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568B1 - 오리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오리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568B1
KR102059568B1 KR1020190057500A KR20190057500A KR102059568B1 KR 102059568 B1 KR102059568 B1 KR 102059568B1 KR 1020190057500 A KR1020190057500 A KR 1020190057500A KR 20190057500 A KR20190057500 A KR 20190057500A KR 102059568 B1 KR102059568 B1 KR 102059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k
washing
brush
washing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구
Original Assignee
(주)오케이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케이덕 filed Critical (주)오케이덕
Priority to KR102019005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61Cleaning or disinfecting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53Transferring or conveying device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리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모된 후 포장되어 온 오리를 가공식품으로 가공하기 전에 오리 표면에 묻은 이물질 및 기생충을 세척하는 동시에 오리의 냄새도 제거할 수 있는 오리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리 세척장치{Duck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오리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모된 후 포장되어 온 오리를 가공식품으로 가공하기 전에 오리 표면에 묻은 이물질 및 기생충을 세척하는 동시에 오리의 냄새도 제거할 수 있는 오리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국민 소득이 향상되면서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가 기존의 단순한 에너지 위주에서 영양중심으로, 양적인 식문화에서 질적인 식문화로 급격하게 전환되었으며, 최근에는 윌빙, 로하스, 슬로우 푸드라는 큰 범주 속에서 오리가공식품 산업이 급속하게 발달하고 있다.
원본동의보감, 본초강목 등에 따르면 오리고기는 육류 중 특이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몸의 산성화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노화방지 및 피부에 활력을 주어 아름다움을 유지시켜주고 노인의 건강을 지켜주는 스테미너 식품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오리는 다양한 해독능력과 병에 대한 강한 저항력, 자연치유력 등이 대단히 높은 가금류에 속하며, 특히 각종 중금속, 오염된 먼지 등의 유해한 환경에 처해있는 현대인들이 이러한 오리고기를 섭취하면 유해요소에 의한 피해와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아울러, 건강식인 오리고기의 섭취를 위해 직접 조리하지 않고 간단조리만으로 섭취할 수 있는 오리 가공식품이 최근 인기를 끌고 있다.
이처럼, 보양식으로 알려진 오리고기를 이용한 가공식품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오리고기를 가공하기 전 세척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오리는 도살, 내장제거, 세척 및 포장의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처리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류 중 오리는 뜨거운 물에 살짝 담가 불린 후 원심분리기 등에 넣어 표면의 털을 깨끗하게 벗겨내고 머리와 발등을 먼저 절단시킨 뒤 일반 자연수로 세척하여 유통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리는 털을 벗겨낸 후 간단한 세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포장이 되어 그다지 청결하다거나 위생적이지 못하였고, 이러한 관계로 별도의 세척과정 없이 오리를 이용하여 가공식품을 만들거나 요리 등을 하였을 때에는 오리 냄새가 많이 나고 살이 퍽퍽하여 맛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오리에 각종 이물질 및 기생충이 전부 제거되지 못하고 남아있게 되어 가공식품을 만들거나 이를 이용해 요리를 하여 섭취하였을 때 식중독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요인이 남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오존수로 오리를 살균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조류에 오존수를 살포하는 것은 조류의 외부를 오존수내에 침지시키는 것과 수조 내에 침지시키면서 동안 조류의 체강내부와 외부면에 따라 오존수를 분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처리 전에 오존가스를 합성하고, 물에 이를 용해시켜 살균하는 방법으로, 오존이 작업장의 대기 내로 누출되어 작업자의 건강에 해를 주게 되며 처리비용이 상당히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살균 소독용으로 사용되는 오존수가 표면에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이 상태의 오리를 이용하여 가공식품으로 제조하거나 요리를 할 경우 우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함께 섭취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탈모되어 포장되어 온 오리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장치가 개시되었으나, 이 역시 단순 분사방법으로 세척하거나, 저수되어 있는 물에 담궜다 빼는 간단한 방법으로 이루어져 오리에 각종 이물질 및 기생충을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탈모된 후 포장되어 온 오리를 가공가기 전에 오리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 또는 기생충 등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세척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등록특허 제10-027676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탈모된 후 포장되어 온 오리를 가공식품으로 가공하기 전에 오리 표면에 묻은 이물질 및 기생충을 세척하는 동시에 오리의 냄새도 제거할 수 있는 오리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수조에 저수된 세척수를 배출한 후 이물질을 걸러 다시 수조로 공급함으로써, 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오리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탈모된 오리가 이동되는 철망으로 이루어진 세척컨베이어와, 상기 세척컨베이어의 폭방향 외부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감싸면서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되는 분사체를 포함하는 제1세척부; 상기 제1세척부를 