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175B1 - 다이렉트 엣지를 구비한 진동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평판형 슬림 스피커 - Google Patents

다이렉트 엣지를 구비한 진동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평판형 슬림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175B1
KR102061175B1 KR1020180102408A KR20180102408A KR102061175B1 KR 102061175 B1 KR102061175 B1 KR 102061175B1 KR 1020180102408 A KR1020180102408 A KR 1020180102408A KR 20180102408 A KR20180102408 A KR 20180102408A KR 102061175 B1 KR102061175 B1 KR 102061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edge
fixing part
voice coil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진
Original Assignee
임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진 filed Critical 임성진
Priority to KR102018010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다이렉트 엣지를 구비한 진동판 조립체 및 진동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평판형 슬림 스피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슬림 스피커는 진동체 및 상기 진동체의 가장 자리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와, 요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의 일단부로부터 제1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1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진동판 조립체; 상기 진동체의 중심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판; 상기 보이스 코일판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자석; 상기 보이스 코일판의 하단면이 연결되는 댐퍼; 및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보이스 코일판이 삽입될 수 있는 슬롯과, 상기 진동판 조립체의 엣지가 접합될 수 있는 엣지 접합부와, 상기 댐퍼가 접합될 수 있는 댐퍼 접합부와, 자석이 좌우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상기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자석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동시에, 스피커의 베이스 프레임이 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하단부는 상기 탄성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내측의 제1 단부와 외측의 제2 단부를 포함하는 내측으로 단차진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요크의 상단부의 내측면과 면접합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렉트 엣지를 구비한 진동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평판형 슬림 스피커{FLAT TYPE SLIM SPEAKER INCLUDING VIBRATION PLATE HAVING DIRECT EDGE}
본 발명은 평판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렉트 엣지를 구비한 진동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평판형 슬림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평판형 스피커에 사용되는 보이스 코일판은 플레이트 형상의 코일 베이스 단면 또는 양면에 타원 형태로 와권되거나 인쇄 패턴되어 형성된다.
보이스 코일판은 전류가 가동 코일을 통하여 흐르면 이때 흐르는 전류가 가동 코일의 주위에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에서 팽창했다가 수축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되고, 가동 코일은 스피커 유니트 내의 마그네트에 의하여 발생된 자기장에 걸려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자기장에 대응하여 가동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면서 보이스 코일판이 상하 이동하게 되고, 보이스 코일판이 스피커 유니트의 진동판에 연결되어 있음으로 진동판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공기를 밀어내 그 공기의 진동에 의하여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평판형 스피커는 출력 용량의 증대와 더불어 그 크기가 점점 가늘어 지고 긴 구조를 갖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평판형 스피커는 장방형의 형상이고, 평판형이며 슬림한 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초슬림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V를 비롯한 초박형 전자 제품 등에 적용하기 위한 스피커는 단 0.1mm 사이즈도 매우 중차대할 정도로 슬림 스피커의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종래의 스피커 폭을 축소하기 위해 엣지 접합 부위를 축소하기 위한 다방면의 많은 기술 및 시도가 있었으나, 효과적인 방법은 아직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52208호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의 폭을 축소시킬 수 있는 다이렉트 엣지를 구비한 진동판 조립체 및 진동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평판형 슬림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평판형 슬림 스피커는 진동체 및 상기 진동체의 가장 자리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와, 요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의 일단부로부터 제1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1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진동판 조립체; 상기 진동체의 중심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판; 상기 보이스 코일판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자석; 상기 보이스 코일판의 하단면이 연결되는 댐퍼; 및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보이스 코일판이 삽입될 수 있는 슬롯과, 상기 진동판 조립체의 엣지가 접합될 수 있는 엣지 접합부와, 상기 댐퍼가 접합될 수 있는 댐퍼 접합부와, 자석이 좌우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상기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자석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동시에, 스피커의 베이스 프레임이 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하단부는 상기 탄성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내측의 제1 단부와 외측의 제2 단부를 포함하는 내측으로 단차진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요크의 상단부의 내측면과 면접합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처럼 본 발명은 진동체와 베이스 프레임(또는 베이스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요크) 사이를 연결하는 엣지를 구비하되, 엣지의 일단에서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부가 진동체에 결합되고, 엣지의 타단에서 제1축 방향과 수직인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부가 베이스 프레임이나 요크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방식과 비교하여 스피커의 폭을 획기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어 슬림 스피커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커의 폭을 축소시킬 수 있어 슬림 스피커의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초박형 전자 제품에 적용되는 스피커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크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에 요철 등의 형상을 적용함으로써, 접합력을 높일 수 있어, 엣지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슬림 스피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슬림 스피커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슬림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진동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엣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다이렉트 엣지를 구비한 진동판 조립체 및 진동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평판형 슬림 스피커를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진동체와 베이스 프레임(또는 베이스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요크) 사이를 연결하는 엣지를 구비하되, 엣지의 일단에서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부가 진동체에 결합되고, 엣지의 타단에서 제1축 방향과 수직인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부가 베이스 프레임이나 요크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현된, 새로운 구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조의 엣지를 '다이렉트 엣지'라 명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슬림 스피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슬림 스피커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슬림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슬림 스피커는 댐퍼(110), 요크(120), 자석(130), 보이스 코일판(140), 진동판 조립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10)는 주름이 있는 천으로 이루어지며, 주름천(110b)은 외곽에 외곽 플레이트(110a)에 의해 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댐퍼(110)는 보이스 코일판(140)의 상하 진동을 보조하고,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댐퍼(110)는 스피커의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며, 보이스 코일판(140)이 자기회로 갭 사이에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센터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고, 진동부가 진동할 때 원상 복귀하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요크(120)와 자석(130)은 자기회로를 이루는 자기체를 구성하며, 보이스 코일판(14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자기체를 이룬다.
