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542B1 -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542B1
KR102061542B1 KR1020180019570A KR20180019570A KR102061542B1 KR 102061542 B1 KR102061542 B1 KR 102061542B1 KR 1020180019570 A KR1020180019570 A KR 1020180019570A KR 20180019570 A KR20180019570 A KR 20180019570A KR 102061542 B1 KR102061542 B1 KR 102061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pport
pinion
support pilla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745A (ko
Inventor
김복재
Original Assignee
에스큐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큐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에스큐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80019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5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코어 시편의 채취가 쉽고 편리하며 시료 채취 비용이 절감되도록, 적재함을 구비하는 차량과, 차량에 고정되고 일측에 슬라이더가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량지지부와, 슬라이더에 장착되고 일측에 코어비트가 구비되는 천공부와, 천공부를 인력에 의해 상기 적재함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 {Car Mount for Core Sampl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설치되므로 기동력이 향상되고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한 차량 장착형 코어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어 시편 채취장치는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 콘크리트 도로나 아스팔트 포장도로, 옹벽, 블록, 석재 등으로부터 강도시험을 위한 시편을 채취하는 장치이다.
상기 코어 시편 채취장치는 코어비트(코어 드릴이라고도 함)가 구비되고 상기 코어비트를 이용하여 원기둥 모양으로 시료를 파내도록 구성된다.
종래 다양한 구조의 코어 시편 채취장치가 공개특허공보 특1998-041996호, 제10-2011-013332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67717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5057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5057호에는 차량장착형 코어채취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5057호 차량장착형 코어채취기는 차량에 볼트로 고정가능하며 전후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1캐리지와; 상기 제1캐리지에 회동가능한 힌지로 고정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지면과 원하는 각도로 회동가능하며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코어비트부가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결합된 제2캐리지와; 상기 제2캐리지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회전모터 및 코어 비트를 장착하여 코어채취가 가능한 제3캐리지와; 유압용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유압탱크와; 작동 중 발생한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와; 차량의 엔진에서 유압펌프를 돌려 동력을 인출할 수 있는 동력인출장치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차량장착형 코어채취기는 제1캐리지와 제3캐리지의 슬라이딩, 제2캐리지의 회동시 유압을 구동원으로 사용하고 유압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해 차량 엔진에서 동력을 인출하므로 제작이 어렵고 복잡하며 제조비용의 상승으로 인해 시료채취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량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인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지지기반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며 수동조작으로 작업위치를 세팅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탑재하중이 감소하며 시료채취비용을 낮출 수 있는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는 적재함을 구비하는 차량과, 상기 차량에 고정되고 일측에 슬라이더가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량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고 코어비트가 일측에 구비되는 천공부와, 상기 천공부를 인력에 의해 상기 적재함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천공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에 지지되고 승강수단을 통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하단이 연결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설치되고 일측에 통공을 구비하는 받침판과, 상기 지지기둥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통공의 위쪽에 상기 코어비트를 구비하는 구동부와, 일측에 구비되는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상기 지지기둥을 따라 상하이동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걸이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걸이대에 설치되며, 원동축에 연결되는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종동축이 감속회전되고 상기 종동축이 상기 피니언과 연결되는 감속기와,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고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하단에 상기 브래킷이 연결되는 래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기둥은 조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받침판과 전후 및 좌우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인트는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과, 받침판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1힌지축의 양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힌지단과, 지지기둥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힌지단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판에는 통공 주위에 일정 높이로 벽면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구동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과, 피니언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과, 지지기둥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피니언과 맞물리는 래크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천공부는 하단이 브래킷과 힌지결합되고 상단이 지지기둥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주행레일과,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슬라이더와 분리가능한 상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천공부가 적재함에 적재된 상태에서 지지기둥을 받쳐서 지지하도록 받침대를 구비하는 대차와, 상기 천공부의 일측을 적재함에 매달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는 고정도르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에 의하면, 차량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작업장소로 