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775B1 -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775B1
KR102061775B1 KR1020197004105A KR20197004105A KR102061775B1 KR 102061775 B1 KR102061775 B1 KR 102061775B1 KR 1020197004105 A KR1020197004105 A KR 1020197004105A KR 20197004105 A KR20197004105 A KR 20197004105A KR 102061775 B1 KR102061775 B1 KR 102061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
terminal
type
communication
dis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036A (ko
Inventor
데핑 류
챵 리
프레드릭 베르그렌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제1 단말이 D2D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이한 D2D 타입의 단말들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들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제2 단말이, 제2 단말의 D2D 타입에 대응하지 않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Description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YNCHRONISATION SIGNAL}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술에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들 사이의 시그널링(signaling)과 데이터 교환은 각 단말이 속하는eNB(evolved Node B, 또는 기지국)를 통하여 전송되어야 한다.
직접 통신 기술로서 사용되는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즉, 장치간(device to device, D2D))에서, UE 사이의 데이터 교환은 eNB를 사용하여 전송될 필요가 없으며, 교환은 UE 사이에서 직접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교환은 네트워크의 지원(assistance) 하에 직접 수행된다.
그러나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을 수행하는 UE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는 서로 영향을 주고, 이는 통신 품질의 저하 또는 심지어 통신 장애(failure)를 유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음의 기술적 해결방안이 사용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단말이, D2D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discovery) 및 D2D 통신을 포함한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network coverage area)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시스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정보, 및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send)하기 위한 지시(indication)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주어진 시간은 미리 설정된 순간(momnent)세트(set)이거나, 기간(time period) 세트이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구성 정보가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사이의 대응관계(correspondence)에 따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구성 정보가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과 동기 신호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구성 정보가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사이의 대응관계 그리고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동기 신호는, D2D 동기 신호 또는, D2D 동기 신호 및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D2D 동기 신호는 1차(primary) D2D 동기 신호 및 2차(secondary)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2 단말이, D2D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인접 셀의 동기 신호,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거나,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인접 셀의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및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검출 및 수신된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D2D 타입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동기 신호는, D2D 동기 신호 또는, D2D 동기 신호 및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D2D 동기 신호는 1차 D2D 동기 신호 및 2차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D2D 타입과 동기 신호 사이의 미리 정의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상기 결정된 D2D 타입, 상기 인접 셀의 셀 아이덴티티(identity), 그리고 상기 인접 셀의 셀 아이덴티티와 동기 신호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상기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인접 셀의 동기 신호의 아이덴티티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D2D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및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전송(sending)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을 포함한다.
제3 측면을 참조하여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시스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정보, 및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송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가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과 동기 신호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송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가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사이의 대응관계 그리고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송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가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과 동기 신호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송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가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사이의 대응관계 그리고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D2D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및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을 포함한다.
제4 측면을 참조하여, 제4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인접 셀의 동기 신호,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거나,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제4 측면을 참조하여 제4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수신 모듈이 추가로, 상기 인접 셀의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및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검출 및 수신된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D2D 타입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또는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검출 및 수신된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D2D 타입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동기 신호는, D2D 동기 신호 또는, D2D 동기 신호 및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D2D 동기 신호는 1차 D2D 동기 신호 및 2차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한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상기 결정된 D2D 타입, 상기 인접 셀의 셀 아이덴티티, 그리고 상기 인접 셀의 셀 아이덴티티와 동기 신호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상기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인접 셀의 동기 신호의 아이덴티티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공되는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의 경우, 제1 단말이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고, 제2 단말이 D2D 타입에 따라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해결방안에서, 상이한 타입의 단말들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들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제1 단말은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전력을 감소시키며; 제2 단말이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함으로써, 제2 단말은 제2 단말의 D2D 타입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만을 검출하고 수신한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단말이 D2D 디스커버리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며,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은 D2D 통신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이에 의해, 제2 단말이 제2 단말의 D2D 타입에 대응하지 않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것을 회피하며, 이에 따라 이후에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2 단말이 잘못된 D2D 타입의 D2D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제2 단말의 검출 복잡도를 감소시키며, 제2 단말의 검출 전력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명백하게, 다음의 설명에서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단지 일부 실시 예를 나타내며, 당업자는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이들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래 기술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기술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불과하며 전부는 아니다. 창의적인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LTE-D2D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 의해 최근 정의된 LTE 기반 단말 직접 연결 통신 기술이다. LTE-D2D 통신 기술은 D2D 애플리케이션을 기존 LTE 시스템에 추가하며, 즉,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과 LTE 통신이 모두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은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의 데이터를 UE2 및 UE3에 송신하여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UE1은 또한 eNB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UE1이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eNB가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상향 링크 통신이라 명명한다. eNB가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UE1이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하향 링크 통신이라 명명한다.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대로서 사용되는 UE1과 UE2 및 UE3의 사이에서 수행되는 UE간 통신은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이다.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을 위한 3가지 작동 시나리오(working scenarios)로서,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작동 시나리오(working scenarios),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작동 시나리오, 및 부분적인(partial)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작동 시나리오가 있다.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작동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은 모두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다.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은 모두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다. 부분적인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에 참여하는 일부 단말들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고, 다른 단말들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의 두 당사자간에 동기가 먼저 수립되어야 하며, 두 디바이스의 주파수 및 타이밍이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으로 조정된다. 동기의 경우, 통신 중인 두 단말 사이에 공통 동기 기준(common synchronization reference)을 지정해야 하며, 동기 소스는 동기 기준을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작동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종래 기술에서 동기 소스로서 사용되고, 기지국과 동기된 단말들은 그룹을 형성한다.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작동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커버리지 없이 다수의 단말 중 하나의 단말 또는 모든 단말들이 종래 기술에서 동기 소스로서 사용되고, 하나의 동기 소스에 동기된 다른 단말들은 그룹을 형성한다. 부분적인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작동 시나리오에서, 일부 단말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고, 다른 단말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으며, 네트워크 커버리지 하의 단말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외부의 단말에 대한 동기 기준으로서 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은 2가지 주요 애플리케이션 모드/타입, 즉 D2D 디스커버리(discovery) 및 D2D 통신(communication)을 포함한다.
D2D 디스커버리는 단말이 디스커버리 메시지(discovery message)를 송신하고, 다른 단말이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판독하여 송신 단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디스커버리 메시지는 단말의 아이덴티티 정보(identity) 등을 포함한다.
D2D 통신은 단말이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 정보 및 데이터를 송신하고, 다른 단말이 후속 데이터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SA 정보를 판독하여 후속 데이터의 전송 포맷과 같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나타낸다. SA 정보, SA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된 데이터 전송 포맷, 그리고 SA 정보의 적용된 자원(adopted resources) 등은 기지국에 의해 함께 스케줄링될 수 있으며(즉, D2D 통신의 모드 1(mode 1)), 또는 송신 단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즉, D2D 통신의 모드 2(mode 1)).
현재, D2D 통신은 전술한 3가지 시나리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D2D 디스커버리는 단지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작동 시나리오와 관련이 있다. 그러나 D2D 타입 및 해당 작동 시나리오는 본 해결 방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커버리지 하의 단말은 동기 신호(D2DSS 및/또는 PD2DSCH)를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단말과의 동기를 체결하고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D2D 디스커버리 및/또는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부분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작동 시나리오에 있으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이 동기를 캡쳐(capture)할 수 있다. 유사하게, 셀들이 비동기인 경우,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작동 시나리오에서 셀간(inter-cell) 단말들이 또한, 인접 셀의 단말에 의해 전송되는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 정보(D2D 디스커버리 정보 및/또는 D2D 통신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해, 동기를 검출하고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제공되는 기술적인 해결방안은 전술한 부분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시나리오와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시나리오의 셀간 D2D 통신 또는 D2D 디스커버리의 경우, 예를 들어, 셀들이 비동기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은 동기 신호를 송신하고, 예를 들어, 비동기 인접 셀의 단말, 또는 부분 네트워크를 갖는 작동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있는 단말과 같은 동기를 획득해야 하는 단말은 검색(searching)을 통해 동기를 캡쳐한다.
