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111B1 -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111B1
KR102060111B1 KR1020170182701A KR20170182701A KR102060111B1 KR 102060111 B1 KR102060111 B1 KR 102060111B1 KR 1020170182701 A KR1020170182701 A KR 1020170182701A KR 20170182701 A KR20170182701 A KR 20170182701A KR 102060111 B1 KR102060111 B1 KR 10206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ember
elderly
patient
base por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0318A (ko
Inventor
지용진
Original Assignee
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용진 filed Critical 지용진
Priority to KR1020170182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1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로드부재와 로드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로드부재를 따라 수직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무릎거치부 및 로드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베이스부는 회전 가능하여 노약자 또는 환자가 베이스부에 기립한 후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베이스부를 회전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을 포함하는 기구에 의해 노약자나 환자를 쉽게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Motion assisting apparatus for senior and patient}
본 발명은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간의 이동이 불편한 노약자 및 환자를 쉽게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환자의 경우 병원에 비치된 침대에서 주로 생활을 한다. 이 때 오랜 시간 한 자세로 계속 침대에 앉아 있거나 누워있는 경우 침대가 오염되거나, 노약자나 환자의 신체의 부위에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그 부위에 순환의 장애가 일어나 그 부분의 피하조직 손상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침대간의 이동, 침대의 침구정리를 위한 침대공간에서의 이탈, 자세변환을 위한 기립, 침대에서 다른 이동기구로 이동하는 것 등의 활동이 필요하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보호자는 노약자나 환자를 양손으로 받쳐 들어 노약자나 환자를 침대에서 이탈시킨 후 침구를 정리하거나 침대간 또는 침대에서 다른 들 것으로의 이동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 경우 보호자가 노약자나 환자를 받쳐 드는 과정에서 낙상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는 보호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해져 보호자가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 중 하나인 “기립보조기”(등록번호: 10-1270368)의 경우 하반신의 운신이 자유롭지 않은 장애인을 스스로 안전하게 기립하여 이동을 보조하는 기구로써 가스실린더부(101, 102), 가스실린더보호부(103), 손잡이부(105), 수축기부(113) 및 가스실린더지지부(1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기의 신축작용으로 하반신의 운신이 자유롭지 않은 장애인이 보조자의 부축 없이 일어서거나 앉을 수 있으며 자립이동이 가능하나, 침대에 누워서 생활하는 환자가 손잡이부를 잡고 기립하는 것은 어려우며 장거리 이동이 아닌 침대간의 이동 또는 침대에서 다른 들 것으로의 이동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종래 기술 중 하나인 “회전 이송 및 기립/착석 보조 장치”(공개번호 10-2013-0111088)의 경우 노약자나 환자의 침대와 침대 또는 침대와 검진 및 의료장치로의 환자 이송을 위해 상하 프레임부(100), 좌우 프레임부(110), 탑승 의자부(200), 회전부(250), 제1안전장치부(300), 제2안전장치부(305), 안전 지지대(310), 바퀴부(350), 하지 보조시스템(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운동을 통해 환자의 침대간 이송이 가능하나, 환자의 착석을 위해 보호자가 환자를 들쳐 올려야 하는 과정에서 상술한 낙상의 문제점, 보호자의 부상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침대와 침대간의 사이 간격은 매우 좁은 것에 비해, 본 발명은 탑승 의자부(200) 자체를 회전시킴으로써 기구·장치가 갖는 부피로 인한 공간적 제약이 따르는 상황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노약자나 환자를 구성이 간단한 기구를 통해 쉽게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고, 기구가 갖는 부피가 작아 침대와 침대사이에 설치되어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는 로드부재와 상기 로드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로드부재를 따라 수직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무릎거치부 및 상기 로드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회전 가능하여 노약자 또는 환자가 상기 베이스부에 기립한 후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를 회전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각도 이상 기울기를 가진 경우 상기 이동수단이 지면과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는 압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이 상기 로드부재에 인입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에 연결되어 노약자 또는 환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는 벨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는 일정한 외력이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경우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로드부재는 일측에 적어도 둘 이상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무릎거치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을 포함하는 기구에 의해 노약자나 환자를 쉽게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경제적이고, 기구가 갖는 부피가 작아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노약자나 환자를 이송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측면 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논리적으로 기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정면도이고, 도3은 도1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보조기구(100)는 로드부재(110), 손잡이부(130), 무릎거치부(121,123,125), 베이스부(150),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무릎거치부는 높이조절부재(121), 높이고정부재(123), 지지대(124), 무릎거치대(125)를 포함하며, 고정수단은 실린더(141), 축(142), 와이어(143), 벨트부재(145)를 포함하고, 베이스부(150)는 이동수단(151), 브레이크(153), 표시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각각 구성요소 내지 각 구성요소간의 결합관계를 이하 설명한다.