통해 1차 세척된 오리가 낙하되어 2차로 세척하는 제2세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세척부는 내부로 오리가 낙하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다수로 구비되고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세척되는 오리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배관이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되, 상기 제1배관과 연결되어 오리의 표면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배관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요소가 일렬로 나열된 상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오리를 세척하면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세척부재; 상기 수조의 우측단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세척부재에 의해 세척되면서 이동한 오리를 수조 밖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요소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내부에 블레이드가 방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배관이 관통되는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의 상부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제1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실링부재와, 내측에 상기 제2배관이 접하며 상기 제2배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세척수공급공을 포함하는 제2본체; 상기 제2본체의 상부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의 외주면에 씌워지고, 상부 및 블레이드요소의 정렬방향과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 사이에 다수로 형성되는 제2 세척수공급공을 포함하는 브러시 캡; 및 상기 제1본체의 상부와 상기 제2본체의 내측에 각각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오리가 상기 수조로 낙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향해 이동되면서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압축 및 신장되면서 오리의 표면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는 상기 세척컨베이어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세척부재로 상기 수조의 경사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조의 하부면의 내측에는 브러시막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조 내부에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세척수 배출관; 상기 세척수 배출관과 연결되며 배출된 물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연결되며 필터에 의해 걸러진 세척수를 상기 수조로 재공급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된 제1배관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세척수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브러시 캡에 형성된 제2 세척수공급공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리 세척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오리가 가공식품으로 가공되기 전 사방에서 분사되는 제1세척부에 의해 이동되면서 1차 세척이 되고, 1차로 세척된 오리가 몰이 저수된 수조로 낙하된 후 블레이드에 의해 2차 세척됨으로써, 오리에 묻은 이물질 및 기생충을 모두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블레이드요소에 스프링 구비됨으로써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오리의 굴곡진 형상에 의해 블레이드 요소가 각각 다르게 압축됨으로써 오리의 표면을 깨끗하게 세척해주며, 오리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수조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오리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수조에는 오리 세척 시 사용되는 세척수를 배출시킬 수 있고 배출된 물에서 이물질을 걸러 다시 수조 내로 공급함으로써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리 세척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리 세척장치의 전체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리 세척장치의 수조가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리 세척장치의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오리 세척장치의 블레이드의 회전축 내부에 배관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오리 세척장치의 블레이드의 회전축 내부의 배관과 블레이드 요소의 배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오리 세척장치의 블레이드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오리 세척장치의 브러시 캡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오리 세척장치의 브러시 캡의 단면도이며, 세척수의 분사방향을 나타내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오리 세척장치의 제2본체와 브러시 캡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오리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오리 세척장치의 블레이드 사이에 이물질 제거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오리 세척장치의 세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세척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오리로 한정하여 기재하였으나, 닭을 포함하는 다른 가금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 1의 수조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및 전, 후면으로 기재할 것이나, 방향을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리 세척장치는 일반 오리뿐만 아니라 유황을 먹인 오리를 훈제 등의 방식으로 가공하기 전 세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리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가공하는 유황을 먹인 오리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유황은 어떤 생물이든지 먹으면 즉사하게 되는데, 유황의 해독은 해독력이 강한 오리만이 해독시킬 수 있어 오리에게 유황을 섞은 사료를 먹여 오리로 만들어 건강식으로 섭취를 하게 된 것이다.
