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410B1 -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내연 기관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내연 기관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410B1
KR102063410B1 KR1020187013296A KR20187013296A KR102063410B1 KR 102063410 B1 KR102063410 B1 KR 102063410B1 KR 1020187013296 A KR1020187013296 A KR 1020187013296A KR 20187013296 A KR20187013296 A KR 20187013296A KR 102063410 B1 KR102063410 B1 KR 102063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e
cylinder bore
wall
bore wall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890A (ko
Inventor
요시후미 후지타
다쓰노리 가타오카
Original Assignee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02Arrangements for cooling cylinders or 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02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 F02F1/10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for liquid cooling
    • F02F1/14Cylinders with means for directing, guiding or distributing liquid st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02Arrangements for cooling cylinders or cylinder heads
    • F01P2003/021Cooling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실린더 보어를 갖는 내연 기관의 실린더 블록의 홈형 냉각수 유로에 설치되고,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전부 또는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중 일부를 보온하기 위한 보온구이며, 위에서 보았을 때에 원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보온하기 위한 각 보어벽 보온부와, 합성 수지제이며, 상기 보온구의 설치 위치의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형상에 따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각 보어벽 보온부가 고정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각 보어벽 보온부는, 고무 부재와, 배면 누름 부재와,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각 보어벽 보온부는,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만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본 발명에 의하면,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대한 밀착성이 높은 보온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내연 기관 및 자동차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의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 보어벽의 홈형 냉각수 유로측의 벽면에 접촉시켜서 배치되는 보온구 및 그것을 구비하는 내연 기관 및 상기 내연 기관을 갖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에서는, 보어 내의 피스톤의 상사점에서 연료의 폭발이 일어나고, 그 폭발에 의해 피스톤이 눌려 내려간다는 구조상, 실린더 보어벽의 상측은 온도가 높아지고, 하측은 온도가 낮아진다. 그 때문에, 실린더 보어벽의 상측과 하측에서는, 열변형량에 차이가 생기고, 상측은 크게 팽창하고, 한편, 하측의 팽창이 작아진다.
그 결과, 피스톤의 실린더 보어벽과의 마찰 저항이 커지고, 이것이, 연비를 내리는 요인으로 되어 있으므로, 실린더 보어벽의 상측과 하측에서 열변형량의 차이를 적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부터, 실린더 보어벽의 벽온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홈형 냉각수 유로 내에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홈형 냉각수 유로 내의 냉각수의 수류를 조절하여, 냉각수에 의한 실린더 보어벽의 상측의 냉각 효율 및 하측의 냉각 효율을 제어하는 것이 시도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내연 기관의 실린더 블록에 형성된 홈형 냉각용 열매체 유로 내에 배치됨으로써 홈형 냉각용 열매체 유로 내를 복수의 유로로 구획하는 유로 구획 부재로서, 상기 홈형 냉각용 열매체 유로의 깊이에 못 미친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홈형 냉각용 열매체 유로 내를 보어측 유로와 반보어측 유로로 분할하는 벽부가 되는 유로 분할 부재와, 상기 유로 분할 부재로부터 상기 홈형 냉각용 열매체 유로의 개구부 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또한 선단 가장자리부가 상기 홈형 냉각용 열매체 유로의 한쪽의 내면을 초과한 형태로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홈형 냉각용 열매체 유로 내에의 삽입 완료 후는 자신의 휨 복원력에 의해 상기 선단 가장자리부가 상기 내면에 대해서 상기 홈형 냉각용 열매체 유로의 깊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접촉함으로써 상기 보어측 유로와 상기 반보어측 유로를 분리하는 가요성 립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냉각용 열매체 유로 구획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8-31939호 공보(특허 청구의 범위)
그런데, 인용 문헌 1의 내연 기관 냉각용 열매체 유로 구획 부재에 의하면, 어느 정도의 실린더 보어벽의 벽온의 균일화가 도모되므로, 실린더 보어벽의 상측과 하측의 열변형량의 차이를 적게 할 수 있지만, 근래, 실린더 보어벽의 상측과 하측에서 열변형량의 차이를 적게 하는 것이 더 요구되고 있다.
그러한 것으로부터, 근래는, 실린더 블록의 홈형 냉각수 유로의 중하부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보온구로 적극적으로 보온함으로써, 실린더 보어벽의 벽온의 균일화가 도모되고 있다. 그리고, 홈형 냉각수 유로의 중하부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효과적으로 보온하기 위해서는, 보온구의 홈형 냉각수 유로의 중하부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대한 밀착성이 높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대한 밀착성이 높은 보온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즉, 본 발명 (1)은, 실린더 보어를 갖는 내연 기관의 실린더 블록의 홈형 냉각수 유로에 설치되고,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전부 또는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중 일부를 보온하기 위한 보온구이며,
위에서 보았을 때에 원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보온하기 위한 각 보어벽 보온부와, 합성 수지제이며, 상기 보온구의 설치 위치의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형상에 따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각 보어벽 보온부가 고정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각 보어벽 보온부는,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접촉하고,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덮기 위한 고무 부재와, 상기 고무 부재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무 부재 전체를 배면측으로부터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향해 누르기 위한 배면 누름 부재와,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향해, 상기 배면 누름 부재가 상기 고무 부재를 누르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각 보어벽 보온부는,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만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2)는, 상기 고무 부재가, 감열 팽창 고무 또는 수팽윤(水膨潤)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3)은, 상기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중 편측 절반의 보어벽의 보온용 보온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4)는, 상기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전부의 보온용 보온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5)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6)는, (5)의 내연 기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대한 밀착성이 높은 보온구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 보어벽의 벽온의 균일성이 높아지고, 상측과 하측에서 열변형량의 차이를 적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설치되는 실린더 블록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실린더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설치되는 실린더 블록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를 고무 부재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를 배면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 중의 각 보어벽 보온부(35)를 제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지지부(34a)에 고정되기 전의 각 보어벽 보온부(3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각 보어벽 보온부(35)를 지지부(34a)에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금속 스프링 부설 부재(33)를 제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에 나타내는 실린더 블록(11)에,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를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나타내는 실린더 블록(11)에, 2개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 36b)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나타내는 실린더 블록(11)에, 2개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 36b)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각 보어벽 보온부가, 보어벽에 접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고무 부재로서 팽창 고무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고무 부재의 팽창 및 각 보어벽 보온구의 변형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지지부의 형태예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3은, 각 보어벽 보온부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각 보어벽 보온부의 형태예를 제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나타내는 각 보어벽 보온부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및 본 발명의 내연 기관에 대해서, 도 1~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설치되는 실린더 블록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설치되는 실린더 블록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x-x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실린더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 중의 보온구(36a)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6에서는, 보온구(36a)에 고정되어 있는 각 보어벽 보온부(35) 중, 우단의 보온부에 대해서는, 구성 부재마다 분리하여 나타냈다. 