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665B1 -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665B1
KR102059665B1 KR1020190113544A KR20190113544A KR102059665B1 KR 102059665 B1 KR102059665 B1 KR 102059665B1 KR 1020190113544 A KR1020190113544 A KR 1020190113544A KR 20190113544 A KR20190113544 A KR 20190113544A KR 102059665 B1 KR102059665 B1 KR 102059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ressure
support cylinder
sensitive adhesiv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준
Original Assignee
최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준 filed Critical 최현준
Priority to KR1020190113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17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moving partially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the roller,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08Details thereof, e.g. surfa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2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a web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a pool of coating material being formed between a roller, e.g. a dosing roller and an element cooperating therewith
    • B05C1/086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a pool of coating material being formed between a roller, e.g. a dosing roller and an element cooperating therewith the cooperating element being a roller, e.g. a coating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트필름의 일측면에 효과적으로 점착제를 도포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는 둘레면에 오목홈(31)이 형성된 도포로울러(B)와,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부착된 점착제(4)를 긁어내어 제거하는 스크랩퍼(15)를 이용하여, 페트필름(1)에 정확한 양의 점착제(4)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protecting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페트필름의 일측면에 효과적으로 점착제를 도포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이나 기타 다양한 장치에 부착되어 회로기판이나 장치를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보호필름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면에 정전기방지층(2)이 적층된 페트(PET)필름(1)의 하측면에 점착제를 얇게 도포한 점착제층(3)과, 상기 점착제층(3)의 하측면에 적층된 하부필름(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점착제는 실리콘점착제를 이용한다.
상기 하부필름(5)은 상기 페트필름(1)에 비해 두께가 얇은 페트재질의 필름을 이용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보호필름을 제조할 때는, 페트필름공급수단을 이용하여 하측면에 정전기방지층(2)이 형성된 페트필름(1)을 공급하고, 점착제 도포장치을 이용하여 상기 페트필름(1)의 하측면에 점착제를 얇게 도포하여 점착제층(3)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페트필름(1)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3)을 형성할 때는 점착제가 매우 얇고 균일하게 도포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점착제를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종래의 점착제도포장치는 점착제를 매우 얇고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74924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페트필름의 일측면에 효과적으로 점착제를 도포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페트필름공급수단(A)에 의해 공급된 페트필름(1)의 하측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장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1)과,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점착제(4)가 저장되고 일측에는 점착제(4)가 배출되는 배출구(12a)가 형성된 저장통(12)과,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구비되어 상기 페트필름공급수단(A)에 의해 공급된 페트필름(1)이 상기 저장통(12)의 상측을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로울러(14)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며 하측 둘레면이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에 잠기고 상측 둘레면은 상기 저장통(12)의 상측을 통과하는 페트필름(1)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를 상기 가이드로울러(14)의 둘레부를 경유하는 페트필름(1)의 하측면에 도포하는 도포로울러(B)와,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구비되며 선단부가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부착된 점착제(4)를 긁어내어 제거하는 스크랩퍼(15)와, 상기 배출구(12a)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16)과, 상기 구동모터(13)와 수위조절수단(1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7)을 포함하며, 상기 도포로울러(B)는 둘레면에 다수개의 오목홈(31)이 나선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13)에 의해 둘레면에 밀착된 페트필름(1)이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를 상기 페트필름(1)의 하측면에 도포하며, 상기 스크랩퍼(15)는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서 상측으로 회전되는 쪽의 면에 밀착되어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부착된 점착제(4)를 긁어내어 제거함으로써 상기 오목홈(31)의 내부로 유입된 점착제(4)만 남도록 하고, 상기 수위조절수단(16)은 연결관(16a)을 통해 상기 저장통(12)의 배출구(12a)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2a)로 배출된 점착제(4)를 저장하는 리저브탱크(16b)와, 상기 리저브탱크(16b)와 저장통(12)을 연결하는 순환관(16c)과, 상기 순환관(16c)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저브탱크(16b)에 저장된 점착제(4)를 상기 저장통(12)으로 공급하는 펌프(16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포로울러(B)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21)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개구부(22)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개구부(22)의 외측단 일측과 연결되는 가이드홈(23)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통체(20)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통체(20)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되며 둘레면에 상기 오목홈(31)이 형성된 외부관체(30)와, 상기 지지통체(20)에 연결되어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40)과, 상기 가이드홈(23)에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통체(20)의 개구부(22)를 개폐하는 개폐판(50)과, 상기 