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379B1 -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379B1
KR102058379B1 KR1020180046359A KR20180046359A KR102058379B1 KR 102058379 B1 KR102058379 B1 KR 102058379B1 KR 1020180046359 A KR1020180046359 A KR 1020180046359A KR 20180046359 A KR20180046359 A KR 20180046359A KR 102058379 B1 KR102058379 B1 KR 102058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sk
mask sheet
seat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494A (ko
Inventor
이계식
Original Assignee
이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식 filed Critical 이계식
Priority to KR102018004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379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5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fo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folding or winding articles, e.g. gloves or stock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02Folding limp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04Fold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4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movable tables 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시트를 파우치에 포장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시트를 낱장으로 공급하기 위한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시트를 공급하여 폴딩 및 배출하는 하우징에 홀딩유닛 및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하여, 마스크시트를 홀딩부재가 낱장씩 들어 올리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가 사선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마스크시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고, 이송부재가 상기 마스크시트를 안착시켜 이송하도록 하여 마스크시트를 끌어서 이송하는 방식에 비하여 마스크시트의 훼손 없이 안정적으로 시트폴딩부에 낱장으로 공급할 수 있는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MASK-SHEET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마스크시트를 파우치에 포장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시트를 낱장으로 공급하기 위한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시트를 공급하여 폴딩 및 배출하는 하우징에 홀딩유닛 및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하여, 마스크시트를 홀딩부재가 낱장씩 들어 올리는 경우, 상기 홀딩부재가 사선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여 마스크시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고, 이송부재가 상기 마스크시트를 안착시켜 이송하도록 하여 마스크시트를 끌어서 이송하는 방식에 비하여 마스크시트의 훼손 없이 안정적으로 시트폴딩부에 낱장으로 공급할 수 있는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에 관하여 관심이 높아지면서 마스크 팩의 소비가 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마스크 팩은 얼굴에 부착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얼굴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등 피부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얼굴 표면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미안술로서, 미용에서는 얼굴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팩 제를 흠뻑 발라두는 것을 가리킨다.
즉, 피부가 거칠어졌을 때나, 햇볕에 검게 탓을 때, 혹은 피로해 졌을 대 등에 이 방법을 사용하며, 주목적에 따라 적당한 팩 제를 선택하여 얼굴을 덮어 일시적으로 외기를 차단하여 보습에 의해 피부에 축적된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마스크 팩은 주로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직포 재질의 마스크 팩을 낱장으로 접어 파우치에 포장되어 공급되게 되며, 마스크 팩에 관한 다양한 종래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4-0128589호 "시트 마스크 자동포장 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에 시트 마스크 인출을 위한 일정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의 하부로 인입되어 적층 된 시트 마스크를 공급하기 위한 시트 마스크 공급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며 시트 마스크를 일정형상으로 접기 위한 시트 마스크 폴딩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승강되며, 상기 개구부 하부에 인입된 상기 시트 마스크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시트 마스크를 한 장씩 부착한 후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인출하여 상기 마스크 폴딩부 상부로 이동 및 안착시키기 위한 시트 마스크 탈착부; 상기 시트 마스크 폴딩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접혀진 시트 마스크를 수납하기 위한 파우치를 공급하기 위한 파우치 공급부; 및 상기 시트 마스크 폴딩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접혀진 