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883B1 - In-water exercise apparatus for 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 - Google Patents

In-water exercise apparatus for 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883B1
KR102059883B1 KR1020190012619A KR20190012619A KR102059883B1 KR 102059883 B1 KR102059883 B1 KR 102059883B1 KR 1020190012619 A KR1020190012619 A KR 1020190012619A KR 20190012619 A KR20190012619 A KR 20190012619A KR 102059883 B1 KR102059883 B1 KR 102059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otrusion
fitness equipment
front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현
이정근
황종석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2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8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8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by moving the surrounding water
    • A63B2021/0081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capable of producing a soft tissue augmentation effect by simply exercising wherever there is wa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underwater exercise device for generating flow of water in the vertical motion in the vicinity of the user′s waist in the water. The underwater exercise device comprises: a C-shaped body surrounding the user′s waist; and a front portion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ody,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body is that at least one protrusion is formed so that the flow of water can be generated by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수중 연부조직가동술을 위한 수중 운동기구{IN-WATER EXERCISE APPARATUS FOR 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IN-WATER EXERCISE APPARATUS FOR 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

본 발명은 수중에서 연부조직가동술을 효과를 내기 위한 운동기구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넛 형태의 운동기구로, 사용자의 복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반복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수중 와류에 의해서 복부에 물리적/기계적인 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ercise device for the effect of soft tissue mobility in water, more specifically, a donut-shaped exercise device, physical / mechanical stimulation to the abdomen by the underwater vortex generated while repeatedly moving up and down in the user's abdomen It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that can be applied.

연부조직가동술(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은 연부조직(지방, 섬유조직, 인대 근육, 신경, 혈관)에 기계적인 자극을 제공하여 유착현상을 제거하고 통증을 제어하고 구조의 기능을 회복시킬 뿐 아니라, 세포단위에서의 대사를 활성화시켜 지방세포의 감소를 가져오는 기법이다.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 provides mechanical stimulation to soft tissues (fat, fibrous tissue, ligament muscles, nerves, blood vessels) to remove adhesions, control pain and restore structure function. It is a technique that reduces fat cells by activating metabolism at the cell level.

특히 지방세포는 기계적인 자극을 받을 때, 신체의 칼로리 소모를 더 쉽게 만들어 체중을 줄이기 쉽게 도와준다. 지방세포에는 물리적 자극을 감지하는 수용체들이 있다. 이 기계적 수용체가 물리적 자극을 받으면 세포의 신호전달체계가 작동하여 결과적으로 지방분화를 억제할 수 있다. 물리적 자극을 이용한 비만 치료는 세포 및 조직에 자극을 주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지방 조직에 압축력, 인장력 등의 변화를 가할 경우 지방세포 내에서 신호전달체계가 활성화되어 지방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연부조직가동술과 유사하게 조직에 압축력과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부항이나 부압자극의 경우, 체지방률이 줄고 혈중 지질이 감소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Fat cells, especially when mechanically stimulated, make it easier for the body to burn calories and help you lose weight. Adipose cells contain receptors that sense physical stimuli. When this mechanical receptor is subjected to physical stimulation, the cellular signaling system is activated, which in turn can inhibit fat differentiation. Obesity treatment using physical stimulation has been studied as a method for stimulating cells and tissues. Especially, when a change in compressive force or tensile force is applied to adipose tissue, a signaling system is activated in fat cells to inhibit fat formation. Known. In addition, similar to soft tissue mobilization, cupping and negative pressure stimulation, which can apply compressive and tensile forces to tissues, reduce body fat percentage and decrease blood lipids.

지방조직은 에너지의 저장, 항상성 조절 등의 복합적인 기능에 관여하고 있으며, 식단의 불균형 및 운동 부족으로 비만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현대인은 건강, 시간 상의 문제로 운동 부족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비만환자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Adipose tissue is involved in complex functions such as energy storage and homeostasis control, and often leads to obesity due to unbalanced diet and lack of exercise. In particular, the number of obese patients is increasing rapidly as the lack of exercise population increases due to health and time problems.

