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575B1 -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 - Google Patents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575B1
KR102060575B1 KR1020190062043A KR20190062043A KR102060575B1 KR 102060575 B1 KR102060575 B1 KR 102060575B1 KR 1020190062043 A KR1020190062043 A KR 1020190062043A KR 20190062043 A KR20190062043 A KR 20190062043A KR 102060575 B1 KR102060575 B1 KR 102060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plate
fixing
membrane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현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주)올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찬 filed Critical (주)올찬
Priority to KR102019006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기장, 공연장, 재래시장 등의 건축물에서 지붕으로 사용되는 막구조물에서 지붕막을 팽팽하게 인장력을 갖도록 잡아당겨주는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에 과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막의 단부를 잡아당겨주는 장력조절유닛의 방향을 조절하여 지붕막이 주름 없이 팽팽하게 펼쳐지고, 지붕막을 설계된 모양의 굴곡으로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두 이동판; 상기 이동판에 구비되고, 지붕막을 당겨주는 장력조절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Membrane re-tensile device}
본 발명은 경기장, 공연장, 재래시장 등의 건축물에서 지붕으로 사용되는 막구조물에서 지붕막을 팽팽하게 인장력을 갖도록 잡아당겨주는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에 과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막의 단부를 잡아당겨주는 장력조절유닛의 방향을 조절하여 지붕막이 주름 없이 팽팽하게 펼쳐지고, 지붕막을 설계된 모양의 굴곡으로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통 막구조물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설치나 해체가 용이하고 다야한 구조와 용도로 구축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끼 때문에 경기장, 공연장, 전시장, 창고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막구조물의 경우 천정을 형성할 경우 자유스럽고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여 일반적인 구조물로 불가능하거나 난이도가 높은 형상을 표현할 수 있어 임시구조물 뿐만 아니라 고정구조물에서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막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먼저 지면에 입설되는 수 개의 기둥과 이와 연결되는 프레임에 지붕막의 단부를 고정하여 원하는 형상,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굴곡된 물결의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지붕막에 처짐이나 주름 등이 생기지 않도록, 인장장치를 통해 지붕막을 잡아당겨서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로 기둥의 프레임에 설치하게 된다.
지붕막의 인장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42418호 "막구조물의 주름방지장치", 등록특허 제10-1069386호 "막구조물의 주름방지 시스템" 등이 개시되었다.
도1은 상기 등록특허 제10-1069386호 "막구조물의 주름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막구조물의 지지대(102)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상방으로 일정길이 용접되는 제1돌출부(104) 및 제2돌출부(106)와;
상기 제1돌출부(104)와 제2돌출부(106)의 상면에 위치되고, 용접에 의해 제1돌출부(104)와 제2돌출부(106)에 용접되되, 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을 두고 볼트(12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공(108)을 갖는 지지패널(110)과;
상기 막구조물의 지지대(102)의 정면과 지지패널(110)의 정면에 용접되는 이탈방지패널(112)과;
상기 지지패널(110)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지지패널(110)에 고정되되,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볼트(12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공(114)을 갖는 호형상의 밀착편(116)과;
상기 호형상의 밀착편(116)의 상면에 위치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호형상의 밀착편(116)에 고정되되,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볼트(12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공(118)을 갖는 호형상의 고정편(120)과;
상기 지지패널(110)과 호형상의 밀착편(116)을 고정시켜 줌과 아울러 호형상의 밀착편(116)과 호형상의 고정편(120) 사이에 위치된 천막을 고정시켜 주는 체결수단과;
상기 호형상의 밀착편(116)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천막을 당겨주는 장력조절수단(124)으로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막고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는 호형상의 밀착편(116)의 양측에 구비되는 두 장력조절수단(124)의 방향이 고정된 구조이다.
현장 여건에 따라 장력조절유닛의 설치방향을 조금만 변경해도 지붕막이 주름 발생 없이 보다 팽팽하게 당겨서 펼치지는 상황이 많다.
