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227B1 -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 - Google Patents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227B1
KR102061227B1 KR1020190068963A KR20190068963A KR102061227B1 KR 102061227 B1 KR102061227 B1 KR 102061227B1 KR 1020190068963 A KR1020190068963 A KR 1020190068963A KR 20190068963 A KR20190068963 A KR 20190068963A KR 102061227 B1 KR102061227 B1 KR 102061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ctus
fruit
jeju
ste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국
Original Assignee
김제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제국 filed Critical 김제국
Priority to KR102019006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227B1/ko
Priority to PCT/KR2020/007580 priority patent/WO20202512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yc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제주 자생 백년초인 왕선인장을 타가수분에 의한 계통 육성하여 육종되고 무성적으로 반복 생식이 가능한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 및 상기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잎, 줄기, 종자, 새순, 뿌리, 열매,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부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품종 제국백년초를 식물 유전자 자원으로써 확보하여 제주 백년초에 관련된 품종 체계를 확립하고 이에 관련된 산업 분야에 대한 참고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이용될 수 있도록 보급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경제적 효과도 아울러 제공한다.

Description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Jeju Cactaceae species new variety of Jekukbaegnyuncho}
본 발명은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제주 자생 백년초인 왕선인장을 타가수분에 의한 계통 육성하여 육종되고 무성적으로 반복 생식이 가능한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 및 상기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잎, 줄기, 종자, 새순, 뿌리, 열매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부분체에 관한 것이다.
선인장은 남아메리카 원산으로 곧추 서서 자라는 다육 관목이다. 선인장과(Cactaceae)는 1,400 ~ 2,000 종을 포함한다(참고문헌: Hunt, D.R. 206. The New Cactus Lexicon. 1st ed. Milborne Port, UK: DH Boks; Nyefler, R. and U. Eggli. 2010. A farewel to dated ideas and concepts: molecular phyogenetics and a revised suprageneric clasification of the family Cactaceae. Schumania 6: 109~149).
손바닥 선인장속(Opuntia)은 Opuntioideae아과에 속하며 180~200종으로 구성되는 큰 속 중의 하나이다(참고문헌: Anderson, E.F. 2001. The Cactus Family. Portland, OR, USA: Timber Pres.; Nyfeler and Eggli, 2010).
이 속의 식물들은 반건조 온대에서 아열대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참고문헌: Benson, L. 1982. The Cacti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Stanford, CA, USA: Stanford University Pres.).
제주 백년초는 오래전부터 제주도 남부 해안에서 자생적으로 발견되었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분류학상 오푼티아속(Opuntia)의 선인장으로 추정되며 흔히 왕선인장 또는 서귀포 선인장이라고도 하는데, 개발 또는 산업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언제부턴가 자취를 감춘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 백년초는 학명상으로는 Opuntia monacantha Haw., 또는 O. megacantha 등으로 문헌상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이러한 학명이 정확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제주 백년초는 오래 전부터 변비 치료, 이뇨 효과, 장운동의 활성화 및 식욕증진 등 효과가 있고 잎은 피부질환, 류마티스, 화상 치료 등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다른 선인장 그룹으로서 제주시 한림읍 월령리 일대에서 집단 개체군이 발견되는 한림선인장(보검선인장 또는 월령선인장이라고도 부름)은 학명으로는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이라고 지칭하고 있으나, 이 역시 정확한 계통수가 수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서 백년초라고 부르고 있어서 손바닥 선인장, 부채선인장 등의 용어 정립과 함께 정확한 학술적 구분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제주 백년초와 한림선인장은 형태학적, 유전학적 정보가 상당히 다르고 수명 역시 제주 백년초는 300년 이상으로 추정되는 반면, 한림선인장은 10년 이하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제주 백년초는 이전에 남아메리카 원산으로 곧추 서서 자라는 다육 관목으로 해류에 의해 떠밀려와 열대, 아열대 지역으로 널리 유입되어 귀화한 것으로 알려진 적이 있으나[참고문헌: Lim, T.K. 201. Opuntia monacantha. In Edible medicinal and non-medicinal plants, Volume 1 Fruits. Springer, p 683-686.], 이에 대한 서지적 근거는 아직까지 없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24097호(2005년10월19일) 한국 등록특허 제10-0622666호(2006년09월04일) 한국 등록특허 제10-0451894호(2004년09월24일)
본 발명자들은 산업적 활용도가 높고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는 제주 백년초를 이용하여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다각도로 연구하던 중,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육종된 신품종 제국백년초가 이전의 제주 백년초와는 다른 형태학적 및 유전학적 특징을 나타냄으로써 매우 경제적인 방식으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푼타이속(Opuntia) 왕선인장(Opuntia monacantha Haw.)을 타가 수분시켜 수정하고 그 열매를 식재하여 역교배를 반복하여 육성하며, 하기의 특징을 가지며 열매 또는 줄기를 이용하여 무성번식 가능한 서열번호 3 염기서열의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된 KCTC138084BP 신품종 백년초의 번식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성번식 발아조건은 습도 5%이하, 온도 25 내지 40℃, 일조량 8 내지 12시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품종 백년초 번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 줄기(Cladode)의 길이는 30 내지 45㎝이고, 너비는 17 내지 18㎝이며, 두께는 0.8 내지 1.2cm까지 자람.
