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402B1 -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 Google Patents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402B1
KR102063402B1 KR1020180076868A KR20180076868A KR102063402B1 KR 102063402 B1 KR102063402 B1 KR 102063402B1 KR 1020180076868 A KR1020180076868 A KR 1020180076868A KR 20180076868 A KR20180076868 A KR 20180076868A KR 102063402 B1 KR102063402 B1 KR 102063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nsulation
weight
frame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997A (ko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경 filed Critical 김미경
Priority to KR1020180076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4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5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 E06B2003/26352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hollow
    • E06B2003/26354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hollow fi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공되되 중앙에 삽입공이 관통형성된 중공의 사각 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는 외형프레임 및 외형프레임의 삽입공에 억지 끼움을 통해 삽입 설치되는 단열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함으로써 스테인리스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단열을 위한 부재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단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Window frame with improved heat insulation property}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을 위한 부재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단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창호는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외곽 틀을 형성하는 창호 프레임과 창호 프레임에 결합되는 유리창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창호 프레임에는 실외 측과 실내 측 사이의 단열을 위해 단열재가 많이 적용되고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공되는 종래의 창호 프레임은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단열재가 결합될 수 있는 복잡한 구조도 쉽게 성형할 수 있었다.
근래 들어서면서, 알루미늄 재질이 아닌 스테인리스 계열 재질로 이루어지는 창호 프레임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테인리스 재질의 창호 프레임에도 마찬가지로 실내 측과 실외 측 사이의 단열을 위한 단열재 결합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스테인리스는 통상 롤 포밍 장치 등을 이용하여 성형하므로, 알루미늄에 비해 가공 및 성형성이 많이 떨어지게 되며, 따라서 스테인레스 재질의 창호 프레임에 단열재를 고정 결합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스테인리스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단열을 위한 부재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단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창호 프레임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80339호 2009.01.16.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17213호 2012.12.24.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67089호 2017.08.04.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열을 위한 부재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단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상하부단열블록을 포함하는 상하부조립유닛, 중앙단열블록 및 측부단열블록을 포함하는 측부조립유닛으로 구성된 단열프레임 조립체가 적용됨으로써 제작이 간편함과 동시에 설치시 실내 측과 실외 측에 대한 단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공되되 상부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한 쌍의 레일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하부에는 폭 방향으로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외형프레임 및 상기 외형프레임의 각 삽입공에 억지 끼움을 통해 삽입 설치되는 단열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프레임 조립체는 한 쌍으로 제공되되 사각 바 타입으로 제공되어 양측에 조립홈이 형성되고 직사각형 바 타입의 상하부단열블록이 중앙을 관통토록 고정설치되는 상하부본체프레임으로 구성된 상하부조립유닛과, 한 쌍으로 제공되는 상기 상하부조립유닛의 중앙에 밀착 배치되며, 사각 바 타입으로 형성되는 중앙단열블록 및 한 쌍으로 제공되어 상기 중앙단열블록의 상, 하부에 상기 상하부조립유닛이 밀착배치된 상태의 양측에 밀착 조립되되, 상기 상하부조립유닛의 조립홈과 대향되는 일 측의 상, 하부에 각 한 쌍의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직사각형 바 타입의 측부단열블록이 중앙을 관통토록 고정설치되는 측부본체프레임으로 구성된 측부조립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단열블록, 중앙단열블록, 측부단열블록은 바텀애시 50중량%와, 플라이애시 10중량%와, 유리비드 5중량%와, 점토애시 15중량%와, 흑연애시 10중량%와, 규산소다 5중량%와 보조첨가제 5중량%를 준비 및 혼합 믹싱하여 단열재 재료를 얻으며, 지그재그 형 판 상의 보강판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과정과, 준비된 재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을 