즉, 옥수수, 소맥, 대두박, 수지막, 우지, 석회석 등을 포함하는 오리 사료에 유황을 혼합하여 오리에게 제공하여 오리로 사육하게 되는 것이다.
오리에게 유황을 먹일 때에는 반드시 가루 유황을 고운채로 쳐서 사료에 골고루 섞어주어야 하며, 오리가 2~3개월쯤 자란 뒤부터 유황을 조금씩 먹이에 섞어 대략 하루 3~4g씩 제공할 수 있으며, 1년 이상 유황을 먹인 오리여야만 약효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오리 섭취를 하게 되면 몸 안에 쌓인 온갖 유해 독을 풀어주게 되는 것으로 유황을 먹이지 않은 일반 오리만 먹어도 몸의 독소가 많이 해소되는데 유황을 먹인 오리를 먹으면 몸에 쌓인 독의 해독뿐만 아니라 성인병 예방도 가능하며, 소염작용으로 늑막염, 골수염, 수술 후 염증치료, 여러 부인병 등에 효과가 있다.
즉, 이러한 유황을 먹인 오리뿐만 아니라 일반 오리의 간단섭취를 위해 가공식품으로 제조하기 전 오리의 세척을 위해 본원발명의 오리 세척장치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척부(100)와 제2세척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세척부(100) 및 상기 제2세척부(200)에 제공되는 세척수는 오리의 냄새제거에 효과가 좋은 녹차추출물이 함유된 물이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먼저, 제1세척부(100)는 세척컨베이어(110)와 분사체(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세척컨베이어(110)는 탈모된 오리(D)가 이동되며 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분사체(120)는 상기 세척컨베이어(110)의 폭 방향 외부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감싸면서 형성되며 내부에 다수의 분사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체(120)는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컨베이어(110)를 동해 이송되는 오리(D)의 표면전체에 분사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제2세척부(200)는 상기 제1세척부(100)를 통해 1차 세척된 오리(D)가 낙하되어 2차 세척되는 것으로, 수조(210), 회전세척부재(300) 및 이송컨베이어(4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210)는 내부로 오리(D)가 낙하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회전세척부재(300)는 상기 수조(210)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다수로 구비되고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오리(D)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배관(330)이 형성되는 회전축(3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320)은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조(210)는 제1세척부(100)에서 오리(D)가 낙하되면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만큼 세척수가 저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20)에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 나가는 블레이드(310)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310)는 상기 제1배관(330)과 연결되어 오리(D)의 표면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배관(380)이 형성되는 복수의 블레이드 요소(340)가 일렬로 나열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블레이드(310)는 오리(D)의 표면을 세척하는 동시에 오리(D)를 우측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우측방향으로 이송된 오리(D)는 상기 수조(210)의 우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컨베이어(400)를 통해 수조(210) 밖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컨베이어(400)는 오리(D)가 경사진 컨베이어를 타고 올라갈 때 다시 수조(210) 내부로 미끄러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리(D)가 안착되는 하부컨베이어(420)와 상기 하부컨베이어(420)와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어 오리(D)를 상측에서 약하게 눌러주면서 이송시킬 수 있는 상부컨베이어(4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컨베이어(420)는 오리(D)를 수로 밖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상부컨베이어(410)는 오리가 하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는, 상기 상부컨베이어(410)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하부컨베이어(420)의 폭 방향으로 안착턱(440)이 형성되어 오리(D)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400)에 오리(D)가 안착되는 것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210)의 내측 하부면과 상기 이송컨베이어(400)의 하측을 연결하는 받침판(430)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받침판(430)은 상기 수조(210)의 내측 하부면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400) 방향으로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제1세척부(100)에서 오리(D)가 1차 세척된 후 수조(210)로 낙하하여 제2세척부(200)에 의해 2차 세척된 후 이송컨베이어(400)에 의해 수조(210) 밖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렇게, 오리(D)를 2차 세척하는 구성에 대해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리(D)의 표면을 세척하는 블레이드(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렬로 나열된 블레이드 요소(340)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블레이드 요소(340)는 오리(D)의 표면을 직접적으로 세척하는 부분으로 제1본체(350), 제2본체(360), 브러시 캡(370) 및 스프링(39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본체(350)는 상기 회전축(320)과 연결되며 내부에 블레이드(310)가 방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배관(380)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본체(360)는 상기 제1본체(350)의 끝단에서 회전축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본체(350)와 상기 제2본체(360) 사이에는 수조(210)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부재(9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900)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본체(360)는 