복부 다이어트는 현대사회의 건강산업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복부 다이어트를 해야하는 비만환자의 경우 관절에 무리를 적게하기 위하여 부력을 이용한 수중운동부터 시작한다.The abdominal diet is a big part of the modern health industry, and in the case of obese patients who need to have an abdominal diet, they start with aquatic exercise using buoyancy to reduce the strain on the joints.

이와 같은 복부 비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방 소모를 촉진하는 물속에서의 연부조직가동술은 복부 비만 가장 적합한 기법이라 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f abdominal obesity, soft tissue manipulation in water to promote fat consumption is the most suitable technique for abdominal obesity.

이러한 연부조직가동술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물리적인 자극이 요구된다. 이러한 물리적인 자극을 주기 위해서, 기구를 통하여 전기적인 자극을 주거나 마사지사가 지압하는 방식을 통하여 기계적인 자극을 가한다. 이와 같이 전기적 자극을 위하여 기계를 도입하거나, 반복적으로 마사지사로부터 지압을 받는 것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상당할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is soft tissue mobilization effect, an external physical stimulus is required. To give this physical stimulus, an electrical stimulus is applied through a device or a mechanical stimulus is applied through a method of acupressure by a masseuse. As such, introducing a machine for electrical stimulation or repeatedly receiving acupressure from a massage therapist will be considerable in terms of cost.

이에 따라, 연부조직가동술 효과를 낼 수 있으면서, 간단하고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사용 가능한 운동 기구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exercise equipment that can produce soft tissue mobilization effect and can be used simply and at a relatively low cost.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및 다른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수중에서 물의 와류를 발생시켜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도 높은 이완 효과를 낼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ubject and other subject.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exercise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vortex of water in the water, thereby producing a high relaxation effect at a relatively low cost.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중에서 사용자의 허리 부근에서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으로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수중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C'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 하도록 구비되는 전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안쪽면은,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의해서 물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another object, in the water exercise equipment that generates the flow of water in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near the waist of the user in the water, 'C' shape surrounding the waist of the user Body; And a front part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protrusion is formed so that the flow of water is caused by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ovide.

상기 몸체는 양단에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부는 상기 홈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dy may be provided with grooves at both ends, and the front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홈에서 상기 돌출부가 빠질 경우 탈거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coupled to fit into the groove, and may be removed when the protrusion is removed from the groove.

상기 돌기는, 제 1 돌기 및 제 2 돌기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include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제 1 돌기는,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2 돌기는, 상기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may be formed to extend in an inward direction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formed to extend in an inward direction from a lower surface of the body.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형상과 같이 'C'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may be provided in a 'C' shape like the shape of the body.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 사이에 움푹 들어간 홈이 형성될 수 있다.A recessed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상기 제 1 돌기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 2 돌기의 돌출 높이 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height of the first protrusion may be lower than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second protrusion.

그리고 상기 전면부는 상기 'C'자 형상의 몸체의 열린 부위에 맞는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The front portion may have a fan shape that fits into an open portion of the 'C' shaped body.

또한, 상기 전면부가 상기 몸체에 결합된 전체 운동기구의 형상은, '0'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entire exercise device coupled to the body of the front portion may be a '0' shape.

상기 몸체의 바깥쪽 두께는 안쪽 두께 보다 더 얇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thickness of the body may be formed thinner than the inner thickness.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물만 있으면 어디에서든 간편하게 연부조직가동술 효과를 낼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wa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n effective exercise that can produce a soft tissue mobilization effect anywhe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부에 자극이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전면부를 구비한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ront portion is selectively removabl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timulation is required in the abdomen.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운동기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면부(111)가 탈거된 상태의 수중 운동기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301)가 착용한 상태에서의 수중 운동기구(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몸체(110)의 일단(401)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부(11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부(111)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110), 전면부(111)의 단면 및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derwater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derwater exercise device 100 in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portion 111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illustrating the underwater exercise device 100 in a state worn by the user 3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one end 401 of the body 110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front portion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ortion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ody 110, the front portion 111 and the flow of flui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ily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limited,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and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상술한 바와 같이, 연부조직가동술(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은 신경 유착 증후근(Nerve Entrapment Syndrome)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완 기법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 is a relaxation technique created to solve the neuroencapsulation syndrome (Nerve Entrapment Syndrome).

