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880B1 - A structure assembling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a wooden building - Google Patents
A structure assembling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a wooden bui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9880B1 KR102059880B1 KR1020190007046A KR20190007046A KR102059880B1 KR 102059880 B1 KR102059880 B1 KR 102059880B1 KR 1020190007046 A KR1020190007046 A KR 1020190007046A KR 20190007046 A KR20190007046 A KR 20190007046A KR 102059880 B1 KR102059880 B1 KR 1020598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module
- module
- wooden
- wall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 E04B2/707—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obturation by means of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2—Flat foundations without substantial excav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04B1/7076—Air vents for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 E04B7/02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the trusses or frames supporting load-bearing purlins, e.g. braced purl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04D3/351—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02D2200/115—Height being adjustable with separate pie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식 벽체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리목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 조립시간이 크게 단축과 더불어 작업자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수준의 조립 정밀도를 제공하고, 특히 벽체모듈 측면에서 경사면을 통하여 맞물리는 상, 하부 끼움블록에 의해 측벽모듈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자동으로 밀착 평행 정렬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ssembling a structure including a wall module of a woode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purlin integrally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prefabricated wall module, which greatly reduces the field assembly time and is not affected by the worker's skill. Provide a high level of assembly precision, and in particular, the assembly of the structure including the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that is automatically closely and parallel alignment by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side wall module by the upper and lower fitting block to be engaged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in the wall module side It is about the system.
통상적으로 목조 건물은 주요 구조부재로 목재제품을 사용하여 시공하는데, 이들 구조용 목재제품을 골조와 덮개로 사용하면서 서로 접합하여 전체 구조요소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목조 건물의 벽체는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지붕과 바닥의 하중을 건물의 기초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현장에서 골조와 합판을 일일이 재단하여 조립시공되는 실정이다.In general, wooden buildings are constructed using wood products as the main structural members, and these structural wood products are used as frameworks and covers to be joined together to form the entire structural elements. And the wall of the wooden building is a configuration that supports the vertical load and transfers the load of the roof and floor to the foundation of the building, the situation is assembled by cutting the frame and plywood in the field.
이에 종래에 개시된 특허등록 제10-1705035호에서, 목골조 경량벽체는 깔도리와 스터드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상부목재프레임과, 깔도리와 스터드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하부목재프레임과, 상기 상부 및 하부목재프레임의 상하 사이에 연결되어 상부 및 하부목재프레임을 서로 구분하도록 설치된 중인방(Midddle Lintel; 및 상기 상부 및 하부목재프레임과 중인방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양 내화용 보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현장에서 경량벽체를 조립시공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Accordingly, in the patent registration No. 10-1705035 disclosed in the prior art, the wood frame lightweight wall is an upper wood fram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using a collar and stud, a lower wood fram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using a collar and stud, Connec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of the upper and lower wood frame is installed to distinguish the upper and lower wood frame from each other (Midddle Lintel; and to include both the upper and lower wood frame and both fireproof board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middle room It is constructed, and the technology for assembling and constructing a light wall in the field has been registered in advanc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경량벽체를 현장시공시, 밑깔도리 상면에 경량벽체를 세우고 상단에 횡방향으로 위깔도리를 결합하여 복수의 경량벽체를 연결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위깔도리를 결합하기 전까지 경량벽체를 별도의 지지대로 고정해야 하고, 위깔도리를 결합시 일일이 경량벽체 상면과 일직선상에 일치되도록 정밀도를 유지해야 하므로 작업자 숙련도에 따라 조립 품질 편차가 크게 발생되고, 특히 밑깔도리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인접하는 경량 벽체 측면 사이가 벌어지면서 조립불량으로 이어지는 폐단이 따랐다.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constructing a light weight wall on site, the light wall is er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 collar, and the upper wall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so a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lightweight walls. It must be fixed with a separate support, and when the upper collar is combined, the precision must be maintained to be in lin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wall, so that the assembly quality variation greatly occurs according to the skill of the operator, especially when the base collar cannot be leveled A gap between adjacent lightweight wall sides followed, leading to poor assembly.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조립식 벽체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리목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 조립시간이 크게 단축과 더불어 작업자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수준의 조립 정밀도를 제공하고, 특히 벽체모듈 측면에서 경사면을 통하여 맞물리는 상, 하부 끼움블록에 의해 측벽모듈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자동으로 밀착 평행 정렬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efabricated wall module to form a purlin integrally as the field assembly time is greatly shortened and high level of assembly precis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operator skill In particular, to provide a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side wall modules by the upper and lower fitting blocks in particular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in the wall module side thereof There is a purpo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분할 제작되어 현장 조립에 의해 목조건물 측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벽체모듈(10); 상기 벽체모듈(10)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이 벽체모듈(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업힐돌부(22)와, 다른 일단은 벽체모듈(10) 폭 대비 짧게 형성되어 업힐돌부(22)와 맞물려 조립되는 말단 받을홈부(24)로 구성되는 도리목(20); 및 상기 벽체모듈(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측홈(32)과, 측홈(32)에 맞물리도록 벽체모듈(10)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끼움장(40)으로 구성되는 벽체연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is object, the