그래서 종래기술에서는 장력조절수단(124)의 설치방향을 작업자가 조절하여 지붕막이 주름 없이 보다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양측으로 구비되는 장력조절유닛의 방향을 현장여건에 따라 작업자가 임으로 조절함으로써 지붕막의 주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장력조절유닛의 방향 조절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해지는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정핀유닛을 통해 지붕막을 베이스판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는
지붕막;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두 이동판;
상기 이동판에 구비되고, 상기 지붕막을 당겨주는 장력조절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이동판이 삽입되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이동판에는 고정핀이 체결되는 고정홀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슬라이드홈에는 상기 이동판의 슬라이드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올려져, 상기 지붕막이 상기 베이스판과의 사이에 는 개재되는 피팅판;
상기 피팅판을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핀유닛은
상기 베이스판의 내측에 구비되고, 중앙에 회전심부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핀홀과,
상기 회전심부재가 삽입되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의 내측면에 걸림홈들이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걸림홈에 인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회전심부재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심부재는
상기 핀홀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심재와, 상기 고정심재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심재와, 상기 회전심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인입방지블럭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고정핀을 상기 핀홀에 결합시킨 후, 상기 회전심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인입방지블럭이 상기 회전고정체의 단부를 지지하여 회전고정체가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하여 걸림홈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는 이동판을 베이스판에서 인출하여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이동판에 구비되는 장력조절유닛의 설치방향을 현장여건에 따라 조절하여 지붕막을 초대한 주름발생 없이 팽팽하게 펼칠 수 있고, 이동판의 위치조절이 간편하고 신속하고, 지붕막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피팅판은 베이스판에 체결시키는 작업성이 우수한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의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에서 베이스판과 이동판을 요부로 하는 결합 단면도([A] 참조)와 분해 평면도([B] 참조).
도 4 는 고정핀유닛으로 피팅판을 베이스판에 체결시키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2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는 베이스판(10), 이동판(20), 피팅판(30), 장력조절유닛(40), 고정핀유닛(PU), 고정스크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붕막 인장장치는 기둥과 같은 구축물(1)에 설치되고, 설치된 곳에서 지붕막(3)을 당겨 팽팽하게 인장시킨다.
상기 베이스판(10)은 마주보아 내부에 상기 이동판(20)이 이동하는 공간을 만드는 상판(10A)과 하판(10B)의 두 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10)의 두 판(10A, 10B) 사이에는 상기 이동판(2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홈(13)을 형성하는 격벽(11)이 구비된다. 상기 격벽(11)의 외측에는 이동판(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12)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0)에서 상기 슬라이드홈(13)의 입구측에는 상기 이동판(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15)가 구비되어서, 이동판(20)이 부드럽고 조용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판(20)은 상기 베이스판(10)의 슬라이드홈(13)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인출입함으로써, 베이스판(10)에서의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이동판(20)의 내측에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슬라이드홈(13)에서 이탈되지 않고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부(21)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장력조절유닛(40)이 체결되는 체결파이프(23)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판(10)의 상판(10A)과 이동판(20)에는 위치가 조절된 후에 고정핀(미도시)이 체결되는 고정홀(17, 27)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피팅판(30)은 상기 베이스판(10)의 상판(10A) 전방측 상부에 올려지고, 고정핀유닛(PU)으로 베이스판(10)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판(10)과 피팅판(30) 사이에는 상기 지붕막(3)이 개재되되고, 고정핀유닛(PU)이 베이스판(10)과 피팅판(30)을 관통하여 조여 이들을 고정시킨다.
상기 피팅판(30)은 상기 이동판(20)에도 고정핀유닛(PU)으로 체결되어 지붕막(3)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피팅판(30)은 상기 베이스판(10)의 전방측이 아닌, 중간 부위인 고정홀(17) 위에 올려지고, 볼트로 베이스판(10)에 조여져서 지붕막(3)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는 상기 피팅판(30)을 볼트로 체결시키기 위한 볼트공 등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장력조절유닛(40)은 상기 체결파이프(23)의 후방을 막는 막음판(41)과, 상기 막음판(41)과 체결파이프(23)을 관통하는 스크류봉(43)과, 상기 스크류봉(43)의 후방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스크류봉(43)을 막음판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조임너트(45)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봉(43)의 전방에는 지붕막(3)의 단부를 따라 연결되는 인장케이블(5)이 결합되어서, 스크류봉(43)의 전후진에 따라 인장케이블(5)이 지붕막(3)을 당겨주는 인장력이 조절된다.
상기 고정스크류(50)는 상기 베이스판(10)의 후방을 기둥과 같이 구축물(1)에 고정시킨다.
기둥과 같은 구축물(1)에는 수직하게 세워지는 엔드플레이트(7)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스크류(50)는 상기 엔드플레이트(7)를 관통하고, 고정스크류(50)의 전방은 상기 베이스판(10)에 힌지결합되고, 고정스크류(50)의 후방은 조임너트(9)로 상기 엔드플레이트(9)의 후방에 스크류결합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판(10)에서 위치가 조절된 상기 이동판(20)도 별도의 고정스크류(50)로 구축물(1)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유닛(PU)은 상기 베이스판(10)에 피팅판(30)을 고정시켜서, 베이스판(10)과 피팅판(30) 사이에 지붕막(3)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지붕막(3)의 단부에는 두꺼운 로프(4)나 케이블이 내재되어 베이스판(10)과 피팅판(30) 사이에 걸림으로써, 지붕막(3)이 피팅판(3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판(10)과 피팅판(30) 사이에 개재되어 가압되는 지붕막(3)의 양면으로는 고무패드(31)가 구비되어서 틈새를 통한 물기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피팅판(30)을 상기 베이스판(1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유닛(PU)은
상기 베이스판(10)을 구성하는 두 판 중에서 하판(10B)의 내측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회전심부재(PH1)가 돌출되어 구비된 핀홀(PH)과.
