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668B1 -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668B1
KR102058668B1 KR1020170142580A KR20170142580A KR102058668B1 KR 102058668 B1 KR102058668 B1 KR 102058668B1 KR 1020170142580 A KR1020170142580 A KR 1020170142580A KR 20170142580 A KR20170142580 A KR 20170142580A KR 102058668 B1 KR102058668 B1 KR 102058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variable
housing
variable la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8074A (en
Inventor
강예석
강승구
오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주)강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주)강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14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668B1/en
Publication of KR20190048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0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6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30Arrangements interacting with transmitters or receivers otherwise than by visible means, e.g. using radar reflectors or radio transmi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들 각각에 설치되어 차도를 주행하는 각 차량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차량감지부, 교통량에 따라 주행방향 또는 주행여부를 가변적으로 변경하는 가변차로의 가변차선을 따라 설치되고, 차량 운전자가 가변차로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점등 제어되는 가변차로 표시부 및 교통신호 통제기에 설치되어 교통신호와 가변차로 표시부를 각각 제어하되, 차량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압력정보를 통하여 차도들에 대한 각각의 교통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교통량에 따라 교통신호와 가변차로 표시부의 점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현재 실시간 교통량에 따라 가변차로를 설정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가변차로 적용을 이룰 수 있으며, 특정된 시간이나 상황에 따라 미리 교통량을 예측한 후 이를 통해 가변차로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변차로 적용의 효율성이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변차로 주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저감시켜 운전자에게 보다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pressure applied by each vehicle is installed on each of the driveway to drive the roadway, and transmits the detected pressure information, the driving direction or whether to change depending on the traffic variably changed It is installed along the variable lane of the variable lane, and installed in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and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which is controlled to turn on so that the vehicle driver can identify the variable lane, and controls the traffic signal and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respectively, and receives from the vehicle detection unit. Provides a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cluding an integrated control unit for measuring the respective traffic volume on the roadway through the pressure information, and selectively controls the lighting of the traffic signal and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d traffic volume.
According to the above, since the variable lane is currently set according to the real-time traffic volume, it can be applied more effectively and directly by the variable lane, and since the traffic is not set in advance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or situation, the variable lane is not se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variable lane application and to induce a safer driving for the driver by reducing accidents that may occur when driving the variable lane.

Description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통량에 따라 가변차로가 자율적으로 설정되게 하고, 교통신호와 연동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가변차로의 주행여부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a variable lane to be autonomously set according to a traffic volume, and to allow a vehicle driver to clearly recognize whether a variable lane is driven by linking with a traffic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capable of inducing a driver to drive safely.

일반적으로 가변차로는 특정 시간대에 교통량이 차이가 나는 도로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차로를 주된 교통량 방향으로 통행하게 하는 제도로서, 교통 소통의 원활화와 도로 이용자들의 편의 증진 등 도로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도입되었다.In general, a variable lane is a system that allows one or more lanes to travel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traffic volume on roads with a difference in traffic volume at specific times, and is introduced to efficiently use roads, such as facilitating traffic communication and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road users. It became.

이러한 가변차로제는 특정한 시간이나 상황에 따라 교통량이 두드러지게 차이가 나는 도로의 좌우 차로를 교통량에 맞게 늘리거나 줄여서 주 교통량 방향으로 통행하게 하고, 신호방식에는 표지판식ㅇ신호등식ㅇ이동가설물식 등이 있으며, 가변차선은 주로 황색 파선(破線)으로 나타낸다.This variable lane system increases or decreases the left and right lanes of the road where the traffic volume i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or situation, so that traffic can be dir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traffic volume, and the signaling method includes a sign type, a traffic light type, and a moving hypothesis type. The variable lanes are mainly indicated by yellow dashed lines.

한편, 상기한 가변차로 시스템에 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8971호에는 메인차로의 일측에 가변용 보조차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메인차로의 일측차로에는 제1진입로 및 제1진출로가 분기되어 가변용 보조차로와 연결되고, 메인차로의 타측차로에는 제2진입로 및 제2진출로가 분기되어 가변용 보조차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차로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Meanwhile, as an example of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variable lane system,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48971 discloses that a variable auxiliary lane is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a main lane, and a first entry path and a first side of the main lane. The variable lane system has been disclosed in which the access road is branched to be connected to the variable auxiliary lane, and the other lane of the main lane is branched to and connected to the variable auxiliary lan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가변차로제는 도로 이용의 효율면에서는 많은 도움이 되지만, 현재 실시간 교통량에 따른 가변차로를 설정하는 것이 아닌 특정된 시간이나 상황에 따라 미리 교통량을 예측한 후 이를 통해 가변차로를 설정하기 때문에 가변차로 적용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또한 적용되는 가변차로를 몇 개의 가변차로 신호등만으로는 운전 중인 운전자가 가변차로의 적용여부를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가변차로는 보통 차선에 비하여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도록 헷갈리게 그어져 있기 때문에 가변차로 주행 시 사고 발생률이 높고, 사고가 일어났을 때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the conventional variable lane system is helpful in terms of the efficiency of road use, but instead of setting the variable lane according to the current traffic volume, it is possible to set the variable lane after predicting the traffic volume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or situation. Therefore, the efficiency of applying the variable lane is inferior, and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who is driving the variable lane to be applied only by a few traffic lights, and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whether the variable lane is applied. Since it is confusingly drawn to gi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ident rate is high when driving in a variable car, and a large number of accidents occur when an accident occur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897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48971

본 발명은, 실시간 교통량에 따라 자율적으로 가변차로가 적용되도록 하여 가변차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변차로 적용 시 운전자로 하여금 가변차로의 적용여부 및 주행방향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변차로를 운행하는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lane can be applied autonomously according to the real-time traffic volum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variable lane, and when the variable lane is applied, the driver can quickly recognize whether the variable lane is applied and the driving direc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that can induce a safe driving of the driver.

본 발명은, 차도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차도를 주행하는 각 차량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차량감지부, 교통량에 따라 주행방향 또는 주행여부를 가변적으로 변경하는 가변차로의 가변차선을 따라 설치되고, 차량 운전자가 상기 가변차로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점등 제어되는 가변차로 표시부 및 교통신호 통제기에 설치되어 교통신호와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를 각각 제어하되, 상기 차량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압력정보를 통하여 상기 차도들에 대한 각각의 교통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교통량에 따라 상기 교통신호와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의 점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each of the roadway, the vehicle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pressure applied by each of the vehicles traveling on the roadway, and transmits the detected pressure information, the driving direction or whether or not to vary depending on the traffic volume The vehicle is installed along a variable lane of a variable lane to be changed, and is installed in a variable lane display unit and a traffic signal controller that are controlled to turn on so that a vehicle driver can identify the variable lane, and controls the traffic signal and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respectively. And an integrated control unit for measuring respective traffic volumes of the roadways based on the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and selectively controlling lighting of the traffic signal and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d traffic volume. It provides a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여기서,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는, 복수개가 가변차선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차로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수용홈으로 태양광이 투사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통합제어부로부터 상기 신호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신호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교통신호와 연동하여 점등되는 발광모듈과, 상기 수용홈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발광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모듈을 포함한다. Here,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long the variable lane,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opening therein, the housing is fixed to the variable lan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the receiving groove A cover part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sunlight can be projected, a receiving par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receive the signal information from the integrated control part, and provided in the housing to receive the signal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part And a light emitting module that is turned on in association with a signal, and a solar module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to convert sunlight into electric energy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또한, 상기 태양광모듈은, 상기 수용홈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의 바닥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양면형 집광패널들과, 상기 집광패널들과 연결되는 배터리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hotovoltaic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condensing panels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talled from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 battery unit connected to the condensing panels.

