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726B1 - 영상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726B1
KR102058726B1 KR1020190147266A KR20190147266A KR102058726B1 KR 102058726 B1 KR102058726 B1 KR 102058726B1 KR 1020190147266 A KR1020190147266 A KR 1020190147266A KR 20190147266 A KR20190147266 A KR 20190147266A KR 102058726 B1 KR102058726 B1 KR 102058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ixing ring
support
groo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재
Original Assignee
이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재 filed Critical 이명재
Priority to KR1020190147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5/225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 지대를 최소화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현한 영상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감시 단말기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해 두며, 상기 감시 단말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감시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감지 시스템{VIDEO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영상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 지대를 최소화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현한 영상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 모니터링 장치란, 특정 장소에 설치되는 CCTV 카메라와, 그 CCTV 카메라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에 설치되는 모니터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CCTV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모니터로 전송되고, 모니터를 통하여 촬영하는 장소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이러한 CCTV 카메라는 사무실, 주택, 병원, 보안이 요구되는 공공건물등은 물론 도로나 골목길에 설치되어 방범용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CCTV 카메라에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등록번호 10-1321444호에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CCTV 카메라는 네트워크에 의하여 모니터 센터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을 때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모니터로 전송되지 못하게 되어 범죄상황을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없었다.
또한, CCTV 카메라는 단순히 촬영기능만 있기 때문에, 범죄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그 범죄를 예방할 수 없었고, 범죄상황을 촬영하더라도 사후 처리목적으로만 사용되었다.
일반적인 CCTV의 경우에는 케이스의 내측에 촬영 모듈이 설치되고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개로 밀폐시키는 구조로 제작되는데, 사용자의 부주의로 덮개를 개봉하면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촬영 모듈이 함께 딸려 나와 낙하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왕왕 발생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9846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3830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각 지대를 최소화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현한 영상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케이스부, 촬영부 및 거치부를 분리 방지부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도록 구현한 영상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완전히 밀폐되지 못한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에서 장시간 설치되어 있던 촬영부에 쌓이게 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촬영부를 케이스부로부터 분리시킴과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영상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지 시스템은,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감시 단말기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해 두며, 상기 감시 단말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감시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시 단말기는, 전면이 영상 촬영을 위한 투명색 재질로 형성되며,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영상 정보를 생성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케이스부의 후단을 밀폐시키며, 영상을 촬영할 위치에 설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시 단말기는,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상기 거치부와 상기 촬영부를 분리하는 경우 일 구성이 분리 낙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거치부 각각을 서로 연결 설치하는 분리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제1 고정링; 상기 촬영부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2 고정링; 상기 거치부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3 고정링; 전단이 상기 제1 고정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제2 고정링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프레임; 및 전단이 상기 제2 고정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제3 고정링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1 고정링으로부터 상기 제2 고정링까지 연장 형성되는 연결 바아; 상기 연결 바아의 전단에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지지 원판; 상기 지지 원판의 후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후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지지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링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링 형상의 링 본체; 상기 링 본체의 전면에서 상기 지지 원판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단으로 이동하던 상기 지지 원판이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안착홈; 상기 연결 바아가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링 본체를 따라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후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홈; 상기 지지 원판이 상기 링 본체의 내측을 따라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일측으로 상기 링 본체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및 상기 링 본체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링 본체의 후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분리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원판은, 상기 지지링의 전단에서 상기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안착홈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고 상기 링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되지 아니하고, 상기 연결 바아를 잡아당겨 상기 지지링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안착홈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분리홈까지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대향하는 입구는 압축된 상태의 상기 지지 원판과 상기 지지링의 간격에 대응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홈에 대향하는 출구는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간격이 벌어진 상태의 상기 지지 원판과 상기 지지링의 간격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홈은,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간격이 벌어진 상태의 상기 지지 원판과 상기 지지링의 간격에 대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시 단말기는, 상기 제1 고정링과 상기 제2 고정링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링과 상기 제2 고정링이 가까워짐에 따라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상기 촬영부로 분사시켜 상기 촬영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블로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블로우부는, 상기 제2 고정링으로부터 상기 제1 고정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렉기어; 상기 제1 고정링으로부터 상기 제2 고정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렉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기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노출된 기어가 상기 렉기어의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하우징의 다른 일측 내부 공간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 기어가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압축용 렉기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용 렉기어가 전진하여 압축시켜 줌에 따라 압축되어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 파우치; 및 상기 촬영부와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후단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파우치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촬영부로 분사시키는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각 지대를 최소화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안정적인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 촬영부 및 거치부를 분리 방지부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거치부를 케이스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 촬영부가 거치부와 함께 케이스부로부터 분리되어 용이하여 분리시킴은 물론 낙하하지 않도록 하여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완전히 밀폐되지 못한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에서 장시간 설치되어 있던 촬영부에 쌓이게 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촬영부를 케이스부로부터 분리시킴과 함께 제거함으로써 장비의 청결 상태를 장기간 유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감시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리 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고정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연결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고정링과 제1 연결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감시 단말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에어 블로우부에 의한 압축 공기 분사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지 시스템(10)은, 감시 단말기(100) 및 감시 서버(200)를 포함한다.