(b) 가시자리 모용의 크기는 0.5 내지 0.6㎝이며 갈색임.
(c) 꽃의 크기는 높이가 7 내지 8㎝이고, 너비는 3 내지 4㎝, 꽃잎의 수는 25 내지 30개이며, 꽃잎에는 2차색이 있음.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신품종 제국백년초를 식물 유전자 자원으로써 확보하여 제주 백년초에 관련된 품종 체계를 확립하고 이에 관련된 산업 분야에 대한 참고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이용될 수 있도록 보급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경제적 효과도 아울러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국백년초의 성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국백년초의 성장 과정을 설명하는 사진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국백년초의 성장 과정을 설명하는 다른 사진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국백년초의 성장 과정을 설명하는 다른 사진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국백년초의 성장 과정을 설명하는 다른 사진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오푼타이속(Opuntia)의 선인장 품종으로써, 제주 자생 백년초인 왕선인장(Opuntia monacantha Haw.)을 타가수분시켜 수정하고 이를 역교배시켜 육성되고무성적으로 반복 생식이 가능하며 다음의 대표적인 특징을 가지며, 상기 선인장 품종의 종자 시료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CTC138084BP(2019.02.07)로 기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인장 신품종 제국백년초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인장 신품종 제국백년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이 없으면, 선인장 품종의 특성은 식물신품종보호법 제30조 및 동법 시행령 제33조에 의한 종자관리요강 제2조의 별표1에 대한 작물별 품종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사항과 동법 시행규칙 제47조 규정에 의한 재배심사를 위해 필요한 특성검정을 실시하는 요령을 정하고 있는, "신품종 심사를 위한 작물별 특성조사요령, 게발선인장(Schlumbergera truncata)(농림축산식품부 국립종자원, 2014: http//wwwseed.go.kr)"에 기재된 요령에 따라 측정되고 검정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선인장 신품종 제국백년초는 오푼타이속(Opuntia)의 선인장 품종으로써, 제주 자생 백년초인 왕선인장(Opuntia monacantha Haw.)을 타가수분시켜 수정하고 이를 역교배(여교배라고도 함, backcross)시켜 육성되고 무성적으로 반복 생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주 자생 백년초인 왕선인장은 종자가 거의 없으므로 본 발명자의 농장에 보유중인 백년초로부터 과육의 크기와 상태가 양호한 열매들을 모주로부터 분리하여 식재하고 성장한 것 중 6월 상순에 핀 꽃으로부터 수분을 취하여 모본의 백년초에 붓으로 문질러 교배시킨 후 열매가 익으면 수확하고, 그 중 열매의 크기와 상태가 양호한 열매를 모본으로 부터 분리하여 식재한 후 역교배를 반복하여 품종이 고정되게 하여 육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선인장 신품종 제국백년초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갖는다.
(a) 열매에 종자가 거의 없기 때문에 주로 줄기 또는 열매에 의해 번식한다.
