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088B1 - 입체 영상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088B1
KR102063088B1 KR1020170150432A KR20170150432A KR102063088B1 KR 102063088 B1 KR102063088 B1 KR 102063088B1 KR 1020170150432 A KR1020170150432 A KR 1020170150432A KR 20170150432 A KR20170150432 A KR 20170150432A KR 102063088 B1 KR102063088 B1 KR 102063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output
output unit
stereosc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309A (ko
Inventor
권정열
Original Assignee
권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열 filed Critical 권정열
Priority to KR102017015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0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88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 H04N13/393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the volume being generated by a moving, e.g. vibrating or rotating,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8Holographic stere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9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1Reproducing mixed stereoscopic images; Reproducing mixed mon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e.g. a stereoscopic image overlay window on a monoscopic image back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방을 향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하부 중심부에 상단이 결합되어 외향 경사면을 이루는 사면체의 형상를 이루고, 내부에 모형물이 내장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면체의 형상에서 연속하는 외측면 중 인접하는 세면에 해당되어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반사하여 상기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 위에 상기 영상 이미지를 포개어 출력하는 입체영상부와, 상기 사면체의 형상에서 입체영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한면에 해당되어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배경 이미지를 투영하는 배경 이미지부;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면을 통해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디스플레이부의 반사면을 이용한 반사 영상 이미지를 맵핑하여 더욱 깊이 있고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제공하고, 이에 더하여 배경 이미지부에 출력되는 배경화면을 제공하여 실제 이미지와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가 포개져 사물의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키고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을 경량화 및 단순화시켜 설치 하중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저렴한 제작비용에 따른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체 영상장치 {Stereoscopic Image Device}
본 발명은 입체 영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디스플레이부의 반사면을 이용한 반사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맵핑하여 더욱 깊이 있고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입체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과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3차원 입체 영상과 같이 좀 더 현실감 있는 영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수요는 비약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입체 영상 기술이 제안되어 왔으며, 이러한 기술로 가상현실을 이용한 기술,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기술 등이 있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기술은 이용자가 고글 형태의 장치를 착용하고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한 가상의 영상을 보는 방식이 대표적인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이용자가 가상의 영상을 보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착용해야 하므로,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공간에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이 있다. 홀로그램은 기록매질에 참조광과 정보를 기록하고자 하는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 즉 물체광을 입사시켜 참조광과 물체광의 간섭패턴을 기록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데니스 게이버(Dennis Garbor)가 홀로그램을 처음 발명한 이후 현재까지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E, Leith 등이 개발한 투 빔 투과 홀로그램(Two beam transmission hologram) 과 Denisyuk 등이 개발한 원 빔 반사 홀로그램(One beam reflection hologram) 그리고 N. Phillips 등이 발전시킨 에지릿 홀로그램(Edge-lit hologram) 등이 있다.
상기 투과형 홀로그램은 기록시 참조광과 물체광을 기록매질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입사시키며, 재생시에는 참조광이 기록매질에 기록된 홀로그램을 투과하도록 하여 참조광과 반대방향에서 홀로그램이 재생되도록 한다.
상기 반사형 홀로그램은 기록시 참조광과 물체광을 기록매질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입사시키며, 재생시에는 참조광이 홀로그램을 반사하도록 하여 참조광과 같은 방향에서 홀로그램이 재생되도록 한다.