개폐판(5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17)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개폐판(50)이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개폐조절수단(60)과, 상기 개폐판(50)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기압에 따라 상기 개폐판(50)이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보조개폐조절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통체(20)에 구비된 지지바(21) 중에서 일측의 지지바(21)의 내부에는 상기 급기수단(40)이 연결되는 급기공(21a)이 형성되어 상기 급기공(21a)을 통해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관체(30)의 오목홈(31) 내부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배기공(3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개구부(22)와 배기공(34)을 통해 상기 오목홈(31)의 내부로 배출되어 오목홈(31)의 내부에 있는 점착제(4)를 외부로 불어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판(50)은 상기 가이드홈(23)에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부재(51)와, 외주면이 상기 지지통체(20)의 외경과 동일한 지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51)에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판(52)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조절수단(60)은 상기 지지통체(20)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51)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수단(17)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51)를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개폐조절수단(70)은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면에는 관통공(71a)이 형성된 실린더(71)와, 상기 실린더(71)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린더(71) 내부의 공간을 제1 챔버(71b)와 제2 챔버(71c)로 구획하는 피스톤(72)과, 상기 피스톤(72)에서 상기 제1 챔버(71b)와 관통공(71a)을 통해 실린더(71)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일측에는 기어열이 형성된 피스톤로드(73)와, 상기 제1 챔버(71b)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72)과 피스톤로드(73)를 상기 제2 챔버(71c)쪽으로 밀어내는 압축코일스프링(74)과, 상기 슬라이드부재(51)에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로드(73)의 기어열에 치합되는 피동기어(75)와, 상기 개폐판(50)에서 지지통체(20)의 원주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피동기어(75)에 치합되는 랙기어(76)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71)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 챔버(71b)와 연결되는 통기공(71d)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71d)에는 타단이 상기 지지통체(2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챔버(71b) 내부의 기압이 대기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연결관(71e)이 연결되어, 상기 지지통체(20) 내부의 기압이 상승되면 상기 피스톤(72)과 피스톤로드(73)가 전방으로 가압되며 상기 피동기어(75)를 회전시키고 상기 랙기어(76)를 밀어 상기 개폐판(50)이 상기 개구부(22)의 개방면적을 좁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크랩퍼(15)는 양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15d)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1)에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된 스크랩퍼본체(15a)와, 상기 스크랩퍼본체(15a)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랩퍼본체(15a)의 선단부가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5b)와, 상기 스크랩퍼본체(15a)에 구비되며 스크랩퍼본체(15a)에 가해지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15c)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17)은 경보수단(17a)이 구비되며 상기 진동센서(15c)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센서(15c)에 미리 정해진 진동값 이상의 진동이 가해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17a)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는 둘레면에 오목홈(31)이 형성된 도포로울러(B)와,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부착된 점착제(4)를 긁어내어 제거하는 스크랩퍼(15)를 이용하여, 페트필름(1)에 정확한 양의 점착제(4)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보호필름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의 도포로울러와 스크립퍼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의 도포로울러와 스크립퍼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의 도포로울러 및 개폐조절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의 도포로울러 및 보조개폐보절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의 도포로울러의 구성을 도시한 참고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의 도포로울러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페트필름공급수단(A)에 의해 공급된 페트필름(1)의 하측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페트필름공급수단(A)은 둘레면에 페트필름(1)이 권취된 권취롤이 구비되어, 상기 권취롤이 회전되면 권취롤에 권취된 페트필름(1)이 풀려 나와 상기 점착제 도포장치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페트필름(1)은 하측면에 정전기방지층(2)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권취롤에 권취되며, 정전기방지층(2)이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권취롤에서 풀려나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는 지지프레임(11)과,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점착제(4)가 저장되고 일측에는 점착제(4)가 배출되는 배출구(12a)가 형성된 저장통(12)과,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구비되어 상기 페트필름공급수단(A)에 의해 공급된 페트필름(1)이 상기 저장통(12)의 상측을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로울러(14)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며 하측 둘레면이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에 잠기고 상측 둘레면은 상기 저장통(12)의 상측을 통과하는 페트필름(1)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를 상기 가이드로울러(14)의 둘레부를 경유하는 페트필름(1)의 하측면에 도포하는 도포로울러(B)와,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구비되며 선단부가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부착된 점착제(4)를 긁어내어 제거하는 스크랩퍼(15)와, 상기 배출구(12a)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16)과, 상기 구동모터(13)와 수위조절수단(1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1)은 양측에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11a)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통(12)은 상면이 개방된 사각의 통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는 점도가 낮은 액상의 점착제를 이용한다.