내측이 상기 제1본체를 관통한 상기 제2배관(380)과 접하며 상기 제2배관(380)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2배관(380)이 접하는 지점에 제1 세척수공급공(3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배관은 회전축 내부에 위치된 제1배관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2배관은 회전축, 제1본체 및 제2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캡(370)은 상기 제2본체(360)의 끝단에서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의 외주면을 감싸게 씌워지며, 블레이드 요소(340)의 정렬방향과 반대방향에 브러시(37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둥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 요소(340)가 일렬로 정렬될 때 서로 접하는 면을 제외한 면에 실리콘 재질의 브러시(371)가 형성되어 블레이드 요소(340)간의 간섭을 주지 않고 오리(D) 표면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러시(371)의 사이사이에 다수로 제2 세척수공급공(37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세척수공급공(372)은 상기 블레이드(3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371) 또는 제2 세척수공급공(372)이 일렬로 형성되지 않고 번갈아가면서 형성됨으로써 이물질이 쉽게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회전방향으로 제2 세척수공급공(372)이 형성되면 오리(D) 표면에 직접적으로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 발명과 같이 제2 세척수공급공(372)이 블레이드(3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 세척수공급공(372)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오리(D)의 표면으로 직접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310)가 오른쪽으로 회전한다면 제2 세척수공급공(372)은 왼쪽방향 사선으로 형성됨으로써 블레이드(3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본체(350)의 타측과 상기 제2본체(360)의 내측에 각각 스프링(390)이 연결된 상태일 수 있으며, 스프링(390)의 연결로 인해 오리(D)가 상기 수조(210)로 낙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400)를 향해 이동되면서 가해지는 힘 및 오리(D)의 굴곡진 형상에 따라 상기 제1본체(350)와 상기 제2본체(360)가 상기 스프링(390)에 의해 압축 및 신장되면서 오리(D)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블레이드(310)의 브러시 캡(370)과 세척 대상이 되는 오리(D)가 닿을 때 오리(D)의 크기 또는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310)에 가해지는 힘이 달라지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의해 블레이드(310)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블레이드 요소(340)의 제1본체(350)와 제2본체(360)가 각각 다른 힘으로 압축되어 오리(D)의 표면 굴곡에 맞게 블레이드(310)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배관(380) 중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본세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부분에는 탄성이 있는 자바라 형태의 탄성배관(381)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390)과 함께 압축 및 신장됨으로써, 오리(D)의 표면 굴곡에 맞게 블레이드(310)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350) 및 제2본체(360) 사이에 형성된 실링부재(900)가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1본체(350)와 제2본체(360)가 원활하게 압축 신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본체(360)와 상기 브러시 캡(370)은 고압의 분사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볼 스프링(800)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결합방법은 제한을 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볼스프링(800) 결합 시 제2본체(360)와 브러시 캡(370)의 분리를 위해 볼 스프링이 위치하는 브러시 캡에 볼스프링(800)의 압축스프링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미세한 관통구를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수조(210) 내부에 공급되어 오리(D)를 세척한 세척수를 배출하고 배출된 세척수에 있는 이물질을 걸러낸 후 다시 수조(210)로 공급하는 세척수 정화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세척수 정화시설은 세척수 배출관(510), 필터부(530), 세척수 공급관(520)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 배출관(510)은 상기 수조(210)의 최하부에서 일정간격 높게 위치되어 수조(210) 내부에 일정높이만큼 물이 저수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수조(210) 내부의 세척수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측정센서(540)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 높이측정센서(540)에 의해 수조(210) 안에 저수된 세척수가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세척수 배출관(510)을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며, 세척수의 높이가 최소 설정지점까지 위치하게 되면 세척수 배출관(510)을 폐쇄하여 물이 배출되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배출관(510)에는 배출된 세척수에 섞인 이물질일 걸러주는 필터부(5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필터부(530)에는 이물질뿐만 아니라, 오리(D)를 세척하면서 오염된 세척수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터부(530)는 세척수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주고 오염된 세척수를 정화시킬 수 있는 공지된 기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오리(D)의 냄새 제거를 위해 세척수에 녹차 추출물이 별도로 공급될 수 있으며, 녹차 추출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은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위치나 방법은 제한을 하지 않는다.