틀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도록 한 후 틀에 단열재 재료를 수용 및 프레스로 가압하여 사각 바 타입이나 직사각형 바 타입의 블록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과정과, 성형된 블록을 건조로를 통과시키면서 80~450℃의 온도에서 25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과정과, 건조된 블록을 900~1300℃의 소성로에서 35분 동안 소성하는 소성과정 및 소성된 블록을 10분 동안 질소 냉각하는 냉각과정을 수행하여 얻는 단열블록으로서, 단열재 중앙부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이 구비된 단열블록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하부단열블록, 중앙단열블록, 측부단열블록은 상기 재료 준비과정에서, 바텀애시 50중량%는 0.3~5mm의 입도를 고르게 혼합하여 구성하되, 바텀애시 100중량%에 대하여, 4.75~5mm 10중량%와, 2.36~4.75mm 40중량%와, 1.18~2.36mm 30중량%와, 0.6~1.18mm 10중량%와, 0.3~0.6mm이하 10중량%를 혼합 조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하부단열블록, 중앙단열블록, 측부단열블록의 단열재 중앙부분에 구비되는 보강판은 지그재그형 판 상으로 제공되는 한편, 일정간격을 가지고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타공판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하부단열블록, 중앙단열블록, 측부단열블록은 상기 성형과정에서, 상기 보강판의 양면인 단열재 재료가 접하는 면에 단열재 재료 100 중량부 대비 논슬립제 3~5 중량부가 포함되고, 이 논슬립제는 세라믹 분말, 산화알미늄 분말, 산화철 분말, 비금속 분말 중에서 1종 또는 이들 종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이루어지고, 입자의 크기가 300 메쉬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하부단열블록, 중앙단열블록, 측부단열블록은 상기 성형과정에서, 상기 보강판의 양면인 단열재 재료가 접하는 면에 단열재 재료 100 중량부 대비 논슬립제 3~5 중량부가 포함되고, 이 논슬립제는 세라믹 분말, 산화알미늄 분말, 산화철 분말, 비금속 분말 중에서 1종 또는 이들 종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이루어지되, 크기가 서로 다른 '+'자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판의 양면인 단열재 재료가 접하는 면에 불규칙하게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하부단열블록, 중앙단열블록, 측부단열블록은 단열재 중앙부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이 구비된 단열블록으로 적용되되, 상기 상하부단열블록 및 중앙단열블록은 단열재 중앙부분에 하나의 보강판이 구비된 단열블록으로 적용되는 한편, 상기 측부단열블록은 단열재 중앙부분에 정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간격 떨어지게 두 개의 보강판이 구비된 단열블록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공되되 중앙에 삽입공이 관통형성된 중공의 사각 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는 외형프레임 및 외형프레임의 삽입공에 억지 끼움을 통해 삽입 설치되는 단열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함으로써 스테인리스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단열을 위한 부재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단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상하부단열블록을 포함하는 상하부조립유닛, 중앙단열블록 및 측부단열블록을 포함하는 측부조립유닛으로 구성된 단열프레임 조립체가 적용됨으로써 제작이 간편함과 동시에 설치시 실내 측과 실외 측에 대한 단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 외형프레임과 단열프레임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 외형프레임과 단열프레임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의 요부인 단열프레임 조립체에 대한 조립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의 요부인 단열프레임 조립체에 대한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열프레임 조립체의 조립상태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의 단열프레임 조립체에 대한 요부로서, 상하부단열블록, 측부단열블록 및 중앙단열블록에 적용되는 보강판을 나타낸 요부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이 4개로 적용되어 상호 연결프레임을 통해 사각형상의 틀 타입으로 조립 시공되는 구조를 나타낸 시공 사용상태 분리 사시구성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시공 사용상태 결합 사시구성도.
도 8은 도 6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시공 사용상태 결합 단면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 외형프레임과 단열프레임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 외형프레임과 단열프레임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의 요부인 단열프레임 조립체에 대한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열프레임 조립체의 조립상태 단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 외형프레임과 단열프레임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 외형프레임과 단열프레임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의 요부인 단열프레임 조립체에 대한 조립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의 요부인 단열프레임 조립체에 대한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열프레임 조립체의 조립상태 단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의 단열프레임 조립체에 대한 요부로서, 상하부단열블록, 측부단열블록 및 중앙단열블록에 적용되는 보강판을 나타낸 요부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이 4개로 적용되어 상호 연결프레임을 통해 사각형상의 틀 타입으로 조립 시공되는 구조를 나타낸 시공 사용상태 분리 사시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시공 사용상태 결합 사시구성도이며, 도 8은 도 6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시공 사용상태 결합 단면구성도이다.