상기 가이드로울러(14)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측판(1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시 안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이때, 상기 벽체(7)의 공급구(7a)를 통해 도포실(6)의 내부로 공급된 페트필름(1)은 가이드로울러(14)의 둘레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저장탱크의 상측을 통과한 후, 상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전방으로 방향전환되어 상기 배출구(7b)를 통해 상기 점착제건조수단(C)으로 공급되도록 안내된다.
상기 도포로울러(B)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21)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개구부(22)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개구부(22)의 외측단 일측과 연결되는 가이드홈(23)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통체(20)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통체(20)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되는 외부관체(30)와, 상기 지지통체(20)에 연결되어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40)과, 상기 가이드홈(23)에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통체(20)의 개구부(22)를 개폐하는 개폐판(50)과, 상기 개폐판(5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17)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개폐판(50)이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개폐조절수단(60)과, 상기 개폐판(50)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기압에 따라 상기 개폐판(50)이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보조개폐조절수단(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통체(2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된 것으로, 일측의 지지바(21)의 내부에는 상기 급기수단(40)이 연결되는 급기공(21a)이 형성되어 상기 급기공(21a)을 통해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22)는 상기 지지통체(20)의 둘레면 중에서,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의 상측으로 노출된 위치에서 상기 스크랩퍼(15)가 설치되는 위치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부관체(30)는 내경이 상기 지지통체(2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베어링(32)에 의해 상기 지지통체(20)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둘레부에는 상기 구동모터(13)가 연결되는 피동기어(33)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13)에 의해 상기 지지통체(20)를 중심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외부관체(30)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오목홈(31)이 나선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31)은 폭과 깊이가 1mm 이내로 매우 미세하게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13)에 의해 외부관체(30)가 회전될 때,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가 표면장력에 의해 오목홈(3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관체(30)의 오목홈(31) 내부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배기공(34)이 형성된다.
