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580B1 -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580B1
KR102061580B1 KR1020190139359A KR20190139359A KR102061580B1 KR 102061580 B1 KR102061580 B1 KR 102061580B1 KR 1020190139359 A KR1020190139359 A KR 1020190139359A KR 20190139359 A KR20190139359 A KR 20190139359A KR 102061580 B1 KR102061580 B1 KR 10206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leg
hole
bol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구
김도엽
Original Assignee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7/00Measuring gravitational fields or waves; Gravimetr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7/08Measuring gravitational fields or waves; Gravimetric prospecting or detecting using bala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에 상기 상대중력계가 안착되는 안착판, 안착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대중력계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나사부, 안착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수의 상부다리 및 다수의 상부다리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하부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대중력계를 중력기준점 연직선상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EXTENSION POLE FOR RELATIVE GRAVIMETER}
본 발명은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점 자체의 형상 또는 인접 장애물의 형상으로 인해 연직선상에서의 중력 측정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관측을 수행할 수 있는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적측량이나 토목측량 등과 같은 측지측량 작업을 할 때에는 정확한 측량 성과를 얻기 위해서 작업의 기준이 되는 측량기준점이 필요하다. 측량기준점은 측지측량의 정확도를 확보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특정 지점을 일정 기준에 따라 측정하고 좌표로 표시하여 기준으로 사용하는 점을 말한다.
측량기준점은 국가기준점, 공공기준점 및 지적기준점으로 크게 구분된다. 국가기준점은 측량의 정확도를 확보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이 전 국토를 대상으로 주요 지점마다 정한 측량의 기본이 되는 측량기준점이고, 공공기준점은 공공측량 시행자가 공공측량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국가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따로 정하는 측량기준점이며, 지적기준점은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나 지적소관청이 지적측량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국가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따로 정하는 측량기준점이다.
기존에 활용된 국가기준점들은 경위도원점(측지원점), 수준원점, 절대중력원점, 중력기준점, 중력보조기준점, 삼각점, 수준점, 자기점(지자기점), 통합기준점, GPS기준점 등이 있다.
이 중 중력기준점은 지역을 대표하는 곳의 위도, 경도, 고도와 더불어 표준중력값을 표시한 곳으로서, 조사지역 일대의 중력측정의 기점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중력기준점은 정확한 중력값이 표준중력값으로 입력되어야 하고, 실시간으로 변하는 중력값에 대해서는 조사를 통해 그 갱신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표준중력값이 특정 지점에 설정되면, 일정 주기로 지점에 방문하여 해당 지점의 중력을 측량해 갱신한다.
지상중력측량은 삼각측량, 수준측량 등과 함께 국가의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기본측량의 일종으로서 국토의 중력분포를 파악하고, 수직기준 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고정밀 지오이드 모델의 단파장영역을 결정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된다.
중력측량은 중력을 측정하는 장비(이하, '중력계'라 한다)에 따라 다른 중력점에 기준하지 않고 단독으로 중력값을 결정하는 절대중력측량과 다른 중력점에 기준하여 중력값을 결정하는 상대중력측량으로 구분한다.
상대중력을 측정하는 상대중력계는 중력기지점의 중력을 기준으로 측점 상호 간의 절대 중력값의 차이를 구하여 중력미지점의 중력값을 구하는 상대관측방법을 이용하여 관측하는 중력계를 말하며, 0.001mgal 단위까지 읽을 수 있어야 하고, 측정 결과를 자동으로 기록 및 출력할 수 있는 장치가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
상대중력계를 사용하는 관측은 기본적으로 중력기지점과 같이 견고하며, 관리되어 있는 공간의 장소가 아니고 기본적으로 실외이며 기상, 온도, 진동 등의 영향으로 관측값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를 더욱 많이 접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상대중력계는 중력 측량을 수행하기 위해서 중력기준점 상방에 연직하여 배치되어야 하는데, 중력기준점 자체가 너무 높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거나 또는 중력기준점 주변에 다른 장애물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대중력계를 연직 배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상대중력계는 단순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력기준점과 그 주변의 변화에 대처하기 어렵고, 정확히 연직 방향에서 측정을 수행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다리와 하부다리를 이용하여 상대중력계를 중력기준점 연직선상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상부다리와 하부다리의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다리완충부를 이용하여 하부다리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부에 상대중력계가 안착되는 안착판; 안착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대중력계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나사부; 안착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수의 상부다리; 및 다수의 상부다리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하부다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에서 상기 상부다리는, 안착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상부브라켓; 그 상단이 상부브라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리몸체; 및 상부브라켓과 다리몸체를 관통 연결하며 다리몸체가 상부브라켓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상부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브라켓은, 측면 중앙에 회전볼트가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홀이 형성되고, 볼트홀을 기준으로 일측은 절단부가 형성되어 다리몸체가 회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며, 볼트홀을 기준으로 