이때, 상기 집광패널들은, 상기 바닥으로부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 collecting panels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set from the bottom.

또한, 상기 태양광모듈은, 상기 집광패널들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으로 조사되는 상기 태양광을 반사하여 상기 집광패널로 주사하기 위한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voltaic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ng plate positioned below the light collecting panels and reflecting the sunlight emitted to the bottom to scan the light collecting panel.

또한,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는 발광수단과,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신호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발광수단이 상기 교통신호와 연동하여 점등되도록 상기 발광수단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module, the light emitting means coupl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ignal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unit, and controls the light emitting means so that the light emitting means is turned on in conjunction with the traffic signal It may include a light emission control unit.

또한, 상기 차량감지부는, 상기 차도들의 차량정지선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정지선을 통과하여 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detecting unit may be installed at vehicle stop lines of the roadways to detect a vehicle traveling through the vehicle stop line.

여기서, 상기 차량감지부는, 압력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vehicle detection unit may be made of a pressure sensor.

한편,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하며 상기 차도에 고정되는 매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매립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 body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and a buried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fixed to the roadway, and the body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uried portion.

상세하게, 상기 매립부는, 상기 차도에 매립되며 내주측면을 따라 스토퍼기어가 형성된 삽입홈이 상면에 형성된 매립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매립몸체에 대하여 회전 후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외주측면에 상기 스토퍼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된 삽입축을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buried portion is embedded in the driveway and the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stopper gear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and the buried bod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fter rotation about the buried body. It may include an insertion shaft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gear meshing with the stopper gear.

한편,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in which the accommodating groove is formed and a lower housing positioned below the upper housing, and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에,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상부하우징과 대면하는 상면에 내주측면을 따라 스토퍼기어가 형성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하부하우징과 대면하는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후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외주측면에 상기 스토퍼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된 삽입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wer housing has an insertion groove in which a stopper gear is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on an upper surface facing the upper housing, and the upper housing protrudes from a lower surface facing the lower housing, and rotates with respect to the lower housing. After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may include an insertion shaf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gear to engage the stopper gear.

나아가,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의 상기 발광모듈은 중앙선을 나타내기 위한 황색과, 차선을 나타내기 위한 백색으로 각각 점등 제어되고,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차량감지부로부터 상기 압력정보를 수신하여 일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제1교통량과, 타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제2교통량을 각각 측정하고, 상기 제1교통량과 상기 제2교통량을 비교하여 교통량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일측 주행 차선이 확장되도록 상기 가변차선들 각각에 대한 발광모듈의 점등색을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light emitting module of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turn on yellow to indicate a center line and white to indicate a lane, and the integrated control unit receives the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detection unit and travels in one direction. Measure the first traffic volume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traffic volume of the vehicle traveling in the other direction, and compare the first traffic volume with the second traffic volume so as to expand one driving lane when the difference in the traffic volu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lighting color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for each of the variable lanes may be controlled.

또한,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는, 복수개의 가변차선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개별가변차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개별가변차로 표시부를 통하여 가변차선별로 개별적으로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may include individual variable lane display units respectively installed along a plurality of variable lanes, and the integrated controller may individually control lighting of the variable lanes through the individual variable lane display units.

한편,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복수개가 수평한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커버플레이트들과, 상기 복수개의 커버플레이트들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개의 커버플레이트들 중 최상부의 커버플레이트가 제거되면 나머지 커버플레이트들이 상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들을 탄력적으로 상방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cover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cover plates stack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and a cover plate disposed on a lower part of the plurality of cover plates to remove the top cover plate of the plurality of cover plates.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ver plates upwardly so that the remaining cover plates move upward.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면에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have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cover plate is not separated.

또한,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적층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홈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외부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삽입하거나 및 제거할 수 있도록 슬릿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receiving groove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cover plate on the side, and a slit hole may be formed to insert or remove the cover plate from the outside.

상기 슬릿홀은 적층된 상기 커버플레이트들 중 최상위 커버플레이트의 위치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lit hole is preferably locat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top cover plate of the stacked cover plates.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홈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이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spring, the housing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may be a fitting portion to which the elastic spring is fitted.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현재 실시간 교통량에 따라 가변차로를 설정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가변차로 적용을 이룰 수 있으며, 특정된 시간이나 상황에 따라 미리 교통량을 예측한 후 이를 통해 가변차로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변차로 적용의 효율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First, since the variable lanes are set according to the current traffic volume, more effective and direct variable lanes can be applied, and the variable lanes are not set by predicting the traffic volume in advance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or situation. The efficiency of the application can be improved.

둘째, 적용되는 가변차로를 가변차로 신호등뿐만 아니라 가변차선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운전자가 가변차로의 적용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고, 헷갈릴 수 있는 가변차선의 주행방향을 운전자가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여 가변차로 주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저감시킬 수 있다. Second, the variable lanes that are applied are displayed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not only the variable lane traffic lights but also the variable lanes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understand whether the variable lanes are applied and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ariable lanes that can be confused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This can reduce the number of accidents that can occur when driving on a variable car.

셋째, 가변차선을 따라 설치된 가변차로 표시부가 가변차로 교통신호와 연동되어 표시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가변차로 적용여부 및 진행방향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Third,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installed along the variable lane may be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variable lane traffic signal so that the driver may quickly recognize whether the variable lane is applied and the driving direction, thereby inducing a safe driving of the vehicle driver.

넷째, 태양광모듈을 통하여 가변차로 표시부가 자체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어 전원공급 등을 위하여 도로에 별도의 배선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Fourth,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itself can produce electrical energy through the solar module, so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wiring on the road for power supply and the like, and thus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다섯째, 태양광모듈의 집광패널을 경사지게 세워 배치함으로써 집광면적을 확대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나 차선방향에 따라 집광패널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집광패널의 경사방향을 재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집광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Fifth, the light collecting area can be enlarged by arranging the light collecting panel of the solar module at an inclined position, and the light collect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ecause the light collecting panel can be rota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r lane direction. Can be increased.