상기 배기공(34)은 다수개가 상기 오목홈(31)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지름이 상기 오목홈(31)의 폭에 비해 작게(바람직하게는 0.5mm 내외)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수단(40)에 의해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관체(30)가 회전되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관체(30)에 형성된 관통공(71a)이 상기 개구부(22)의 위치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개구부(22)와 배기공(34)을 통해 상기 오목홈(31)의 내부로 배출되어 오목홈(31)의 내부에 있는 점착제(4)의 일부를 외부로 불어내어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관체(30)는 내주면이 상기 지지통체(2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됨으로, 상기 배기공(34)의 내측단은 상기 지지통체(20)의 외주면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배기공(34) 중에서 상기 개구부(22)와 겹쳐지는 배기공(34)만이 개방되어,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개구부(22)와 겹쳐지는 배기공(34)을 통해서만 상기 오목홈(31)의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 급기수단(40)은 급기관(41)을 통해 상기 지지바(21)의 급기공(21a)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로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개폐판(50)은 상기 가이드홈(23)에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부재(51)와, 외주면이 상기 지지통체(20)의 외경과 동일한 지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51)에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판(5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재(51)는 일측이 상기 개구부(22)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개구부(22)를 통해 지지통체(2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51a)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조절수단(60)은 상기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17)의 제어신호에 의해 신축되는 기계식 실린더(71)기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통체(20)의 내주면에 구비된 힌지브라켓(24)과 상기 슬라이드부재(51)의 연장부(51a)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보조개폐조절수단(70)은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면에는 관통공(71a)이 형성된 실린더(71)와, 상기 실린더(71)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린더(71) 내부의 공간을 제1 챔버(71b)와 제2 챔버(71c)로 구획하는 피스톤(72)과, 상기 피스톤(72)에서 상기 제1 챔버(71b)와 관통공(71a)을 통해 실린더(71)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일측에는 기어열이 형성된 피스톤로드(73)와, 상기 제1 챔버(71b)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72)과 피스톤로드(73)를 상기 제2 챔버(71c)쪽으로 밀어내는 압축코일스프링(74)과, 상기 슬라이드부재(51)에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로드(73)의 기어열에 치합되는 피동기어(75)와, 상기 개폐판(50)에서 지지통체(20)의 원주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피동기어(75)에 치합되는 랙기어(76)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71)는 상기 개구부(22)의 내측으로 연장된 슬라이드부재(51)의 내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71)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 챔버(71b)와 연결되는 통기공(71d)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71d)에는 타단이 상기 지지통체(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관(71e)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챔버(71b) 내부의 기압이 항상 대기압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71e)은 일단은 상기 실린더(71)에 형성된 통기공(71d)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통체(20)의 일측면에 형성된 보조관통공(71a)을 통해 지지통체(20)의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통체(20) 내부의 기압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경우, 상기 피스톤(72)과 피스톤로드(73)는 움직이지 않아서, 상기 개폐판(5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때,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조절수단(60)을 신축시키면, 상기 개폐판(50) 전체가 상기 개구부(22)쪽으로 전후진되면서, 개구부(22)가 개방된 면적을 좁히거나 넓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통체(20) 내부의 기압이 상승되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72)과 피스톤로드(73)가 제1 챔버(71b)쪽으로 가압되며 상기 피동기어(75)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피동기어(75)에 의해 랙기어(76)와 개폐판(50)이 상기 개구부(22)의 쪽으로 전진됨으로써 개구부(22)의 면적을 좁힌다.
