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322B1 -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322B1
KR102060322B1 KR1020180020475A KR20180020475A KR102060322B1 KR 102060322 B1 KR102060322 B1 KR 102060322B1 KR 1020180020475 A KR1020180020475 A KR 1020180020475A KR 20180020475 A KR20180020475 A KR 20180020475A KR 102060322 B1 KR102060322 B1 KR 102060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biosignal
monitoring
wearable device
abnormal symp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657A (ko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8002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32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는 손목밴드 및 상기 손목밴드와 결합되어 환자의 손목과 접촉되며 상기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하는 생체신호 수집부, 상기 생체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을 결정하는 이상징후 결정부 및 상기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이 기준징후 이상이면 상기 환자에게 이상징후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제공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퇴원한 환자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해당 환자의 퇴원 이후 건강 상태의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WEARABLE APPARATUS FOR PATIENT MONITORING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퇴원한 환자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해당 환자의 퇴원 이후 건강 상태의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라 불리는 착용 컴퓨터는 안경, 시계, 의복 등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된 컴퓨터를 뜻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점은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처럼 착용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의 신체 변화를 실시간으로 끊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것이다. 의료 분야에서는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심전도, 근전계 등의 상시 검사하고 기록할 수 있고, 통증완화, 근육치료, 자세 교정 등의 의료 장비로도 활용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2470(2016.10.24)호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장치, 그리고 감지된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하고, 비상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비상 해제 명령의 입력을 대기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휴대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기초로 비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등록된 수신 대상으로 보다 신속하게 구조 요청할 수 있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5761(2017.11.02)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모니터링 서버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링 서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은 (a) 환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환자에 매칭된 활동 가능 구역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활동 가능 구역에 대한 상기 환자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활동 가능 구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활동 가능 구역과 연계된 미리 정해진 출입구의 잠금 장치가 ON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환자의 활동 가능 구역 이탈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환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2470(2016.10.24)호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5761(2017.11.0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퇴원한 환자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해당 환자의 퇴원 이후 건강 상태의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신되는 생체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신호를 기초로 특정 생체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이상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자로부터 수신되는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환자에게 이상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는 손목밴드 및 상기 손목밴드와 결합되어 환자의 손목과 접촉되며 상기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하는 생체신호 수집부, 상기 생체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을 결정하는 이상징후 결정부 및 상기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이 기준징후 이상이면 상기 환자에게 이상징후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제공부를 포함한다.
생체신호 수집부는 다음 생체신호 분석구간과 오버랩될 수 있는 현재 생체신호 분석구간 동안 상기 생체신호로 상기 환자의 혈압, 심박수, 체온 및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여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생체신호 수집부는 상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오버랩의 범위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징후 결정부는 기존에 학습된 학습내용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를 분류하여 상기 환자의 위험군을 결정할 수 있다.