여섯째, 가변차로 표시부의 커버부를 투명 재질의 복수개의 커버플레이트를 적층 결합시켜, 커버부의 오염 및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 시 가변차로 표시부 자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최상 위 커버플레이트만 용이하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교체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Sixth, since the cover part of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is laminated and bonded with a plurality of cover plate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nly the uppermost cover plate can be easily replaced without the need to replace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itself during maintenance due to contamination and damage of the cover unit. It is easy to maintain and can increase the replacement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에의 교통정보 신호흐름과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에서 가변차로 표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가변차로 표시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가변차로 표시부에 설치된 태양광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가변차로 표시부에서 커버플레이트의 제거 및 집광패널이 회전되는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기어와 스토퍼기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집광패널의 회전되는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raffic information signal flow and a control flow to the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lane display unit in the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of FIG. 3.
FIG.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olar module installed in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of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in which the cover plate is removed and the light collecting panel is rotated in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of FIG.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ear and the stopper gear in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ght collecting panel of FIG. 6 is ro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은, 차량감지부(300)와, 가변차로 표시부(200)와, 통합제어부(100)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a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detecting unit 300, a variable lane display unit 200, and an integrated control unit 100.

상기 차량감지부(300)는, 주행방향이 일방향 및 타방향인 차도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들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해당 차도의 교통량을 알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The vehicle detecting unit 300 is installed on each of the roadways in which the driving direction is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nd detects the vehicles driving the roadway, thereby serving to determine the traffic volume of the corresponding roadway.

다시 말해, 상기 차량감지부(300)는, 차도에 설치되어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이 밟고 지나가면 차량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며, 이를 통해 얻어진 압력정보를 통합제어부(100)로 무선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정보는 압력크기와, 단위시간당 감지된 횟수를 포함하는 감지주기 등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vehicle detecting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roadway and detects the pressure applied by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traveling on the roadway stepped on,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pressur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00. It is. Here, the pressure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pressure size and a sensing period including the number of times detected per unit time.

상기 차량감지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면 차도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으나, 차도들의 차량정지선에 설치되어 차량정지선을 통과하여 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ehicle detecting unit 300 may be installed anywhere in the road if it can detect the vehicle driving each road as shown, i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stop line of the roadway to detect the vehicle traveling through the vehicle stop line desirable.

한편, 상기 차량감지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이루어져 차도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 외 요철을 피하여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넓은 면적을 갖는 압력플레이트 구조로 형성하여 차도에 매립 설치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detecting unit 300, as shown in the plurality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eway, but the pressure having a large area so as not to obstruct the driving to avoid other irregularities It may be formed in a plate structure and embedded in a roadway.

상기 차량감지부(300)는, 상기한 바에 따라 상부를 가압하여 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압력센서는 공지의 압력센서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vehicle detecting unit 300 is made of a pressure sensor to detect a vehicle traveling by pressing the upper portion as described above, and such a pressure sensor may apply a known pressure sensor,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Let's do it.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200)는 교통량에 따라 주행방향 또는 주행여부를 가변적으로 변경하는 가변차로의 가변차선(1)을 따라 설치되어, 차량 운전자가 가변차로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점등 제어된다.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200 is installed along the variable lane 1 of the variable lane which changes the driving direction or whether the vehicle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traffic volume, and is controlled to be lit so that the vehicle driver can identify the variable lane.

또한,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가변차선(1)을 따라 각각 개별가변차로 표시부(201,202,203)를 설치하고, 이에 통합제어부(100)는 개별가변차로 표시부(201,202,203)를 통하여 가변차선(1)별로 개별 점등 제어 함으로써, 차선별 교통량과 교통상황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가변차로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200 is provided with individual variable lane display units 201, 202, and 203 respectively along the plurality of variable lanes 1, and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00 displays individual variable lane display units 201, 202, and 203, respectively. By controlling individual lighting for each variable lane 1 through, the variable lane can be flexibly controlled in response to traffic volume and traffic conditions for each lane.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200)는, 차도의 주행차선 및 교차로차선 등 가변차선(1)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되며, 차량 운전자가 차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점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200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variable lane 1 such as a driving lane and an intersection lane of a roadway, and is configured to be lit so that a vehicle driver can easily identify the roadway.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200)는, 통합제어부(100)로부터 신호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정보에 따라 부근 신호등(3)의 교통신호와 연동하여 점등된다.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200 receives signal information from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00 and lights up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raffic signal of the neighboring traffic light 3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information.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200)는 신호등(3)과 연동하여 직진차선 또는 좌회전차선 등의 해당하는 가변차선(1)이 점등되거나, 신호등(3) 색과 동일한 색으로 점등되어 가변차선(1) 자체가 신호등(3)의 역할을 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200 is linked with the traffic light 3 to turn on the corresponding variable lane 1 such as a straight lane or a left turn lane, or the same color as the color of the traffic light 3 to turn on the variable lane. (1) may itself serve as a traffic light (3).

이를 통해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200)는 차량 운전자에게 가변차선(1)의 식별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앞 차량 등에 의하여 시야가 가려져 있거나 신호등(3)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신호등(3)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에도 차량 운전자가 신호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way,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200 facilitates the identification of the variable lane 1 to the vehicle driver, as well as identifying the traffic light 3 because the field of view is obscured by the vehicle in front of the vehicle or is far from the traffic light 3. Even if it is not possible, the vehicle driver can easily identify the signal information.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200)는, 하우징(210)과, 커버부(220)와, 수신부(230)와, 발광모듈(240)과, 태양광모듈(25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복수개가 차선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어 차도에 고정 설치되며, 몸체(211)와, 매립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11)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2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홈(2111)으로 수신부(230)와, 발광모듈(240)과, 태양광모듈(250)을 수용된다.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200 includes a housing 210, a cover unit 220, a receiver 230, a light emitting module 240, and a solar module 250. The housing 210 is dispos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long the lane and fixed to the roadway, and includes a body 211 and a buried portion 212. The body 211 is formed with an accommodating groove 2111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accommodates the receiver 230, the light emitting module 240, and the solar module 250 as the accommodating groove 2111.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211)는 평면상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차도에 설치되는 만큼 주행에 불편함이 없도록 차도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평단면적이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상기 몸체(211)는 평단면형상이 사각형이고, 측면형상은 사다리꼴형으로 이루어진 상협하광의 형상을 갖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부가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3, the body 211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or a square in a plane, and the narrower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from the top of the roadway toward the top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traveling as it is installed on the roadwa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in a shape. In the drawing, the body 211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side shape has a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light consisting of a trapezoidal shape, which in one embodiment may have a variety of shapes, such as the top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Of course.