타측은 막힌 방지부가 형성되어 다리몸체가 회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에서 상기 하부다리부는, 상부다리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높이조절홀에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다리의 하단 측부에는 높낮이가 조절된 하부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부다리의 하단 측부에 돌출 연장된 높이연장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동부; 회동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연장부; 및 상부다리의 하단면에 결합되며 높이조절홀의 외측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C’자 형태의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걸림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탄성연장부의 말단과 접촉되며 하부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 다수의 높이결정홈이 배치된 영역을 넘어서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접촉단부; 및 걸림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탄성연장부의 측면과 접촉되며 높이결정홈이 배치되는 영역을 넘어서는 위치에 배치되는 방지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연장부는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여 말단이 접촉단부에 접촉되면서 오므라들고, 접촉단부를 넘어서면서 펼쳐져서 높이결정홈에 삽입되며, 방지단부에 가로막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에서 상기 하부다리의 하부에는 지면으로부터 하부다리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는 다리완충부가 더 결합되며, 상기 다리완충부는, 하부다리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완충결합홀; 하부다리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관통홀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완충본체부; 완충본체부의 하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되며 완충헤드홀이 형성되는 완충덮개부; 완충헤드홀 및 완충관통홀을 관통하여 완충결합홀에 체결되며 완충덮개부, 완충본체부 및 완충지지부를 하나로 이어주는 완충볼트; 및 완충덮개부의 하부에 뾰족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접지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에서 상기 완충체결볼트는, 완충결합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나사부; 완충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관통부; 및 완충헤드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헤드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상부다리와 하부다리를 이용하여 상대중력계의 높이를 높여줄 수 있으므로 중력기준점이 큰 키를 가지거나 중력기준점 근처에 다른 장애물이 있어도 상대중력계를 연직 상부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상부다리와 하부다리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한 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다리완충부를 이용하여 하부다리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다리와 하부다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다리, 하부다리 및 높이조절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완충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보조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는 상대중력계(G)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판(100), 안착판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나사부(200), 안착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수의 상부다리(300) 및 다수의 상부다리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하부다리(4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대중력계(G)는 통상적인 상대중력계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대중력계(G)는 중력기준점의 중력을 측량하는데 활용되며, 중력기준점의 연직 상부 방향에 위치한다.
상기 안착판(100)은 상대중력계(G)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대중력계를 떠받치게 된다. 안착판(100)은 도시된 실시예에서처럼 삼각판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삼각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수의 나사부(200)는 안착판(10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대중력계(G)와 안착판(100) 사이에 배치된다. 다수의 나사부(200)는 상대중력계(G)의 기울어짐을 보정하여 상대중력계가 수평에서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즉, 다수의 나사부(200)는 회전하면서 그 길이가 조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대중력계(G)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판(100)의 상부면 일측에는 기포관(110)이 결합될 수 있다. 기포관(110)은 내면을 정확하게 일정한 곡면으로 한 유리관 속에 알코올 또는 에테르 등을 넣고 기포를 밀봉한 관이다. 유리관 표면의 눈금 중심에 기포가 있을 때 기포관(110)은 수평이 된다.
상기 다수의 상부다리(300)는 안착판(10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안착판을 지지한다. 상부다리(300)는 후술되는 상부브라켓(310)을 매개로 안착판(100)에 결합된다.
상기 다수의 하부다리(400)는 상부다리(300)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며 말단이 지면과 접촉된다. 하부다리(400)는 후술되는 높이조절홀(321)을 통해 상하로 이동하여 전체적인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다리와 하부다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다리(300)는 안착판(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상부브라켓(310), 그 상단이 상부브라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리몸체(320) 및 상부브라켓과 다리몸체를 관통 연결하며 다리몸체가 상부브라켓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상부볼트(3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브라켓(310)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정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 중앙에 상부볼트(330)가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홀(3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볼트홀(311)을 기준으로 상부브라켓(310)의 일측(도시된 실시예에서 우측 하단)은 절개되어 절단부(312)가 형성되고, 상부브라켓(310)의 타측(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 하단)은 막혀있는 방지부(313)가 형성된다.
