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670B1 -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670B1
KR102060670B1 KR1020190058706A KR20190058706A KR102060670B1 KR 102060670 B1 KR102060670 B1 KR 102060670B1 KR 1020190058706 A KR1020190058706 A KR 1020190058706A KR 20190058706 A KR20190058706 A KR 20190058706A KR 102060670 B1 KR102060670 B1 KR 102060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input
information
air quality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복
Original Assignee
(주) 디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테코 filed Critical (주) 디테코
Priority to KR1020190058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to plural spots in a confined site, e.g. MATV [Master Antenna Televi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세대 단자함에 설치되는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전화 및 인터넷 등의 통신신호와 디지털 공청/위성 방송신호를 하나의 통합 허브를 통해 출력하도록 함과 아울러 실내에 설치된 방범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비상신호를 원격지의 경비회사로 전송함과 동시에 경비실과 현관에 비상상태를 표시하고, 또한 대기질에 대한 데이터를 실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거주자가 쉽게 대기질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HUB system for broadcating/communication signals}
본 발명은 세대 단자함에 설치되는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전화 및 인터넷 등의 통신신호와 디지털 공청/위성 방송신호를 하나의 통합 허브를 통해 출력하도록 함과 아울러 실내에 설치된 경비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비상신호를 원격지의 경비회사로 전송함과 동시에 경비실과 현관에 비상상태를 표시하고, 또한 대기질에 대한 데이터를 실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거주자가 쉽게 대기질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유선전화와 인터넷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UTP 케이블(Unshieled Twisted Pair cable)이나 광케이블을 통하여 통신을 하게 되며, 또한 케이블 방송(CATV) 또는 공청방송(MATV)에 의해 공청/위성 방송을 시청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송 및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세대별로 세대 단자함이 구비되어, 이 단자함을 통해 세대로 인입시키게 된다.
도1은 일반적인 방송 및 통신을 위한 세대 단자함(10)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도로서, 케이블 방송(CATV)은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세대 단자함(10)의 방송용 분배기(11)로 수신되어 세대내의 텔레비젼으로 수신되며, 또한 공청방송 및 위성방송도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방송용 분배기(12)를 통해 세대내의 텔레비젼으로 수신된다.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을 통해 세대 단자함(10)의 데이터용 허브(13)로 연결되고, UTP 케이블에 의해 컴퓨터와 연결된다.
유선전화의 경우도 UTP 케이블을 통해 세대 단자함(10)의 전화용 분배기(14)로 인입된 다음 신호가 분기되어 UTP 케이블에 의해 전화와 맞물려 통신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세대 단자함 내부에 케이블 방송, 공청 및 위성방송, 인터넷 통신, 유선전화 통신을 위한 각각의 방송용 분배기, 데이터용 허브, 그리고 전화용 분배기가 독립적으로 장착됨으로써 한정된 세대 단자함의 공간 내부에서 이들을 장착하고 배선을 행하는 것이 매우 불편한 실정이다.