근육이 무리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는다면, 미세외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손상을 받은 근육은, 자연적으로 쉽게 회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더 악화된다는 것이다. 손상을 받은 근육은 점차적으로 본래의 힘 보다 많은 힘을 사용하여 근육을 움직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더 근피로가 누적되기 때문이다.If the muscles are overwhelmed or impacted from the outside, micro trauma occurs. These damaged muscles are not only easier to recover naturally, but also worsen. Damaged muscles gradually move the muscles using more force than the original force, which causes more muscle fatigue to accumulate.

근피로의 누적은 다시 미세외상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악순환이 되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면, 상처 조직은 점차적으로 두껴워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처조직으로 인하여 다른 근육의 근막과 서로 얽히고 붙게 되는 유착(adhension)이라는 현상을 낳게 된다.Accumulation of muscle fatigue is again a factor causing micro trauma. If this phenomenon occurs in a vicious cycle and continuously occurs, the wound tissue is gradually attenuated, resulting in a phenomenon called adhesion (enthension) that is intertwined with and adhered to the fascia of another muscle.

이러한 유착이 발생할 경우, 첫 번째로 나타나는 징후는 손상된 근육 주변의 정상적인 ROM을 갖디 못하게 된다는 것(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근육끼리 유착되기 때문)이다. 두번째로 나타나는 징후는, 통증과 동반된 이상감각 현상이다. 신경과 혈관은 인체 내에 형성된 근육과 근육사이의 레이어를 지나가게 되는데, 상처 조직으로 인하여 이 공간(신경과 혈관이 지나가는)이 좁아지게 되고, 압박하게 된다면 통증과 더불어 저림, 시림이나 당김과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When such adhesions occur, the first indication is that they do not have normal ROM around the damaged muscles (because they adhere to differently functioning muscles). The second symptom is an abnormal sensation associated with pain. Nerves and blood vessels pass through the layers formed between the muscles and the muscles formed in the human body, and the wound tissue narrows the space (the nerves and blood vessels passing), and if pressed, symptoms such as numbness, tingling or pulling This happens.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와 같이 저림, 시림이나 당김과 같은 현상이 발생했을 때, 치료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Most people feel the need for treatment when such phenomena such as numbness, tingling or pulling occur.

연부조직가동술은 이러한 유착 현상을 제거해줌으로서 통증을 제어하고 ROM을 향상시킨다.Soft tissue mobilization removes these adhesions, controlling pain and improving ROM.

단, 이러한 치료 후 손상된 부위의 적절한 기능적 운동치료와 근신경계의 뉴로모빌리제이션(Nueromobilization)이 이루어져야 재발성 인자를 해결해 줄 수 있다. 연부조직가동술에서는 환자의 능동적 움직임을 동반하여 치료를 실행하게 되는데, 재활적인 요소를 치료와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However, after such treatment, proper functional exercise therapy of the damaged area and neuromobilization of the nervous system should be performed to resolve the recurrence factor. In soft tissue operation, the treatment is carried out with the active movement of the patient. The rehabilitation factor can be acquired simultaneously with the treatment.

