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375B1 - 다목적 받침대 - Google Patents

다목적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375B1
KR102060375B1 KR1020180070066A KR20180070066A KR102060375B1 KR 102060375 B1 KR102060375 B1 KR 102060375B1 KR 1020180070066 A KR1020180070066 A KR 1020180070066A KR 20180070066 A KR20180070066 A KR 20180070066A KR 102060375 B1 KR102060375 B1 KR 102060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olt
coupled
support pad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화성혜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프베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프베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프베베
Priority to KR1020180070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착물에 고정되는 받침대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을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대 및 상기 회전대와 결합되고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제1 고정홀 및 타단에 제2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 클램프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 제1 수용홈이 형성되는 볼트 헤드, 상기 제1 수용홈에 결합되고 제2 수용홈이 형성되는 볼트 바디, 및 상기 제2 수용홈에 결합되는 볼트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홀에 인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볼트, 상기 볼트 헤드와 결합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홀에 인입되어 상기 고정 클램프와 결합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목적 받침대{MULTIPURPOSE SUPPORT}
본 발명은 다목적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의 분지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가장자리가 존재하는 피착물에 설치하여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떠한 물체의 가장자리에 구조물을 설치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특히 해당 물체에 평탄면이 존재하지 않거나 표면에 마찰력이 없는 경우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은 더욱 더 어려운 일일 것이다.
필요에 의해서 물체의 가장자리에 물건을 올려야 하거나 받침대가 필요한 경우,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적용하기 보다는 바닥에 내려놓거나 별도의 테이블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하려고 하는 물건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불편함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목적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의 분지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가장자리가 존재하는 피착물에 설치하여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착물에 고정되는 받침대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을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대 및 상기 회전대와 결합되고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제1 고정홀 및 타단에 제2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 클램프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 제1 수용홈이 형성되는 볼트 헤드, 상기 제1 수용홈에 결합되고 제2 수용홈이 형성되는 볼트 바디, 및 상기 제2 수용홈에 결합되는 볼트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홀에 인입되어 상기 고정 클램프와 결합되는 결합 볼트, 상기 볼트 헤드와 결합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홀에 인입되어 상기 고정 클램프와 결합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은 상기 고정 클램프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회전대와 결합되는 고정대를 더 포함하고,상기 고정 클램프에는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 사이에는 일부가 상기 고정대와 결착되는 복수개의 조절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는 상기 조절홈들과 결착부분이 변경되면서 상기 받침판의 각도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는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부착되는 제1 지지 패드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가 부착되는 제2 지지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패드에 형성된 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지지 패드에 부착되고,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패드에 형성된 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지지 패드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지지 패드는 상기 피착물의 제1 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지지 패드는 상기 피착물의 제2 면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 클램프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 클램프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1 면과 대향하고, 상기 고정 클램프의 상기 타단은 상기 제2 면과 대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는 상기 제1 고정 부재 외측에 부착되는 제1 보조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홀과 중첩되는 제3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보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 패드와 접촉하고, 상기 제2 보조 부재는 상기 제3 고정홀이 형성되는 중앙 보조 부재 및 상기 중앙 보조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 패드와 접촉하는 서브 보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패드 및 상기 제2 지지 패드는 실리콘을 포함한다.
상기 볼트 바디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볼트 바디들 중 제1 볼트 바디는 상기 볼트 헤드와 결합되고, 상기 볼트 바디들 중 제2 볼트 바디는 상기 볼트 핸들과 결합되고, 상기 볼트 헤드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접촉되어 결합되는 볼트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트 결합 부재는 구형이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에는 상기 볼트 결합 부재를 수용하는 제3 수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는 제1 고정 부재, 제2 고정 부재,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결합 볼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두께의 피착물에 고정될 수 있어 받침대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와 고정 클램프가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볼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보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0)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1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101)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0)는 받침판(101), 결합 부재(110), 결합 볼트(300), 제1 고정 부재(203), 제2 고정 부재(202), 제1 지지 패드(402), 및 제2 지지 패드(401)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판(101)은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받침판(101)은 평면상에서 둥근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받침판(101)은 지지 대상(미도시)을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받침판(101) 상면에는 패드(500)가 배치될 수 있다. 패드(500)에 의해서 지지 대상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대상은 예를 들어, 사람이 사용하는 물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 지지 대상은 목욕을 시켜주고자 하는 영유아일 수도 있다.