또한, 또다른 장비가 장착되는 경우에 세대 단자함의 내부 공간이 더욱 복잡하고 협소해 질 수 밖에 없어 확장성에도 큰 어려움이 따른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단순히 케이블 방송, 공청 및 위성방송, 인터넷 통신, 유선전화 통신을 분배시키는 역할만을 할 뿐이므로, 이러한 통신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6-0045427호
(통합형 광수신 분배장치를 활용한 위성방송 공동설비 송출시스템)
2. 공개특허 제10-2019-0031736호
(통합형 세대 단자함)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방송과 통신을 위한 허브를 하나의 통합 허브로 하여 설치와 공간의 제약성에서 벗어나도록 하며, 또한, 세대내에 설치된 경비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비상신호를 원격지의 경비회사로 전송함과 동시에 경비실과 현관에 비상상태를 표시하고, 또한 기상 정보에 대한 원격의 서버로부터 인가받아 실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거주자가 쉽게 대기질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은,
세대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방송 및 통신 신호를 분기시켜 출력하는 방송/통신 통합 허브 시스템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데이터 입출력단자, 전화 입출력단자,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 경비센서 입력단자, 비상신호 출력단자, 실내 공기질 센서 입력단자, 정보 출력단자로 구성된 입출력단자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분기시켜 출력하는 광송수신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송수신부로부터 분기되어 출력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데이터 분배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화 입출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음성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하는 음성 분배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송수신부로부터 분기되어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상기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위성방송 처리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공청방송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위성방송 처리부;
상기 경비센서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비상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비상신호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자를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비상신호 발생부;
상기 실내 공기질 센서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실내 공기질 정보 및 상기 실내 공기질 정보에 따른 창문 개폐 메시지를 상기 정보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자를 통해 원격지의 기상서버로부터 입력되는 기상 정보를 상기 정보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실내 공기질 정보와 기상 정보에 의해 상기 창문 개폐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기상정보 모듈;
상기 세대가 거주하는 건물의 현관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비상신호 출력단자와 접속되며, 상기 비상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비상신호 표시부;
상기 세대의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 출력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기상정보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대기정보 표시부;
정전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UPS;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
이러한 본 발명의 통합 허브 시스템에 의해 데이터 케이블, 전화 케이블, 그리고 동축 케이블로 인입되는 방송 및 통신 신호를 분배시킴으로써 좁은 공간의 단자함 내에서 공간활용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며, 배선의 용이성이 커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대내의 비상 정보를 외부와의 통신에 의해 표출하여 비상 상황을 외부에 적극적으로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비상 관제 장치를 갖추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으로 매우 이롭다.
아울러,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와 원격지의 기상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입력받아 거주자에게 표출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방송 및 통신 신호를 분배하는 기능을 넘어서 복합 기능을 갖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방송 및 통신을 위한 세대 단자함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의 외관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의 내부 회로 블럭도.
도4는 위성방송 처리부의 내부 회로 블럭도.
도5는 비상신호 표시부와 대기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의 예를 보인 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는 본 발명의 외관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내부 회로 블럭도이며, 도4는 위성방송 처리부의 내부 회로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5는 비상신호 표시부와 대기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의 예를 보인 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외관 구조를 보인 도로서, 함체 형태의 케이스(100) 상부면에는 복수의 데이터 입출력단자(110), 복수의 전화 입출력단자(120), 복수의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130), 복수의 경비센서 입력단자(140), 비상신호 출력단자(150), 실내 공기질 센서 입력단자(160), 그리고 정보 출력단자(170)가 구비되며, 양측부로는 단자함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자(110)는 복수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전화 입출력단자(120)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130)도 데이터 입출력단자(110)나 전화 입출력단자(120)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경비센서 입력단자(140)는 세대의 실내에 구비된 침입센서, 화재센서, 비상버튼 등의 경비센서가 접속된다.
상기 비상신호 출력단자(150)는 상기 경비센서 입력단자(140)에 접속된 각 센서로부터 입력이 발생한 경우에 공동주택의 현관이나 또는 주택의 외측에 구비된 비상신호 표시부(1100)를 통해 비상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비상신호 표시부(110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실내 공기질 센서 입력단자(160)는 세대의 실내에 구비된 미세먼지센서, 이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센서, 라돈센서로 구성된 실내 공기질 센서가 접속된다.
상기 정보출력단자(170)는 상기 실내 공기질 센서로부터 실내 공기질 센서 입력단자(16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실내에 구비된 대기정보 표시부(12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대기정보 표시부(1200)가 접속되어 있다.
도3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송 및 통신신호 분배를 위한 회로 블럭도로서, 광송수신부(200), 데이터분배부(300), 음성분배부(400), 위성방송처리부(500), 공청방송분배부(600), 비상신호 발생부(700), 기상정보 모듈(800), IoT(Internet of Things) 통신부(9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광송수신부(200)는 데이터 입출력단자(110)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분기시켜 다시 데이터 입출력단자(110)로 출력하거나 데이터분배부(300)와 위성방송처리부(500)로 출력한다.
