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133B1 - 재활용이 가능한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가능한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133B1
KR102062133B1 KR1020180103603A KR20180103603A KR102062133B1 KR 102062133 B1 KR102062133 B1 KR 102062133B1 KR 1020180103603 A KR1020180103603 A KR 1020180103603A KR 20180103603 A KR20180103603 A KR 20180103603A KR 102062133 B1 KR102062133 B1 KR 102062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tainer
diameter portion
chemical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욱
Original Assignee
김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욱 filed Critical 김성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 B65D11/18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재질의 화학약품 용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단부 외주면에는 하부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상부나사산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대경부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용기의 손잡이부 외측에 결합되는 중경부와, 상기 중경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중경부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용기의 네크부 상단 외측에 결합되는 소경부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에 용기를 결합한 후,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상부케이스를 나사결합하면, 용기의 외부가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에 의해 보호되어, 용기가 외부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 용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강한 충격에 의해 용기가 손상될 경우, 화학약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재활용이 가능한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REUSABLE CHEMICAL CONTAINER PROTECTIVE CASE}
본 발명은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재질의 화학약품 용기의 외부가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에 의해 보호되어, 용기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강한 충격에 의해 용기가 손상될 경우, 화학약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용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화학약품은 고순도를 유지하여야 함으로, 이러한 화학약품을 저장하는 용기는 화학약품과 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뿐 아니라, 오염에 강한 유리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이러한 화학약품 용기의 일반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저장부(2)와, 상기 저장부(2)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저장부(2)에 비해 작게 구성된 네크부(3)와, 상기 네크부(3)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부(4)로 구성되며, 상기 네크부(3)의 상단에 마개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저장부(2)의 하측면에는 오목부(2a)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용기(1)는 외부충격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매우 큰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최근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들이 등장하였는데, 이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8055호 “화학약품 용기보호 커버조립체”는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화학 물질이 담겨 있는 정해진 규격의 용기를 보호하는 커버조립체로서, 상부커버, 하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가 연결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는 단면 내경이 168.2mm 내지 171.5mm인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용기가 밀착 수용되며,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두께는 0.1mm 내지 16.0mm로 형성되어 강한 충격에 의하여 용기가 손상될 경우, 용기에 수용된 화학약품을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보호케이스는 상하로 분리되는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됨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이동중에 보호케이스가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보호케이스를 분리하는데 있어서 용기의 상부를 보호하는 상부커버가 부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용기를 보관하기 위한 보호케이스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2953호 (2013.05.0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리재질의 화학약품 용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저장부에 비해 작게 구성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부로 구성된 화학약품 용기의 외부에 결합되어 화학약품 용기를 보호하는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단부 외주면에는 하부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상부나사산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대경부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용기의 손잡이부 외측에 결합되는 중경부와; 상기 중경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중경부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용기의 네크부 상단 외측에 결합되는 소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하부나사산이 형성된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대경부의 하단에는 내경이 상기 플랜지부의 외경에 대응되는 확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나사산은 상기 확경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중간부에는 하부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된 링형상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상기 용기의 저장부 외주면에 밀착되는 링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통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에서 유출된 화학약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에 연결된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된 경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용기에서 화학약품이 유출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을 구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상부케이스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용기에서 화학약품이 유출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잠금수단을 구동시켜 상부케이스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보호케이스를 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잠금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케이스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결합부의 외측 둘레부에 부착고정되는 고정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확경부는 상기 대경부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확경부(25)의 내주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고정편이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확경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공으로 연장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으로 핀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편을 내측으로 밀어낸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스를 회전시키면, 상기 확경부를 제외한 상부케이스가 상측으로 분리되어, 상기 용기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단부 외주면에는 하부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상부나사산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대경부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용기의 손잡이부 외측에 결합되는 중경부와, 상기 중경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중경부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용기의 네크부 상단 외측에 결합되는 소경부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에 용기를 결합한 후,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상부케이스를 나사결합하면, 용기의 외부가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에 의해 보호되어, 용기가 외부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 용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강한 충격에 의해 용기가 손상될 경우, 화학약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학약품 용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3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의 제2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의 제3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화학약품 용기(1)는 저장부(2)와, 상기 저장부(2)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저장부(2)에 비해 작게 구성된 네크부(3)와, 상기 네크부(3)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부(4)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단부 외주면에는 하부나사산(1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0)와, 상기 하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상부나사산(21)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단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케이스(2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케이스(10)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하부나사산(11)이 형성된 플랜지부(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중간부에는 상기 용기(1)의 저장부(2)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링형상의 돌출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는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된 링형상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것으로, 하부케이스(10)에 상기 용기(1)의 저장부(2)를 결합할 때, 상기 돌출부(13)가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밀려 변형되면서, 돌출부(13)의 내주면이 저장부(2)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하부케이스(10)에 결합된 용기(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3)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통기홈(14)이 형성된다.
