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556B1 -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556B1
KR102062556B1 KR1020120134222A KR20120134222A KR102062556B1 KR 102062556 B1 KR102062556 B1 KR 102062556B1 KR 1020120134222 A KR1020120134222 A KR 1020120134222A KR 20120134222 A KR20120134222 A KR 20120134222A KR 102062556 B1 KR102062556 B1 KR 102062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upper substrate
lower substrate
liquid crystal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233A (ko
Inventor
서대영
남철
김홍식
신승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4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55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1Manufacturing of individual cells out of a plurality of cells, e.g. by d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는,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과; 상기 상부기판 상에 형성된 상부 편광판과; 상기 하부기판 하부에 형성된 하부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의 두께는 상기 하부기판의 두께의 6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형 패널을 사용하여, 3D TV 또는 대형 TV 등에서 입체감과 몰입감을 높이고,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곡률반경 차이를 감소하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오배열을 감소하고, 액정 광축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또한, 상하 기판의 오배열을 방지하고, 벤딩 공정에 휨응력을 감소하여 빛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Curved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빛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액정표시장치는 소비전력이 낮고, 휴대성이 양호한 기술 집약적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차세대 첨단 디스플레이(display)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 중에서도, 각 화소(pixel)별로 전압의 온(on)/오프(off)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가 구비된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가 해상도 및 동영상 구현능력이 뛰어나 가장 주목받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 평판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이 합착되어 형성된 합착기판 상부와 하부에 편광판이 부착되어 완성된 패널(50)을 포함하고, 백라이트 유닛(6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6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바텀커버(61)와, 상기 바텀커버와 결합되는 패널 가이드(6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6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60) 상에 형성된 패널(50)을 측면에서 고정하는 탑커버(6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합착기판 상하부에 부착된 편광판이 환경 변화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하여 상기 패널(50)의 형태에 변형이 발생한다. 변형이 발생된 패널(50)과 백라이트 유닛(60) 또는 탑커버(63)의 간섭으로 패널(50) 내부의 액정층에 뒤틀림이 발생하여 광축이 틀어진다. 상기 패널(50)의 편광판과 액정층의 광축이 틀어짐으로 인해 블랙 상태에서 빛샘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 액정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평판형태로 형성되어 주 시청영역에서 중앙영역까지의 거리와 양측 영역까지의 거리가 서로 달라 거리감의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에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는 곡면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었다.
도 2는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패널은 하부기판(10)과 상부기판(20)이 소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부기판(10)과 상부기판(20) 사이에 액정층과 실재(30)를 개재하고 합착된다. 상기 상부기판(20) 상에는 상부 편광판(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기판(10) 하부에는 하부 편광판(1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기판(20)은 컬러필터기판이며, 상기 하부기판(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며, 상기 두 기판의 두께는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3은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곡면형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곡면형 패널(50)은 상부기판(20) 및 하부기판(10)이 액정층(40)을 사이에 두고, 실재(30)로 합착하여 패널을 형성하고, 벤딩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상기 곡면형 패널(50)은 곡률반경(R)으로 정의되며, 곡률반경(R)이란 곡면이나 곡선의 각 점에 있어서 만곡의 정도를 표시하는 값으로 곡선의 한 점에서 그 곡선에 가장 가까운 원, 즉 접촉원의 반지름을 말한다.
상기 곡면형 패널(50)의 상기 상부기판(2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고, 상기 하부기판(10)은 컬러필터 기판일 수 있으며, 벤딩 공정시 상부기판(20)은 인장하는 방향으로 응력이 발생하며, 하부기판(10)은 수축하는 방향으로 응력이 발생한다. 이때, 상부기판(20)과 하부기판(1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응력이 발생하여 이동하려 하나, 상기 기판의 외곽부는 실재(30)로 패널(50)이 고정되어 비틀림 응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기판의 미스얼라인이 발생하며, 상부기판(20)과 하부기판(10)의 러빙축이 틀어져 액정배열이 틀어지게 된다. 상기 액정배열이 틀어지며 빛샘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빛샘은 특히 IPS 모드에서 더 문제가 된다. IPS 모드의 경우, 러빙시 액정층(40)이 수평방향으로 배향되고, 광축의 틀어짐에 매우 민감하다.