인터넷 등의 통신 신호(ISP)나 디지털 위성방송신호(SMATV)는 광케이블에 의해 전송되어지므로, 광송수신부에서 이를 입력받아 분기시키게 되며, 데이터 입출력단자(110)와 연결된 세대내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통신신호는 광송수신부(200)를 통하여 바로 데이터 입출력단자(110)로 바이패스됨으로써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바이패스되도록 연결된 데이터 입출력단자(110) 중 1~2개 정도의 단자를 무선랜을 위한 포트로 설정함으로써 세대내 컴퓨터와의 무선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분배부(300)는 광송수신부(200)로부터 분기된 광신호의 데이터를 분배시켜 다시 데이터 입출력단자(110)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데이터용 허브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성분배부(120)는 전화 케이블 입출력단자(120)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음성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분배시켜 다시 전화 입출력단자(120)로 출력하게 되며, 상기 전화 입출력단자(120)에는 전화기의 UTP 단자가 접속된다.
상기 위성방송처리부(500)는 상기 광송수신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위성방송신호(SMATV)를 광전변환하여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130)로 출력함으로써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130)에 연결된 텔레비젼에 의해 위성방송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위성방송처리부(5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 회로 블럭을 가지게 되는데, 광송수신부(200)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로 된 위성방송신호는 포토커플러(510)에 의해 전기적인 방송신호로 변환되는데, 이때 포토커플러(510)에 의해 광전변환과 절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포토커플러(510)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인 방송신호는 제1증폭부(520)에 의해 증폭된 다음 자동이득조정부(530)에 의해 출력 이득이 조정된 다음 제2증폭부(540)에 의해 최종 증폭되어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130)로 출력된다.
상기 공청방송분배부(600)는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130)를 통해 입력되는 공청방송신호(MATV)를 분배시켜 다시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130)로 출력함으로써 이에 연결되는 텔레비젼에 의해 공청방송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비상신호 발생부(700)는 상기 경비센서 입력단자(140)에 접속된 침입센서, 화재센서, 비상버튼으로부터 입력이 발생한 경우에 비상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비상신호를 비상신호 출력단자(15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도5(a)와 같이 공동주택의 현관이나 또는 주택의 외측에 구비된 비상신호 표시부(1100)를 통해 세대의 비상상황을 알리게 된다.
예로서, 비상신호 발생부(150)는 해당 세대의 호수와 비상문구를 비상신호 표시부(1100)를 통해 세대 외측에 표시함으로서 누구라도 비상상황을 인지하도록 하여 긴급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비상신호 발생부(150)로부터 발생된 비상 신호는 데이터 입출력단자(110)를 통하여 원격지의 경비실, 경비회사, 경찰서, 소방서에 비상상황에 대한 데이터 즉 침입상황, 화재상황, 세대의 주소, 발생시간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즉시 출동 등의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기상정보 모듈(800)은 상기 실내 공기질 센서 입력단자(160)에 접속된 실내 공기질 센서 즉 미세먼지센서, 이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센서, 라돈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 데이터를 인가받아 정보출력단자(17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도5(b)와 같이 세대의 실내에 구비된 대기정보 표시부(1200)를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라돈 농도 등이 표시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기상정보 모듈(800)은 데이터 입출력단자(110)를 통하여 원격지의 기상서버로부터 대기 기상정보를 공급받아 대기정보 표시부(120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상정보 모듈(800)은 이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그리고 라돈 농도가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 대기정보 표시부(1200)를 통해 창문개방을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거주자로 하여금 이를 확인하여 적절히 창문히 개방시켜 환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이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그리고 라돈 농도가 설정된 기준치보다 낮아지면 창문을 닫을 수 있도록 대기정보 표시부(1200)를 통해 메세지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상정보 모듈(800)은 상기 실내 공기질 센서로부터 입력된 측정 데이터와 기상 서버로부터 입력된 대기 기상정보를 비교하여 대기정보 표시부(1200)를 통해 창문 개폐를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게 되는데, 상기 실내 공기질 센서로부터 입력된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대기 기상정보에 의한 미세먼지 농도보다 높다면 창문 개방을 위한 메시지를 대기정보 표시부(1200)에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IoT 통신부(900)는 데이터 입출력 단자(110)를 통하여 실내에 구비된 에어컨 및 공기청정기와 IoT 통신을 하게 되어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다음 그 에어컨과 공기청정기의 동작상태를 기상정보 모듈(800)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상정보 모듈(800)은 상기 기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정보와 상기 실내 공기질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의해 실외의 대기 공기질이 실내의 공기질보다 좋다고 판단되고, 상기 IoT 통신부(900)를 통해 에어컨으로부터 전송되어진 정보에 의해 에어컨의 냉방 모드가 수행되지 않고 있다면, 창문 개방 메시지를 상기 대기정보 표시부(1200)를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에어컨의 냉방모드가 수행되고 있으면서 실외의 대기 공기질이 실내의 공기질보다 나쁘다고 판단되면,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위한 메시지를 상기 대기정보 표시부(1200)를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