도 1 내지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공되되 중앙에 삽입공(110)이 관통형성된 중공의 사각 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는 외형프레임(100) 및 외형프레임(100)의 삽입공(110)에 억지 끼움을 통해 삽입 설치되는 단열프레임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열프레임 조립체(200)는 크게 분류하면 상하부조립유닛(210)과, 중앙단열블록(220) 및 측부조립유닛(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상하부조립유닛(210)은 한 쌍으로 제공되되 사각 바 타입으로 제공되어 양측에 조립홈(212)이 형성되고 직사각형 바 타입의 상하부단열블록(215)이 중앙을 관통토록 고정설치되는 상하부본체프레임(21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단열블록(220)은 한 쌍으로 제공되는 상기 상하부조립유닛(210)의 중앙에 밀착 배치되며, 사각 바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부조립유닛(230)은 한 쌍으로 제공되어 상기 중앙단열블록(220)의 상, 하부에 상기 상하부조립유닛(210)이 밀착배치된 상태의 양측에 밀착 조립되되, 상기 상하부조립유닛(210)의 조립홈(212)과 대향되는 일 측의 상, 하부에 각 한 쌍의 조립돌기(232)가 돌출형성되고 직사각형 바 타입의 측부단열블록(235)이 중앙을 관통토록 고정설치되는 측부본체프레임(231)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단열재프레임 조립체(200)에서의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은 재료 준비과정과, 성형과정과, 건조과정과, 소성과정 및 냉각과정을 수행하여 얻는 단열블록으로서, 단열재(216, 226, 236) 중앙부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217, 227, 237)이 구비된 단열블록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재료 준비과정은 바텀애시 50중량%와, 플라이애시 10중량%와, 유리비드 5중량%와, 점토애시 15중량%와, 흑연애시 10중량%와, 규산소다 5중량%와 보조첨가제 5중량%를 준비 및 혼합 믹싱하여 단열재 재료를 얻으며, 지그재그 형 판 상의 보강판(217, 227, 237)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성형과정은 준비된 재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217, 227, 237)을 틀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도록 한 후 틀에 단열재 재료를 수용 및 프레스로 가압하여 사각 바 타입이나 직사각형 바 타입의 블록 형태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건조과정은 성형된 블록을 건조로를 통과시키면서 80~450℃의 온도에서 25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소성과정은 건조된 블록을 900~1300℃의 소성로에서 35분 동안 소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과정은 소성된 블록을 10분 동안 질소 냉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은 특히, 상기 재료 준비과정에서, 바텀애시 50중량%는 0.3~5mm의 입도를 고르게 혼합하여 구성하되, 바텀애시 100중량%에 대하여, 4.75~5mm 10중량%와, 2.36~4.75mm 40중량%와, 1.18~2.36mm 30중량%와, 0.6~1.18mm 10중량%와, 0.3~0.6mm이하 10중량%를 혼합 조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은 상기 성형과정에서, 상기 보강판(217, 227, 237)의 양면인 단열재 재료가 접하는 면에 단열재 재료 100 중량부 대비 논슬립제 3~5 중량부가 포함되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논슬립제는 세라믹 분말, 산화알미늄 분말, 산화철 분말, 비금속 분말 중에서 1종 또는 이들 종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이루어지고, 입자의 크기가 300 메쉬 이하인 것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보강판(217, 227, 237)의 양면인 단열재 재료가 접하는 면에 논슬립제가 적정량 도포되면, 접하는 면에서의 슬립을 억제하여 보강판(217, 227, 237)에 대한 단열재 재료와의 접합 결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은 상기 성형과정에서, 상기 보강판(217, 227, 237)의 양면인 단열재 재료가 접하는 면에 단열재 재료 100 중량부 대비 논슬립제 3~5 중량부가 포함되고, 이 논슬립제는 세라믹 분말, 산화알미늄 분말, 산화철 분말, 비금속 분말 중에서 1종 또는 이들 종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이루어지되, 크기가 서로 다른 '+'자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판(217, 227, 237)의 양면인 단열재 재료가 접하는 면에 불규칙하게 도포되어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의 단열재(216, 226, 236) 중앙부분에 구비되는 보강판(217, 