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010B1 - 수영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수영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010B1
KR102059010B1 KR1020190107554A KR20190107554A KR102059010B1 KR 102059010 B1 KR102059010 B1 KR 102059010B1 KR 1020190107554 A KR1020190107554 A KR 1020190107554A KR 20190107554 A KR20190107554 A KR 20190107554A KR 102059010 B1 KR102059010 B1 KR 102059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in
swim
hook
swi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윤
Original Assignee
박순영
김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영, 김도윤 filed Critical 박순영
Priority to KR1020190107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010B1/ko
Priority to PCT/KR2020/009592 priority patent/WO20210402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63B31/12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arms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0Swim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문건은 생존수영(또는 평형) 발차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영 보조기구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는, 종아리 상부를 감싸는 제1 밴드; 발목을 감싸는 제2 밴드;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를 연결하고, 종아리의 일측에 덧대어지는 제1 연결대;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를 연결하고, 종아리의 타측에 덧대어지는 제2 연결대; 상기 제1 연결대에 결합되는 제1 스윔핀유닛; 상기 제2 연결대에 결합되는 제2 스윔핀유닛; 및, 상기 제1 스윔핀유닛의 하부와 상기 제2 스윔핀유닛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고, 발바닥을 감싸는 스트랩;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영 보조기구{EQUIPMENT USED IN SWIMMING}
본 문건이 개시하는 기술(Disclosure)은, 신체에 착용하는 수영 보조기구와 관련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915호 및,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27589호 각각에는, 다리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수영(또는 물놀이) 보조기구가 게재되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915호에 게재된 기술은, 자유형 영법으로 수영할 때, 사용하기 적합한 구조이며,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27589호에 게재된 기술은, 물속에서 직립 보행할 때, 사용하기 적합한 구조이다.
한편, 수영 초심자나 아동의 경우, 본능적으로 속칭 개구리 헤엄이라 불리는 생존수영을 많이 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생존수영 발차기(평행 발차기와 유사)에 적합한 수영 보조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생존수영(또는 평형) 발차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영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는, 종아리 상부를 감싸는 제1 밴드; 발목을 감싸는 제2 밴드;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를 연결하고, 종아리의 일측에 덧대어지는 제1 연결대;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를 연결하고, 종아리의 타측에 덧대어지는 제2 연결대; 상기 제1 연결대에 결합되는 제1 스윔핀유닛; 상기 제2 연결대에 결합되는 제2 스윔핀유닛; 및, 상기 제1 스윔핀유닛의 하부와 상기 제2 스윔핀유닛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고, 발바닥을 감싸는 스트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스윔핀유닛과 상기 제2 스윔핀유닛 각각은, 상단에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의 하방에 힌지가 마련되고, 상기 힌지의 하방에 후크가 마련된 플레이트; 및, 상단이 상기 힌지에 힌지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후크를 수용하는 걸림홀이 형성된 스윔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상기 스윔핀이 상기 후크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상기 스윔핀의 일측면을 탄성지지하는 접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상단에 걸림고리가 구비되고, 일측면에 암벨크로가 마련된 제1 몸체; 및, 상단에 걸림고리가 구비되고, 일측면에 수벨크로가 마련된 제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은, 생존수영(또는 평형) 발차기 추진력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는, 수영 초심자들 및 아동들의 수영(물놀이)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레이트와 스윔핀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스윔핀과 블레이드의 결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보조기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100)는, 제1 밴드(110), 제2 밴드(120), 제1 연결대(130), 제2 연결대(140), 제1 스윔핀유닛(150), 제2 스윔핀유닛(160) 및, 스트랩(170)을 포함한다.
제1 밴드(110)는 사용자의 종아리 상부를 감싼다. 제1 밴드(110)는 특정 재질로 한정되지 않으나, 하나의 예로서, 제1 밴드(110)는 탄성을 지닌 섬유재질일 수 있다. 또한, 제1 밴드(110)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밴드(110)에는 버클이나 벨크로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 밴드(120)는 제1 밴드(110)의 직 하방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발목을 감싼다. 제2 밴드(120)는 탄성을 지닌 섬유재질일 수 있다. 또한, 제2 밴드(120)는 특정 재질로 한정되지 않으나, 하나의 예로서, 제2 밴드(120)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제2 밴드(120)에는 버클이나 벨크로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연결대(130)는 제1 밴드(110)와 제2 밴드(120)를 연결하고, 사용자의 종아리의 일측에 덧대어진다.
제2 연결대(140)는 제1 밴드(110)와 제2 밴드(120)를 연결하고, 사용자의 종아리의 타측에 덧대어진다.
제1 스윔핀유닛(150)은 제1 연결대(130)에 결합되고, 제2 스윔핀유닛(160)은 제2 연결대(140)에 결합된다.