즉, 에어컨의 냉방 모드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실내의 냉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청정기의 동작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메시지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기상정보 모듈(800)은 상기 실외의 대기 공기질이 실내의 공기질보다 나쁘다고 판단되고, IoT 통신부(900)를 통해 공기청정기로부터 전송되어진 정보에 의해 공기청정기가 동작하고 있지 않다면, 공기청정기 동작을 위한 메시지를 상기 대기정보 표시부(1200)를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UPS(무정전 전원장치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1000)는 정전시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정전시에도 비상상황을 비상신호 표시부(1100)를 통해 표시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외부인의 침입, 화재 상황을 정전시에도 이를 감지하고, 그 비상상황을 비상신호 표시부(1100)를 통해 표시함은 물론 데이터 입출력단자(110)를 원격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데이터 입출력단자(110)와, 전화 입출력단자(120), 그리고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130)가 하나의 케이스(100)에 일체로 구성되고, 내부에 광신호, PSTN 신호, 위성방송신호, 공청방송신호를 분배시키기 위한 회로가 하나의 PCB에 설치됨으로써 소형화된 방송 및 통신 통합 허브를 제공함은 물론, 실내의 공기질과 대기의 공기질을 비교하여 적절히 창문을 개방시켜 환기할 수 있도록 한 메시지를 대기정보 표시부(1200)를 통해 표시하도록 함은 물론 대기의 공기질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창문을 닫고 공기청정기에 의해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실내 거주자에게 메시지로 알리게 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복합 허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케이스 101 : 고정부
110 : 데이터 입출력단자 120 : 전화 입출력단자
130 :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 140 : 경비센서 입력단자
150 : 비상신호 출력단자 160 : 실내 공기질 센서 입력단자
170 : 정보출력단자
200 : 광송수신부
300 : 데이터분배부 400 : 음성분배부
500 : 위성방송처리부 600 : 공청방송분배부
700 : 비상신호 발생부 800 : 기상정보모듈
900 : IoT 통신부 1000 : UPS
1100 : 비상신호 표시부 1200 : 대기정보 표시부

Claims (3)

  1. 세대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방송 및 통신 신호를 분기시켜 출력하는 방송/통신 통합 허브 시스템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데이터 입출력단자, 전화 입출력단자,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 세대의 실내에 구비된 침입센서, 화재센서, 비상버튼으로 된 경비센서가 접속되는 경비센서 입력단자, 비상신호 출력단자, 실내 공기질 센서 입력단자, 정보 출력단자로 구성된 입출력단자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분기시켜 출력하는 광송수신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송수신부로부터 분기되어 출력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데이터 분배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화 입출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음성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하는 음성 분배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송수신부로부터 분기되어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상기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위성방송 처리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공청방송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동축케이블 입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위성방송 처리부;
    상기 경비센서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비상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비상신호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자를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비상신호 발생부;
    상기 실내 공기질 센서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실내 공기질 정보 및 상기 실내 공기질 정보에 따른 창문 개폐 메시지를 상기 정보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자를 통해 원격지의 기상서버로부터 입력되는 기상 정보를 상기 정보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실내 공기질 정보와 기상 정보에 의해 상기 창문 개폐 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기상정보 모듈;