따라서, 곡면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형성할 때, 빛샘 현상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형 패널을 사용하여, 3D TV 또는 대형 TV 등에서 입체감과 몰입감을 높이는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곡률반경 차이를 감소하는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곡률반경 차이를 감소함으로써,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오배열을 감소하고, 액정 광축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 기판의 오배열을 방지하고, 벤딩 공정에 휨응력을 감소하여 빛샘 현상을 개선한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은,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과; 상기 상부기판 상에 형성된 상부 편광판과; 상기 하부기판 하부에 형성된 하부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의 두께는 상기 하부기판의 두께의 6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곡면형 패널과; 상기 곡면형 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형 패널은,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과; 상기 상부기판 상에 형성된 상부 편광판과; 상기 하부기판 하부에 형성된 하부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의 두께는 상기 하부기판의 두께의 6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형 패널을 사용하여, 3D TV 또는 대형 TV 등에서 입체감과 몰입감을 높이는 제 1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곡률반경 차이를 감소하는 제 2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곡률반경 차이를 감소함으로써,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오배열을 감소하고, 액정 광축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제 3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는, 상하 기판의 오배열을 방지하고, 벤딩 공정에 휨응력을 감소하여 빛샘 현상을 개선한 제 4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곡면형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기판의 두께에 따른 기판의 이동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의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종래 액정표시장치 및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빛샘 현상의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종래 액정표시장치 및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빛샘 현상의 실제 화상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패널은 하부기판(100)과 상부기판(200)이 소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부기판(100)과 상부기판(200) 사이에 액정층과 실재(300)를 개재하고 합착된다. 상기 상부기판(200) 상에는 상부 편광판(21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기판(100) 하부에는 하부 편광판(11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편광판(211)이 장축을 흡수축으로 할 경우, 상기 하부 편광판(111)은 단축을 흡수축으로 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편광판(211)이 단축을 흡수축으로 하여 형성될 경우, 상기 하부 편광판(111)은 장축을 흡수축으로 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 편광판(211)과 하부 편광판(111)이 형성된 패널을 일정한 굽힘 응력을 가하여 곡면형 패널을 형성한다.
상기 패널은 상기 하부기판(10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고, 상기 상부기판(200)은 컬러필터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하부기판(100)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의 교차영역에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절연막, 반도체층,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으로 구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100)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기판(200) 상에는 격자형상의 블랙 매트릭스와 컬러필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널은 칼라필터 및 블랙매트릭스를 하부기판에 형성하는 COT(color filter on transistor)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하부기판(100)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의 교차영역에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절연막, 반도체층,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으로 구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는 보호막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막 상에 컬러필터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100)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이때, 개구율을 향상하고 마스크 공정을 단순화 하기 위해 블랙매트릭스가 생략하고, 공통 전극이 블랙매트릭스의 역할을 겸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곡면형 패널은 상기 상부기판(200)의 곡률반경이 상기 하부기판(100)의 곡률반경보다 작도록 상부기판(200) 방향으로 휘도록 굽힘 응력이 가해짐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상부기판(200)의 두께는 상기 하부기판(1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기판(200)의 두께는 하부기판(100)의 두께의 60% 내지 80%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COT구조의 패널인 경우, 상부기판(200)의 두께를 하부기판(100)보다 얇게 만드는데 유리할 수 있으며, 컬러필터층이 하부기판(100)에 형성되므로 곡면형 패널에 유리한 구조를 갖는다.