로드부재(110)는 노약자나 환자의 평균적인 신체에 맞춰 일정한 길이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30)가 구비되는 일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일정한 기울기를 가진 만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만곡된 형상이라 함은 로드부재(110)가 직선으로 연장하다가 어느 일점을 기준으로 기울기를 갖고 만곡되는 형상을 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
손잡이부(130)는 로드부재(110)가 만곡되는 상부 일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중심이 비어있는 타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노약자나 환자가 파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지 본 도면에 의해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무릎거치부는 노약자나 환자의 무릎이 직접 맞닿는 무릎거치대(125)와 무릎거치대를 지지하는 지지대(124)와 지지대(124)와 연결되어 무릎거치대(125)를 로드부재(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부재(121)와 높이조절부재(121)에 의해 조절된 일정한 위치를 고정하는 높이고정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무릎거치대(125)는 오목한 형상으로 노약자나 환자의 무릎을 감싸주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121)는 로드부재(110)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로드부재(110)의 수직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높이고정부재(123)는 로드부재(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홀(1231)의 위치와 맞물려 삽입됨으로써 높이조절부재(12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대(124)는 높이조절부재(121)와 연결되어 노약자나 환자가 무릎거치대(125)에 무릎을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모멘트를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지닌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수단은 로드부재(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실린더(141)와 일측이 실린더(141)로부터 연장되어 타측에 벨트부재(145)와 연결되는 와이어(143)와 와이어(143)의 연장방향을 수직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변경하는 축(142)과 노약자나 환자의 신체일부를 감싸는 벨트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41)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으며 와이어(143)에 일정한 장력을 전달하여 와이에 일정한 외력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경우에 실린더(141)로부터 와이어(143)가 인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즉 갑작스러운 외력이 와이어(143)에 전달되는 경우 와이어(143)의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143)는 로드부재(110)의 내부에서 실린더(141)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축(142)을 기준으로 수평한 방향으로 그 방향이 변경되어 연장될 수 있다.
벨트부재(145)는 노약자나 환자의 허리를 감싸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의 버클, 고리장치 등에 의해 노약자나 환자의 허리를 감싸 고정할 수 있을 있다.
베이스부(150)는 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일측에 이동수단(151)이 연결되고, 상측에 베이스부(150)의 회전을 저지하는 브레이크(153)가 연결되고, 상면에 노약자나 환자가 기립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재(1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수단(151)은 베이스부(150)의 일측에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연결되어 베이스부(15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각도 이상 기울기를 가진 경우에 이동수단(151)이 지면과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다.
브레이크(153)는 일정한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150)의 상측 어느 일부분에 연결되어 지면과 일정한 간격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되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153)는 브레이크(153) 자체가 갖는 탄성력을 통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지면과 맞닿아 베이스부(15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스프링과 같은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표시부재(155)는 노약자나 환자가 베이스부(150)에 기립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구성요소의 기능 내지 효과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로드부재(110)는 곧은 자세를 유지하기 힘든 노약자나 환자를 위해 일정한 지점을 기준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만곡된 형상의 끝에 손잡이부(130)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노약자나 환자의 신체적 특성상 각각 다른 위치에서 무릎을 거치하기 위해 높이조절부재(121)는 로드부재(110)를 따라 수직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노약자나 환자의 무릎이 위치하는 지점에 무릎거치대(125)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로드부재(110)의 일측에 형성된 홀(1231)의 위치에 맞물려 높이고정부재(123)가 홀(1231)에 삽입됨으로써 무릎거치대(125)를 고정할 수 있다.
노약자나 환자는 베이스부(150)를 딛고 일어나 무릎거치부에 무릎을 위치시킨 후 고정수단에 의해 넘어짐, 낙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신체의 일부를 고정시키고 손잡이부(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보호자는 베이스부(150)를 회전시켜 침대간 또는 침대에서 다른 들 것 등으로 환자를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보조기구
110 : 로드부재
130 : 손잡이부
121 : 높이조절부재
123 : 높이고정부재
1231 : 홀
124 : 지지대
125 : 무릎거치대
141 : 실린더
142 : 축
143 : 와이어
145 : 벨트부재
150 : 베이스부
151 : 이동수단
153 : 브레이크
155 : 표시부재