반대로, 지지통체(20) 내부의 기압이 하강되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74)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72)과 피스톤로드(73)가 제1 챔버(71b)쪽으로 후퇴되어 상기 피동기어(7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랙기어(76)와 개폐판(50)이 개구부(22)의 반대쪽으로 후퇴되어 개구부(22)의 면적을 넓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구부(22)가 개방된 면적을 좁히거나 넓히면, 상기 외부관체(30)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될 때, 상기 개구부(22)와 상기 외부관체(30)의 배기공(34)이 상호 연통되는 시간이 조절되어, 상기 배기공(34)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오목홈(31)의 내부로 유입된 점착제(4)가 제거되는 양을 조절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오목홈(31)의 내부에 남아있는 점착제(4)의 양을 많게 또는 적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동기어(33)에 치합되는 구동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외부관체(30)를 상기 페트필름(1)이 전진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상기 페트필름(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구(7a)를 통해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관체(30)의 상면에 밀착됨으로, 상기 외부관체(30)는 상기 구동모터(13)에 의해 상단이 전방(도면의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스크랩퍼(1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15d)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1)에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된 스크랩퍼본체(15a)와, 상기 스크랩퍼본체(15a)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랩퍼본체(15a)의 선단부가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5b)와, 상기 스크랩퍼본체(15a)에 구비되며 스크랩퍼본체(15a)에 가해지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15c)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랩퍼본체(15a)는 선단부가 상기 외부관체(30)의 둘레면 중에서 상측으로 회전되는 쪽 둘레면 상측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도포로울러(B)가 회전되면, 상기 스크랩퍼본체(15a)가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묻은 점착제(4)를 긁어내어 제거함으로써, 상기 도포로울러(B)의 오목홈(31)의 내부로 유입된 점착제(4)만 남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이물질이 도포로울러(B)와 함께 회전되는 경우, 상기 이물질이 스크랩퍼본체(15a)의 선단부가 밀착된 위치를 통과하면, 도 3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랩퍼본체(15a)의 선단부가 회전되는 이물질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며, 이물질이 스크랩퍼본체(15a)의 선단부의 위치를 통과하면 상기 탄성부재(15b)의 탄성에 의해 스크랩퍼본체(15a)가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충돌하면서 충격과 진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진동센서(15c)는 스크랩퍼본체(15a)에 전달된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7)으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수단(17)은 상기 진동센서(15c)의 신호를 수신하여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 즉, 상기 외부관체(30)의 둘레면에 이물질이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수단(1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16a)을 통해 상기 저장통(12)의 배출구(12a)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2a)로 배출된 점착제(4)를 저장하는 리저브탱크(16b)와, 상기 리저브탱크(16b)와 저장통(12)을 연결하는 순환관(16c)과, 상기 순환관(16c)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저브탱크(16b)에 저장된 점착제(4)를 상기 저장통(12)으로 공급하는 펌프(16d)로 구성된다.
상기 리저브탱크(16b)는 상기 저장통(12)의 하측에 위치되어, 저장통(12)으로 공급된 점착제(4)가 자중에 의해 상기 배출구(12a)와 연결관(16a)을 통해 상기 리저브탱크(16b)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순환관(16c)은 상기 리저브탱크(16b)의 하측과 저장통(12)의 상단 일측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16d)를 구동시키면, 도 3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저브탱크(16b)에 저장된 점착제(4)가 상기 저장통(12)으로 공급되며,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의 수위가 상기 배출구(12a)의 하단보다 높아질 경우, 점착제(4)가 배출구(12a)와 연결관(16a)을 통해 리저브탱크(16b)로 배출되어,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의 수위가 상기 배출구(12a) 하단의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17)은 경보수단(17a)이 구비되며 상기 진동센서(15c)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센서(15c)에 미리 정해진 진동값 이상의 진동이 가해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17a)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7)에는 작업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17b)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17b)을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구동모터(13) 및 수위조절수단(16)과 함께, 상기 개폐조절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17b)을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17)은 개폐조절수단(60)을 신축시켜, 상기 개폐판(50)이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전후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구부(22)의 개폐정도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개구부(22)와 배기공(34)을 통해 상기 외부관체(30)의 오목홈(31)으로 배출되어, 오목홈(31)에 있는 점착제(4)의 일부를 불어내어 제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개구부(22)가 넓게 개방되도록 하면, 상기 오목홈(31)에 적은 양의 점착제(4)만 남게 되고, 개구부(22)가 좁게 개방되도록 하면, 상기 오목홈(31)에 많은 양의 점착제(4)가 남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22)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페트필름(1)에 도포되는 점착제(4)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페트필름공급수단(A)에서 풀려나온 페트필름(1)이 상기 도포로울러(B)의 상면을 통과하면, 상기 도포로울러(B)에 의해 페트필름(1)의 