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288B1 -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 변종식물 - Google Patents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 변종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288B1
KR100783288B1 KR1020070016547A KR20070016547A KR100783288B1 KR 100783288 B1 KR100783288 B1 KR 100783288B1 KR 1020070016547 A KR1020070016547 A KR 1020070016547A KR 20070016547 A KR20070016547 A KR 20070016547A KR 100783288 B1 KR100783288 B1 KR 100783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immon
fruit
grafting
tree
vari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철
Original Assignee
임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철 filed Critical 임상철
Priority to KR102007001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8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4Processes of selection involving genotypic or phenotypic markers; Methods of using phenotypic markers for sel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품종 감 변종식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대 단감 대목에 차랑 단감을 인공적으로 고접한 차랑 단감 계통에서 과중이 평균 600g이며 과육이 등황색으로 과색이 양호하고 과형은 넓은 편원형이며 착과시 해거리가 없는 특성을 지닌 아조변이체를 적취하여 공대 대목에 접목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육성된 대과종 단감 계통으로 무성번식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신품종 감 변종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품종 감 변종식물은 대과종으로 과색과 당도가 양호하고 착과시 해거리가 없는 등 우수한 품질 특성을 지니고, 아조변이체를 이용하여 접목을 통한 무성번식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유망한 신품종 감 변종식물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감 재배 농가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감, 아조변이, 수퍼단감, 신품종, 변종식물

Description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 변종식물{New Persimmon Variety Mass Producible by Asexually Propag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신품종 감 변종식물의 공대 대목에서의 결실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품종 감 변종식물의 잎의 모양을 보여주는 사진이다(좌: 수퍼 단감, 우: 차랑 단감).
도 3은 본 발명의 신품종 감 변종식물의 과실 상면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좌: 수퍼 단감, 우: 차랑 단감).
도 4는 본 발명의 신품종 감 변종식물의 과실 측면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좌: 수퍼 단감, 우: 차랑 단감).
도 5는 본 발명의 신품종 감 변종식물의 과실 하면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좌: 수퍼 단감, 우: 차랑 단감).
본 발명은 신품종 감 변종식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대 단감 대목에 차랑 단감을 인공적으로 고접한 차랑 단감 계통에서 과중이 평균 600g이며 과육이 등황색으로 과색이 양호하고 과형은 넓은 편원형이며 착과시 해거리가 없는 특성을 지닌 아조변이체를 적취하여 공대 대목에 접목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육성된 대과종 단감 계통으로 무성번식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신품종 감 변종식물에 관한 것이다.
감나무는 분류상 감나무목 감나무과 감나무속에 속하며, 학명은 Diospyros kaki Thunb.이다.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는 감나무속 식물은 400여종으로 낙엽성과 상록성 또는 관목성과 교목성으로 구분되며 대부분이 열대나 아열대에 분포하고 있다.
이들 중 과수로서 이용되는 것은 10여종으로, 그 중에서도 재배가치가 높은 것은 감나무(枾: Diospyros kaki Thunb.)이다. 고욤나무(君遷子; 豆枾: Diospyros lotus L.)는 떫은감 대목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접수 품종에 따라 접목친화성에 문제가 있으며 식용 가치는 거의 없다.
중국의 유시(油枾: Diospyros oleifera Cheng)는 식용으로도 이용되지만, 대목 또는 도료 추출용으로 재배된다. 미국감나무(Diospyros virginiana L.)는 대목 또는 탄닌 추출용 등으로 이용된다. 식용으로서 재배가치가 있는 감나무의 원산지는 한국, 중국 및 일본이며, 단감의 경우에는 일본에서 우량 품종들이 많이 선발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감은 다른 과실에 비해 풍부한 무기성분과 영양소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공 이용면에서는 뒤떨어진 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연시(紅枾)나 곶감으 로 만들어 먹거나 수정과와 약밥에 곶감을 이용했고, 숙시는 장아찌, 식초 등을 만들었다. 또한 떫은감의 감즙을 의류의 염색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감은 옛날부터 한방에서 감꼭지를 말려 딸꾹질에 달여 먹고, 땡감의 즙액은 뱀, 벌, 모기 등에 물린데 바르기도 하였다.