도 7은, 도 5 중의 보온구(36a)를 옆에서 본 도면이며, 고무 부재(31)의 접촉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5 중의 보온구(36a)를 옆에서 본 도면이며,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5 중의 지지부(34a)에 고정되어 있는 각 보어벽 보온부(35) 중 1개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각 보어벽 보온부(35) 및 지지부(34a)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 및 Y-Y선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 중의 각 보어벽 보온부(35)를 제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지지부(34a)에 고정되기 전의 각 보어벽 보온부(3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각 보어벽 보온부(35)를 지지부(34a)에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금속 스프링 부설 부재(33)를 제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에 나타내는 실린더 블록(11)에,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를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설치되는 차량 탑재용 내연 기관의 오픈 데크형의 실린더 블록(11)에는, 피스톤이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보어(12), 및 냉각수를 흘려보내기 위한 홈형 냉각수 유로(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어(12)와 홈형 냉각수 유로(14)를 구획하는 벽이 실린더 보어벽(13)이다. 또, 실린더 블록(11)에는, 홈형 냉각수 유로(11)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구(15) 및 냉각수를 홈형 냉각수 유로(11)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냉각수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린더 블록(11)에는, 2개 이상의 보어(12)가 직렬로 늘어서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보어(12)에는, 1개의 보어에 이웃해 있는 단부 보어(12a1, 12a2)와, 2개의 보어 사이에 끼워져 있는 중간 보어(12b1, 12b2)가 있다(또한, 실린더 블록의 보어의 수가 2개인 경우는, 단부 보어뿐이다.). 직렬로 늘어선 보어 중, 단부 보어(12a1, 12a2)는 양단의 보어이며, 또, 중간 보어(12b1, 12b2)는, 일단의 단부 보어(12a1)와 타단의 단부 보어(12a2)의 사이에 있는 보어이다. 단부 보어(12a1)와 중간 보어(12b1) 사이의 벽, 중간 보어(12b1)와 중간 보어(12b2) 사이의 벽 및 중간 보어(12b2)와 단부 보어(12a2) 사이의 벽(보어간 벽(191))은, 2개의 보어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이므로, 2개의 실린더 보어로부터 열이 전해지기 때문에, 다른 벽에 비해 벽온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에서는, 보어간 벽(191)의 근방이 온도가 가장 높아지므로,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 중,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경계(192) 및 그 근방의 온도가 가장 높아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벽면 중, 실린더 보어(13)측의 벽면을,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으로 기재하고,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벽면 중,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과는 반대측의 벽면을 벽면(18)으로 기재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편측 절반이란, 실린더 블록을 실린더 보어가 늘어서 있는 방향으로 수직으로 2분할했을 때의 편측의 절반을 가리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중 편측 절반의 보어벽이란, 전체 실린더 보어벽을 실린더 보어가 늘어서 있는 방향으로 수직으로 2분할했을 때의 편측의 절반의 보어벽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실린더 보어가 늘어서 있는 방향이 Z-Z 방향이며, 이 Z-Z선에서 수직으로 2분할했을 때의 편측 절반의 보어벽의 각각이,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중 편측 절반의 보어벽이다. 즉, 도 4에서는, Z-Z선보다 20a측의 편측 절반의 보어벽이,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중 한쪽의 편측 절반의 보어벽(21a)이며, Z-Z선보다 20b측의 편측 절반의 보어벽이,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중 다른쪽의 편측 절반의 보어벽(21b)이다. 또, 전체 실린더 보어벽 중 편측이란, 편측 절반의 보어벽(21a) 또는 편측 절반의 보어벽(21b)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키고, 편측의 일부란, 편측 절반의 보어벽(21a)의 일부 또는 편측 절반의 보어벽(21b)의 일부를 가리킨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이란, 1개 1개의 실린더 보어에 대응하는 각 보어벽 부분을 가리키고, 도 4에서는, 양 화살표(22a1)로 나타내는 범위가 실린더 보어(12a1)의 보어벽(23a1)이며, 양 화살표(22b1)로 나타내는 범위가 실린더 보어(12b1)의 보어벽(23b1)이며, 양 화살표(22b2)로 나타내는 범위가 실린더 보어(12b2)의 보어벽(23b2)이며, 양 화살표(22a2)로 나타내는 범위가 실린더 보어(12a2)의 보어벽(23a2)이며, 양 화살표(22b3)로 나타내는 범위가 실린더 보어(12b1)의 보어벽(23b3)이며, 양 화살표(22b4)로 나타내는 범위가 실린더 보어(12b2)의 보어벽(23b4)이다. 즉, 실린더 보어(12a1)의 보어벽(23a1), 실린더 보어(12b1)의 보어벽(23b1), 실린더 보어(12b2)의 보어벽(23b2), 실린더 보어(12a2)의 보어벽(23a2), 실린더 보어(12b1)의 보어벽(23b3) 및 실린더 보어(12b2)의 보어벽(23b4)이 각각,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는, 도 4 중, 한쪽의 편측 절반(20a측)의 보어벽(21a)를 보온하기 위한 보온구이며, 또,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b)는, 도 4 중, 다른쪽의 편측 절반(20b측)의 보어벽(21b)을 보온하기 위한 보온구이다.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와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b)에서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에는, 냉각수 흐름 칸막이 부재(38)가 부설되어 있지 않은데 반해,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b)에는, 냉각수 흐름 칸막이 부재(38)가 부설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지만, 그 외는 같다. 냉각수 흐름 칸막이 부재(38)는, 도 4에 나타내는 실린더 블록(11)에서는, 냉각수 공급구(15)로부터 홈형 냉각수 유로(14)에 공급된 냉각수가, 바로 근방에 있는 냉각수 배출구(16)로부터 배출되지 않고, 먼저, 20b측의 편측 절반의 홈형 냉각수 유로(14)를, 냉각수 공급구(15)의 위치와는 반대측의 끝을 향해 흐르고, 20b측의 편측 절반의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냉각수 공급구(15)의 위치와는 반대측의 끝까지 오면, 20a측의 편측 절반의 홈형 냉각수 유로(14)로 돌아가고, 다음에, 20a측의 편측 절반의 홈형 냉각수 유로(14)를, 냉각수 배출구(16)를 향해 흐르고, 마지막으로, 냉각수 배출구(16)로부터 배출되도록, 냉각수의 공급구(15)와 배출구(16) 사이를 구획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 도 4에는, 20a측의 편측 절반의 홈형 냉각수 유로(14)를 끝까지 흐른 냉각수가, 실린더 블록(11)의 옆쪽에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 배출구(16)로부터 배출되는 형태의 실린더 블록을 기재했지만, 그 외에는, 예를 들면, 20a측의 편측 절반의 홈형 냉각수 유로(14)를 한쪽의 끝으로부터 다른쪽의 끝까지 흐른 냉각수가, 실린더 블록의 옆쪽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실린더 헤드에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 유로에 흘러드는 형태의 실린더 블록이 있다.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는, 4개의 각 보어벽 보온부(35)와, 각 보어벽 보온부(35)가 고정되는 지지부(34a)를 갖는다. 즉,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에서는, 지지부(34a)의 4개소에, 각 보어벽 보온부(35)가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b)는, 4개의 각 보어벽 보온부(35)와, 각 보어벽 보온부(35)가 고정되는 지지부(34b)를 갖는다. 그리고,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 및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b)에서는, 각 보어벽 보온부(35)는, 보온부(35)의 절곡부(37)가 굽혀져, 지지부(34a) 또는 지지부(34b)의 상하 단부에, 절곡부(37)를 끼움으로써, 지지부(34a) 또는 지지부(34b)에, 각 보어벽 보온부(35)가 고정되어 있다.
도 5~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는, 도 4에 나타내는 실린더 블록(11)의 편측 절반의 보어벽(21a)을 보온하기 위한 보온구이며, 실린더 블록(11)의 편측 절반의 보어벽(21a)에는, 실린더 보어(12a1)의 보어벽(23a1), 실린더 보어(12b1)의 보어벽(23b1), 실린더 보어(12b2)의 보어벽(23b2) 및 실린더 보어(12a2)의 보어벽(23a2)과, 4개의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이 있다. 그리고,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에서는, 이 4개의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을 보온하기 위해 각 보어벽 보온부(35)가 설치된다. 그 때문에,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에는, 4개의 각 보어벽 보온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에서는, 실린더 보어벽측에, 고무 부재(31)의 접촉면(26)이 향하고, 고무 부재(31)의 접촉면(26)이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에 접촉할 수 있도록, 각 보어벽 보온부(35)가 고정되어 있다. 또,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부(36a)의 배면측에서는, 각 보어벽 보온부(35)에 부설되어 있는 금속판 스프링(39)이 지지부(34)의 개구(42)를 통해, 고무 부재(31)와는 반대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판 스프링(39)의 돌출된 선단(27)이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과는 반대측의 벽면(18)에 접촉한다.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부(36a)에 고정되어 있는 각 보어벽 보온부(35)는, 도 6,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 부재(31)와, 배면 누름 부재(32)와,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로 이루어진다.