상기 다리몸체(320)는 절단부(312)는 통과하여 회동할 수 있으며, 방지부(313)에서는 가로막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한다. 즉, 다리몸체(320)는 상부브라켓(310)의 일측으로만 회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단부(312)는 안착판(100)의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다리몸체(320)는 안착판(100)의 외측으로만 회동할 수 있으므로 설사 바람 등에 의해 다리몸체(320)가 접히더라도 안착판(100)과 그 상부의 상대중량계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리몸체(320)의 상부에는 볼트홀(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관통홀(323)이 형성되는 볼트관통편(322) 및 상부볼트(330)의 말단이 접촉되는 볼트접촉편(324)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관통편(322)과 볼트접촉편(324)은 모두 판상으로 형성되며, 다리몸체(320)의 상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부볼트(330)는 전술한 상부브라켓(310)의 볼트홀(311)과 볼트관통편(322)의 볼트관통홀(323)을 통과하여 진입하며, 볼트접촉편(324)에 접촉되어 진입을 멈춘다.
즉, 사용자는 상부볼트(330)를 느슨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다리몸체(32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여 상부다리(300)와 하부다리(400)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높이 또는 전반적인 수평 각도를 조절하고, 조절이 완료되면 상부볼트(330)를 강하게 조여 상부볼트(330)의 말단이 볼트접촉편(324)에 단단히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상부다리(300)의 다리몸체(320) 내부에는 하부다리(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높이조절홀(321)이 형성되고, 상부다리(300)의 다리몸체(320) 하단 측부에는 높낮이가 조절된 하부다리(4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500)가 결합된다.
상기 하부다리(400)의 하부에는 지면으로부터 하부다리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는 다리완충부(600)가 더 결합되며, 다리완충부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다리, 하부다리 및 높이조절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500)는 상부다리(300)의 하단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하부다리(400)의 높낮이를 조절한 다음 하부다리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부다리(4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대중력계(G)는 중력기준점 자체의 형상 또는 주변의 장애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측량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조절부(500)는 상부다리(300)의 하단 측부에 돌출 연장된 높이연장부(도 2 참조, 5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동부(520), 회동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절개부(531)가 형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연장부(530) 및 상부다리(300)의 하단면에 결합되며 높이조절홀(321)의 외측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C’자 형태의 걸림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연장부(530)의 중간 부분에 다수의 절개부(53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탄성연장부(530)는 회동부(520) 방향으로 오므라들거나 또는 회동부(520) 반대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540)의 일측 단부에는 접촉단부(54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방지단부(542)가 형성된다. 하부다리(40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의 높이결정홈(402)이 형성된다.
하부다리(400)의 높이가 결정되었을 때 탄성연장부(530)는 접촉단부(541)와 방지단부(542) 사이에 위치하여 높이결정홈(402)에 삽입되고, 하부다리(400)의 높이가 아직 결정되지 않아 상하로 이동 가능할 때 탄성연장부(530)는 도 3에서처럼 접촉단부(541) 바깥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접촉단부(541)는 탄성연장부(530)의 회동에 따라 탄성연장부(530)의 말단과 접촉되며, 탄성연장부(530)가 선택적으로 타고 넘을 수 있다. 탄성연장부(530)의 탄성 복원력은 회동부(520)에 형성된 공구홈에 공구를 끼워 회동부(520)를 회전시켰을 때 탄성연장부(530)가 접촉단부(541)를 타고 넘어갈 수 있을 정도에서 결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단부(541)는 탄성연장부(530)의 단부와 유사하게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높이결정홈(402)이 배치된 영역을 넘어서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회동부(5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연장부(530)가 접촉단부(541)에 접촉되고, 이 상태에서 더욱 힘을 가하여 회동부(520)를 회전시키면 절개부(531)에 의해 탄성연장부(530)가 오므라들며 접촉단부(541)를 타고 넘어가서 높이결정홈(402)에 삽입된다.
만약, 탄성연장부(530)가 접촉단부(541)를 넘어간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동부(520)를 더욱 회전시키면 탄성연장부(530)의 측부는 방지단부(542)에 접촉되어 가로막히고, 이에 따라 탄성연장부(530)의 과도한 회동이 방지된다.