감시 단말기(100-1 내지 100-4)는, CCTV 등과 같은 영상 촬영을 위한 장비를 구비하는 영상 촬영 장치로 제작되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영상 정보를 네트워크(N)를 통해 감시 서버(200)로 전송한다.
즉, 감시 단말기(100-1 내지 100-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등과 같이 다수 개로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수 개로 설치되어 무방할 것이며, 각각의 감시 단말기(100-1 내지 100-4)는 개별적으로 네트워크(N)를 통해 감시 서버(200)에 연결되어 각각이 행성시킨 영상 정보를 감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N)는, 감시 단말기(100)와 감시 서버(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것으로,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감시 단말기(100)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해 두며, 감시 단말기(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감시 서버(200)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지 시스템(10)은, 사각 지대를 최소화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안정적인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감시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시 단말기(100)는, 케이스부(110), 촬영부(120) 및 거치부(13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10)는, 전면(111)이 촬영부(120)에 의한 영상 촬영을 위한 투명색 재질로 형성되며,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공간에 촬영부(120) 및 거치부(130)가 설치된다.
촬영부(120)는, 케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영상 정보를 생성시켜 네트워크(N) 또는 케이블(121)을 통해 감시 서버(200)로 전송한다.
거치부(130)는, 촬영부(120)가 케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 케이스부(110)의 후단을 밀폐시키며, 영상을 촬영할 위치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감시 단말기(100)는, 분리 방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방지부(300)는, 케이스부(110)로부터 거치부(130)와 촬영부(120)를 분리하는 경우 일 구성이 분리 낙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부(110), 촬영부(120) 및 거치부(130) 각각을 서로 연결 설치한다.
일반적인 CCTV의 경우에는 케이스의 내측에 촬영 모듈이 설치되고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개로 밀폐시키는 구조로 제작되는데, 사용자의 부주의로 덮개를 개봉하면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촬영 모듈이 함께 딸려 나와 낙하하여 파손되는 일이 왕왕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감시 단말기(100)는, 케이스부(110), 촬영부(120) 및 거치부(130)를 분리 방지부(30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거치부(130)를 케이스부(11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 촬영부(120)가 거치부(130)와 함께 케이스부(110)로부터 분리되어 용이하여 분리시킴은 물론 낙하하지 않도록 하여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분리 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리 방지부(300)는, 제1 고정링(310), 제2 고정링(320), 제3 고정링(330),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프레임(34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프레임(350)을 포함한다.
제1 고정링(310)은, 케이스부(110)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제1 연결 프레임(340)의 전단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고정링(320)은, 촬영부(120)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며, 제2 연결 프레임(350)의 후단이 고정 설치되고, 제2 연결 프레임(350)의 전단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3 고정링(330)은, 거치부(130)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며, 제2 연결 프레임(350)의 후단이 고정 설치된다.
제1 연결 프레임(340)은, 전단이 제1 고정링(3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고정링(320)에 고정 설치된다.
제2 연결 프레임(350)은, 전단이 제2 고정링(3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3 고정링(330)에 고정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분리 방지부(300)는, 거치부(130)를 케이스부(110)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제3 고정링(330)이 거치부(130)와 함께 분리되어 제2 고정링(320)가 케이스부(110)로부터 노출되면서 촬영부(120)가 함께 케이스부(110)로부터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촬영부(120)는, 제2 고정링(320)에 설치되기 때문에 낙하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고정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고정링(310)은, 링 본체(311), 안착홈(312), 이동홈(313), 슬라이딩홈(314) 및 분리홈(315)을 포함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제1 고정링(310)의 각각의 구성은 제2 고정링(3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링 본체(311)는, 케이스부(110)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안착홈(312)이 형성되고, 후면에 이동홈(313)과 분리홈(315)이 형성되고, 전면에 안착홈(312)으로부터 분리홈(315)까지 슬라이딩홈(314)이 내측을 따라 형성된다.