부분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D2D 통신 및/또는 D2D 디스커버리)을 수행하는 일부 단말들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고, 다른 단말들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다.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에서의 D2D 통신은 이하에서 하나의 예로서 사용된다.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의 D2D 통신의 제1 단말은 D2D 통신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송신하며, 여기서 제1 단말의 동기 기준은 제1 단말의 서빙 셀로부터 온다.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의 D2D 통신의 제2 단말은 D2D 통신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하고, 제2 단말은 네트워크에 간접적으로 동기되며, 그 다음에 PD2DSCH에 따라, D2D 통신의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에 의한 구성 정보 및 D2D 프레임 번호(D2D frame number)와 같은 정보를 획득한다. 다음,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의 제2 단말은 D2D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에 의한 구성에 따라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의 제1 단말은 동기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인접 셀과 비동기 상태에 있는 제2 단말이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하고, 획득된 동기 신호를 송신한 제1 단말이 위치되는 셀에 간접적으로 동기화되며, 그 다음에 D2D 디스커버리 메시지가, (제2 단말이 위치되어 있는 셀에 의해 전달되거나 또는 제1 단말이 위치되어 있는 셀의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PD2DSCH에 의해 획득되는) 구성 정보 및 D2D 프레임 번호와 같은 정보에 따라 검색된다.
D2D 통신 및 D2D 디스커버리는 서로 독립적일 수 있고, 서로에 대한 기초가 아니다. 예를 들어 셀에는 단지 D2D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단말만이 있을 수 있거나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만이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가 D2D 타입(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을 구별하지 못하면, D2D 디스커버리가 아래에서 하나의 예로서 사용된다. D2D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셀의 단말의 목적은 D2D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비동기 인접 셀에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을 검출하는 것이며; 그러나 D2D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단말은 D2D 통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없는 반면, D2D 통신을 수행하는 (인접 셀에 있거나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가 검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D2D 통신에 관한 정보는 정상적인 D2D 디스커버리 성능을 방해하여, 후속 D2D 디스커버리 동안에 심각한 장애를 야기시킨다. D2D 통신이 이하에서 하나의 예로 사용된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의 D2D 통신의 단말의 목적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의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것이며; 그러나, D2D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단말은 셀의 D2D 디스커버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없는 반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고 D2D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가 검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D2D 디스커버리에 관한 정보는 D2D 통신의 정상적인 성능을 방해하여 후속 D2D 통신 동안에 심각한 장애를 야기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공된 기술적인 해결방안은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가 서로 영향을 주고, 이에 따라 후속하는 D2D 디스커버리 또는 D2D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없거나 또는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201: 제1 단말이 D2D 타입을 결정하며, 여기서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을 포함한다.
202: 제1 단말이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제1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제1 단말은 시스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구성 정보는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동기 신호의 자원 정보와,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정보가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사이의 대응관계(correspondence)에 따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정보가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과 동기 신호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정보가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사이의 대응관계 그리고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기 신호는, D2D 동기 신호 또는, D2D 동기 신호 및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D2D 동기 신호는 1차(primary) D2D 동기 신호 및 2차(secondary)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서, 상이한 D2D 타입의 단말들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들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2 단말이 제2 단말의 D2D 타입에 대응하지 않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하는 것을 회피하며, 그러므로 이후에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2 단말이 잘못된 D2D 타입의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제2 단말의 검출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제2 단말의 검출 전력을 감소시키며,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301: 제2 단말이 D2D 타입을 결정하며,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을 포함한다.
302: 제2 단말이,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인접 셀의 동기 신호,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거나,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단말이, 인접 셀의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동기 신호의 자원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2 단말이, 결정된 D2D 타입과 검출 및 수신된 동기 신호에 따라, D2D 타입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상기 동기 신호는, D2D 동기 신호 또는, D2D 동기 신호 및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D2D 동기 신호는 1차 D2D 동기 신호 및 2차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D2D 타입과 동기 신호 사이의 미리 정의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상기 결정된 D2D 타입, 상기 인접 셀의 셀 아이덴티티, 그리고 상기 인접 셀의 셀 아이덴티티와 동기 신호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상기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인접 셀의 동기 신호의 아이덴티티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서, 상이한 D2D 타입의 단말들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들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2 단말이 제2 단말의 D2D 타입에 대응하지 않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하는 것을 회피하며, 그러므로 이후에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2 단말이 잘못된 D2D 타입의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제2 단말의 검출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제2 단말의 검출 전력을 감소시키며,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401: 제1 단말이 D2D 타입을 결정한다.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상위 계층(upper-layer) 서비스 타입에 따라 D2D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서비스 타입이 공용 보안 서비스(public security service)이면, 단말은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서비스 타입이 다른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이면, 단말은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명백하게, 서비스 타입은 단지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예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르게는, 사용자가 관심사에 따라, D2D 디스커버리 및/또는 D2D 통신에 참여할 단말을 설정하거나; 또는 단말이 참여하는 D2D 타입이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랜덤하게 선택되는 등이 있다.
402: 제1 단말이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동기 신호는 D2D 동기 신호(D2DSS) 또는 D2D 동기 신호 및 물리적 D2D 동기 채널(PD2DSCH)을 포함할 수 있으며, D2DSS는 1차 D2D 동기 신호(PD2DSS) 및 2차 D2D 동기 신호(SD2DSS)를 포함할 수 있다. 명백하게,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주어진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동기 신호는 전술한 예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D2D 타입과 D2DSS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식 중 임의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1) D2D 타입 및 PD2DSSS 및 SD2DSS의 수량은 일대일 대응관계이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경우, 제1 단말은 3개의 PD2DSSS 및 3개의 SD2DSS를 송신하며;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경우, 제1 단말은 2개의 PD2DSSS와 2개의 SD2DSS를 송신한다. 다른 예로서,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경우, 제1 단말은 하나의 PD2DSSS 및 2개의 SD2DSS를 송신하며;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경우, 제1 단말은 2개의 PD2DSSS와 3개의 SD2DSS를 송신한다. PD2DSSS와 SD2DSS의 상이한 수량에 대한 많은 가능성이 있으며, 여기에서는 단지 예들이 제시된다. D2D 타입과 PD2DSSS 및/또는 SD2DSS의 수량 사이의 모든 일대일 대응관계는 본 실시 예에 포함된다.