Claims (5)

  1. 로드부재와
    상기 로드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로드부재를 따라 수직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무릎거치부

    상기 로드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회전 가능하여 노약자 또는 환자가 상기 베이스부에 기립한
    후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를 회전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각도 이상 기울기를 가진 경우 상기 이동수단이 지면과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는 압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이 상기 로드부재에 인입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에 연결되어 노약자 또는 환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는 벨
    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는 일정한 외력이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경우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로드부재는 내부에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와이어의 일측과 연결되어 와이어의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는 일측에 적어도 둘 이상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무릎거치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
KR1020170182701A 2017-12-28 2017-12-28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 KR102060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701A KR102060111B1 (ko) 2017-12-28 2017-12-28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701A KR102060111B1 (ko) 2017-12-28 2017-12-28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318A KR20190080318A (ko) 2019-07-08
KR102060111B1 true KR102060111B1 (ko) 2019-12-27

Family

ID=67256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701A KR102060111B1 (ko) 2017-12-28 2017-12-28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262A (ko) 2021-02-26 2022-09-02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보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56959A1 (en) * 2015-12-04 2017-06-08 Robert Domenick Rotational/Translational Transfer Lif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4003A (en) * 1988-02-01 1990-06-19 Echo Corporation Device for transferring the disable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56959A1 (en) * 2015-12-04 2017-06-08 Robert Domenick Rotational/Translational Transfer Lif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262A (ko) 2021-02-26 2022-09-02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318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5818B1 (en) Birthing support apparatus
EP1036552A1 (en) Lift with pelvic support
JP5698665B2 (ja) 患者抱き上げ用具
JP2008036392A (ja) 介護補助装置
EP1103242B1 (en) Body support system for patients or the like
JP2008279232A (ja) 移乗装置
JP2010279491A (ja) 人体把持具とそれを用いた移乗支援器具
US11311764B2 (en) Sacroiliac joint exercise assistance device in lateral decubitus position
CN113038915A (zh) 用于支持在其活动方面受限制的人的自行前进运动能力的装置
KR102060111B1 (ko) 노약자 및 환자 이동 보조기구
KR102054767B1 (ko) 운동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건강침대 시스템
KR102027863B1 (ko) 환자의 트랜스퍼용 이동장치
KR102039222B1 (ko) 기립 보조 장치
US6601922B2 (en) Apparatus with lower leg restraints for contributing to support of a handicapped person
CN105078688A (zh) 托腿架
JPH1128220A (ja) 上体支持装置
JP5369147B2 (ja) 立ち上がり補助装置
JP6616603B2 (ja) 介護器具
JP3201239U (ja) 移乗補助装置及びこれを含む自立援護システム
JPH09238988A (ja) 人体の移乗装置
US10813810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sisting persons from a lying position to a sitting position and a sitting position to a lying position
KR20230103194A (ko) 환자 위생 처치용 보조 장구
JP3218215U (ja) 医療・介護用クッション
FI12765Y1 (fi) Siirtotuoli
TWI600420B (zh) 換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