시트 마스크를 상기 파우치에 삽입하기 위한 시트 마스크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마스크 자동포장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적층된 시트 마스크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1 가압수단이 시트 마스크를 하부에서 개구부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방식으로, 제1 가압수단이 스프링, 유압실린더 등으로 구성됨에 따라 가압력이 일정하지 않고, 이로 인해 한 번에 복수장의 시트 마스크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송과정에서 시트 마스크가 훼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97194호 "시트 마스크 자동 폴딩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일정형상의 지지 테이블; 상기 지지 테이블의 상부에 고정되며 시트 마스크가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되며 안착 된 시트 마스크 양측 일부를 접기 위한 한 쌍의 접철 플레이트; 상기 접철 플레이트가 접철 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테이블을 동시에 관통하는 관통 홀; 및 상기 지지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되는 일정형상의 바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흡착력을 이용하여 시트 마스크를 이송하는 방식으로, 이송 도중에 흡착력이 저하되면 시트가 떨어지고, 흡착력이 강한 경우에는 시트가 훼손되거나 둘 이상의 시트가 한 번에 이송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과 달리 종래에는 시트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접착하여 이송시키는 방식도 있으나, 이 방식 또한 잡는 접착력이 낮아져 시트를 중간에 놓치거나, 접착력이 너무 강한 경우에는 복수장의 시트가 이송되거나, 이송 중 시트가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마스크시트를 끌어당기거나 흡착하는 방식이 아닌 이송부재 상부면에 올린 후 이송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마스크시트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시트를 이송부재 상부에 올려놓음에 있어, 복수장으로 적층된 마스크시트 중 최상부의 마스크시트 일면을 들어 올리는 홀딩부재를 통하여 적층된 마스크시트 중 최상위의 마스크 시트만 낱장으로 들어올려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 상부에 가압부재를 구비하여 이송부재에 올려진 마스크시트를 가압 및 고정함에 따라 이송 중에 마스크시트가 이송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홀딩부재에 의해 들려진 마스크시트에 이송부재가 부딪힐 때 이송부재의 단부에 의해 마스크시트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송부재에 곡면부 및 훼손방지공이 구비되는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는
마스크시트가 공급되는 시트공급부와, 상기 시트공급부 상부에 형성되는 시트안착부, 상기 시트안착부 일측에 구비되어 마스크시트를 폴딩하는 시트폴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공급부에 구비된 마스크시트를 낱장으로 들어 올리는 홀딩부재를 통하여 상기 시트안착부에 위치시키는 홀딩유닛;
상기 시트안착부와 시트폴딩부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시트안착부에 위치한 마스크시트를 안착시켜 시트폴딩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상기 시트폴딩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재가 다시 시트안착부로 이동할 때 마스크시트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시트공급부로 하강하여 상기 시트공급부에 적재되는 마스크시트 중 최상단의 마스크시트의 일측 상면을 밀착시켜 상기 시트안착부로 들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는
홀딩부재가 시트의 일측을 들어올림으로서, 복수장으로 적층된 마스크시트 중 최상부의 마스크시트만 낱장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들어올려진 마스크시트를 시트폴딩부로 이송함에 있어, 마스크시트를 이송부재 상부면에 안착시킨 후 그대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마스크시트가 이송 중에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부재 상부에는 마스크시트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구비하여 이송 중에 마스크시트가 이송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송부재에는 곡면부와 훼손방지공을 더 구비하여, 마스크시트에 이송부재가 밀착되는 경우 이송부재의 단부가 마스크시트에 형성된 성형공에 걸려 마스크시트를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의 사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의 상세 사진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의 공정 순서에 따른 사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의 공정순서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의 홀딩유닛의 실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이송부재의 형상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형상에서의 문제점을 그린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M) 낱장 공급장치(S)는 마스크시트(M)와 파우치를 공급하고, 마스크시트(M)를 폴딩한 후 마스크시트(M)를 파우치에 투입 및 파우치를 포장하여 배출하는 포장장치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홀딩유닛(20), 이송유닛(30) 및 이동방지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동작 순서에 따라 그에 맞는 구성요소를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7은 각 공정 순서에 맞게 사진을 배열한 것으로서, 순서는 공정순서와 동일하다.