상기 매립부(212)는, 봉형상으로 상단이 몸체(211)의 하부 중앙부에 고정 결합하고 하부로 돌출되어 차도 설치 시 도로에 매립되거나, 도로에 삽입 설치되어 차도에 고정된다. The buried portion 212 has a rod shape, the upper end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body 211 and protrudes downward to be embedded in the road when the road is installed, or inserted into the road is fixed to the road.

상기 커버부(220)는 하우징(210)의 상부에 결합하여 수용홈(2111)을 패쇄한다. 상기 커버부(220)는, 수용홈(2111)에 설치되는 태양광모듈(250)로 태양광이 조사되도록 태양광이 투사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220)는 투명성 확보는 물론 주행하는 차량의 압력에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공지의 투명 아크릴판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반투명 재질를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The cover portion 22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10 to block the receiving groove (2111). The cover part 220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be projected by the sunlight so that the sunlight is irradiated to the solar module 250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2111). The cover unit 220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securing transparency as well as maintaining durability even under the pressure of the vehicle to be driven, and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materials including a translucent material, if it can achieve the above purpose, such as a known transparent acrylic plate Can b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220)는, 복수개의 커버플레이트(221)들과, 복수개의 커버플레이트(221)들의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2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cover part 220 includes a plurality of cover plates 221 and an elastic member 222 positioned below the plurality of cover plates 221.

상기 커버플레이트(221)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각각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22)에 의하여 서로 밀착되며, 각각은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The cover plates 221 are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plates 221 face each other as shown in the figure,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elastic member 222 positioned at the bottom thereof. The sliding movement is possible in the direction.

상기 하우징(210)은 상면 수용홈(2111)을 따라 형성되고, 수용홈(211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부(2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2113)는 탄성부재(222)에 의하여 상방 지지되는 커버플레이트(221)들이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The housing 210 is formed along the upper receiving groove 2111, and a locking part 2113 protruding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111 is formed. The catching part 2113 prevents the cover plates 221 supported upward by the elastic member 222 from being separated upward.

한편, 상기 하우징(210)은 최상위 커버플레이트(221)가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거되거나, 외부에서 커버플레이트(221)가 수용홈(2111)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릿홀(2112)이 형성되어 있다.  Meanwhile, the housing 210 is removed by sliding the top cover plate 221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slit hole 2112 is formed so that the cover plate 221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111 from the outside. It is.

상기 슬릿홀(2112)은 상기 하우징(210)의 측면에서 수용홈(2111)에 관통되게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커버플레이트(221)가 끼워져 이동할 수 있도록 커버플레이트(221)의 수직방향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slit hole 2112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penetrate the receiving groove 2111 from the side of the housing 210, the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ver plate 221 so that the cover plate 221 can be inserted and moved It is formed in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상기 슬릿홀(2112)은 최상위 커버플레이트(221)의 위치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커버플레이트(221)들을 눌러 최상위 커버플레이트(221)의 위치를 슬릿홀(221)이 형성된 아래로 이동 시킨 후 횡 방향으로 밀어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최상위 커버플레이트(2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slit hole 2112 is locat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top cover plate 221, so that the operator presses the cover plates 221 to move the position of the top cover plate 221 down to form the slit hole 221. After removing the upper cover plate 221, the upper cover plate 221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out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탄성부재(222)는 수용홈(2111)에 설치되며, 상면이 최하위 커버플레이트(221)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고 하부가 수용홈(2111)의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어 커버플레이트(221)들을 탄력적으로 상방지지한다.The elastic member 222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2111),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plate 221 and the low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111) to cover the cover plates (221) Elastically prevent the upper area.

상기 탄성부재(222)는 커버플레이트(221)들을 상방 지지하여 복수개의 커버플레이트(221)들 중 최상부의 커버플레이트(221)가 제거되면 나머지 커버플레이트(221)들이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여, 새롭게 최상부에 위치하는 커버플레이트(221)의 상면이 걸림부(2113)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커버플레이트(221)의 들뜸을 방지하고 수용홈(2111)으로 오염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The elastic member 222 supports the cover plates 221 upwards so that when the top cover plate 221 of the plurality of cover plates 221 is removed, the remaining cover plates 221 are moved upward, thereby newly top.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221 is loc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ngaging portion 2113, to prevent the lift of the cover plate 221 and to prevent contaminants from flowing into the receiving groove (2111).

상기 탄성부재(222)는 커버플레이트(221)를 탄성지지함에 있어 일부분이 들뜨지 않도록 커버플레이트(221)의 평면 상에 대하여 가장자리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커버플레이트(221)들에 대한 상방 지지력을 균등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astic member 222 is disposed in a plurality at intervals set at the edg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cover plate 221 so that a part is not lifted in the elastic support of the cover plate 221 is upward relative to the cover plate 221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provide support evenly.

하지만, 이는 태양광모듈(250)을 비롯한 수용홈(2111) 내에 설치되는 구성들의 레이아웃을 고려하여 그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221)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탄성부재(222)는 커버플레이트(221)의 4개의 모서리에 설치된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다. However, this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the layout of th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2111 including the solar module 250. In the drawing, the cover plate 221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elastic member 222 is shown in the embodiment installed at four corners of the cover plate 221.

상기 탄성부재(222)는 전술한 공지의 코일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The elastic member 222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known coil spring or leaf spring if 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상기 하우징(210)은 탄성부재(222)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수용홈(2111)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끼움부(2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2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222)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탄성부재(222)의 형태에 따라 걸림부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housing 210 may have a fitting portion 2114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2111 to fix the position of the elastic member 222. The fitting portion 2114 may be formed to protrud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coil spring-like elastic member 222 as shown,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elastic member 222 in one embodiment Of course, various configurations that can achieve the above object can be applied.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220)는 복수개의 커버플레이트(221)가 적층되고 탄성부재(222)에 의하여 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커버플레이트(221)들을 하방으로 누른 상태에서, 오염되거나 파손된 최상위 커버플레이트(221)만을 슬릿홀(2112)이 형성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cover portion 220 is contaminat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or pressed the cover plate 221 downward by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cover plates 221 are stacked and in close contact by the elastic member 222, Only the top cover plate 221 that has been damaged or damaged is moved to the transverse direction in which the slit hole 2112 is formed and can be removed.

이렇게 최상위 커버플레이트(221)가 제거되고 작업자가 손을 떼게 되면 커버부(220)는 탄성부재(222)에 의하여 커버플레이트(221)들이 상방 이동하면서 걸림부(2113)에 밀착되고, 제거된 커버플레이트(221)의 바로 아래에 있던 깨끗한 커버플레이트(221)가 최상위에 위치하게 된다(도 6참조). When the top cover plate 221 is removed and the operator releases the cover portion 220, the cover plate 221 is moved upward by the elastic member 222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ngaging portion 2113, and the removed cover. The clean cover plate 221 immediately below the plate 221 is positioned at the top (see FIG. 6).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220)는 오염되거나 파손되어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커버부(220)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최상위 커버플레이트(221)만 작업자가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거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ver part 220 is contaminated or damaged and requires maintenance, only the uppermost cover plate 221 needs to be slid and removed without the need to replace the entire cover part 220. It is easy to maintain and can shorten working time, thus improving work efficiency.