이러한 연부조직가동술 효과를 제대로 얻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중에서 운동을 할 때 물의 흐름을 발생/제어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order to properly obtain such soft tissue mobilization effe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exercise device that can generate / control the flow of water when exercising in the water.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운동기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면부(111)가 탈거된 상태의 수중 운동기구(100)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derwater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derwater exercise device 100 in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portion 111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301)가 착용한 상태에서의 수중 운동기구(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illustrating the underwater exercise device 100 in a state worn by the user 3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운동기구(100)는, 수중에서 사용자의 허리 부근에서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으로 물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수중 운동기구(100)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C'형상의 몸체(110), 및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 하도록 구비되는 전면부(111)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안쪽면은,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의해서 물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underwater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flow of water in the vertical movement near the waist of the user in the water. Underwater exercise apparatus 100 includes a 'C'-shaped body 110 surrounding the user's waist, and a front portion 111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the body,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he upper and lower At least on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cause the flow of water by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이때, 전면부(111)가 탈착 가능하도록, 'C'형상의 몸체(110)는 양단에 홈(403)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부(111)에는 상기 홈(403)에 대응하는 돌출부(50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전면부(111)에 구비되는 돌출부(501)가 상기 몸체(110)에 구비되는 홈(403)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홈(403)에서 상기 돌출부(501)가 빠지게 되면, 전면부(111)는 몸체(110)로부터 탈거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front portion 111 is removable, 'C'-shaped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grooves 403 at both ends. 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111 may include a protrusion 501 corresponding to the groove 403. That is, the protrusion 501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111 may be coupled in a form fitted into the groove 403 provided in the body 110. On the contrary, when the protrusion 501 is removed from the groove 403, the front part 111 may be detached from the body 110.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몸체(110) 및 전면부(111)의 구성 및 형상에 대해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shape of the body 110 and the front part 1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몸체(110)의 일단(401)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부(11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부(111)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5 is an enlarged view of one end 401 of the body 110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front portion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ortion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몸체(110)의 안쪽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40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기는, 사용자(301)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잘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402 as described above. Such a protrusion may play a role of generating a flow of water well toward the user 301.

이때 몸체(110)의 안쪽면이란, 'C'자 형상의 몸체(110) 안쪽에 사용자(301)가 위치하고 있을 때, 사용자(301) 방향의 면을 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may mean a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user 301 when the user 301 is located inside the '110'-shaped body 110.

상기 돌기(402)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At least one protrusion 402 may be provided.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상기 돌기(402)는, 제 1 돌기(402-1) 및 제 2 돌기(402-2)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drawing, the protrusion 402 includes a first protrusion 402-1 and a second protrusion 402-2.

상기 제 1 돌기(402-1)는, 상기 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돌기(402-2)는, 상기 몸체(110)의 하면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402-1 may be formed to extend in an inward direction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Similarly, the second protrusion 402-2 may be formed to extend in an inward direction from a lower surface of the body 110.

이와 같이 형성된 돌기(402)는, 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몸체(110)의 형상과 같은 'C'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trusion 402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and may be provided in a 'C' shape such as the shape of the body 110.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402-1, 402-2)의 사이에는 움푹 들어간 홈(410)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recessed groove 41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402-1 and 402-2.

또한 제 1 돌기(402-1)의 높이는, 제 2 돌기(402-2)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301)가 본 발명의 운동기구(100)를 끌어 올릴 때 더 힘이 많이 들고, 아래로 내릴 때에는 보다 힘이 덜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돌기(402-1)의 높이가 다소 낮게 형성되어, 운동기구(100)를 끌어 올릴 때 필요한 힘을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first protrusion 402-1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protrusion 402-2. 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301 pulls up the exercis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power is required, and when the user 301 is lowered, less force is required. Therefore, the height of the first protrusion 402-1 may be somewhat lowered, thereby lowering the force required to lift the exercise device 100.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면부(111)는 'C'자 형상의 몸체(110)의 열린 부위에 맞도록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즉, 몸체(110)와 전면부(111)가 결합된 상태의 운동기구(100)는, 전체적으로 '0'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0'형상(반지 모양)의 내부 공간에는 사용자(301)가 위치하여 상술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6 and 7, the front portion 111 may have a fan shape to fit the open portion of the '110' shaped body 110. That is, the exercise devic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110 and the front portion 111 are coupled to each other, may have a '0' shape as a whole. In addition, the user 301 may be position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0” shape (ring shape)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exercise.