제1 스윔핀유닛(150)은 플레이트(152), 스윔핀(154), 블레이드(156)로 구성될 수 있다. * 제2 스윔핀유닛(160)은 제1 스윔핀유닛(150)과 구조가 동일함.
플레이트(152)는 부식에 강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 탄성을 지닌 알루미늄, 강화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52)의 상단에는 스토퍼(152a)가 마련되고, 스토퍼(152a)의 하방에 해당하는 플레이트(152)의 내측에는 힌지(152b)가 마련되고, 힌지(152b)의 하방에 해당하는 플레이트(152)의 내측에는 후크(152c)가 마련된다. 플레이트(152)의 하단에는 접힘부(152d)가 형성된다. 힌지(152b)의 힌지축은 사용자의 다리와 수직을 이룬다.
스윔핀(154)은 소정 면적을 갖고, 그 상단이 힌지(152b)에 힌지결합된다. 스윔핀(154)의 내측에는 후크(152c)를 수용하는 걸림홀(154c)이 형성된다. 스윔핀(154)은 부식에 강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 강성을 지닌 재질(알루미늄, 강화 플라스틱 등)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윔핀(154)의 하단에는 끼움홈(154c)이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56)는 소정 면적을 갖고, 스위핀(154)의 끼움홈(154c)에 끼움결합된다. 블레이드(156)는 러버 및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56)는 스윔핀(154)의 추진력을 극대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블레이드(156)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토퍼(152a)는 스윔핀(154)의 회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스토퍼(152a)는 플레이트(152)의 상부 소정 면적을 하방으로 롤링하여 구성할 수 있다.
후크(152c)는 플레이트(15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플레이트(152)와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후크(152c)는 스윔핀(154)을 사용하지 않을 때, 스윔핀(154)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후크(152c)의 상부에는 파지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접힘부(152d)는 플레이트(152)의 하부 소정 면적이 상방으로 폴딩되어 구성된다. 접힘부(152d)는 탄성을 지닌 기재로 대체될 수 있다. 접힘부(152d)는 후크(152c)에 의해 스윔핀(154)이 고정될 때, 스윔핀(154)에 의해 가압되고, 스윔핀(154)의 하부를 탄성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3 (c)를 참조하면, 후크(152c)에 의해, 스윔핀(154)이 고정된 상태에서, 후크(152c)의 파지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스윔핀(154)에 의해 가압된 접힘부(152d)가 펼쳐지면서(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스윔핀(154)이 후크(152c)로부터 자연스럽게 멀이지게 된다.
스트랩(170)은 제1 스윔핀유닛(150)의 하부와 제2 스윔핀유닛(160)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고, 발바닥을 감싼다. 스트랩(17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예로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170)은 상단에 걸림고리가 구비되고 일측면에 암벨크로가 마련된 제1 몸체(172)와, 상단에 걸림고리가 구비되고 일측면에 수벨크로가 마련된 제2 몸체(174)로 구성될 수 있다. 걸림고리는 접힙부(152d)에 걸림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100)를 양발에 각각 착용한 상태에서, 생존수영 발차기(평형 발차기)를 하는 경우, (1) 발을 엉덩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을 때, 스윔핀(154)이 펼쳐져, 추진력이 증대된다. 계속해서, 스윔핀(154)의 회동은 스토퍼(152a) 의해서 제한되고, (2) 사용자가 발을 엉덩이 쪽으로 당기면, 스윔핀(154)이 접히게 된다. 이때, 후크(152c)로 인하여, 스윔핀(154)은 플레이트(152)에 완전히 맞닿지 않고, 스윔핀(154)과 플레이트(152)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된다. * 스윔핀(154)은 플레이트(152)에 완전히 맞닿을 경우, (1) 과정에서 스윔핀(154)이 펼쳐지지 않을 수 있음.