상기 통기홈(14)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되어, 상기 돌출부(13)에 상호 90°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0)에 용기(1)의 저장부(2)를 삽입할 때, 저장부(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홈(14)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용기(1)가 하부케이스(10)에 원활히 삽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하부케이스(10)에는 상기 돌출부(13)가 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0)에 용기(1)의 저장부(2)를 결합할 때, 돌출부(13)가 저장부(2)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 상기 통기홈(14)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저장부(2)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용기(1)가 하부케이스(10)에 원활히 삽입되지 못하게 되는데, 상기 돌출부(13)에 통기홈(14)이 형성됨으로서, 용기(1)가 하부케이스(10)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0)는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대경부(22)와, 상기 대경부(2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대경부(22)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용기(1)의 손잡이부(4) 외측에 결합되는 중경부(23)와, 상기 중경부(23)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중경부(23)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용기(1)의 네크부(3) 상단 외측에 결합되는 소경부(2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20)의 대경부(22)의 하단에는 내경이 상기 플랜지부(12)의 외경에 대응되는 확경부(25)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나사산(21)은 상기 확경부(25)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단에는 오링(15)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를 결합하면, 상기 오링(15)에 의해 하부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 사이의 틈이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단부 외주면에는 하부나사산(1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0)와, 상기 하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상부나사산(21)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단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케이스(2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0)는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대경부(22)와, 상기 대경부(2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대경부(22)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용기(1)의 손잡이부(4) 외측에 결합되는 중경부(23)와, 상기 중경부(23)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중경부(23)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용기(1)의 네크부(3) 상단 외측에 결합되는 소경부(24)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에 용기(1)를 결합한 후,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부에 상부케이스(20)를 나사결합하면, 용기(1)의 외부가 하부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에 의해 보호되어, 용기(1)가 외부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 용기(1)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강한 충격에 의해 용기(1)가 손상될 경우, 화학약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하부나사산(11)이 형성된 플랜지부(12)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케이스(20)의 대경부(22)의 하단에는 내경이 상기 플랜지부(12)의 외경에 대응되는 확경부(25)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나사산(21)은 상기 확경부(25)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부케이스(20)는 단순히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단에 나사결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의 결합부의 외측 둘레부에 별도의 고정테이프(80)를 부착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정테이프(80)는 적절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의 결합부, 즉, 하부케이스(10)의 상단과 상부케이스(20)의 하단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부착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고정테이프(80)를 때어낸 후, 상기 상부케이스(20)를 회전시켜 열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호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의 결합부의 외측 둘레부에 별도의 고정테이프(80)가 부착되어, 상부케이스(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됨으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스(20)가 회전되어 상부케이스(20)가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1)에서 유출된 화학약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0)와, 상기 하부케이스(10)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상부케이스(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수단(40)과, 상기 잠금수단(40)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스위치(50)와, 감지센서(30)와 잠금해제스위치(5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잠금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과, 상기 제어수단(60)에 연결된 경보수단(7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확경부(25)의 하단에는 상기 잠금수단(40)이 결합되는 고정공(26)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감지센서(30)는 상기 용기(1)에 저장된 화학약품이 유출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0) 내부 하측면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에 용기(1)를 결합하면, 상기 감지센서(30)가 상기 용기(1) 하측면의 오목부(2a)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감지센서(30)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잠금수단(40)은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외주면 상단에 상측을 향하도록 구비된 고정바(41)가 구비된 솔레노이드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바(41)는 상기 하부케이스(10)에 상부케이스(20)를 결합하여 완전히 잠근 상태에서, 상기 고정공(26)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위치조절된다.