(b) 열매 또는 줄기로 부터 개화 후 새로운 열매 또는 줄기가 무작위적으로 형성되고 이것이 반복되어 발생하는 불규칙적인 열매 및 줄기를 형성하는 분화 및 역분화의 특징을 가진다.
(b) 열매나 줄기의 단부 가시자리에서 꽃이 피고 꽃에서 다시 열매 또는 줄기가 형성되기를 15회까지 반복한다.
(c) 줄기의 단부에서 개화 후 자방에서 다시 줄기를 형성하여 연중 꽃이 핀다.
(d) 가지들이 밑으로 쳐지는 경향이 있다.
(e) 종자는 대부분은 흔적으로 남아있고 성숙한 종자는 드믈거나 없다.
(f) 열매의 크기는 모종에 비하여 1.2~1.5 배 크고 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국백년초의 성상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국백년초의 성장 과정을 설명하는 사진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국백년초의 성장 과정을 설명하는 다른 사진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국백년초의 성장 과정을 설명하는 다른 사진설명도이다.
도 1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국백년초 품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낸다.
- 다육 관목으로 키는 보통 2 ~ 4m이다.
- 꽃의 화려함에 따른 분재배용 용이하다.
- 줄기가 쳐지는 경향이 있다.
- 자방에서 줄기형성 분재배 가능성 높다.
- 가시의 강도는 중간이며, 가시자리 모용의 색은 회색이다.
- 수술과 암술의 색은 황색이다.
- 열매 가시의 유무에서 있다이며 가시의 위치는 몸체 + 끝부분이다.
또한, 대조 품종인 왕선인장과는 다음과 같은 품종 특성을 갖는다.
- 줄기(엽상경) 형태는 부채꼴의 타원 모양이며, 줄기길이는 30 ~ 45cm, 줄기 두께는 0.8~1.2cm이다.
- 줄기의 가장자리 형상은 불규칙적이고, 길이 대 폭의 비율은 4:2~3이다.
- 줄기바탕색에서 출원품종은 녹색으로 RHS칼라챠트 번호 143B인데 비하여 대조품종은 같은 녹색이나 RHS칼라챠트 번호 138A로 다르다.
- 가시자리: 가시의 길이에서 출원품종은 가시의 길이가 2~4cm인데 비하여 대조품종은 2cm이다.
- 가시자리: 가시의 색에서 출원품종은 회색인데 비하여 대조품종은 갈색이다.
- 꽃의 크기는 폭이 평균 8cm, 높이 4cm 정도이다.
- 꽃잎의 수는 25~30매 정도이다.
- 꽃잎은 원반형으로 펼쳐져서 만개한다.
- 꽃잎은 바깥 꽃잎이 작고, 안쪽 꽃잎이 크다.
- 꽃: 꽃잎의 주요색에서 표현 형태에서 노랑색으로 RHS칼라챠트 번호 8C이나 대조품종도 표현 형태는 같은 노랑색인데 RHS칼라챠트 번호 11A로 구별된다.
- 성숙한 열매의 크기는 직경 4~6 cm, 길이 5~7 cm로 대조 품종에 비하여 크고 길다.
- 성숙한 열매의 형상은 구형(球形) 또는 구형에 가까운 타원형이다.