결합 부재(110)는 회전대(102), 고정대(103), 및 고정 클램프(2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받침판(101) 하측에는 회전대(102)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대(102)는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대(102)의 외측에는 반원 형상의 톱니들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대(102)가 회전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회전대(102)가 회전함에 따라서, 받침판(101) 역시 회전될 수 있다.
회전대(102) 하측에는 고정대(103)가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회전대(102)의 하면에는 고정대(103)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대(103)에는 후술할 고정 클램프(201)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대(102) 하측에는 고정 클램프(201)가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 클램프(201)는 전술한 고정대(103)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어 회전대(102)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 클램프(201)는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 클램프(201)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클램프(201)의 일단에는 제1 고정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클램프(201)의 타단에는 제2 고정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클램프(201)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휘어진 부분에는 복수개의 조절홈들(CT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조절홈들(CTH)은 제1 고정홀(310)에 인접하여 복수개들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이고, 조절홈들(CTH)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조절홈들(CTH)에 의해서 피착물(600) 상의 받침판(101)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a에서 받침판(101)은 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위치하고 있고, 도 4b에서 받침판(101)은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조절홈들(CTH)을 통해서 받침판(101)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지지하고자 하는 대상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부재(203) 및 제2 고정 부재(202)와 고정 클램프(201)가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볼트(3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5a를 참조하면, 결합 볼트(300)는 볼트 헤드(301), 볼트 바디(302), 및 볼트 핸들(303)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헤드(301)에는 제1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바디(302)는 제1 수용홈에 결합될 수 있다. 볼트 바디(302)의 일단은 제1 수용홈을 통해서 볼트 헤드(301)와 결합될 수 있고, 볼트 바디(302)의 타단에는 제2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바디(302)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볼트 바디(302)들 중 제1 볼트 바디(302')는 제1 수용홈에 결합되어 제 볼트 헤드(301)와 결합될 수 있고, 볼트 바디(302)들 중 제2 볼트 바디(302'')는 제2 수용홈을 통해서 볼트 핸들(303)과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볼트 바디(302)가 2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볼트 바디(302)는 3개 이상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볼트 바디(302')와 제2 볼트 바디(302'') 사이에는 추가적으로 볼트 바디들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볼트 핸들(303)의 일단은 제2 수용홈을 통해서 제2 볼트 바디(302)와 결합하고, 볼트 핸들(303)의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볼트(300)는 제1 고정홀(310)에 인입되어 제1 고정 부재(203)와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수용홈이 형성된 볼트 헤드(301)의 일단이 제1 고정홀(310)에 인입되고, 볼트 헤드(301)의 타단의 볼트 결합 부재(330)를 통해서 결합 볼트(300)는 제1 고정 부재(203)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203)에는 볼트 결합 부재(330)를 수용할 수 있는 제3 수용홈(34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볼트 결합 부재(330)는 구형일 수 있고, 이 경우, 볼트 결합 부재(330)는 제3 수용홈(340)을 통해서 제1 고정 부재(203)와 UNIVERSAL JOINT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203)는 도 5b에 도시한 바대로 2개일 수 있지만 제1 고정 부재(203)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일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2 고정 부재(202)는 제2 고정홀(320)에 인입되어 고정 클램프(20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110)는 도 5b에 도시한 바대로 2개일 수 있지만, 제2 고정 부재(202)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일 수 있다.