이때, 상기 도리목(20)은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거나, 도리목(20)과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을 어긋나도록 결합하여,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도리목(20)의 업힐돌부(22) 폭방향 사이즈(L1)와 말단 받을홈부(24)의 길이방향 사이즈(L2)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벽체모듈(10)을 직교하도록 조립시 업힐돌부(22) 측면이 말단 받을홈부(24) 내측면에 면접되어, 서로 조립된 벽체모듈(10)들의 실외측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벽체모듈(10)을 T형 구조로 조립시, 업힐돌부(22)와 대응하는 벽체모듈(10) 상면에 중간 받을홈부(26)가 형성되고, 중간 받을홈부(26)는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도리목(20) 사이에 형성되며, 업힐돌부(22) 및 중간 받을홈부(26)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축소되는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22a)(26a)이 형성되며,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업힐돌부(22)와 중간 받을홈부(26)가 경사면(22a)(26a)을 타고 조립위치가 안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또한, 상기 끼움장(40)은, 상, 하부 끼움블록(42)(44)으로 이분할 형성되어 경사면(42a)(44a)으로 맞물리고, 상부 끼움블록(42)은 하부 끼움블록(44) 대비 짧게 형성되면서 상부 끼움블록(42)은 측홈(32) 상부로 편중 설치되며, 상기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이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과 미끄럼운동되어 인접하는 측벽모듈(10) 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벽체모듈(10)의 측홈(32)과 대응하는 단부에 업힐돌부(22)가 배치되고, 업힐돌부(22) 저면과 측홈(32) 내주면이 교접되는 위치에 'ㄱ'형 설치홈(34)이 형성되며, 'ㄱ'형 설치홈(34)에 상부 끼움블록(42)의 상부 모서리부(42b)가 맞물려 위치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벽체모듈(10)은, 타공홀(12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12b)이 형성되는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실외측 목재보드(12)에 설치되는 투습방수지(14)와, 투습방수지(14) 상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레인스크린바(16)와, 레인스크린바(16)에 의해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이격되어 공기순환층(18a)을 형성하는 외장재(1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벽체모듈(10)과 대응하는 기초바닥(1) 상에 매립시공되고, 기초바닥(1) 내부골조(1a)에 지지되어 수평레벨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각관(100); 상기 베이스각관(100) 상면에 체결되어 하부 토대목(122)과, 하부 토대목 상면에 적층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토대목(124)으로 구성되는 토대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상면에 하부 토대목(122)이 체결되는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는 실외측 측면에 수직설치면(104)이 형성되고, 수직설치면(104)에 장착되고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토대부(120) 실외측 측면 및 벽체모듈(10)에 체결되는 실외측 수직플레이트(1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토대부(120) 실내측 측면을 마감하면서 실내바닥구조물(2) 설치구획을 형성하는 판상 방수 단열재(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복수의 실내구획이 형성되고, 복수의 실내구획 중에 기초바닥(1) 높이가 기준 높이 대비 낮은 실내구획의 벽체모듈(10)을 지지하는 베이스각관(100) 내측면에는 멀티각관(110)이 설치되며, 멀티각관(110)은 베이스각관(100)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면이 베이스각관(100)의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구비되며, 멀티각관(110) 측면에는 눈금(112)이 표시되어, 눈금(112)을 기준으로 기초바닥(1)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물빠짐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door compartments are formed by the
또한,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레벨링부(130)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고, 상기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 타설 전에 거푸집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부에 암나사홀(132a)이 형성되는 고정측 지지관(132)과, 고정측 지지관(132)을 타고 상하 이송되고, 상부에 관통홀(134a)이 형성되는 유동측 지지관(134)과, 유동측 지지관(134)의 관통홀(134a)에 삽입된 상태로 스톱핀(137)에 의해 구속되고, 헤드부(136a)가 상부로 노출되고 수나사부(136b)가 고정측 지지관(132)의 암나사홀(132a)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136)와, 유동측 지지관(134) 상부에 설치되어 베이스각관(100)을 지지하는 받침브라켓(13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에는 기초바닥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개방부(13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구획 상부를 마감하고, 하부에 설비층(202)이 형성되는 천장모듈(200); 상기 천장모듈 상부에 설치되고, 상, 하현재(212)(214)와, 상, 하현재(212)(214)를 연결하는 웨브(216)로 구성되는 복수의 트러스부(210); 및 상기 트러스부(210) 상부를 마감하는 지붕패널(222)과, 지붕패널(222)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트러스부(210)를 서로 연결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으로 구성되는 지붕모듈(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 지붕모듈(220)이 안착되면, 지붕패널(222),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트러스부(210)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230)을 체결하여 조립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천장모듈(200)은, 내부 골조를 구성하는 천장용 목재프레임(203)과,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204)와,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실, 내외측을 마감하는 천장용 목재보드(205)(206)로 구성되고, 실외측 천장용 목재보드(206)에는 타공홀(206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206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는 지붕모듈(220)의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조립위치를 결정하는 복수의 장선받이(218)(219)가 구비되며, 상기 장선받이(218)는 지붕모듈(220) 낮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단부와 맞물려 하향 이송을 제한하는 스톱 장선받이(218)와, 지붕모듈(220) 높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단부과 맞물려 하향 이송을 안내하도록 경사면(219a)이 형성되는 가이드 장선받이(2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조립식 벽체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리목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 조립시간이 크게 단축과 더불어 작업자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수준의 조립 정밀도를 제공하고, 특히 벽체모듈 측면에서 경사면을 통하여 맞물리는 상, 하부 끼움블록에 의해 측벽모듈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자동으로 밀착 평행 정렬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 level of assembly precis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operator's skill level by greatly reducing the field assembly time by integrally forming a purlin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efabricated wall module, in particular the wall The attraction between the side wall modules by the upper and lower fitting blocks engaged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on the module side has the effect of automatically close parallel alignment.
그리고, 베이스각관을 기초바닥에 매립설치하고, 베이스각관 상에 토대부 및 하부 깔도리를 체결하므로 벽체 수평시공성이 우수하고, 특히 실내, 외측 플레이트에 의해 적층시공된 복수의 토대부 측면이 서로 결속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됨과 더불어 기초바닥을 이루는 실내바닥구조물(콘크리트, 다짐토)과 토대부 실내측 측벽이 실내측 플레이트에 의해 격리 구분되어 수분 등에 의한 토대부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ase corner tube is buried in the base floor, and the base portion and the bottom cover are fastened on the base corner tube, so that the wall horizontal workability is excellent, and in particular,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foundation portions laminated by the inner and outer plates are bound together. In addition, the structural stability is secured and the interior floor structure (concrete, compacted soil) forming the foundation floor and the interior sidewall of the foundation part are separated and separated by the interior side plat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foundation part due to moisture.