227, 237)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 판 상으로 제공되는 한편, 일정간격을 가지고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통공(217a, 227a, 237a)이 형성된 타공판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은 단열재(216, 226, 236) 중앙부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217, 227, 237)이 구비된 단열블록으로 적용되되,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및 중앙단열블록(220)은 단열재(216, 226, 236) 중앙부분에 하나의 보강판(217, 227, 237)이 구비된 단열블록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측부단열블록(235)은 단열재(236) 중앙부분에 정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간격 떨어지게 두 개의 보강판(237)이 구비된 단열블록으로 적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은 도 6 내지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형프레임(100)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된 상기 단열프레임 조립체(200)가 상기 외형프레임(100)의 삽입공(110)에 억지 끼움을 통해 삽입 설치된 한 세트가 4개의 세트로 제공되어 사각형상 틀을 이루도록 시공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4개의 세트의 마주하는 사각형상 틀의 모서리부분은 연결프레임(300)의 연결돌기(310)가 상기 외형프레임(100)의 삽입공(110)에 삽입연결되어 사각형상 틀이 완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에 의하면,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공되되 중앙에 삽입공이 관통형성된 중공의 사각 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는 외형프레임 및 외형프레임의 삽입공에 억지 끼움을 통해 삽입 설치되는 단열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함으로써 스테인리스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단열을 위한 부재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단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하부단열블록을 포함하는 상하부조립유닛, 중앙단열블록 및 측부단열블록을 포함하는 측부조립유닛으로 구성된 단열프레임 조립체가 적용됨으로써 제작이 간편함과 동시에 설치시 실내 측과 실외 측에 대한 단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 외형프레임과 단열프레임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 외형프레임과 단열프레임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다.
도 9 내지 1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외형프레임에 대하여서만 차이를 가지므로, 단열프레임 조립체의 세부구성에 대하여서는 도 1 내지 8을 함께 참조하기로 하며,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은 미닫이 창호의 창호틀을 제조하기 위한 창호 프레임으로서,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공되되 상부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한 쌍의 레일(101)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레일(101)의 하부에는 폭 방향으로 다수의 삽입공(110)이 형성되는 외형프레임(100) 및 상기 외형프레임(100)의 각 삽입공(110)에 억지 끼움을 통해 삽입 설치되는 단열프레임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열프레임 조립체(200)는 크게 분류하면 상하부조립유닛(210)과, 중앙단열블록(220) 및 측부조립유닛(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상하부조립유닛(210)은 한 쌍으로 제공되되 사각 바 타입으로 제공되어 양측에 조립홈(212)이 형성되고 직사각형 바 타입의 상하부단열블록(215)이 중앙을 관통토록 고정설치되는 상하부본체프레임(21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단열블록(220)은 한 쌍으로 제공되는 상기 상하부조립유닛(210)의 중앙에 밀착 배치되며, 사각 바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부조립유닛(230)은 한 쌍으로 제공되어 상기 중앙단열블록(220)의 상, 하부에 상기 상하부조립유닛(210)이 밀착배치된 상태의 양측에 밀착 조립되되, 상기 상하부조립유닛(210)의 조립홈(212)과 대향되는 일 측의 상, 하부에 각 한 쌍의 조립돌기(232)가 돌출형성되고 직사각형 바 타입의 측부단열블록(235)이 중앙을 관통토록 고정설치되는 측부본체프레임(231)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단열재프레임 