다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마스크시트(M)를 공급하기 위한 시트공급부(11)와, 상기 시트공급부(11)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시트공급부(11)로부터 이송된 마스크시트(M)가 머무르기 위한 시트안착부(13), 상기 시트안착부(13)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된 마스크시트(M)를 폴딩하는 시트폴딩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별도의 파우치공급부, 파우치에 마스크시트(M)를 투입하는 포장부 및 포장된 마스크시트(M)가 배출되는 파우치배출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시트폴딩부(15)에는 별도의 폴딩유닛이 더 구비되어 마스크시트(M)를 폴딩할 수 있으며, 이 폴딩유닛은 종래에 공지된 기술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마스크시트(M)를 시트공급부(11)에서 시트폴딩부(15)까지 이송시키는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폴딩 및 포장, 배출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시트공급부(11)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시트공급부(11)는 제작된 마스크시트(M)가 중첩되어 복수장이 적재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시트공급부(11)의 하단에는 마스크시트(M)를 상부방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는 스프링 또는 피스톤 등과 같은 시트올림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홀딩유닛(20)이 상기 적층된 복수장의 마스크시트(M) 중 최상단의 마스크시트(M)를 홀딩함으로서, 연속적인 작업에 의해 적층된 마스크시트(M)의 최상단부가 항상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시트공급부(11)에 적층된 마스크시트(M)는 홀딩유닛(20)에 의하여 시트안착부(13)로 이송되는데, 우선 시트안착부(13)는 상기 시트공급부(11)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홀딩유닛(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도 9는 홀딩유닛의 개략적인 실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상기 홀딩유닛(20)은 상기 시트공급부(11)의 마스크시트(M) 일면을 들어 올린 후, 상승하여 상기 시트안착부(13)로 마스크시트(M)를 위치시키는 홀딩부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부재(21)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설명하면,
홀딩부재(21)는 상기 시트공급부(11) 상부면에 위치하여 적층된 마스크시트(M) 중 최상측의 마스크시트(M) 일면에 밀착 및 부착되어 마스크시트(M)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부착봉(211)과, 상기 부착봉(211)에 구비되어 상기 마스크시트(M)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재(2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부착부재(213)는 외면이 벨크로로 구성되어 시트에 밀착하는 경우, 부직포 재질의 시트가 밸크로로 구성된 부착부재(213)에 쉽게 달라붙을 수 있다.
상기 홀딩부재(21)는 시트공급부(11)에 적층된 마스크시트(M) 중 최상단의 마스크시트(M) 일면에 부착되어 이를 들어올려 시트안착부(13)로 위치이동 시키는 것으로서,
마스크시트(M)를 부착 후 들어올리고, 다시 원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23)이 상기 부착봉(2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23)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홀딩부재(21)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홀딩부재(21)는 시트공급부(11)로 하강하여 시트공급부(11)의 마스크시트(M)를 상부면에 밀착되고, 일정한 움직임을 발생시켜 마스크시트(M)를 견고하게 부착시킨 후, 후퇴(도 3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을 후퇴, 우측방향을 전진이라 지칭하며, 이는 마스크시트(M)가 시트안착부(13)에서 시트폴딩부(15)로 이송하는 방향을 전진방향이라 지칭하는 것과 동일하다.)하여 최상위 마스크시트(M)의 일부를 그 아래 마스크시트(M)와 분리시키고, 상승하여 시트안착부(13)에 마스크시트(M)를 위치시키면, 후술하는 이송유닛(30)이 마스크시트(M)를 안착시키고, 이 후 다시 전진하여 마스크시트(M)를 분리한 후에 시트공급부(11)로 하강하여 다음번 마스크시트(M)를 부착시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구동수단(23)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수단(23)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구동수단(23)은 홀딩부재(21)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재(231), 상기 홀딩부재(21)를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재(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구동부재(231)와 제2 구동부재(233)는 이동의 안정성을 위하여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확한 수평 또는 수직이동을 위하여 별도의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홀딩부재(21)는 상기 제1 구동부재(231)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시트공급부(11)에 적층되어 있는 마스크시트(M) 최상단의 시트 일면에 밀착되게 되는데, 단순 밀착으로 마스크시트(M)를 들어올리면 접착력이 낮아 들어올리다가 