또, 지붕모듈 제조공정 중에 지중패널 저면에 장선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에서 트러스부 상현재에 지붕모듈을 올린 상태로 지붕패널, 장선 및 트러스부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현장 시공 중에 장선 설치공정이 생략되어 시공성 및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특히 지붕모듈과 장선의 일체형 구조로 인해 장선이 힘살기능을 수행하여 휨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지붕모듈을 대형사이즈로 형성하더라도 인양 중에 변형을 포함하는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the joist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nderground panel during the roof module manufacturing process, the roof panels, the joists and the truss parts are assemb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oof panels, the joists and the truss parts are assembled at the site of the truss. Therefore,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work time are greatly reduced by skipping the joist installation proces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ite, and in particular, the roof module is formed in a large size because the joist performs a force function to improve the durability against bending due to the integrated structure of the roof module and the joist. Even if the damage including the deformation during lifting is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업힐돌부와 말단 받을홈부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업힐돌부와 중간 받을홈부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상, 하부 끼움블록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벽체모듈과 기초바닥 조립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실내, 외측 수직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멀티각관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지붕모듈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지붕모듈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장선받이를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ssembling structure of the uphill protrusion and the end receiving groove of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con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uphill protrusion and an intermediate receiving groove assembly structure of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a wooden con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upper, lower fitting block of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ssembly of the wall module and the base floor structure of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ior, exterior vertical plate of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ulti-corner of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roof module of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oof module assembly structure of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joist of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은 조립식 벽체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리목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 조립시간이 크게 단축과 더불어 작업자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수준의 조립 정밀도를 제공하고, 특히 벽체모듈 측면에서 경사면을 통하여 맞물리는 상, 하부 끼움블록에 의해 측벽모듈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자동으로 밀착 평행 정렬되도록 하기 위해 벽체모듈(10), 도리목(20), 벽체연결부(3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wherein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the wood building is form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efabricated wall module integrally to build a large field assembly time In addition to shortening, it provides a high level of assembly precis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operator's skill. In particular, the upper and lower fitting blocks are engaged by the upper and lower fitting blocks that engage with the inclined surface on the side of the wall module, so that the close and parallel alignment is automatically performed. For the
본 발명에 따른 벽체모듈(10)은 분할 제작되어 현장 조립에 의해 목조건물 측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벽체모듈(10)은 목재프레임과, 목재프레임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와, 목재프레임 실, 내외측을 마감하는 목재보드로 구성되고, 상부에 도리목(20)이 일체로 체결된 상태로 제작되어 현장 조립시공된다.The
여기서, 상기 도리목(20)은 상기 벽체모듈(10)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이 벽체모듈(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업힐돌부(22)와, 다른 일단은 벽체모듈(10) 폭 대비 짧게 형성되어 업힐돌부(22)와 맞물려 조립되는 말단 받을홈부(24)로 구성된다. 도 1과 같이 도리목(20)은 횡형 목재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벽체모듈(10) 외측으로 돌출되고, 다른 일단은 벽체모듈(10) 내측으로 들여 설치되는 구조에 의해 벽체모듈(10) 양측에 업힐돌부(22)와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게 된다.Here, the
이때, 상기 도리목(20)은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거나, 도리목(20)과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을 어긋나도록 결합하여,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도리목(20) 일체형 상부 목재프레임(11)을 이용하여 벽체모듈(10)을 제작하므로, 목재 부품들 간에 일체성이 향상되고, 이는 목조건물의 구조적 안정성 향상으로 이어지는 이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연결부(30)는 벽체모듈(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측홈(32)과, 측홈(32)에 맞물리도록 벽체모듈(10)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끼움장(40)으로 구성된다. 측홈(32)은 벽체모듈(10)의 측부 목재프레임을 실, 내외측 목재보드 대비 내측으로 인입 설치하여, 인입된 거리만큼 함몰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측홈(32)과 조립되는 다른 벽체모듈(10)의 측면에는 끼움장(40)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끼움장(40)은 종형 목재 프레임으로 벽체모듈(10)의 측부 목재프레임에 체결되어, 벽체모듈(10)을 조리시공시 벽체모듈(10) 측홈(32)에 끼움결합되어 내구성 향상 및 단열성능 향상을 도모한다.Here, the
도 2에서, 상기 도리목(20)의 업힐돌부(22) 폭방향 사이즈(L1)와 말단 받을홈부(24)의 길이방향 사이즈(L2)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5 (a)는 벽체모듈(10)이 직렬시공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2 (b)는 벽체모듈(10)을 직교하도록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바, 이때 벽체모듈(10)을 직교하도록 조립시 업힐돌부(22) 측면이 말단 받을홈부(24) 내측면에 면접되어 위치고정되므로 서로 조립되는 벽체모듈(10) 실외측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면서 조립정밀도가 향상되고, 작업자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공품질이 향상된다.In FIG. 2, the