아울러, 필터부(530)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부(530)에서 정화된 세척수를 다시 세척수 공급관(520)으로 공급할 수 있는 모터펌프(5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 공급관(520)은 상기 필터부(530)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에 의해 걸러진 세척수를 상기 수조(210)로 재공급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320)의 내부에 형성된 제1배관(330)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필터에 연장된 세척수 공급관(520)은 상기 수조(210)의 후면에서 회전축(320)이 위치된 부분까지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각각의 회전축(320)의 내부에 형성된 제1배관(330)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제1배관(330)이 위치된 부분으로 전후방향으로 세척수 공급 보조관(5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 공급 보조관과 제1배관(330) 사이, 즉 수조(210)의 후면에 고압분사펌프(56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브러시 캡(370)의 제2 세척수공급공(372)으로 물이 분사될 때 고압으로 분사되어 오리(D)의 표면세척에 도움을 주기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수조(210) 내부에 세척수가 저수된 상태이고, 세척수 속에서 이동되는 오리(D)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지 않는다면 오리(D) 세척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오리(D)가 세척될 때 상기 브러시 캡(370)의 제2 세척수공급공(372)에서 고압의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오리(D)의 표면을 브러시(371)뿐만 아니라 고압으로 제공되는 세척수로도 세척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조(210)의 하부면에는 오리(D) 표면을 세척할 수 있는 브러시 막대(6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브러시 막대(600)는 상기 회전축(3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브러시 막대(600)에 의해 오리(D)의 양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310)와 블레이드(310) 사이에는 상기 브러시 캡(370)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부(6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650)는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다수의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블레이드(310)가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시(371)가 상기 갈고리를 지나가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리(D)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수조(210)의 하면과 상기 블레이드(310) 사이의 공간을 분리할 수 있는 망 형태의 구획판(70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획판(700)은 오리(D) 세척 시 오리(D)에서 분리되는 이물질 또는 기생충을 걸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오리(D)에서 분리된 이물질 등이 고압의 분사에 의해 구획판(700)의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고압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상부로 다시 올라오지 못해 구획판(700) 상부에 이물질이 떠다니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브러시 막대(600), 받침판(430), 이송컨베이어(400)가 상기 구획판(7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며, 세척수 배출관(510)이 구획판(700)의 상부와 구획판(700)의 하부의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어느 한 지점에서 만나 상기 필터부(530)로 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판(700)의 하부 측면에 연결된 세척수 배출관(510)으로는 상기 블레이드(310)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이물질도 우측으로 이동되어 세척수 배출관(5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오리(D) 세척장치의 세척방법에 대해 다시 한 번 설명하면, 탈모된 후 포장되어 온 오리(D)는 제1세척부(100)의 세척컨베이어(110)를 통해 이송되면서 상기 세척컨베이어(110)를 감싸고 있는 분사체(120)의 분사구(121)에서 공급되는 녹자추출물이 함유된 세척수에 의해 오리(D)의 표면이 1차로 세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컨베이어(110)는 철망으로 이루어져 있어 분사되는 세척수가 철망을 통과하여 오리(D) 표면 전체에 분사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제1세척부(100)에서 세척된 오리(D)는 세척컨베이어(110)에서 낙하되어 제2세척부(200)의 수조(210)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오리(D)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310)에 의해 이동되면서 표면 세척이 가능한 것이다.