도 1 및 도 5b를 참조하면, 피착물(600)에는 제1 지지 패드(402) 및 제2 지지 패드(401)가 부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지지 패드(402)는 피착물(600)의 제1 면(601)에 부착될 수 있고, 제2 지지 패드(401)는 피착물(600)의 제2 면(602)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피착물(600)은 세수대 또는 욕조일 수 있으며, 제1 면(601)은 피착물(600)의 외면일 수 있고, 제2 면(602)은 피착물(600)의 내면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면(601)과 제2 면(602)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지지 패드(402)에는 제1 고정 부재(203)가 부착될 수 있다. 제1 지지 패드(402)의 면적은 제1 고정 부재(203)의 부착면보다 클 수 있다. 제1 지지 패드(402)에는 제1 고정 부재(203)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고정 부재(203)는 톱니 형상을 가지는 모서리를 구비할 수 있고, 제1 고정 부재(203)의 톱니 형상의 모서리가 앞서 언급한 제1 지지 패드(402)의 홈에 수용되어 제1 고정 부재(203)가 제1 지지 패드(40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지지 패드(402)에 형성된 홈에 의해서 결합 볼트(300)을 강하게 조이지 않아도 제1 고정 부재(203) 부재가 제1 지지 패드(402)의 들뜸 현상 없이 제1 지지 패드(402)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 패드(401)에는 제2 고정 부재(202)가 부착될 수 있다. 제2 지지 패드(401)의 면적은 제2 고정 부재(202)의 부착면보다 클 수 있다. 제2 지지 패드(401)에는 제2 고정 부재(202)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지지 패드(401)에 형성된 홈에 의해서 제2 고정 부재(202)는 제2 지지 패드(401)와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어 제2 지지 패드(40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지지 패드(401)에 형성된 홈에 의해서 제2 고정 부재(202)가 홈이 없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제2 지지 패드(401)의 들뜸 현상 없이 제2 지지 패드(401)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지지 패드(402) 및 제2 지지 패드(401) 각각에 형성된 홈에 의해서 제1 고정 부재(203) 및 제2 고정 부재(202)가 고정됨에 따라서
제1 지지 패드(402) 및 제2 지지 패드(401)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 부재(203) 및 제2 고정 부재(202) 각각과 제1 지지 패드(402) 및 제2 지지 패드(401)는 접촉하여 강한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1 지지 패드(402) 및 결합 볼트(300)의 조임에 의해서 제1 고정 부재(203)가 피착물(600)의 외면(601) 상에 강하게 고정되고, 제2 지지 패드(401)에 의해서 제2 고정 부재(202)가 피착물(600)의 내면(602) 상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어 받침대(1000)는 피착물(60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대로, 볼트 바디(302)가 복수개로 제공됨에 따라 결합 볼트(300)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피착물(600)에 대응하여 받침대(1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조 부재(6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보조 부재(60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받침대(1000')는 제1 보조 부재(601) 및 제2 보조 부재(6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부재(601)는 제1 고정 부재(20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조 부재(601)의 일단은 제1 고정 부재(20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조 부재(601)의 타단은 제1 지지 패드(402)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보조 부재(601)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각각의 형상은 단변 및 장변을 가지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1 보조 부재(601)의 단변은 제1 고정 부재(203)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보조 부재(601)의 장변은 제1 지지 패드(402)와 접촉될 수 있다. 다만 제1 보조 부재(601)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제1 보조 부재(601)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1 보조 부재(601)가 제1 지지 패드(402)를 피착물(600)에 더 강하게 밀착시켜, 결과적으로 받침대(1000')를 피착물(600)에 더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보조 부재(602)는 중앙 보조 부재(621) 및 서브 보조 부재(62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보조 부재(621)에는 제3 고정홀(6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고정홀(623)은 제2 고정홀(320)과 중첩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202)는 제2 고정홀(320) 및 제3 고정홀(623)에 동시에 인입되어 고정 클램프(201)와 결합될 수 있다.