감의 과실 및 감잎의 떫은 맛 성분인 탄닌은 여러 가지 생물학적 활성과 함께 뱀의 독소 및 박테리아 독소를 해독하는 작용, 면역기능 회복작용, 활성산소 제거작용 등을 하며, 발암물질의 활성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감잎으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flavonoide) 성분은 체내에서 고혈압 활성화 효소의 활성을 억제시킨다고 한다.
감 과실은 비타민 A와 비타민 C가 많은 식품으로, 일상 생활에 필요로 하는 비타민 A와 C의 1일 필요량은 감 1개를 먹으면 충분히 섭취된다. 비타민 C는 과실보다 감나무 잎에서 더 많은데, 감잎으로 만든 차는 비타민 A와 C를 공급하는 건강식품으로서의 가치가 크다.
우리나라의 감 재배 및 생산현황을 보면, 현재 재배면적, 생산량으로 5대 주요 과실에 속하며, 2000년대 접어들어 그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수출량 또한 최근들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 주산지에서 생산된 단감은 일본 주산지인 와카야마산에 비해 과중, 당도, 과피색 등의 품질 면에서 불리하여 국제경쟁력이 약한 실정이다.
[표 1] 생산지별 단감 품질비교
산 지 과중(g) 당도(°Bx) 과피색
나 주 190 14.5 등 황
김 해 200 15.0 등주황
일본(와카나마) 220 16.0 등 홍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일본품종인 부유 단감이 80% 이상을 차지하여 외국품종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노동력의 경합은 물론 홍수 출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국내 육성품종으로는 조생종인 서촌조생과 중생종인 상서조생 등의 재배면적이 다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과실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단감은 다른 과실 또는 수입 과실들과 치열한 판매 경쟁을 할 수밖에 없어 과실 품질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시장개방에 따른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도 고품질과(高品質果)의 생산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과실 품질 결정의 제1 조건은 품종에 있으며, 다변화되고 있는 시장요구에 부합되는 우수한 특성을 지닌 감 신품종의 개발은 감 산업에 있어 무엇보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과실이 크면서 과색과 당도가 양호하여 외국품종을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품질 특성을 지닌 감 식물을 육성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차랑 단감 계통에서 상기 특성을 지닌 아조변이체를 선발하고 이를 적취하여 공대 대목에 접목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실이 크면서 과색과 당도가 양호한 특성을 지닌 대과종으로 접목을 통한 무성번식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신품종 감 변종식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대 단감 대목에 차랑 단감을 인공적으로 고접한 차랑 단감 계통에서 과중이 평균 600g이며 과육이 등황색으로 과색이 양호하고 과형은 넓은 편원형이며 착과시 해거리가 없는 특성을 지닌 아조변이체를 적취하여 공대 대목에 접목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육성된 대과종 단감 계통으로 무성번식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신품종 감 변종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감 변종식물은 수자(樹姿; 나무의 모양 또는 생장습성)가 개장성이며 결과지는 중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감 변종식물은 만생종으로 과실의 성숙기의 당도가 평균 15 °Bx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아조변이의 작출
1997년 충북 보은군 회북면 쌍암리 소재의 과원에서 공대 단감 대목에 차랑 단감을 인공적으로 고접한 차랑 단감 계통에서 대과종으로 과색과 당도가 양호하고 착과시 해거리가 없는 등 모수와는 다른 특성을 지닌 아조변이체를 선발하고 이를 양묘하여 2~3년간 모수와 특성을 비교한바, 그 우수한 특성이 유지되는 아조변이체를 확보하였다.