즉, 첫 번째 위치되는 블레이드(310)가 오리(D)를 끌어옴과 동시에 블레이드 요소(340)의 끝단에 위치한 브러시(371)가 오리(D)의 표면을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회전축(320)과 블레이드 요소(340) 내부로 연결된 제1배관(330) 및 제2배관(380)에 의해 상기 브러시(371) 사이에 형성된 제 2 세척수 공급공을 통해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면서 오리(D)의 표면을 세척하는 것이며, 오리(D)가 굴곡진 표면의 형태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 요소(340)의 제1본체(350)와 제2본체(360)가 압축 및 신장되면서 오리(D)의 표면을 세척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371)를 이용하여 세척함과 동시에 수조(210) 하부면 내측에 마련된 브러시 막대(600)에 의해 전체면을 고르게 세척할 수 있으며, 다수의 회전세척부를 지나면서 오리(D)의 표면이 고르게 세척되는 것이다.
다수의 블레이드(310)를 지나 마지막 블레이드(310)에 오리(D)가 위치되면 블레이드(310)가 오리(D)를 세척하면서 회전되어 오리(D)를 이송컨베이어(400)로 밀어주는 역할도 동시에 하게 되어 오리(D)가 경사진 이송컨베이어(4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외부로 꺼내지는 것이다.
이때, 세척수를 재사용 할 수 있도록 수조(210) 내부에 세척수가 일정높이 이상 채워지면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배출된 세척수는 필터부(530)를 거쳐 다시 물공급관을 통해 각각의 회전축(320) 내부의 제1배관(330)으로 공급되어 브러시 캡(340)의 제2 세척수공급공(372)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것이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탈모된 오리가 이동되고, 철망으로 이루어진 세척컨베이어(110)와, 상기 세척컨베이어의 폭 방향 외부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되는 분사체를 포함하는 제1세척부(100) 및 상기 제1세척부를 통해 1차 세척된 오리가 낙하되어 2차로 세척되는 제2세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세척부(200)는 내부로 오리가 낙하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세척수가 저수되어 있고 하부면이 상기 세척컨베이어가 위치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210)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다수로 구비되되, 상기 수조(210)의 경사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배관(330)이 형성되는 회전축(320)과, 상기 회전축에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310)요소(340)가 일렬로 나열된 상태의 블레이드(310)(310)를 포함하고, 오리를 세척함과 동시에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세척부재(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210)의 우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세척부재에 의해 세척된 오리를 수조(210) 밖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400)가 형성되며, 상기 수조(210)의 하부면의 내측에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위치하는 브러시막대(600)가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310)와 블레이드(310)의 사이의 전면에서 후면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310) 회전 시 상기 블레이드 요소의 브러시(371)와 포개어져 브러시(371)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갈고리가 마련되는 이물질 제거부(65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상기 수조(210)의 하면과 상기 블레이드(310) 사이에 형성되어 공간을 분리하며 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획판(700)이 형성될 수 있고, 수조(210) 내부에 일정 높이 만큼 세척수가 저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210) 일측면의 최하부에서 일정간격 높은 지점 중 상기 구획판(700)의 상부지점 측면에 연결되고, 구획판(700) 아래로 이동된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210)의 하부면과 상기 구획판(700) 사이의 측면에 연결되는 세척수 배출관(510), 상기 세척수 배출관과 연결되며 배출된 물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530), 상기 필터부가 연결되며 필터에 의해 걸러진 세척수를 상기 수조(210)로 재공급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된 제1배관(330)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세척수 공급관(52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요소(340)는 상기 회전축(320)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2본체(360)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회전축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정렬되는 제1본체(350)와, 상기 제1본체(350)의 끝단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며 브러시 캡(370)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회전축(320)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정렬되고 세척수가 배출되는 제1 세척수공급공(361)이 관통 형성되며, 회전축이 회전하는 방향의 일면에 볼스프링(800)이 장착되어 있는 제2본체(360)와 상기 제1배관(330)과 연결되고, 상기 제1본체(350)를 관통하여 상기 제2본체(360)의 내측에 접하여 제1세척수공급공(61)과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된 제2배관(380) 및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제2 본체의 외주면에 씌워지며 회전축 방향의 