마주하는 자기체 내에 구비되는 자석(130a, 130b)는 서로 간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반대의 극성을 가지며, 보이스 코일판(140)은 양측의 자기체로부터 동일한 자기력을 받을 수 있도록 동일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자석(130a, 130b)은 예컨대, 긴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요크(120)는 상부 요크(120a)와 하부 요크(120b)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형태로는 상부 요크와 하부 요크가 일체화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분해사시도에서는 상부 요크(120a)와 하부 요크(120b)가 분리된 형태를 예시로 설명하나, 상부 요크(120a)와 하부 요크(120b)가 하나의 일체화된 하나의 요크(120)라도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 있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요크(120)와 자석(130)은 베이스 프레임이라는 외곽 프레임에 장착되어 자기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프레임 자체가 존재하지 않으며, 요크(120)가 베이스 프레임의 역할을 그대로 수행하게 된다.
요크(120)는 도전성 물체로 이루어지며, 스피커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요크(120)의 좌우 측면으로 자석(130)이 좌우 측면으로 직접 삽입되어 자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크(120)는 기본적으로 스피커의 기본 베이스 프레임이 하는 뼈대 역할을 대행하게 된다.
요크(120)는 별도의 베이스 프레임 없이 자석이 좌우에서 직접 삽입되는 가이드 역할을 하며, 요크의 메인 역할인 자력선을 응집하여 자속 밀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요크(120)는 자석과 자석의 자기 air gap를 형성시키며, air gap의 형성을 슬릿 구조를 통해 매우 단순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air gap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좁은 air gap 사이의 자석 간에 달라 붙는 것을 억제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요크(120)는 스피커의 베이스 프레임 역할을 가지므로, 상측으로는 진동판 조립체(150)을 지지하는 구조물 역할을 하고, 하측으로는 댐퍼를 지지 또는 결합시키는 구조물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요크(120)에는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보이스 코일판이 삽입될 수 있는 슬롯, 진동판 조립체의 엣지가 접합될 수 있는 엣지 접합부와 댐퍼가 접합될 수 있는 댐퍼 접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요크(120)는 베이스 프레임이 필요없는 구조의 스피커를 구현시킴으로써, 스피커를 더욱 단순화함으로써 구성 부품 수가 축소되고, 조립 공정이 혁신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요크(120)는 뼈대 구조를 가짐으로써, 자석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스피커의 길이 방향의 폭을 혁신적으로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고, 스피커 상하 진동시 진폭을 자동 조절하는 진폭 조절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진동판 조립체(150)는 보이스 코일판(140)이 중심에 부착되어 보이스 코일판(140)의 상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물체이며, 진동판 조립체(150)가 진동을 하면 공기가 진동하여 소리가 나게 된다.
진동체(150a)의 하측으로는 보이스 코일판(140)이 부착되고, 엣지(150b)는 요크(130)에 부착되는 결합을 갖는다.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보이스 코일판(140)에 형성된 보이스 코일에 교류를 보내주면, 보이스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정반대로 바뀔 때마다 힘의 방향이 정반대로 바뀌게 되어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그 결과 보이스 코일에 붙어있는 스피커의 진동판 조립체(150)가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서 소리가 스피커로부터 재생이 된다. 이때, 진동판 조립체가 빠르게(진동수가 많이) 진동하면 높은 음이, 진동판 조립체가 느리게(진동수 적게) 진동하면 낮은 음이 재생이 되고, 진동판 조립체의 진폭이 크면 강한 소리가, 진동판 조립체의 진폭이 작으면 약한 소리가 재생될 수 있다.