(2) PD2DSSS와 SD2DSS의 상대 위치(relative position)와 D2D 타입은 일대일 대응관계이며, PD2DSSS 와 SD2DSS 사이의 시간 심볼의 수량과 D2D 타입은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예를 들어,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경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PD2DSSS와 SD2DSS 사이에 2개의 시간 심볼이 있으며;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경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PD2DSSS와 SD2DSS 사이에 3개의 시간 심볼이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PD2DSSS와 SD2DSS 사이의 시간 심볼의 수량은 동일하고; 만약 하나의 PD2DSS와 하나의 SD2DSS가 PD2DSSS-SD2DSS 쌍을 형성하면,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일 때 각 PD2DSSS-SD2DSS 쌍 사이의 시간 심볼의 수량이, D2D 타입이 D2D 통신일 때 각 PD2DSSS-SD2DSS 쌍 사이의 시간 심볼의 수량과 다르다. 예를 들어,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경우, 제1 단말의 각 PD2DSSS-SD2DSS 쌍 사이에 3개의 시간 심볼이 있으며;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경우, 제1 단말의 각 PD2DSSS-SD2DSS 쌍 사이에 5개의 시간 심볼이 있다. D2DSS 신호에 포함되어있는 PD2DSSS와 SD2DSS 사이에는 많은 상대적인 관계가 있으며, 여기에 예들이 제시된다. D2D 타입이 상이한 상대 위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별되는 모든 경우가 본 실시 예에 포함된다.
(3) D2D 타입과, PD2DSSS 및/또는 SD2DSS의 시퀀스는 일대일 대응관계에 있다.
PD2DSS 및/또는 SD2DSS는 PSSID에 대응하며, 여기서는 D2D 타입 및 PSSID 그룹이 일대일 대응관계인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다음의 예에서, 시퀀스는 상이하다. PD2DSSS가 M(양의 정수)개의 시퀀스를 가지고, SD2DSS가 N(양의 정수)개의 시퀀스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면, 하나의 D2DSS가 하나의 PD2DSS 및 하나의 SSD2DSS를 포함하면, 총 M *N개의 가능한 상이한 시퀀스들이 있으며, 하나의 D2DSS가 다수의 PD2DSS와 SSD2DSS의 조합을 사용하면, M*N 개 이상의 가능한 상이한 시퀀스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PD2DSS와 2개의 SSD2DSS가 있는 경우, 2개의 SSD2DSS가 동일한 시퀀스를 송신하면, M*N 개의 시퀀스가 있으며; 2개의 SSD2DSS가 상이한 시퀀스를 송신하면, M*N*N 개의 시퀀스가 있다. 모든 가능한 시퀀스에서 X(양의 정수)개의 시퀀스가 D2D 디스커버리에 할당되고, 모든 가능한 시퀀스에서 Y(양의 정수)개의 시퀀스가 D2D 통신에 할당되며, 여기서 X+Y는 모든 가능한 시퀀스의 수량보다 적거나 같다. 또한, X개의 PSSID가 D2D 디스커버리에 할당되고, Y개의 PSSID가 D2D 통신에 할당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4) D2D 타입과 D2DSS 사이의 대응관계의 전술한 해결방안들은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D2D 타입 및 PD2DSCH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구체적으로, 다음 경우 중 하나일 수 있다.
(1) D2D 통신 타입의 단말은 PD2DSCH를 송신하고, D2D 디스커버리 타입의 단말은 PD2DSCH를 송신하지 않는다.
*(2) D2D 타입 및 PD2DSCH 시그널링의 비트 수량은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예를 들어, D2D 타입이 D2D 통신일 때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의 비트 수량은,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일 때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의 비트 수량보다 크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이다. 비트 수량이 다르기 때문에, 2개의 PD2DSCH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 다를 수 있으며, 또는 2개의 PD2DSCH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 동일하고, 부호화 율(encoding rates)은 상이하다.
(3) PD2DSCH 시그널링의 비트 수량은 동일하고, PD2DSCH에 의해 운반되는 정보는 플래그 비트로서 1 비트를 포함하는데, 이는 동기 신호가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지 또는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지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의 비트는 1로 설정되고,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의 비트는 0으로 설정되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이다.
(4) D2D 타입과, PD2DSCH에 의해 점유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일대일 대응관계이며,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위치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수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는 주파수 도메인 위치 a에 있고;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는 주파수 도메인 위치 b에 있다. 다른 예로서,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는 주파수 도메인 위치 a에서 6개의 RB(자원 블록(resource block), 즉 RB)를 점유하고;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는 주파수 도메인 위치 a에서 8개의 RB를 점유한다. 다른 예로서,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된 PD2DSCH는 주파수 도메인 위치 a에서 6개의 RB를 점유하고;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된 PD2DSCH는 주파수 도메인 위치 b에서 8개의 RB를 점유한다. D2D 타입과 PD2DSCH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일대일 대응관계이며, 시간-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위치 및/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 수량일 수 있다.
(5) D2D 타입과, PD2DSCH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D2DSS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예를 들어, D2D 타입과, PD2DSCH와 D2DSS가 위치하는 서브 프레임 간의 상대 위치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예를 들어,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경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 및 D2DSS는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 있고;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경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 및 D2DSS는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 있지 않으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이다. 다른 예로서,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경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는 D2DSS 이후의 p번째(p는 0 또는 양의 정수) 서브 프레임에 있고;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경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는 D2DSS 이후의 q번째(q는 0 또는 양의 정수) 서브 프레임에 있다.
(6) D2D 타입과, D2DSCH의 자원 요소 매핑(Resource Element Mapping) 방식은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예를 들어,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경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가 첫번째 시간 심볼부터 매핑을 시작하고,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경우, 제1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는 두번째 심볼부터 맵핑을 시작한다.
(7) D2D 타입과 해당 PD2DSCH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전술한 해결방안들은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D2D 타입과, D2DSS 및 PD2DSCH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특정 구현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상이한 D2D 타입의 단말들에 의해 송신된 PD2DSSS 및/또는 SD2DSS의 시퀀스들은 상이하다. 시퀀스는 D2D 디스커버리에 사용되는 타입과 D2D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타입의 2개의 타입으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셀에서 어떤 시퀀스 또는 시퀀스들이 구체적으로 사용될지는 기지국에 대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은 시퀀스 13을 사용하고, D2D 디스커버리는 시퀀스 15를 사용하는 것 등이, 기지국에 대해 직접 구성되거나; 또는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에 의해 송신된 셀 ID와 시퀀스들 사이에 대응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셀 ID가 9인 셀에 대하여, D2D 통신은 동기 시퀀스(synchronization sequence) 13을 사용하고, D2D 디스커버리는 동기 시퀀스 15를 사용한다. PSSID가 각각 13 및 15인 D2DSS 신호들일 수 있으며, PSSID와, D2DSS의 PD2DSSS 및 SD2DSS가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예들이 여기에서 제시되며, 본 발명은 이 예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현 방식에서, 제1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제1 단말은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자원 상에서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402)에서, D2D 타입과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자원은 일대일 대응관계일 수 있으며; 또는 D2D 타입과 동기 신호는 일대일 대응관계일 수 있으며; 또는 D2D 타입,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자원 그리고 동기 신호가 일대일 대응관계일 수 있다. D2D 타입과 동기 신호가 일대일 대응관계인 경우를 예로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서 및 이하에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단말이 D2D 디스커버리 서비스와 D2D 통신 서비스를 모두 가지는 경우, 제1 단말은 현재 D2D 디스커버리인지 또는 D2D 통신인지의 여부에 따라, 송신할 해당 동기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402)는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이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D2D 타입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해당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이 D2D 디스커버리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은 D2D 디스커버리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송신하며; D2D 통신의 단말이 D2D 통신의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경우, D2D 통신의 단말은 D2D 통신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402)는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이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해당 자원 상에서 송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은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D2D 디스커버리의 자원 상에서 동기 신호를 송신하고; D2D 통신의 단말은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D2D 통신의 자원 상에서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 또는 D2D 통신의 자원 풀(pool)의 시간-주파수 위치 일 수 있고, 제1 단말은 자원 풀의 시간-주파수 위치에 따라 동기 신호의 시간-도메인 위치 또는 동기 신호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이면, 제1 단말은 D2D 디스커버리 기간(period)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디폴트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D2D 타입이 D2D 통신이면, 제1 단말은 D2D 통신에서의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기간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디폴트로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제1 단말이 D2D 디스커버리 서비스와 D2D 통신 서비스를 모두 가지는 경우, 제1 단말은 현재 D2D 디스커버리인지 또는 D2D 통신인지의 여부에 따라,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해당 자원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해당 동기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402)는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이,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D2D 타입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해당 자원 상에서, 해당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은, D2D 디스커버리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D2D 디스커버리 기간에서,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D2D 디스커버리의 자원 상에서, D2D 디스커버리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송신하고; D2D 통신의 단말이 D2D 통신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D2D 통신의 단말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D2D 통신의 자원 상에서, D2D 통신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402)는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자원 상에서, 결정된 D2D 타입과 시스템 구성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시스템 구성은 시스템이 제1 단말이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스템은 시그널링 통지의 방식으로, 제1 단말이 동기 신호를 송신하고, 제1 단말이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구성하며, 시그널링 통지는 고-계층(high-layer)(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무선 자원 제어 계층, 즉, RRC) 및/또는 물리 계층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일 수 있고, 시그널링 통지는 고-계층 및 / 또는 물리 계층 전용 시그널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은, 시그널링 통지의 방식에서, 제1 단말이 동기 신호를 송신하고, D2D 디스커버리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 또는 D2D 통신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통지하는 것을 구성한다.