기존에 학습된 학습내용은 일반 환자의 수술 전 기준 생체신호에 관해 수술 후 기준 생체신호의 변화율 또는 변화량이 상기 일반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징후 결정부는 상기 환자의 위험군이 기준위험 이상이면 상기 생체신호의 변화율 또는 변화량을 감지하여 상기 환자의 전해질 불균형 발생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이상징후 결정부는 상기 생체신호를 기초로 상기 환자가 쓰러지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환자의 전해질 불균형이 기준 불균형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생체신호를 환자상태 관리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환자상태 관리 서버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병원의 퇴원 전에 환자의 손목에 착용된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에서 수행되는 환자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환자 모니터링 방법은 환자의 손목을 통해 상기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생체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이 기준징후 이상이면 상기 환자에게 이상징후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는 퇴원한 환자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해당 환자의 퇴원 이후 건강 상태의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는 수신되는 생체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신호를 기초로 특정 생체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이상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는 환자로부터 수신되는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환자에게 이상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환자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가 환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예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 및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를 포함하고, 이들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환자의 손목 또는 손가락 등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00)를 통해 환자의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가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가 생체신호를 직접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가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하고,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가 생체신호를 분석하고,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에 환자의 상태변화를 제공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손목밴드(112) 및 본체(114)를 포함하여 환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고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손목밴드(112)는 가죽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현되어 환자의 손목에 본체(114)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체(114)는 환자의 손목으로부터 혈압, 심박수, 체온 및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114)는 환자의 생체신호를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4)는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라 환자, 외부의 보호자, 병원의 담당자 또는 공공기관(예: 119, 112 등)의 담당자에게 환자의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환자가 국소마취를 통해 수술을 진행한 이후 귀가 중에 비정상적인 혈압 저하, 체온 변화 등으로 쓰러짐과 같은 위급상황을 맞이할 수 있는데, 수술 환자의 퇴원 전에 착용되도록 하여 퇴원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퇴원 환자의 상태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퇴원 환자의 생체신호의 수신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는 생체신호를 가공하기 위해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이상징후가 예상되는 환자에게 미리 진동 또는 소리를 통해 알람을 제공하여 위급 상황을 환자에게 알릴 수 있다.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써,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에서 수집되는 생체신호의 처리를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환자의 혈압, 심박수, 체온 및 산소포화도 등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생체신호를 특정 시간 동안의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로 데이터화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 환자의 스마트폰(115),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 환자 보호자의 스마트폰(130) 및 공공기관(140)을 포함하고, 이들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환자의 스마트폰(115)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환자의 스마트폰(115)은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와 블루투스, Wifi 등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또는 환자의 스마트폰(115)을 통해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다.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는 환자의 보호자(또는 병원의 담당자)의 스마트폰(13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공공기관(예: 119, 112 등)(140)과 연결될 수 있다.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는 환자가 위급한 상황인 경우,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와 연결되어 있는 환자의 보호자(또는 병원의 담당자)의 스마트폰(130) 또는 공공기관(예: 119, 112 등)(140)에 해당 환자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손목밴드(112)와 본체(114)로 구성될 수 있고, 본체(114)는 생체신호 수집부(210), 이상징후 결정부(220), 알람 제공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손목밴드(112)와 결합되어 환자의 손목과 접촉될 수 있고,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LED(Light Emitting Diode) 펄스 방식으로 제1 주기마다 심박수를 수집할 수 있고, 또한, 맥박산소계측기 방식으로 제2 주기마다 산소포화도(SpO2)를 수집할 수 있다.
심박수 측정의 경우,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환자의 손목에 LED 녹색광을 비추어 혈액 속 적혈구에 의하여 흡수되는 녹색광을 광다이오드를 통해 측정하고, 녹색광의 흡수량에 따라 혈류량의 변화를 예측하여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산소포화도(SpO2)의 경우,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맥박산소계측기를 통해 적외선의 파장을 이용하여 혈액 내 산소와 결합하고 있는 헤모글로빈과 그렇지 않은 헤모글로빈의 흡광도 차이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환자로부터 수신된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는 생체신호를 기초로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혈압은 5초, 심박수는 1초, 체온은 10초 및 산소포화도는 5초 단위로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측정 주기별 생체신호 각각에 관한 전체 생체신호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은 제1 환자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의 예시도이다.