종래의 홀로그램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기술적으로 문제점들이 많이 있어서, 최근에는 시청자가 홀로그램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반사막을 이용하여 영상을 반사 합성하여 3차원으로 보이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홀로그램은 제작된 홀로그램 크기만큼의 입체영상만을 관측할 수 있었기 때문에 큰 입체영상을 관측하려면 홀로그램의 크기도 크게 제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홀로그램의 크기에 비례하여 관측할 수 있는 입체영상의 크기도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반사막을 이용한 영상의 반사 합성만으로는 사실감 있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01) 한국 등록특허 제10-1349972호 (2014.01.03. 등록)
(특허문헌 0002) 한국 등록특허 제10-1102610호 (2011.12.28. 등록)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면체의 형상에서 연속하는 외측면 중 인접하는 세면은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반사하여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 위에 영상 이미지를 맵핑하여 출력하고 나머지 한면은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배경 이미지를 투영하여, 실제 이미지와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가 포개져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입체 영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제 이미지와 반사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는 사실감이 있는 입체 영상에 LED의 색조명과 음파센서를 통해 음악에 맞추어 컨트롤 가능한 기능을 추가하여 사람들에게 흥미를 제공하고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입체 영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인접하는 세면에 동일한 영상을 출력하여 사방에서 동일한 입체 영상 즉, 내부의 사물에 맞는 맵핑 콘텐츠를 사방에서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세면에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여 각각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내부의 사물 즉 실제의 사물과 표현되는 정보 전달을 다양하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좌, 우 양측면에 선택적으로 입체영상을 출력하여 좌,우 양측에 서로 다른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게 함으로써 고객에게 제공되는 영상과 사용자의 영상이 다르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입체 영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장치는 하방을 향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하부 중심부에 상단이 결합되어 외향 경사면을 이루는 사면체의 형상를 이루고, 내부에 모형물이 내장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면체의 형상에서 연속하는 외측면 중 인접하는 세면에 해당되어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반사하여 상기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 위에 상기 영상 이미지를 포개어 출력하는 입체영상부와, 상기 사면체의 형상에서 입체영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한면에 해당되어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배경 이미지를 투영하는 배경 이미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입체 영상장치는 상기 사물에 매칭되는 영상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부의 사물은 동작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물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영상출력부가 상기 사물의 동작에 매칭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3면으로 복사 분할하여 상기 복사 분할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인접한 세면이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되게 하거나,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3면으로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인접하는 세면에 서로 다른 제품의 정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게 하거나,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2개면으로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출력부는 사물의 사이즈에 맞춰서 제작된 콘텐츠를 맵핑하여 사물 자체 또는 사물의 외면으로 표현이 가능하여 다양한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를 제작하는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 제작모듈과, 상기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 제작모듈로부터 제작된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를 기반으로 홀로그램 이미지 객체 또는 영상을 생성하는 홀로그램 객체 생성모듈과, 상기 홀로그램 객체 생성 모듈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모듈은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입체영상 출력모듈과, 배경 이미지 영상을 출력하는 배경 이미지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 영상장치는 음향정보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물에 조사되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내부의 사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턴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면을 통해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디스플레이부의 반사면을 이용한 반사 영상 이미지를 맵핑하여 더욱 깊이 있고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제공하고, 이에 더하여 배경 이미지부에 출력되는 배경화면을 제공하여 실제 이미지와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가 포개져 사물의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키고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제 이미지와 반사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는 사실감이 있는 입체 영상에 더하여 LED의 색조명과 음파센서를 통해 음악에 맞추어 컨트롤 가능한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사람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증폭시키고,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출력방식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3개면으로 복사 분할하여 출력되게 하고 분할 출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의 인접하는 세면에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방에서 동일한 입체 영상 즉, 내부의 사물에 맞는 맵핑 콘텐츠를 사방에서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의 인접하는 세면에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세면에 서로 다른 정보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도 있으며,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2개면으로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음으로써 교육용, 홍보용, 상담용, 프로모션 행사, 전시용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을 경량화 및 단순화시켜 설치 하중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저렴한 제작비용에 따른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장치에서 실물 이미지와 반사되는 영상 이미지의 맵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장치는 하방을 향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100)와, 영상출력부의 하부 중심부에 상단이 결합되어 외향 경사면을 이루는 사면체의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사물(210)이 내장되어 외면을 통해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반사하여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 위에 영상 이미지를 포개어 입체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영상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사물에 매칭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영상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지지프레임부(300)는 상부프레임(310)과 바닥프레임(320) 그리고, 상부프레임(310)과 바닥프레임(320)을 연결하는 측면프레임(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부(300)의 상부프레임(310)에는 영상출력부(100)가 장착된다.
영상출력부(100)는 상부프레임(310)의 저면에 결합되거나, 상부프레임(310)의 저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상부프레임(310)의 내부에 안착되어 하방을 향해 영상이 출력되도록 장착된다.
영상출력부(100)는 사물의 사이즈에 맞춰서 제작된 콘텐츠를 맵핑하여 사물 자체 또는 사물의 외면으로 표현이 가능하여 다양한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를 제작하는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 제작모듈(110)과,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 제작모듈로부터 제작된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를 기반으로 홀로그램 이미지 객체 또는 영상을 생성하는 홀로그램 객체 생성모듈(120)과, 홀로그램 객체 생성 모듈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출력모듈(130)은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입체영상 출력모듈(131)과, 배경 이미지 영상을 출력하는 배경 이미지 출력모듈(132)로 구분될 수 있다.