이동한 후 간편하게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코어 시편 채취에 필요한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에 의하면, 인력을 이용하여 차량에 장착 및 적재되고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이 이루어지므로 제조원가가 감소하여 시편 채취에 소요되는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에 의하면, 시편 채취가 이루어지는 바닥면이 경사진 경우에도 천공부를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안착시켜 시편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의 천공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의 천공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의 천공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에 있어서 천공부를 적재함에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에 있어서 걸이대와 대차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를 나타내는 주행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를 나타내는 주행레일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에 있어서 대차의 바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에 있어서 냉각수공급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는 적재함(4)을 구비하는 차량(2)과, 상기 차량(2)에 고정되고 일측에 슬라이더(14)가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량지지부(10)와, 일측에 코어비트(72)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12)에 장착되어 코어 시편을 채취하거나 슬라이더(14)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적재함(4) 내부에 적재되는 천공부(20)와, 상기 천공부(20)를 인력에 의해 상기 적재함(4)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2)은 적재함(4)이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탑차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지지부(10)는 차량(2)의 적재함(4) 하측 후단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슬라이더(14)가 차량(2)의 좌우방향으로 수평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차량지지부(10)는 상기 슬라이더(14)를 차량(2)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레일(11)과, 상기 지지레일(1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보강대(12)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보강대(12)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차량(2)에 고정되는 한 쌍의 연결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레일(11)은 대략 널빤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대(12)는 단면 형상이 "ㄷ(디귿자)"로 형성되고 수직부가 지지레일(11)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더(14)에는 상기 지지레일(11)과 구름 접촉하는 바퀴(15)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의 천공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의 천공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의 천공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2~도 4를 참조하면, 천공부(20)는 상기 슬라이더(14)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걸이대(21)와, 상기 걸이대(21)에 지지되고 승강수단(30)을 통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브래킷(40)과, 상기 브래킷(40)에 일측이 연결되는 지지기둥(50)과, 상기 지지기둥(50)의 하단에 설치되고 일측에 통공(62)을 구비하는 받침판(60)과, 상기 지지기둥(50)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통공(62)의 위쪽에 상기 코어비트(72)를 구비하는 구동부(70)와, 일측에 구비되는 핸들(82)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구동부(70)가 상기 지지기둥(50)을 따라 상하이동되는 높이조절부(80)를 포함한다.
상기 걸이대(21)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공부(20)를 적재함(4)으로부터 하역하여 코어 시료를 채취할 경우 상기 슬라이더(14)와 볼트(22) 체결되고, 상기 천공부(20)를 적재함(4)에 적재시 볼트(22)를 풀어서 상기 슬라이더(14)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걸이대(21)는 상기 슬라이더(14)에 상단이 걸쳐질 수 있게 일측에 걸림돌기(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걸이대(21)에 설치되는 피니언(31)과, 상기 걸이대(20)에 설치되고 원동축(33)에 연결되는 핸들(34)을 회전시킴에 따라 종동축(35)이 감속회전되며 종동축(35)이 상기 피니언(31)과 연결되는 감속기(32)와, 상기 피니언(31)과 맞물려 피니언(31)의 회전에 따라 상하이동되고 하단에 상기 브래킷(40)이 연결되는 래크(36)를 포함한다.
상기 걸이대(21)에는 상기 피니언(3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래크(36)와 맞물리는 보조피니언(31a)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조피니언(31a)은 상기 래크(36)가 상하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피니언(31)과 별개로 회전된다.
상기 브래킷(40)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래크(36)의 끝부분과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편(41)이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40)의 다른 일측은 상기 지지기둥(50)의 하부와 힌지축(42)을 이용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브래킷(40)에는 상기 지지기둥(50)을 전후 회전각도를 일정 위치에서 고정 지지하는 경사지지대(44)가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경사지지대(44)는 하단이 상기 브래킷(40)과 힌지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지지기둥(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는 멈춤나사(46)가 구비되어 일정 위치에서 상단이 지지기둥(50)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기둥(50)은 조인트(52)를 이용하여 상기 받침판(60)과 전후 및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받침판(60) 하부에 위치하는 시료채취부(1)의 윗면이 전후 및/또는 좌우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상기 지지기둥(50)이 수직으로 똑바로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조인트(52)는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제1힌지축(53) 및 제2힌지축(54)과, 상기 받침판(60)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1힌지축(53)의 양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힌지단(55)과, 상기 지지기둥(50)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힌지축(54)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힌지단(56)을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52)는 외부를 감싸는 커버(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60)에는 상기 통공(62) 주위에 일정 높이로 벽면(64)이 형성된다.