도 3 (a)에서, 상기 벽체모듈(10)을 T형 구조로 조립시, 업힐돌부(22)와 대응하는 벽체모듈(10) 상면에 중간 받을홈부(26)가 형성되고, 중간 받을홈부(26)는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도리목(20) 사이에 형성되며, 업힐돌부(22) 및 중간 받을홈부(26)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축소되는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22a)(26a)이 형성된다. 이에 도 3 (b)와 같이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업힐돌부(22)와 중간 받을홈부(26)가 경사면(22a)(26a)을 타고 조립위치가 안내되어, 중간 받을홈부(26) 정중앙에 업힐돌부(22)가 조립되므로 별도의 위치보정작업이 생략된다.In FIG. 3 (a), when assembling the
도 4 (a)에서, 상기 끼움장(40)은, 상, 하부 끼움블록(42)(44)으로 이분할 형성되어 경사면(42a)(44a)으로 맞물리고, 상부 끼움블록(42)은 하부 끼움블록(44) 대비 짧게 형성되면서 상부 끼움블록(42)은 측홈(32) 상부로 편중 설치되며, 상기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된다. In FIG. 4 (a), the
이에 도 4 (b)처럼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이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과 미끄럼운동되어 인접하는 측벽모듈(10) 간에 인력이 작용하고, 이로 인해 측벽모듈(10)의 상부에서 밀착 결합력이 작용하여 인접하는 측벽모듈(10)이 평행 정렬되므로 기초바닥 평행도가 불일치하는 조건에서도 복수의 측벽모듈(10)이 수평선상에 정밀시공된다. 또 측벽모듈(10) 사이 밀착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측벽모듈(10)을 밀거라 인양 크레인을 정밀조작하지 않더라도 쉽게 밀착 조립되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when assembling another
도 4 (b)에서, 상기 벽체모듈(10)의 측홈(32)과 대응하는 단부에 업힐돌부(22)가 배치되고, 업힐돌부(22) 저면과 측홈(32) 내주면이 교접되는 위치에 'ㄱ'형 설치홈(34)이 형성되며, 'ㄱ'형 설치홈(34)에 상부 끼움블록(42)의 상부 모서리부(42b)가 맞물려 위치고정되도록 구비된다. In FIG. 4 (b), the
이에 상부 끼움블록(42)의 상면 및 측면이 벽체모듈(10)의 'ㄱ'형 설치홈(34)에 맞물려 2면 접촉됨과 더불어 상부 끼움블록(42)이 측홈(32)에 의해 실내, 외측 방향에서 지지되므로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됨과 더불어 고하중에도 유동이 방지되어, 상기 하부 끼움블록(44)과 맞물림 구조에 의한 측벽모듈(10) 수평 시공에 따른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된다.Accordingly,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upper
도 5에서, 상기 벽체모듈(10)은, 타공홀(12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12b)이 형성되는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실외측 목재보드(12)에 설치되는 투습방수지(14)와, 투습방수지(14) 상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레인스크린바(16)와, 레인스크린바(16)에 의해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이격되어 공기순환층(18a)을 형성하는 외장재(18)로 이루어진다. 이에 타공홀(12a) 또는 틈새공간(12b)에 의해 벽체모듈 내부 공간이 실외측으로 연통되면서 공기순환층(18a)을 통하여 공기순환유로를 형성하므로, 벽체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어 실외측 목재보드 내벽에 곰팡이 발생 및 목재보드가 썩는 등의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된다. In FIG. 5,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각관(100)은 상기 벽체모듈(10)과 대응하는 기초바닥(1) 상에 매립시공되고, 기초바닥(1) 내부골조(1a)에 지지되어 수평레벨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베이스각관(100)은 목조건물 평면도의 구조를 기준으로 벽체모듈 설치위치와 대응하는 기초바닥(1) 상에 매립시공되는바, 즉 도 6과 같이 기초바닥(1)을 시공하기 위해 배근되는 철근 골조에 베이스각관(100)이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수평게이즈를 이용하여 베이스각관(100) 상면의 수평설치면(102) 수평레벨을 설정한다. 이후 기초바닥(1) 형성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바닥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바닥을 형성 후, 콘크리트 상면 수평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베이스각관(100) 수평설치면(102)의 수평도가 유지되므로, 이후 벽체모듈(10)이 베이스각관(100)을 기준으로 수평 정렬시공되므로 비숙련공에 의한 조립정밀도가 향상됨과 더불어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된다.Thus, after the concrete is formed by forming the base floor, the horizontal angle of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공장에서 목조건물 평면도 형상으로 일체로 제작되어 현장시공되거나, 실내 구획 별로 분할형성되어 현장에서 볼트 또는 용접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각관(100)을 분할 형성할 경우 서로 대응하는 연결 부분에 음양각 체결부를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끼움 결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대부(120)는 상기 베이스각관(100) 상면에 체결되어 하부 토대목(122)과, 하부 토대목 상면에 적층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토대목(124)으로 구성된다. 상, 하부 토대목(122)(124)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목재판으로서, 도 7와 같이 하부 토대목(122)을 베이스각관(100) 수평설치면(102)에 올리고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으로 체결하고, 이후 하부 토대목(122) 상면에 복수의 상부 토대목(124)을 적층하여 고정수단으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토대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도 7에서,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상면에 하부 토대목(122)이 체결되는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는 실외측 측면에 수직설치면(104)이 형성되고, 수직설치면(104)에 장착되고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토대부(120) 실외측 측면 및 벽체모듈(10)에 체결되는 실외측 수직플레이트(160)가 구비된다. 실외측 수직플레이트(160)는 판형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판형 철물로서, 하부 영역이 수직설치면(104)에 체결되고,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타공을 통하여 나사못을 체결하여 토대부(120) 측면이 종방향으로 정렬고정된다.In FIG. 7, the
한편, 상기 수직플레이트(160)를 시공 후에는, 외주면에 목판이 덧댐 설치되고, 이때 목판은 벽체모듈(10)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일체로 마감하게 되며, 목판에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어 이후 목판 외주면에 설치되는 목조건물 외피 마감판사이에 단열공기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그리고, 상기 토대부(120) 실내측 측면을 마감하면서 실내바닥구조물(2) 설치구획을 형성하는 판상 방수단열재(180)가 구비된다. 판상 방수단열재(180)는 판형 철물, 방부목, 일반합판, 단열재, 방수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하여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상, 하부 토대목(122)(124) 측면을 일체로 마감하게 된다.Then, the plate-shaped waterproof
이처럼, 상기 판상 방수단열재(180)에 의해 토대부(120) 실내측 측면이 마감되어 기초바닥(1) 상면에 설치구획이 형성되고, 설치구획 내부로 단열재, 보일러 호스, 다짐 토를 포함하는 실내바닥구조물(2)이 시공되며, 이때 실내바닥구조물(2)과 토대부(120) 사이가 판상 방수단열재(180)에 의해 차폐되어 실내바닥구조물(2)을 시공하는 중에 포함된 수분 및 보일러 호스 누수로 인해 발생되는 수분 등에 의한 토대부(120) 손상이 방지됨과 더불어 실내바닥구조물(2)의 신축변형을 유연하게 흡수하여 온도차에 의한 실내바닥구조물(2)이 크랙이 방지된다.As such, the side surface of the
도 7의 확대도에서,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레벨링부(130)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고, 상기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 타설 전에 거푸집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부에 암나사홀(132a)이 형성되는 고정측 지지관(132)과, 고정측 지지관(132)을 타고 상하 이송되고, 상부에 관통홀(134a)이 형성되는 유동측 지지관(134)과, 유동측 지지관(134)의 관통홀(134a)에 삽입된 상태로 스톱핀(137)에 의해 구속되고, 헤드부(136a)가 상부로 노출되고 수나사부(136b)가 고정측 지지관(132)의 암나사홀(132a)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136)와, 유동측 지지관(134) 상부에 설치되어 베이스각관(100)을 지지하는 받침브라켓(13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에는 기초바닥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개방부(139)가 형성된다. In the enlarged view of FIG. 7, the