- 열매 : 색(성숙기)에서 출원품종은 적색으로 RHS칼라챠트 번호 46D인데 비하여 대조품종은 보라색으로 RHS칼라챠트 번호 71C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국백년초는 열매에 종자가 거의 없기 때문에 주로 줄기(예, 101, 201, 301, 401) 또는 열매(예, 102, 202, 302, 402)에 의해 번식할 수 있는데, 열매 또는 줄기로 부터 새로운 열매 또는 줄기가 무작위적으로 형성되고 이것이 반복되어 발생하는 불규칙적인 열매 및 줄기 형성 특징을 갖는다. 특히, 열매(202)에서 줄기가 새로 형성되는 것을 역분화라고 하며 본 발명의 제국 백년초는 이러한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2에서 과실(102)을 식재하여 번식하는 경우, 열매(102)의 상부 가시자리를 통하여 새로운 줄기(201) 또는 열매(202)가 형성되고, 상기 열매(202)의 상부 가시자리로 부터 새로운 줄기(301)이 생겨나는 성장 특징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도 3의 사진 설명도는 가지(101)를 식재하여 번식한 경우로써, 가지(101)의 상부 가시자리를 통하여 새로운 가지(201) 2개와 열매(202) 1개가 형성되고, 열매(202)의 상부 가시자리로 부터 새로운 가지(301)가 형성되고, 가지(301)로 부터 2개의 줄기(401)와 2개의 열매(402)가 생겨 나오고, 상기 열매(401)로 부터 새로운 열매(502)가 생기고, 여기서 다시 새로운 열매(602)가 생기는 불규칙한 성장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 최초의 가지(101)은 목질화가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의 사진 설명도 가지(101)을 식재하여 성장한 경우로써, 가지(101)의 상부 가시자리로부터 개화 후 2개의 열매(202)가 형성되고, 상기 열매(202)의 상부 가시자리로 부터 개화 후 줄기(301)가 형성되고, 상기 줄기(301)로 부터 개화 후 줄기(401)가 형성되는 불규칙한 생장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품종 제국백년초의 발아 조건은 습도 5% 이하의 토양, 비탈진 곳의 토양, 물기가 없거나 배수가 잘되는 토양이 좋고, 온도는 8℃ 이상에서 발아되나 25~40℃에서 가장 활발하며, 일조량은 8 ~12 시간의 조건하에서 가장 잘 발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제국백년초의 nrITS 유전자 서열을 분석한 결과, 제국백년초는 대조품종인 왕선인장에 비하여 염기서열 중 90bp에서 A : C, 129bp에서 A : G, 221bp에서 - : T, 222bp에서 - : G, 235bp에서 C : T, 261bp A:G, 473bp A : C, 501bp에서 A : T, 514bp에서 A : G, 560bp에서 A : G 로 총 10개의 변이가 나타난 것이 확인되어 신품종 제국백년초로 명명하고, 상기 제국백년초 종자 시료는 2019.02.07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138084BP를 부여받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국백년초 및 상기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잎, 줄기, 종자, 새순, 뿌리, 열매,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부분체는 쓴맛이 없고 특별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실시예 1: 제국백년초의 육종
제주특별자치도에서 현재까지 백년초선인장박물관 및 백년초 농장을 운영하면서, 제주 자생 백년초인 왕선인장(Opuntia monacantha Haw.)을 모본으로 하여 인공교배를 수행하였다.
인공교배는 본 발명자의 농장에 보유중인 백년초 모본으로부터 열매의 크기와 상태가 양호한 것들을 분리하여 식재한 후 성장한 것 중 6월 상순에 핀 꽃으로부터 수분을 취하여 모본의 백년초의 암술에 붓으로 문질러 교배시켰다.
실시예 2: 개체 증식 및 품종 고정
실시예 1에서 성장한 것 중 색이 선명하고 크기가 큰 열매들을 모본으로부터 분리하여 식재한 후 증식된 개체로 부터 반복적으로 역교배를 실시하였다. F6에서 품종이 고정됨을 확인하였다.
2010~2019년에 걸쳐 품종 특성을 조사한 결과 년차 간에도 변이개체를 찾아 볼 수 없이 안정성을 보였다. 이를 제국백년초(Jekukbaegnyuncho)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3: 품종 특성표
작물의 종류 : 오푼티아속(Opuntia spp.)