또한, 전면부(111) 역시 상술한 몸체(110)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돌기(402-1, 402-2) 및 홈(410)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like the body 110 described above, the front portion 111 may also form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402-1 and 402-2 and the grooves 410.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110), 전면부(111)의 단면 및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ody 110, the front portion 111 and the flow of flui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몸체(110) 및 전면부(111)의 단면은 바깥쪽 두께(801-1)가 안쪽 두께(801-2) 보다 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아래 방향에서 위 방향으로 올라오는 유체의 방향을 바깥쪽으로 밀어 내기 위함이다.Referring to the illustrated figure,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110 and the front portion 111 may be formed in the outer thickness (801-1) thinner than the inner thickness (801-2). This is to push out the direction of the fluid rising from the downward direction to the upward direction.

도 8을 참조하면, 아래방향에서 위 방향으로 올라오는 유체(802-1, 802-2)의 흐름을 도시한다. 이와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유체는, 운동기구(100)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움직일 때 발생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8, there is shown a flow of fluid 802-1, 802-2 ris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Fluid flowing in this direction will occur when the exercise device 100 moves from top to bottom.

도시된 도면에서 유체는, 안쪽 유체(802-2)와 바깥쪽 유체(802-1)로 나누어질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안쪽 유체(802-2)의 양 보다 바깥쪽 유체(802-1)의 양이 더 많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두께를 한정한다.In the figure shown, the fluid will be divided into an inner fluid 802-2 and an outer fluid 802-1.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is limited so that the amount of the outer fluid 802-1 is greater than that of the inner fluid 802-2.

이와 같이 유체의 양을 조정하는 이유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reason for adjusting the amount of fluid in this wa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안쪽 유체(802-2)가 내부 돌기(402)를 만나 변경되는 경로를 상세히 표현한다. 돌기(402) 및 홈(410)을 만나게 될 경우, 유체는 홈으로 급격하게 경로를 변경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홈(410)의 입구 쪽에 수압이 낮아지는 영역(901)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생기는 영역(901)의 수압을 맞추기 위해서 위(902) 또는 안쪽(903)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는데, 이러한 공급에 의해서 생기는 물의 흐름으로 상술한 연부조직가동술 효과를 내고자 하는 것이다.9 details the path by which the inner fluid 802-2 encounters and changes the inner protrusion 402. When the protrusion 402 and the groove 410 meet, the fluid rapidly changes the path to the groove, which results in a region 901 in which the water pressure is lowered at the inlet side of the groove 410. Water is supplied from the stomach 902 or the inside 903 in order to match the water pressure of the region 901 generated in this way, and the flow of water generated by the supply is intended to produce the soft tissue mobilization effect described above.

특히, 안쪽(903)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서, 사용자(301)의 몸쪽에서 바깥으로 향하는 물의 흐름이 형성되고, 이를 채우기 위하여 수면 근처에서는 바깥쪽 물이 안쪽으로 들어오게 된다. 즉, 이러한 순환과정에 의해서 사용자의 복부 쪽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by the water supplied from the inside (903), the flow of water from the body of the user 301 toward the outside is formed, the outer water to the inside near the water surface to fill it.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pply a physical force toward the abdomen of the user by this circulation process.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부조직가동술을 유도하기 위한 운동기구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an exercise device for inducing soft tissue mobil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hich is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where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drawings or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concept a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to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the sam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quivalent structure modified or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to be bound b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Claims (11)