상기 피팅판(10), 지붕막(3) 및 고무패드(31)를 관통하여 상기 핀홀(PH)에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회전심부재(PH1)가 내삽되는 끼움홀(P1)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걸림홈(P11)들이 형성된 고정핀(P)과,
상기 회전심부재(PH1)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홈(P11)에 인입되도록 상기 회전심부재(PH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고정체(S)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고정핀(P)이 상기 핀홀(PH)에 삽입되면, 상기 회전고정체(S)가 상기 걸림홈(P11)에 인입되어 고정핀(P)의 분리를 방지한다.
상기 회전심부재(PH1)는
상기 핀홀(PH)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심재(PH11)와, 상기 고정심재(PH11)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심재(PH12)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심재(PH12)의 하부에는 인입방지블럭(PH13)이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핀(P)을 상기 핀홀(PH)에 결합한 후, 상기 회전심재(PH12)를 회전시키면, 상기 인입방지블럭(PH13)이 상기 회전고정체(S)의 단부를 지지하여 회전고정체(S)가 내측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걸림홈(P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4[A]와 도4[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4[A]는 상기 고정핀(P)과 핀홀(PH)이 결합되기 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4[B]는 결합 후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핀(P)은 헤드부(P2)와 몸통부(P3)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볼트와 외형이 유사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핀(P)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심부재(PH1)가 내삽되는 끼움홀(P1)이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P3)의 외면은 평탄하게 이루어져 상기 핀홀(PH)에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홀(P1)은 상기 회전심부재(PH1)가 내삽되는 공간으로, 상기 끼움홀(P1)의 양측에는 걸림홈(P11)들이 상하배열되도록 더 형성되어 상기 피팅판, 고부패드, 지붕막 등의 두께에 따라 선택되어 상기 회전고정체(S)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홈(P11)과 회전고정체(S)의 형상은 반원형의 형상으로 이는 상기 고정핀(P)을 결합하는 경우 및 고정핀(P)을 분리하는 경우 상기 고정핀(P)의 인입 및 분리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고정체(S)가 손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핀홀(PH)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핀홀(PH)은 상기 고정핀(P)의 몸통부(P3)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중앙에 돌출 구비되는 회전심부재(PH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심부재(PH1)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전심부재(PH1)는 상기 핀홀(PH)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심재(PH11)와, 상기 고정심재(PH11)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심재(PH12)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심재(PH12)의 저면 중심은 상기 회전심재(PH12)의 중심과 회전점(PH2)을 기준으로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게 된다.(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전심재(PH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인입방지블럭(PH13)의 중심과 상기 고정심재(PH11)의 상부가 회전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회전심부재(PH1) 하부, 즉, 상기 회전점(PH2) 상부에는 인입방지블럭(PH13)이 더 형성되어 상기 회전고정체(S)의 인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방지블럭(PH13)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회전고정체(S)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고정심부재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회전고정체(S)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외측으로 탄성력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상기 힌지결합되는 부분에는 탄지스프링(SS)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심부재(PH1)에는 상기 회전고정체(S)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공간(PH3)이 더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고정핀(P)을 핀홀(PH)에 삽입하면, 상기 회전고정체(S)는 인입공간(PH3)에 의해 내측으로 인입되는 동작을 반복하여 고정핀(P)의 결합을 허용하고, 이 때 상기 회전고정체(S)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핀(P)의 걸림홈(P11)에 끼워져 고정핀(P)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고정체(S)가 걸림홈(P11)에 끼워지면, 이를 유지하는 별도의 장치가 있어야 상기 고정핀(P)이 핀홀(PH)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심재(PH12)의 하부에는 상기 인입방지블럭(PH13)을 구비하고 있다.
