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128B1 -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128B1
KR102060128B1 KR1020130019455A KR20130019455A KR102060128B1 KR 102060128 B1 KR102060128 B1 KR 102060128B1 KR 1020130019455 A KR1020130019455 A KR 1020130019455A KR 20130019455 A KR20130019455 A KR 20130019455A KR 102060128 B1 KR102060128 B1 KR 10206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point
navigation device
route
path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324A (ko
Inventor
정대연
이영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12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2Guidance using simplified or iconic instructions, e.g. using arr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장치가 회전지점에 접근하면 회전 후 즉, 설정된 경로의 진행방향 영역을 미리 더 넓게 표시하는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네비게이션장치는 네비게이션을 위한 지도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포함하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네비게이션장치가 상기 경로의 회전지점에 접근하면, 상기 회전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경로의 진행방향의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네비게이션장치가 회전지점에 접근하는 경우, 회전 후 즉, 설정된 경로의 진행방향 영역을 미리 더 넓게 표시함으로써, 네비게이션장치의 사용자가 회전지점에서 설정된 경로에 의한 진행방향의 영역을 미리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주변의 상황을 미리 파악하고 경로 및 이동상의 변화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NAVIG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네비게이션장치를 이용하여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있어 경로 및 진행방향의 영역을 미리 더 넓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장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는 네비게이션장치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상 지도를 회전하는 Heading Up Display방식과 디스플레이 상의 지도를 네비게이션장치의 위치를 회전하는 North Up Display 방식이 있다.
    네비게이션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많은 영역을 확보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현재 위치는 디스플레이 상의 중앙 하단에 위치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정보인 지나갈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 및 지도영역의 데이터를 많이 디스플레이하고, 지나온 경로에 해당하는 경로 및 지도영역의 데이터는 적게 출력한다.
이동 중 회전지점에서, 사용자에게 중요한 경로 정보는 현재 이동 방향과 다른 쪽 즉, 설정된 경로에 의한 진행방향의 영역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회전지점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에 대한 반영이 없어 현재 이동 방향의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고 있음으로 사용자는 회전에 의한 경로의 주변상황 및 변화에 대한 대처가 미흡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장치의 사용자가 회전지점에서 설정된 경로에 의한 진행방향의 영역을 미리 볼 수 있다면 사용자는 주변의 상황을 미리 파악하고 경로 및 이동상의 변화를 빠르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네비게이션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네비게이션장치가 회전지점에 접근하는 경우, 회전 후 즉, 설정된 경로의 진행방향 영역을 미리 더 넓게 표시하는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네비게이션장치는, 네비게이션을 위한 지도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포함하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네비게이션장치가 상기 경로의 회전지점에 접근하면, 상기 회전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경로의 진행방향의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장치가 상기 회전지점에 접근하면, 상기 회전지점이 상기 진행방향과 역방향 영역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경로 및 상기 진행방향의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장치가 상기 회전지점에 접근하면, 상기 네비게이션장치의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지점을 상기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되는 상기 회전지점에 대응하여 상기 경로 및 상기 진행방향의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장치가 상기 회전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네비게이션장치의 현재위치를 상기 진행방향과 역방향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장치가 상기 회전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지점에서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도를 회전하여 표시하며, 상기 네비게이션장치의 현재위치를 상기 진행방향과 역방향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네비게이션장치의 제어방법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여 지도 및 상기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경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장치가 상기 경로의 회전지점에 접근하면, 상기 회전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경로의 진행방향의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행방향의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장치가 상기 회전지점에 접근하면, 상기 회전지점을 상기 진행방향과 역방향 영역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경로 및 상기 진행방향의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행방향의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장치가 상기 회전지점에 접근하면, 상기 네비게이션장치의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지점을 상기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되는 상기 회전지점에 대응하여 상기 경로 및 상기 진행방향의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행방향의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장치가 상기 회전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네비게이션장치의 현재위치를 상기 진행방향과 역방향의 일측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행방향의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장치가 상기 회전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지점에서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도를 회전하여 표시하며, 상기 네비게이션장치의 현재위치를 상기 진행방향과 역방향의 일측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비게이션장치가 회전지점에 접근하는 경우, 회전 후 즉, 설정된 경로의 진행방향 영역을 미리 더 넓게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는 주변의 상황을 미리 파악하고 경로 및 이동상의 변화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를 나타내는 구성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의 경로가 설정되어 직선으로 이동하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가 회전지점으로 접근하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가 회전지점에 도달하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eading Up Display방식의 네비게이션장치가 회전지점에 도달하여 디스플레이 상 지도가 회전하는 예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orth Up Display 방식의 네비게이션장치가 회전지점에 도달하는 예시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orth Up Display 방식의 네비게이션장치가 회전지점에 도달한 후 회전을 한 예시도이며