제1 단말이 D2D 디스커버리 서비스와 D2D 통신 서비스를 모두 가지는 경우, 시스템이 D2D 디스커버리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 및/또는 D2D 통신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하면, 제1 단말은 현재 D2D 디스커버리인지 또는 D2D 통신인지의 여부에 따라,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해당 자원 상에서 송신할 해당 동기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402)는 구체적으로: 시스템이 해당 동기 신호가 송신되는 것을 구성하면, 단말이 D2D 타입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제1 단말이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해당 자원 상에서, 해당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되는 동기 신호는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D2D 디스커버리의 자원 상에서 송신되며; D2D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동기 신호는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D2D 통신의 자원 상에서 송신된다.
제1 단말은 D2D 타입과 동기 신호 사이의 미리 정의된 대응관계에 따라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자원 상에서,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Figure 112019014499304-pat00001
일 실시 예에서, 제1 단말은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자원 상에서, D2D 타입과 제1 단말이 캠프 온(camp on)하고 있는 셀의 셀 아이덴티티 및/또는 물리적 동기 소스 아이덴티티(Physical Synchronization Source Identity, PSSID) 사이의 대응관계 그리고 동기 신호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Figure 112019014499304-pat00002
Figure 112019014499304-pat00003
Figure 112019014499304-pat00004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단말은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자원 상에서, D2D 타입과 제1 단말이 캠프 온하고 있는 셀의 셀 아이덴티티와 제1 단말의 아이덴티티 사이의 대응관계 그리고 동기 신호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Figure 112019014499304-pat00005
제1 단말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자원 상에서, D2D 타입과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해당 동기 신호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D2D 디스커버리의 동기 신호는 A이고, D2D 통신의 동기 신호는 B이며, 제1 단말은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해당 자원 상에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402)는 구체적으로: D2D 타입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제1 단말이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해당 자원 상에서,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은, 단말이 D2D 디스커버리를 송신하는 경우 D2D 디스커버리 기간에서, 시스템의 의해 구성되는, D2D 디스커버리의 자원 상에서, 동기 신호를 송신하며; D2D 통신의 단말이 D2D 통신을 송신하는 경우, D2D 통신의 단말은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D2D 통신의 자원 상에서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방식에서, 제1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경우, 제1 단말은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미리 구성된 자원 상에서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402)에서, 제1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경우, D2D 타입 및 미리 구성된 자원은 일대일 대응관계일 수 있거나; 또는 D2D 타입과 동기 신호는 일대일 대응관계일 수 있거나; 또는 D2D 타입, 미리 구성된 자원 및 동기 신호는 일대일 대응관계일 수 있다.
예외적인 경우에, 셀에서, 기지국에 의해 다수의 단말이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면,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경우, 해당하는 단말들은 모두 동일한 D2DSS 및/또는 PD2DSCH를 송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경우, 해당하는 단말들은 모두 동일한 D2DSS 및/또는 PD2DSCH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이 상이한 타입의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단말이 현재의 동기 과정을 포기하고 다음 동기 과정을 시작하면, 상대적으로 느린 동기 획득이 야기되고 이후의 통신에 영향을 미치며, 한편, 다수회의 신호 처리가 또한 더 많은 전력을 낭비한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 예에서, 부분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의 단말이 동기 및 네트워크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하도록 하거나, 셀간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이 동기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하도록 하기 위하여, 셀 내의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면,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경우,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는 동일한 D2D 타입의 단말에 대한 동기 및/또는 통신을 위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이한 D2D 타입의 단말에 대한 동기 및/또는 통신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경우,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는 D2D 디스커버리에서 단말에 대한 동기 및/또는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D2D 타입이 D2D 통신인 단말에 대한 동기 및/또는 D2D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경우,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는 D2D 통신의 단말에 대한 동기 및/또는 D2D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단말에 대한 동기 및/또는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2개의 D2D 타입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단말은 동일한 PD2DSCH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정보는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며, 또한 D2D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일 때, 단말은 D2D 통신에 대응하는 PD2DSCH에 관한 정보를 포워딩(forward)하며; D2D 타입이 D2D 통신일 때, 단말은 D2D 디스커버리에 대응하는 PD2DSCH에 관한 정보를 포워딩한다.
단말은 현재의 D2D 타입에 대응하는, 시스템의 구성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PD2DSCH를 전송하는데 요구되고 다른 D2D 타입에 대응하는, 시스템의 구성 정보를 판독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 타입의 단말은 PD2DSCH를 전송하는데 요구되고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에 대응하는, 시스템의 구성 정보를 판독해야 하며, PD2DSCH에서 상기 정보를 전송하며; D2D 통신 타입의 단말은 PD2DSCH를 전송하는데 요구되고 D2D 통신 및 D2D 디스커버리에 대응하는, 시스템의 구성 정보를 판독해야 하며, PD2DSCH에서 상기 정보를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은,
제1 단말이, D2D 디스커버리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에 관한 정보와 D2D 통신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의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 또는 D2D 통신이다.
구체적으로, 동기 신호에 관한 정보는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경우 대응하는 PD2DSCH에 관한 정보와,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경우 대응하는 PD2DSCH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1 단말의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경우, 제1 단말은 D2D 타입이 D2D 통신 일 때의 해당 PD2DSCH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고; 또는 제1 단말의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경우, 제1 단말은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일 때의 해당 PD2DSCH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은,
제2 단말이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의 D2D 타입에 따라 상기 수신된 동기 신호로부터, 현재 D2D 타입에 대응하는 PD2DSCH에 관한 정보의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PD2DSCH에 관한 정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단말의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 또는 D2D 통신이다.
구체적으로, 동기 신호는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일 때의 해당 PD2DSCH에 관한 정보와, D2D 타입이 D2D 통신일 때의 해당 PD2DSCH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D2D 단말은 동기 신호가 동일 타입의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단말이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한, 동기 및/또는 후속 통신에 요구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기 및 통신을 가속화하고, 또한, 상이한 타입의 단말에 의해 전송되는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야기되는 동기 실패에 기인한 반복적으로 동기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전력을 감소시킨다.