이때, 상기 잠금수단(40)은 off에는 상기 고정바(41)가 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수단(60)으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on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41)를 상승시켜 고정바(41)가 상기 고정공(26)에 삽입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부케이스(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잠금해제스위치(50)는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조작을 하면 상기 제어수단(60)에 잠금해제명령을 입력하는 푸쉬스위치를 이용한다.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감지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용기(1)에서 화학약품이 유출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70)을 구동시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41)가 상기 고정공(26)에 삽입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케이스(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70)을 on시켜 사용자가 화학약품이 유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60)은 사용자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50)를 조작하여 잠금해제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경보수단(70)을 off시켜 상기 고정바(41)가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잠금수단(40)의 잠금을 해제하여, 사용자가 상기 상부케이스(20)를 회전시켜 상부케이스(20)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보수단(70)은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on되면 붉은 색으로 점등되는 적색LED램프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외측면 일측에는 도시 안된 배터리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60)과 잠금수단(40) 및 경보수단(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1)에서 유출된 화학약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0)와, 상기 감지센서(30)에 연결된 제어수단(60)과, 상기 제어수단(60)에 연결된 경보수단(7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감지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용기(1)에서 화학약품이 유출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70)을 구동시켜 상부케이스(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작업자가 내부의 용기(1)가 손상되어 화학약품이 옹기의 외부로 유출된 것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20)를 열어서, 작업자가 화학약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하부케이스(10)에는 상기 제어수단(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상부케이스(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수단(40)과, 상기 잠금수단(40)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스위치(5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감지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용기(1)에서 화학약품이 유출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잠금수단(40)을 구동시켜 상부케이스(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보호케이스를 열지 못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50)를 조작하여 상기 잠금수단(40)의 잠금을 해제하면, 상기 잠금수단(40)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케이스(20)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부케이스(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용기(1)로부터 화학약품이 유출되어 상기 경고수단이 구동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실수로 상부케이스(20)를 여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고,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있는 화학약품을 처리하기 위해 상부케이스(20)를 열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50)를 누른 상태에서 상부케이스(20)를 회전시켜 열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중간부에는 하부케이스(10)의 내주면을 따라 링형상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상기 용기(1)의 저장부(2) 외주면에 밀착되는 링형상의 돌출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통기홈(14)이 형성됨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0)에 결합된 용기(1)가 유동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케이스(10)에 용기(1)를 결합하거나, 하부케이스(10)에 결합된 용기(1)를 분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잠금해제스위치(25)의 구조는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확경부(25)는 상기 대경부(22)의 하단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확경부(25)의 내주면에는 결합공(25a)이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22)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공(25a)에 대응되는 삽입공(22a)이 형성되며, 상기 확경부(25)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공(25a)으로 연장되는 관통공(25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22a)에는 탄성부재(27)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결합공(25a)에 결합되는 고정편(28)이 출몰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확경부(25)를 대경부(22)의 하단에 나사결합하면, 상기 고정편(28)이 상기 결합공(25a)에 삽입결합되어, 대경부(22)와 확경부(25)가 상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40)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상부케이스(20)를 회전시키더라도 상부케이스(20)는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25b)으로 핀(90)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편(28)을 내측으로 밀어내면, 상기 대경부(22)와 확경부(25)의 결합이 해제됨으로, 사용자가 상기 상부케이스(20)를 회전시키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확경부(25)를 제외한 상부케이스(20)가 상측으로 분리되어, 상기 용기(1)의 상부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에서 화학약품이 유출된 상태에서, 상황을 잘 모르는 사용자가 상부케이스(20)를 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제2 실시예의 경우, 상기 용기(1)에서 화학약품이 유출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해제스위치(50)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누구나 손쉽게 상부케이스(20)를 열 수 있어서, 화학약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보호케이스의 구조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사용자만이 보호케이스를 열 수 있음으로, 화학약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하부케이스 20. 상부케이스
30. 감지센서 40. 잠금수단
50. 잠금해제스위치 60. 제어수단
70. 경보수단 80. 고정테이프

Claims (5)

  1. 저장부(2)와, 상기 저장부(2)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저장부(2)에 비해 작게 구성된 네크부(3)와, 상기 네크부(3)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부(4)로 구성된 화학약품 용기(1)의 외부에 결합되어 화학약품 용기(1)를 보호하는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단부 외주면에는 하부나사산(1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0); 및
