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289B1 - 당을 제거한 과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을 제거한 과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289B1
KR102063289B1 KR1020130115187A KR20130115187A KR102063289B1 KR 102063289 B1 KR102063289 B1 KR 102063289B1 KR 1020130115187 A KR1020130115187 A KR 1020130115187A KR 20130115187 A KR20130115187 A KR 20130115187A KR 102063289 B1 KR102063289 B1 KR 102063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cosmetic composition
sugar
sal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062A (ko
Inventor
김문주
최승만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115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2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3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의 일 성분으로 포함된 과일의 조성물 내 분산도가 향상된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과일의 당을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침으로써 과일의 굳음/뭉침 현상을 해소하고, 과일 분쇄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 공정의 염 제거 효과를 통해 염에 약한 고분자 폴리머를 이용해 분산시키는 경우에도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당을 제거한 과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ugar-free fruits}
본 발명은 과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 내 과일 분쇄물의 뭉침 현상 해소를 통해, 과일 분쇄물의 분산도가 높은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화장품사들의 과일 함유 화장품 출시가 쇄도하고 있으며, 천연 화장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로 인해 과일 함유 화장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과일은 피부 미용에 좋은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피부 진정 효과, 보습 효과, 색소 침착 억제 내지 미백 효과, 주름 개선 효과 또는 재생 효과 등을 복합적으로 발휘하기 때문으로, 특히 과일 함유 화장품에 주성분으로 포함되는 과일 유래 당은 건조하고 거칠어진 피부를 활기 있게 가꾸어 줄 수 있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 당 종류와 함량에는 차이가 있으나, 모든 과일에는 당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국내 접근성이 높은 과일들 중 포도, 사과, 감, 참외, 수박, 귤, 복숭아 및 배 순으로 당 함량이 높고, 다양한 당류, 특히 포도당, 과당, 자당(수크로스), 솔비톨 그리고 마이오-이노시톨(myo-inositol)과 같은 당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한국영양학회지 2012;45(20:192~200), "Sugar composition and glycemic indices of flequently consumed fruits in Korea", 유지현 외).
그러나 종래 과일 함유 화장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과일에 포함된 당으로 인해 과일을 화장료 조성물 내에 고루 분산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로 과일을 포함하는 경우 분쇄물 형태로 포함하는데, 과일 유래 당으로 인해 분쇄에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분쇄 후 분쇄물 간의 뭉침 현상이 해소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의 일 성분으로 포함된 과일의 조성물 내 분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과일의 당을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침으로써 과일의 굳음/뭉침 현상을 해소하고, 과일 분쇄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 공정의 염 제거 효과를 통해 염에 약한 고분자 폴리머를 이용해 분산시키는 경우에도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당(sugar)이 제거된 과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화장료 조성물 내 과일의 분산도를 저해하는 요소를 과일에 함유된 당으로 인한 굳음/뭉침 현상으로 파악하고, 과일의 당을 제거하는 전처리 후에 당 제거된 과일을 통상의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이용한 경우 과일의 분산도가 향상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과육 또는/및 과피를 화장료 조성물의 일 성분 중 하나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의미하며, 과일을 고상(solid state)으로 포함하고, 특히 과일 분쇄물의 형태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해당되며, 상기 분쇄물의 입자 크기, 분쇄 횟수 또는 분쇄 시간 등에는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당(sugar)"에는 과일에 함유된 당은 제한하지 않고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포도당, 과당, 엿당, 자당(수크로스), 솔비톨, 마이오-이노시톨(myo-inositol)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양태로,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당(sugar)이 제거된 과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양태로,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과일의 당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친 후, 당 제거된 과일을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일"이라 함은, 나무나 초본 식물에 달리는,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열매를 의미하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특히, 당 함량이 높은 통상의 과일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포도, 사과, 감, 참외, 수박, 귤, 복숭아 또는 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과일의 과육 내지 과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포도의 과피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과일의 당 제거를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과일의 타 성분 파괴를 최소화하고 통상의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공정을 그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과일을 수중가열하여 당을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당 제거라 함은, 과일에 함유된 당이 제거됨으로써 당에 의한 굳음/뭉침 현상 없이, 과일이 고루 분산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공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과일을 화장료 조성물의 일 성분으로 포함하기 전에 과일의 당을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치는바, 예컨대, 과일을 수중가열하는 단계, 필터링하여 과일만을 수득하는 단계, 과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동결건조된 과일을 분쇄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친 과일 분쇄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시켜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과일을 수중가열하는 단계 외 다른 단계는 제외될 수 있으며, 예시한 단계 외에 다른 단계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과일의 수중가열 중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은 과일의 종류, 과일에 포함된 당 함량 또는 당 종류 등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는 요소이며, 포도 과피의 당 제거를 위한 수중가열시 70℃ 이상의 온도에서 3시간 이상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70℃이상의 온도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할 수 있다. 70℃ 미만의 온도에서 수중가열하는 단계를 통해서는 충분한 당 제거가 어렵다.