놓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홀딩부재(21)를 마스크시트(M)와 밀착된 상태에서 강제 회전시켜 마스크시트(M)와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홀딩부재(21), 보다 정확하게는 부착봉(211)의 단부(상기 부착부재(213)가 구비되지 않은 단부)에는 회전유도부재(211a)가 구비되고, 상기 홀딩부재(21)가 하강하면, 상기 회전유도부재(211a)가 밀착되는 러프판(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유도부재(211a)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돌기(211b)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때 상기 러프판(25)은 수평판(251)과 수직판(253)이 직교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홀딩부재(21)가 하강하면, 상기 회전유도부재(211a)가 상기 수평판(251)과 수직판(25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홀딩부재(21), 구체적으로 부착봉(211)의 상부에는 상기 부착봉(211)과 연동되어 움직이며, 후단으로 돌출된 플랜지(26)가 구비되고, 이 플랜지(26) 단부에는 공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휠(261)이 형성되며,
상기 휠(261)이 밀착되며, 상기 제2 구동부재(233)와 연동되는 지지판(27)이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판(27)과 상기 제1 구동부재(231) 사이에는 일정 구동공간(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27)은 상기 제2 구동부재(233)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이 구동공간(28)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동부재(231)도 상기 제2 구동부재(233)에 의한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러프판(25)만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제1 구동부재(231) 및 제2 구동부재(233)의 동작에 연동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판(27)의 전면 하부에는 상부에 경사부(271a)가 형성된 경사형성판(271)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휠(261)은 제1 구동부재(231)에 의해 하강 완료 후, 상기 경사부(271a)를 따라 조금 더 내려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휠이 상기 경사형성판의 경사부를 따라 더 하강하면, 상기 회전유도부재가 전진하면서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러프판에 밀착되어 회전함으로서,
상기 부착봉에 구비되는 부착부재가 마스크시트의 일측 상면을 전진, 하강 및 회전을 동시에 하면서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 홀딩부재(21)의 동작과 함께 상기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설명하면,(도1 내지 도 8 참조)
상기 홀딩부재(21)가 제1 구동부재(231)에 의해 하강하면, 상기 플랜지(26)와 회전유도부재(211a)는 함께 하강하고, 이 때 상기 휠(261)이 상기 지지판(27) 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하강함에 따라 휠(261)에 의해 안정적으로 홀딩부재(21)가 하강할 수 있다.
하강이 완료된 시점, 즉 상기 마스크시트(M)의 일면에 상기 홀딩부재(21)가 밀착하는 경우, 상기 휠(261)은 상기 경사형성판(271)의 경사부(271a)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회전유도부재(211a)는 상기 러프판(25), 바람직하게는 수평판(251)과 수직판(253)의 경계에 위치하며, 제1 구동부재(231)의 동작에 의해 상기 휠(261)이 경사부(271a)를 따라 더 하강하면, 상기 경사부(271a)에 의해 휠(261)은 전방으로 살짝 이동 후 다시 원위치되고, 플랜지(26) 움직임과 연동되는 회전유도부재(211a) 또한 러프판(25)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강함과 동시에 전방으로 움직였다가 다시 원위치 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유도부재(211a)가 전방 대각선방향으로 살짝 이동 및 원위치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직판(253)과 수평판(251) 사이가 살짝 벌어질 수 있도록 수직판(253)이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회전유도부재(211a)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돌기(211b)가 상기 러프판(25)에 밀착됨에 따라 이들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함으로, 상기 회전유도부재(211a)가 러프판(25)에 밀착된 상태에서 대각선으로 하강함으로 일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홀딩부재(21)가 마스크시트(M)를 일부 가압하면서 회전하여 마스크시트(M)를 보다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러프판(25)의 외면은 보다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이 거칠게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샌딩가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마스크시트(M)의 일면이 홀딩부재(21)에 부착되면, 상기 제2 구동부재(233)에 의해 상기 제1 구동부재(231)와 홀딩부재(21) 및 지지판(27)이 모두 전방으로 이동하여 홀딩부재(21)에 부착된 마스크시트(M)와 그 아래층의 마스크시트(M)를 분리하고, 이후 상기 제1 구동부재(231)가 상승하여 낱장의 마스크시트(M)만 