보이스 코일판(140)은 PCB 형태의 코일판과 트랙 형태로 패턴 인쇄된 보이스 코일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뼈대를 이루는 요크(120)를 기준으로, 요크(120)의 상단측에는 진동체(150a)가 엣지(150b)를 통해 부착되며, 중심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보이스 코일판(140)이 위치되고, 요크(120)의 하단측에는 댐퍼(110)가 부착된다.
보이스 코일판(140)의 상단면은 진동판 조립체(150)의 중심에 부착되고, 하단면은 댐퍼(110)의 중심에 부착된다.
요크(120)의 좌우 양측면에는 자석(130a, 130b)이 직접 삽입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피커의 외형을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이 필요 없는 구조의 평판형 슬림 스피커로 베이스 프레임의 역할까지 하도록 요크를 구성하여 그 요크에 다이렉트 에지를 결합시키는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프레임을 갖는 구조의 평판형 슬림 스피커에서 베이스 프레임에 다이렉트 에지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진동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엣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조립체(150)는 직접 진동을 하게 되는 판 형태의 진동체(150a)와 진동체(150a)가 진동을 가능하게 하는 트랙 형태의 엣지(15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체(150a)는 가장 자리 전체가 엣지(150b)에 결합되고, 엣지(150b)를 통해 요크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진동체(150a)는 진동에 의해 음압을 생성하는데, 예컨대, 종이, 금속, 고분자 필름,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진동체(150a)는 평면이되, 예컨대, 정사각형, 원형, 직사각형, 트랙형 등의 평면일 수 있다.
엣지(150b)는 탄성부(150b1), 탄성부(150b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150b2), 탄성부(150b1)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고정부(150b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150b1)는 트랙 형태로 형성되어, 진동체(150a)의 진동을 도와줄 수 있다. 즉, 탄성부(150b1)는 진동체(150a)의 진동에 의해 상승할 때 진동체(150a)의 상승을 돕고, 다시 상승된 진동체(150a)를 탄성부(150b1)의 탄성력을 통해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고정부(150b2)는 탄성부(150b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진동체(150a)의 가장 자리에 결합되고, 제2 고정부(150b3)는 탄성부(150b1)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요크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고정부(150b2)는 접착제에 의해 진동체(150a)의 가장 자리에 본딩 결합되고, 제2 고정부(150b3)는 접착제에 의해 요크의 상단부에 본딩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고정부(150b2)는 탄성부(150b1)의 일단부에서 제1축 방향 예컨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진동체(150a)의 가장 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1 고정부(150b2)는 진동체(150a)의 가장 자리 하단에 결합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체(150a)의 가장 자리 상단이나 진동체(150a)의 가장 자리 끝단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고정부(150b3)는 탄성부(150b1)의 타단부에서 제1축 방향에 수직인 제2축 방향 예컨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부(150b3)와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의 본딩 결합되는 영역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본딩 결합되는 영역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고정부(150b3)는 하단부가 다단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의 제1 단부와 외측의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의 제1 단부의 길이가 외측의 제2 단부의 길이보다 길고,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부(150b3)가 본딩 결합되는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는 다단 구조로 형성되지만, 제2 고정부(150b3)의 하단부와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는 내측의 제3 단부와 외측의 제4 단부를 포함하고, 내측의 제3 단부의 길이가 외측의 제4 단부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제2 고정부(150b3)의 제1 단부가 상부 요크(120a)의 제3 단부와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고, 제2 고정부(150b3)의 제2 단부가 상부 요크(120a)의 제4 단부와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제2 고정부(150b3)의 제2 단부의 하면이 상부 요크(120a)의 제4 단부의 상면에 접합되고, 제2 고정부(150b3)의 제1 단부의 측면과 상부 요크(120a)의 제4 단부의 측면이 접합될 수 있다.