도 8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 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이하, 네비게이션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1)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1)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1) 및 네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1)는 영상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추가적으로 통신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10)는 통신부(13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1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2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10)는 네비게이션을 위한 지도와, 목적지까지의 경로(C)를 포함하는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1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영상데이터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데이터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데이터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10)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구성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됨으로써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되어 네비게이션장치(1)에 내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처리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2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2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20)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 및 색보정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패널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세한 구현 방식에 있어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의 입력소스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스케일링(scaling) 등의 영상 처리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이 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가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LCD, PDP, OLED 등의 방식을 포함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LCD패널, PDP패널, OLED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네비게이션장치(1)의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네비게이션장치(1)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경로(C)의 회전지점(R)에 접근하면, 회전지점(R)을 기준으로 설정된 경로(C)의 진행방향의 영역(A)이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통신부(130)는 유선/무선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외부장치(미도시)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30)(150)는 설계방식에 따라서 신호수신부(미도시)와 함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도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로부터 유선/무선으로 전달되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신호처리부 또는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13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UDI(unified display interface), 또는 와이어리스(wireless) HD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0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0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1)는 사용자입력부(미도시), 전원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기 설정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입력부는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된 입력 키 패드(미도시)나, 디스플레이부(120) 상의 터치스크린(미도시) 또는 터치센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입력부는 네비게이션장치(1)와 별도로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또는 모바일 폰과 같은 외부장치(미도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입력부는 통신부(130)와 통신함으로써 제어 커맨드를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네비게이션장치(1)의 제반 구성이 동작하기 위한 직류전원을 제공한다. 전원공급부는 1차전지 또는 2차전지로 구현될 수 있지만, 활용성을 위해 외부전원으로 충전 가능한 2차전지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유선으로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네비게이션장치(1)의 제반 구성이 동작하기 위한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공급부는 제어부(100)에 의해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바, 예를 들면 특정 구성요소에 대한 전원의 출력 여부, 출력 전압의 레벨, 출력 듀티(duty)의 조정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1)의 경로(C)가 설정되어 직선으로 이동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네비게이션장치(1)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경로(C) 및 설정된 경로(C)에 의한 진행방향의 영역(A)을 표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위치(P)는 네비게이션장치(1)의 위치를 나타내며, 회전지점(R)은 설정된 경로(C)에 의한 회전지점(R)이며, 경로(C)는 지로 상에 나타나는 굵은 선으로 표시되는 것이며, 지도영역(A)은 통신부(130)를 통하여 위성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으며, 네비게이션장치(1)의 이동에 대응하여 그 영역(A)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지도영역(A)이다.