품종의 명칭: 제국백년초(Jekukbaegnyuncho)
특성 조사 기간: 2010 ∼ 2019년
대조 품종은 제주도 자생 백년초인 왕선인장(Opuntia monacantha Haw.)으로서, 대조 품종과 비교한 특성을 다음의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번호 특성 표현형태 계급 제국백년초 제주 백년초
계급치 실측치 계급치 실측치
1 줄기(Cladode) : 형태
둥근모양
타원모양
원통모양
1
2
3
2 2
2 줄기 : 길이(cm)

작다
중간
크다
3
5
7
30~45 16
3 줄기 : 너비(cm)
좁다
중간
넓다
3
5
7
18 12
4 줄기 : 두께(cm) 얇다
중간
두껍다
3
5
7
0.8~1.2 1.2
5 줄기 : 바탕색 녹색
노랑색
1
2
RHS 칼라 챠트 번호
143B
RHS 칼라챠트 번호 138A
6 줄기 : 2차색의 유무 없다
있다
1
9
1 1
7 줄기 : 2차색 연한 보라색
보라색
진한 보라색
1
2
3
8 줄기 : 가시유무 없다
있다
1
9
9 9
9 가시자리(Areole) : 수 적다
중간
많다
3
5
7
3 5
10 가시자리 : 가시유형 균일
불균일
1
9
1 1
11 가시자리 : 가시의 길이(cm) 짧다
중간
길다
3
5
7
3 0.3
12 가시자리 : 가시의 색 흰색
회색
갈색
검정색
1
2
3
4
2 2
13 가시자리 : 모용의 유무 없다
있다
1
9
9 9
14 가시자리 : 모용의 크기(cm) 작다
중간
크다
3
5
7
0.6 0.3
15 가시자리 : 모용의 색
흰색
회색
갈색
1
2
3
2 3
번호 특성 표현형태 계급 제국백년초 백년초
계급치 실측치 계급치 실측치
16 가시의 강도 연하다
중간
강하다
3
5
7
5 5
17 꽃 : 크기 (cm)
(너비/높이)
작다
중간
크다
3
5
7
8/4 2.5/2
18 꽃 : 꽃잎의 주요색

빨강색
노랑색
분홍색
주황색
보라색
1
2
3
4
5
2 RHS 칼라 챠트 번호
8C
2 RHS 칼라 챠트 번호 11A
19 꽃 : 꽃잎 수

적다
중간
많다
3
5
7
25~30 14
20 꽃 : 꽃잎의 2차색 유무 있다
없다
1
9
1 9
21 꽃 : 꽃잎의 2차색 RHS 칼라차트 번호 RHS 칼라 챠트 번호
71A
22 꽃 : 꽃잎의 2차색 형태 Ⅰ 형
Ⅱ 형
Ⅲ 형
Ⅳ 형
1
2
3
4
2
23 암술 : 암술머리색
녹색
노랑색
빨강색
1
2
3
2 RHS 칼라 챠트 번호14A 2 RHS 칼라 챠트 번호14A
24 열매 : 색(성숙기)

빨강색
노랑색
분홍색
주황색
보라색
1
2
3
4
5
5 RHS 칼라 챠트 번호 46D 5 RHS 칼라 챠트 번호 71C
25 열매 : 가시의 유무 없다
있다
1
9
9 9
26 열매 : 가시의 위치
몸체
끝부분
몸체+끝부분
1
2
3
3 2
27 열매 : 가시의 길이(cm) 짧다
중간
길다
3
5
7
3 2
실시예 4: 제국백년초의 유전자 분석
제주 백년초와 제국백년초 시료에서 DNA를 추출하여 식물계통 유연관계 분석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마커(ITS)를 클로닝하고 염기서열을 결정한 후 두 집단간의 분자계통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재료는 제주 백년초 샘플 10 개체, 제국백년초 샘플 10 개체를 사용하였다.
1) DNA 추출
Exgene Plant SV Mini kit(GeneAl, Korea)를 사용하였고, 제공된 매뉴얼에 따라 DNA를 추출하였다.
2) PCR(유전자 증폭)-PCR 반응은 AcuPower PCR Premix (Bioner, Kore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PCR이 완료된 후에는 1.5% Agarose gel 전기영동을 통해 증폭산물을 확인하였다. PCR을 위한 반응조건은 아래의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표 3은 PCR 반응액 조성이고, 표 4는 PCR 반응 온도 및 시간 조건이다.