즉, 상기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 내부에 설치되고, 이때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 내부골조(1a)에 결속되거나, 하부에 바닥판이 구비되어 거푸집 내부 바닥에 고정된다. 그리고 받침브라켓(138) 상에 베이스각관(100)을 안착시킨 상태로 나사못, 용접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되고, 이후 공구를 이용하여 조절볼트(136)를 회전시키면 수나사부(136b)와 암나사홀(132a)에 나사결합에 의해 유동측 지지관(134)이 고정측 지지관(132)을 타고 상하 이송되면서 베이스각관(100)이 수평조절되고, 이때 레벨링부(130)는 복수개소에 이격 배치하고, 그 사이에는 고정한 받침대를 설치하여 베이스각관(100) 수평지지력을 보강하게 된다.That is, the leveling
이후, 기초바닥(1)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콘크리트가 복수의 개방부(139)를 통하여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 내부로 유입되어 경화되면,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이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고착되어 레벨링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Subsequently, w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undation floor 1, when the concrete flows into the fixed
도 8에서,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복수의 실내구획이 형성되고, 복수의 실내구획 중에 기초바닥(1) 높이가 기준 높이 대비 낮은 실내구획의 벽체모듈(10)을 지지하는 베이스각관(100) 내측면에는 멀티각관(110)이 설치되며, 멀티각관(110)은 베이스각관(100)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면이 베이스각관(100)의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구비되며, 멀티각관(110) 측면에는 눈금(112)이 표시되어, 눈금(112)을 기준으로 기초바닥(1)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물빠짐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In FIG. 8, a plurality of indoor compartments are formed by the
이처럼, 상기 멀티각관(110)에 의해 기준 높이 대비 낮은 실내구획(욕실, 현관, 다용도실, 보일러실)에 해당하는 실내구획의 베이스각관(100) 폭이 확장됨에 따라 베이스각관(100) 상에 토대부(120) 및 벽체모듈(10)을 시공한 후에, 멀티각관(110) 상에 실내구획 내벽 단열재를 포함하는 내장재 설치공간이 확보된다. As such, the
그리고, 상기 멀티각관(110) 측면에 눈금(112)이 표시되고, 눈금(112)은 베이스각관(100)의 수평설치면(102)을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표시되며, 눈금(112)을 기준으로 욕실에 해당하는 실내구획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시 물빠짐 설계 반영한 경사바닥 타설이 간단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진다.And, the
도 9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장모듈(200)은 벽체모듈(1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구획 상부를 마감하고, 하부에 설비층(202)이 형성된다. 상기 천장모듈(200)은, 내부 골조를 구성하는 천장용 목재프레임(203)과,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204)와,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실, 내외측을 마감하는 천장용 목재보드(205)(206)로 구성되고, 실외측 천장용 목재보드(206)에는 타공홀(206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206b)이 형성된다.In FIG. 9, the
이에 상기 타공홀(206a) 또는 틈새공간(206b)에 의해 천장모듈(200) 내부 공간이 실외측으로 연통되면서 공기순환유로를 형성하므로, 천장모듈(200)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어 실외측 천장용 목재보드(206) 내벽에 곰팡이 발생 및 목재보드가 썩는 등의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된다. Accordingly, since the interior space of the
그리고, 상기 천장모듈(200)은 목조건물을 구성하는 벽체모듈(10) 상면에 설치되는 도리목(20)과 후술하는 트러스부(210) 사이에 설치되는바, 즉, 천장모듈(200) 저면 가장자리부가 도리목(20) 위에 안착된 상태로 못,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되고, 천장모듈(200) 상면에 경사형 또는 평면 트러스부(210)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또, 상기 천장모듈(200) 저면에 설비층(202)이 형성되는바, 여기서 설비층(202)은 천장모듈(200) 저면에 실내측 천장패널이 설치되고, 천장패널은 복수의 천장 구조목에 의해 지지되며, 설비층(202) 내부로 전선, 신호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이 시공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부(210)는 상기 천장모듈(200) 상부에 설치되고, 상, 하현재(212)(214)와, 상, 하현재(212)(214)를 연결하는 웨브(216)로 구성된다. 트러스부(210)는 지붕형상에 따라 삼각형의 경사 트러스와 평면트러스로 형성되고, 천장모듈(200)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소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지붕모듈(220)을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도 11에서,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는 지붕모듈(220)의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조립위치를 결정하는 복수의 장선받이(218)(219)가 구비되며, 장선받이(218)는 지붕모듈(220) 낮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과 맞물려 하향 이송을 제한하는 스톱 장선받이(218)와, 지붕모듈(220) 높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과 맞물려 하향 이송을 안내하도록 경사면(219a)이 형성되는 가이드 장선받이(219)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In FIG. 11, the
여기서, 상기 장선받이(218)는 트러스부(210)를 제작하는 공정 중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붕모듈(220)을 시공시, 가이드 장선받이(219)의 경사면(219a)은 지붕모듈(220)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와 맞물려 지붕모듈(220) 조립위치를 안내하여 정위치로 안내한다.Here, the
이에 상기 트러스부(210)를 경사 트러스로 형성하더라도, 지붕모듈(220)의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가 장선받이(218)(219)에 맞물린 상태로 위치고정되어 조립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임시 고정수단을 체결하지 않더라도 하향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고소작업 중에 작업 안전성이 확보된다.Accordingly, even whe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붕모듈(220)은 상기 트러스부(210) 상부를 마감하는 지붕패널(222)과, 지붕패널(222)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트러스부(210)를 서로 연결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로 구성된다. 지붕모듈(220)은 단층 또는 복층 구조의 패널로 구성되고, 실외측 외면 즉, 상면에는 방수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장에서 지붕모듈(220)을 제작하는 과정 중에 도 9 (a)와 같이 판형 구조목이 가로로 설치되어 장선(224)을 형성하거나, 도 9 (b)처럼 세로로 설치되어 서까래(224')를 형성하면서 복수개소에 일체로 형성되고, 현장 시공시,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는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 면접된 상태로 고정되거나, 상기 장선받이(218)에 맞물려 고정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 지붕모듈(220)이 안착되면, 지붕패널(222),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트러스부(210)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230)을 체결하여 조립되도록 구비된다.In this case, when the