도 2에는 현재위치(P)에서 설정된 경로(C)을 따라 회전지점(R)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으로 접근하는 예시도이다. 도 3에는 사용자 및 생산자에 의해 기설정된 회전지점(R)과의 소정거리 이내로 진입하여 회전지점(R)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제어부(100)는 회전지점(R)이 진행방향과 역방향 영역(A)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경로(C) 및 상기 진행방향의 영역(A)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와는 다르게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에 접근하면 즉,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과의 소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회전지점(R)이 진행방향과 역방향(①) 영역(A)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표시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하여 진행하려는 진행방향의 영역(A)이 ②만큼 넓게 확장되어 표시되었으며, 그에 따른 설정된 경로(C)도 표시되었다. 회전지점(R)이 진행방향과 역방향 영역(A)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표시하는 것은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에 접근하면 즉,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과의 소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면 네비게이션장치(1)의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회전지점(R)을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시키며, 이동되는 회전지점(R)에 대응하여 진행방향의 영역(A) 및 경로(C)를 표시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에 접근하면 즉,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과의 소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면 회전지점(R)에서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도록 지도를 회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에 도달하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점(R)이 진행방향과 역방향 영역(A)의 일측에 표시되어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으로 이동하여 도달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eading Up Display방식의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에 도달하여 디스플레이 상 지도가 회전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회전지점(R)에서 우회전으로 경로(C)가 설정되어 있어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에 도달되면, 회전지점(R)에서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도록 지도를 회전(③)하여 표시하며, 네비게이션장치(1)의 현재위치(P)를 진행방향과 역방향의 중앙끝측 즉, 진행방향이 디스플레이부(120)의 상하로 표시되어 디스플레이부(120) 중앙 하단측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지도가 회전도이 표시되면 네비게이션장치(1)의 현재위치(P)를 진행방향과 역방향의 일측 즉, 진행방향이 디스플레이부(120)의 상하로 표시되어 디스플레이부(120) 하단측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orth Up Display 방식의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에 도달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Heading Up Display방식의 네비게이션장치(1)와 표시하는 방식은 일부 다르나, 회전지점(R)까지 이동하는 것은 동일하다.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과의 소정거리 이내로 진입하여 회전지점(R)이 진행방향과 역방향 영역(A)의 일측에 표시되었으며,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으로 이동하여 접근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orth Up Display 방식의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에 도달한 후 회전을 한 예시도이다. North Up Display 방식의 네비게이션장치(1)는 디스플레이 상의 지도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네비게이션의 현재위치(P)가 경로(C)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현재위치(P)가 이동되어 표시되는 것에 대응하여 경로(C) 및 진행방향의 영역(A)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에 도달하면, 네비게이션장치(1)의 현재위치(P)를 진행방향과 역방향의 중앙끝측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네비게이션장치(1)의 현재위치(P)를 진행방향과 역방향의 일측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1)가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 이다. 이후, 네비게이션장치(1)의 동작을 도 8을 통하여 설명한다. 단, 일예로 차량에 장착된 네비게이션장치(1)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네비게이션장치(1)의 사용자입력부를 조작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C)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경로(C) 및 지도 즉, 진행방향의 영역(A)이 표시되도록 한다(S11). 이후 사용자는 차량을 경로(C)를 따라 이동한다(S12).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경로(C)의 회전지점(R)에 접근하는지 판별한다(S13).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경로(C)의 회전지점(R)에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현재 설정된 경로(C) 및 진행방향의 영역(A)을 나타내는 지도를 그대로 표시한다(S15).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경로(C)의 회전지점(R)에 접근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회전지점(R)을 기준으로 설정된 경로(C)의 진행방향의 영역(A)을 표시한다(S14).
도 9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네비게이션장치(1)의 사용자입력부를 조작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C)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경로(C) 및 지도 즉, 진행방향의 영역(A)이 표시되도록 한다(21). 이후 사용자는 차량을 경로(C)를 따라 이동한다(S22).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경로(C)의 회전지점(R)에 접근하는지 판별한다(S23).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경로(C)의 회전지점(R)에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현재 설정된 경로(C) 및 진행방향의 영역(A)을 나타내는 지도를 그대로 표시한다(S26).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경로(C)의 회전지점(R)에 접근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회전지점(R)을 디스플레이부(120) 진행방향과 역방향 영역(A)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표시한다(S24). 이에 의해 설정된 경로(C) 및 진행방향의 영역(A)을 표시한다(S25). 사용자는 회전지점(R)으로 이동한다. 도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회전지점(R)에 도달했는지 판별한다(S41).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회전지점(R)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계속하여 판별작업을 한다. 여기서, 거리감지정보(미도시)를 통하여 회전지점(R)으로의 도달정보를 수신한다면, 판별작업은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회전지점(R)에 도달했다면, 네비게이션장치(1)의 현재위치(P)를 진행방향과 역방향의 일측에 표시한다(S42).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회전지점(R)에 도달한 후 또 다른 방법으로는,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회전지점(R)에 도달했다면(S51), 회전지점(R)에서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도록 지도를 회전하여 표시하며(S52), 네비게이션장치(1)의 현재위치(P)를 진행방향과 역방향의 일측에 표시한다(S53).