상기 제1수신부(230)는, 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송신부(110)로부터 신호정보를 무선 수신하며, 발광모듈(240)과 연결되어 수신된 신호정보를 발광모듈(240)로 전송한다. 상기 제1수신부(230)는 태양광모듈(2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지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다양한 무선수신기를 적용할 수 있다. The first receiver 23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210 to wirelessly receive signal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er 110, and i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240 to transmit the received signal information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240. The first receiver 230 receives power from the photovoltaic module 250 and may apply various radio receivers capable of receiving a known radio signal.

상기 발광모듈(240)은, 하우징(2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차량 운전자가 차선(1)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점등되는 발광수단(241)과, 제1수신부(230)와 연결되어 신호정보를 제공받고 발광수단(241)이 교통신호와 연동하여 점등되도록 발광수단(241)을 점등 제어하는 발광제어부(243)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module 24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210 and i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means 241 and the first receiving unit 230 which are turned on so that the vehicle driver can identify the lane 1. And a light emission control unit 243 provided to control the lighting of the light emitting means 241 so that the light emitting means 241 is turned on in association with the traffic signal.

상기 발광수단(241)은, 각 차선(1)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개별발광수단(242a,242b)을 포함한다. 상기 개별발광수단(242a,242b)은 각각 교통신호(신호등)에 해당하는 적색, 황색, 녹색의 LED로 형성되어 발광제어부(243)에 의하여 차선(1)별로 점등 및 점등색이 제어된다. The light emitting means 241 includes a plurality of individual light emitting means 242a and 242b provided along each lane 1. The individual light emitting means 242a and 242b are formed of red, yellow, and green LEDs corresponding to traffic signals (traffic lights), respectively, and the lighting and lighting colors are controlled for each lane 1 by 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243.

이에 따라, 상기 발광수단(241)은 신호등(3)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각 차선(1)의 점등색도 신호등(3)과 동일한 색상으로 점등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복잡한 교차로 등에서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1) 혼돈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 운전자에게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전방 신호등(3)의 시야확보가 어려워 신호등(3)이 보이지 않더라도 발광수단(241)의 점등색을 통하여 운전자가 신호등(3) 상태를 있다.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means 241 may be turned on in the same color as the traffic light 3 of the lighting color of each lane 1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light 3, so that the driver at a complicated intersection, etc. 1) The chaos can be prevented to induce a safe driving to the vehicle driver,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field of view of the front traffic light (3), even if the traffic light (3) is not visible through the lighting color of the light emitting means 241, 3) Have a state.

상기 발광제어부(243)는, 제1수신부(230)로부터 신호정보를 제공받아 발광수단(241)의 점등과 점등색을 제어하며, 나아가 교통신호와 대응되는 차선(1)에 해당하는 개별발광수단(242a,242b)이 교통신호와 연동하여 교통신호의 색과 동일한 색상으로 점등되게 제어한다. 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243 receives the signal information from the first receiver 230 to control the lighting and the lighting color of the light emitting means 241, and further, the individual light emitt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lane 1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signal. The control unit 242a and 242b turn on the same color as the color of the traffic signal in association with the traffic signal.

상기 발광제어부(243)는 발광모듈(240)과 함께 수용홈(211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교통신호 통합제어부(100)에 설치되어 발광수단(241)을 통합제어할 수도 있다. 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243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2111 together with the light emitting module 240, but may be installed in the integrated traffic signal control unit 100 to control the light emitting means 241 integrally.

상기 태양광모듈(250)은, 하우징(210)의 수용홈(2111)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전원공급을 필요로 하는 발광모듈(240)과 제1수신부(230)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태양광모듈(250)은, 복수개로 수용홈(2111)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집광패널(251)들과, 집광패널(251)들과 연결되는 배터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solar module 250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2111 of the housing 210 to convert the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240 and the first receiver 230 that requires power supply. Serves to supply The solar module 25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collecting panels 251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21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battery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light collecting panels 251.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집광패널(251)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지 않고, 하우징(210)의 수용홈(2111) 바닥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되어 있으며, 수용홈(2111) 내에서 복수개가 설정된 간격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세워져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is not horizontally disposed in a plate shape, but is installed upright from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on groove 2111 of the housing 210, and a plurality of intervals are set in the accommodation groove 2111. Are placed upright and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상기 집광패널(251)은, 세워져 있는 만큼 태양광이 양면으로 조사되며 이에, 일면만이 아니라 양면으로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는 양면형으로 이루어져 집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is irradiated with sunlight on both sides of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and thus,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is configured to have a double-sided type capable of collecting solar light on both sides as well as on one side to improve the light collecting efficiency.

상기 집광패널(251)은 바닥으로부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져, 태양광의 집광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집광패널(251)은 수용홈(2111)의 크기를 비롯한 수용홈(2111)의 구조와 해당 차선(1)의 주행방향 등에 따라 경사각도와 이격 간격을 달리할 수 있다.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may be inclined at an angle set from the bottom to further improve the light collecting efficiency of sunlight. In this case,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may vary the inclination angle and the separation interval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2111 including the siz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2111 and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lane 1.

상기 태양광모듈(250)은, 세워져 있는 집광패널(251) 사이로 조사되는 태양광에 대해서도 이를 집광할 수 있도록 집광패널(251)의 하부에 반사판(253)이 설치되어 있다. The solar module 250 is provided with a reflecting plate 253 at the bottom of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so that it can also collect the sunlight irradiated between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is standing.

상기 반사판(253)은 집광패널(251)로 조사되지 않고 바닥으로 조사되는 태양광을 집광패널(251)로 반사시킴으로써, 집광패널(251)의 집광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사판(253)은 집광패널(251)들의 하부에 위치하며 태양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반사판(253)은 도면에서와 같이 수용홈(2111)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reflecting plate 253 reflects the sunlight irradiated to the bottom to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without being irradiated to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ligh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The reflective plate 253 is located under the light collecting panels 251 and may be any structure that can reflect sunlight. The reflective plate 253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111 as shown in the fig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집광패널(251)과 연결되어 집광패널(251)을 통해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축전한다. 여기서, 상기 집광패널(251)과 배터리부는 공지의 태양전지패널 등을 이용하는 태양광 집열장치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battery unit is connected to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to store electrical energy converted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Here,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and the battery unit may apply a solar hea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 known solar cell panel and the lik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태양광모듈(250)은 집광패널(251)이 경사지게 세워져 배치되어 있는 만큼 설치장소나 차선(1)방향에 대응하여 집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경사방향을 변경시켜 재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집광패널(251)을 회전시켜 집광패널(251)의 경사방향을 재배치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hotovoltaic module 250 may be rearranged by chang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so that the condensing panel 251 is inclined and disposed so as to improve the condensing efficiency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location or the lane 1 direction. The configuration to rotate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to rearrange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태양광모듈(250)은, 복수개의 집광패널(251)들이 설정된 이격 간격에 따라 경사지게 세워져 배치되고 양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집광패널(251)을 통한 태양광의 집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선(1)방향 등을 고려하여 집광패널(251)을 회전시켜 집광패널(251)의 경사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집광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olar module 250, the plurality of light collecting panels 251 are arranged inclined in accordance with the set separation intervals and is made of a double-sided to improve the ligh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solar light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may be selectively changed by rotating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in consideration of the lane 1 direction and the lik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light collecting efficiency.