상기 방지단부(542)는 탄성연장부(530)의 측면과 접촉되며, 높이결정홈(402)이 배치되는 영역을 넘어서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접촉단부(541)가 높이결정홈(402)이 배치되는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부분에 배치된다면, 방지단부(542)는 높이결정홈(402)이 배치되는 영역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접촉단부(541)가 탄성연장부(530)의 말단과 접촉되는 반면, 방지단부(542)는 탄성연장부(530)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탄성연장부(530)가 방지단부(542)를 넘어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용자가 하부다리(400)의 높이 조절을 다시 하기를 원하는 경우, 위 과정의 반대로 회동부(5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연장부(530)가 수축하며 접촉단부(541)를 다시 타고 넘어가며 높이결정홈(402)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동부(52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하부다리(400)가 상부다리(300)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 높이를 매우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완충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완충부(600)는 하부다리(4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완충본체부(610), 완충덮개부(620), 완충볼트(630) 및 접지부(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다리(400)의 하부 중앙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완충결합홀(401)이 형성된다. 완충결합홀(401)의 내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다리(4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본체부(610)는 하부다리(4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완충관통홀(611)이 형성된다. 완충관통홀(611)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완충결합홀(401)과 차이가 있다.
상기 완충본체부(61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을 지니는 소재로 이루어져서 지면으로부터 하부다리(400)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이 상대중력계(G)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상기 완충본체부(610)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실온에서는 고무의 기능을 갖고 있지만 고온에서는 가소화되어 각종 성형 가공이 가능한 고분자 재료이다.
상기 완충덮개부(620)는 완충본체부(610)의 하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되며, 중앙에 완충헤드홀(321)이 형성된다. 완충관통홀(611)과 마찬가지로 완충헤드홀(321)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완충덮개부(620)는 완충본체부(610)의 하부면 형상에 대응하여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완충덮개부(620)는 완충본체부(610)가 외부와 접촉되어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완충덮개부(620)는 완충본체부(6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지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완충덮개부(620)는 높은 경도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상기 완충본체부(610)는 외부의 충격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너무 높은 경도를 지니면 완충 기능을 거의 수행할 수 없고, 너무 낮은 경도를 지니면 지나치게 부드러워 쉽게 마모될 수 있다. 즉, 2가지 성능을 한꺼번에 만족시키기 매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여 완충본체부(610)는 최대한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하여 완충 기능을 극대화시키고, 완충덮개부(620)는 높은 경도의 소재로 구성하여 마모가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2가지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부(640)는 완충덮개부(620)의 하부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처럼 접지부(640)는 완충헤드홀(32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형성되고, 뾰족한 삼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돌출된다.
접지부(640)는 하부다리(400)를 포함한 다리완충부(600)를 지면에 설치할 때, 지면에 박혀서 상대중력계(G)가 외부의 바람 등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완충볼트(630)는 완충헤드홀(321) 및 완충관통홀(611)을 관통하여 완충결합홀(401)에 체결되며 완충덮개부(620), 완충본체부(610) 및 완충지지부를 하나로 이어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볼트(630)는 완충결합홀(40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나사부(631), 완충관통홀(61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관통부(632) 및 완충헤드홀(32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헤드부(633)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관통부(632)의 길이는 완충관통홀(61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조금 길게 형성되어 완충볼트(630)에 의해 완충본체부(610)가 압착되지 않고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볼트헤드부(633)의 길이는 완충헤드홀(32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조금 짧게 형성되어 볼트헤드부(633)가 완충헤드홀(321)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보조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접지부(640)는 완충헤드홀(321)을 사이에 두고 덮개부의 하부면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결합된다. 한 쌍의 접지부(640) 사이에는 삽입공간(641)이 형성되고, 삽입공간(641)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접지부(640)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는 금속 등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고정판(642)이 결합된다.
상기 접지부(640)는 뾰족한 삼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돌출되므로 흙이나 모래와 같이 무른 토질의 지면에서는 쉽게 박힐 수 있지만, 실내나 콘크리트 바닥 등 쉽게 박히기 어려운 지형에서는 밑면적이 좁아 오히려 안정성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내나 콘크리트 바닥 등 쉽게 박히기 어려운 지형에서는 한 쌍의 접지부(640) 사이의 삽입공간(641)에 추가로 접지보조부(650)를 삽입하여 뾰족한 접지부(640)를 평평하게 바꾸어줄 수 있다. 이때에는 접지보조부(650)가 주로 지면과 접촉될 것이다.