상부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캡 본체를 포함하는 브러시 캡(3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캡(370)은 브러시 캡이 일렬로 정렬되면서 접하는 면을 제외한 부분의 상부에서 반원의 링 형태가 되도록 배치되는 브러시(371)와 상기 브러시 캡 본체 중 브러시(371)와 브러시(371) 사이에 상기 블레이드(3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탈모된 오리에 직접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제2 세척수공급공(37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스프링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는 방향의 일면 내부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홈(375)이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의 홈에서 일면의 외부까지 형성되는 관통구(376)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360)의 볼스프링이 상기 브러시 캡의 홈과 결합되어 상기 제2본체와 상기 브러시 캡이 물의 분사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관통구를 이용하여 볼스프링을 압축시켜 상기 제2 본체(360)와 상기 브러시 캡의 결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본체의 끝단과 상기 제2본체(360)의 내측에 각각 연결되는 스프링(390) 및 상기 제2배관 중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본체(36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부분에는 탄성이 있는 자바라 형태의 탄성배관(381)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브러시 캡(370)에 세척대상이 되는 오리가 닿을 때 오리의 크기 또는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스프링(390) 및 상기 탄성배관(381)에 의해 제2본체(360) 및 브러시 캡(370)이 각각 다른 힘으로 압축 신장됨으로써 오리의 굴곡진 형상으로 블레이드(310)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오리의 표면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자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세척부
200: 제2세척부
300: 회전세척부재

Claims (5)

  1. 탈모된 오리가 이동되고, 철망으로 이루어진 세척컨베이어와, 상기 세척컨베이어의 폭 방향 외부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되는 분사체를 포함하는 제1세척부; 및
    상기 제1세척부를 통해 1차 세척된 오리가 낙하되어 2차로 세척되는 제2세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세척부는
    내부로 오리가 낙하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세척수가 저수되어 있고 하부면이 상기 세척컨베이어가 위치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210)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다수로 구비되되, 상기 수조의 경사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배관이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요소가 일렬로 나열된 상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오리를 세척함과 동시에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세척부재;
    상기 수조의 우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세척부재에 의해 세척된 오리를 수조 밖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수조의 하부면의 내측에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위치하는 브러시막대;
    상기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의 사이의 전면에서 후면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회전 시 상기 블레이드 요소의 브러시와 포개어져 브러시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갈고리가 마련되는 이물질 제거부;
    상기 수조의 하면과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되어 공간을 분리하며 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획판;
    수조 내부에 일정 높이 만큼 세척수가 저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 일측면의 최하부에서 일정간격 높은 지점 중 상기 구획판의 상부지점 측면에 연결되고, 구획판 아래로 이동된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하부면과 상기 구획판 사이의 측면에 연결되는 세척수 배출관;
    상기 세척수 배출관과 연결되며 배출된 물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연결되며 필터에 의해 걸러진 세척수를 상기 수조로 재공급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된 제1배관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세척수 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요소는
    상기 회전축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2본체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회전축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정렬되는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의 끝단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며 브러시 캡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회전축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정렬되고 세척수가 배출되는 제1 세척수공급공이 관통 형성되며, 회전축이 회전하는 방향의 일면에 볼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제2본체;