고무 부재(31)는, 위에서 보았을 때에, 원호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고무 부재(31)의 접촉면(26)측의 형상은,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따른 형상이다. 고무 부재(31)는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22)에 직접 접촉하여, 보어벽(22)의 보온 개소를 덮고,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22)을 보온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 배면 누름 부재(32)는 위에서 보았을 때, 원호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고무 부재(31)의 전체를 고무 부재(31)의 배면측으로부터 누를 수 있도록, 고무 부재(31)의 배면측(접촉면(26)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따른 형상이다. 또,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는 위에서 보았을 때에, 원호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배면 누름 부재(32)의 배면측(고무 부재(31)와는 반대측의 면)에 따른 형상이며, 탄성 부재인 금속판 스프링(39)이 부설되어 있다. 금속판 스프링(39)은, 세로로 긴 장방형의 금속판이며, 길이 방향의 일단이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에 연결되어 있다. 금속판 스프링(39)은 선단(27)이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로부터 떨어지도록,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에 연결되어 있는 타단측(28)에서,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로부터 굽혀짐으로써,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에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고무 부재(31) 및 배면 누름 부재(32)는,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40)가 굽혀져,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와 절곡부(40)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에 고정되어 있다. 고무 부재(31)에서는, 배면 누름 부재(32)측과는 반대측의 고무 부재(31)의 면이,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에 접하는 접촉면(26)이다.
각 보어벽 보온부(35)는,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을 보온하기 위한 부재이며,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가, 실린더 블록(11)의 홈형 냉각수 유로(14)에 설치되었을 때에,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에, 고무 부재(31)가 접촉하여, 고무 부재(31)로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을 덮고, 또한, 탄성 부재인 금속판 스프링(39)의 탄성 가압력으로, 배면 누름 부재(32)가, 고무 부재(31)를 배면측으로부터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을 향해 눌러, 고무 부재(31)를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에 밀착시킴으로써, 각 보어벽 보온부(35)가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을 보온한다.
지지부(34a)는, 위에서 보았을 때에, 4의 원호가 연속하는 형상으로 성형되고 있고, 지지부(34a)의 형상은,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편측 절반에 따른 형상이다. 또, 지지부(34a)에는, 각 보어벽 보온부(35)에 부설되어 있는 금속판 스프링(39)이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의 배면측으로부터, 지지부(34a)를 빠져나가,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과는 반대측의 벽면(18)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개구(42)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4a)는, 각 보어벽 보온부(35)가 고정되는 부재이며, 각 보어벽 보온부(35)의 위치가 홈형 냉각수 유로(14) 내에서 어긋나지 않도록, 각 보어벽 보온부(35)의 위치를 정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34a)는 합성 수지의 성형체이다.
그리고,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에서는, 각 보어벽 보온부(35)는 위에서 보았을 때의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각 보어벽 보온부를 위에서 보았을 때에, 원호형의 각 보어벽 보온부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만이, 지지부(34a)에 고정되어 있다. 도 10의 X-X 단면도는, 각 보어벽 보온부(35)의 중앙에서 자른 단면도이지만, X-X 단면도에서는,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의 상단 및 하단의 각각이, 절곡부(37)에 의해, 지지부(34a)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그에 반해, 도 10의 Y-Y 단면도는, 각 보어벽 보온부(35)의 끝쪽의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지만, Y-Y 단면도에서는,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는, 지지부(34a)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 표시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의 제작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 부재(31)에, 그 배면측으로부터, 배면 누름 부재(32)와, 금속판 스프링(39)이 부설되고 또한 절곡부(40) 및 절곡부(37)가 형성되어 있는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를 순서대로 맞추고, 다음에, 절곡부(40)를 굽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부(40)에, 배면 누름 부재(32) 및 고무 부재(31)를 끼움으로써,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에, 배면 누름 부재(32) 및 고무 부재(31)를 고정하여, 각 보어벽 보온부(35)를 제작한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보어벽 보온부(35)를 4개 제작하고, 지지부(34a)의 고정 개소에, 절곡부(37)를 굽혀, 절곡부(37)에, 지지부(34a)를 끼움으로써, 지지부(34a)에, 각 보어벽 보온부(35)를 고정하여,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를 제작한다.
또한,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의 제작 순서이지만,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43)을 준비하고, 도 14(A) 중의 점선의 위치에서, 금속판(43)을 블랭킹함으로써, 도 14(B)와 같이, 금속판 스프링(39), 절곡부(40) 및 절곡부(37)를 형성시켜, 금속판의 블랭킹물(45)를 제작한다. 다음에, 금속판의 블랭킹물(45) 전체를 원호형으로 성형하고, 또한, 금속판 스프링(39)을 배면측에 굽힘으로써,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를 제작한다. 또, 지지부(34a)이지만,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지지부(34a)를 제작한다.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실린더 블록(11)의 홈형 냉각수 유로(14)에 설치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를, 실린더 블록(11)의 홈형 냉각수 유로(14)에 삽입하여,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를 홈형 냉각수 유로(14)에 설치한다. 또, 도 15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하여,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b)를 실린더 블록(11)의 홈형 냉각수 유로(14)에 삽입하여,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b)를 홈형 냉각수 유로(14)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는, 편측 절반의 벽면(17a)측에,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b)는, 또 다른 편측 절반의 벽면(17b)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에서는, 각 보어벽 보온부(35)의 고무 부재(31)의 접촉면(26)으로부터 금속판 스프링(39)의 선단측(27)까지의 거리가,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폭보다 커지도록, 금속판 스프링(39)이 부설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가 홈형 냉각수 유로(14)에 설치되면, 금속판 스프링(39)이 각 보어벽 보온부(35)의 배면과 벽면(18)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금속판 스프링(39)의 선단(27)에는,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이 더해진다. 이로 인해, 금속판 스프링(39)은, 선단(27)이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측에 가까워지도록 변형되므로, 금속판 스프링(39)에는,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탄성력에 의해,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는,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을 향해 눌리고, 그 결과,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에 의해 눌린 배면 누름 부재(32)에 의해, 고무 부재(31)가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에 눌린다. 즉,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가 홈형 냉각수 유로(14)에 설치됨으로써, 금속판 스프링(39)이 변형되고, 그 변형이 되돌아가려 하여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고무 부재(31)를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에 누르도록, 배면 누름 부재(32)가 탄성 가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의 각 보어벽 보온부(35)의 고무 부재(31)가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전체 벽면(17) 중 한쪽의 편측 절반의 벽면(17a)의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 벽면에 접촉하고,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20b)의 각 보어벽 보온부(35)의 고무 부재(31)가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전체 벽면(17) 중 다른쪽의 편측 절반의 벽면(17b)의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에 접촉한다.