전술한 방법에 대응하여, 다른 실시 예에서, 단말이 제공되며, 상기 단말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전술한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또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서의 단계들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501 : 제2 단말이 D2D 타입을 결정한다.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통신)을 포함하고, 제2 단말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부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을 수 있다. 단말은 서비스 타입에 따라 D2D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타입이 공용 보안 서비스이면, 단말은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것으로 결정한다. 서비스 타입이 다른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이면, 단말은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서비스 타입은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일례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르게는, 사용자가 관심사에 따라, D2D 디스커버리 및/또는 D2D 통신에 참여할 단말을 설정하거나; 또는 단말이 참여하는 D2D 타입이 미리 설정되거나, 랜덤하게 선택되는 것 등이 있다.
502 : 제2 단말이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D2D 타입과 동기 신호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제2 단말은 인접 셀의 동기 신호 및/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를 검출하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경우, 제2 단말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 및/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동기 신호는 D2D 동기 신호(D2DSS) 또는, D2D 동기 신호 및 물리적 D2D 동기 채널(PD2DSCH)을 포함한다. D2DSS는 또한, 1차 D2D 동기 신호(PD2DSS) 및 2차 D2D 동기 신호(SD2DSS)를 포함한다. 명백하게,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주어진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동기 신호는 전술한 예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D2D 타입과 D2DSS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D2DSS는 PD2DSS 및 SD2DSS를 포함하며, 그러므로 제2 단말이 D2D 타입에 따라 해당 D2DS를 검출하여 수신하는 것은 다음 경우 중 하나 일 수 있다.
(1) D2D 타입과 PD2DSSS 및 SD2DSS의 수량은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은 3개의 PD2DSSS와 3개의 SD2DSS를 검출하고 수신하며; D2D 통신의 단말은 2개의 PD2DSSS와 2개의 SD2DSS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다른 예로서,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은 1개의 PD2DSSS 및 2개의 SD2DSS를 검출하고 수신하며; D2D 통신의 단말은 2개의 PD2DSSS와 3개의 SD2DSS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PD2DSSS와 SD2DSS의 서로 다른 수량에 대한 많은 가능성이 있으며, 여기에 단지 예들이 제시된다. D2D 타입과 PD2DSSS 및/또는 SD2DSS의 수량 사이의 일대일 대응관계의 모든 관계가 본 실시 예에 포함된다. 단말은 D2D 타입과 PD2DSS 및 SD2DSS의 수량 사이의 전술한 대응관계에 따라 검출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은 D2D 디스커버리에 대응하는 수량을 가지는 PD2DSS 및 SD2DSS를 검출하고 수신하며; D2D 통신의 단말은 D2D 통신에 대응하는 수량을 가지는 PD2DSS 및 SD2DSS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2) D2D 타입과, 상기 검출되고 수신된 PD2DSSS 및 SD2DSS의 상대 위치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D2D 타입과, PD2DSSS와 SD2DSS 사이의 시간 심볼의 수량은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되는 PD2DSSS와 SD2DSS 사이에 2개의 시간 심볼들이 있으며;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검출된 PD2DSSS와 SD2DSS 사이에 3개의 시간 심볼들이 있다.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의 PD2DSSS 및 SD2DSS 사이의 시간 심볼의 수량은 동일할 수 있다. 하나의 PD2DSS와 하나의 SD2DSS가 PD2DSSS-SD2DSS 쌍을 형성하면,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에 의해 검출된 각 PD2DSSS-SD2DSS 쌍 사이의 시간 심볼의 수량은,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검출된 각 PD2DSSS-SD2DSS 쌍 사이의 시간 심볼의 수량과는 다르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에 의해 검출된 각 PD2DSSS-SD2DSS 쌍 사이에 3개의 심볼들이 있으며;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검출된 각 PD2DSSS-SD2DSS 쌍 사이에 5개의 심볼이 있다. D2DSS 신호에 포함된 PD2DSSS와 SD2DSS 사이에는 많은 상대적인 관계가 있으며, 여기에 예들이 제시된다. 상이한 상대 위치를 사용함으로써 D2D 타입이 구별되는 모든 경우가 본 실시 예에 포함된다. 단말은 D2D 타입과 PD2DSSS 및 SD2DSS의 상대 위치 사이의 전술한 대응관계에 따라 검출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은 D2D 디스커버리에 대응하는 상대 위치를 갖는 PD2DSS 및 SD2DSS를 검출하고 수신하며; D2D 통신의 단말은 D2D 통신에 대응하는 상대 위치를 갖는 PD2DSS와 SD2DSS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3) D2D 타입과 PD2DSSS 및/또는 SD2DSS의 시퀀스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PD2DSS 및/또는 SD2DSS는 PSSID에 대응하고, 여기서는 D2D 타입과 PSSID 그룹이 일대일 대응관계인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다음 예에서, 시퀀스들이 다르다. PD2DSSS가 M개의 시퀀스를 갖고 SD2DSS가 N개의 시퀀스를 갖는 것을 가정하면, 하나의 D2DSS가 하나의 PD2DSS와 하나의 SSD2DSS를 포함하는 경우, M*N개의 가능한 상이한 시퀀스들이 있으며, 하나의 D2DSS가 다수의 PD2DSS와 SSD2DSS의 조합이면, M*N개 이상의 가능한 상이한 시퀀스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PD2DSS 및 2개의 SSD2DSS가 있으면, 2개의 SSD2DSS가 동일한 시퀀스인 경우, M * N개의 시퀀스가 있다. 2개의 SSD2DSS가 상이한 시퀀스인 경우, M*N*N개의 시퀀스가 있다. 모든 가능한 시퀀스에서 X개의 시퀀스는 D2D 디스커버리에 할당되며, 모든 가능한 시퀀스에서 Y개의 시퀀스는 D2D 통신에 할당되며, 여기서 X+Y는 모든 가능한 시퀀스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다. 또한, X개의 PSSID가 D2D 디스커버리에 할당되고, Y개의 PSSID가 D2D 통신에 할당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단말은 D2D 타입과 D2DSS 시퀀스 사이의 전술한 대응관계에 따라 검출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은 D2D 디스커버리에 대응하는 X개의 시퀀스를 검출하고 수신하며; D2D 통신의 단말은 D2D 통신에 대응하는 Y개의 시퀀스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4) 전술한 D2D 타입과 D2DSS 사이의 대응관계의 전술한 해결방안은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D2D 타입 및 PD2DSCH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단말이 D2D 타입에 따라 해당 PD2DSCH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것은 다음 경우 중 하나 일 수 있다.
(1) D2D 타입과 PD2DSCH의 존재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예를 들어, D2D 통신 타입의 단말은 PD2DSCH를 검출하고 수신하며; D2D 디스커버리 타입의 단말은 PD2DSCH를 검출하지 않으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이다.
(2) D2D 타입 및 PD2DSCH 시그널링의 비트 수량은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의 단말은 상대적으로 큰 비트 수량을 갖는 PD2DSCH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반면,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트 수량을 갖는 PD2DSCH를 검출하고 수신하며; 또는 반대의 경우이다.