상기 자율주행부(300)는 자율주행차량(4)에 설치되어 자율주행차량(4)의 전반적인 자율주행을 제어하며, 송신부(110)로부터 신호정보를 수신하여 자율주행차량(4)이 전방의 교통신호에 대응하여 자율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utonomous driving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4 to control the overall autonomous driving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4, and receives the signal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er 110 so that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4 is forward. Allow autonomous driving in response to traffic signals.

상기 자율주행부(300)는, 자율주행차량(4)에 설치되고 송신부(110)로부터 신호정보를 수신하는 제2수신부(310)와, 제2수신부(310)와 연결되어 제2수신부(310)로부터 신호정보를 제공받아 교통신호에 대응하여 자율주행차량(4)이 자율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주행제어부(320)를 포함한다.The autonomous driving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autonomous vehicle 4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ceiving unit 310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310 for receiving signal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ing unit 110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310. It includes a self-driving control unit 320 to receive the signal information from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4 to autonomously run in response to the traffic signal.

상기 자율주행부(300)는, 수신된 신호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주행 진로에 있는 신호등(3)의 신호 변경 예상시간을 예측하여 자율주행차량(4)의 제동을 유도할 수 있다.The autonomous driving unit 300 may induce brak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4 by predicting a signal change estimated time of the traffic light 3 in the driving path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information.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자율주행부(300)는 정지 신호 시 차량운전자가 착각하여 악셀레이터를 밟는 경우에도 제동이 되게 함으로써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신호정지 및 신호변경을 미리 예측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한 자율주행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비향상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autonomous driving unit 300 can be safely driven by braking even when the vehicle driver is mistaken when stepping on the accelerator when the stop signal, and predicts the signal stop and the signal change in advance to make it more stable. It can be controlled to be smooth autonomous driving, thereby improving fuel economy and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상기 자율주행부(300)는, 자율주행제어부(320)로부터 교통신호에 대응하는 자율주행정보를 운전자에게도 이를 알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30)는 운전자가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보스크린 또는 스피커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The autonomous driving unit 300 includes a display unit 330 which displays the autonomous driv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signal from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320 so that the driver can also know it. The display unit 330 may apply display means such as an information screen or a speaker that the driver can visually or audibly recognize.

이하에서는, 상기 집광패널(251)을 회전시켜 집광패널(251)의 경사방향을 바꿔 재배치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chang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by rotating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will be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200)는, 집광패널(251)의 회전을 위하여 매립부(212)에 회전구성이 포함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집광패널(251)을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display unit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onal configuration in the buried portion 212 to rotate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thereby rotating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210)은, 수용홈(2111)이 형성된 몸체(211)와, 몸체(211)의 하부에 결합하며 차도에 고정되는 매립부(212)를 포함하고, 몸체(211)는 매립부(2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To this end, the housing 210 includes a body 211 in which a receiving groove 2111 is formed, and a buried portion 212 which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211 and fixed to a roadway, and the body 211 is buried. It is form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art 212.

상기 매립부(212)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도에 매립되며 내주측면을 따라 스토퍼기어(2132)가 형성된 삽입홈이 상면에 형성된 매립몸체(2122)와, 몸체(211)의 하부에 고정 결합하여 매립몸체(2122)에 대하여 회전 후 삽입홈에 삽입되며, 외주측면에 스토퍼기어(2132)와 맞물리는 기어(2131)가 형성된 삽입축(2121)을 포함한다. The buried portion 212 is buried in the driveway as shown in Figure 7, the insertion groove 2122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formed with the stopper gear 2132 along the inner peripheral side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211 It is combin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fter the rotation about the embedded body 2122, and includes an insertion shaft 212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gear 2131 is engaged with the stopper gear (2132).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매립부(212)는 삽입축(2121)과 매립몸체(2122)로 서로 분리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삽입축(2121)과 매립몸체(2122)에 각각 기어(2131)와 스토퍼기어(2132)를 형성하여, 도로에 매립된 매립몸체(2122)에 작업자가 하우징(210)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고, 이렇게 작업자에 의하여 각도가 회전 된 상태에서 삽입축(2121)을 스토퍼기어(2132)에 치합되도록 삽입홈에 끼워 그 위치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삽입축(2121)은 삽입홈에 끼워진 후 흔들리지 않고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buried portion 212 has a structu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insertion shaft 2121 and the buried body 2122, the gear 2131 and the insertion shaft 2121 and the buried body 2122, respectively; The stopper gear 2132 is formed to allow the operator to rotate the housing 210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buried body 2122 embedded in the road, and the insertion shaft 2121 is stopped at the insertion shaft 2121 in a state in which the angle is rotated by the operator. (2132) is fixed to its position by inserting it into the insertion groove. At this time, the insertion shaft 2121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position is fixed without being shaken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한편, 도 8은 도 7의 기어(2131)와 스토퍼기어(2132)를 포함하는 회전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매립부(212)는, 도 6과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211)의 하부에 고정 결합하는 삽입축(2123)과,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상기 삽입축(2123)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도로에 매립되거나 고정 설치되는 매립몸체(2124)를 포함한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rotational configuration including the gear 2131 and the stopper gear 2132 of FIG. 7.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uried portion 212, as shown in Figure 6, the insertion shaft 2123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211, and the insertion shaft 2123 can be rotated by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It includes a buried body (2124) is inserted to be embedded and is embedded or fixed to the road.

여기서, 상기 삽입축(2123)은 원통형으로 상면이 몸체(211)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고, 외주측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래칫기어(2141)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Here, the insertion shaft (2123) is cylindrical, the upper surface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11, the ratchet gears (2141) having a direction in one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ide surface is formed protruding.