상기 벽면(64)을 형성하면, 상기 통공(62) 위쪽에 설치되는 코어비트(72)가 하강하여 통공(62)을 관통하여 코어 시편을 채취할 때 절삭칩이나 냉각수 등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냉각수가 사용되는 경우 냉각수를 일시적으로 내부에 수용하여 냉각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벽면(64) 일측에는 냉각수 등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66)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70)는 일반적으로 코어 드릴에 널리 사용되는 구동부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높이조절부(80)는 상기 구동부(7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82)이 연결되는 피니언(81)와, 상기 지지기둥(5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81)과 맞물리는 래크(84)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에 있어서 천공부를 적재함에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100)는 상기 적재함(4)에 바닥에 설치되는 주행레일(101)과, 상기 주행레일(10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걸이대(21)와 힌지축(111)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천공부(20)가 적재함(4)에 적재된 상태에서 지지기둥(50)을 받쳐서 지지하도록 받침대(112)를 구비하는 대차(110)와, 상기 천공부(20)의 일측을 상기 적재함(4)에 매달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4)에 설치되는 고정도르래(120)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에 있어서 걸이대와 대차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걸이대(21)는 코어시료 채취하기 위해 천공부(20)를 적재함(4)으로부터 하역시 대차(110)와 수직으로 설치되어 대차(110)와 직각상태가 되고, 천공부(20)를 적재함(4)에 적재시 대차(110)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수평상태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를 나타내는 주행레일(101)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를 나타내는 주행레일(101)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에 있어서 대차의 바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도 9를 참조하면, 주행레일(101)은 적재함(4) 바닥면에 설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레일(102)과 제2레일(1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행레일(101)은 적재함(4)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소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주행레일(101)은 단면 형상이 "L(엘자)"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104)을 통해 복수 개가 일체로 연결되고 적재함(4) 바닥에 고정된다.
상기 대차(110)는 상기 주행레일(101)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바퀴(114)를 구비한다.
상기 주행바퀴(114)는 상기 주행레일(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1레일(102)과 제2레일(103)을 따라 이동되는 휠(116)이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차축(115)과, 양측에 한 쌍의 차축(115)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117)와, 상기 몸체(117)의 일측에 형성되고 대차(110)를 관통하는 볼트축(118)과, 상기 볼트축(118)과 나사결합되는 너트(119)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110)와 바퀴(114)는 볼트축(118)과 너트(119)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110)에 구비되는 받침대(112)는 상부에 받침홈(113)을 형성한다.
다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도르래(120)는 상기 적재함(4)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121)와, 상기 바퀴(121)에 감아 걸리고 일측에 후크(124)가 설치되는 줄(122)을 포함한다.
상기 후크(124)는 상기 받침판(60)에 형성되는 고리(68)에 걸어서 사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에 있어서 냉각수공급부(74)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적재함(4)에는 상기 코어비트(72)를 냉각하는 냉각수공급부(74)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각수공급부(74)는 상기 적재함(4)에 적재되고 냉각수가 수용되는 저장탱크(75)와, 상기 저장탱크(75)에 수용되는 냉각수가 이송펌프(77)에 의해 코어비트(72)의 일측으로 이송되는 냉각수이송라인(7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4)에는 상기 구동원(70) 및 이송펌프(77)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기(78)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 : 차량 4 : 적재함
10 : 차량지지부 14 : 슬라이더
20 : 천공부 21 : 걸이대
22 : 볼트 24 : 걸림돌기
30 : 승강수단 31 : 피니언
32 : 감속기 33 : 구동축
34 : 핸들 35 : 종동욱
36 : 래크 40 : 브래킷
42, 45 : 힌지축 44 : 경사지지대
50 : 지지기둥 52 : 조인트
53 : 제1힌지축 54 : 제2힌지축
55 : 제1힌지단 56 : 제2힌지단
60 : 받침판 62 : 통공
64 : 벽면 66 : 배출구
68 : 연결고리 70 : 구동부
72 : 코어비트 80 : 높이조절부
81 : 피니언 82 : 핸들
84 : 래크 100 : 이동부
101 : 주행레일 110 : 대차
112 : 받침대 114 : 주행바퀴
120 : 고정도르래 121 : 회전바퀴
122 : 줄 124 : 후크

Claims (6)

  1. 적재함을 구비하는 차량과,
    상기 차량에 고정되고 일측에 슬라이더가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량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고 일측에 코어비트가 구비되는 천공부와,