(3) PD2DSCH 시그널링의 비트 수량은 동일하고, PD2DSCH에 의해 운반되는 정보는, 플래그 비트로서 1 비트를 포함하며, 이 비트는 동기 신호가 D2D 통신인지 또는 D2D 디스커버리인지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의 PD2DSCH 비트는 1로 설정되고 D2D 디스커버리의 PD2DSCH 비트는 0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반대의 경우이다. 단말은 D2D 타입과 PD2DSCH 시그널링에서의 플래그 비트 사이의 전술한 대응관계에 따라 검출을 수행한다.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된 PD2DSCH의 플래그 비트는 1이며, 동기가 성공한 것으로 간주되며;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된 PD2DSCH의 플래그 비트는 0이며, 동기가 성공한 것으로 간주된다.
(4) D2D 타입과 PD2DSCH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일대일 대응관계이며, 주파수 도메인 자원 위치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수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된 PD2DSCH는 주파수 도메인 위치 a에 있고;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된 PD2DSCH는 주파수 도메인 위치 b에 있다. 다른 예로서,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된 PD2DSCH는 주파수 도메인 위치 a에서 6개의 RB를 점유하고;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된 PD2DSCH는 주파수 도메인 위치 a에서 8개의 RB를 점유한다. 다른 예로서,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는 주파수 도메인 위치 a에서 6개의 RB를 점유하고;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에 의해 송신된 PD2DSCH는 주파수 도메인 위치 b에서 8개의 RB를 점유한다. D2D 타입과 PD2DSCH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일대일 대응관계이며,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 위치 및/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 수량일 수 있다.
단말은 D2D 타입과, PD2DSCH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 위치 및/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 수량 사이의 전술한 대응관계에 따라 검출을 수행한다.
5) D2D 타입과, PD2DSCH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D2DSS의 시간-주파수 위치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D2DS 타입과, D2DSS및 PD2DSCH가 위치하는 서브 프레임 간의 상대 위치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된 PD2DSCH 및 D2DSS는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 있고;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된 PD2DSCH 및 D2DSS는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 있지 않으며; 또는 반대의 경우이다. 다른 예로서,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된 PD2DSCH는 D2DSS 이후의 p번째(p는 0 또는 양의 정수) 서브 프레임에 있고; D2D 디스커버리에서 단말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된 PD2DSCH는 D2DSS 이후의 q번째(q는 0 또는 양의 정수) 서브 프레임에 있다.
단말은 D2D 타입과, PD2DSCH의 시간-주파수 위치와 D2DSS의 시간- 주파수 위치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에 따라, 검출을 수행한다.
(6) D2D 타입과, PD2DSCH의 시간-주파수 맵핑 방식은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상이한 D2D 타입의 단말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된 PD2DSCH들은 상이한 맵핑 방식을 갖는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의 단말은 첫번째 시간 심볼부터 PD2DSCH를 검출하고 수신하며;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은 두번째 심볼부터 PD2DSCH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7) D2D 타입에 따라 해당 PD2DSCH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전술한 해결방안들은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은 D2D 타입에 따라 해당 D2DSS 및 PD2DSCH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특정 구현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2D 타입과 D2DSS 및/또는 PD2DSCH 사이의 대응관계는 미리 정의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기지국의 사전 정의 및 구성을 결합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다른 예로서, D2D 타입과, PD2DSSS 및/또는 SD2DSS의 시퀀스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시퀀스는 D2D 디스커버리에 사용되는 타입과 D2D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타입의 두 가지 타입으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셀에서 어떤 시퀀스 또는 시퀀들이 구체적으로 사용될지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D2D 통신이 시퀀스 13을 사용하고 D2D 디스커버리가 시퀀스 15 등을 사용하는 것 등을 직접 구성하며; 또는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에 의해 전송된 셀 ID와 시퀀스 사이에 대응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셀 ID가 9인 셀의 경우, D2D 통신은 동기 시퀀스 13을 사용하고, D2D 디스커버리는 동기 시퀀스 15를 사용한다. 또한, PSSID가 각각 13 및 15인 D2DSS 신호들일 수 있으며, PSSID와 D2DSS의 PD2DSSS 및 SD2DSS는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예들이 여기서 단지 제공되며, 본 발명은 이들 예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단말은 D2D 타입과 동기 신호 사이의 미리 정의된 관계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Figure 112019014499304-pat00006
이 경우, 제2 단말의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경우, 제2 단말은 D2D 디스커버리에 대응하는 모든 동기 신호를 검출하며; 제2 단말의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경우, 제2 단말은 D2D 통신에 대응하는 모든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모든 동기 신호에서 N(N은 양의 정수) 개의 신호가 결정 원리(decision principle)에 따라 선택된다. 결정 원리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strength), 수신된 에너지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동기 신호, 동기 신호의 우선 순위 레벨 등일 수 있다. N 및 수신된 에너지 임계치는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들이 단지 여기에서 제시되며, 본 발명은 이들 예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하에 있는 경우, 제2 단말은 D2D 타입과 인접 셀의 셀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 그리고 동기 신호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Figure 112019014499304-pat00007
Figure 112019014499304-pat00008
일 실시 예에서, 제2 단말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하에 있는 경우, D2D 타입과 인접 셀에 의해 구성된 PSSID 사이의 대응관계 그리고 동기 신호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또한, 동기 신호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D2D 디스커버리 또는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D2D 디스커버리 또는 D2D 통신의 단말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단말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하에 있는 경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며, D2D 타입과 인접 셀의 구성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인접 셀은 동기 신호의 자원을 구성한다. 인접 셀에 의해 구성된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 또는 D2D 통신의 자원 풀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나타내며, 제2 단말은 자원 풀의 시간-주파수 위치에 따라 해당 동기 신호의 시간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의 자원의 경우, 동기 신호는 디스커버리 기간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디폴트로 송신되며; 또는 동기 신호는 D2D 통신의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기간의 첫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디폴트로 송신된다. 제2 단말은 인접 셀에 의해 구성된 자원 상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예를 들면, D2D 통신의 단말은, 인접 셀에 의해 구성되는, D2D 통신의 자원 상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며;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은 인접 셀에 의해 구성되는, D2D 디스커버리의 자원상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단계(502)에서, D2D 타입과 인접 셀의 구성 자원은 일대일 대응관계일 수 있고; 또는 D2D 타입과 동기 신호는 일대일 대응관계일 수 있으며; 또는 D2D 타입, 인접 셀의 구성 자원 그리고 동기 신호는 일대일 대응관계일 수 있다. D2D 타입과 동기 신호가 일대일 대응관계인 경우가 예로서 설명되었으며, 여기서 및 이하에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단말이 D2D 디스커버리 서비스와 D2D 통신 서비스를 모두 가지는 경우, 제1 단말은 현재 D2D 디스커버리인지 또는 D2D 통신인지 여부에 따라, 검출 및 수신할 해당 동기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 제2 단말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며, D2D 타입과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대응관계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시스템은 동기 신호의 자원을 구성한다.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 또는 D2D 통신의 자원 풀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나타내며, 제2 단말은 자원 풀의 시간- 주파수 위치에 따라 해당 동기 신호의 시간-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의 자원의 경우, 동기 신호는 디스커버리 기간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디폴트로 송신되며; 또는 동기 신호는 D2D 통신의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기간 등의 첫번재 서브 프레임에서 디폴트로 송신된다. 제2 단말은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자원 상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예를 들어, D2D 통신의 단말은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D2D 통신 구성의 자원 상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며;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은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D2D 디스커버리 구성의 자원 상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단계(502)에서, D2D 타입과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구성 자원은 일대일 대응관계일 수 있고; 또는 D2D 타입 및 동기 신호는 일대일 대응관계일 수 있고; 또는 D2D 타입,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구성 자원 그리고 동기 신호는 일대일 대응관계일 수 있다.