2. 아조변이의 계대 증식 및 품종 고정
2000년 상기에서 선발하여 얻어진 아조변이체의 접수를 취출하여 동일 모수원에 식재된 차랑 단감 계통에서 대과종으로 과색과 당도가 양호하고 착과시 해거리가 없는 특성을 지닌 아조변이체를 선발하고 이를 적취하여 공대 대목에 접목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과실의 과색, 당도 및 과중을 검정 특성으로 하여 증식하며 선발하였다. 접수는 활착이 용이하고, 활착후 눈(芽)의 신장이 양호하고 접목조작이 쉬운 것이나 3년생가지부터 매년 봄가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당년 봄가지나 여름가지가 바람직하다. 접수의 채취는 2~3월 전정시에 채취하며 잎의 엽병을 2~3㎜ 남겨 조제한다. 접수의 저장은 신문지 5~6겹을 물에 완전히 적셔 물기를 닦아낸 후 접수를 싸고 포장한 상태를 비닐로 다시 포장하여 5~7℃의 냉장실에 두면 5월 상순까지 저장된다. 한편, 접수에 물기가 묻어있는 상태로 저장하게 되면 곰팡이가 쓸어 부패하기 쉬우므로 저장중에 개봉하여 접수 절단부위에서 곰팡이가 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회 잘라주어 도관이 막히지 않게 하였다. 고접은 4월 15일경에 실시하였고, 구체적인 방법은 당업자에게 있어 잘 알려져 있는 통상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2001년 1차 고접을 통해 증식 선발된 묘목에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접수를 취출하여 2002년에서 2004년까지 공대 대목에 통상의 방법으로 아접 및 절접을 연차별로 반복 시행하여 유전적 특성을 고정하였다. 고정과정을 통한 특성 검정 결과, 고정 계통의 특성이 아조변이체 모수와 동일하게 일관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과색, 당도 및 과중 등의 특성이 일반 단감류 보다 우수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증식 고정된 계통을 ‘수퍼단감’이라고 명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공대를 대목으로 이용하는 것은 종자 구입이 쉽고 실생의 발육 속도가 빨라 2년째 접목이 가능하며, 비교적 토양에 대한 적응성이 높고, 많은 단감류에 대하여 접목 친화성이 커 접목후 초기 생육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1 및 2 과정에서의 작부방식 및 재배관리는 농촌진흥청 표준영농교본(감재배)에 준하여 수행되었다.
3. 신품종 ‘수퍼단감’의 주요특성
가. 과수 전체로서의 특성
⑴ 나무 수세는 강하다
⑵ 나무의 생장습성은 개장성이며, 결과지는 중간이다
⑶ 엽신의 길이는 중간이며, 엽신의 폭은 넓다
⑷ 만개기은 5월 중순이다
⑸ 숙기는 10월 하순에서 11월 상순으로 착색은 선홍색이다
⑹ 수량성은 2,500㎏/10a 수준으로 높고, 착과시 해거리가 없다
나. 과실의 특성
⑴ 과경부는 넓고 골이 나 있으며 꼭지 부분까지 이어져 있다
⑵ 과피 색깔은 녹황색이며, 과실크기는 대과종으로 과중이 평균 600g이다
⑶ 과육은 등황색이고, 당도는 평균 15 °Bx로 높다
⑷ 과실의 산미는 중간이다
⑸ 과실의 모양은 넓은 편원형이고, 과실 대비 핵의 크기가 작다
⑹ 과실의 박피성은 중간이며 과육은 단단하다
⑺ 꼭지 들림은 극소이고, 저장성이 강하다
[표 2] 과실의 주요 특성
품종 만개기 숙기 과형 평균 당도(°Bx) 평균 과중
수퍼단감 5월중순 10월하순 넓은편원형 15 600g
차랑 5월하순 10월하순 편원형 13 230g
* 재배지역은 충북 보은군 회북면 쌍암리 소재의 과원으로, 재배관리는 농촌진흥청 표준영농교본(감재배)에 준하였음.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품종 감 변종식물은 대과종으로 과색과 당도가 양호하고 착과시 해거리가 없는 등 우수한 품질 특성을 지니고, 아조변이체를 이용하여 접목을 통한 무성번식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유망 한 신품종 감 변종식물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감 재배 농가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Claims (4)

  1. 공대 단감 대목에 차랑 단감을 인공적으로 고접한 차랑 단감 계통에서 과중이 평균 600g이며 과육이 등황색으로 과색이 양호하고 착과시 해거리가 없는 특성을 지닌 아조변이체를 적취하여 공대 대목에 접목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육성된 대과종 단감 계통으로 접목을 통한 무성번식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신품종 감 변종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 변종식물은 수자(樹姿)가 개장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품종 감 변종식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 변종식물의 과실은 성숙기의 평균 당도가 15 °B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품종 감 변종식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 변종식물의 과실은 과형이 넓은 편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품종 감 변종식물.