시트안착부(13)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시트공급부(11)에는 상기 홀딩부재(21)의 승하강 동작과 함께 승하강하는 시트고정부재(11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시트고정부재(111)는 시트공급부(11)에 적층된 시트의 상면을 눌러 홀딩부재(21)가 마스크시트(M)에 밀착될 때 마스크시트(M)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시트고정부재(111)는 상기 시트공급부(11)의 후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랜지(26)에는 스토핑공(263)이 더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26) 하부에는 상기 일단이 상기 스토핑공(263)에 내삽되고, 타단이 절곡되어 상기 지지판(27)에 밀착될 수 있는 스토핑돌기(265)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2 구동부재(233)의 동작에 의한 전진운동을 제한하여 보다 안정적인 구동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홀딩부재(21)가 낱장의 마스크시트(M)를 시트안착부(13)로 이송하면, 이송유닛(30)에 의하여 시트안착부(13)에 위치한 마스크시트(M)를 시트폴딩부(15)로 이송하게 된다.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이송유닛(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송유닛(30)은 상기 시트안착부(13)와 시트폴딩부(15)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시트안착부(13)에 위치한 마스크시트(M)를 안착시켜 시트폴딩부(15)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재(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송유닛(30)은 이송부재(31)와, 상기 이송부재(31) 상부 이격 구비되는 가압부재(33)로 이루어져 있으며,
먼저 이송부재(31)는 마스크시트(M)가 놓여질 수 있는 평탄부(311)와, 상기 평탄부(311) 일측, 즉 평탄부(311) 후단에 하향 절곡 형성되는 곡면부(3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송부재(31)는 상기 시트안착부(13)와 시트폴딩부(15) 사이를 반복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홀딩부재(21)가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마스크시트(M)를 홀딩하여 상승하면, 상기 이송부재(31)의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 때 상기 이송부재(31)가 상기 시트폴딩부(15)로부터 시트안착부(13)로 이동하면, 홀딩부재(21)에 의해 일단이 부착된 마스크시트(M)를 평탄부(311)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홀딩부재(21)에 의해 일단이 부착된 마스크시트(M)는 상기 시트안착부(13)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늘어트린 형상을 이루며 위치하게 되고, 이 때 상기 이송부재(31)가 시트안착부(13)로 이동하면, 늘어진 마스크시트(M)의 일측 바닥면을 밀어 마스크시트(M)가 자연스럽게 이송부재(31)의 평탄부(311)에 놓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 경우, 이송부재(31)가 곡면부(313)를 형성하지 않으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시트(M)에 형성되는 성형공(M1)에 이송부재(31)의 단부가 걸리거나 찝혀서 마스크시트(M)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부재(31)의 단부를 곡면화하는 곡면부(313)를 형성함에 따라 마스크시트(M)와 접하는 면을 부드럽게 처리하여 마스크시트(M)가 찝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특히, 상기 곡면부(313) 또는 평탄부(311) 또는 이들 모두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훼손방지공(315)을 더 구비하여 성형공(M1)이 위치한 부분에는 훼손방지공(315)에 의해 이송부재(31)가 접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마스크시트(M)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마스크시트(M)가 상기 이송부재(31)의 상부면에 놓여지면, 상기 홀딩부재(21)는 전진하여 마스크시트(M)와 분리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이송부재(31)의 상부에는 하강하여 이송부재(31)에 놓여진 마스크시트(M)를 가압하는 가압부재(33)를 더 구비하고 있다.
즉, 가압부재(33)가 마스크시트(M)를 가압한 후, 홀딩부재(21)가 전진하면, 가압력에 의해 홀딩부재(21)만 마스크시트(M)로부터 분리되고, 분리된 홀딩부재(21)는 하강하여 다시 다음 번 마스크시트(M)에 밀착된 후, 이송부재(31)가 시트폴딩부(15)로 이동하여 마스크시트(M)를 운반하게 된다.
이 때 이송부재(31)가 마스크시트(M)를 운반하면, 상기 시트고정부재(111)가 하강하여 시트공급부(11)에 적층된 마스크시트(M)를 가압하여 반복된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31)가 마스크시트(M)를 시트폴딩부(15)로 이송하는 동안에는 상기 가압부재(33)가 마스크시트(M)를 가압하고 있도록 하여 이송 중 마스크시트(M)가 움직이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시트폴딩부(15)로 이송된 마스크시트(M)는 이동방지유닛(40)에 의해 마스크시트(M)는 시트폴딩부(15)에 안착되고, 이송부재(31)만 다시 시트안착부(13)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방지유닛(40)은 상기 시트폴딩부(15)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시트폴딩부(15)내에서 승하강 하는 승하강구동부재(41)와 이 승하강구동부재(41)에 구비되어, 상기 마스크시트(M)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43)로 이루어진다.