    상기 제1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제1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2본체의 내측에 접하여 제1세척수공급공과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된 제2배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제2 본체의 외주면에 씌워지며 회전축 방향의 상부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캡 본체를 포함하는 브러시 캡; 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캡은
    브러시 캡이 일렬로 정렬되면서 접하는 면을 제외한 부분의 상부에서 반원의 링 형태가 되도록 배치되는 브러시;
    상기 브러시 캡 본체 중 브러시와 브러시 사이에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탈모된 오리에 직접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제2 세척수공급공;
    상기 볼스프링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는 방향의 일면 내부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홈;
    상기 반원형의 홈에서 일면의 외부까지 형성되는 관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의 볼스프링이 상기 브러시 캡의 홈과 결합되어 상기 제2본체와 상기 브러시 캡이 물의 분사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관통구를 이용하여 볼스프링을 압축시켜 상기 제2 본체와 상기 브러시 캡의 결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1본체의 끝단과 상기 제2본체의 내측에 각각 연결되는 스프링; 및
    상기 제2배관 중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부분에는 탄성이 있는 자바라 형태의 탄성배관;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브러시 캡에 세척대상이 되는 오리가 닿을 때 오리의 크기 또는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스프링 및 상기 탄성배관에 의해 제2본체 및 브러시 캡이 각각 다른 힘으로 압축 신장됨으로써 오리의 굴곡진 형상으로 블레이드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오리의 표면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57500A 2019-05-16 2019-05-16 오리 세척장치 KR102059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500A KR102059568B1 (ko) 2019-05-16 2019-05-16 오리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500A KR102059568B1 (ko) 2019-05-16 2019-05-16 오리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568B1 true KR102059568B1 (ko) 2019-12-26

Family

ID=6910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500A KR102059568B1 (ko) 2019-05-16 2019-05-16 오리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5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570A (ja) * 2002-07-04 2004-02-05 Showa Kogyo Kk 回転ロールブラシ
KR101564600B1 (ko) 2015-05-22 2015-11-03 주식회사 국일이엔에이 고추 세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570A (ja) * 2002-07-04 2004-02-05 Showa Kogyo Kk 回転ロールブラシ
KR101564600B1 (ko) 2015-05-22 2015-11-03 주식회사 국일이엔에이 고추 세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9294B2 (en) Hatchery eggshell wast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7361116B (zh) 一种泥鳅或黄鳝宰杀设备
US67834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faecal matter from slaughtered poultry suspended by the legs and for cleaning the poultry
MXPA06009325A (es) Aparato y sistema automatizados para cocer, secar, pelar y procesar productos de mariscos.
CN102763707B (zh) 食品螺类的加工处理方法及设备
KR101579449B1 (ko) 가금류의 근위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US9259012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ving material from the feet of poultry
KR102059568B1 (ko) 오리 세척장치
Liadakis et al. Identification, qua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omato processing by-products
CN209331140U (zh) 一种石榴加工装置
KR101608177B1 (ko) 미강 세척시스템
CN111194877A (zh) 一种食品的嫩化装置及其方法
KR20230053775A (ko) 도계 및 육가공 시스템
CN212014298U (zh) 一种开肚去内脏清洗一体机
BE1024444B1 (nl)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verteerbaar pluimen of haarmeel
CN204763224U (zh) 橄榄分拣清洗干燥灭菌装置
CN104438260A (zh) 一种雏筐清洗设备
WO2000035959A1 (fr) Procede pour traiter des tetes de poissons et appareil pour separer les tetes de poissons traitees
KR20200021692A (ko) 해삼 가공장치 및 방법
KR102306188B1 (ko) 깐마늘 양산을 위한 자동화 장치
CN214710174U (zh) 一种食品的嫩化装置
KR200438321Y1 (ko) 가금류 내장 분리용 커팅 장치
CN205547176U (zh) 一种智能的海螺清洗去壳一体机
KR101548665B1 (ko) 수하식 양식굴의 가공장치
KR102253527B1 (ko) 육가공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