    상기 천공부를 인력에 의해 상기 적재함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에 지지되고 승강수단을 통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일측이 연결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기둥과 조인트를 이용하여 전후 및 좌우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에 통공을 구비하는 받침판과, 상기 지지기둥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통공의 위쪽에 상기 코어비트를 구비하는 구동부와, 일측에 구비되는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상기 지지기둥을 따라 상하이동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는 서로 교차 연결되는 한 쌍의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과, 상기 받침판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1힌지축의 양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힌지단과, 상기 지지기둥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힌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주행레일과,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슬라이더와 분리가능한 상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천공부가 적재함에 적재된 상태에서 지지기둥을 받쳐서 지지하도록 받침대를 구비하는 대차와, 상기 천공부의 일측을 적재함에 매달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는 고정도르래를 포함하는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걸이대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걸이대에 설치되며, 원동축에 연결되는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종동축이 감속회전되고 상기 종동축이 상기 피니언과 연결되는 감속기와,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고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하단에 상기 브래킷이 연결되는 래크를 포함하는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통공 주위에 일정 높이로 벽면을 더 형성하며,
    상기 벽면 일측에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과, 상기 지지기둥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래크를 포함하는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하단이 상기 브래킷과 힌지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지지기둥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지지대와, 상기 경사지지대의 상단을 일정 위치에서 지지기둥에 고정하는 멈춤나사를 더 포함하는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
KR1020180019570A 2018-02-19 2018-02-19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 KR102061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570A KR102061542B1 (ko) 2018-02-19 2018-02-19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570A KR102061542B1 (ko) 2018-02-19 2018-02-19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745A KR20190099745A (ko) 2019-08-28
KR102061542B1 true KR102061542B1 (ko) 2020-02-11

Family

ID=6777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570A KR102061542B1 (ko) 2018-02-19 2018-02-19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5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789B1 (ko) 2021-09-29 2022-01-18 지성갑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정용 코어 채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4877B (zh) * 2023-11-01 2023-12-29 四川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九0九水文地质工程地质队 一种地质岩土勘察强度试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173B1 (ko) 2014-10-22 2016-11-18 한국도로공사 분진 포집 기능을 갖는 코어 드릴 장치
JP2017122375A (ja) 2016-01-08 2017-07-13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軽量地盤調査機及びこれを用いた地盤調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057A (ko) * 2002-12-20 2004-06-26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차량장착형 코어채취기
KR20110133325A (ko) * 2010-06-04 2011-12-12 신안산대학 산학협력단 코어 드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173B1 (ko) 2014-10-22 2016-11-18 한국도로공사 분진 포집 기능을 갖는 코어 드릴 장치
JP2017122375A (ja) 2016-01-08 2017-07-13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軽量地盤調査機及びこれを用いた地盤調査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789B1 (ko) 2021-09-29 2022-01-18 지성갑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정용 코어 채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745A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9912C (en) Self-propelled rail unloading machine
US20060185689A1 (en) Transportable holding tank for stripe removal system
KR102061542B1 (ko) 차량 장착형 코어 시편 채취장치
CN216849348U (zh) 放射性废液沉积物的回取小车、回取组件及回取系统
CN112248904B (zh) 一种应急抢险救灾智能排涝车
CN216849345U (zh) 放射性废液沉积物的回取系统
CN112253179A (zh) 一种隧道工程用的信息化二衬钢模板台车
CN113232708A (zh) 用于土建施工的废弃物收集推车
JPH10513131A (ja) 車両を解体する、特にそれを乾燥させる装置
EP0603149B1 (de) Saugmaschine
CN112794121B (zh) 一种用于平房仓的伸入式平粮装置及平粮方法
CN218491289U (zh) 一种用于吸污车维修的特种吊装装置
CN216004959U (zh) 一种建筑施工用电动单梁门式起重机
CN106183941A (zh) 一种喷涂车间用清理车
CN213775405U (zh) 一种隧道工程用的信息化二衬钢模板台车
CN213226735U (zh) 轻质内墙板立模生产线的布料振捣刮平设备
RU46018U1 (ru) Машина для погружения свай или свайных фундаментов под опоры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мс-2) (варианты)
CN210477414U (zh) 一种矿山路沿石切割机
CN209941763U (zh) 一种火车装卸料用的挖掘机
CN115072297B (zh) 一种索道运输辅助上料系统
CN215097198U (zh) 一种自装卸建材运输车
CN216886834U (zh) 一种盲沟管的转运结构
CN212174399U (zh) 一种粉仓内壁的安全清理装置
CN116512453A (zh) 一种用于承接桥梁挂板的承接装置
KR20170031511A (ko) 염전의 소금수거 및 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