동작과 함께 상기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승하강구동부재(41)는 상기 이송부재(31)가 시트폴딩부(15)로 이송되는 경우, 이송부재(31)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송부재(31)가 마스크시트(M)를 싣고 시트폴딩부(15)로 이송 완료되면, 상기 승하강구동부재(41)가 하강하여 상기 승하강구동부재(41)에 연동되는 지지부재(43)가 이송부재(31) 상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43)의 밀착위치는 상기 이송부재(31)의 후단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43)는 판 형상이 아닌 곡선형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원형의 마스크시트(M) 가장자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안정적이 대응을 위하여 두 개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마스크시트(M)의 외면을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다시 이송부재(31)가 마스크시트(M)를 싣고 시트폴딩부(15)로 이송되면, 상기 가압부재(33)가 상승하여 마스크시트(M)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제거하고, 상기 이동방지부재가 하강하여 이송부재(31) 상부면에 밀착되면, 이송부재(31)는 다시 시트안착부(13)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시트폴딩부(15)에 위치한 마스크시트(M)는 가압력은 제거되고, 이동방지부재가 마스크시트(M)의 후단 가장자리를 지지함에 따라 이송부재(31)와 함께 이동하지 못하고, 이송부재(31)가 시트안착부(13)로 이동하면 자연스럽게 시트폴딩부(15)에 떨어져 폴딩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은 모든 동작이 반복적으로 연속되게 진행됨에 따라 마스크시트(M)를 낱장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훼손없이 시트폴딩부(15)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낱장공급장치 M : 마스크시트
M1 : 성형공
10 : 하우징 11 : 시트공급부
111 : 시트고정부재 13 : 시트안착부
15 : 시트폴딩부 20 : 홀딩유닛
21 : 홀딩부재 211 : 부착봉
211a : 회전유도부재 211b : 돌출돌기
213 : 부착부재 23 : 구동수단
231 : 제1 구동부재 233 : 제2 구동부재
25 : 러프판 251 : 수평판
253 : 수직판 26 : 플랜지
261 : 휠 263 : 스토핑공
265 : 스토핑돌기 27 : 지지판
271 : 경사형성판 271a : 경사부
28 : 구동공간 30 : 이송유닛
31 : 이송부재 311 : 평탄부
313 : 곡면부 315 : 훼손방지공
33 : 가압부재 40 : 이동방지유닛
41 : 승하강구동부재 43 : 지지부재

Claims (4)

  1. 마스크시트(M)가 공급되는 시트공급부(11)와, 상기 시트공급부(11) 상부에 형성되는 시트안착부(13), 상기 시트안착부(13) 일측에 구비되어 마스크시트(M)를 폴딩하는 시트폴딩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공급부(11)에 구비된 마스크시트(M)를 낱장으로 들어 올리는 홀딩부재(21)를 통하여 상기 시트안착부(13)에 위치시키는 홀딩유닛(20);
    상기 시트안착부(13)와 시트폴딩부(15)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시트안착부(13)에 위치한 마스크시트(M)를 안착시켜 시트폴딩부(15)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재(31)를 포함하는 이송유닛(30);
    상기 시트폴딩부(15)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재(31)가 다시 시트안착부(13)로 이동할 때 마스크시트(M)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유닛(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홀딩부재(21)는
    상기 시트공급부(11)로 하강하여 상기 시트공급부(11)에 적재되는 마스크시트(M) 중 최상단의 마스크시트의 일측 상면을 밀착시켜 상기 시트안착부(13)로 들어 올리고,
    상기 홀딩부재(21)는 부착봉(211)과, 상기 부착봉(211)에 구비되어 마스크시트 일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2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착봉(211)에는
    복수개의 돌출돌기(211b)가 형성된 회전유도부재(211a)와, 상기 부착봉(211)과 연동되어 움직이며 단부에 휠(261)이 결합되는 플랜지(26)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부착봉(211)이 하강하면 상기 회전유도부재(211a)가 밀착되도록 수평판(251)과 수직판(253)이 직교하도록 이루어지는 러프판(25)과, 상기 휠(261)이 밀착되는 지지판(27)과, 상기 지지판(27) 하부에 구비되며 경사부(271a)가 형성된 경사형성판(271)이 더 구비되어,

    상기 부착봉(211)이 하강하면 상기 휠(261)이 부착봉(211)과 함께 지지판(27)에 밀착되면서 하강하고, 상기 회전유도부재(211a)는 상기 러프판(25)에 밀착되며,
    상기 휠(261)이 상기 경사형성판(271)의 경사부(271a)를 따라 더 하강하면, 상기 회전유도부재(211a)가 전진하면서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러프판(25)에 밀착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부착봉(211)에 구비되는 부착부재(213)가 전진, 하강 및 회전을 동시에 하면서 마스크시트의 일측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30)의 이송부재(31)는