이때,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에서는, 각 보어벽 보온부(35)는, 각 보어벽 보온구를 위에서 보았을 때의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만이, 지지부(34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각 보어벽 보온부(35)의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 및 배면 누름 부재(32)가 금속판 스프링(39)으로 탄성 가압되었을 때에, 지지부(34a)와는 독립하여,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 배면 누름 부재(32) 및 고무 부재(31)가 변형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제작에 있어서는, 각 보어벽 보온부의 고무 부재의 접촉면의 곡률이, 고무 부재가 접촉하는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벽면의 곡률과 맞도록 고무 부재는 가공되지만, 실제로는, 고무 부재의 접촉면 및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벽면의 어느 것에도, 설계치에 대해서 가공 오차가 발생된다. 그리고, 고무 부재의 접촉면 또는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벽면의 가공 오차에 의해, 고무 부재의 접촉면의 곡률이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벽면의 곡률보다 작아져 버린 경우에,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온부의 전체가,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다면(예를 들면, 보온부를 위에서 보았을 때의 원호 방향의 중앙 근방과 양단 근방의 합계 3개소가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다면), 금속판 스프링으로 탄성 가압되었을 때에, 고무 부재(56)의 원호 방향의 중앙 근방은,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23)에 접촉할 수 있지만, 끝쪽의 부분은, 보어벽에는 접촉할 수 없다. 그에 반해, 고무 부재의 접촉면의 곡률이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벽면의 곡률보다 작아져 버린 경우에,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보어벽 보온부를 위에서 보았을 때의 원호 방향의 각 보어벽 보온부(35)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만이, 지지부(34a)에 고정되어 있으면, 금속판 스프링(39)으로 탄성 가압되었을 때에, 각 보어벽 보온부(35)의 끝쪽의 부분이, 지지부(34a)로부터 떨어져,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23)을 향하도록 변형될 수 있으므로, 고무 부재(31)의 원호 방향의 중앙 근방뿐만 아니라, 끝쪽도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23)에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에서는, 가공 오차에 의해, 고무 부재(31)의 접촉면(26)과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23)의 벽면의 곡률에 차가 있었다고 해도, 고무 부재(31)를 확실히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벽면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고무 부재(31)의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23)의 벽면(홈형 냉각수 유로(14)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17))에 대한 밀착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는, 실린더 보어를 갖는 내연 기관의 실린더 블록의 홈형 냉각수 유로에 설치되고,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전부 또는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중 일부를 보온하기 위한 보온구이며,
위에서 보았을 때에 원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보온하기 위한 각 보어벽 보온부와, 합성 수지제이며, 상기 보온구의 설치 위치의 해당 홈형 냉각수 유로의 형상에 따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각 보어벽 보온부가 고정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각 보어벽 보온부는,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접촉하고,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덮기 위한 고무 부재와, 상기 고무 부재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무 부재 전체를 배면측으로부터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향해 누르기 위한 배면 누름 부재와,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향해, 상기 배면 누름 부재가 상기 고무 부재를 누르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각 보어벽 보온부는,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만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이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는, 내연 기관의 실린더 블록의 홈형 냉각수 유로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설치되는 실린더 블록은, 실린더 보어가 직렬로 2개 이상 늘어서 형성되어 있는 오픈 데크형의 실린더 블록이다. 실린더 블록이, 실린더 보어가 직렬로 2개 늘어서 형성되어 있는 오픈 데크형의 실린더 블록인 경우, 실린더 블록은, 2개의 단부 보어로 이루어지는 실린더 보어를 갖고 있다. 또, 실린더 블록이, 실린더 보어가 직렬로 3개 이상 늘어서 형성되어 있는 오픈 데크형의 실린더 블록인 경우, 실린더 블록은, 2개의 단부 보어와 1개 이상의 중간 보어로 이루어지는 실린더 보어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직렬로 늘어선 실린더 보어 중, 양단의 보어를 단부 보어라고 하고, 양측이 다른 실린더 보어로 끼워져 있는 보어를 중간 보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설치되는 위치는, 홈형 냉각수 유로이다. 내연 기관의 대부분에서는, 실린더 보어의 홈형 냉각수 유로의 중하부에 상당하는 위치가, 피스톤의 속도가 빨라지는 위치이므로, 이 홈형 냉각수 유로의 중하부를 보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최상부(9)와 최하부(8)의 중간 근방의 위치(10)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 중간 근방의 위치(10)로부터 하측의 홈형 냉각수 유로(14)의 부분을, 홈형 냉각수 유로의 중하부라고 한다. 또한, 홈형 냉각수 유로의 중하부란, 홈형 냉각수 유로의 최상부와 최하부의 정확히 중간의 위치로부터 아래의 부분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최상부와 최하부의 중간 위치의 근방으로부터 아래의 부분이라는 의미이다. 또, 내연 기관의 구조에 따라서는, 피스톤의 속도가 빨라지는 위치가, 실린더 보어의 홈형 냉각수 유로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인 경우도 있고, 그 경우는, 홈형 냉각수 유로의 하부를 보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홈형 냉각수 유로의 최하부로부터 어느 위치까지를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로 보온할지, 즉, 고무 부재의 상단의 위치를 홈형 냉각수 유로의 상하 방향의 어느 위치로 할지는, 적절히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는,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보온하기 위한 보온부와, 보온부가 고정되는 지지부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는, 둘레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의 전부 또는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 중 일부를 보온하기 위한 보온구이다. 즉,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는, 둘레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전부 또는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일부를 보온하기 위한 보온구이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로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형태예와 같이,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중 편측 절반을 보온하기 위한 보온구, 도 21에 나타내는 형태예와 같이,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중 편측의 일부를 보온하기 위한 보온구, 도 22에 나타내는 형태예와 같이,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전부를 보온하기 위한 보온구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편측 절반 또는 편측의 일부란, 실린더 보어벽 또는 홈형 냉각수 유로의 둘레 방향의 편측 절반 또는 편측의 일부의 의미이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에서는, 각 보어벽 보온부는, 각 보어벽 보온부에서 보온하고자 하는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마다 설치된다. 각 보어벽 보온부의 수 및 설치 범위는, 각 보어벽 보온부로 보온하고자 하는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수 및 보온 부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에서는, 1개의 지지부 각 보어부에 1개의 각 보어벽 보온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1개의 지지부 각 보어부에 2개의 각 보어벽 보온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1개의 지지부 각 보어부에 3개 이상의 각 보어벽 보온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이들의 조합이어도 되고, 또는, 지지부 각 보어부의 일부에 각 보어벽 보온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 및 도 21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c)에서는, 지지부 각 보어부 1개에 대해서 각 보어벽 보온부가 1개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2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d)에서는, 단부 보어의 보어벽측의 지지부 각 보어부에 대해서는 각 보어벽 보온부가 2개 설치되어 있고, 중간 보어의 보어벽측의 지지부 각 보어부에 대해서는 각 보어벽 보온부가 1개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4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e)에서는, 한쪽의 단부 보어의 보어벽측 및 중간 보어의 보어벽측의 지지부 각 보어부 1개에 대해서는 각 보어벽 보온부가 1개 설치되어 있고, 다른쪽의 단부 보어의 보어벽측의 지지부 각 보어부에는 각 보어벽 보온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 도 25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f)에서는, 한쪽의 편측 절반의 지지부에는,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측의 지지부 각 보어부 1개에 대해서 각 보어벽 보온부가 1개 설치되어 있고, 다른쪽의 편측 절반의 지지부에는, 각 보어벽 보온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 도 26(D)에 나타내는 형태예에서는,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측의 지지부 각 보어부 1개에 대해서 2개의 각 보어벽 보온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에서는, 접촉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1개의 지지부 각 보어부의 대략 전체에 각 보어벽 보온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1개의 지지부 각 보어부의 일부분에 각 보어벽 보온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6(A)에 나타내는 형태예에서는, 접촉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지지부 각 보어부(46b1)의 대략 전체에 각 보어벽 보온부(35)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6(B)에 나타내는 형태예에서는, 접촉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지지부 각 보어부(46b2)의 대략 하측 절반에 각 보어벽 보온부(35f)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6(C)에 나타내는 형태예에서는, 접촉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지지부 각 보어부(46b3)의 대략 상측 절반에 각 보어벽 보온부(35e)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6(D)에 나타내는 형태예에서는, 접촉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지지부 각 보어부(46b4)의 좌하방 대략 4분의 1에 각 보어벽 보온부(35d1)가, 우상방 대략 4분의 1에 각 보어벽 보온부(35d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6(B), (C) 및 (D)에 나타내는 형태예에서는, 도 26(A)에 나타내는 형태예보다 더 자세히 보온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 지지부는, 각 보어벽 보온부가 고정되어 지지되는 지지 부재이며, 각 보어벽 보온부가 고정됨으로써, 각 보어벽 보온부의 위치가 홈형 냉각수 유로 내에서 어긋나지 않도록, 각 보어벽 보온부의 위치를 정하는 역할을 하므로, 지지부는, 위에서 보았을 때에,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설치되는 홈형 냉각수 유로에 따른 형상을 갖는다. 또한, 지지부 각 보어부란,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측의 지지부의 부분이며, 위에서 보았을 때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원호 형상의 1개분이다. 또, 도 26은,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형태예의 모식도이며, 지지부 각 보어부의 1개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좌측이 각 형태예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며, 우측이 각 형태예를 접촉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각 보어벽 보온부는, 고무 부재와, 배면 누름 부재와, 탄성 부재를 갖는다.