제2 단말이 D2D 디스커버리 서비스와 D2D 통신 서비스를 모두 가지는 경우, 제1 단말은 현재 D2D 디스커버리인지 또는 D2D 통신인지에 따라 검출 및 수신할 해당 동기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되는 동기 신호는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D2D 디스커버리의 자원 상에서 검출되고 수신되며; D2D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동기 신호는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D2D 통신의 자원 상에서 검출되고 수신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하에 있는 경우, 제2 단말은 D2D 타입과 인접 셀의 구성 사이의 대응관계 그리고 현재 셀과 인접 셀 사이의 타이밍 차이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한다. 인접 셀의 구성은 동기 신호의 자원을 포함한다. 타이밍 차이는 시스템이 비동기식 일 때, 상이한 셀의 타이밍이 일관성이 없고,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타이밍 차이의 값은 제한되지 않는다. 타이밍 차이는 측정을 위해, 프레임(frame), 서브 프레임(subframe) 및 시간 심볼(symbol)로 정량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 셀 A와 현재 셀 사이의 타이밍 차이가 ±2 서브 프레임/ + 2 서브 프레임/ -2 서브 프레임인 것이 통보되고, 이후, 단말이 인접 셀에 의해 구성되는, D2D 타입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의 발견된 자원 전과 후/전/후 2개의 서브 프레임부터,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기 시작한다.
인접 셀의 구성은 또한 D2D 디스커버리 또는 D2D 통신의 자원 풀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제2 단말은 자원 풀의 시간-주파수 위치에 따라 동기 신호의 시간-도메인 위치 또는 동기 신호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타입이 D2D 디스커버리인 경우, 제2 단말은 D2D 디스커버리 기간의 첫번째 서브 프레임이 동기 신호의 자원인 위치에서, 검출 및 수신을 디폴트로 수행하고; 또는 D2D 타입이 D2D 통신인 경우, 제2 단말은 D2D 통신에서의 스케줄링 할당(SA) 기간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이 동기 신호의 자원인 위치에서, 디폴트로 검출 및 수신을 수행한다.
제2 단말이 D2D 디스커버리 서비스와 D2D 통신 서비스를 모두 가지는 경우, 제2 단말은 현재 D2D 디스커버리인지 또는 D2D 통신인지 여부에 따라 검출 및 수신할 해당 동기 신호를 선택한다.
(603) 제2 단말은 결정된 D2D 타입 및 상기 검출되고 수신된 동기 신호에 따라, D2D 타입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예를 들어, D2D 디스커버리의 단말은 D2D 디스커버리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며, 다음에 해당 자원 상에서 D2D 디스커버리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송신하며; D2D 통신의 단말은 D2D 통신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고, 다음에 PD2DSCH에 관한 정보에 따라 해당 자원 상에서 D2D 통신의 신호를 송신하거나 및/또는 수신한다. D2DSS는 D2D 디스커버리 기간의 첫번째 프레임에서 나타나도록 미리 정의될 수 있으며; 또는 D2DSS는 D2D 통신 SA 기간의 첫번째 프레임에서 나타나도록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장치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D2D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601); 및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602)을 포함하고, 상기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을 포함한다.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시스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603)을 더 포함하며, 구성 정보는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동기 신호의 자원 정보 및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한다.
전송 모듈은, 구체적으로, 구성 정보가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과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동기 신호의 자원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모듈은, 구체적으로, 구성 정보가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과 동기 신호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모듈은, 구체적으로, 구성 정보가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동기 신호의 자원 사이의 대응관계 그리고 동기 신호에 따라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동기 신호는, D2D 동기 신호 또는, D2D 동기 신호 및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을 포함하고, D2D 동기 신호는 1차 D2D 동기 신호 및 2차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서, 수신 모듈에 대응하는 물리적 장치는 수신기일 수 있고, 처리 모듈에 대응하는 물리적 장치는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전송 모듈에 대응하는 물리적 장치는 송신기일 수 있음을 특히 주목해야 한다.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서, 상이한 D2D 타입의 단말들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들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2 단말이 제2 단말의 D2D 타입에 대응하지 않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하는 것을 회피하며, 그러므로 이후에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2 단말이 잘못된 D2D 타입의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제2 단말의 검출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제2 단말의 검출 전력을 감소시키며,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장치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D2D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701); 및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702)을 포함하고,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인접 셀의 동기 신호, 및/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거나,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경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 및/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신 모듈이 추가로, 인접 셀의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동기 신호의 자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검출 및 수신된 동기 신호에 따라, D2D 타입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703); 또는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결정된 D2D 타입과 상기 검출 및 수신된 동기 신호에 따라, D2D 타입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동기 신호는, D2D 동기 신호 또는, D2D 동기 신호 및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을 포함하고, D2D 동기 신호는 1차 D2D 동기 신호 및 2차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한다.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결정된 D2D 타입, 인접 셀의 셀 아이덴티티, 그리고 인접 셀의 셀 아이덴티티와 동기 신호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결정된 D2D 타입과 인접 셀의 동기 신호의 아이덴티티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서, 수신 모듈에 대응하는 물리적 장치는 수신기일 수 있고, 처리 모듈에 대응하는 물리적 장치는 프로세서일 수 있고, 수신 모듈에 대응하는 물리적 장치는 송신기일 수 있음을 특히 주목해야 한다.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 예에서, 상이한 D2D 타입의 단말들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 신호들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2 단말이 제2 단말의 D2D 타입에 대응하지 않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하는 것을 회피하며, 그러므로 이후에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2 단말이 잘못된 D2D 타입의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제2 단말의 검출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제2 단말의 검출 전력을 감소시키며, 사용자 직접 연결 통신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부분적인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작동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부 및 외부의 단말들 사이의 디스커버리 및/또는 통신은 보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부 및 외부의 사용자들 사이의 연결을 위한 어려움(difficulty)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커버리지 하의 단말들 사이의 셀간(inter-cell) 디스커버리 및/또는 통신은 보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 예들은 모두 실시 예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 점진적인(progressive) 방식으로 설명되며, 이들 실시 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각 실시 예는 다른 실시 예와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디바이스 실시 예는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 예와 유사하므로 간략하게 설명되며;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 예의 부분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당업자는 실시 예들에서 방법들의 프로세스들 전부 또는 일부가 관련 하드웨어를 명령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실시 예에서의 방법의 프로세스(process)들이 수행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임의의 변형(variation) 또는 치환(replacement)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의 대상이 된다.

Claims (17)

  1. 동기(synchronization) 신호를 송신하는(transmit) 방법으로서,
    제1 단말이, D2D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discovery) 및 D2D 통신을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이 D2D 통신 타입이면, 상기 제1 단말이 D2D 동기 신호 및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을 포함하는 제1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D2D 디스커버리 타입이면, 상기 제1 단말이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은 포함하지 않는 제2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network coverage area)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시스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정보, 및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send)하기 위한 지시(indication)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가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가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제2 동기 신호의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2D 동기 신호는 1차(primary) D2D 동기 신호 및 2차(secondary)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방법.
  6.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제2 단말이, D2D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을 포함함 - ;
    상기 제2 단말이 D2D 통신 타입이면, D2D 동기 신호 및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을 포함하는 제1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D2D 디스커버리 타입이면,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은 포함하지 않는 제2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인접 셀의 제1 동기 신호,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거나,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동기 신호,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인접 셀의 제2 동기 신호,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거나,
    상기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동기 신호,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2D 동기 신호는 1차 D2D 동기 신호 및 2차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방법.