또한, 과일의 당 제거와 함께 염(salt)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일의 염 제거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 내에 과일을 분산시킬 때 염에 약한 고분자 분산제를 사용하여 분산시키는 경우에도 시간 경과에 따른 경도 하락 현상 없이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과일의 수중가열 단계를 거치면, 당 제거와 함께 염도 제거할 수 있으며, 과일의 수중가열 중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은 과일의 종류, 과일에 포함된 염 함량 등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는 요소이며, 포도 과피 수중가열시 70℃이상의 온도에서 3시간 이상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70℃ 이상의 온도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할 수 있다. 70℃ 미만의 온도에서 수중가열하는 단계를 통해서는 충분한 제품 안정성 확보가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당 제거 전처리 공정을 거친 과일은 통상의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과일 이외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보습제, 증점제, 계면활성제, 유상기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알코올, 향료, pH 조절제, 천연추출물 등은 물론 과일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한 화학적 성분을 적당한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팩 제형을 갖는다. 팩 제형은 추출 공정 없이 과일을 분쇄물의 형태로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하는 방식으로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대표적인 제형이므로, 본 발명의 효과, 즉 화장료 조성물 내 과일이 고루 분산되는 효과를 가장 잘 발휘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과일에 함유된 당이 제거됨으로써 당에 의한 굳음/뭉침 현상 없이, 과일이 고루 분산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공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당 제거 공정을 통해 과일 내 염(salt)도 함께 제거되므로 염에 약한 고분자 분산제를 사용하여 분산시키는 경우에도 시간 경과에 따른 경도 하락 현상 없이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당 제거 공정을 거치지 않은 포도 과피에서 굳음/뭉침 현상이 나타난 것을 도시한다.
도 2는 70℃에서 3시간 가량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해 당 제거 공정을 거친 포도 과피의 분쇄 결과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70℃에서 5시간 가량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해 당 제거 공정을 거친 포도과피의 분쇄 결과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당 제거 공정을 거치지 않은 포도 과피의 분쇄 결과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과피 분쇄물을 분산시킨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 가열 온도 및 시간에 따른 당 제거 확인실험
실험방법
정제수 1ℓ에 포도 과피 10g을 첨가하여 정해진 온도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 후 200 Mesh portable Filter를 사용하여 자연 낙하로 과피만을걸러내고, 2 ~ 3회 정제수로 헹궈주었다. Filter 후 남겨진 과피를 3 ~ 5일간 동결 건조하였다.
상용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의 실험에 대해서, 7일이 지난 후 과피의 뭉침/굳음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뭉침/굳음 이상 없음: ◎, 약한 뭉침/굳음: ○, 뭉침/굳음: X
Figure 112013087797893-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70℃ 이상의 온도에서의 가열 공정을 거친 후 필터링된 과피/과육의 경우 뭉침/굳음 현상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가열 공정을 거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포도 과피의 뭉침/굳음 현상이 심각하였는바, 도 1을 통해서도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7-10 및 비교예 2> 당 제거 정도에 따른 분쇄 결과물 확인 실험
실험방법
표 1에서 얻어진 동결 건조한 과피를 분쇄기를 통해 분쇄하였다.
상용성 평가
상기 실시예 7 ~ 10, 비교예 2의 실험에 대해서, 분쇄 직후 분쇄 결과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표 2에 나타냈다.
평가기준 (분쇄 정도 평가)
이상 없음: ◎, 약한 뭉침, 약학 분쇄도: ○, 분쇄 안됨: X
Figure 112013087797893-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당이 충분히 제거된 실시예 8 ~ 10의 경우, 동결 건조 후 분쇄기를 이용해 분쇄하였을 때, 고루 분쇄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 내지 도 3 참고). 이에 반해,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을 분쇄 샘플로 사용한 실시예 7과 비교예 2의 경우 분쇄 자체가 안될 뿐만 아니라, 분쇄물의 뭉침 현상이 심각한 정도였다(도 4 참고).
< 실시예 11 및 비교예 3-4> 팩 조성물 제조
실험방법
염에 약하지만 점증력이 뛰어나고 투명한 폴리머에 당이 제거된 과피분쇄물과 당이 제거되지 않은 과피 분쇄물을 사용하여 분산 후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제조방법
하기 표 3의 실시예 11 제조방법
비이커에 원료 5에 원료 3-4를 넣어 30분간 분산시킨 후, 원료 6-8을 투입하여 50℃로 가온하였다. 50℃에서 원료 9를 넣고 5분간 3500rpm으로 균일하게 교반한 후 실시예 9를 통해 얻어진 원료 1을 넣고 다시 5분간 3500rpm으로 균일하게 교반한 후 28℃까지 냉각하였다.