고무 부재는,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직접 접하여,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덮고, 실린더 보어벽을 보온하는 부재이며, 탄성 부재의 탄성 가압력으로, 배면 누름 부재에 의해,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눌린다. 그 때문에, 이 고무 부재는, 위에서 보았을 때에,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따른 형상, 즉, 원호형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 고무 부재를 옆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은, 고무 부재로 덮으려 하는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의 부분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된다.
고무 부재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솔리드 고무, 팽창 고무, 발포 고무, 연성 고무 등의 고무, 실리콘계 겔상 소재 등을 들 수 있다.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를 홈형 냉각수 유로 내에 설치할 때, 고무 부재가 실린더 보어벽에 강하게 접촉하여, 고무 부재가 깎이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점에서,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설치 후에, 홈형 냉각수 유로 내에서 고무 부재 부분을 팽창시킬 수 있는 감열 팽창 고무 또는 수팽윤성 고무가 바람직하다.
솔리드 고무의 조성으로서는, 천연 고무, 부타디엔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PDM), 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팽창 고무로서는, 감열 팽창 고무를 들 수 있다. 감열 팽창 고무는, 베이스 폼재에 베이스 폼재보다 융점이 낮은 열가소성 물질을 함침시켜 압축한 복합체이며, 상온에서는 적어도 그 표층부에 존재하는 열가소성 물질의 경화물에 의해 압축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가열에 의해 열가소성 물질의 경화물이 연화하여 압축 상태가 개방되는 재료이다. 감열 팽창 고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4-143262호 공보에 기재된 감열 팽창 고무를 들 수 있다. 고무 부재의 재질이 감열 팽창 고무인 경우는,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홈형 냉각수 유로에 설치되고, 감열 팽창 고무에 열이 더해짐으로써, 감열 팽창 고무가 팽창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팽창 변형된다.
감열 팽창 고무에 관련된 베이스 폼재로서는, 고무,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의 각종 고분자 재료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천연 고무, 클로로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부타디엔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등의 각종 합성고무, 연질 우레탄 등의 각종 엘라스토머, 경질 우레탄,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등의 각종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감열 팽창 고무에 관련된 열가소성 물질로서는, 유리 전이점, 융점 또는 연화 온도 중 어느 하나가 1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열 팽창 고무에 관련된 열가소성 물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 비닐, 폴리염화 비닐리덴,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불화 비닐리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염화 비닐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염화 비닐 공중합체, 나일론,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염화비닐, 폴리클로로 푸렌, 폴리부타디엔,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카보네이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의 열가소성 수지, 저융점 유리 프릿, 전분, 땜납, 왁스 등의 각종 열가소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팽창 고무로서는, 수팽윤성 고무를 들 수 있다. 수팽윤성 고무는, 고무에 흡수성 물질이 첨가된 재료이며, 물을 흡수하여 팽윤하고, 팽창한 형상을 유지하는 보형성을 갖는 고무재이다. 수팽윤성 고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중화물의 가교물, 전분 아크릴산 그래프트 공중합체 가교물, 가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흡수성 물질이 고무에 첨가된 고무재를 들 수 있다. 또, 수팽윤성 고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평9-20875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케티민화 폴리아미드 수지, 글리시딜에테르화물, 흡수성 수지 및 고무를 함유하는 수팽윤성 고무를 들 수 있다. 고무 부재의 재질이 수팽윤성 고무인 경우는,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홈형 냉각수 유로에 설치되고 냉각수가 흘려보내지고, 수팽윤성 고무가 물을 흡수함으로써, 수팽윤성 고무가 팽창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팽창 변형된다.
발포 고무는, 다공질의 고무이다. 발포 고무로서는, 연속 기포 구조를 갖는 스펀지형의 발포 고무, 독립 기포 구조를 갖는 발포 고무, 반독립 발포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발포 고무의 재질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 실리콘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발포 고무의 발포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되고, 발포율을 조절함으로써, 고무 부재의 함수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발포 고무의 발포율이란, ((발포 전 밀도-발포 후 밀도)/발포전 밀도)×100으로 표시되는 발포 전후의 밀도 비율을 가리킨다.
고무 부재의 재질이 수팽윤성 고무, 발포 고무와 같이, 함수할 수 있는 재료인 경우,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홈형 냉각수 유로 내에 설치되고, 홈형 냉각수 유로에 냉각수가 흘려보내졌을 때에, 고무 부재가 함수한다. 홈형 냉각수 유로에 냉각수가 흘려보내졌을 때에, 고무 부재의 함수율을, 어떠한 범위로 할지는, 내연 기관의 운전 조건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함수율이란, (냉각수 중량/(충전제 중량+냉각수 중량))×100으로 표시되는 중량 함수율을 가리킨다.
고무 부재의 재질로서 팽창 고무를 이용하는 경우,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창 전에 비해, 팽창 후의 고무 부재(31c)의 표면(26c)의 위치가, 절곡부(40c)보다 보어벽측으로(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 근처로), 팽창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에 나타내는 형태예에서는, 고무 부재(31c)가 홈형 냉각수 유로 내에서 탄성 부재(39)에 의해 탄성 가압되기 전 또한 팽창하기 전은(도 19(A)), 고무 부재(31c)의 접촉면의 곡률이, 고무 부재가 접촉하는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23)의 곡률보다 크다. 그 때문에, 고무 부재(31c)와 보어벽(23) 사이에 간극이 있다. 그리고, 그 상태로부터, 고무 부재(31c)가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 가압되고 또한 팽창하면(도 19(B)), 고무 부재(31c)의 표면(26c)의 위치가, 절곡부(40c)보다 보어벽측이 되도록, 고무 부재(31c)가 팽창함과 더불어, 각 보어벽 보온부(35c)의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의 부분이, 탄성 부재(39)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눌림으로써, 각 보어벽 보온부(35)의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 이외의 부분이, 지지부(34c)와는 독립하여, 각 보어벽 보온부(35)의 원호 방향의 양단측의 부분이 밖으로 열리도록 변형된다. 또,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에서는, 이러한, 각 보어벽 보온부의 고무 부재의 접촉면의 곡률이, 고무 부재가 접촉하는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곡률보다 큰 경우에,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의 부분이, 탄성 부재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눌려,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 이외의 부분이 지지부와는 독립하여,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의 양단측의 부분이 밖으로 열리도록 변형되는 것은, 고무 부재가 팽창 고무여도, 고무 부재가 팽창하지 않는 고무여도 일어난다. 또한, 각 보어벽 보온부의 고무 부재가 팽창 고무인 경우, 각 보어벽 보온부에는,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홈형 냉각수 유로에 설치된 후, 팽창 고무가, 냉각수에 접촉하고 또는 가열됨으로써 팽창하여,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접촉하게 되는 형태도 있다.