입체영상 출력모듈(131)은 디플레이부(200)의 연속하는 세면에 해당되는 반사면에 대응되게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입체영상 출력모듈(131)은 제어부에 기 설정된 영상출력방식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3개면으로 복사 분할하여 출력되게 할 수 도 있고, 재생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의 연속하는 세면에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배경 이미지 출력모듈(132)은 입체영상을 출력하는 세면을 제외한 나머지 한면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사물의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이미지를 출력한다. 즉, 사물(모형)이 인형인 경우, 인형이 사는 집을 배경화면을 제공하거나, 사물(모형)이 자동차인 경우, 자연을 배경으로 하는 화면을 제공하여 사물이 더욱 돋보이게 하고 사실감있는 입체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310)과 바닥프레임(320) 사이에는 상단이 상부프레임(310)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저면이 바닥프레임(320)의 상면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부(200)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복수의 반사판이 결합되어 각뿔을 형성하는 사면체 형상으로 이루어 질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사면체의 형상에서 연속하는 외측면 중 인접하는 세면에 해당되어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반사하여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 위에 영상 이미지를 포개어 출력하는 입체영상부(201)와, 사면체의 형상에서 입체영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한면에 해당되어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배경 이미지를 투영하는 배경 이미지부(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체영상부(201)는 인접하는 세면이 대각선상으로 외향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지고, 배경 이미지부(202)는 수직의 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00)의 내부에는 사물(제품의 모형물)(210)이 내장된다. 이때, 사물(210)은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사물의 동작은 사물을 동작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하는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 내부에는 사물을 회전시킬 수 있는 턴테이블(220)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턴테이블(220) 위에 사물이 놓여짐으로써 턴테이블(220)의 회전에 따른 사물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사물(210)은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동적인 모션이 가능하여 다양하고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턴테이블의 구동부 및 사물을 동작시키는 구동부는 일반적인 공지기술을 적용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00)부의 입체영상부(201)를 이루는 반사판은 투명체로 구비되어 내부의 사물이 투시되고 영상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홀로그램 영상을 생성한다.
즉, 입체영상부(201)를 통해 투시되는 실제 사물 이미지와,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의 반사판에 반사되어 생성되는 홀로그램 영상이 맵핑되어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종래 영상과 영상의 맵핑으로 출력되는 입체 영상 콘텐츠보다 더욱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입체영상부(201) 반사판은 특수 굴절 효과를 위해 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재질의 광학유리를 이용하는데, 광학 유리의 특수 굴절효과에 의해 관람자는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반사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 내의 공간에 있는 사물과 포개져 맵핑되게 보여진다.
또한, 입체영상부(201)는 액정 내지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하여 패널 상에 직접 영상을 표현하는 직시형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투명한 기판 상에 광을 투사하는 방식으로 목적 영상을 표시하는 투사형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입체영상부(201)는 입체 영상장치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영상출력부(100)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3면으로 복사 분할하여 출력되게 하고, 분할 출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00)의 인접한 세면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방에서 동일한 입체 영상콘텐츠를 볼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홍보용을 사용할 때에는 영상출력부(100)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3면으로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디스플레이부(200)의 인접하는 세면에 서로 다른 제품의 정보 영상이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관람객의 시선을 끌여 들일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고객과의 상담이나 정보제공에 사용할 때에는 영상출력부(100)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2개면으로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디스플레이부(20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고객이 보는 디스플레이면과 사용자가 보는 디스플레이면의 정보가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배경 이미지부(202)에는 배경화면을 제공하여 사물을 더욱 돋보이게 하고 사실감 있는 입체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출력방식은 영상출력부(1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의 사용자 설정모드에 따라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부프레임(310)의 전면부 또는 상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작이 용이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입체 영상장치는 음향정보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음향출력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500)에는 음파센서가 구비되어 음악에 맞춰 사물의 모션 컨트롤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출력되는 음향의 음파를 감지하는 음파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부(400)는 턴테이블의 구동을 제어하여 사물의 모션이 음악에 맞춰 구동되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입체 영상장치는 사물에 조사되는 조명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600)는 RGB LED 색조명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확보함으로써 사물을 돋보이게 하며, 색조명을 통해 화려한 연출이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사물이 내장되어 외면을 통해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디스플레이부의 반사면을 이용한 반사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맵핑하여 더욱 깊이 있고 사실감 있는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이미지와 반사 영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 조합을 통해 구현되는 사실감이 있는 입체 영상에 더하여 LED의 색조명과 음파센서를 통해 음악에 맞추어 컨트롤 가능한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사람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증폭시키고,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출력방식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3개면으로 복사 분할하여 출력되게 하고 분할 출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의 인접하는 세면에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방에서 동일한 입체 영상 즉, 내부의 사물에 맞는 맵핑 콘텐츠를 사방에서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인접하는 세면에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세면에 서로 다른 정보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도 있으며,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2개면으로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음으로써 교육용, 홍보용, 상담용, 프로모션 행사, 전시용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을 경량화 및 단순화시켜 설치 하중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저렴한 제작비용에 따른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영상출력부 110: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 제작모듈