도 9 (b)에서, 상기 서까래(224')를 적용한 지붕모듈(220) 조립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천장모듈(200) 상면에 스톱 장선받이(218) 및 높이가 서로 상이한 평면 트러스부(210)를 적어도 2개소에 이격 배치하고, 서까래(224')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홈(224a)이 스톱 장선받이(218)에 맞물리도록 조립되고 다른 일단은 평면 트러스부(210) 상면에 안착고정된다. 이때 평면 트러스부(210)에 고정되는 서까래(224') 단부에는 'ㅗ'형 장선받이(218')가 구비되어 이후 연속하여 조립되는 다른 지붕모듈(220)의 서까래(224') 단부와 맞물려 지지된다. 그리고 지붕모듈(220)이 서로 연결되는 영역의 지붕패널(222)은 서까래(224') 대비 짧게 형성되어 서까래(224')가 외부로 노출되고, 지붕모듈(220)을 시공 후에 노출된 서까래(224') 상부를 별도의 멀티 지붕패널(222')로 마감하게 된다.In FIG. 9 (b), when looking at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여기서, 상기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와 대응하는 지붕모듈(220) 상면에는 기준선이 표시되고, 기준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멀티 기준선이 표시된다. 이에 트러스부(210)와 일치하는 멀티 기준선과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선이 교차되는 교차점에 못,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타설하여 지붕패널(222),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트러스부(210)를 일체로 체결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준선 및 멀티 기준선은 별도의 표시선으로 형성되거나, 지붕모듈(220) 상면에 표시되는 디자인 무늬의 종, 횡 선에 의해 식별되도록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Here, a reference line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10: 벽체모듈 20: 도리목
30: 벽체연결부 40: 끼움장
100: 베이스각관 120: 토대부
122, 124: 상, 하부 토대목 160: 실외측 수직플레이트
180: 판상 방수단열재 200: 천장모듈
210: 트러스부 220: 지붕모듈
230: 고정수단10: wall module 20: purlin
30: wall connection 40: fitting
100: base corner 120: base portion
122, 124: upper and lower foundations 160: outdoor vertical plate
180: plate-shaped waterproof insulation 200: ceiling module
210: truss portion 220: roof module
230: fixing means
Claims (14)
상기 벽체모듈(10)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이 벽체모듈(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업힐돌부(22)와, 다른 일단은 벽체모듈(10) 폭 대비 짧게 형성되어 업힐돌부(22)와 맞물려 조립되는 말단 받을홈부(24)로 구성되는 도리목(20); 및
상기 벽체모듈(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측홈(32)과, 측홈(32)에 맞물리도록 벽체모듈(10)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끼움장(40)으로 구성되는 벽체연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Wall module 10 is provided to be divided to form a wooden building sidewall by the field assembly;
The wall module 1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ne end of the uphill protrusion 22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wall module 1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wall module 10 and uphill protrusion 22 and Purlin 20 consisting of the distal receiving groove portion 24 to be engaged; And
A wall connecting portion 30 formed of a side groove 32 formed at one side of the wall module 10 and a fitting 40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wall module 10 to be engaged with the side groove 32;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상기 도리목(20)은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거나, 도리목(20)과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을 어긋나도록 결합하여,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purlin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wood frame 11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wall module 10, it is provided to form an end receiving groove 24 on the other side and the uphill protrusion 22 on one side, By combining the upper wooden frame constituting the purlin 20 and the wall module 10 frame to be offset, the woode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 uphill protrusion 22 on one side and the end receiving groove 24 on the other sid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the building.
상기 도리목(20)의 업힐돌부(22) 폭방향 사이즈(L1)와 말단 받을홈부(24)의 길이방향 사이즈(L2)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벽체모듈(10)을 직교하도록 조립시 업힐돌부(22) 측면이 말단 받을홈부(24) 내측면에 면접되어, 서로 조립된 벽체모듈(10)들의 실외측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The uphill protrusion part 22 of the purlin neck 20 in the width direction size L1 and the lengthwise length part L2 of the distal receiving groove part 24 are formed the same, and the uphill protrusion part when assembled to orthogonally cross the wall module 10 ( 22) A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wall module of a wooden cond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surface is interview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receiving groove (24), the outdoor side of the wall modules (10) assembled with each other to form a plane.
상기 벽체모듈(10)을 T형 구조로 조립시, 업힐돌부(22)와 대응하는 벽체모듈(10) 상면에 중간 받을홈부(26)가 형성되고, 중간 받을홈부(26)는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도리목(20) 사이에 형성되며, 업힐돌부(22) 및 중간 받을홈부(26)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축소되는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22a)(26a)이 형성되며,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업힐돌부(22)와 중간 받을홈부(26)가 경사면(22a)(26a)을 타고 조립위치가 안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n assembling the wall module 10 in a T-shaped structure, an intermediate receiving groove 2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module 10 corresponding to the uphill protrusion 22, and the intermediate receiving groove 26 i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t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purlins 20, the uphill protrusion 22 and the intermediate receiving groove portion 26 is formed slopes 22a, 26a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 structure is reduced in width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the pre-constructed When assembling the other side wall module 10 downward relative to the side wall module 10, the uphill protrusion 22 and the intermediate receiving groove 26 are provided to guide the assembly position on the inclined surfaces 22a and 26a.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condition.