고무 부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된다.
배면 누름 부재는, 위에서 보았을 때에, 원호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고무 부재의 전체를 고무 부재의 배면측으로부터 누를 수 있도록, 고무 부재의 배면측(접촉면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따른 형상이며, 고무 부재의 배면측 전체 또는 거의 배면측 전체를 덮는 형상이다. 배면 누름 부재의 재질은, 탄성 부재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눌렸을 때에, 고무 부재를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향해 누를 수 있도록 변형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적절히 선택되지만,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판이 바람직하다. 배면 누름 부재의 두께는, 탄성 부재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눌려졌을 때에, 고무 부재를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향해 누를 수 있도록 변형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적절히 선택 된다.
탄성 부재는, 각 보어벽 보온부의 배면측에 부설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는,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홈형 냉각수 유로에 설치됨으로써, 탄성변형되고,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향해, 배면 누름 부재가 고무 부재를 누르도록, 탄성력에 의해 탄성 가압하기 위한 부재이다.
탄성 부재는, 각 보어벽 보온부를 위에서 보았을 때에,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으로, 2개 이상 부설되어 있다. 탄성 부재의 부설 개소가 1개인 경우, 보온구 전체를 누르기 위해, 탄성 부재를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에 부설하게 되지만, 이러면, 각 보어벽 보온부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은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각 보어벽 보온부를 지지부와 함께 누르게 된다. 그 때문에, 각 보어벽 보온부가, 지지부와는 독립하여, 각 보어벽 보온부의 끝쪽의 부분이 지지부로부터 떨어져 변형되고,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향해, 고무 부재가 눌리는 일은 없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각 보어벽 보온부의 양쪽의 끝쪽 부분이, 지지부와는 독립하여, 지지부로부터 떨어져 변형되고,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향해, 고무 부재가 눌리도록, 탄성 부재는 적어도 각 보어벽 보온부의 한쪽의 단측 근처에 1개소, 다른쪽의 단측 근처에 1개소인 합계 2개소에 부설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각 보어벽 보온부의 전체가 눌리고, 또한, 각 보어벽 보온부의 양쪽의 끝쪽 부분이, 지지부와는 독립하여 눌리도록, 탄성 부재가,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에 1개소, 각 보어벽 보온부의 한쪽의 단측 근처에 1개소, 다른쪽의 단측 근처에 1개소인 합계 3개소에 부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보어벽 보온부의 고무 부재의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대한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원호 방향의 4개소 이상에 탄성 부재가 부설되어 있어도 된다.
탄성 부재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판형의 탄성 부재, 코일형의 탄성 부재, 겹판 스프링, 토션 스프링, 탄성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탄성 부재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내LLC성이 좋고 강도가 높은 점에서, 스테인리스 강(SUS), 알루미늄 합금 등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로서는, 금속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겹판 스프링, 토션 스프링 등의 금속 탄성 부재가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로서는,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과는 반대측의 벽면에 접하는 부분 및 그 근방이,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과는 반대측의 벽면에 대해서 팽출(膨出)하는 곡면형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를 홈형 냉각수 유로 내에 삽입할 때에, 탄성 부재의 벽면과의 접촉 부분에 의해,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과는 반대측의 벽면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예로서는, 도 23에 나타내는 형태예를 들 수 있다. 도 23 중, 각 보어벽 보온구(35a)의 배면측에는, 금속판 스프링(39a)이 부설되어 있는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a)가 설치되어 있다. 도 2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 스프링(39a)의 선단부(27a)는, 꺾음부(271)가 각 보어벽 보온구(35a)측으로 굽혀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3(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27a)는 접촉하는 벽면(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과는 반대측의 벽면)에 대해서 팽출하는 곡면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즉, 도 23에 나타내는 형태예에서는, 탄성 부재인 금속판 스프링 중,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과는 반대측의 벽면에 접촉하는 선단 부분이,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과는 반대측의 벽면에 대해서 팽출하는 곡면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도 23(A)는 각 보어벽 보온부(35a)의 단면도이며, 각 보어벽 보온부(35a)를 원호 방향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며, 또, 도 23(B)는 각 보어벽 보온부(35a)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 각 보어부를 배면측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도면이며, 또, 도 23(C)는 도 23(B) 중의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 A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에서는, 홈형 냉각수 유로에 설치되었을 때에, 탄성 부재에 의해, 고무 부재가 적절한 누름력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홈형 냉각수 유로의 형상 등에 맞추어, 탄성 부재의 형태, 형상, 크기, 설치 위치, 설치 수 등이 적절히 선택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에서는,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와 탄성 부재인 금속판 스프링이 일체 성형되고, 금속판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에, 고무 부재 및 배면 누름 부재가 고정됨으로써, 탄성 부재가 각 보어벽 보온부에 부설되어 있지만, 각 보어벽 보온부에 탄성 부재를 부설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판 스프링, 금속 코일 스프링, 겹판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 등의 금속제의 탄성 부재를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배면 누름 부재에 용접하고, 탄성 부재가 용접된 배면 누름 부재에, 고무 부재를 고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형태예에서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하에 고무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절곡부(40d) 및 보온구를 지지부에 고정하기 위한 절곡부(37d)가 형성되어 있는 배면 누름 부재(47)에,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금속판 스프링(39d)이 용접되어 있다.
각 보어벽 보온부의 형태예로서는,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형태예를 들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창 고무인 고무 부재(31g)에, 그 배면측으로부터 배면 누름 부재(32)와, 금속판 스프링(39)이 부설되고 또한 절곡부(40), 절곡부(41) 및 절곡부(37)가 형성되어 있는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g)를 순서대로 맞추고, 또한, 고무 부재(31g)의 접촉면측에 口자형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口자형 덧댐판(30)을 맞춘다. 다음에, 절곡부(40) 및 절곡부(41)을 굽혀,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부(40) 및 절곡부(41)에, 배면 누름 부재(32), 고무 부재(31g) 및 口자형 덧댐판(30)을 끼움으로써, 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33g)에, 배면 누름 부재(32), 고무 부재(31g) 및 口자형 덧댐판(30)을 고정하고, 각 보어벽 보온부(35d)를 제작한다. 즉, 각 보어벽 보온부로서는, 팽창 고무인 고무 부재와, 배면 누름 부재와, 탄성 부재와, 고무 부재의 접촉면측에 배치되고, 口자형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口자형 덧댐판를 갖는 각 보어벽 보온부를 들 수 있다. 口자형 덧댐판은, 접촉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口자형이므로, 고무 부재의 면의 4변측의 끝에 접해 있다. 바꾸어 말하면, 口자형 덧댐판은, 내측에 직사각형의 개구를 갖고 있다. 그리고, 팽창 고무인 고무 부재가 팽창함으로써, 이 개구의 부분으로부터, 팽창 고무가 덧댐판보다 밖으로 튀어나오고, 튀어나온 부분의 표면이 고무 부재의 접촉면이 된다. 이러한 口자형 덧댐판을 갖는 각 보어벽 보온부에서는, 고무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절곡부가, 직접 고무 부재에 접촉하지 않고, 또한, 절곡부에 비해 매우 접촉 면적이 큰 口자형 덧댐판이 고무 부재에 접촉하므로, 고무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작은 절곡부가 고무 부재에 파고들어감으로써, 고무 부재가 찢어지기 쉬워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에서는,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고무 부재의 접촉면이 향하고, 고무 부재의 접촉면이,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각 보어벽 보온부가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배면측에서는, 각 보어벽 보온부에 부설되어 있는 탄성 부재가,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과는 반대측의 벽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지지부의 개구를 빠져 나가, 고무 부재와는 반대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지지부에 고정되는 각 보어벽 보온부의 수는, 각 보어벽 보온부에 의해 보온하고자 하는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수, 보온 부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지지부는, 홈형 냉각수 유로 내에서의 각 보어벽 보온부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각 보어벽 보온부가 고정되는 부재이므로,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설치 위치의 홈형 냉각수 유로에 따른 형상을 하고 있고, 위에서 보았을 때에, 전체 실린더 보어를 한 바퀴 둘러싸는 형상 또는 복수의 원호가 연속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지지부는 합성 수지제이며, 통상,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냉각수 흐름 칸막이 부재 등의 지지부에 부설되는 부재와 함께, 일체 성형 되어 제작된다. 지지부의 재료는, 내열성 및 내LLC성을 갖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보온구나 워터 재킷 스페이서에 이용되는 합성 수지이면 된다.