120: 홀로그램 객체 생성모듈 130: 출력모듈
131: 입체영상출력모듈 132: 배경 이미지 출력모듈
200: 디스플레이부 201: 입체영상부
202: 배경 이미지부 210: 사물
220: 턴테이블 300: 지지프레임부
310: 상부프레임 320: 바닥프레임
330: 측면프레임 400: 제어부
500: 음향출력부 600: 조명장치

Claims (9)

  1. 하방을 향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하부 중심부에 상단이 결합되어 외향 경사면을 이루는 사면체의 형상를 이루고, 내부에 사물이 내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영상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음향정보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물에 RGB 색조명을 조사하는 조명장치; 및 상기 사물에 매칭되는 영상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출력부는 사물의 사이즈에 맞춰서 제작된 콘텐츠를 맵핑하여 사물 자체 또는 사물의 외면으로 표현이 가능하여 다양한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를 제작하는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 제작모듈과, 상기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 제작모듈로부터 제작된 홀로그램 입체 콘텐츠를 기반으로 홀로그램 이미지 객체 또는 영상을 생성하는 홀로그램 객체 생성모듈과, 상기 홀로그램 객체 생성 모듈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모듈은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입체영상 출력모듈과, 배경 이미지 영상을 출력하는 배경 이미지 출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면체의 형상에서 연속하는 외측면 중 인접하는 세면에 해당되어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와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반사하여 상기 투시되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 위에 상기 영상 이미지를 포개어 출력하는 입체영상부와, 상기 사면체의 형상에서 입체영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한면에 해당되어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배경 이미지를 투영하는 배경 이미지부와, 상기 사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턴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3면으로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체영상부 세면에 서로 다른 제품의 정보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게 제어하거나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입체영상부의 2개면으로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체영상부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게 제어하며, 상기 음향출력부의 음파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사물의 모션이 음악에 맞춰 구동되도록 상기 턴테이블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150432A 2017-11-13 2017-11-13 입체 영상장치 KR102063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432A KR102063088B1 (ko) 2017-11-13 2017-11-13 입체 영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432A KR102063088B1 (ko) 2017-11-13 2017-11-13 입체 영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309A KR20190054309A (ko) 2019-05-22
KR102063088B1 true KR102063088B1 (ko) 2020-01-07

Family

ID=6668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432A KR102063088B1 (ko) 2017-11-13 2017-11-13 입체 영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0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445Y1 (ko) * 2003-02-27 2003-05-27 배근화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0999576B1 (ko) * 2009-04-10 2010-12-08 주식회사 마이마스 반사형 홀로그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610B1 (ko) 2010-11-26 2012-01-04 하준영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49972B1 (ko) 2011-09-16 2014-01-16 전준호 홀로그램 동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445Y1 (ko) * 2003-02-27 2003-05-27 배근화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0999576B1 (ko) * 2009-04-10 2010-12-08 주식회사 마이마스 반사형 홀로그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309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576B1 (ko) 반사형 홀로그램 장치
US7513623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ngular slice true 3-D display
US807513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ngular slice true 3-D display
CN203059074U (zh) 全息幻彩展柜
KR101539668B1 (ko) 홀로그램 소자를 이용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US2005027594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trofit a display device for autostereoscopic display of interactive computer graphics
KR20150060306A (ko) 플로팅방식 홀로그램 플레이어
WO2003060612A1 (fr) Dispositif de reproduction holographique d'images mobiles et dispositif de reproduction holographique d'images mobiles couleur
US20070081207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mbining holograms with computer graphics
WO2006057157A1 (ja) 三次元映像表示装置
Bimber Combining optical holograms with interactive computer graphics
KR20170073119A (ko) 홀로그램 기반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N108848370B (zh) 全视差可切换的裸眼3d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KR20170082338A (ko) 홀로그램 기반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063088B1 (ko) 입체 영상장치
KR102015340B1 (ko) 입체 영상장치
KR102063092B1 (ko) 입체 영상장치
KR20150094584A (ko) 반사형 홀로그램 장치
KR101986687B1 (ko) 3차원 스캐닝 방식을 포함한 홀로그램 박스를 이용하는 홀로그램 장치 및 그 방법
CN213338334U (zh) 全息立体影像展示柜
US20230121150A1 (en) Display panel
JP2000122175A (ja) 表示装置
CN205951583U (zh) 一种全息艺术品演示装置
RU17844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объём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в трёхмерн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с реальными объектами
Sidharta et al. The development of multi-depth Pepper's ghost display for mixed reali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