(g)
구연산 실시예1 - 5.00 13.87 86.13 14.67 0.25 0.29
실시예2 - 4.00 15.13 0.34 0.40
실시예3 - 3.00 11.47 1.04 1.20
실시예4 - 2.00 7.73 3.71 4.31
레몬
농축액
실시예5 - 5.00 13.87 86.13 0.01 0.01 0.01
실시예6 5:5 4.00 0.01 0.01 0.01
실시예7 6:4 3.00 14.77 3.38 3.93
HCl 비교예1 - 5.00 13.87 86.13 0.00 0.00 0.00
비교예2 - 4.00 9.47 0.18 0.21
비교예3 - 3.00 7.57 0.72 0.83
비교예4 - 2.00 11.17 2.10 2.43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매의 종류별 산도별에 따른 추출 수율 분석 결과, 실시예 4 및 7에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 7의 용매는 레몬농축액과 증류수를 6 : 4의 중량비로 배합한 것으로, 이 때 상기 레몬산의 pH는 3이다.
전반적인 추출 수율을 살펴보면, 추출용매의 pH가 2 내지 3에서 펙틴의 추출 수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pH 4 내지 5에서는 펙틴이 거의 추출이 매우 저조한 것을 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펙틴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사과박으로부터 추출된 펙틴의 산도, 당도 및 색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 나타내었다.
추출
용매
구분 처리조건 펙틴
산도
(pH)
펙틴
당도
(Brix。)
펙틴색도
(Hunter color value)
희석배수
(농축액 : 증류수)
용매
산도
(pH)
명도
(L)
적색도
(a)
황색도
(b)
구연산 실시예1 - 5.00 6.62 19.73 65.38 6.21 29.93
실시예2 - 4.00 6.77 19.60 88.16 2.08 16.11
실시예3 - 3.00 6.13 19.60 85.41 2.48 17.83
실시예4 - 2.00 3.94 17.60 77.88 4.45 25.06
레몬
농축액
실시예5 - 5.00 - - - - -
실시예6 5:5 4.00 - - - - -
실시예7 6:4 3.00 5.08 19.90 69.79 6.54 31.36
HCl 비교예1 - 5.00 - - - - -
비교예2 - 4.00 6.68 15.67 96.34 0.38 6.03
비교예3 - 3.00 6.54 20.03 95.58 0.57 7.41
비교예4 - 2.00 4.37 18.60 84.14 3.06 20.52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펙틴의 산도는 추출 용매의 pH가 낮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당도는 추출 용매의 pH에 따라 뚜렷한 경향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구연산의 경우, 용매의 pH가 낮을수록 적색이 감소하고 황색이 증가하여 점차 밝은 레몬색을 띠었다. HCl 및 레몬산에 의하여 추출된 펙틴을 도 2에 도시하였다.
실험예 3. 추출 온도별 펙틴의 추출 수율 분석
상기 일 실시예에 따라 레몬산을 이용하여 고수율의 펙틴을 추출하기 위하여, 실시예 8 내지 15와 같이, 추출 온도별로 펙틴의 추출을 실시하고, 적합한 추출 온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구분 추출
온도
(℃)
처리조건 과일박추출량 펙틴생산량(g) 추출
수율
(%)
용매
산도
(pH)
희석배수
(농축액 : 증류수)
수분량
(%, D.B.)
실무게
(g_)
수분량
(%, D.B.)
실무게
(g_)
사과박 실시예8 50 3.80 5:5 13.87 86.13 10.8 2.63 3.30
실시예9 70 3.76 5:5 9.3 2.87 3.33
실시예10 90 3.64 5:5 9.7 3.01 3.49
실시예11 110 3.80 5:5 7.3 4.57 5.31
레몬박 실시예12 50 3.21 6:4 12.80 87.20 8.23 8.31 9.53
실시예13 70 3.32 6:4 8.17 8.92 10.23
실시예14 90 3.53 6:4 9.21 10.36 11.88
실시예15 110 3.37 6:4 8.63 8.67 9.94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과박 추출의 경우 110℃의 온도에서 5.31%의 추출 수율을 보였고, 레몬박 추출의 경우 90℃의 온도에서 11.88%의 추출 수율을 보였다. 따라서, 각 과일박 종류에 따라 고수율의 펙틴 추출을 위한 적합한 추출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 8 내지 15의 펙틴 추출 온도를 달리하여 추출된 펙틴의 산도, 당도 및 색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 나타내었다.