지지부에는, 지지부보다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측에 있는 각 보어벽 보온부에 부설되어 있는 탄성 부재가,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과는 반대측의 벽면에 접할수 있도록, 탄성 부재가 빠져나가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는, 지지부 각 보어부의 모두에 각 보어벽 보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전체 지지부 각 보어부 중 일부에 각 보어벽 보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전체 지지부 각 보어부 중 일부에 각 보어벽 보온부가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지지부의 형상이,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을 한 바퀴 둘러싸는 형상이며, 각 보어벽 보온부가, 전체 지지부 각 보어부 중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보온구, 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f)나, 지지부의 형상이,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중 편측 절반에 대응하는 형상이며, 각 보어벽 보온부가 전체 지지부 각 보어부 중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보온구,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e)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에서는, 각 보어벽 보온부는, 위에서 보았을 때의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만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에서는, 각 보어벽 보온부 중,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 이외의 부분은, 지지부에는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탄성 부재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눌렸을 때에,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 이외의 부분은 지지부로부터 떨어져,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향하도록 변형할 수 있다. 또는,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의 부분이 탄성 부재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눌렸을 때에,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 이외의 부분은 지지부와는 독립하여,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의 양단측의 부분이 밖으로 열리도록 변형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에서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제작 또는 실린더 블록의 제작에 있어서, 가공 오차 때문에, 각 보어벽 보온부의 고무 부재의 접촉면의 곡률이, 고무 부재가 접촉하는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곡률보다 작아져 있어도,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 이외의 부분이, 탄성 부재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눌림으로써, 지지부로부터 떨어져,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향하도록 변형되고, 고무 부재가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밀착할 수 있으므로, 고무 부재의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대한 밀착성이 높아진다. 또는, 가공 오차 때문에, 각 보어벽 보온부의 고무 부재의 접촉면의 곡률이, 고무 부재가 접촉하는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곡률보다 크게 되어 있어도,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의 양단측의 부분이, 밖으로 열리도록 변형되어, 고무 부재가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밀착할 수 있으므로, 고무 부재의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대한 밀착성이 높아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고무 부재로서, 감열 팽창 고무나 수팽윤 고무와 같은 팽창 고무를 이용하는 경우, 팽창 전의 고무 부재의 접촉면의 가공을 정밀도 좋게 행해도, 고무 부재를 팽창시켰을 때의 팽창량의 편차에 의해, 팽창 후의 고무 부재의 접촉면의 형상이, 밀착하는 상대인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의 표면 형상과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에서는,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 이외의 부분이, 탄성 부재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눌림으로써, 지지부로부터 떨어져,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향하도록 변형되어, 또는,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의 양단측의 부분이, 밖으로 열리도록 변형되어, 고무 부재가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밀착할 수 있으므로, 고무 부재의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대한 밀착성이 높아진다.
또한, 도 18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의 설명을 위해, 보온부의 양단측 전체에, 고무 부재의 양단측의 접촉면과 보어벽의 사이에 큰 간극이 생긴 도면(도 18(A))을 이용했지만, 실제는, 이 정도 큰 가공 오차가 생기는 일은 없다. 그러나, 실제로, 가공 오차에 의해, 작은 간극이 생기거나, 부분적으로 고무 부재의 접촉면과 보어벽이 떨어져 있거나 하는 경우는 있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에 있어서, 각 보어벽 보온부가 지지부에 고정되는 범위, 구체적으로는, 위에서 보았을 때의 원호 방향의 고정 부분의 길이 및 옆에서 보았을 때의 상하 방향의 고정 부분의 길이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형태예와 같이, 위에서 보았을 때의 각 보어벽 보온부의 원호 방향의 중앙 근방 또한 옆에서 보았을 때의 각 보어벽 보온부의 상단측과 하단측만으로, 각 보어벽 보온부를 지지부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는, 도 5에 나타내는 형태예와 같이, 일단 측에, 냉각수 흐름 칸막이 부재를 가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는, 지지부에, 보온구 전체가 상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 예를 들면, 지지부의 양측의 상측에 부설되고, 상단이 실린더 헤드 또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에 맞닿는 실린더 헤드 당접 부재를 가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는, 그 외의 냉각수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부재 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a)는, 도 4에 나타내는 실린더 블록(11)의 전체 실린더 보어벽 중 편측 절반의 보어벽의 보온용 보온구이지만,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로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형태예와 같이, 전체 실린더 보어벽 중 편측의 일부의 보어벽의 보온용 보온구를 들 수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c)는, 도 4에 나타내는 실린더 블록(11)의 편측 절반의 보어벽(21a) 중 일부, 즉, 실린더 보어(12b1과 12b2)의 보어벽의 보온용 보온구이다. 또한, 도 21은,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형태예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며, 도 21(A)는 내측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1(B)는 외측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로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형태예와 같이,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전부의 보온용 보온구를 들 수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36d)는, 도 4에 나타내는 실린더 블록(11)의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전부의 보온용 보온구이다. 즉,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는, 실린더 블록의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전부의 보온용 보온구여도 되고, 실린더 블록의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중 일부, 예를 들면, 편측 절반이나 편측 일부의 보온용 보온구여도 된다. 또한, 도 22는,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의 형태예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내연 기관은, 본 발명의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는, 본 발명의 내연 기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 블록의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대한 보온구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의 보온성을 높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내연 기관의 실린더 보어벽의 상측과 하측의 변형량의 차이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피스톤의 마찰을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연비가 좋은 내연 기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합성 수지제의 지지부가 스페이서의 역할도 하므로,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고, 실린더 보어벽의 상부의 냉각성을 향상시킨다.