  10.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로서,
    D2D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 상기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을 포함함 - ; 및
    상기 장치가 D2D 통신 타입이면, D2D 동기 신호 및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을 포함하는 제1 동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장치가 D2D 디스커버리 타입이면,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은 포함하지 않는 제2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전송(sending) 모듈
    을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시스템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동기 신호의 자원 정보, 및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2D 동기 신호는 1차 D2D 동기 신호 및 2차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장치.
  13.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D2D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 상기 D2D 타입은 D2D 디스커버리 및 D2D 통신을 포함함 - ; 및
    상기 장치가 D2D 통신 타입이면, D2D 동기 신호 및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을 포함하는 제1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장치가 D2D 디스커버리 타입이면,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물리적 D2D 동기 채널은 포함하지 않는 제2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인접 셀의 제1 동기 신호,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거나,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동기 신호,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인접 셀의 제2 동기 신호,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거나,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동기 신호,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D2D 동기 신호는 1차 D2D 동기 신호 및 2차 D2D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장치.
  17.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97004105A 2014-07-21 2014-08-08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61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082612 2014-07-21
CNPCT/CN2014/082612 2014-07-21
PCT/CN2014/084035 WO2016011680A1 (zh) 2014-07-21 2014-08-08 一种发射同步信号的方法及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668A Division KR20170033397A (ko) 2014-07-21 2014-08-08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036A KR20190018036A (ko) 2019-02-20
KR102061775B1 true KR102061775B1 (ko) 2020-01-02

Family

ID=551624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668A KR20170033397A (ko) 2014-07-21 2014-08-08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97004105A KR102061775B1 (ko) 2014-07-21 2014-08-08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668A KR20170033397A (ko) 2014-07-21 2014-08-08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83070B2 (ko)
EP (1) EP3163953B1 (ko)
KR (2) KR20170033397A (ko)
CN (1) CN106576313B (ko)
AU (1) AU2014401578B2 (ko)
MX (1) MX369064B (ko)
RU (1) RU2669524C2 (ko)
WO (1) WO2016011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8073A1 (ko) 2014-09-24 2016-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2d 신호의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EP3206446B1 (en) * 2014-10-07 2019-08-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4154A1 (zh) 2012-05-24 2013-11-28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发现的方法、设备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4078B2 (en) 2006-05-19 2011-03-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peer-to-peer networks
CN103108405B (zh) 2011-11-15 2017-09-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系统
CN103379617B (zh) 2012-04-26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设备到用户设备的通信方法及用户设备
KR101967169B1 (ko) * 2012-05-16 2019-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간 네트워크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N103582077B (zh) * 2012-08-07 2017-01-25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间d2d通信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3686985B (zh) * 2012-09-25 2019-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设备发现方法及装置
US20150305075A1 (en) * 2012-11-05 2015-10-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ighbor Discovery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KR101691448B1 (ko) * 2012-12-31 2016-12-3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19716B1 (ko) * 2013-03-08 2019-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간 직접통신 방법 및 장치
US10015828B2 (en) * 2013-04-10 2018-07-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provid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102045339B1 (ko) * 2013-04-26 2019-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기 대 기기 무선 통신에서의 발견 신호 자원 지시 방법
EP3020245A4 (en) * 2013-07-11 2016-11-2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DEVICE WITH PARTIAL COVERAGE DEVICE
WO2015010337A1 (zh) 2013-07-26 2015-01-29 华为终端有限公司 同步信号的承载方法和用户设备
US9608710B2 (en) * 2013-08-08 2017-03-28 Intel IP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JP6328132B2 (ja) * 2013-11-01 2018-05-23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ユーザ端末
WO2015067778A1 (en) * 2013-11-08 2015-05-1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ynchronization signal design for device to device operation
US10051677B2 (en) * 2014-01-24 2018-08-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oviding, obtaining, and using D2D-related capability of a network node
KR101769958B1 (ko) * 2014-01-26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및 동기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5940735B (zh) * 2014-01-28 2019-08-16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设备对设备终端发送控制信道的方法和装置
EP3100540B1 (en) * 2014-01-31 2018-07-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identities to device-to-device synchronization sequences
CN103889071B (zh) * 2014-02-24 2017-06-23 北京邮电大学 基于随机接入技术的d2d通信同步、建立与恢复方法
US20150264588A1 (en) * 2014-03-14 2015-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networks
CA2943238C (en) * 2014-03-19 2019-10-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vice-to-device synchronization
US9596668B2 (en) * 2014-04-14 2017-03-14 Innovative Technology Lab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13068B2 (en) * 2014-05-08 2020-10-20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ynchronization source selec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70188321A1 (en) * 2014-05-09 2017-06-29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US9847848B2 (en) * 2014-05-09 2017-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y D2D communication terminal
EP3158819B1 (en) * 2014-06-17 2019-03-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2d operation in non-activated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7523666A (ja) * 2014-06-27 2017-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通信のためのリソースプール・アクセス
US9918290B2 (en) * 2014-06-27 2018-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cell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discovery
CN106576354B (zh) * 2014-07-07 2020-03-03 Lg电子株式会社 在支持设备对设备通信的无线接入系统中通过中继终端发送和接收d2d信号的方法和装置
EP3197224B1 (en) * 2014-07-29 2019-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signal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4154A1 (zh) 2012-05-24 2013-11-28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发现的方法、设备及系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4138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3953B1 (en) 2021-12-22
KR20190018036A (ko) 2019-02-20
US20170135054A1 (en) 2017-05-11
AU2014401578A1 (en) 2017-02-16
US10383070B2 (en) 2019-08-13
EP3163953A4 (en) 2017-06-28
BR112017001288A2 (pt) 2017-11-14
RU2017105066A3 (ko) 2018-08-21
CN106576313A (zh) 2017-04-19
RU2017105066A (ru) 2018-08-21
AU2014401578B2 (en) 2018-10-18
KR20170033397A (ko) 2017-03-24
CN106576313B (zh) 2020-01-17
MX369064B (es) 2019-10-28
WO2016011680A1 (zh) 2016-01-28
MX2017000952A (es) 2017-06-29
RU2669524C2 (ru) 2018-10-11
EP3163953A1 (en) 201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5292B2 (en) Method for processing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network-side device, and user equipment
JP6184979B2 (ja) 協調マルチポイント方式を使用するセルラー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ダウンリンクデータチャネル信号送信情報を送受信する装置及び方法
JP647997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d2d信号送受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0326517B2 (en) Method for relay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performing same
JP682318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リソースを選択してpsschを伝送する方法及び装置
CN110445591B (zh) 用于在异构通信系统中进行随机接入的系统和方法
US10411820B2 (en) Methods, user equipment and radio network node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system
CN114073163B (zh) 用于随机接入过程的方法和装置
JP201752721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デバイス間の通信を行う方法及びこれを行う装置
US201801522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covery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890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 radio network
WO2016161981A1 (zh) 设备到设备d2d传输方法及装置
JP2016536846A (ja) 情報伝送方法、基地局、およびユーザ機器
JP2023179745A (ja) 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および基地局
WO2016141636A1 (zh) 一种实现d2d通信的方法、系统及设备
KR102061775B1 (ko)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456463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O2016070682A1 (zh) D2d通信的同步处理方法及装置
JP201753281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d2d通信のための同期信号送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2016521510A (ja) ネットワーク・カバレッジ・フリーの近隣端末発見の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ユーザ機器
CN110461036B (zh) 一种发射、接收同步信号的方法及终端
WO2022080309A1 (ja) 通信システム
WO2014071615A1 (zh) 传输信息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