도 10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네비게이션장치(1)의 사용자입력부를 조작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C)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경로(C) 및 지도 즉, 진행방향의 영역(A)이 표시되도록 한다(S31). 이후 사용자는 차량을 경로(C)를 따라 이동한다(S32).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경로(C)의 회전지점(R)에 접근하는지 판별한다(S33).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경로(C)의 회전지점(R)에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현재 설정된 경로(C) 및 진행방향의 영역(A)을 나타내는 지도를 그대로 표시한다(S36).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경로(C)의 회전지점(R)에 접근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네비게이션장치(1)의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회전지점(R)을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한다(S34). 이에 이동되는 회전지점(R)에 대응하여 설정된 경로(C) 및 진행방향의 영역(A)을 표시한다(S35). 사용자는 회전지점(R)으로 이동한다. 도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회전지점(R)에 도달했는지 판별한다(S41).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회전지점(R)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계속하여 판별작업을 한다. 여기서, 거리감지정보(미도시)를 통하여 회전지점(R)으로의 도달정보를 수신한다면, 판별작업은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회전지점(R)에 도달했다면, 네비게이션장치(1)의 현재위치(P)를 진행방향과 역방향의 일측에 표시한다(S42).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회전지점(R)에 도달한 후 또 다른 방법으로는, 네비게이션장치(1)가 설정된 회전지점(R)에 도달했다면(S51), 회전지점(R)에서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도록 지도를 회전하여 표시하며(S52), 네비게이션장치(1)의 현재위치(P)를 진행방향과 역방향의 일측에 표시한다(S53).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으로 인하여, 네비게이션장치(1)가 회전지점(R)에 접근하는 경우, 회전 후 즉, 설정된 경로(C)의 진행방향 영역(A)을 미리 더 넓게 표시함으로써, 네비게이션장치(1)의 사용자가 회전지점(R)에서 설정된 경로(C)에 의한 진행방향의 영역(A)을 미리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주변의 상황을 미리 파악하고 경로(C) 및 이동상의 변화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 : 네비게이션장치 100: 제어부
110 : 영상처리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통신부 140 : 저장부

Claims (1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네비게이션을 위한 지도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포함하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위치와, 상기 경로의 회전지점을 나타내는 제1지도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경로의 회전지점에 접근하면, 상기 회전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경로의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지도영역을 상기 화면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제1지도영역과 함께 상기 회전지점 이후의 경로를 나타내는 제2지도영역이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회전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지점에서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도를 회전하여 표시하는 전자장치.
  6.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목적지가 설정된 경로에서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위치와, 상기 경로의 회전지점을 나타내는 제1지도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경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경로의 회전지점에 접근하면, 상기 회전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경로의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지도영역을 화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된 제1지도영역과 함께 상기 회전지점 이후의 경로를 나타내는 제2지도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도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회전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지점에서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도록 지도를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019455A 2013-02-22 2013-02-22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60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55A KR102060128B1 (ko) 2013-02-22 2013-02-22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55A KR102060128B1 (ko) 2013-02-22 2013-02-22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324A KR20140105324A (ko) 2014-09-01
KR102060128B1 true KR102060128B1 (ko) 2020-02-11

Family

ID=5175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455A KR102060128B1 (ko) 2013-02-22 2013-02-22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635B1 (ko) * 2015-06-30 2022-02-21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Html5 시각화함수를 이용한 지도 이동 및 회전 구현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576A (ja) * 2001-03-02 2002-09-11 Mitsubishi Electric Corp 経路案内装置及び経路案内方法
JP2002340595A (ja) 2001-05-14 2002-11-27 Denso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2313B2 (ja) * 1995-09-19 2000-10-23 住友電装株式会社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456055B1 (ko) * 2002-07-15 2004-11-08 프리넥스 주식회사 자동차 네비게이션용 차선 안내 방법
EP1416252A2 (en) * 2002-11-01 2004-05-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of the recommended route in a navigation device
KR20100010298A (ko) * 2008-07-22 2010-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576A (ja) * 2001-03-02 2002-09-11 Mitsubishi Electric Corp 経路案内装置及び経路案内方法
JP2002340595A (ja) 2001-05-14 2002-11-27 Denso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324A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919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2542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713287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画面制御方法及び測定間隔制御方法
KR102198783B1 (ko)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102643587B1 (ko) 영상표시장치
JP2009063587A (ja) 表示装置、移動体用表示装置、輝度調整処理プログラム及び輝度調整方法
KR102060128B1 (ko)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459761A (zh) 一种行车途中远程视频的使用方法及触控显示车窗系统
US2019029547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US201400261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50067583A1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069373A (ja) 画像表示装置
JP2007155552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60089752A (ko)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60189631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30019485A (ko)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5028738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0485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US1198407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same
KR10239991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224634B1 (ko) 영상표시장치
KR2021008624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67180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CN206100108U (zh) 一种车载移动通讯设备支架
US2021019299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