수중에서 사용자의 허리 부근에서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으로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수중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C'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 하도록 구비되는 전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안쪽면은,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의해서 물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In the water sports equipment to generate the flow of water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near the waist of the user in the water,
A 'C' shaped body surrounding the waist of the user; And
Including a front portion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the body,
The inner side of the body,
At least one protrusion is formed so that the flow of water by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Water fitness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양단에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부는 상기 홈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is provided with grooves at both ends,
The front portion has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Water fitness equip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홈에서 상기 돌출부가 빠질 경우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trusion is coupled in the form of being fitted into the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ed when the protrusion is removed from the groove,
Water fitness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제 1 돌기 및 제 2 돌기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projection and a second projection,
Water fitness equipme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는,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to extend inwardly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second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extend in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Water fitness equipmen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형상과 같이 'C'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are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C' shape, such as the shape of the body,
Water fitness equipme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 사이에 움푹 들어간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6,
A recessed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Water fitness equipmen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 2 돌기의 돌출 높이 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Protruding height of the first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low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second protrusion,
Water fitness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C'형상의 몸체의 열린 부위에 맞는 부채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n-shaped to fit the open portion of the 'C'-shaped body,
Water fitness equipmen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가 상기 몸체에 결합된 전체 운동기구의 형상은, '0'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9,
The shape of the entire exercise device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is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0' shape,
Water fitness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깥쪽 두께는 안쪽 두께 보다 더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thickness of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hinner than the inner thickness,
Water fitness equipment.
KR1020190012619A 2019-01-31 2019-01-31 In-water exercise apparatus for 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 KR1020598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19A KR102059883B1 (en) 2019-01-31 2019-01-31 In-water exercise apparatus for 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19A KR102059883B1 (en) 2019-01-31 2019-01-31 In-water exercise apparatus for 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883B1 true KR102059883B1 (en) 2020-02-11

Family

ID=6956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619A KR102059883B1 (en) 2019-01-31 2019-01-31 In-water exercise apparatus for 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88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7613A (en) * 1979-09-28 1986-12-09 Solloway Daniel S Hydrodynamic jumper
KR20050065484A (en) * 2005-06-01 2005-06-29 서정현 Abdominal diet exercise
JP2006006582A (en) * 2004-06-25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quatic exercise apparatus
KR20180045276A (en) * 2016-10-25 2018-05-04 김선우 Water play dip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7613A (en) * 1979-09-28 1986-12-09 Solloway Daniel S Hydrodynamic jumper
JP2006006582A (en) * 2004-06-25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quatic exercise apparatus
KR20050065484A (en) * 2005-06-01 2005-06-29 서정현 Abdominal diet exercise
KR20180045276A (en) * 2016-10-25 2018-05-04 김선우 Water play dip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38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ryngeal elevation muscle rehabilitation
CN102871823B (en) Spinal exercise rehabilitative apparatus
EP3508188B1 (en) Massage apparatus providing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RU2387467C1 (en) Method for correction of muscular imbalance in children with fault in posture and scoliosis 1 and 2 degree
US20100145243A1 (en) Method and massage device for stimulating active points located on a human back
EP1829580A1 (en) Therapy device
US10912702B2 (en) Method of passive mechanotherapy and exercise machine for implementation thereof
US10660820B2 (en) Unit for action on biologically active body points and the relief of paravertebral muscles
KR102050839B1 (en) Mind and body stabilizing combined acupressure apparatus
RU2465881C2 (en) Device for correction of spine and paravertebral muscles
TWI602560B (en) A compound action area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KR102059883B1 (en) In-water exercise apparatus for soft tissue mobilization technique
CN106964063A (en) Rehabilitation and fitness wearing device for elderly people
KR200423437Y1 (en) Massage cushion
KR20160048458A (en) legs sporting apparatus
KR200476637Y1 (en) Belt massage bed
KR102196663B1 (en) Apparatus using high frequency and mechanical stimulas for decreaing fat
US11890252B2 (en) Device for massaging muscles in an oral cavity
CN114849155A (en)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rehabilitation device for pelvic floor dysfunction treatment
RU168964U1 (en) DEVICE FOR CORRECTION OF THE SUPPORT-MOTOR APPARATUS WITH MICROCURRENT THERAPY
TWI587799B (en) A postpartum rehabilitation electrode pants
KR101592089B1 (en) Dual mode bio-feed back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CN202909048U (en) Spinal movement rehabilitation device
CN110353937A (en) Compound body instrument for repairing
RU2492846C1 (en) Method for kinesiotherapy accompanying rehabilitation of patient with disordered motor 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