조립체(200)에서의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은 재료 준비과정과, 성형과정과, 건조과정과, 소성과정 및 냉각과정을 수행하여 얻는 단열블록으로서, 단열재(216, 226, 236) 중앙부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217, 227, 237)이 구비된 단열블록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재료 준비과정은 바텀애시 50중량%와, 플라이애시 10중량%와, 유리비드 5중량%와, 점토애시 15중량%와, 흑연애시 10중량%와, 규산소다 5중량%와 보조첨가제 5중량%를 준비 및 혼합 믹싱하여 단열재 재료를 얻으며, 지그재그 형 판 상의 보강판(217, 227, 237)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성형과정은 준비된 재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217, 227, 237)을 틀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도록 한 후 틀에 단열재 재료를 수용 및 프레스로 가압하여 사각 바 타입이나 직사각형 바 타입의 블록 형태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건조과정은 성형된 블록을 건조로를 통과시키면서 80~450℃의 온도에서 25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소성과정은 건조된 블록을 900~1300℃의 소성로에서 35분 동안 소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과정은 소성된 블록을 10분 동안 질소 냉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은 특히, 상기 재료 준비과정에서, 바텀애시 50중량%는 0.3~5mm의 입도를 고르게 혼합하여 구성하되, 바텀애시 100중량%에 대하여, 4.75~5mm 10중량%와, 2.36~4.75mm 40중량%와, 1.18~2.36mm 30중량%와, 0.6~1.18mm 10중량%와, 0.3~0.6mm이하 10중량%를 혼합 조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료 준비과정에서 적용되는 바텀애시(Bottom Ash)는 화력발전소에서 연료로 사용하고 남은 석탄재로 비교적 경량재로써 다공성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 창호 프레임에 적용시 그 중량을 경량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은 상기 성형과정에서, 상기 보강판(217, 227, 237)의 양면인 단열재 재료가 접하는 면에 단열재 재료 100 중량부 대비 논슬립제 3~5 중량부가 포함되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논슬립제는 세라믹 분말, 산화알미늄 분말, 산화철 분말, 비금속 분말 중에서 1종 또는 이들 종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이루어지고, 입자의 크기가 300 메쉬 이하인 것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보강판(217, 227, 237)의 양면인 단열재 재료가 접하는 면에 논슬립제가 적정량 도포되면, 접하는 면에서의 슬립을 억제하여 보강판(217, 227, 237)에 대한 단열재 재료와의 접합 결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은 상기 성형과정에서, 상기 보강판(217, 227, 237)의 양면인 단열재 재료가 접하는 면에 단열재 재료 100 중량부 대비 논슬립제 3~5 중량부가 포함되고, 이 논슬립제는 세라믹 분말, 산화알미늄 분말, 산화철 분말, 비금속 분말 중에서 1종 또는 이들 종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이루어지되, 크기가 서로 다른 '+'자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판(217, 227, 237)의 양면인 단열재 재료가 접하는 면에 불규칙하게 도포되어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의 단열재(216, 226, 236) 중앙부분에 구비되는 보강판(217, 227, 237)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 판 상으로 제공되는 한편, 일정간격을 가지고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통공(217a, 227a, 237a)이 형성된 타공판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은 단열재(216, 226, 236) 중앙부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217, 227, 237)이 구비된 단열블록으로 적용되되,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및 중앙단열블록(220)은 단열재(216, 226, 236) 중앙부분에 하나의 보강판(217, 227, 237)이 구비된 단열블록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측부단열블록(235)은 단열재(216, 226, 236) 중앙부분에 정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간격 떨어지게 두 개의 보강판(217, 227, 237)이 구비된 단열블록으로 적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외형프레임 101: 레일
110: 삽입공 200: 단열프레임 조립체