[표]
Figure 112018018174228-pat00001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서로 다른 주기마다 수신되는 생체신호 각각에 관해 보간법(interpolation) 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환자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에 대한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다음 생체신호 분석구간과 오버랩될 수 있는 현재 생체신호 분석구간 동안 생체신호로 환자의 혈압, 심박수, 체온 및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여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체신호 분석구간은 수신된 생체신호를 수집하는 특정 시간 단위에 해당하고,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환자의 상태(또는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초단위 또는 분단위로 생체신호 분석구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특정 환자의 퇴원 시간을 기준으로 10초 단위로 생체신호 분석구간을 설정할 수 있고, 복수의 생체신호 분석구간들을 오버랩하여 해당 환자의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를 보다 정밀하게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특정 환자의 퇴원 시간이 오후 1시인 경우, 오후 1시부터 오후 1시 10초까지를 제1 생체신호 분석구간으로 설정하고, 오후 1시 5초부터 오후 1시 15초까지를 제2 생체신호 분석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오후 1시부터 오후 1시 10초까지를 제1 생체신호 분석구간으로, 오후 1시 10초부터 오후 1시 20초까지를 제2 생체신호 분석구간으로 설정할 때보다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시간이 1초라도 단절되지 않고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생체신호 분석구간을 오버랩하여 수집함으로써 퇴원 환자의 급격한 생체신호 변화 시점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해당 환자의 상태 변화를 보다 정밀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생체신호의 분석을 통해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빅데이터(big data)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대규모 데이터를 생성, 수집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데이터 마이닝, 기계학습, 패턴 인식 등의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들을 수집 및 분류하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생체신호 수집부(210)로부터 환자의 병력, 환자가 받은 수술(또는 시술)의 종류 등을 포함하는 모든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징후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환자의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로부터 저장되어 있는 특정 환자의 데이터(생체신호, 병력, 수술 등)를 제공받을 수 있고, 특정 환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징후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환자의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기존에 학습된 학습내용에 따라 생체신호를 분류하여 환자의 위험군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징후 발생 위험군을 도출할 수 있고, 특정 환자의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환자가 퇴원한 이후 이상징후가 발생할 가능성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학습내용을 기초로 이상징후 발생 위험군을 1군부터 5군까지 분류하였다면, 특정 수술(예:지방 흡입)을 받은 환자의 수술을 받기 전후의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환자가 어느 이상징후 발생 위험군에 속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일반 환자의 수술 전 기준 생체신호에 관해 수술 후 기준 생체신호의 변화율 또는 변화량이 일반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기초로 학습내용을 학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생체신호는 특정 환자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의 평균에 해당할 수 있고, 또는 특정 환자와 신체정보(예를 들어, 성별, 신장, 몸무게 등)가 유사하고 병 또는 질환이 없는 정상적인 사람으로부터 얻어지는 표준 생체신호에 해당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특정 환자가 수술 전에 혈압이 120/80mmHg 이고, 수술 후에 150/90mmHg으로 증가하여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 해당 환자를 고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해당 환자의 퇴원 시간부터 귀가 완료 시점까지의 생체신호의 변화율 또는 변화량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환자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의 종류, 수술(시술)의 종류 및 수술(시술) 전후의 생체신호의 변화정도(변화율 또는 변화량)에 따라 위험군으로 분류하는 기준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학습되는 내용에 따라 이상징후 발생 위험군을 세분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환자의 위험군이 기준위험 이상이면 생체신호의 변화율 또는 변화량을 감지하여 환자의 전해질 불균형 발생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위험은 이상징후 결정부(220) 또는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에 의해 학습되는 내용에 따라 분류되는 위험군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환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 기준위험은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방흡입 수술 중 LAMS(Local Anesthetic Minimal-invasive lipo-Suction) 수술을 실시하는 경우 국소마취를 실시하고, 수액(생리식염수)를 투입하게 되는데, LAMS 수술을 받은 환자 중에서 일부 환자는 수술 이후 체내에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되어 어지러움을 느끼거나, 집으로 가던 중에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LAMS 수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전후 생체신호의 변화율 또는 변화량을 분석하여 해당 환자의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될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알람 제공부(230)는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이 기준징후 이상이면 환자에게 이상징후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수술을 받은 환자가 집으로 가던 중에 어지러움을 느끼는 경우, 해당 환자가 자리에 앉기만 해도 쓰러져서 팔이 부러지거나, 머리(또는 얼굴)가 다치는 등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알람 제공부(230)는 특정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해당 환자에게 진동 또는 소리로써 이상징후 알람을 제공하여 그 자리에 즉시 앉거나 휴식을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생체신호 수집부(210), 이상징후 결정부(220) 및 알람 제공부(23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환자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가 환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예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환자의 손목을 통해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단계 S310).