KR1020070016547A 2007-02-16 2007-02-16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 변종식물 KR100783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547A KR100783288B1 (ko) 2007-02-16 2007-02-16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 변종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547A KR100783288B1 (ko) 2007-02-16 2007-02-16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 변종식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288B1 true KR100783288B1 (ko) 2007-12-06

Family

ID=3914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547A KR100783288B1 (ko) 2007-02-16 2007-02-16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 변종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478A (ko) 2021-03-21 2022-09-28 민동호 무화과와 감나무과의 접목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446B1 (ko) * 1996-06-28 1999-02-18 이근택 감묘목의 접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446B1 (ko) * 1996-06-28 1999-02-18 이근택 감묘목의 접목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478A (ko) 2021-03-21 2022-09-28 민동호 무화과와 감나무과의 접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2217A (ko) 높이 향상된 접목된 식물 및 이의 생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Xu et al. Technique of grafting with Wufanshu (Vaccinium bracteatum Thunb.) and the effects on blueberry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fruit yield and quality
CN101524042B (zh) 一种银叶树果实的育苗方法
CN104285684A (zh) 一种毛桃砧木嫁接红叶李的方法
CN103460926A (zh) 茶树品种培育方法
CN109628550B (zh) 一种地被菊抗枯萎病品种的筛选方法
KR100759132B1 (ko)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귤 변종식물 ‘상고’
CN107197771B (zh) 一种提高枇杷果实品质的培育方法
CN106613659B (zh) 一种卫矛属植物黄金甲的嫁接栽培方法
Mihova et al. Investigations of Chaenomeles japonica (Thunb.) Lindl. in the region of Central Balkans
CN110235679A (zh) 一种提高猕猴桃耐渍的方法
KR100783288B1 (ko) 무성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감 변종식물
CN102960481B (zh) 一种紫鹃茶的培育种植加工方法
KR102061227B1 (ko) 제주 백년초 신품종 제국백년초
Singh et al. Variability in fruit physico-chemical characters of litchi (Litchi chinensis Sonn.): an index for selection of improved clones for processing and value addition
CN101743909A (zh) 八角科植物“孩儿莲”的组织培养繁殖方法
CN105519396A (zh) 一种新世纪杏树的栽培方法
Ognjanov et al. Modern peach and nectarine production.
Ayala-Silva et al. Physico-chemical Evaluation of ‘Casturi’Mango
Toplu et al. The performance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mb.) Cultivars Under Mediterranean Coastal Conditions in Hatay, Turkey
Pfeiffer Comparison of Rootstocks Geneva 16, M9 and CG11 under organic cultivation at the LVWO Weinsberg–actualized results 2009-2019
KR102295884B1 (ko) 4배체 베니바에 감귤나무의 번식방법 및 이와 같은 방법으로 영양번식한 4배체 베니바에 감귤나무
Singh et al. Morinda citrifolia Linn.—an important fruit tree of Andaman and Nicobar Islands
Onika et al. The mobilization and conservation of Diospyros virginiana l. Plants in NBGI
CN107079772A (zh) 一种提高果实品质的枇杷品种培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