상기 접지보조부(65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양 측부에 고정판(642)과 상응하여 마주볼 수 있도록 영구자석판(651)이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판(642)과 영구자석판(651)에 의해 접지보조부(650)는 자연스럽게 접지부(640) 사이의 삽입공간(641)에 안착될 수 있고, 어느정도 고정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지보조부(650)는 완충덮개부(620)의 하면에 접촉되며 한 쌍의 영구자석판(651)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652), 탄성부의 하면에 탄성부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1보강부(653), 제1보강부의 하면에 제1보강부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2보강부(654) 및 제2보강부의 하면에 제2보강부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코팅부(6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652)는 접지보조부(650)에 전체적으로 탄성력을 부여하여 접지보조부가 울퉁불퉁한 표면에서도 안정적으로 접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652)는 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초산 비닐 모노머 20 내지 30 중량부를 중합하여 형성된 중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 10 내지 15 중량부,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 8 내지 10 중량부 및 글리옥살(glyoxal) 4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물을 구성하는 초산 비닐 모노머가 20 중량부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탄성부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고, 초산 비닐 모노머가 30 중량부 초과이면 유연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탄성부가 제자리에 있지 못하고 미끌려 접히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는 탄성부에 경도를 부가하는 것으로서,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가 10 중량부 미만이면 경도를 보강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가 15 중량부 초과이면 용융지수가 떨어져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는 탄성부에 탄성력을 추가로 부여하는 것으로서,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가 8 중량부 미만이면 탄성력 부가 효과가 미미하고,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가 10 중량부 초과이면 탄성력에 추가적인 영향은 미치지 못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악화시키게 된다.
글리옥살(glyoxal)은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가 일정 온도 이상에서 발생한 가스를 포집하고 탄성부에 고온점탄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글리옥살이 4 중량부 미만이면 탄성부의 기계적 물성이 부족해질 수 있고, 글리옥살이 5 중량부 초과이면 발포압이 지나치게 커져 탄성부가 터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653)는 탄성부(652)의 하면에 배치되어 탄성부가 찢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보강부(653)는 망 형태로 이루어져 탄성부의 어느 부분으로 힘이 가해져도 탄성부가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보강부(654)는 제1보강부(653)의 하면에 배치되며 탄성부가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제2보강부(654)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직물로 형성된다.
상기 코팅부(655)는 제2보강부(654)의 하면에 배치되며 탄성부(652), 제1보강부(653) 및 제2보강부(654)를 포함하는 접지보조부(650)가 지면에 접촉될 때 접지보조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코팅부(655)는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틸렌 수지 25 내지 40 중량부, 비닐계 수지 10 내지 25 중량부 및 파라핀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부가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기능과 더불어 탄성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마모 기능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안착판 110 : 기포관 200 : 나사부
300 : 상부다리 310 : 상부브라켓 311 : 볼트홀
312 : 절단부 313 : 방지부 320 : 다리몸체
321 : 높이조절홀 322 : 볼트관통편 323 : 볼트관통홀
324 : 볼트접촉편 330 : 상부볼트 400 : 하부다리
401 : 완충결합홀 402 : 높이결정홈 500 : 높이조절부
510 : 높이연장부 520 : 회동부 530 : 탄성연장부
531 : 절개부 540 : 걸림부 541 : 접촉단부
542 : 방지단부 600 : 다리완충부 610 : 완충본체부
611 : 완충관통홀 620 : 완충덮개부 621 : 완충헤드홀
630 : 완충볼트 631 : 볼트나사부 632 : 볼트관통부
633 : 볼트헤드부 640 : 접지부 641 : 삽입공간
642 : 고정판 650 : 접지보조부 651 : 영구자석판
652 : 탄성부 653 : 제1보강부 654 : 제2보강부
655 : 코팅부

Claims (1)

  1. 상부에 상대중력계가 안착되는 안착판; 안착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대중력계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나사부; 안착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수의 상부다리; 및 다수의 상부다리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하부다리; 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다리는,
    안착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상부브라켓; 그 상단이 상부브라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리몸체; 및 상부브라켓과 다리몸체를 관통 연결하며 다리몸체가 상부브라켓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상부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브라켓은,
    측면 중앙에 회전볼트가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홀이 형성되고, 볼트홀을 기준으로 일측은 절단부가 형성되어 다리몸체가 회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며, 볼트홀을 기준으로 타측은 막힌 방지부가 형성되어 다리몸체가 회동하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하부다리는 상부다리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높이조절홀에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다리의 하단 측부에는 높낮이가 조절된 하부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가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부다리의 하단 측부에 돌출 연장된 높이연장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동부; 회동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연장부; 및 상부다리의 하단면에 결합되며 높이조절홀의 외측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C’자 형태의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걸림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탄성연장부의 말단과 접촉되며 하부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 다수의 높이결정홈이 배치된 영역을 넘어서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접촉단부; 및 걸림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탄성연장부의 측면과 접촉되며 높이결정홈이 배치되는 영역을 넘어서는 위치에 배치되는 방지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연장부는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여 말단이 접촉단부에 접촉되면서 오므라들고, 접촉단부를 넘어서면서 펼쳐져서 높이결정홈에 삽입되며, 방지단부에 가로막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고,