    공동주택의 현관에 설치되고, 상기 비상신호 출력단자와 접속되며, 상기 비상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해당 세대의 호수와 비상문구로 된 비상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비상신호 표시부;
    상기 세대의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 출력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기상정보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대기정보 표시부;
    정전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UPS;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실내에 설치된 에어컨 및 공기청정기와 IoT 통신하는 IoT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상정보 모듈은 상기 IoT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어진 에어컨와 공기청정기의 정보에 의해 상기 창문 개폐 메시지를 대기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모듈은
    상기 기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정보와 상기 실내 공기질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의해 실외의 대기 공기질이 실내의 공기질보다 좋다고 판단되고, IoT 통신부를 통해 에어컨으로부터 전송되어진 정보에 의해 에어컨의 냉방 모드가 수행되지 않고 있다면, 창문 개방 메시지를 상기 대기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며,
    에어컨의 냉방모드가 수행되고 있으면서 실외의 대기 공기질이 실내의 공기질보다 나쁘다고 판단되면,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위한 메시지를 상기 대기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실외의 대기 공기질이 실내의 공기질보다 나쁘다고 판단되고, IoT 통신부를 통해 공기청정기로부터 전송되어진 정보에 의해 공기청정기가 동작하고 있지 않다면, 공기청정기 동작을 위한 메시지를 상기 대기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
KR1020190058706A 2019-05-20 2019-05-20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 KR10206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706A KR102060670B1 (ko) 2019-05-20 2019-05-20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706A KR102060670B1 (ko) 2019-05-20 2019-05-20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670B1 true KR102060670B1 (ko) 2019-12-30

Family

ID=6910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706A KR102060670B1 (ko) 2019-05-20 2019-05-20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1893A (zh) * 2021-01-28 2021-04-30 山西云时代太钢信息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机组远程急停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135B1 (ko) * 2016-10-27 2017-04-06 유병훈 건물 자동제어 네트워크 및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개별 실내환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135B1 (ko) * 2016-10-27 2017-04-06 유병훈 건물 자동제어 네트워크 및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개별 실내환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1893A (zh) * 2021-01-28 2021-04-30 山西云时代太钢信息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机组远程急停装置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7581B2 (en) Power-line communication based surveillance system
US7006507B2 (en) Digital home information integrating system
KR102060670B1 (ko)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시스템
US20050239400A1 (en) Radio access line extending device
US20090222863A1 (en) Wireless video and audio broadcasting device
KR20140040508A (ko) 방송/통신용 통합 허브
CN111754742A (zh) 智慧社区管理系统
US20070052850A1 (en) Low overhead audio/video intercom system
AU2005100691A4 (en) Improved Video Entry Security System
KR20000061422A (ko) 집단 주거지를 위한 구내 통합망 장치
JP5730476B2 (ja) 携帯端末を利用したネットワークカメラシステム
JP5603782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幹線分配装置
JP7122588B2 (ja) ロビーステーション、ドアホン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20040075740A1 (en) Transmitter for surveillance camera system
JP6430165B2 (ja) 壁面コネクタ
JP4477993B2 (ja) 集合住宅用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
TWI220968B (en) Monitoring/alarming system using coaxial transmission
KR200387972Y1 (ko) 광통신을 이용한 건축물의 데이터 통합 장치
JP4139048B2 (ja) 複合通信制御管理システム
JP2006101326A (ja) デジタルテレビドアホンシステム
KR100917636B1 (ko) 디브이알 연동 로비폰
KR20040049565A (ko) 비디오 폰을 이용한 홈 서버 시스템
WO2018110195A1 (ja) カメラ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2022075297A (ja) 防災行政無線のテレビホーム受信システム
JP6098014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その給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