또한, 상기 매립몸체(2124)는, 기어(2141)와 맞물리도록 삽입홈의 내주측면에 스토퍼기어(215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기어(2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의 내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래칫기어(2141)와 맞물리는 래칫폴로 형태로 형성되어, 삽입축(2123)이 작업자가 회전력을 가하는 경우에만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래칫폴을 통하여 삽입축(2123)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In the buried body 2124, a stopper gear 2152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to be engaged with the gear 2141. Here, the stopper gear (215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as shown in the form of a ratchet pole engaged with the ratchet gear (2141), the insertion shaft (2123) when the operator applies a rotational force Only rotate in one direction and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insertion shaft 2123 through the ratchet pole.

도 9는 상기 집광패널(251)을 회전시키는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200)는 도 6과 같이 매립부(212)를 분리되는 구조로 하여 매립부(212)에 기어(2131)와 스토퍼기어(2132)를 형성하는 것과는 달리, 매립부(212)가 아닌 하우징(210a)을 상부하우징(214)와 하부하우징(215)으로 서로 분리되게 구성하고, 이러한 상부하우징(214)와 하부하우징(215) 각각에 기어(2132a)와 스토퍼기어(2132a)를 형성하여 하우징(210a)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for rotating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display unit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uried part 212 is separated as shown in FIG. 6, unlike the gear 2131 and the stopper gear 2132 formed in the buried part 212. The housing 210a, not 212,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upper housing 214 and the lower housing 215, and each of the upper housing 214 and the lower housing 215 has a gear 2132a and a stopper gear 2132a. ) To rotate the housing 210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하우징(210a)은, 수용홈(2111)이 형성된 상부하우징(214)과, 상부하우징(214)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하우징(215)을 포함하고, 상부하우징(214)과 하부하우징(215)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In this regard, the housing 210a includes an upper housing 214 having a receiving groove 2111 and a lower housing 215 disposed below the upper housing 214, and the upper housing 214 and the upper housing 214. The lower housings 215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215)은 상부하우징(214)과 대면하는 상면에 내주측면을 따라 스토퍼기어가 형성된 삽입홈(2133)이 형성되고, 상부하우징(214)은 하부하우징(215)과 대면하는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하부하우징(215)에 대하여 회전 후 삽입홈(2133)에 삽입되고 외주측면에 스토퍼기어와 맞물리는 기어(2131a)가 형성된 삽입축(2121a)을 포함한다. The lower housing 215 has an insertion groove 2133 having a stopper gear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on an upper surface facing the upper housing 214, and the upper housing 214 has a lower housing 215 facing the lower housing 215.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and includes an insertion shaft (2121a) is formed in the gear groove (2131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33) after rotation about the lower housing 215 and engaging the stopper gear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한편, 상기한 기어(2131,2131a)를 이용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으로도 집광패널(251)을 회전하는 구성을 이룰 수 있다. 가령, 전술한 바와 같이 매립부(212)를 삽입축(2121)과 매립몸체(2122)로 각각 분리되게 형성하여 몸체(21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위치고정은 몸체(211)를 회전시켜 집광패널(251)의 경사방향이 설정된 방향으로 위치된 그 상태에서 위치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몸체(211)를 차도에 고정시켜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몸체(211)를 관통하여 차도에 관통 삽입되는 체결볼트나 체결클립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using the gears 2131, 2131a described above it can be configured to rotate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in other configurations.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buried portion 212 is formed to be separated into the insertion shaft 2121 and the buried body 2122, respectively, so that the body 211 can be rotated, and the position fixing rotates the body 211. In such a state that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is positioned in the set direction, the body 211 may be fixed to the roadway using the position fixing means to fix the position thereof. At this time, the position fixing means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configurations, such as fastening bolts or fastening clips that are penetrated through the body 211 to the driveway.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태양광모듈(250)은 표시부(200) 설치 시 작업자가 랜덤하게 표시부(200)를 설치하면 관리자가 설치위치나 차선(1)방향 등을 고려하여 표시부(200) 상부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집광패널(251)의 설치방향을 재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회전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세워진 집광패널(251)의 최적의 집광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여 집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or installs the display unit 200 at random when the display unit 200 is installed, the manager may move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200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r the lane 1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arrang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by manually rotating, so that the rotation is easy and the structure is simple,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optimal light condensing condition of the light collecting panel 251 which is inclined is set. In order to be satisfied, the light condens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통합제어부 200,200a : 가변차로 표시부
201,202,203 : 개별가변차로 표시부
210,210a : 하우징 211 : 몸체
2111 : 수용홈 2112 : 슬릿홀
2113 : 걸림부 2114 : 끼움부
212,212a : 매립부 2121,2123 : 삽입축
2122,2124 : 매립몸체 2131,2131a : 기어
2132 : 스토퍼기어 214 : 상부하우징
215 : 하부하우징 220 : 커버부
221 : 커버플레이트 222 : 탄성부재
230 : 수신부 240 : 발광모듈
241 : 발광수단 243 : 발광제어부
250 : 태양광모듈 251 : 집광패널
253 : 반사판 300 : 차량감지부
100: integrated control unit 200,200a: variable lane display unit
201,202,203: Display with individual variable difference
210, 210a: housing 211: body
2111: receiving groove 2112: slit hole
2113: engaging portion 2114: fitting portion
212,212a: buried part 2121,2123: insertion shaft
2122,2124: Landfill body 2131,2131a: Gear
2132: stopper gear 214: upper housing
215: lower housing 220: cover
221: cover plate 222: elastic member
230: receiver 240: light emitting module
241: light emitting means 243: light emission control unit
250: solar module 251: light collecting panel
253: reflector 300: vehicle detection unit

Claims (14)