우선, 상기 인입방지블럭(PH13)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심재(PH12)의 직경보다 일방향에서 볼 때 폭이 작게 이루어지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인입방지블럭(PH13)의 폭 차이로 인해 양측에 인입공간(PH3)을 형성함에 따라 회전고정체(S)의 회전을 허용하고 있으나, 고정핀(P)을 결합한 후에는 상기 회전심재(PH12)를 회전시키면(회전을 위하여 상기 회전심재(PH12)의 상단면에는 별도의 조정홈(PH4)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인입방지블럭(PH13)이 회전하여 직경 차이에 따라 도4[B]와 같은 형상으로 변경되어 상기 회전고정체(S)의 일단, 보다 정확하게는 내측을 지지하여 회전고정체(S)가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고정핀(P)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고정핀유닛(PU)은 상기 고정핀(P)에 가압부재(P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P4)는 상기 몸통부(P3)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헤드부(P2) 하부에 이격 구비되는 가압판(P41)과, 상기 헤드부(P2)와 가압판(P41)을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체(P4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가압판(P41)이 피팅판의 상부면을 가압하게 되며, 상기 탄성체(P42)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가압판(P41)과 헤드부(P2) 사이의 이격거리에 의해 탄성체(P42)의 압축 정도를 변화시켜 상기 회전고정체(S)와 걸림홈(P11)이 서로 정확한 위치에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하여 회전심재(PH12)를 90도 방향 정도만 회전시켜도 보다 견고하게 베이스판과 피팅판을 결합시킬 수 있어서, 일반적인 볼트체결 방식에 비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기존 볼트체결방식의 경우 나사산이 망가져 결합력이 약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 결합 용이성,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구축물 3 : 지붕막
4 : 로프 5 : 인장케이블
10 : 베이스판 11 : 격벽
13 : 슬라이드홈 15 : 가이드롤러
17 : 고정홀 19 : 고정핀
20 : 이동판 21 : 이동부
23 : 체결파이프 27 : 고정홀
30 : 피팅판 31 : 고무패드
40 : 장력조절유닛 50 : 고정스크류
PU : 고정핀유닛 PH : 핀홀
P : 고정핀 S : 회전고정체

Claims (4)

  1. 지붕막;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두 이동판;
    상기 이동판에 구비되고, 상기 지붕막을 당겨주는 장력조절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올려져, 상기 지붕막이 상기 베이스판과의 사이에 는 개재되는 피팅판;
    상기 피팅판을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핀유닛은
    상기 베이스판의 내측에 구비되고, 중앙에 회전심부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핀홀과,
    상기 회전심부재가 삽입되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의 내측면에 걸림홈들이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걸림홈에 인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회전심부재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심부재는
    상기 핀홀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심재와, 상기 고정심재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심재와, 상기 회전심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인입방지블럭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고정핀을 상기 핀홀에 결합시킨 후, 상기 회전심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인입방지블럭이 상기 회전고정체의 단부를 지지하여 회전고정체가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하여 걸림홈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이동판이 삽입되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이동판에는 고정핀이 체결되는 고정홀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슬라이드홈에는 상기 이동판의 슬라이드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
  4. 삭제
KR1020190062043A 2019-05-27 2019-05-27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 KR102060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43A KR102060575B1 (ko) 2019-05-27 2019-05-27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43A KR102060575B1 (ko) 2019-05-27 2019-05-27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575B1 true KR102060575B1 (ko) 2019-12-30

Family

ID=6910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043A KR102060575B1 (ko) 2019-05-27 2019-05-27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5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155B1 (ko) * 2011-09-30 2012-09-20 주식회사 주성기업 막 구조물의 막 장력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155B1 (ko) * 2011-09-30 2012-09-20 주식회사 주성기업 막 구조물의 막 장력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36669B2 (en) Clamps for panel-type fences
JP6865467B2 (ja) 引張構造の建物
US10731376B2 (en) Tension release system
US3849953A (en) Arched building assembly formed of resiliently, flexible members
KR102160584B1 (ko) 방수성이 향상된 막구조의 연결장치
KR102060575B1 (ko) 막구조물의 지붕막 인장장치
KR102195286B1 (ko) 좌우 및 수직 텐션 프로파일을 구비한 천막 및 시공방법
KR101642103B1 (ko) 철근 콘크리트 고정구를 이용한 케이블 월 시스템
US10392861B2 (en) Bracket and support for extended length shade
US10006197B1 (en) Insulation system for portable buildings
KR102212789B1 (ko) 프레임조절구 및 이를 이용한 천막도어
JP2018096114A (ja) 建物内への浸水防止装置
JP5007178B2 (ja) 膜材周縁部の定着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060577B1 (ko) 막구조물의 지붕막 클램핑장치
US20080060285A1 (en) Building diagonal wire bracing system and method
CN110805205B (zh) 混凝土结构塑性铰区纵筋防屈曲装置
JP7046560B2 (ja) 終端保持具
KR101460010B1 (ko) 잔류하중 측정을 위한 일체형 고정기구
KR20230010917A (ko) 루프탑 텐트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루프탑 텐트
KR101899082B1 (ko) 스틸프레임 접합방식 내진보강구조물
US202000029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ttaching fabric panels to structures
KR101822833B1 (ko) 가림장치
CN205742626U (zh) 一种板材隔墙结构
KR102623313B1 (ko) 외장막과 내장막 모두의 텐션 조절이 가능한 천막
JP2018096115A (ja) 建物内への浸水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