8:최하부 9:최상부
10:중간 근방의 위치 11:실린더 블록
12:보어 12a1, 12a2:단부 보어
12b1, 12b2:중간 보어 13:실린더 보어벽
14:홈형 냉각수 유로 15:냉각수 공급구
16:냉각수 배출구
17:홈형 냉각수 유로(14)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
17a, 17b:편측 절반측의 벽면
18:홈형 냉각수 유로(14)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과는 반대측의 벽면
21a, 21b:편측 절반의 보어벽
23a1, 23a2, 23b1, 23b2: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26, 26c:접촉면 27:선단
30:口자형 덧댐판 31, 31c, 31g:고무 부재
32, 47:배면측 누름 부재
33, 33a, 33g:금속판 스프링 부설 부재
34a, 34b, 34c:지지부
35, 35c, 35d1, 35d2, 35e, 35f:각 보어벽 보온부
36a, 36b, 36c, 36d, 36e, 36f: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37, 40, 40c, 41:절곡부 38:냉각수 흐름 칸막이 부재
39:금속판 스프링 42:개구
43:금속판 45:금속판의 블랭킹물
46a1, 46a2, 46a3, 46a4, 46b1, 46b2, 46b3, 46b4:지지부 각 보어부
191:보어간부
192: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의 각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경계

Claims (6)

  1. 실린더 보어를 갖는 내연 기관의 실린더 블록의 홈형 냉각수 유로에 설치되고,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의 전부 또는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중 일부를 보온하기 위한 보온구이며,
    위에서 보았을 때에 원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보온하기 위한 각 보어벽 보온부와, 합성 수지제이며, 상기 보온구의 설치 위치의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형상에 따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각 보어벽 보온부가 고정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각 보어벽 보온부는,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에 접촉하고,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덮기 위한 고무 부재와, 상기 고무 부재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무 부재 전체를 배면측으로부터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향해 누르기 위한 배면 누름 부재와, 상기 홈형 냉각수 유로의 실린더 보어측의 벽면을 향해, 상기 배면 누름 부재가 상기 고무 부재를 누르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각 보어벽 보온부의 배면측에 상기 지지부가 배치되며,
    상기 각 보어벽 보온부는, 원호 방향의 중앙 또는 중앙 근방만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각 보어벽 보온부에 설치된 탄성 부재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개구를 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무 부재가, 감열 팽창 고무 또는 수팽윤(水膨潤)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중 편측 절반의 보어벽의 보온용 보온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전체 실린더 보어의 보어벽 전부의 보온용 보온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6. 청구항 5에 기재된 내연 기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187013296A 2015-11-12 2016-11-10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내연 기관 및 자동차 KR102063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21932A JP6283011B2 (ja) 2015-11-12 2015-11-12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具、内燃機関及び自動車
JPJP-P-2015-221932 2015-11-12
PCT/JP2016/083371 WO2017082348A1 (ja) 2015-11-12 2016-11-10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具、内燃機関及び自動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890A KR20180063890A (ko) 2018-06-12
KR102063410B1 true KR102063410B1 (ko) 2020-01-07

Family

ID=5869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296A KR102063410B1 (ko) 2015-11-12 2016-11-10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내연 기관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26951B2 (ko)
EP (1) EP3376010B1 (ko)
JP (1) JP6283011B2 (ko)
KR (1) KR102063410B1 (ko)
CN (1) CN108291496B (ko)
WO (1) WO2017082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0234B2 (ja) * 2014-04-11 2018-06-06 ニチアス株式会社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具、内燃機関及び自動車
JP6297393B2 (ja) * 2014-04-11 2018-03-20 ニチアス株式会社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具、内燃機関及び自動車
JP6297531B2 (ja) * 2015-11-05 2018-03-20 ニチアス株式会社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具、内燃機関及び自動車
WO2018225733A1 (ja) * 2017-06-07 2018-12-13 ニチアス株式会社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具
KR102406121B1 (ko) * 2017-10-16 2022-06-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실린더 블록
KR102474366B1 (ko) * 2017-12-18 2022-12-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엔진 냉각 시스템
KR102059412B1 (ko) * 2017-12-22 2019-12-26 동아공업 주식회사 실린더 블록의 워터자켓 삽입물
DE102018009442B3 (de) * 2018-12-01 2020-04-16 Otto-Von-Guericke-Universität Magdeburg Zylinderanordnung und Verfahren zum Kühlen der Zylinderanordnung
KR20200067531A (ko) * 2018-12-04 2020-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린더블록용 워터재킷의 내장 구조물
KR20200068989A (ko) * 2018-12-06 2020-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린더블록용 워터재킷의 내장 구조물
US10907530B2 (en) * 2019-05-10 2021-0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ater jacket diverter and method for operation of an engine cooling system
JP6960971B2 (ja) * 2019-10-02 2021-11-05 ニチアス株式会社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具
KR102198875B1 (ko) * 2019-11-18 2021-01-05 동아공업 주식회사 실린더 블록의 워터자켓 삽입물
KR102180664B1 (ko) * 2019-11-18 2020-11-19 동아공업 주식회사 실린더 블록의 워터자켓 삽입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5118A (ja) 2004-04-27 2005-11-10 Toyota Motor Corp シリンダブロックの冷却構造
JP2007071039A (ja) * 2005-09-05 2007-03-22 Uchiyama Mfg Corp ウォータジャケットスペーサ
JP2015178803A (ja) 2014-03-19 2015-10-08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の冷却装置
WO2015156207A1 (ja) * 2014-04-11 2015-10-15 ニチアス株式会社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具、内燃機関及び自動車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9322B2 (ja) * 2003-07-11 2008-09-10 愛三工業株式会社 ウォータジャケット用スペーサ及びそのスペーサを備えたシリンダブロック
JP2005256661A (ja) * 2004-03-10 2005-09-22 Toyota Motor Corp シリンダブロックの冷却構造
JP4845620B2 (ja) * 2006-07-21 2011-12-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冷却用熱媒体流路区画部材、内燃機関冷却構造及び内燃機関冷却構造形成方法
JP4851258B2 (ja) 2006-07-31 2012-0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冷却用熱媒体流路区画部材、内燃機関冷却機構及び内燃機関冷却機構形成方法
JP5064475B2 (ja) * 2009-11-19 2012-10-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冷却構造
EP2325469B1 (en) * 2009-11-19 2015-12-23 Honda Motor Co., Ltd. Cooling structur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2007479A (ja) * 2010-06-22 2012-01-12 Nichias Corp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部材、内燃機関及び自動車
JP5610290B2 (ja) * 2010-11-29 2014-10-22 内山工業株式会社 ウォータジャケットスペーサ
JP5948268B2 (ja) * 2013-03-15 2016-07-06 ニチアス株式会社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部材
JP6249751B2 (ja) * 2013-12-11 2017-12-2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ウォータジャケットスペーサ
JP6199911B2 (ja) * 2014-03-31 2017-09-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ウォータージャケットスペーサ
WO2016104478A1 (ja) * 2014-12-22 2016-06-30 内山工業株式会社 規制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5118A (ja) 2004-04-27 2005-11-10 Toyota Motor Corp シリンダブロックの冷却構造
JP2007071039A (ja) * 2005-09-05 2007-03-22 Uchiyama Mfg Corp ウォータジャケットスペーサ
JP2015178803A (ja) 2014-03-19 2015-10-08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の冷却装置
WO2015156207A1 (ja) * 2014-04-11 2015-10-15 ニチアス株式会社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具、内燃機関及び自動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6010A4 (en) 2019-06-19
CN108291496B (zh) 2020-06-16
KR20180063890A (ko) 2018-06-12
US10526951B2 (en) 2020-01-07
EP3376010B1 (en) 2021-02-17
US20180355780A1 (en) 2018-12-13
EP3376010A1 (en) 2018-09-19
WO2017082348A1 (ja) 2017-05-18
JP6283011B2 (ja) 2018-02-21
JP2017089529A (ja) 2017-05-25
CN108291496A (zh)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410B1 (ko)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내연 기관 및 자동차
JP6283010B2 (ja)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具、内燃機関及び自動車
KR101901559B1 (ko)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내연기관 및 자동차
JP5588902B2 (ja)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構造体、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方法、内燃機関及び自動車
WO2015156207A1 (ja)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具、内燃機関及び自動車
KR102189397B1 (ko) 내연 기관
US10662873B2 (en) Cylinder bore wall heat insulation devic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utomobile
KR102142817B1 (ko)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내연 기관 및 자동차
KR102198482B1 (ko) 실린더 보어벽의 보온구, 내연기관 및 자동차
WO2018225733A1 (ja)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具
WO2020036052A1 (ja) シリンダボア壁の保温具、内燃機関及び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