시료명 구분 추출
온도
(℃)
펙틴
산도
(pH)
펙틴
당도
(Brix。)
펙틴색도
(Hunter color value)
명도
(L)
적색도
(a)
황색도
(b)
사과박 실시예8 50 3.41 19.97 58.18 17.73 46.44
실시예9 70 3.20 20.50 57.28 8.92 34.37
실시예10 90 3.65 20.37 69.37 7.31 30.29
실시예11 110 3.43 20.27 61.61 10.26 35.89
레몬박 실시예12 50 5.37 19.21 73.48 4.67 26.44
실시예13 70 5.41 18.83 73.21 5.46 27.74
실시예14 90 5.50 19.69 75.05 5.31 29.61
실시예15 110 5.25 19.72 73.85 5.05 26.26
표 6을 참고하면, 추출된 펙틴의 산도 및 당도는 추출 온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팩틴의 색도는 추출 온도 90℃ 에서 가장 높은 명도 값이 나타나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명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추출 시간별 펙틴의 추출 수율 분석
상기 일 실시예에 따라 레몬산을 이용하여 고수율의 펙틴을 추출하기 위하여, 실시예 16 내지 23과 같이, 추출 시간별로 펙틴의 추출을 실시하고, 적합한 추출 시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구성 추출조건 추출
시간
(min)
과일박추출량 펙틴생산량(g) 펙틴
추출
수율
(%)
희석배수
(농축액 : 증류수)
추출
온도
(℃)
용매
산도
(pH)
수분량
(%, D.B.)
실무게
(g)
수분량
(%, D.B.)
실무게
(g)
사과박 실시예16 5:5 110 3.80 30 13.87 86.13 9.5 3.51 4.08
실시예17 3.80 60 10.1 4.38 5.09
실시예18 3.80 90 10.7 4.72 5.48
실시예19 3.81 120 7.4 5.80 6.73
레몬박 실시예20 6:4 90 3.42 30 12.80 87.20 9.32 10.59 12.14
실시예21 3.42 60 10.82 11.35 13.02
실시예22 3.42 90 10.35 11.87 13.61
실시예23 3.42 120 11.81 12.38 14.20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펙틴의 추출 시간은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펙틴수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과일박 2종 모두 120분 동안 진행한 경우에 펙틴수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 16 내지 23의 펙틴 추출 시간을 달리하여 추출된 펙틴의 산도, 당도 및 색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 나타내었다.
시료명 구성 추출시간
(min)
펙틴산도
(pH)
펙틴당도 펙틴색도
(Hunter color value)
명도
(L)
적색도
(a)
황색도
(b)
사과박 실시예16 30 3.41 19.67 67.01 9.32 33.13
실시예17 60 3.43 20.08 62.32 10.85 34.27
실시예18 90 3.43 20.55 62.24 10.25 35.89
실시예19 120 3.44 20.83 58.28 12.46 37.32
레몬박 실시예20 30 5.52 18.71 72.01 5.51 26.10
실시예21 60 5.53 19.67 72.30 5.28 27.54
실시예22 90 5.53 19.58 70.67 5.93 29.68
실시예23 120 5.55 20.02 68.84 8.25 31.54
표 8을 참고하면, 추출된 펙틴의 산도는 추출 시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당도는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팩틴의 색도는 추출 시간이 가장 짧은 30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90분까지는 황갈색도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120분 추출에서는 어두운 황갈색도 값이 현저히 증가하여 품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의 추출 수율과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 등을 종합하여 일의 효율성, 경제성 및 품질을 고려할 때, 추출 시간은 9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a) 건조과일박을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건조과일박에 레몬산을 20: 1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산분해 추출하여 펙틴 추출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펙틴 추출물이 50 내지 60 ℃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d) 상기 냉각된 펙틴 추출물을 여과시킨 뒤, 6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는 단계;
    e) 상기 상등액에 95부피% 농도의 에탄올을 1:2의 부피비로 첨가하여 침전분리하고, 침전물을 얻는 단계;
    f) 상기 침전물을 6000 rpm에서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여과 잔사에 주정 알코올을 1:2의 부피비로 첨가하여 상기 여과 잔사를 복수회 세척하는 단계; 및
    g) 상기 세척된 여과 잔사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일박 유래 펙틴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건조과일박은 0.5 mm 이하로 분쇄된 사과박, 레몬박, 감귤박, 오렌지박, 무화과박 및 배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과일박 유래 펙틴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몬산은 레몬농축액과 증류수를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인 과일박 유래 펙틴의 제조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몬산은 pH 값이 2 내지 4인 과일박 유래 펙틴의 제조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산분해 추출은 상기 과일박을 레몬산에 침지하여, 90 내지 110 ℃에서 30 내지 12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인 과일박 유래 펙틴의 제조 방법.