하측면에 일정한 두께로 접착제(4)가 도포되어 접착제층(3)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접착제층(3)이 형성된 페트필름(1)은 건조단계를 거친 후, 별도로 공급된 하부필름을 합지함으로써, 보호필름을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는 둘레면에 오목홈(31)이 형성된 도포로울러(B)와,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부착된 점착제(4)를 긁어내어 제거하는 스크랩퍼(15)를 이용하여, 페트필름(1)에 정확한 양의 점착제(4)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도포로울러(B)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21)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개구부(22)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개구부(22)의 외측단 일측과 연결되는 가이드홈(23)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통체(20)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통체(20)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되며 둘레면에 상기 오목홈(31)이 형성된 외부관체(30)와, 상기 지지통체(20)에 연결되어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40)과, 상기 가이드홈(23)에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통체(20)의 개구부(22)를 개폐하는 개폐판(50)과, 상기 개폐판(5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17)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개폐판(50)이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개폐조절수단(60)과, 상기 개폐판(50)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기압에 따라 상기 개폐판(50)이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보조개폐조절수단(70)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관체(30)의 오목홈(31) 내부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배기공(3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개구부(22)와 배기공(34)을 통해 상기 오목홈(31)의 내부로 배출되어 오목홈(31)의 내부에 있는 점착제(4)를 외부로 불어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조절수단(60)과 보조개폐조절수단(70)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22)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오목홈(31)의 내부에 있는 점착제(4)를 외부로 불어내어 제거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페트필름(1)에 도포되는 점착제(4)의 두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보조개폐조절수단(70)은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기압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슬라이드판(52)을 슬라이드시켜 개구부(22)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 의도하지 않게 지지통체(20) 내부의 기압이 변화되어 상기 오목홈(31)의 내부에 있는 점착제(4)가 제거되는 정도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즉,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지지통체(20) 내부의 기압이 높아질 경우, 상기 배기공(34)을 통해 오목홈(31)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증가되어, 더욱 많은 점착제(4)가 오목홈(31)에서 제거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조개폐조절수단(70)이 상기 지지통체(20) 내부의 기압이 상승되면 자동으로 상기 슬라이드판(52)을 슬라이드시켜 개구부(22)의 면적을 좁혀 상기 배기공(34)과 개구부(22)가 교차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오목홈(31)에 있는 점착제(4)가 과도하게 많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상기 지지통체(20) 내부의 기압이 저하되면 자동으로 슬라이드판(52)을 슬라이드시켜 개구부(22)의 면적을 넓힘으로써, 오목홈(31)에 있는 점착제(4)가 정해진 양보다 적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게 지지통체(20) 내부의 기압이 변화되어 상기 오목홈(31)의 내부에 있는 점착제(4)가 제거되는 정도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랩퍼(15)는 양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15d)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1)에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된 스크랩퍼본체(15a)와, 상기 스크랩퍼본체(15a)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랩퍼본체(15a)의 선단부가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5b)와, 상기 스크랩퍼본체(15a)에 구비되며 스크랩퍼본체(15a)에 가해지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15c)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17)은 경보수단(17a)이 구비되며 상기 진동센서(15c)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센서(15c)에 미리 정해진 진동값 이상의 진동이 가해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17a)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함으로,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 즉, 상기 외부관체(30)의 외주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상기 점착제(4)가 페트필름(1)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페트필름공급수단 11. 지지프레임
12. 저장통 13. 구동모터
14. 가이드로울러 15. 스크랩퍼
16. 수위조절수단 17. 제어수단
H. 도포로울러

Claims (3)