안착홈(312)은, 링 본체(311)의 전면에서 도 5에 후술하는 지지 원판(34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단으로 이동하던 지지 원판(342)이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된다.
이동홈(313)은, 연결 바아(341)가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링 본체(311)를 따라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착홈(312)의 후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슬라이딩홈(314)은, 지지 원판(342)이 링 본체(311)의 내측을 따라 분리홈(315)까지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착홈(312)으로부터 분리홈(315)까지 일측으로 링 본체(311)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분리홈(315)은, 링 본체(311)로부터 지지 원판(342)이 분리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314)의 일측으로부터 링 본체(311)의 후면으로 관통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홈(314)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312)으로부터 분리홈(315)까지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안착홈(312)에 대향하는 입구(314a)는 압축된 상태의 지지 원판(342)과 지지링(344)의 간격에 대응한 크기로 형성되며, 분리홈(315)에 대향하는 출구(314b)는 탄성체(343)에 의하여 간격이 벌어진 상태의 지지 원판(342)과 지지링(344)의 간격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홈(315)은, 탄성체(343)에 의하여 간격이 벌어진 상태의 지지 원판(342)과 지지링(344)의 간격에 대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고정링(310)으로부터 분리되었던 제1 연결 프레임(340)을 다시 분리홈(315)으로 삽입시킨 뒤 슬라이딩홈(314)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다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연결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연결 프레임(340)은, 연결 바아(341), 지지 원판(342), 다수 개의 탄성체(343) 및 지지링(344)을 포함한다.
연결 바아(341)는, 제1 고정링(310)으로부터 제2 고정링(320)까지 연장 형성되며 후단이 제2 고정링(320)에 고정 설치되며, 전단이 이동홈(313)을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전단에 지지 원판(342)이 형성된다.
지지 원판(342)은, 연결 바아(341)의 전단에 설치되며, 제1 고정링(310)의 전방에서 이동되며 안착홈(312)에 안착된다.
탄성체(343)는, 지지 원판(342)의 후면을 따라 설치되어 지지 원판(342)의 후단에서 지지링(344)을 지지한다.
지지링(344)은, 탄성체(343)에 의하여 지지되어 지지 원판(342)의 후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원판(342)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링(344)의 전단에서 탄성체(343)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안착홈(31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고 링 본체(3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슬라이딩홈(314)을 따라 이동되지 아니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바아(341)를 잡아 당겨 지지링(344)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안착홈(31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슬라이딩홈(314)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감시 단말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예에 따른 감시 단말기(100)는, 케이스부(110), 촬영부(120), 거치부(130) 및 에어 블로우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스부(110), 촬영부(120) 및 거치부(13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에어 블로우부(400)는, 제1 고정링(310)과 제2 고정링(3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고정링(310)과 제2 고정링(320)이 가까워짐에 따라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촬영부(120)로 분사시켜 촬영부(12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 블로우부(400)는, 렉기어(410), 하우징(420), 피니언 기어(430), 압축용 렉기어(440), 공기 파우치(450) 및 분사 노즐(460)을 포함할 수 있다.
렉기어(410)는, 후단이 제2 고정링(320)에 고정 설치되며, 제2 고정링(320)으로부터 제1 고정링(31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우징(420)과 대향하는 일측 면을 따라 기어(411)가 형성된다.
하우징(420)은, 전단이 제1 고정링(310)에 고정 설치되며, 제1 고정링(310)으로부터 제2 고정링(32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피니언 기어(430), 압축용 렉기어(440) 및 공기 파우치(45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피니언 기어(430)는, 렉기어(410)와 대향하는 하우징(420)의 일측에서 기어(431)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노출된 기어가 렉기어(410)의 기어(41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하우징(420)이 이동함에 따라 렉기어(410)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되며, 하우징(42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기어(431)이 압축용 렉기어(44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압축용 렉기어(44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압축용 렉기어(440)는, 하우징(420)의 다른 일측 내부 공간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 기어(442)가 피니언 기어(4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피니언 기어(430)가 회전함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공기 파우치(450)으로 이동됨에 따라 후단에 설치된 벽체(441)로 공기 파우치(450)를 압축시킨다.
공기 파우치(450)는, 하우징(420)의 내부 공간 후단에 설치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용 렉기어(440)가 전진하여 압축시켜 줌에 따라 압축되어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압축 공기를 연결관(461)을 통해 분사 노즐(460)로 공급한다.