구분 첨가량
추출된 DNA 1 ㎕
Primer ITS1
서열: CCGTAGGTGAACCTGCGG(서열번호 1)
1 ㎕
ITS4
서열:TCCTCCGCTTATTGATATGC(서열번호 2)
1 ㎕
증류수 17 ㎕
합계 20 ㎕
온도조건 반응시간 비고
94℃ 3 min
94℃ 30 sec 34회 반복
55℃ 30 sec
72℃ 30 sec
72℃ 10 min
10℃
3) Sequencing(염기서열 결정)
증폭산물을 vector에 삽입하여 클로닝하였고, Sequencing primer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4) Sequence analysis(염기서열 분석) - 염기서열이 확인된 각 샘플들은 BlastN 검색을 통해 세계유전자은행(GenBank)에 등록된 유사종들과의 유사도를 확인하였고, 가장 높은 유사도를 보이는 종을 확인하였다. 서열번호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국백년초에 대한 nrITS 유전자 서열을 나타낸다.
Bioedit 프로그램으로 edit한 제국백년초 Sequence를 백년초 개체군 내의 nrITS 유전자 염기서열의 집단 내 변이 양상을 알아본 결과 염기서열 중 90bp에서 A : C, 129bp에서 A : G, 221bp에서 - : T, 222bp에서 - : G, 235bp에서 C : T, 261bp A:G, 473bp A : C, 501bp에서 A : T, 514bp에서 A : G, 560bp에서 A : G 로 총 10개의 변이가 나타났다.
상기한 바의 특징 및 nrITS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제국백년초는 제주 백년초와는 다른 변종으로 판단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8084BP 20190207
<110> KIM, Jekuk <120> Jeju Cactaceae species new variety of Jekukbaegnuncho <130> dpn-190607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TS1 <400> 1 ccgtaggtga acctgcgg 18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TS4 <400> 2 tcctccgctt attgatatgc 20 <210> 3 <211> 663 <212> DNA <213> Unknown <220> <223> Opuntia spp. <400> 3 cattcggctg ccgcctgacc tggggtcgca acggtttgtg cttttcagca acaccttcgg 60 gtccaacgag cccttccccg acggcgtgcg tgcgcgacgc gatgcaaacg ggggcctcta 120 aggcctcgtc caccaccaat cgccgctgca gctcgtcgcc gcgggctccc gtttttgggc 180 cagccgcgcc cggttagggt acgggaggcc atcatccttc cccccggcgg gcggggggga 240 gacgcgatgc gtgacgccca ggcaaacgtg ccctcggccg gaaggcttcg ggcgcaactt 300 gcgttcaaaa actcaatggt tcacgggatt ctgcaattca caccaagtat cgcatttcgc 360 tacgttcttc atcgatgcaa aagccgaaat atccgttgcc gaaagtcgtt acgttttaag 420 tagggacagg tgccgccccc gcgcgccggc ggaccgggcg cgggcgggca cgcctttatt 480 tcgtgttcct tggcgcggtt cgcgccgggg tttgttgttg cgccggggag ggggcaaagg 540 cgcccctccc cgcgtgttca tgggaaaaca tgttcgcggg tctttctgct gggcaggttt 600 cgacaatgat ccttccgcag gttcacctac ggaaaccttg tctttttttt ttttttctca 660 aaa 663

Claims (4)

  1. 오푼타이속(Opuntia) 왕선인장(Opuntia monacantha Haw.)을 타가 수분시켜 수정하고 그 열매를 식재하여 역교배를 반복하여 육성하며, 하기의 특징을 가지며 열매 또는 줄기를 이용하여 무성번식 가능한 서열번호 3 염기서열의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된 KCTC138084BP 신품종 백년초의 번식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성번식 발아조건은 토양 습도 5%이하, 온도 25 내지 40℃, 일조량 8 내지 12시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품종 백년초 번식 방법.

    (a) 줄기(Cladode)의 길이는 30 내지 45㎝이고, 너비는 17 내지 18㎝이며, 두께는 0.8 내지 1.2cm까지 자람.
    (b) 가시자리 모용의 크기는 0.5 내지 0.6㎝이며 갈색임.