    하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상부나사산(21)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단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케이스(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케이스(20)는,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대경부(22)와; 상기 대경부(2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대경부(22)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용기(1)의 손잡이부(4) 외측에 결합되는 중경부(23)와; 상기 중경부(23)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경이 상기 중경부(23)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용기(1)의 네크부(3) 상단 외측에 결합되는 소경부(24)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하부나사산(11)이 형성된 플랜지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0)의 대경부(22)의 하단에는 내경이 상기 플랜지부(12)의 외경에 대응되는 확경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나사산(21)은 상기 확경부(25)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1)에서 유출된 화학약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0)와; 감지센서(30)에 연결된 제어수단(60)과; 상기 제어수단(60)에 연결된 경보수단(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감지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용기(1)에서 화학약품이 유출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70)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상부케이스(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수단(40)과, 상기 잠금수단(40)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스위치(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감지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용기(1)에서 화학약품이 유출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잠금수단(40)을 구동시켜 상부 케이스(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보호케이스를 열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사용자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50)를 조작하면 상기 잠금수단(40)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케이스(20)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중간부에는 하부케이스(1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된 링형상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상기 용기(1)의 저장부(2) 외주면에 밀착되는 링형상의 돌출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통기홈(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의 결합부의 외측 둘레부에 부착고정되는 고정테이프(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확경부(25)는 상기 대경부(22)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확경부(25)의 내주면에는 결합공(25a)이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22)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공(25a)에 대응되는 삽입공(22a)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2a)에는 탄성부재(27)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결합공(25a)에 결합되는 고정편(28)이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확경부(25)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공(25a)으로 연장되는 관통공(25b)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수단(40)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5b)으로 핀(90)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편(28)을 내측으로 밀어낸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스(20)를 회전시키면, 상기 확경부(25)를 제외한 상부케이스(20)가 상측으로 분리되어, 상기 용기(1)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
  5. 삭제
KR1020180103603A 2018-07-13 2018-08-31 재활용이 가능한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 KR102062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917 2018-07-13
KR20180081917 2018-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133B1 true KR102062133B1 (ko) 2020-02-11

Family

ID=6956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603A KR102062133B1 (ko) 2018-07-13 2018-08-31 재활용이 가능한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1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6600U (ko) * 1986-12-11 1988-06-22
KR101262953B1 (ko) 2011-12-13 2013-05-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7523946A (ja) * 2014-08-07 2017-08-24 ジン スク リー 化学薬品容器保護カバー組立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6600U (ko) * 1986-12-11 1988-06-22
KR101262953B1 (ko) 2011-12-13 2013-05-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7523946A (ja) * 2014-08-07 2017-08-24 ジン スク リー 化学薬品容器保護カバー組立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235B1 (ko) 진공 유지용 마개
RU2365527C1 (ru) Затвор для сосуда
US8098162B2 (en) Attachment of an RFID tag to a container
PL1971531T3 (pl) Urządzenie zamykające dla pojemnika i pojemnik wyposażony w takie urządzenie
US5445293A (en) Lid seal for wide-mouthed barrels of synthetic resin
US4157144A (en) Sterile closure cap
JP4909484B2 (ja) 格納装置
CA2401142A1 (en) Reversible child resistant cap and combination of a container and a reversible child resistant cap
RU2594860C2 (ru) Выдач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DE69632026D1 (de) Verschlussvorrichtung und behälter
BR112019005611B1 (pt) Tambor de cabeça fechada, revestimento interno para a inserção no mesmo, e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o mesmo
KR102062133B1 (ko) 재활용이 가능한 화학약품 용기 보호케이스
US7201287B2 (en) Drum vent
KR101825386B1 (ko) 용기의 뚜껑 개폐장치
US4573605A (en) Replaceable closure arrangement
US3910463A (en) Closure for liquid container
US20100282751A1 (en) Screw cap
US2801022A (en) Indicating screw plug for barrels and other containers and sealing means for said plug
US6439259B1 (en) Air valve closure for containers
US6471082B1 (en) Fusible pressure relieving drum closure
DE60305445D1 (de) Schraubkappe mit garantieband
US3246783A (en) Locking means for the closure of a container of synthetic plastic material
JP2018070219A (ja) 封緘機能を有する吐出容器
GB2080777A (en) A container with a safety closure
KR200394215Y1 (ko) 강력 접착제 보관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