도 5는 기판의 두께에 따른 기판의 이동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기판(200)과 상기 하부기판(100)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함으로써, 상부기판(200)과 하부기판(100)의 미스 얼라인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의 5/5 CF와 5/5 TFT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두께가 5mm일 때의 기판의 이동정도를 나타낸 점들이며, 4/4 CF와 4/4 TFT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두께가 4mm일 때의 기판의 이동정도를 나타낸 점들이다. 상기 5/5 CF와 5/5 TFT 점들과 4/4 CF와 4/4 TFT 점들을 비교해 볼 때, 기판의 두께가 얇을수록 기판의 이동정도가 줄어들고 미스얼라인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200)과 상기 하부기판(100)의 곡률반경의 차이는 상기 상부기판(200)의 두께와 상기 하부기판(100)의 두께의 합과 비례한다. 곡률반경이란 곡면이나 곡선의 각 점에 있어서 만곡의 정도를 표시하는 값으로 곡선의 한 점에서 그 곡선에 가장 가까운 원, 즉 접촉원의 반지름을 말한다. 상부기판(200) 두께가 얇아지면 상부기판의 접촉원 중심으로부터 상부기판(200)까지의 거리는 늘어나고, 하부기판(100)의 두께가 얇아지면 하부기판의 접촉원 중심으로부터 하부기판(100)까지의 거리는 가까워지면서 그 상부기판(200)과 하부기판(100)의 접촉원 반지름 차이는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곡률반경의 차이가 줄어든다. 이로써, 상부기판(200)과 하부기판(100)의 곡률의 차이도 줄어들어 기판의 미스얼라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기판(200)과 하부기판(10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됨에 따라 전체적인 곡률반경도 줄어든다. 전체적인 곡률반경은 줄어들며, 전체적인 곡률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곡률을 형성하기 위한 굽힘응력은 기판의 두께와 비례하므로, 기판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굽힘응력도 감소하여 기판의 미스얼라인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기판(200) 및 상기 하부기판(10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될 경우, 두 기판의 곡률반경의 차이가 감소하고, 전체적인 곡면형 패널의 곡률반경도 감소하여 기판의 미스 얼라인을 방지할 수 있다. 기판의 미스 얼라인이 감소함에 따라, 액정의 광축 비틀림이 줄어들고 빛샘 현상이 방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의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부기판(200)의 두께를 하부기판(1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함으로써, 국부적인 굽힘 응력을 감소할 수 있다. 장축(A)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힘을 받는 곡면형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작용하는 굽힘 응력은 빛샘을 유발한다. 이러한 굽힘 응력을 감소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기판(200) 상에 형성되는 상부 편광판(211)이 장축을 흡수축으로 할 경우, 상기 하부기판(100)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편광판(111)은 단축을 흡수축으로 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편광판(211)이 단축을 흡수축으로 하여 형성될 경우, 상기 하부 편광판(111)은 장축을 흡수축으로 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편광판(211)의 흡수축은 장축(A)으로 하고, 상기 하부 편광판(111)의 흡수축은 단축(B)으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편광판의 수축력을 이용함으로써, 굽힘 응력을 감소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편광판은 가교, 연신 건조 등의 공정을 거쳐 형성되며, 상기 연신 공정에서 발생한 응력이 잔류하게 되고, 상기 잔류 응력은 흡수축의 방향의 수축력으로 크게 작용한다. 이러한 흡수축 방향의 수축력을 이용하여, 곡면형 패널의 국부적인 굽힘 응력을 감소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기판(200) 상에 형성된 상부 편광판(211)은 장축(A)을 흡수축으로 하고, 상기 하부기판(100) 하부에 형성된 하부 편광판(111)은 단축(B)을 흡수축으로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기판(200)은 장축(A) 방향으로 수축력을 받고, 상기 하부기판(100)은 단축(B) 방향으로 수축력을 받는다.