    상기 하부다리의 하부에는 지면으로부터 하부다리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는 다리완충부가 더 결합되며,
    상기 다리완충부는,
    하부다리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완충결합홀; 하부다리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관통홀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완충본체부; 완충본체부의 하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되며 완충헤드홀이 형성되는 완충덮개부; 완충헤드홀 및 완충관통홀을 관통하여 완충결합홀에 체결되며 완충덮개부, 완충본체부 및 완충지지부를 하나로 이어주는 완충볼트; 및 완충덮개부의 하부에 뾰족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접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볼트는,
    완충결합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나사부; 완충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관통부; 및 완충헤드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헤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
KR1020190139359A 2019-11-04 2019-11-04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 KR10206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359A KR102061580B1 (ko) 2019-11-04 2019-11-04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359A KR102061580B1 (ko) 2019-11-04 2019-11-04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580B1 true KR102061580B1 (ko) 2020-02-11

Family

ID=6956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359A KR102061580B1 (ko) 2019-11-04 2019-11-04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889B1 (ko) * 2013-08-19 2014-09-26 주식회사 유성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충격 보호장치
KR101481816B1 (ko) * 2014-09-15 2015-01-12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상대중력계 스태빌라이저
KR101934414B1 (ko) * 2018-07-05 2019-01-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중 수평 조절이 가능한 정준대 및 이를 이용한 측량기기의 수평 조절 방법
KR20190090996A (ko) * 2018-01-26 2019-08-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조절형 삼각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889B1 (ko) * 2013-08-19 2014-09-26 주식회사 유성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충격 보호장치
KR101481816B1 (ko) * 2014-09-15 2015-01-12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상대중력계 스태빌라이저
KR20190090996A (ko) * 2018-01-26 2019-08-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조절형 삼각대
KR101934414B1 (ko) * 2018-07-05 2019-01-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중 수평 조절이 가능한 정준대 및 이를 이용한 측량기기의 수평 조절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117B1 (ko) 지면 고정이 용이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구조
KR101946400B1 (ko) Rtk 제어측량을 이용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1946401B1 (ko)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KR101358460B1 (ko) 기준점이 확인된 지상구조물 위치확인용 수준측량 장치의 삼각대 충격보호 시스템
KR101934414B1 (ko) 이중 수평 조절이 가능한 정준대 및 이를 이용한 측량기기의 수평 조절 방법
KR102171730B1 (ko) 측량정보의 오차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정확한 측량이 가능한 수준 측지측량장치
KR101779072B1 (ko) 지피에스(gps) 및 드론을 이용한 도로 및 지하시설물의 측지측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지측량 방법
US9188436B2 (en) Gradient measuring apparatus and system
KR101356079B1 (ko) 불규칙한 지질 노두에서의 주향 및 경사를 측정하기 위한 클리노콤파스 장치, 이를 이용한 주향 및 경사 측정방법
KR101349224B1 (ko) 정밀수준측량용 인바스타프 고정장치
KR102061580B1 (ko) 기준점의 중력 측량을 위한 상대중력계의 연장 고정장치
KR101220268B1 (ko) 지하시설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US8230609B1 (en) Survey pole positioning system
CN210219087U (zh) 一种岩土工程用测绘装置
KR102069570B1 (ko)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표척 구조
KR101318257B1 (ko)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통합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수집장치
KR101923463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3차원 위치정보 측정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896643B1 (ko) 작업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KR101531025B1 (ko) 측지측량 시 삼각대 보호장치
KR102069109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진동 감쇠 보호장치
US2305233A (en) Surveying instrument
KR102319786B1 (ko) 하수관용 측지측량 표척 구조
KR101698798B1 (ko) 기준점 측량을 위한 관측지역의 gps 관측시스템
KR102309902B1 (ko)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하여 기준점 기반 지형지물 측지측량 작업이 가능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2238711B1 (ko) 정밀도를 향상시킨 지피에스 좌표의 수집 및 측정이 가능한 측지측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