일 실시예에서,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생체신호 수집부(210)를 통해 환자의 혈압, 심박수, 체온 또는 산소포화도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환자로부터 수신되는 생체신호를 분석하는 최소 단위로써 생체신호 분석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설정된 생체신호 분석구간을 오버랩하도록 설정하여 환자의 상태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오버랩의 범위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오버랩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Range_overlap = Interval_C + F(v)
F(v) = Interval_Max * Average(S_before/S_after)
여기에서, Range_overlap는 오버랩의 범위, Interval_C는 표준 오버랩 범위, F(v)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생체신호 분석구간을 조정하는 함수에 해당한다. Average(S_before/S_after)는 환자의 생체신호 변화율(또는 변화량)에 대한 평균값에 해당하고, S_before는 수술 전의 환자의 생체신호, S_after는 수술 후의 환자의 생체신호에 해당하고, Interval_Max는 생체신호 분석구간이 최대로 오버랩될 수 있는 최대 오버랩 범위에 해당한다.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표준 오버랩 범위(표준 오버랩 범위는 환자의 상태정보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초, 10초 등 특정 단위로 설정될 수 있음)에 맞게 현재 생체신호와 다음 생체신호 분석구간을 오버랩하여 생체신호 분석구간을 설정할 수 있고, 수술 전의 환자의 생체신호의 평균적인 수치 대비 수술 후의 환자의 생체신호의 평균적인 수치의 변화율(또는 변화량)을 기초로 생체신호 분석구간의 오버랩되는 범위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수술 전후의 생체신호의 변화정도가 매우 큰 환자(예: 급격한 혈압 저하, 체온 저하 등)일 경우, 위의 수학식을 기초로 해당 환자의 생체신호 분석구간의 오버랩 범위를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해당 환자가 퇴원 후 귀가 시간까지 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로부터 결정된 생체신호 분석구간의 오버랩 범위를 수신할 수 있고, 생체신호 수집부(210)는 수신된 생체신호 분석기간의 오버랩 범위를 기초로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환자의 수술 전후 생체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수집된 생체신호의 분석을 통해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320).
일 실시예에서,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이상징후 결정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환자를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고, 분류되는 위험군에 따라 환자에게 이상징후가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신은 갑작스럽게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것으로 여러가지 원인이 있으나, 주로 뇌혈류가 8-10초 이상 급격하게 감소하여 혈압 및 맥박이 낮아지고, 뇌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감소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위험군에 해당하는 환자의 생체신호의 변화(특히, 혈압, 심박수, 산소포화도 등) 양상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환자의 위험군이 기준위험 이상이면 해당 환자의 생체신호 변화율(또는 변화량)을 감지하여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환자의 전해질 불균형 발생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P(%) = F(Count)* α
F(Count)= (N_Patient / N_Average)*100
여기에서, P는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될 확률, F(Count)는 특정 환자의 생체신호 이상 발생 횟수를 측정하는 카운트 함수에 해당하고, N_Patient는 기준시간당 특정 환자의 생체신호 변화율이 기준보다 급격하게 증감하는 횟수, N_Average는 기준위험군에 속하는 환자들의 기준시간당 특정 환자의 생체신호 변화율이 기준보다 급격하게 증감하는 평균 횟수에 해당하고, α는 특정 환자가 받은 수술(또는 시술)의 종류에 관한 변수에 해당한다.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위험군으로 분류된 환자의 전해질 불균형 발생 확률을 산출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기준 시간당 해당 환자의 생체신호(특히, 맥박, 산소포화도)의 변화율(또는 변화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횟수(이하, 이상징후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고, 기준위험군에 속하는 다른 환자들의 평균적인 이상징후 발생 횟수 대비 해당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횟수의 비율을 통해 전해질 불균형 발생 확률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해당 환자가 받은 수술(또는 시술)의 종류에 따른 변수(예: 수술시간, 수술에 투여되는 약물의 종류 등)를 함께 고려하여 불균형 발생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제1 환자로부터 생체신호를 1분 단위로 수신하는 경우, 10분(기준시간)동안 제1 환자로부터 수집된 이상징후 발생 횟수가 10번에 해당하고, 제1 환자와 같은 위험군에 속한 다른 환자들의 10분(기준시간)동안 평균 이상징후 발생 횟수가 15번이라면, 제1 환자에게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될 확률을 66.66%에 해당할 수 있고, 제1 환자가 받은 수술에 관한 변수에 따라 66.66%보다 적거나 크게 변경될 수 있다.