KR1020180052386A 2018-03-27 2018-05-08 천연산을 이용한 과일박 유래 펙틴 및 그 제조방법 KR102063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4907 2018-03-27
KR1020180034907 2018-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473A KR20190113473A (ko) 2019-10-08
KR102063549B1 true KR102063549B1 (ko) 2020-01-09

Family

ID=6820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386A KR102063549B1 (ko) 2018-03-27 2018-05-08 천연산을 이용한 과일박 유래 펙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139B1 (ko) 2019-12-30 2021-07-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유분의 아스팔텐 분산 안정성 측정 방법
KR102278140B1 (ko) 2019-12-30 2021-07-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역적정을 이용한 유분의 혼화성 측정 방법
KR102211035B1 (ko) * 2020-02-24 2021-02-03 한국원자력연구원 곤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치료용 및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244B1 (ko) * 1999-10-19 2002-10-31 (주) 한국신과학 기술센타 감귤, 사과, 오렌지, 레몬 등의 껍질로부터 펙틴을 제조하는 방법
US20060099302A1 (en) * 2002-09-02 2006-05-11 Cp Kelco Aps Process for treating pectin containing plant material
JP2008199990A (ja) * 2007-02-22 2008-09-04 Mie Prefecture ペクチ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244B1 (ko) * 1999-10-19 2002-10-31 (주) 한국신과학 기술센타 감귤, 사과, 오렌지, 레몬 등의 껍질로부터 펙틴을 제조하는 방법
US20060099302A1 (en) * 2002-09-02 2006-05-11 Cp Kelco Aps Process for treating pectin containing plant material
JP2008199990A (ja) * 2007-02-22 2008-09-04 Mie Prefecture ペクチ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473A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549B1 (ko) 천연산을 이용한 과일박 유래 펙틴 및 그 제조방법
EP3274365B1 (en) Corn protein isolat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US4497838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useful products from orange peel
CN103463123A (zh) 一种从玛咖中提取有效成分的方法
JP2011256153A (ja) フコキサンチン含有褐藻抽出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476239B1 (ko) 천연 헤미셀룰로오즈를 제조하는 방법
US11548954B2 (e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preparing hemicellulose-rich extract from spend coffee ground
EP1272254B1 (de) Verfahren zur gewinnung von wertstoffen aus nebenprodukten der obst- und gemüseverarbeitung
CN106189355B (zh) 提取枪乌贼保健功能性黑色素的方法
CN1373129A (zh) 从植物原料中提取低聚原花青素的方法
US20080306141A1 (en) Method of Extraction of Catechin Type-A Proanthocyanidins
CN103819572A (zh) 一种桑叶多糖生产的提取工艺
KR20070103213A (ko) 소나무 수피로부터 프로안토시아니딘의 분리방법
US20110027398A1 (en) Methods of making olive juice extracts containing reduced solids
KR20050039283A (ko) 갈조류를 이용한 푸코잔틴의 추출방법
CN112142695B (zh) 一种红心火龙果果肉提取物及其提取方法
CN112226281A (zh) 柑橘皮中联合提取精油、黄酮、果胶、纤维素的方法
CN107641159B (zh) 一种低粘度增白卡拉胶的生产工艺
CN107349430B (zh) 一种余甘多糖-egcg复合物及其制备方法
JP5864042B2 (ja) β−クリプトキサンチンを含有する抽出物からなる食品素材の製造方法
CN106220753B (zh) 一种从柚子皮中提取果胶的方法
TWI790329B (zh) 蘆薈粉末的製造方法以及蘆薈粉末
CN113925146B (zh) 一种脱苦超微柚粉及其生产方法与用途
JPS639521B2 (ko)
KR20080106741A (ko) 다시마로부터 후코이단의 추출방법 및 후코이단을 함유한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