상기 끼움장(40)은, 상, 하부 끼움블록(42)(44)으로 이분할 형성되어 경사면(42a)(44a)으로 맞물리고, 상부 끼움블록(42)은 하부 끼움블록(44) 대비 짧게 형성되면서 상부 끼움블록(42)은 측홈(32) 상부로 편중 설치되며, 상기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이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과 미끄럼운동되어 인접하는 측벽모듈(10) 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벽체모듈(10)의 측홈(32)과 대응하는 단부에 업힐돌부(22)가 배치되고, 업힐돌부(22) 저면과 측홈(32) 내주면이 교접되는 위치에 'ㄱ'형 설치홈(34)이 형성되며, 'ㄱ'형 설치홈(34)에 상부 끼움블록(42)의 상부 모서리부(42b)가 맞물려 위치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fitting 40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fitting blocks 42 and 44 to be engaged with the inclined surfaces 42a and 44a, and the upper fitting block 42 is shorter than the lower fitting block 44. While being formed, the upper fitting block 42 is eccentrically installed in the upper side groove 32, and the inclined surface 42a of the upper fitting block 42 is formed at an upward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side of the wall module 10, and the lower fitting block ( The inclined surface 44a of the 44 is formed at a downward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side of the wall module 10, and when the other sidewall module 10 is assembled downward based on the pre-constructed sidewall module 10, the upper fitting block 42 The inclined surface 42a is slid with the inclined surface 44a of the lower fitting block 44 so that an attractive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adjacent sidewall modules 10,
The uphill protrusion 22 is disposed at an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groove 32 of the wall module 10, and the 'a' type installation groove 34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uphill protrusion 2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groove 3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Is formed,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dge portion (42b) of the upper fitting block 42 in the 'b' type installation groove 34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position .
상기 벽체모듈(10)은, 타공홀(12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12b)이 형성되는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실외측 목재보드(12)에 설치되는 투습방수지(14)와, 투습방수지(14) 상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레인스크린바(16)와, 레인스크린바(16)에 의해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이격되어 공기순환층(18a)을 형성하는 외장재(1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wall module 10 is provided in the outdoor wooden board 12 and the outdoor wooden board 12, the perforated hole 12a is formed or spaced apart by a divider plate to form a gap space 12b. The air permeable layer is spaced apart from the outdoor wood board 12 by the water vapor barrier 14, a plurality of rain screen bars 16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water vapor barrier 14, and the rain screen bars 16.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exterior member (18) to form (18a).
상기 벽체모듈(10)과 대응하는 기초바닥(1) 상에 매립시공되고, 기초바닥(1) 내부골조(1a)에 지지되어 수평레벨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각관(100);
상기 베이스각관(100) 상면에 체결되어 하부 토대목(122)과, 하부 토대목 상면에 적층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토대목(124)으로 구성되는 토대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A base angle tube 100 embedded in the foundation floor 1 corresponding to the wall module 10 and supported by the foundation floor 1 internal frame 1a and provided to adjust a horizontal level;
The base part 120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gle tube 100, the base portion 12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upper base timber 124 is fastened to be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ase timber;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condition.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상면에 하부 토대목(122)이 체결되는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는 실외측 측면에 수직설치면(104)이 형성되고, 수직설치면(104)에 장착되고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토대부(120) 실외측 측면 및 벽체모듈(10)에 체결되는 실외측 수직플레이트(1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se angle pipe 100, the horizontal mounting surface 102 is fastened to the lower foundation wood 122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vertical mounting surface 104 is formed on the outdoor side side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mounting surface 102, It is mounted on the vertical installation surface 104 and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installation surface 10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outdoor side vertical plate 160 fastened to the base side 120 outdoor side and the wall module 10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condition.
상기 토대부(120) 실내측 측면을 마감하면서 실내바닥구조물(2) 설치구획을 형성하는 판상 방수단열재(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8,
The base assembly 120 is a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cond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shaped waterproof insulation (180) is provided to form the interior floor structure (2) installation compartment while closing the interior side.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복수의 실내구획이 형성되고, 복수의 실내구획 중에 기초바닥(1) 높이가 기준 높이 대비 낮은 실내구획의 벽체모듈(10)을 지지하는 베이스각관(100) 내측면에는 멀티각관(110)이 설치되며, 멀티각관(110)은 베이스각관(100)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면이 베이스각관(100)의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구비되며, 멀티각관(110) 측면에는 눈금(112)이 표시되어, 눈금(112)을 기준으로 기초바닥(1)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물빠짐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6,
A plurality of interior compartments are formed by the wall module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corner tube 100 supporting the wall module 10 of the interior compartment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reference height of the base floor 1 among the plurality of interior compartments. The multi-angle tube 110 is installed, the multi-angle tube 110 is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base angle tube 100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matched on the horizontal installation surface 102 and the horizontal line of the base angle tube 100, Multi-angle tube 110 is displayed on the side of the scale 112, including the wall module of the wooden cond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adjust the drainage inclination by pouring the base floor (1) concrete based on the scale 112 Structure assembly system.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레벨링부(130)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고, 상기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 타설 전에 거푸집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부에 암나사홀(132a)이 형성되는 고정측 지지관(132)과, 고정측 지지관(132)을 타고 상하 이송되고, 상부에 관통홀(134a)이 형성되는 유동측 지지관(134)과, 유동측 지지관(134)의 관통홀(134a)에 삽입된 상태로 스톱핀(137)에 의해 구속되고, 헤드부(136a)가 상부로 노출되고 수나사부(136b)가 고정측 지지관(132)의 암나사홀(132a)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136)와, 유동측 지지관(134) 상부에 설치되어 베이스각관(100)을 지지하는 받침브라켓(13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에는 기초바닥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개방부(13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se angle tube 100 is adjusted in height by the leveling unit 130, the leveling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formwork before placing the foundation floor (1) fixed side that the female screw hole (132a) is formed on the top Flow side support tube 134, which is conveyed up and down on the support tube 132, the fixed side support tube 132, the through-hole 134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through-hole of the flow side support tube 134 ( Constrained by the stop pin 137 in the inserted state 134a, the head portion 136a is exposed to the top and the male screw portion 136b is screwed into the female screw hole 132a of the fixed side support pipe 132 The adjustment bolt 136 and the support bracket 138 installed on the flow side support tube 134 to support the base angle tube 100, the fixed side support tube 132 and the flow side support tube 134 ) Is a wood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penings (139) is formed so that the concrete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when placing the ground concret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구획 상부를 마감하고, 하부에 설비층(202)이 형성되는 천장모듈(200);
상기 천장모듈 상부에 설치되고, 상, 하현재(212)(214)와, 상, 하현재(212)(214)를 연결하는 웨브(216)로 구성되는 복수의 트러스부(210); 및
상기 트러스부(210) 상부를 마감하는 지붕패널(222)과, 지붕패널(222)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트러스부(210)를 서로 연결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으로 구성되는 지붕모듈(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 지붕모듈(220)이 안착되면, 지붕패널(222),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트러스부(210)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230)을 체결하여 조립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A ceiling module 200 which closes the upper part of the indoor compartment formed by the wall module 10 and has a facility layer 202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trusses 210 installed on the ceiling module and configured of a web 216 connecting upper and lower chords 212 and 214 and upper and lower chords 212 and 214; And
The roof panel 222 finis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truss 210 and the joist 224 or the rafter 224 ′ which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of panel 222 and connect the plurality of truss portions 210 to each other. It is made, including; roof module 220 is configured,
When the roof module 220 is seated on the truss 210 upper chord 212, the fixing means at a position where the roof panel 222, the joist 224 or the rafter 224 ′, and the truss 210 are matched.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configuration that is assembled by fastening 230.