이때, 엣지의 테두리는 베이스 프레임의 테두리 또는 요크의 테두리와 일치한다. 이렇게 엣지를 베이스 프레임 또는 요크에 수직 방향으로 직접 결합시키기 때문에 기존의 결합 방식에 비해 스피커의 전체적인 폭을 축소시킬 수 있습니다.도 6을 참조하면, 엣지의 제2 고정부(150b3)와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의 본딩 결합되는 영역은 접합되는 표면적을 늘릴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즉, 본딩 결합되는 영역은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다양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일예로, (a)를 참조하면 엣지의 제2 고정부(150b3)의 하단부와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는 본딩 결합되는 영역이 다수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부(150b3)의 하단부의 볼록한 영역은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의 오목한 영역에 삽입 결합되고, 제2 고정부(150b3)의 하단부의 오목한 영역에는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의 볼록한 영역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b)를 참조하면 엣지의 제2 고정부(150b3)의 하단부와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는 본딩 결합되는 영역이 도 5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c)를 참조하면 엣지의 제2 고정부(150b3)의 하단부와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는 본딩 결합되는 영역이 (b)와는 반대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부(150b3)는 하단부가 길이가 다른 내측의 제1 단부와 외측의 제2 단부를 갖는 다단 구조로 형성되는데, 제2 단부의 길이가 제1 단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2 고정부(150b3)가 본딩 결합되는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는 제2 고정부(150b3)의 하단부와 상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요크(120a)는 상단부가 길이가 다른 내측의 제3 단부와 외측의 제4 단부를 갖는 다단 구조로 형성되는데, 제3 단부의 길이가 제4 단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다른 예로, (d)를 참조하면 엣지의 제2 고정부(150b3)의 하단부와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는 본딩 결합되는 영역이 홈과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부(150b3)의 하단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제2 고정부(150b3)가 본딩 결합되는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제2 고정부(150b3)의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 결합된다. 여기서는 하나의 홈과 돌기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적어도 2 이상의 홈과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반대로, 제2 고정부(150b3)의 하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제2 고정부(150b3)가 본딩 결합되는 상부 요크(120a)의 상단부에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댐퍼
120: 요크
130: 자석
140: 보이스 코일판
150: 진동판 조립체
150a: 진동체
150b: 엣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진동체 및 상기 진동체의 가장 자리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와, 요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의 일단부로부터 제1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1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진동판 조립체;
    상기 진동체의 중심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판;
    상기 보이스 코일판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자석;
    상기 보이스 코일판의 하단면이 연결되는 댐퍼; 및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보이스 코일판이 삽입될 수 있는 슬롯과, 상기 진동판 조립체의 엣지가 접합될 수 있는 엣지 접합부와, 상기 댐퍼가 접합될 수 있는 댐퍼 접합부와, 자석이 좌우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상기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자석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동시에, 스피커의 베이스 프레임이 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하단부는
    상기 탄성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내측의 제1 단부와 외측의 제2 단부를 포함하는 내측으로 단차진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요크의 상단부의 내측면과 면접합하는, 평판형 슬림 스피커.
  8. 삭제
KR1020180102408A 2018-08-30 2018-08-30 다이렉트 엣지를 구비한 진동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평판형 슬림 스피커 KR102061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408A KR102061175B1 (ko) 2018-08-30 2018-08-30 다이렉트 엣지를 구비한 진동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평판형 슬림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408A KR102061175B1 (ko) 2018-08-30 2018-08-30 다이렉트 엣지를 구비한 진동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평판형 슬림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175B1 true KR102061175B1 (ko) 2019-12-31

Family

ID=6905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408A KR102061175B1 (ko) 2018-08-30 2018-08-30 다이렉트 엣지를 구비한 진동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평판형 슬림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1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094A (ja) 2001-08-27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JP2006229643A (ja) * 2005-02-18 2006-08-31 Minebea Co Ltd スピーカ
JP2007074747A (ja) 2006-11-17 2007-03-22 Victor Co Of Japan Ltd 電気音響変換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094A (ja) 2001-08-27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JP2006229643A (ja) * 2005-02-18 2006-08-31 Minebea Co Ltd スピーカ
JP2007074747A (ja) 2006-11-17 2007-03-22 Victor Co Of Japan Ltd 電気音響変換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4655B2 (en) Speaker
KR101697251B1 (ko) 스피커 및 스피커 조립방법
US9992576B2 (en) Speaker including damper having deformation prevention member
KR100643765B1 (ko) 스피커장치
EP2869595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EP1282337A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10516945B2 (en) High power microspeaker with sub-diaphragm
US9560453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5112159B2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
KR102061175B1 (ko) 다이렉트 엣지를 구비한 진동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평판형 슬림 스피커
KR102151222B1 (ko) 보이스 코일판의 센터 가이드를 구현한 평판형 스피커
US20220337955A1 (en) Flat speaker including asymmetrical magnetic bodies and base frame
KR20220016020A (ko) 대칭적 보이스 코일 및 자기 회로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KR102061173B1 (ko) 슬림 자기 코어를 구비한 장방형의 평판형 슬림 스피커
KR102079624B1 (ko) 평판형 스피커
KR101245836B1 (ko) Tv용 슬림형 스피커
US20200021917A1 (en) Speaker
KR101363518B1 (ko) 개선된 자기회로 및 이를 이용한 스피커
US20170318391A1 (en) Diaphragm for speaker apparatus
KR101609708B1 (ko) 양면형 엣지를 구비한 스피커
KR20230114033A (ko) 자계 쌍 구조의 fpcb 진동판 마이크로스피커
KR100811739B1 (ko) 스피커
CN112702683A (zh) 一种微型扬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