이때, 상기 상부기판(200)은 상기 상부 편광판(211)으로 인한 장축(A)방향의 수축력을 더 크게 받기 위해 얇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기판(100)은 상기 하부 편광판(111)으로 인한 단축(B)방향의 수축력을 받지 않도록 두께를 감소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상부기판(200)의 두께가 상기 하부기판(100)의 두께보다 얇아지면, 상부 편광판(211)의 수축력의 곡면형 패널에 대한 영향력이 하부 편광판(111)의 수축력의 곡면형 패널에 대한 영향력보다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편광판(211)의 수축력이 더해짐에 따라, 상기 곡면형 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초기의 굽힘 응력이 감소하게 되고, 곡면형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초기에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굽힘 응력이 감소하여 빛샘 현상을 감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패널과 상기 패널 하부에 형성된 백라이트 유닛(310)과 상기 패널 상부에 형성된 강화유리(400)와 상기 강화유리(400),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을 측면에서 고정하는 탑커버(320)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은 하부기판(100)과 상부기판(200)이 소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부기판(100)과 상부기판(200) 사이에 액정층과 실재(300)를 개재하고 합착된다. 상기 하부기판(10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고, 상기 상부기판(200)은 컬러필터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200) 상에는 상부 편광판(21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기판(100) 하부에는 하부 편광판(11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편광판(211)이 장축을 흡수축으로 할 경우, 상기 하부 편광판(111)은 단축을 흡수축으로 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편광판(211)이 단축을 흡수축으로 하여 형성될 경우, 상기 하부 편광판(111)은 장축을 흡수축으로 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 편광판(211)과 하부 편광판(111)이 형성된 패널을 일정한 굽힘 응력을 가하여 곡면형 패널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기판(10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고, 상기 상부기판(200)은 컬러필터 기판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패널은 칼라필터 및 블랙매트릭스를 하부기판에 형성하는 COT(color filter on transistor)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곡면형 패널은 상기 상부기판(200)의 곡률반경이 상기 하부기판(100)의 곡률반경보다 작도록 상부기판(200) 방향으로 휘도록 굽힘 응력이 가해짐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상부기판(200)의 두께는 상기 하부기판(1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기판(200)의 두께는 하부기판(100)의 두께의 60% 내지 8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310)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 방식 또는 에지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장치의 일측 가장자리에 광원을 설치하고, 그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도광판과 다수의 광학 시트를 통해 패널에 조사한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장치의 바로 아래에 다수의 광원을 배치하고, 그 광원들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확산판과 다수의 광학 시트를 통해 패널에 조사한다.
상기 강화유리(400)는 상기 패널의 상부기판(2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기판(200)의 두께가 하부기판(1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됨에 따라, 기판의 강성이 약해지는바, 상기 강화유리(400)를 상기 상부기판(200) 상에 배치함으로써,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강화유리(400)는 바람직하게는 곡면형 강화유리일 수 있으며, 곡면형 패널 상에 UV 점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는, 패널 상에 곡면형 강화유리(400)를 배치하고, 열경화 점착제를 사용하여 열경화를 통해 천천히 경화시켜 부착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종래 액정표시장치 및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빛샘 현상의 면휘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종래 액정표시장치 및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빛샘 현상의 실제 화상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9a를 참조하면, 종래 곡면형 패널(곡률반경 R=4000)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는 패널의 가장자리영역에서 빛샘이 크게 발생함을 볼 수 있다.