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이상징후 결정부(220)로부터 위의 과정을 통해 산출된 특정 환자의 전해질 불균형 발생 확률이 70%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알람 제공부(230)을 제어하여 이상징후 알람을 주기적으로(예: 10분에 한번) 해당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징후 결정부(220)는 생체신호를 기초로 환자가 쓰러지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환자의 전해질 불균형이 기준 불균형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생체신호를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에 해당 환자의 생체신호 및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여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이상징후 결정부(220)(또는 위치센서 등)을 통해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의 위치가 수직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환자가 쓰러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환자의 생체신호를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에 제공할 수 있다.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이 기준징후 이상이면 환자에게 이상징후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30).
일 실시예에서,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알람 제공부(230)를 통해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게 이상징후 알람을 제공하여 즉시 자리에 앉거나 휴식을 취하도록 진동 또는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알람 제공부(230)는 '즉시 앉으시오'와 같은 문자와 함께 진동 또는 소리로써 해당 환자가 그 자리에 앉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는 환자들이 스스로 자신의 상태가 이상함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 입력을 통해(사용자가 직접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의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터치입력을 통해)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110)와 연동되어 있는 환자상태 관리 서버(120), 환자의 보호자(또는 병원의 담당자)의 스마트폰(130) 또는 공공기관(예: 119, 112 등)(140)에 긴급상황임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110: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112: 손목밴드
114: 본체 115: 환자의 스마트폰
120: 환자상태 관리 서버 130: 환자 보호자의 스마트폰
140: 공공기관
210: 생체신호 수집부 220: 이상징후 결정부
230: 알람 제공부 240: 제어부

Claims (8)

  1. 손목밴드; 및
    상기 손목밴드와 결합되어 환자의 손목과 접촉되며 복수의 생체신호 분석구간들을 오버랩하여 복수의 상기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하는 생체신호 수집부;
    상기 생체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을 결정하는 이상징후 결정부; 및
    상기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이 기준징후 이상이면 상기 환자에게 진동 또는 소리로써 이상징후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징후 결정부는
    일반 환자의 수술 전 기준 생체신호에 관해 수술 후 기준 생체신호의 변화율 또는 변화량이 상기 일반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는 기존에 학습된 학습내용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를 분류하여 상기 환자의 위험군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수집부는
    다음 생체신호 분석구간과 오버랩될 수 있는 현재 생체신호 분석구간 동안 상기 생체신호로 상기 환자의 혈압, 심박수, 체온 및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여 생체신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수집부는
    상기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하기 수학식을 통해 상기 오버랩의 범위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수학식]
    Range_overlap = Interval_C + F(v)
    F(v) = Interval_Max * Average(S_before/S_after)
    여기에서, Range_overlap는 오버랩의 범위, Interval_C는 표준 오버랩 범위, F(v)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생체신호 분석구간을 조정하는 함수에 해당하고, Average(S_before/S_after)는 환자의 생체신호 변화율 또는 변화량에 대한 평균값, S_before는 수술 전의 환자의 생체신호, S_after는 수술 후의 환자의 생체신호, Interval_Max는 생체신호 분석구간의 최대 오버랩 범위에 해당한다.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징후 결정부는
    상기 환자의 위험군이 기준위험 이상이면 상기 생체신호의 변화율 또는 변화량을 감지하여 상기 환자의 전해질 불균형 발생 확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징후 결정부는
    상기 생체신호를 기초로 상기 환자가 쓰러지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환자의 전해질 불균형이 기준 불균형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생체신호를 환자상태 관리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환자상태 관리 서버의 학습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8. 병원의 퇴원 전에 환자의 손목에 착용된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에서 수행되는 환자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손목을 통해 상기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생체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이상징후 발생 가능성이 기준징후 이상이면 상기 환자에게 이상징후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징후 결정 단계는
    일반 환자의 수술 전 기준 생체신호에 관해 수술 후 기준 생체신호의 변화율 또는 변화량이 상기 일반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는 기존에 학습된 학습내용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를 분류하여 상기 환자의 위험군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링 방법.