210: 상하부조립유닛 211: 상하부본체프레임
212: 조립홈 215: 상하부단열블록
216: 단열재 217: 보강판
217a: 통공 220: 중앙단열블록
226: 단열재 227: 보강판
227a: 통공 230: 측부조립유닛
231: 측부본체프레임 232: 조립돌기
235: 측부단열블록 236: 단열재
237: 보강판 237a: 통공
300: 연결프레임 310: 연결돌기

Claims (6)

  1. 미닫이 창호의 창호틀을 제조하기 위한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공되되 상부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한 쌍의 레일(101)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레일(101)의 하부에는 폭 방향으로 다수의 삽입공(110)이 형성되는 외형프레임(100) 및 상기 외형프레임(100)의 각 삽입공(110)에 억지 끼움을 통해 삽입 설치되는 단열프레임 조립체(200)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프레임 조립체(200)는 한 쌍으로 제공되되 사각 바 타입으로 제공되어 양측에 조립홈(212)이 형성되고 직사각형 바 타입의 상하부단열블록(215)이 중앙을 관통토록 고정설치되는 상하부본체프레임(211)으로 구성된 상하부조립유닛(210)과,
    한 쌍으로 제공되는 상기 상하부조립유닛(210)의 중앙에 밀착 배치되며, 사각 바 타입으로 형성되는 중앙단열블록(220) 및
    한 쌍으로 제공되어 상기 중앙단열블록(220)의 상, 하부에 상기 상하부조립유닛(210)이 밀착배치된 상태의 양측에 밀착 조립되되, 상기 상하부조립유닛(210)의 조립홈(212)과 대향되는 일 측의 상, 하부에 각 한 쌍의 조립돌기(232)가 돌출형성되고 직사각형 바 타입의 측부단열블록(235)이 중앙을 관통토록 고정설치되는 측부본체프레임(231)으로 구성된 측부조립유닛(230)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은 바텀애시 50중량%와, 플라이애시 10중량%와, 유리비드 5중량%와, 점토애시 15중량%와, 흑연애시 10중량%와, 규산소다 5중량%와 보조첨가제 5중량%를 준비 및 혼합 믹싱하여 단열재 재료를 얻으며, 판 상의 보강판(217, 227, 237)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과정과,
    준비된 재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217, 227, 237)을 틀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도록 한 후 틀에 단열재 재료를 수용 및 프레스로 가압하여 사각 바 타입이나 직사각형 바 타입의 블록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과정과,
    성형된 블록을 건조로를 통과시키면서 80~450℃의 온도에서 25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과정과,
    건조된 블록을 900~1300℃의 소성로에서 35분 동안 소성하는 소성과정 및
    소성된 블록을 10분 동안 질소 냉각하는 냉각과정을 수행하여 얻는 단열블록으로서, 단열재(216, 226, 236) 중앙부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217, 227, 237)이 구비된 단열블록으로 적용되며,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은 상기 재료 준비과정에서, 바텀애시 50중량%는 0.3~5mm의 입도를 고르게 혼합하여 구성하되,
    바텀애시 100중량%에 대하여, 4.75~5mm 10중량%와, 2.36~4.75mm 40중량%와, 1.18~2.36mm 30중량%와, 0.6~1.18mm 10중량%와, 0.3~0.6mm이하 10중량%를 혼합 조성하고,
    상기 보강판(217, 227, 237)은 지그재그형 판 상으로 제공되는 한편, 일정간격을 가지고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통공(217a, 227a, 237a)이 형성된 타공판 타입으로 제공되며,
    상기 상하부단열블록(215), 중앙단열블록(220), 측부단열블록(235)은 상기 성형과정에서,
    상기 보강판(217, 227, 237)의 양면인 단열재 재료가 접하는 면에 단열재 재료 100 중량부 대비 논슬립제 3~5 중량부가 포함되고,
    상기 논슬립제는 세라믹 분말, 산화알미늄 분말, 산화철 분말, 비금속 분말 중에서 1종 또는 이들 종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이루어지며, 입자의 크기가 300 메쉬 이하이고,
    크기가 서로 다른 '+'자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판(217, 227, 237)의 양면인 단열재 재료가 접하는 면에 불규칙하게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측부단열블록(235)은 단열재(236) 중앙부분에 정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간격 떨어지게 두 개의 보강판(237)이 구비된 단열블록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76868A 2018-07-03 2018-07-03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KR10206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868A KR102063402B1 (ko) 2018-07-03 2018-07-03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868A KR102063402B1 (ko) 2018-07-03 2018-07-03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141A Division KR101877200B1 (ko) 2018-02-19 2018-02-19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997A KR20190099997A (ko) 2019-08-28