    마스크시트가 놓여지는 평탄부(311)와, 상기 평탄부(311) 일측에 절곡 형성되는 곡면부(313)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부재(31)가 마스크시트의 일측 바닥면을 밀면서 시트안착부(13)로 이동하여 상기 평탄부(311)에 마스크시트를 안착시키고,
    상기 마스크시트가 평탄부(311)에 안착되면, 상기 이송부재(31)가 전진하여 안착된 마스크시트를 상기 시트폴딩부(15)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31)의 평탄부(311) 또는 곡면부(313) 또는 이들 모두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훼손방지공(31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30)에는
    상기 이송부재(31)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재(31)에 안착된 마스크시트를 가압하는 가압부재(3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
KR1020180046359A 2018-04-20 2018-04-20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 KR102058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359A KR102058379B1 (ko) 2018-04-20 2018-04-20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359A KR102058379B1 (ko) 2018-04-20 2018-04-20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494A KR20190122494A (ko) 2019-10-30
KR102058379B1 true KR102058379B1 (ko) 2019-12-24

Family

ID=6846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359A KR102058379B1 (ko) 2018-04-20 2018-04-20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691A (ko) 2021-06-21 2022-12-28 (주)비아이티글로벌 포장기의 로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2150B (zh) * 2020-03-31 2021-01-15 江苏西宏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面膜自动分离包装设备以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353B1 (ko) * 2017-04-26 2018-02-22 김경욱 전단된 미용 직물의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871A (ko) * 2016-07-20 2018-01-30 (주)에스엠솔 마스크 팩 자동 절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353B1 (ko) * 2017-04-26 2018-02-22 김경욱 전단된 미용 직물의 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691A (ko) 2021-06-21 2022-12-28 (주)비아이티글로벌 포장기의 로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494A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219B1 (ko) 시트 마스크 자동포장 장치
KR102058379B1 (ko) 마스크시트 낱장 공급장치
JP2011054650A (ja) 保護テープ剥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131783B1 (ko) 마스크 팩 공급장치
CN101866990A (zh) 石英舟自动上下片装置
ES2776434T3 (es) Sistema de producción y método de producción de matrículas para automóviles
CN106184878A (zh) 瓷砖自动包装设备
KR102327359B1 (ko) 파우치 공급 및 이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파우치 공급 및 이송방법
CN113979117A (zh) 一种座框自动化包裹系统
KR200467364Y1 (ko) 박스 및 제품 분리장치
KR101277325B1 (ko) 필름의 보호시트 분리장치
JP4592289B2 (ja) 半導体ウエハの不要物除去方法
KR102125769B1 (ko) 마스크시트를 낱장으로 투입하는 공급장치
JP4551886B2 (ja) 傘ラベルの装着装置
JP4627178B2 (ja) ラミネート装置
JP2005243700A (ja) 粘着シート貼付け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装置
CN205441058U (zh) 收缩膜机的拉膜机构
KR200477556Y1 (ko) 탁상용 캘린더 자동 인쇄장치
JP4242124B2 (ja) バルク解体装置
CN220147441U (zh) 一种大米转运装置
KR20180064508A (ko)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KR101689755B1 (ko) 플로트 유리판 연마용 캐리어의 백패드 교체 시스템
CN219266289U (zh) 一种检品机
KR102018857B1 (ko) 지압돌기부재 접착장치
JPS6018919Y2 (ja) パッド型熱転写機の転写フイルム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