KR1020180020475A 2018-02-21 2018-02-21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2060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475A KR102060322B1 (ko) 2018-02-21 2018-02-21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475A KR102060322B1 (ko) 2018-02-21 2018-02-21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657A KR20190100657A (ko) 2019-08-29
KR102060322B1 true KR102060322B1 (ko) 2019-12-30

Family

ID=6777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475A KR102060322B1 (ko) 2018-02-21 2018-02-21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481B1 (ko) * 2020-05-11 2021-01-08 주식회사 위드블록 블록체인 기반 집단방역 관리 시스템
KR102360374B1 (ko) * 2020-06-29 2022-02-0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복수의 수술들을 받아야 하는 환자를 위한 홈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521116B1 (ko) * 2020-12-17 2023-04-12 주식회사 휴이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서버, 디바이스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568281B1 (ko) * 2021-06-04 2023-08-1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심전도를 이용한 고칼륨 혈증 예측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8728A (ja) * 2007-09-12 2010-12-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アラーム及び動向付け機能を有するqt間隔監視システム
KR101809131B1 (ko) * 2015-11-26 2017-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것의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470A (ko) 2015-04-14 2016-10-24 주식회사 에스원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795761B1 (ko) 2015-10-13 2017-11-08 김태평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8728A (ja) * 2007-09-12 2010-12-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アラーム及び動向付け機能を有するqt間隔監視システム
KR101809131B1 (ko) * 2015-11-26 2017-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것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657A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322B1 (ko) 환자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US11363996B2 (en) Early warning method, device and system of sudden death
KR102129730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환자상태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상태 예측 방법
US102131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measurement of sleep quality
US10610144B2 (en) Interactive remote patient monitoring and condition management intervention system
US9044136B2 (en) Wearable mini-siz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KR101970481B1 (ko)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CN108742594B (zh) 一种穿戴式冠心病检测装置
Latha et al. Automated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Coma Patients
US20140324459A1 (en) Automatic health monitoring alerts
WO2006046648A1 (ja) 健康管理装置及びこれ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10143415B2 (en) Method of monitoring a patient for seizure activity and evaluating seizure risk
KR101308522B1 (ko) 다중 생체 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혈압 모니터링 및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CN109310351A (zh) 用于表征对象的心率的评估系统和方法
CN105380655A (zh) 一种移动终端的情绪预警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0959662B2 (en) Seizure prediction using cardiovascular features
US20190328253A1 (en) Wearable heart monitoring device, hear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ernandes et al. Detecting false alarms by analyzing alarm-context information: Algorithm development and validation
US20130307686A1 (en) Blood-chemistry imbalance determination by means of reflex reaction time measurements
Lan et al. Poster: DeePTOP: Personalized Tachycardia Onset Prediction Using Bi-directional LSTM in Wearable Embedded Systems.
Ghazal et al. An integrated caregiver-focused mHealth framework for elderly care
KR20130062464A (ko) 생체신호수집을 위한 usn 기반의 통합의료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158759A (zh) 一种离床检测报警系统及装置
KR102556663B1 (ko)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16137698A1 (en) Calculating pulse transit time from chest vib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