차도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차도를 주행하는 각 차량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차량감지부;
교통량에 따라 주행방향 또는 주행여부를 가변적으로 변경하는 가변차로의 가변차선을 따라 설치되고, 차량 운전자가 상기 가변차로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점등 제어되는 가변차로 표시부; 및
교통신호 통제기에 설치되어 교통신호와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를 각각 제어하되, 상기 차량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압력정보를 통하여 상기 차도들에 대한 각각의 교통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교통량에 따라 상기 교통신호와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의 점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는,
복수개가 가변차선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차로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수용홈으로 태양광이 투사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통합제어부로부터 신호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신호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교통신호와 연동하여 점등되는 발광모듈과,
상기 수용홈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발광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하며 상기 차도에 고정되는 매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매립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A vehicle detecting unit installed at each of the roadways to sense pressure applied by each vehicle driving the roadway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detected pressure information;
A variable lane display unit which is installed along a variable lane of a variable lane that variably changes a driving direction or whether to drive according to a traffic volume, and is controlled to be lit so that a vehicle driver can identify the variable lane; And
Is installed in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to control the traffic signal and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respectively, measuring the respective traffic volume on the roadway through the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detection unit, the traffic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traffic volume And an integrated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ignal and the lighting of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A plurality of hous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variable lanes, the receiving grooves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therein, and fixed to the variable lanes;
A cover par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sunlight can be projected to the receiving groove;
A receiv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receive signal information from the integrated control unit;
A light emitting module installed in the housing to receive the signal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unit and to light up in association with the traffic signal;
A solar module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converting sunlight into electric energy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The housing is
And a buried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fixed to the roadway, wherein the housing is form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uried portion.
삭제delete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모듈은,
상기 수용홈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의 바닥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양면형 집광패널들과,
상기 집광패널들과 연결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lar module,
A plurality of condensing panels disposed on the receiving groov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upright from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comprising a battery unit connected to the light collecting panels.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패널들은,
상기 바닥으로부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ght collecting panels,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clined at an angle set from the floor.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모듈은,
상기 집광패널들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으로 조사되는 상기 태양광을 반사하여 상기 집광패널로 주사하기 위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solar module,
And a reflecting plate positioned under the light collecting panels to reflect the sunlight emitted to the bottom and to scan the light to the light collecting panel.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는 발광수단과,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신호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발광수단이 상기 교통신호와 연동하여 점등되도록 상기 발광수단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ing module,
Light emitting means coupl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And a light emiss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to receive the signal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unit, and to control the light emitting unit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n in association with the traffic signal.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감지부는,
상기 차도들의 차량정지선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정지선을 통과하여 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detection unit,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is installed on the vehicle stop line of the roadway to detect a vehicle traveling through the vehicle stop line.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감지부는,
압력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vehicle detection unit,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comprising a pressure sensor.
삭제delete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는,
상기 차도에 매립되며 내주측면을 따라 스토퍼기어가 형성된 삽입홈이 상면에 형성된 매립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매립몸체에 대하여 회전 후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외주측면에 상기 스토퍼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된 삽입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ried portion,
An embedded body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groove having a stopper gear embedded in the driveway and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comprising an insertion shaft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fter rotation about the buried body, the gear is engaged with the stopper gear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And an upper housing formed with the receiving groove and a lower housing positioned below the upper housing, wherei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청구항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상부하우징과 대면하는 상면에 내주측면을 따라 스토퍼기어가 형성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하부하우징과 대면하는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후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외주측면에 상기 스토퍼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된 삽입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lower housing has an insertion groove in which a stopper gear is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on an upper surface facing the upper housing,
The upper housing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lower surface facing the lower housing,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fter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ertion shaf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gear is engaged with the stopper gear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의 상기 발광모듈은 중앙선을 나타내기 위한 황색과, 차선을 나타내기 위한 백색으로 각각 점등 제어되고,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차량감지부로부터 상기 압력정보를 수신하여 일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제1교통량과, 타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제2교통량을 각각 측정하고, 상기 제1교통량과 상기 제2교통량을 비교하여 교통량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일측 주행 차선이 확장되도록 상기 가변차선들 각각에 대한 발광모듈의 점등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ing module of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turn on yellow for indicating a center line and white for indicating a lan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receives the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detecting unit and measures the first traffic volume of the vehicle traveling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traffic volume of the vehicle traveling in the other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first traffic volume and the second traffic volume. And comparing the traffic volume and controlling the lighting color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for each of the variable lanes so that one driving lane is expanded when the difference in the traffic volu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차로 표시부는, 복수개의 가변차선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개별가변차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제어부는 상기 개별가변차로 표시부를 통하여 가변차선별로 개별적으로 점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may include individual variable lane display units respectively installed along a plurality of variable lanes.
The integrated control unit is a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individual lanes through the variable lane display unit.
KR1020170142580A 2017-10-30 2017-10-30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1020586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80A KR102058668B1 (en) 2017-10-30 2017-10-30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80A KR102058668B1 (en) 2017-10-30 2017-10-30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074A KR20190048074A (en) 2019-05-09
KR102058668B1 true KR102058668B1 (en) 2020-02-07

Family

ID=6654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580A KR102058668B1 (en) 2017-10-30 2017-10-30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66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5894A (en) * 2020-08-06 2020-11-10 北京航空航天大学 Variable lane and traffic signal cooperative control method based o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9188A (en) * 2022-05-20 2022-09-02 清华大学 Lane isolation marking line control equipment and system, and lane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16219814B (en) * 2023-05-04 2023-08-29 滨州高新高端装备制造产业园有限公司 Embedded traffic control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550B1 (en) * 2010-12-01 2011-05-30 김수겸 System for stacking type collecting solar energy using a reflection pla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595A (en) * 1994-02-18 1995-08-29 Fujitsu General Ltd Vehicle traffic signal
KR100329488B1 (en) * 1999-02-25 2002-03-20 김시중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ariable lane
KR20090048971A (en) 2007-11-12 2009-05-15 (주)지앤지컨설턴트에프디아이 Variable road system
KR20110035264A (en) * 2009-09-30 2011-04-06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System for guiding a traffic lane
KR20140094944A (en) * 2013-01-23 2014-07-31 김상철 Solar cell type led road stu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550B1 (en) * 2010-12-01 2011-05-30 김수겸 System for stacking type collecting solar energy using a reflection pl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5894A (en) * 2020-08-06 2020-11-10 北京航空航天大学 Variable lane and traffic signal cooperative control method based o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CN111915894B (en) * 2020-08-06 2021-07-27 北京航空航天大学 Variable lane and traffic signal cooperative control method based o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074A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668B1 (en) Smart l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102008441B1 (en) displaying apparatus informing existence of passenger in bus platform
AU2008356954B2 (en) The combined loop type auto-mobile sensor using loop coil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the same
KR100555413B1 (en) Boundary stone using the sollar cell
KR100734476B1 (en) Safty Signal Apparatus for Curved Road using Solar cell
ES2915223T3 (en) signaling system
EP2138756A1 (en) Device for the lighting and/or demarcation of pedestrian crossings
KR102023476B1 (en) Smart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0448567Y1 (en) Filling up type auxiliary signal lamp
KR100960226B1 (en) Bollard capable auto lighting and snow removing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101201879B1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 by vehicle sensor
CN211038022U (en) Intelligent park automatic detection parking berth device
KR20130114918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bollard of road
KR102336634B1 (en) Glowing road sign
KR200310581Y1 (en) The indication divice for a central reserve utlizing light emitting diodes and solar energy
KR101339287B1 (en) Lamp of parking machine bar
CN211956729U (en) Parking guide control device and visible light guide system
CN201117026Y (en) Digitalization control solar energy figure mark
KR101885882B1 (en) Visibility Device for Median Road
KR20120001672A (en) Central reserve block
KR101262899B1 (en) central reserve block
KR101056641B1 (en) Buried led light-emitting apparatus
KR20200002711A (en) Safety indicator system and Pedestrian safety light
KR101154441B1 (en) Signpost device for being fixed to guard rail for curved road using solsr cell
CN213183098U (en) Variable lane ground indic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