반면, 도 8b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곡면형 패널(곡률반경 R=4000)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는 상부기판의 두께가 하부기판의 두께의 60%인 패널을 포함하고, 패널의 가장자리에서 빛샘이 매우 완화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형 패널을 사용하여, 3D TV 또는 대형 TV 등에서 입체감과 몰입감을 높이고,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곡률반경 차이를 감소하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오배열을 감소하고, 액정 광축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또한, 상하 기판의 오배열을 방지하고, 벤딩 공정에 휨응력을 감소하여 빛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하부기판 300: 실재
111: 하부편광판 310: 백라이트 유닛
200: 상부기판 320: 탑커버
211: 상부편광판 400: 강화유리

Claims (14)

  1.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과;
    상기 상부기판 상에 형성된 상부 편광판과;
    상기 하부기판 하부에 형성된 하부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의 두께는 상기 하부기판의 두께의 60% 내지 80%인 것으로,
    상기 상부기판의 두께를 상기 하부기판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 편광판으로 인한 장축(A)방향의 수축력이 상기 하부 편광판으로 인한 단축(B)방향의 수축력 보다 더 크게 작용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기판은 컬러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기판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의 상부 편광판 상에 형성된 강화유리를 더 포함하고,
    상부기판 방향으로 휘도록 굽힘 응력이 가해지고, 상부기판의 곡률반경이 하부기판의 곡률반경보다 작도록 하여 전체적인 곡면형 패널의 곡률반경 차이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패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 상에는 컬러필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기판 상에는 수직하게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데이터 배선 및 게이트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의 교차부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패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곡면형 패널과;
    상기 곡면형 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형 패널은,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과;
    상기 상부기판 상에 형성된 상부 편광판과;
    상기 하부기판 하부에 형성된 하부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의 두께는 상기 하부기판의 두께의 60% 내지 80%인 것으로,
    상기 상부기판의 두께를 상기 하부기판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 편광판으로 인한 장축(A)방향의 수축력이 상기 하부 편광판으로 인한 단축(B)방향의 수축력 보다 더 크게 작용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기판은 컬러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기판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의 상부 편광판 상에 형성된 강화유리를 더 포함하고,
    상부기판 방향으로 휘도록 굽힘 응력이 가해지고, 상부기판의 곡률반경이 하부기판의 곡률반경보다 작도록 하여 전체적인 곡면형 패널의 곡률반경 차이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 상에는 컬러필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기판 상에는 수직하게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데이터 배선 및 게이트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의 교차부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는 곡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20134222A 2012-11-26 2012-11-26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2062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222A KR102062556B1 (ko) 2012-11-26 2012-11-26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222A KR102062556B1 (ko) 2012-11-26 2012-11-26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233A KR20140067233A (ko) 2014-06-05
KR102062556B1 true KR102062556B1 (ko) 2020-01-06

Family

ID=5112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222A KR102062556B1 (ko) 2012-11-26 2012-11-26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3417B (zh) * 2016-03-31 2023-05-23 东洋纺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US10394066B1 (en) * 2018-06-12 2019-08-27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of producing display pan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2884A (ja) * 2007-10-05 2009-04-30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161048A1 (en) 2007-12-19 2009-06-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US20090284904A1 (en) 2008-05-16 2009-11-19 Jer-Yao Wu Curve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2884A (ja) * 2007-10-05 2009-04-30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161048A1 (en) 2007-12-19 2009-06-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US20090284904A1 (en) 2008-05-16 2009-11-19 Jer-Yao Wu Curve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233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70116A1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288929B2 (en) Display panel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US10534210B2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6359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60282646A1 (en)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3472607A (zh) 显示面板与其制造方法
US20180210258A1 (en)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106079A (ja) 電気光学装置、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US20170025082A1 (en) Display device
US2012003339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213893A (zh) 显示装置
KR102142872B1 (ko) 액정 패널 및 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KR10197049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619226B2 (en) Pixel structure of fringe field switching mode LCD
US9563085B2 (en) Display device
KR102062556B1 (ko) 곡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2017090502A (ja) 液晶表示装置
US10754183B2 (en) Display device
KR102167689B1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9123847A1 (ja) 表示装置
JP2010054552A (ja) 液晶表示装置
TW200937073A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semiconductor array substrate thereof
JP2011107391A (ja) 表示装置
US20180239208A1 (en) Pixel structures, array substrat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JP2017090555A (ja)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