  1. 페트필름공급수단(A)에 의해 공급된 페트필름(1)의 하측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장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1)과,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점착제(4)가 저장되고 일측에는 점착제(4)가 배출되는 배출구(12a)가 형성된 저장통(12)과,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구비되어 상기 페트필름공급수단(A)에 의해 공급된 페트필름(1)이 상기 저장통(12)의 상측을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로울러(14)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며 하측 둘레면이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에 잠기고 상측 둘레면은 상기 저장통(12)의 상측을 통과하는 페트필름(1)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를 상기 가이드로울러(14)의 둘레부를 경유하는 페트필름(1)의 하측면에 도포하는 도포로울러(B)와,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구비되며 선단부가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부착된 점착제(4)를 긁어내어 제거하는 스크랩퍼(15)와,
    상기 배출구(12a)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16)과,
    상기 구동모터(13)와 수위조절수단(1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7)을 포함하며,
    상기 도포로울러(B)는 둘레면에 다수개의 오목홈(31)이 나선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13)에 의해 둘레면에 밀착된 페트필름(1)이 이송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저장통(12)에 저장된 점착제(4)를 상기 페트필름(1)의 하측면에 도포하며,
    상기 스크랩퍼(15)는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서 상측으로 회전되는 쪽의 면에 밀착되어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부착된 점착제(4)를 긁어내어 제거함으로써 상기 오목홈(31)의 내부로 유입된 점착제(4)만 남도록 하고,
    상기 수위조절수단(16)은
    연결관(16a)을 통해 상기 저장통(12)의 배출구(12a)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2a)로 배출된 점착제(4)를 저장하는 리저브탱크(16b)와,
    상기 리저브탱크(16b)와 저장통(12)을 연결하는 순환관(16c)과,
    상기 순환관(16c)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저브탱크(16b)에 저장된 점착제(4)를 상기 저장통(12)으로 공급하는 펌프(16d)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로울러(B)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21)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개구부(22)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개구부(22)의 외측단 일측과 연결되는 가이드홈(23)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통체(20)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통체(20)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되며 둘레면에 상기 오목홈(31)이 형성된 외부관체(30)와,
    상기 지지통체(20)에 연결되어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40)과,
    상기 가이드홈(23)에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통체(20)의 개구부(22)를 개폐하는 개폐판(50)과,
    상기 개폐판(5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17)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개폐판(50)이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개폐조절수단(60)과,
    상기 개폐판(50)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기압에 따라 상기 개폐판(50)이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보조개폐조절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통체(20)에 구비된 지지바(21) 중에서 일측의 지지바(21)의 내부에는 상기 급기수단(40)이 연결되는 급기공(21a)이 형성되어 상기 급기공(21a)을 통해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관체(30)의 오목홈(31) 내부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배기공(3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통체(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개구부(22)와 배기공(34)을 통해 상기 오목홈(31)의 내부로 배출되어 오목홈(31)의 내부에 있는 점착제(4)를 외부로 불어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판(50)은
    상기 가이드홈(23)에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부재(51)와,
    외주면이 상기 지지통체(20)의 외경과 동일한 지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51)에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판(52)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조절수단(60)은 상기 지지통체(20)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51)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수단(17)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51)를 지지통체(20)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개폐조절수단(70)은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면에는 관통공(71a)이 형성된 실린더(71)와,
    상기 실린더(71)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린더(71) 내부의 공간을 제1 챔버(71b)와 제2 챔버(71c)로 구획하는 피스톤(72)과,
    상기 피스톤(72)에서 상기 제1 챔버(71b)와 관통공(71a)을 통해 실린더(71)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일측에는 기어열이 형성된 피스톤로드(73)와,
    상기 제1 챔버(71b)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72)과 피스톤로드(73)를 상기 제2 챔버(71c)쪽으로 밀어내는 압축코일스프링(74)과,
    상기 슬라이드부재(51)에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로드(73)의 기어열에 치합되는 피동기어(75)와,