상기 천장모듈(200)은, 내부 골조를 구성하는 천장용 목재프레임(203)과,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204)와,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실, 내외측을 마감하는 천장용 목재보드(205)(206)로 구성되고, 실외측 천장용 목재보드(206)에는 타공홀(206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206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2,
The ceiling module 200, the ceiling wood frame 203 constituting the internal frame, the insulation 204 is filled between the ceiling wood frame 203, the ceiling wood frame 203 seals, inside and outside Ceiling wood boards 205 and 206 for finishing the, and the perforated hole 206a is formed in the outdoor ceiling wood board 206, or is spaced apart by a divider to form a gap space 206b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wall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는 지붕모듈(220)의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조립위치를 결정하는 복수의 장선받이(218)(219)가 구비되며, 상기 장선받이(218)는 지붕모듈(220) 낮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단부와 맞물려 하향 이송을 제한하는 스톱 장선받이(218)와, 지붕모듈(220) 높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단부과 맞물려 하향 이송을 안내하도록 경사면(219a)이 형성되는 가이드 장선받이(2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2,
The truss 210 upper chord 2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joists 218, 219 to determine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joists 224 or rafters 224 'of the roof module 220, the joists 218 is a stop joist 218 for engaging the end of the joist 224 or the rafter 224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of module 220 to limit downward travel, and the roof joist 220 being positioned on the high side of the roof module 220. It includes a wall module of the woode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guide joists 219, the inclined surface (219a) is formed to engage the end of the joist 224 or rafters (224 ') to guide the downward transfer. Structure assembly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7046A KR102059880B1 (en) | 2019-01-18 | 2019-01-18 | A structure assembling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a wooden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7046A KR102059880B1 (en) | 2019-01-18 | 2019-01-18 | A structure assembling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a wooden build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9880B1 true KR102059880B1 (en) | 2019-12-30 |
Family
ID=6910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7046A KR102059880B1 (en) | 2019-01-18 | 2019-01-18 | A structure assembling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a wooden bui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9880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38356A (en) * | 2020-05-12 | 2021-11-19 | 최통일 |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wooden condition wall |
CN115075428A (en) * | 2022-07-27 | 2022-09-20 |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 Purlin built-in type prefabricated composite enclosure wall unit and composite enclosure wall |
SE2150456A1 (en) * | 2021-04-13 | 2022-10-14 | Klara 500/1 Ab | A prefabricated construction foundation element,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foundation element and a method for building a construction founda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3828B1 (en) | 2013-06-04 | 2014-01-23 | 고우찬 | Structure for prefabricated wood build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2019
- 2019-01-18 KR KR1020190007046A patent/KR10205988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3828B1 (en) | 2013-06-04 | 2014-01-23 | 고우찬 | Structure for prefabricated wood build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38356A (en) * | 2020-05-12 | 2021-11-19 | 최통일 |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wooden condition wall |
KR102382234B1 (en) * | 2020-05-12 | 2022-04-05 | 최통일 |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wooden condition wall |
SE2150456A1 (en) * | 2021-04-13 | 2022-10-14 | Klara 500/1 Ab | A prefabricated construction foundation element,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foundation element and a method for building a construction foundation |
SE545515C2 (en) * | 2021-04-13 | 2023-10-03 | Klara 500/1 Ab | A prefabricated construction foundation element,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foundation element and a method for building a construction foundation |
CN115075428A (en) * | 2022-07-27 | 2022-09-20 |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 Purlin built-in type prefabricated composite enclosure wall unit and composite enclosure wal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57563C (en) |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 |
US6260320B1 (en) | Concrete panel construction system | |
US8033062B2 (en) | Type of building, method and means for erecting it | |
US20090165399A1 (en) | Prefabricated reinforced-concrete single-family dwelling and method for erecting said dwelling | |
KR102059880B1 (en) | A structure assembling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a wooden building | |
US20100058687A1 (en) | Method of constructing a multi-storey building using prefabricated modular panels | |
JP2012503116A (en) | Unit building system | |
HU220484B1 (en) | Building panel, method of making building panel, building structure foundation member, foundation for building structure, method of securing architectural covering element to a surface formed by a castable material, building structure, multistorey ... | |
RU2376424C1 (en) | Ready-built and solid-cast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 |
US20060254208A1 (en) | Paneling system and method | |
US20070044392A1 (en) |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employing concrete mold assembly | |
ZA200505336B (en) | Vertical alignment and levelling of modular building units | |
KR102089484B1 (en) |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 |
RU59088U1 (en) | DESIGN OF THE METAL FRAME OF THE CONSTRUCTION VOLUME BLOCK FOR A SMALL BUILDING | |
US9453332B2 (en) | Building system, particularly a residential building | |
US10253511B2 (en) | Multi-flex forming system | |
KR102044858B1 (en) | Foundation structure assembly system of wooden buildings | |
US20140196398A1 (en) | Masonry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asonry building | |
JPH04309636A (en) | Building panel, wooden building made up of this pa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AU2010256330A1 (en) | Modular building system | |
US3834094A (en) | Track system wall assembly for houses or the like | |
RU2713847C1 (en) | Prefabricated frame building | |
KR102722518B1 (en) | A Cross-shaped coupling member for PC modular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
US20240183146A1 (en) | Load bearing system for a residential structure | |
AU2016374492A1 (en) | A build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