    (c) 꽃의 크기는 높이가 7 내지 8㎝이고, 너비는 3 내지 4㎝, 꽃잎의 수는 25 내지 30개이며, 꽃잎에는 2차색이 있음.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68963A 2019-06-11 2019-06-11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 KR102061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963A KR102061227B1 (ko) 2019-06-11 2019-06-11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
PCT/KR2020/007580 WO2020251276A1 (ko) 2019-06-11 2020-06-11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963A KR102061227B1 (ko) 2019-06-11 2019-06-11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227B1 true KR102061227B1 (ko) 2020-02-11

Family

ID=6956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963A KR102061227B1 (ko) 2019-06-11 2019-06-11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1227B1 (ko)
WO (1) WO20202512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1276A1 (ko) * 2019-06-11 2020-12-17 김제국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94B1 (ko) 2002-08-20 2004-10-08 탐라야채마을영농조합법인 제주선인장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100524097B1 (ko) 2003-08-27 2005-10-26 한국식품연구원 변형 및 변색을 최소화한 건조 접목선인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622666B1 (ko) 2004-10-01 2006-09-19 주식회사롯데햄.롯데우유 제주 손바닥선인장 열매 착즙액의 제조방법 및 착즙액을함유하는 유제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9610B2 (ja) * 2008-07-07 2010-0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新品種の作製方法
KR102061227B1 (ko) * 2019-06-11 2020-02-11 김제국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94B1 (ko) 2002-08-20 2004-10-08 탐라야채마을영농조합법인 제주선인장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100524097B1 (ko) 2003-08-27 2005-10-26 한국식품연구원 변형 및 변색을 최소화한 건조 접목선인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622666B1 (ko) 2004-10-01 2006-09-19 주식회사롯데햄.롯데우유 제주 손바닥선인장 열매 착즙액의 제조방법 및 착즙액을함유하는 유제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부채선인장(백년초)의 식물백과사전, 2007년 개시, <https://cafe.naver.com/myseed/11028>* *
품종보호 공보 제217호(2016.08.15.공지)에 게재된 ‘품종명 제국초’*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1276A1 (ko) * 2019-06-11 2020-12-17 김제국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1276A1 (ko) 2020-12-17
WO2020251276A8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ntry Origin of the common bean, Phaseolus vulgaris
KR20040108792A (ko) 작은 열매를 맺는 사배체 수박
CN101524042B (zh) 一种银叶树果实的育苗方法
CN111972288B (zh) 一种百香果离体保存及增殖再生方法
Dinesh et al. Guava improvement in India and future needs
KR102061227B1 (ko)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
Safeena et al. Field Performance of gladiolus cultivars for growth, yield and quality cut flower production under humid agro climatic conditions of Goa.
CN109287473A (zh) 一种二倍体西瓜自交系的选育方法及选育的二倍体西瓜自交系的应用
CN109329043A (zh) 一种小籽型南瓜砧木品种的选育方法
Kumar et al. Varietal evaluation of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a L.) under Prayagraj agro-climatic conditions
KR101980827B1 (ko) 신품종 향 두릅나무
Toledo-Aguilar et al. Morphological diversity of ancho chile pepper landraces from Mexico
Dharmendra et al. Performance of different varieties of China aster [Callistephus chinensis (L.) Nees] for North eastern dry zone of Karnataka
Bărcanu et al. Characterization of new ornamental chilli genotypes created at VRDS Buzău.
Muthulakshmi et al. Evaluation of field rose varieties for growth and yield parameters under open field condition
CN112544366B (zh) 一种百香果种苗的培育方法
Balaj et al. The effect of rootstock on vegetative development and flower production in modern garden roses (Rosa canina L.).
KR100783288B1 (ko)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 변종식물
KR100365490B1 (ko) 조경용 수양겹벚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Prathibhani et al. Variation of shoot regeneration capacity of cuttings of selected Cinnamomum verum genotypes.
Kriklivaya et al. The Potential of Using the New Species Monarda Didyma L. for Introduction in Western Siberia
KR20050105951A (ko) 복분자딸기의 신품종식물 전원 육종
Konyak et al. Characterization of brinjal (Solanum melongena L.) genotypes for growth, yield and quality traits under foothill condition of Nagaland
Khasanov CREATION NEW VARIETIES OF NON-TRADITIONAL FRUIT CROPS IN UZBEKISTAN
Pandey et al. Fruit Production in NEH Region with Major Emphasis on Quality Transplant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