    상기 개폐판(50)에서 지지통체(20)의 원주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피동기어(75)에 치합되는 랙기어(76)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71)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 챔버(71b)와 연결되는 통기공(71d)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71d)에는 타단이 상기 지지통체(2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챔버(71b) 내부의 기압이 대기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연결관(71e)이 연결되어,
    상기 지지통체(20) 내부의 기압이 상승되면 상기 피스톤(72)과 피스톤로드(73)가 전방으로 가압되며 상기 피동기어(75)를 회전시키고 상기 랙기어(76)를 밀어 상기 개폐판(50)이 상기 개구부(22)의 개방면적을 좁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퍼(15)는
    양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15d)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1)에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된 스크랩퍼본체(15a)와,
    상기 스크랩퍼본체(15a)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랩퍼본체(15a)의 선단부가 상기 도포로울러(B)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5b)와,
    상기 스크랩퍼본체(15a)에 구비되며 스크랩퍼본체(15a)에 가해지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15c)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17)은 경보수단(17a)이 구비되며 상기 진동센서(15c)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센서(15c)에 미리 정해진 진동값 이상의 진동이 가해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17a)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
KR1020190113544A 2019-09-16 2019-09-16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 KR102059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544A KR102059665B1 (ko) 2019-09-16 2019-09-16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544A KR102059665B1 (ko) 2019-09-16 2019-09-16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665B1 true KR102059665B1 (ko) 2020-02-17

Family

ID=6967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544A KR102059665B1 (ko) 2019-09-16 2019-09-16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6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209B1 (ko) 2021-02-25 2021-07-05 최종구 점착제 제거 및 줄무늬 패턴 형성 지그 장치
CN114472061A (zh) * 2022-02-11 2022-05-13 金华市恒宇包装有限公司 一种高温耐蒸煮铝塑盒盖膜及其制备工艺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977A (ja) * 1997-06-25 1999-01-19 Dr Seisakusho:Kk 異物付着検出機能付きドクター装置
JP2009154377A (ja) * 2007-12-26 2009-07-16 Fujifilm Corp 液体塗布装置、液体塗布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KR101749241B1 (ko) 2015-11-13 2017-06-21 (주)아이펜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1863259B1 (ko) * 2018-01-17 2018-06-04 차천용 점착제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977A (ja) * 1997-06-25 1999-01-19 Dr Seisakusho:Kk 異物付着検出機能付きドクター装置
JP2009154377A (ja) * 2007-12-26 2009-07-16 Fujifilm Corp 液体塗布装置、液体塗布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KR101749241B1 (ko) 2015-11-13 2017-06-21 (주)아이펜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1863259B1 (ko) * 2018-01-17 2018-06-04 차천용 점착제 도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209B1 (ko) 2021-02-25 2021-07-05 최종구 점착제 제거 및 줄무늬 패턴 형성 지그 장치
CN114472061A (zh) * 2022-02-11 2022-05-13 金华市恒宇包装有限公司 一种高温耐蒸煮铝塑盒盖膜及其制备工艺和装置
CN114472061B (zh) * 2022-02-11 2022-11-04 金华市恒宇包装有限公司 一种高温耐蒸煮铝塑盒盖膜及其制备工艺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665B1 (ko) 보호필름 제조용 점착제 도포장치
KR102059664B1 (ko) 이형필름 제조장치
KR101863259B1 (ko) 점착제 도포장치
EP2732079B1 (en) Method for application of liquid polymeric material onto spinning cords and a device for production of nanofibers through electrostatic spinning
JP6339865B2 (ja) 塗布膜形成装置
JP2007098186A (ja) 塗工・乾燥装置及び塗工・乾燥方法
KR101863261B1 (ko) 보호필름 합지장치
US11105017B2 (en) Fib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fiber manufacturing method
CN107442356A (zh) 涂料涂覆装置
US7910167B2 (en) Method of forming a film on a substrate
KR101863260B1 (ko) 친환경 점착제 도포장치
KR101863258B1 (ko) 보호필름 제조장치
KR100820362B1 (ko) 약액 공급장치
JP4728927B2 (ja) 塗料カートリッジ
JP7011081B2 (ja) 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ロール
KR20130043555A (ko) 기재 플로팅 방법 및 장치
JP3672377B2 (ja) 基板処理装置
JP6776165B2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フィルム製造装置
KR102093488B1 (ko) 광케이블용 탈크 도포장치
KR102443526B1 (ko) 슬롯다이
DE1078402B (de) Vorrichtung zum Vakuumbedampfen von Baendern
JP7027383B2 (ja) 塗工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218373B1 (ko) 롤의 이물질 제거장치
JP6136012B2 (ja) 目詰め液充填シート製造方法及び目詰め液充填装置
KR20160028631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