한편, (3) 수영장 밖에서 이동할 때에는, 스윔핀(154)을 후크(152c)에 결합하면되고, 다시 스윔핀(154)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후크(152c)의 파지부를 상방으로 살짝 밀어, 스윔핀(154)을 후크(152c)에서 분리하면 된다.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100)은, 생존수영(또는 평형)의 추진력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100)는, 수영 초심자들 및 아동들의 수영(물놀이)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문건에 개시된 기술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문건에 개시된 기술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수영 보조기구
110 : 제1 밴드
120 : 제2 밴드
130 : 제1 연결대
140 : 제2 연결대
150 : 제1 스윔핀유닛
152 : 플레이트
152a: 스토퍼
152b : 힌지
152c : 후크
152d : 접힘부
154 : 스윔핀
154a : 걸림홀
154c : 끼움홈
156 : 블레이드
160 : 제2 스윔핀유닛
170 : 스트랩
172 : 제1 몸체
174 : 제2 몸체

Claims (5)

  1. 삭제
  2. 종아리 상부를 감싸는 제1 밴드;
    발목을 감싸는 제2 밴드;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를 연결하고, 종아리의 일측에 덧대어지는 제1 연결대;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를 연결하고, 종아리의 타측에 덧대어지는 제2 연결대;
    상기 제1 연결대에 결합되는 제1 스윔핀유닛;
    상기 제2 연결대에 결합되는 제2 스윔핀유닛; 및,
    상기 제1 스윔핀유닛의 하부와 상기 제2 스윔핀유닛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고, 발바닥을 감싸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윔핀유닛과 상기 제2 스윔핀유닛 각각은,
    상단에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의 하방에 힌지가 마련되고, 상기 힌지의 하방에 후크가 마련된 플레이트; 및,
    상단이 상기 힌지에 힌지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후크를 수용하는 걸림홀이 형성된 스윔핀;를 포함하는, 수영 보조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상기 스윔핀이 상기 후크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상기 스윔핀의 일측면을 탄성지지하는 접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단에 걸림고리가 구비되고, 일측면에 암벨크로가 마련된 제1 몸체; 및,
    상단에 걸림고리가 구비되고, 일측면에 수벨크로가 마련된 제2 몸체;를 포함하는, 수영 보조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윔핀유닛과 상기 제2 스윔핀유닛 각각은,
    상기 스윔핀의 하단에 결합되는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수영 보조기구.
KR1020190107554A 2019-08-30 2019-08-30 수영 보조기구 KR102059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554A KR102059010B1 (ko) 2019-08-30 2019-08-30 수영 보조기구
PCT/KR2020/009592 WO2021040235A1 (ko) 2019-08-30 2020-07-21 수영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554A KR102059010B1 (ko) 2019-08-30 2019-08-30 수영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010B1 true KR102059010B1 (ko) 2019-12-31

Family

ID=6905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554A KR102059010B1 (ko) 2019-08-30 2019-08-30 수영 보조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9010B1 (ko)
WO (1) WO20210402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235A1 (ko) * 2019-08-30 2021-03-04 박순영 수영 보조기구
KR20220026896A (ko) 2020-08-26 2022-03-07 박순영 수영 보조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15Y1 (ko) 2017-10-12 2018-03-09 이지웅 다리 부위에 착용하는 수영보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4703A (ja) * 1985-10-31 1987-05-15 河合 怡兌 替刃式鉋
KR200155232Y1 (ko) * 1996-11-18 1999-08-16 이두용 수영용 각익
KR20050114809A (ko) * 2004-06-01 2005-12-07 유상열 수영보조기구
KR20130088340A (ko) * 2012-01-31 2013-08-08 조성현 날개전개식 오리발
KR102059010B1 (ko) * 2019-08-30 2019-12-31 박순영 수영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15Y1 (ko) 2017-10-12 2018-03-09 이지웅 다리 부위에 착용하는 수영보조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235A1 (ko) * 2019-08-30 2021-03-04 박순영 수영 보조기구
KR20220026896A (ko) 2020-08-26 2022-03-07 박순영 수영 보조기구
KR102461126B1 (ko) * 2020-08-26 2022-10-31 박순영 수영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0235A1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010B1 (ko) 수영 보조기구
US7566252B2 (en) Aquatic propulsion device for swimmers
US4025977A (en) Angular foot fin
EP0465501A1 (en) HELPER.
US20100075554A1 (en) Swim fins
US5632662A (en) Centrally articulated swin fin
JP2002079994A (ja) 折畳可能なダイビングフィン
US20140187110A1 (en) Swim Fin for the Arm
KR20070021354A (ko)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KR100485779B1 (ko) 수상이동기구
US20030000561A1 (en) Device for enabling persons with paresis of lower limps to walk
JP2005533595A (ja) 水泳用足ひれ
RU2431514C1 (ru) Квадроласт
KR20070009277A (ko) 물갈퀴가 구비된 신발
JP2001046129A (ja) ウォーキング用ステッキ
KR200394462Y1 (ko) 발목 착용형 부력 튜브
KR200297897Y1 (ko) 수상이동기구
JP2019042409A (ja) 歩行補助具
RU2258634C2 (ru) Комплект из судна и ласт для спортивного рыболовства и охоты
JP2003033446A (ja) 折り畳み可能なダイビングフィン
CN201342227Y (zh) 一种划水板
JP3039764U (ja) 組立式簡易ボートの利用性改善装置
JP2001327628A (ja) 足用水泳補助装置
KR200277769Y1 (ko) 일체감을 향상시킨 스프링 뜀다리
JPH01136673A (ja) 足ひ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