하기 표 3의 비교예 3, 비교예 4 제조방법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3087797893-pat00003
과피 분산력 및 상용성 평가
상기 표 3의 실시예 11 및 비교예 3, 4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과피 분산력과 상용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5℃에서 4주 동안 보관하면서, 과피의 분산 정도(육안확인) 및 경도하락(경도계) 여부를 관찰하여 표 4에 나타냈다.
평가기준
1) 과피의 분산 정도
고루 분산: ◎, 분산 안됨: X
2) 경도 하락 정도 (경도 측정 결과)
Figure 112013087797893-pat00004
상기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당이 제거된 과피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11), 과피의 분산 정도가 양호하며, 뿐만 아니라 경시에 따른 경도 하강도 없이 제형이 안정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당이 제거되지 않은 과피를 사용한 경우(비교예 3, 4), 과피가 분산되지 않고 뭉쳐 있었으며 4주 후 경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에 약한 고분자 분산제인 카보머 계열의 폴리머의 경우 염에 노출되면 경시에 따라 경도가 떨어지는 특징이 있으나, 당 제거 공정을 거친 실시예 11의 경우 당 제거 공정을 통해 염(SALT)도 함께 제거되어, 카보머 계열의 고분자 분산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당(sugar) 및 염(salt)이 제거된 고상(solid state)의 과일 및 분산제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은 포도 과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 및 염이 제거된 고상의 과일은 과일 분쇄물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상의 과일의 당 및 염을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친 후, 당 및 염이 제거된 고상의 과일 및 분산제를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의 당 및 염을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은 과일을 수중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포도 과피의 당 및 염을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은 포도 과피를 70℃ 이상의 온도에서 3시간 이상 수중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과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30115187A 2013-09-27 2013-09-27 당을 제거한 과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63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187A KR102063289B1 (ko) 2013-09-27 2013-09-27 당을 제거한 과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187A KR102063289B1 (ko) 2013-09-27 2013-09-27 당을 제거한 과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062A KR20150035062A (ko) 2015-04-06
KR102063289B1 true KR102063289B1 (ko) 2020-02-11

Family

ID=5303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187A KR102063289B1 (ko) 2013-09-27 2013-09-27 당을 제거한 과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414B1 (ko) 2015-07-15 2017-08-11 미 정 박 스킨 케어 화장품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7008A (ja) * 2010-10-29 2012-05-24 Maruzen Pharmaceut Co Ltd 糖不含有パイナップル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JP2013526487A (ja) * 2010-05-10 2013-06-24 ダルハウジー、ユニバーシティー リンゴの皮由来のフェノール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6487A (ja) * 2010-05-10 2013-06-24 ダルハウジー、ユニバーシティー リンゴの皮由来のフェノール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JP2012097008A (ja) * 2010-10-29 2012-05-24 Maruzen Pharmaceut Co Ltd 糖不含有パイナップル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062A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750B1 (ko) 마유 또는 동백유를 함유하는 나노 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997580A (zh) 一种护肤卸妆油及其制备方法
CN103315931A (zh) 黄秋葵提取液、黄秋葵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238595B (zh) 一种黄秋葵美容皂及其制备方法
CN108324679A (zh) 无防腐卸妆排浊露组合物及制备方法
FI130634B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ingredients from Nordic plants and a mild neutralizing agent
KR101368406B1 (ko) 피부 관련 기능성이 개선된 녹차 제조방법
KR101516384B1 (ko) 흰목이 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706017B2 (ja) 幹細胞機能維持剤
JP6931352B2 (ja) スキンケア組成物
KR101087734B1 (ko) 무환자 나무로부터 사포닌을 정제하는 방법, 무환자 나무의디클로로메탄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063289B1 (ko) 당을 제거한 과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3928809B1 (ja) 保湿用組成物
KR101318950B1 (ko) 쌀뜨물 성분을 이용한 피부 미백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5832612A (zh) 一种毛孔细致型安全卸妆油及其制备方法
KR20160036123A (ko) 은이버섯, 바다포도, 천화분, 백차, 연자육, 에버라스팅, 나노화백금으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3726B1 (ko) 천연 비타민과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13173682A (ja) 育毛剤
WO2018112858A1 (zh) 一种植物提取物乳液
KR101222743B1 (ko) 갓 비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갓 비누
KR101961595B1 (ko) 탈모방지용 조성물
CN104771351A (zh) 一种可食用唇膏及其制备方法
EP2866781B1 (en) Composition
KR101243530B1 (ko) 솔잎 추출액을 포함한 모발의 생장 촉진용 샴푸 조성물 및 그 방법
CN106214603A (zh) 祛斑磨砂膏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