서브 보조 부재(622)는 중앙 보조 부재(6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보조 부재(622)의 일단은 중앙 보조 부재(621)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보조 부재(622)의 타단은 제2 지지 패드(401)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서브 보조 부재(622)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각각의 형상은 단변 및 장변을 가지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서브 보조 부재(622)의 단변은 제2 고정 부재(202)와 연결될 수 있고, 서브 보조 부재(622)의 장변은 제2 지지 패드(401)와 접촉될 수 있다. 다만 서브 보조 부재(62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제2 보조 부재(602)가 포함됨으로써, 제2 보조 부재(602)가 제2 지지 패드(401)를 피착물(600, 도 1에 도시됨)에 더 강하게 밀착시켜, 결과적으로 받침대(1000')를 피착물(600)에 더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받침대 203: 제1 고정 부재
101: 받침판 202: 제2 고정 부재
110: 결합 부재 300: 결합 볼트

Claims (5)

  1. 피착물에 고정되는 받침대에 있어서,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을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대 및 상기 회전대와 결합되고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제1 고정홀 및 타단에 제2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 클램프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
    제1 수용홈이 형성되는 볼트 헤드, 상기 제1 수용홈에 결합되고 제2 수용홈이 형성되는 볼트 바디, 및 상기 제2 수용홈에 결합되는 볼트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홀에 인입되어 상기 고정 클램프와 결합되는 결합 볼트;
    상기 볼트 헤드와 결합되는 제1 고정 부재;
    상기 제2 고정홀에 인입되어 상기 고정 클램프와 결합되는 제2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클램프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회전대와 결합되는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클램프에는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 사이에는 일부가 상기 고정대와 결착되는 복수개의 조절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는 상기 조절홈들과 결착부분이 변경되면서 상기 받침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부착되는 제1 지지 패드;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가 부착되는 제2 지지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패드에 형성된 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지지 패드에 부착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패드에 형성된 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지지 패드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지지 패드는 상기 피착물의 제1 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지지 패드는 상기 피착물의 제2 면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 클램프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 클램프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1 면과 대향하고, 상기 고정 클램프의 상기 타단은 상기 제2 면과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 외측에 부착되는 제1 보조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홀과 중첩되는 제3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보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 패드와 접촉하고, 상기 제2 보조 부재는 상기 제3 고정홀이 형성되는 중앙 보조 부재 및 상기 중앙 보조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 패드와 접촉하는 서브 보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패드 및 상기 제2 지지 패드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바디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볼트 바디들 중 제1 볼트 바디는 상기 볼트 헤드와 결합되고, 상기 볼트 바디들 중 제2 볼트 바디는 상기 볼트 핸들과 결합되고,
    상기 볼트 헤드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접촉되어 결합되는 볼트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트 결합 부재는 구형이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에는 상기 볼트 결합 부재를 수용하는 제3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KR1020180070066A 2018-06-19 2018-06-19 다목적 받침대 KR102060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066A KR102060375B1 (ko) 2018-06-19 2018-06-19 다목적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066A KR102060375B1 (ko) 2018-06-19 2018-06-19 다목적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375B1 true KR102060375B1 (ko) 2019-12-30

Family

ID=6910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066A KR102060375B1 (ko) 2018-06-19 2018-06-19 다목적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37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8483B2 (en) Sink accessory part for arrangement on a sink
US6517040B1 (en) Support unit for a display device
KR101493023B1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US8020829B1 (en) Media player holder apparatus
US7603728B2 (en) Holding device for sanitary and more particularly bathroom sector
US20140224754A1 (en) Anti-sway shower caddy
US20110239365A1 (en) Bath and shower support system
US10890291B2 (en) Adjustable mounting device for a pole
KR102060375B1 (ko) 다목적 받침대
KR0128398Y1 (ko) 모니터의 경사 및 회전 각도 조절장치
KR102120096B1 (ko) 샤워기 거치 구조체
CN101657669A (zh) 支架装置
TWM627265U (zh) 多功能之平板式電子裝置之立架
US20110101186A1 (en) Movable pole support
JP2006209043A (ja) 薄型テレビ装置
PL1665975T3 (pl) Kosz na naczynia z wychylnym wspornikiem naczyń
KR200444431Y1 (ko) 의자 장착용 낚시 지지장치
US7543787B2 (en) Monitor holder for providing stable support
JP3215101U (ja) ペット食器
KR20200050599A (ko) 각도변환부 및 이를 이용한 지지부재
JP3496817B2 (ja) 物掛け具
CN212231522U (zh) 简易型电子产品用支架
KR200260491Y1 (ko) 낚싯대 받침장치
US20230380649A1 (en) Flexible brush system
CN216693654U (zh) 燃气灶以及用于燃气灶的支锅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