KR102063402B1 true KR102063402B1 (ko) 2020-01-07

Family

ID=6777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868A KR102063402B1 (ko) 2018-07-03 2018-07-03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740B1 (ko) 2019-10-21 2020-02-28 김용호 알루미늄 창호용 다공형상구조 단열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920B1 (ko) 2015-04-07 2016-02-22 (주)윈가람 추가 발포를 이용한 단열재 충전방법
KR101685893B1 (ko) 2016-05-03 2016-12-13 권기준 서스 문틀
JP2017002668A (ja) 2015-06-15 2017-01-05 鉦則 藤田 窓構造体及び防火扉構造体用の建材、該建材を含む窓構造体及び防火扉構造体
KR101767089B1 (ko) 2016-10-05 2017-08-14 주식회사 경기창호금속 조립식 구조를 갖는 단열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KR101877200B1 (ko) 2018-02-19 2018-07-10 김미경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339B1 (ko) 2006-07-06 2009-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프레임
KR101217213B1 (ko) 2012-08-30 2012-12-31 (주)영남유리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KR20150139404A (ko) * 2014-06-03 2015-12-11 강현구 스테인레스 문틀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920B1 (ko) 2015-04-07 2016-02-22 (주)윈가람 추가 발포를 이용한 단열재 충전방법
JP2017002668A (ja) 2015-06-15 2017-01-05 鉦則 藤田 窓構造体及び防火扉構造体用の建材、該建材を含む窓構造体及び防火扉構造体
KR101685893B1 (ko) 2016-05-03 2016-12-13 권기준 서스 문틀
KR101767089B1 (ko) 2016-10-05 2017-08-14 주식회사 경기창호금속 조립식 구조를 갖는 단열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KR101877200B1 (ko) 2018-02-19 2018-07-10 김미경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997A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200B1 (ko)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GB2131061A (en) Block
KR102063402B1 (ko)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US20050198917A1 (en) Roofing tile and snow-melting, tiled roof using the same
US20020152697A1 (en) Roofing tile and snow-melting, tiled roof using the same
US20070028817A1 (en) Self-aligning fire brick assembly
DE102007061451A1 (de) Hochlochziegel
KR101983318B1 (ko) 온돌겸용 바닥재용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214079B1 (ko) 난방배관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금형
CN210459739U (zh) 一种环保新型高硬度内墙砖
CN212507027U (zh) 一种建筑节能用保温砖
JP5478896B2 (ja) ハニカムセグメント接合体の製造方法
CN113442269A (zh) 多功能复合外观美容墙体墙面材料的制备工艺
CN110511055B (zh) 一种窑变烧结陶板及其制备方法
KR100403856B1 (ko) 파유리를 이용한 무기질 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234869Y1 (ko) 벽돌 외장용 패널
KR101537756B1 (ko) 화실용 내열성 황토블록의 제조방법
EP0612954A1 (de) Gepresste Verbundplatte als Formteil zum Einbau für die Wärmedämmung, vorzugsweise bei Koch- und Heizgeräten
CN205242927U (zh) 烧结物构件
EP1835086A2 (de) Mauerstein mit zweischaligem Aufbau
CN215716502U (zh) 一种隔热型多孔砖
KR860002657Y1 (ko) 내부공간을 가진 벽돌
CN219931342U (zh) 一种智能装配式保温墙体
CN217737873U (zh) 垫层构造及宽截面隧道窑窑车
CN220205776U (zh) 一种翼式隔热篦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