분사 노즐(460)는, 촬영부(120)와 대향하는 하우징(420)의 후단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공기 파우치(450)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촬영부(120)로 분사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또 다른 예에 따른 감시 단말기(100)는, 완전히 밀폐되지 못한 케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에서 장시간 설치되어 있던 촬영부(120)에 쌓이게 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촬영부(120)를 케이스부(110)로부터 분리시킴과 함께 제거함으로써 장비의 청결 상태를 장기간 유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영상 감지 시스템
100: 감시 단말기
200: 감시 서버
300: 분리 방지부
400: 에어 블로우부

Claims (2)

  1.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감시 단말기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해 두며, 상기 감시 단말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감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단말기는, 전면이 영상 촬영을 위한 투명색 재질로 형성되며,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영상 정보를 생성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케이스부의 후단을 밀폐시키며, 영상을 촬영할 위치에 설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시 단말기는,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상기 거치부와 상기 촬영부를 분리하는 경우 일 구성이 분리 낙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거치부 각각을 서로 연결 설치하는 분리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 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제1 고정링; 상기 촬영부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2 고정링; 상기 거치부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3 고정링; 전단이 상기 제1 고정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제2 고정링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프레임; 및 전단이 상기 제2 고정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제3 고정링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1 고정링으로부터 상기 제2 고정링까지 연장 형성되는 연결 바아; 상기 연결 바아의 전단에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지지 원판; 상기 지지 원판의 후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후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지지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링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링 형상의 링 본체; 상기 링 본체의 전면에서 상기 지지 원판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단으로 이동하던 상기 지지 원판이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안착홈; 상기 연결 바아가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링 본체를 따라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후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홈; 상기 지지 원판이 상기 링 본체의 내측을 따라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일측으로 상기 링 본체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및 상기 링 본체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링 본체의 후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분리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원판은, 상기 지지링의 전단에서 상기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안착홈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고 상기 링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되지 아니하고, 상기 연결 바아를 잡아당겨 상기 지지링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안착홈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분리홈까지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대향하는 입구는 압축된 상태의 상기 지지 원판과 상기 지지링의 간격에 대응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홈에 대향하는 출구는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간격이 벌어진 상태의 상기 지지 원판과 상기 지지링의 간격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홈은,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간격이 벌어진 상태의 상기 지지 원판과 상기 지지링의 간격에 대응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감시 단말기는, 상기 제1 고정링과 상기 제2 고정링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링과 상기 제2 고정링이 가까워짐에 따라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상기 촬영부로 분사시켜 상기 촬영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블로우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감지 시스템.
  2. 삭제
KR1020190147266A 2019-11-18 2019-11-18 영상 감지 시스템 KR102058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266A KR102058726B1 (ko) 2019-11-18 2019-11-18 영상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266A KR102058726B1 (ko) 2019-11-18 2019-11-18 영상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726B1 true KR102058726B1 (ko) 2019-12-23

Family

ID=6905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266A KR102058726B1 (ko) 2019-11-18 2019-11-18 영상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72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2902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4140591B2 (ja)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KR102087450B1 (ko) 초광각 영상 처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70268367A1 (en) Video Surveillance With Satellite Communication Access
EP1555811A2 (en) Remote image-pickup system, camera device, and card substrate
JP2022532111A (ja) 人工知能を用いた映像基盤のリアルタイム侵入検知方法及び監視カメラ
JP2007158860A (ja) 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画像切替装置、およびデータ保持装置
RU2013115403A (ru) Система дверного замка повыше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KR101954059B1 (ko) 스마트 IoT 회전형 뷸렛 카메라
JP2011130271A (ja) 撮像装置および映像処理装置
JP2011130271A5 (ko)
KR102058726B1 (ko) 영상 감지 시스템
US20160198130A1 (en) Surveillance method and surveillance system
KR20160074231A (ko) 감시용 카메라, 감시용 기록 장치, 및 감시 시스템
KR101839307B1 (ko) 어안 영상 감시 시스템
KR100749887B1 (ko) 승강기 내부 촬영감시 시스템
KR101061868B1 (ko) 듀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090015311A (ko) 영상 감시시스템
KR101849777B1 (ko) 카메라 모듈
CN201171225Y (zh) 闭路电视监控系统
KR102596488B1 (ko) 감시 시스템
TW201635248A (zh) 保全事件影像訊號處理方法與其保全系統
KR200451143Y1 (ko) Sd/hd겸용 cctv 영상처리장치
JP2006121320A (ja) 全方位監視カメラ装置
KR101511226B1 (ko) 광학 렌즈 시스템 및 이의 활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